KR101890208B1 -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208B1
KR101890208B1 KR1020180039597A KR20180039597A KR101890208B1 KR 101890208 B1 KR101890208 B1 KR 101890208B1 KR 1020180039597 A KR1020180039597 A KR 1020180039597A KR 20180039597 A KR20180039597 A KR 20180039597A KR 101890208 B1 KR101890208 B1 KR 10189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hock absorbing
support
shock absorbe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규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주)미래로드셋
최영규
신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로드셋, 최영규, 신영철 filed Critical (주)미래로드셋
Priority to KR102018003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3Protecting devices located at the ends of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8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mobil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차로를 벗어난 차량이 도로상의 구조물 등에 충돌하기 전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 및 상쇄시키는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멈춤지지대로부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별도의 유압식 완충기를 장착 형성하되, 상기 유압식 완충기가 설치된 구간에는 기존의 충격흡수부재가 함께 복합 구성되도록 함에 따라,
차량의 충돌 속도 또는 충돌 당시의 차량 중량에 의해 달라지는 충돌에너지에 따라 충격흡수부재에 의한 1차 완충 작용 및 유압식 완충기에 의한 2차 완충 작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완충 가능한 충돌에너지의 설계 폭이 크게 넓어질 수 있는 것이고, 충돌에너지의 완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저속의 경량 차량이나 고속의 중량 차량 모두 효과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차량은 물론 탑승자를 보호하는데 더욱 효율적인 것이며, 신규로 시공되는 충격흡수장치는 물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충격흡수장치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효율적인 충격 흡수작용으로 인해 충격흡수장치 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충돌 후에도 파손부를 보완하거나 부분 수리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Vehicl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주행차로를 벗어난 차량이 도로상의 구조물 등에 충돌하기 전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 완화시켜 차량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이격된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충격흡수부재와 함께 유압식 완충기를 복합 구성하여, 충돌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충격흡수부재 및 유압식 완충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더욱 효과적인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의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폭우, 폭설, 차량 고장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주행차로를 벗어난 차량이 도로상의 각종 구조물과 충돌하기 전에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 및 완화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토록 함과 더불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도로 안전 시설물로서, 양방향 차도의 중앙분리대 끝단이나 자동차 전용도로의 나들목 분기점 또는 터널 및 지하차도의 입구, 교각, 고속도로 분기점, 국도 교차로 내지 분기점 등에 설치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71364호와 같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폐타이어를 삼각틀 형태로 적층 연결시킨 구조가 뒤로 밀리게 유도하고, 운전자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관미를 고려하여 설계된 교차로 진입도로의 차량 충돌 완충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90564호와 같이 내부공간을 갖는 다수의 단위체 들이 순차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단위체 중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단위체는 그 전면이 곡면을 이루고 내측에는 삽입돌기가 설치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중에 가장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단위체와 결합되는 고정판이 있고, 상기 고정판에는 전방 단위체의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밀봉된 공기 배출구를 갖는 고무튜브가 부착되며, 상기 고무튜브의 외측으로는 하단 양측에 바퀴가 구비된 다수의 지지틀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틀 사이에는 접힘이 가능한 연결대가 설치된 내부 완충부;로 구성된 차량 충돌 완충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공개특허 제10-2017-0085800호와 같이 가이드레일과 지지플레이트 및 복수 개의 충격흡수부재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가 안출된 바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장치의 경우 충돌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전단응력과 마찰력 및 물리적 완충 작용에 따라 빠르게 흡수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통상적인 충격흡수장치들은 도로 노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로 설치되어지되 가이드레일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접속 체결구조를 구비한 지지플레이트와, 에어튜브나 발포 탄성체 또는 완충스프링 및 소성변형 유도체 등의 다양의 형태로서 지지플레이트 사이 사이의 구획 공간에 복수로 배치하여 지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 완충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와, 지지플레이트 양측으로 연계 설치되어 가해진 충격량에 따라 순차적인 전단응력과 마찰력을 발휘하여 완충작용을 제공함과 더불어 지지플레이트의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패널과, 그외 전방 선단에 설치되는 전면커버와, 가이드레일 후방에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밀려 이동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충격흡수부재를 정지시켜주기 위한 멈춤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에 주행차로를 벗어난 차량이 충돌할 경우 전면커버 내측에 인접하여 설치되어진 전방 지지플레이트를 시작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들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밀려 이동하고 지지플레이트 양측에 배치되어진 가이드패널 역시 이웃하는 뒤쪽의 가이드패널 바깥쪽으로 겹쳐지면서 순차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지지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 간의 접속 체결부위 및 가이드패널 안내홀 전면과 가압고정편 간의 체결부위로부터 마찰력이 발생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 완충하게 되고, 단계적으로 밀려 이동하는 지지플레이트들의 가압력에 따라 충격흡수부재들 또한 가압 변형되면서 충돌에너지가 다시 한번 흡수 완화되어 탑승자 보호와 함께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설계된 구조에 의해 일정한 충돌에너지에 대하여만 완충 효과를 갖는 것으로 설계된 수치 이상의 충돌에너지가 작용하는 경우 효과적인 완충 작용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장치의 설치 장소 및 위치에 근거하여 충돌이 예상되는 차량의 충돌에너지에 따라 다소의 설계변경을 통해 충돌에너지의 완충 효과를 기준하게 되는데, 차량의 충돌에너지는 차량의 충돌 속도와 차량의 하중에 따라 가변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주행차로의 제한 최고속도에 기준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과속 또는 고중량의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는 효과적인 완충 작용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예컨데, 저속인 경량의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는 충격흡수장치의 전방 충격흡수부재에 의한 완충 작용을 수행하게 되고, 경량의 차량이 고속으로 충돌한 경우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충격흡수부재가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 될 것이나, 설계 이상의 속도 및 중량의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는 구조 전체의 마찰력과 흡수력 이상의 충돌에너지가 작용하면서 상기 충격흡수장치 전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것이고, 충격흡수장치가 파괴되면서 효율적인 차량 완충 효과를 기대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충격흡수장치의 재사용 혹은 보완 사용이 불가능하여 그대로 폐기되므로 지극히 비경제적인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71364 (2002.03.28.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90564 (2005.07.13. 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7-0085800 (2017.07.25. 공개)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노면 상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멈춤지지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멈춤지지대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고정하여 된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멈춤지지대로부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별도의 유압식 완충기를 장착 형성하되, 상기 유압식 완충기가 설치된 구간에는 기존의 충격흡수부재가 함께 복합 구성되도록 함에 따라,
저속 및 경량의 차량과 같이 충돌에너지가 크지 않을 경우에는 충격흡수부재에 의한 완충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고, 고속 및 중량의 차량이 충돌하여 고도의 충돌에너지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충격흡수부재에 의한 1차 완충 및 유압식 완충기에 의한 2차 완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특징을 갖는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가능토록 복수로 설치된 지지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멈춤지지대와, 지지플레이트 및 멈춤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는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중첩 설치되는 가이드패널로 이루어진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멈춤지지대 사이에는 별도 구비의 유압식 완충기를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속도 또는 충돌 당시의 차량 중량에 의해 달라지는 충돌에너지에 따라 충격흡수부재에 의한 1차 완충 작용 및 유압식 완충기에 의한 2차 완충 작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완충 가능한 충돌에너지의 설계 폭이 크게 넓어질 수 있는 것이고, 충돌에너지의 완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저속의 경량 차량이나 고속의 중량 차량 모두 효과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차량은 물론 탑승자를 보호하는데 더욱 효율적인 것이며, 신규로 시공되는 충격흡수장치는 물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충격흡수장치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것이고, 효율적인 충격 흡수작용으로 인해 충격흡수장치 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충돌 후에도 파손부를 보완하거나 부분 수리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평면 및 측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유압식 완충기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복합 완충수단에 대한 적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유압식 완충기에 대한 지지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파손확인수단 적용 예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파손확인수단의 상세 설명도
도 9는 도 7에 따른 파손확인수단의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설치 및 작용 예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평면 및 측면 전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노면에 고정되는 절곡 프레임 형태의 가이드레일(10)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0)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가능토록 복수로 설치된 지지플레이트(20)(20')를 마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0)(20') 사이 사이의 구획 공간으로는 가해진 충격에너지를 단계적으로 흡수 상쇄시키기 위한 충격흡수부재(40)(40')가 요입 설치되며,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는 가이드레일(10) 혹은 노면에 고정 설치되는 멈춤지지대(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0)(20')와 멈춤지지대(30)의 사이 구획 공간에도 상기의 충격흡수부재(40)(40')가 요입 설치된다.
이어, 상기 각각의 지지플레이트(20)(20')의 양측에는 다수의 가이드패널(50)(50')이 다단 중첩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이 전방의 지지플레이트(20)(20')에 충돌하게 되면 그 충돌에너지는 지지플레이트(20)(20')와 충격흡수부재(40)(40')의 이동과 압축 및 멈춤지지대(30)에 의한 버팀을 통해 점진적으로 완화 및 흡수되면서 차량의 정지 및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충격흡수부재(40)(40')와 더불어 유압식 완충기(60)를 복합 구성함에 따라 기존의 충격흡수부재(40)(40')의 경우 저속 및 경량의 차량에 대한 충돌에너지를 흡수 및 상쇄시키도록 하고 상기 유압식 완충기(60)에 의해서는 고속 및 고중량의 차량에 대한 충돌에너지를 흡수 및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오일 챔버를 갖는 실린더(61)와 상기 실린더(61)에 결합된 플런저(62)로 이루어진 유압식 완충기(60)를 상기 충격 흡수장치에 장착하되, 상기 실린더(61)의 끝단은 멈춤지지대(30)에 고정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62)의 끝단은 지지플레이트(20)(20')에 고정 형성하되, 상기 플런저(62)는 멈춤지지대(30)와 이웃한 지지플레이트(20)(20')에 직접 고정되어도 무방하고, 이웃하는 지지플레이트(20)(20')를 관통하여 또 다른 지지플레이트(20)(20')에 고정되어도 무방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멈춤지지대(30)로부터 이격된 어떠한 지지플레이트(20)(20')에 장착되어도 동일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식 완충기(60)의 실린더(61)와 플런저(62)는 멈춤지지대(30)와 지지플레이트(20)(20')에 대하여 플랜지 체결 형태의 다이렉트 체결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볼 조인트 혹은 구면 와셔를 이용한 결합 혹은 유니버셜 조인트 또는 다양한 형태의 힌지 결합이 모두 가능한 것으로, 이들 간의 상호 체결 및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특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멈춤지지대(30)에 상기 실린더(61)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61)는 멈춤지지대(30)와 이웃한 제1 지지플레이트(20)에 형성된 끼움공(21)으로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61)에 결합된 플런저(62)가 또 다른 제2 지지플레이트(20)에 고정된 형태를 예시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유압식 완충기(60)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각기 실린더(61)가 장착되는 멈춤지지대(30)에는 별도의 받침판(63)을 고정 형성하여 상기 실린더(61)의 단부와 상기 받침판(63)이 가로핀(64)에 의해 축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의 실린더(61)는 가로핀(64)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고, 상기 플런저(62)가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20)(20')에는 별도의 전달판(65)을 고정 형성하여 상기 플런저(62)와 전달판(65)이 세로핀(66)에 의해 축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의 플런저(62)는 세로핀(66)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유압식 완충기(60)는 양측 축 결합구조로 인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유동성을 갖게 될 것이므로 차량의 충돌 방향에 따른 유압식 완충기(60)의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성을 갖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받침판(63)은 실린더(61)로 전달되는 충돌에너지를 상기 멈춤지지대(30)에 확산 전달하게 위해 넓은 패널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고, 상기 전달판(65) 역시 지지플레이트(20)(20')로부터 제공되는 충돌에너지를 플런저(62)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비교적 넓은 패널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충격 흡수장치의 전방으로부터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충돌에너지는 가장 전방에 위치한 지지플레이트(20)(20')로부터 충격흡수부재(40)(40')로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동시에 충격흡수부재(40)(40')에 대한 압축이 점진적으로 진행되면서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 및 상쇄시키게 된다.
이때, 저속 및 경량의 차량이 충돌한 경우라면 충돌에너지가 크지 않을 것이므로 이때에는 전방에 위치한 소정 개수의 지지플레이트(20)(20')에 대한 유동 및 그로 인한 충격흡수부재(40)(40')의 압축이나 변형이 발생하겠지만, 고속 및 고중량의 차량이 충돌한 경우라면 충돌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매우 커지면서 전체 지지플레이트(20)(20')에 대한 후퇴 및 각각의 충격흡수부재(40)(40')가 차례로 압축 또는 변형되는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62)가 장착된 지지플레이트(20)(20')가 후퇴하게 되면 이때부터는 플런저(62)를 후퇴시켜 실린더(61) 내의 오일에 대한 압축 및 완충 작용이 일어나게 될 것이므로 기존 충격흡수부재(40)(40')의 완충력과 더불어 유압식 완충기(60)에 의한 충격 흡수 작용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저속 및 경량인 상태에서는 충격흡수부재(40)(40')에 의해서만 완충 작용을 수행하고 고속 및 고중량에 의한 충돌에너지가 매우 큰 경우에는 충격흡수부재(40)(40')와 함께 유압식 완충기(60)가 함께 충돌에너지를 흡수 및 감쇄시켜 주게 되므로 충돌에너지에 따른 완충 효과의 설계 폭이 매우 넓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유압식 완충기(60)가 설치된 지지플레이트(20)(20')의 사이 또는 지지플레이트(20)(20')와 멈춤지지대(30)의 사이에는 상기 유압식 완충기(60)와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와 위치를 갖는 보조 충격흡수부재(41)(41')를 요입 설치함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충격 완화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도 5에서의 (a) 또는 (b) 또는 (c)의 도시와 같이 보조 충격흡수부재(41)(41')를 유압식 완충기(60)에 대하여 상,하로 배치하거나 좌,우에 배치하거나 상,하 또는 좌,우로 혼합 배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식 완충기(60)의 경우에도 단일 개체로 설치하거나 복수 개를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경사진 형태로 혹은 교차 형태로도 설치할 수 있을 것이고, 멈춤지지대(30)에 대하여 바로 이웃하는 지지플레이트(20) 또는 이격된 또 다른 지지플레이트(20')에 길이를 달리하며 복수 설치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어,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지지플레이트(20)를 관통 삽입한 유압식 완충기(60)의 경우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20)의 끼움공(21)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유압식 완충기(60)의 실린더(61) 외경과 끼움공(21)의 내경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지지플레이트(20)의 이동 과정에서 실린더(61)의 간섭으로 인해 이동에 방해를 줄 수도 있어 상기 끼움공(21)의 내경을 실린더(6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그에 따른 상호 간격 또는 틈새로 인해 상기 실린더(61)의 고정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노출하게 될 수도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6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유동지지구(70)를 상기 끼움공(21)에 삽입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61)의 안정적인 지지 고정은 물론 지지플레이트(20)(20')의 이동에도 지장이 없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의 유동지지구(70)는 실리콘과 같이 우수한 탄력성을 갖는 연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중앙에는 상기 실린더(61)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의 계지공(7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지지플레이트(20)(20')의 외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72)(7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0)(20')의 끼움공(21)으로 상기 유동지지구(70)를 삽입하게 되면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동지지구(70)의 계지공(71)으로 실린더(61)를 삽입하게 되면 유동지지구(70)로 인해 실린더(61)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은 물론 유동지지구(70)를 갖는 지지플레이트(20)(20')는 실린더(61)와 관계없이 자연스럽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충격 흡수장치에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내부의 충격흡수부재(40)(40')가 압축 또는 변형되면서 상기 충돌에너지를 감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압축 또는 변형된 상태의 충격흡수부재(40)(40')는 충돌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하거나 즉시 교체하여야 하는 필요성을 갖게 된다.
즉, 상기의 충격흡수부재(40)(40')는 에어튜브나 발포 탄성체 또는 완충스프링 및 소성변형 유도체 등의 다양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발포 탄성체 혹은 소성변형 유도체 등은 일정 수준 이상의 충돌에너지가 작용하는 경우 본래의 형상으로부터 소성변형되어 반복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고,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재사용의 유무를 확인하여 유지 혹은 교체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각 지지플레이트(20)(20')의 사이에 도 7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파손확인수단(80)을 장착함에 따라 차량에 의한 충돌 후 관리자가 이를 육안확인하여 상기 충격흡수부재(40)(40')의 재사용 유무에 대한 판단을 빠르고 정확하게 내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파손확인수단(80)은 재사용이 가능한 충격흡수부재(40)(40')를 무조건 교체하는 종래의 폐단을 방지하는 목적을 갖는 것으로, 경미한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는 충격흡수부재(40)(40')의 재사용이 가능함에도 기존에는 대체로 무조건 교체를 하고 있는 실정이고, 차량의 충돌 후 충격흡수부재(40)(40')가 원상태로 복귀한 경우와 같이 차량의 충돌 유무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충격흡수부재(40)(40')의 성능이 약화되었음에도 교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에 의한 충격흡수부재(40)(40')의 파손 정도에 따라 혹은 자동차의 충돌 유무를 알 수 없는 경우 혹은 충돌 후 그대로 도주한 경우 등 다양한 상황과 관계없이 관리자가 사고 발생시 혹은 수시로 이를 육안 확인하여 해당 충격흡수부재(40)(40')의 재사용 혹은 교체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파손확인수단(80)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일측 지지플레이트(20)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관(81)과 상기 지지관(81)에 삽입되는 동시에 끝단은 타측 지지플레이트(20')에 맞닿아 밀착되도록 한 유동봉(82)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유동봉(82)은 지지관(81)에 대하여 억지 끼움 형태로 다소 타이트 한 결합 상태를 갖고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의 지지플레이트(20')가 차량의 충돌에 의해 후퇴하는 경우 상기 유동봉(82)이 함께 후퇴하면서 상기 지지관(8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고, 상호 억지 끼움 형태로 인해 후퇴하였던 지지플레이트(20')가 충격흡수부재(40)(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전진하더라도 상기 유동봉(82)은 후퇴 삽입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자 등은 상기 유동봉(82)의 후퇴 상태에 따라 충돌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이고, 유동봉(82)의 후퇴량에 따라 충격흡수부재(40)(40')에 대한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며, 필요한 경우 상기 유동봉(82)의 외면에 충격흡수부재(40)(40')의 종류 또는 특성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한 정상구간 및 집중 점검이 필요한 확인구간 및 교체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교체구간을 나타내는 표시선(83)을 형성하여 상기 유동봉(82)의 후퇴에 의한 표시선(83)의 위치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부재(40)(40')에 대한 재사용 또는 교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파손확인수단(80)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일측 지지플레이트(20)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편(84)과 상기 지지편(84)에 대하여 슬릿공(85)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유동편(86)으로 구성하고 이들 지지편(84) 및 유동편(86)은 일정 수준 이상의 마찰 저항력을 갖도록 핀 결합함에 따라 상기 유동편(86)에 작용하는 지지플레이트(20')의 후퇴 이동에 의해 상기 유동편(86)이 지지편(84)과 중첩되면서 후퇴될 것이므로 상기 유동편(86)의 후퇴량에 따라 이들 지지플레이트(20)(20') 사이의 충격흡수부재(40)(40')에 대한 재사용 혹은 교체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유동편(86)에도 전기한 바와 같이 정상구간 및 확인구간과 교체구간이 인쇄된 표시부(87)를 형성함에 따라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충격흡수부재(40)(40')의 파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는 도 10의 (a)와 같이 저속 및 경량의 충돌 에너지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유압식 완충기(60)는 작용하지 않고 기존의 지지플레이트(20)(20') 사이에 위치한 충격흡수부재(40)(40') 만으로 충돌에너지를 흡수 및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이고, 도 10의 (b)와 같이 고속 및 고중량의 차량에 의한 강력한 충돌에너지가 작용하는 경우에는 충격흡수부재(40)(40')에 의한 1차 완충 및 유압식 완충기(60)에 의한 2차 완충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차량 및 탑승자에 대한 보호는 물론 충격 흡수장치 자체의 파손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가이드레일
20,20' : 지지플레이트 21 : 끼움공
30 : 멈춤지지대
40,40' : 충격흡수부재 41,41' : 보조 충격흡수부재
50,50' : 가이드패널
60 : 유압식 완충기 61 : 실린더
62 : 플런저 63 : 받침판
64 : 가로핀 65 : 전달판
66 : 세로핀
70 : 유동지지구 71 : 계지공
72,72' : 플랜지부
80 : 파손확인수단 81 : 지지관
82 : 유동봉 83 : 표시선
84 : 지지편 85 : 슬릿공
86 : 유동편 87 : 표시부

Claims (11)

  1. 노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0)과, 가이드레일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가능토록 복수로 설치된 지지플레이트(20)(20')와, 가이드레일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멈춤지지대(30)와, 지지플레이트 및 멈춤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는 충격흡수부재(40)(4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중첩 설치되는 가이드패널(50)(5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20)(20')와 멈춤지지대(30)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유압식 완충기(6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20')의 사이에 파손확인수단(80)을 장착하여 차량의 충돌시 상기 파손확인수단(80)의 상태에 따라 충격흡수부재(40)(40')의 파손 정도를 육안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손확인수단(80)은 일측 지지플레이트(2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지지관(81)과 상기 지지관(81)에 삽입된 유동봉(8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봉(82)의 끝단은 또 다른 지지플레이트(20')의 외면에 밀착되게 하며, 상기 유동봉(82)에는 표시선(83)을 형성하여, 차량 충돌에 의한 지지플레이트(20)(20') 간의 압축시 지지관(81)으로 삽입되는 유동봉(82)의 이동량이 표시선(83)에 의해 육안 확인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손확인수단(80)은 일측 지지플레이트(20)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지지편(84)과 상기 지지편(84)으로부터 슬릿공(85)을 통해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유동편(8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편(86)의 끝단은 또 다른 지지플레이트(20')의 외면에 밀착되게 하며 상기 유동편(86)의 표면에는 표시부(87)를 형성하여, 차량 충돌에 의한 지지플레이트(20)(20') 간의 압축시 지지편(84)에 대한 유동편(86)의 이동량이 표시부(87)에 의해 육안 확인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39597A 2018-04-05 2018-04-05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189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97A KR101890208B1 (ko) 2018-04-05 2018-04-05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597A KR101890208B1 (ko) 2018-04-05 2018-04-05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208B1 true KR101890208B1 (ko) 2018-08-21

Family

ID=6345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597A KR101890208B1 (ko) 2018-04-05 2018-04-05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2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861B1 (ko) * 2019-07-03 2020-03-02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200062817A (ko) * 2018-11-27 2020-06-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단 복합재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KR20200088070A (ko) * 2019-01-14 2020-07-22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충돌 슬립에 대한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200088069A (ko) * 2019-01-14 2020-07-22 (주)미래로드셋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616Y1 (ko) * 2002-11-29 2003-03-03 (주)대성종합기술공사 도로용 완충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616Y1 (ko) * 2002-11-29 2003-03-03 (주)대성종합기술공사 도로용 완충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17A (ko) * 2018-11-27 2020-06-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단 복합재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KR102188923B1 (ko) * 2018-11-27 2020-12-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단 복합재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KR20200088070A (ko) * 2019-01-14 2020-07-22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충돌 슬립에 대한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200088069A (ko) * 2019-01-14 2020-07-22 (주)미래로드셋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189073B1 (ko) * 2019-01-14 2020-12-09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충돌 슬립에 대한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227635B1 (ko) * 2019-01-14 2021-03-16 주식회사 에프티알에스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082861B1 (ko) * 2019-07-03 2020-03-02 (주)미래로드셋 칸막이 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208B1 (ko)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JP3734282B2 (ja) 緩衝装置と緩衝方法、そのような緩衝装置を備える車体枠および車両
JP5592013B2 (ja) 衝撃吸収装置
KR101193658B1 (ko) 레일본 운송수단의 전면 또는 후면영역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충격흡수장치
US10006179B2 (en) Crash cushion
US6174009B1 (en) Bumper construction including self-orienting support towers providing consistent energy absorption on impact
KR101022533B1 (ko) 확산형 충격흡수장치
CA2389499C (en) Rail vehicle for passenger transportation, especially for local traffic
KR20060065554A (ko)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AU741796B2 (en) Shock absorber
WO2015068985A1 (ko) 충돌 충격 흡수장치
KR102082861B1 (ko) 칸막이 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RU24165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шения удара
CN110549972B (zh) 用于汽车的碰撞吸能装置及汽车
CN111994024A (zh) 一种承载式防撞装置及应用其的车辆、护栏、桥梁和建筑
KR20190073193A (ko) 충격흡수 고정수단이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RU62936U1 (ru) Торсионное энергопоглощ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аварийной останов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090059527A (ko) 철도차량용 복합식 튜브 완충기
RU24040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подкатной защиты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383560Y1 (ko) 안전 완충장치를 구비한 가드레일
KR102227635B1 (ko)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189073B1 (ko) 칸막이 지지대의 충돌 슬립에 대한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1875505B1 (ko) 도로용 충격 흡수 장치
KR100820207B1 (ko) 범퍼 스테이 정면충돌 완충장치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