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692B1 -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692B1
KR101889692B1 KR1020180041055A KR20180041055A KR101889692B1 KR 101889692 B1 KR101889692 B1 KR 101889692B1 KR 1020180041055 A KR1020180041055 A KR 1020180041055A KR 20180041055 A KR20180041055 A KR 20180041055A KR 101889692 B1 KR101889692 B1 KR 101889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ody
welding
pressing
suppor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채
홍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04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maintaining flanges o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덕트체에 형성된 호(弧) 형상의 용접라인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용접하여 신뢰성이 있는 덕트체를 제공할 수 있는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와 함께 덕트체 하부를 지지하되 지지된 상기 덕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거치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승강에 의해 상기 덕트체를 가압 또는 해제하는 가압부 및 상기 거치부, 상기 가압부,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TURNING APPARATUS FOR WELDING}
본 발명은 원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덕트체에 형성된 호(弧) 형상의 용접라인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용접하여 신뢰성이 있는 덕트체를 제공할 수 있는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장치로는 용접용토치가 많이 쓰이고 있으며, 손잡이부(301), 연결호스(302a, 302b)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 및 가스가 혼합되는 혼기실 및 혼기실에서 혼합된 혼합가스를 외부로 분출하는 토치(305)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01)에는 각 저장탱크로부터 혼기실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303)가 형성되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용접용토치는 단일개의 화구가 형성되어 용접모재의 단일부를 용접하는 효과는 뛰어나지만, 적어도 2개 이상의 용접부위를 용접하고자 할 때에는 순차적으로 용접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반면, 상기의 문제점들을 보완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제172363호) "용접용 쌍토치장치"는 적어도 2개의 토치를 포함하여, 토치로부터의 화염이 용접모재를 다방향으로 용접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이는 직선 형태의 용접에만 그 효과를 발휘할 뿐, 관 형상을 갖는 덕트를 용접시 즉, 호(弧) 형상을 갖는 용접에는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 형상의 용접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작업자가 일일이 그 호 형상의 용접부분을 따라가면서 작업해야 하기에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덕트체의 용접이 용이하여 신뢰성이 있는 덕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 명에 따른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와 함께 덕트체 하부를 지지하되 지지된 상기 덕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거치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되 승강에 의해 상기 덕트체를 가압 또는 해제하는 가압부 및 상기 거치부, 상기 가압부,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판넬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어판넬에 의해 제어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부에 고정설치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로드가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로드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로드 외면에 설치되되 승강에 의해 상기 덕트체 내면을 가압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는 상기 실린더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덕트체에 형성된 용접이 이루어지기 이전의 용접라인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소정길이를 갖되 하부가 지면에 고정설치되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부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함께 상기 덕트체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상부 일측에는 상기 가압부, 상기 구동부, 상기 제어판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설치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덕트체의 플랜지 끝단이 안착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이동판 상부에 복수의 유닛으로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각각의 상기 롤러 외주면에는 상기 플랜지가 일정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일정속도를 갖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판넬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덕트체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기어 및 상기 제1지지기어와 소정거리 이웃하되 연결부재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되 상기 제1지지기어와 함께 상기 덕트체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기어 또는 상기 제2지지기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덕트체에 형성된 플랜지 끝단이 일정깊이 삽입되어 이탈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거치부와 구동부에 그 하부가 지지된 덕트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가압부에 의해 해당 덕트체의 용접라인을 가압하여 상기 용접라인의 들뜸을 방지하면서 호(弧) 형상을 갖는 상기 용접라인의 용접이 가능해져 신뢰성이 있는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된 덕트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에 대한 지지부재의 이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의 거치부에 덕트체가 올려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의 가압롤러와 용접토치에 의해 용접라인이 용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대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에 대한 제어판넬에 의해 가압롤러가 승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의 제어판넬에 대한 검사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이하, 간략하게 '회전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덕트체(10)는 소정 지름을 갖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덕트(duct)를 의미하되 본 발명인 회전장치(1)에 거치 하기 이전에 몸체(15)와 플랜지(11) 간의 이음부에는 그 내주면이나 외주면을 따라 점용접(點鎔接)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루어져 해당 몸체(15)와 플랜지(11)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상기 회전장치(1)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장치(1)는 크게 거치부(100), 구동부(200), 가압부(300) 및 제어판넬(400)의 구성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거치부(100)는 후술하는 구동부(200)와 함께 덕트체(10)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해당 덕트체(10)의 길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베이스(110) 및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베이스(110)는 자중에 의해 하부가 지면(작업현장의 바닥 등)에 안정적으로 지지도리 수 있게 'H' 형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지면에 소정 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베이스(110) 일측에는 지지부재(12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타측에는 설치판(111)이 고정설치되어 후술하는 구동부(200), 가압부(300) 및 제어판넬(400) 등이 설치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
여기서, 설치판(111)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되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플레이트(113)에는 구동부(200)가 관통 삽입되며,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수평플레이트(115)에는 가압부(300)가 고정설치된다.
이때, 수평플레이트(115) 상면에는 구동부(200)를 구성하는 제2지지기어(230)가 해당 수평플레이트(115)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홈(117)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해당 안내홈(117)에 상기 제2지지기어(230) 하부가 삽입되어 덕트체(10)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덕트체(1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평플레이트(115)를 따라 이동한 제2지지기어(230)는 나사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P)에 의해 이동 후,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지지부재(120)는 베이스(110) 일측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후술하는 제1 및 제2지지기어(220,230)에 의해 지지된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덕트체(10) 타측 역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동판(121) 및 롤러(123)의 구성을 포함한다.
이동판(121)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하부는 베이스(110)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안착하여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판(121) 상면에는 상술한 안내홈(117)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한 쌍의 롤러(12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판(121) 하부에는 베이스(110)와 면 접촉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롤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 이후에는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이동한 위치에서 유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롤러(123)는 이동판(121)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베이스(110)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지지기어(220,230)와 대칭되게 수평선(L)상에서 그 상단점(P3,P4)이 일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지지기어(220,230)에 일측이 지지된 상기 덕트체(10) 타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롤러(123)는 덕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이동판(121) 상부에 한 쌍이 설치되어 해당 덕트체(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바람직하게는 덕트체(10) 양측에 돌출형성된 플랜지(11) 각각의 끝단이 제1 및 제2지지기어(220,230)와 함께 상기 롤러(1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도 4 참조).
아울러 각각의 롤러(123) 외주면에는 플랜지(11)가 안정적으로 삽입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깊이를 갖는 홈부(125)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플랜지(11)가 일정 깊이 홈부(125)에 삽입되어 덕트체(10)가 회전시에도 이탈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거치부(100)와 함께 덕트체(10)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11) 끝단을 지지하되 해당 플랜지(11)에 지지된 덕트체(10)를 용접하기 위해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동모터(210), 제1지지기어(220), 제2지지기어(230) 및 연결부재(240)를 포함한다.
예컨대 구동모터(210)는 제어판넬(40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동작하되 원할한 용접을 위해 일정 속도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감속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구동모터(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111)의 수직플레이트(113)에 그 구동축(211)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해당 수직플레이트(113)에 고정설치된다.
아울러 수직플레이트(113)에 관통 삽입된 구동축(211)은 제1지지기어(220)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2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지지기어(22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1지지기어(220)는 상술한 구동모터(2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외면이 수직플레이트(113)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연결부재(240)를 통해 제2지지기어(230)와 연결되어 해당 연결부재(240)를 통해 제1 및 제2지지기어(220,23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2지지기어(230)는 그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판(231)이 수평플레이트(115)에 형성된 안내홈(117)에 삽입 후, 안내되어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연결부재(240)를 통해 제1지지기어(2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지지기어(220,230) 외주면에는 상술한 홈부(125)와 동일한 효과를 갖게 지지홈(221)이 더 형성되어 플랜지(11) 끝단이 일정 깊이 삽입 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및 제2지지기어(220,230)에 형성된 지지홈(221)의 상단점(P1)은 수평선상으로 서로 일치하게 설치되어 플랜지(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상단점(P1)은 상술한 한 쌍의 롤러(123)에 각각 형성된 홈부(125)의 상단점(P2)과 수평선상으로 서로 일치하게 설치되어 하나의 덕트체(10) 양측에 돌출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11) 끝단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도 7 참조).
따라서, 용접이 실시되고자 하는 덕트체(10)는 해당 덕트체(10)의 용접라인(13)에 용접토치(340)가 근접하게 거치 고정한 상태에서 구동부(200)를 동작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용접라인(13)의 용접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연결부재(240)는 전체적으로 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체인이나 와이어로 이루어지되 상술한 제1 및 제2지지기어(220,230) 외면을 감싸도록 치(齒) 결합하여 제1지지기어(220)의 회전력을 제2지지기어(230)에 전달하여 해당 제1 및 제2지지기어(220,230)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3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용접이 이루어진 덕트체(10)를 가압하여 해당 덕트체(10)의 용접라인(13)에 들뜸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덕트체(10)가 회전시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차단하여 상기 용접라인(13)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펌프(310), 실린더(320) 및 가압롤러(330)를 포함한다.
예컨대 펌프(310)는 상술한 베이스(110) 또는 설치판(111)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린더(320)와 관 연결되어 해당 실린더(320)의 로드(321)가 승강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펌프(310)는 실린더(320)의 종류에 따라 유체나 기체를 일정압력으로 토출할 수 있는 펌프(310)를 사용하며, 제어판넬(4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펌프(310)는 용접하고자 하는 덕트체(10)에 따라 즉, 덕트체(10)의 이동로를 형성하는 몸체(15)의 두께에 따라 그 토출압력을 가변할 수 있는 펌프(310)를 사용하되 해당 토출압력의 가변은 제어판넬(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15)의 두께가 두꺼우면 가압롤러(330)의 가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토출압력을 강하게 가변하고, 해당 몸체(15)의 두께가 얇으면 토출압력을 저하시켜 상기 가압롤러(330)가 몸체(15)를 가압시에 일그러짐 등을 방지하여 최상의 덕트체(10)를 공급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실린더(320)는 설치판(111)에 고정설치되되 펌프(310)와 관 연결되어 해당 펌프(310)의 토출압력에 의해 로드(321)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로드(321) 끝단에는 가압롤러(330)가 고정설치되어 승강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330)가 덕트체(10) 내면을 가압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덕트체(10)를 분리시에 상기 가압롤러(33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실린더(32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실린더(320) 외면에는 회전하는 가압롤러(3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바(bar) 형상의 스토퍼(3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가압롤러(33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되 상부는 로드(321) 끝단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로드(321)와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하강시에는 펌프(310)의 토출압력을 그대로 전달받아 덕트체(10) 내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압롤러(330)는 그 일부가 용접라인(13)을 직접적으로 가압하되 나머지 부분은 덕트체(10)를 구성하는 몸체(15) 내면을 가압하여 점용접이 이루어진 상기 용접라인(13)의 들뜸이 이루어지지 않게 용접토치(340)에 의해 용접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덕트체(10)가 회전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기 가압롤러(330)가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용접토치(340)는 작업자가 일일이 파지하여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게 거치부재(34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거치부재(34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플레이트(115)에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수직되게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해당 용접토치(340)는 거치부재(341)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덕트체(10)에 형성된 용접라인(13)에 따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용접라인(13)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토치(340)의 용접지점(P2)는 덕트체(10)를 가압하는 가압롤러(330)의 가압지점(P1)과 최대한 근접하는 거리(D)를 갖도록 하여 해당 용접라인(13)에 들뜸이 발생한 경우, 가압롤러(330)가 가압한 상태에서 용접토치(340)에 의해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해당 거리(D)는 2 ~ 5cm 이내의 간격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4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구동모터(210) 및 펌프(31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작업자에 의해 수동조작이 가능하게 베이스(110) 또는 설치판(111)에 설치된다.
예컨대 제어판넬(400)은 구동모터(210)와 펌프(310)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통상적인 다수의 스위치들에 의한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박스 형태를 갖도록 베이스(110) 또는 설치판(111)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스위치는 구동모터(210)를 온/오프 하는 것은 물론,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 펌프(310)을 통해 실린더(320)를 동작시켜 가압롤러(330)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스위치 및 외부전원과 케이블 연결되어 해당 제1 및 제2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제어판넬(400)은 용접이 이루어진 용접라인(13)을 확대 촬영하여 작업자의 모니터링에 의해 용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육안으로 호가인하는 검사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검사부(410)는 카메라(411) 및 촬영거치대(4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촬영거치대(413)는 용접토치(340)에 의해 용접이 이루어진 이후의 용접라인(13)을 카메라(411)가 촬영할 수 있도록 그 하부는 설치판(111) 또는 베이스(110)에 고정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카메라(411)가 다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촬영거치대(413) 역시, 상술한 거치부재(341)와 마찮가지로 카메라(41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용접이 이루어진 부분을 촬영한 카메라(411)는 해당 영상정보를 모니터(미도시)에 디스플레이 하여 작업자가 해당 확대된 영상정보를 통해 용접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거치부(100)와 구동부(200)에 그 하부가 지지된 덕트체(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가압부(300)에 의해 해당 덕트체(10)의 용접라인(13)을 가압하여 상기 용접라인(13)의 들뜸을 방지하면서 호(弧) 형상을 갖는 상기 용접라인(13)의 용접이 가능해져 신뢰성이 있는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된 덕트체(10)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
100: 거치부 110: 베이스
111: 설치판 113: 수직플레이트
115: 수평플레이트 117: 안내홈
120: 지지부재 121: 이동판
123: 롤러 125: 홈부
200: 구동부 210: 구동모터
211: 구동축 220: 제1지지기어
221: 지지홈 230: 제2지지기어
231: 가이드판 240: 연결부재
300: 가압부 310: 펌프
320: 실린더 321: 로드
323: 스토퍼 330: 가압롤러
340: 용접토치 341: 거치부재
400: 제어판넬 410: 검사부
411: 카메라 413: 촬영거치대
10: 덕트체 11: 플랜지
13: 용접라인 15: 몸체
P1: 지지홈의 상단점
P2: 롤러의 상단점

Claims (3)

  1. 거치부(100);
    상기 거치부(100)와 함께 덕트체(10) 하부를 지지하되, 상기 지지된 덕트체(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00);
    상기 거치부(10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승강에 의해 상기 덕트체(10)를 가압 또는 해제하는 가압부(300); 및
    상기 거치부(100), 상기 가압부(300), 상기 구동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판넬(400);을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300)는
    상기 거치부(100)에 고정설치되는 펌프(310), 상기 펌프(310)에 의해 인출 또는 인입됨에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는 로드(321)를 구비한 실린더(320), 상기 로드(321)에 의해 승강되도록 상기 로드(321)에 설치되며 승강에 의해 상기 덕트체(10) 내면을 가압과 동시에 회전하는 가압롤러(330)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321)는 상기 실린더(320)에서 인입 또는 인출됨과 동시에 상기 로드(321)의 축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로드(321)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접시에는 상기 로드(32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롤러(330)가 덕트체(10)의 내부를 향해 회동되고, 용접후에는 상기 로드(32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압롤러(330)가 덕트체(10)의 외부를 향해 회동되고,
    상기 제어판넬(400)은 상기 덕트체(10)의 두께에 비례하여 상기 가압롤러(330)가 상기 덕트체(10)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도록, 상기 실린더(320)를 작동시키는 상기 펌프(310)의 토출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가압롤러(330)는 상기 덕트체(10)에 형성된 용접이 이루어지기 이전의 용접라인(13)을 가압하며,
    상기 거치부(100)는
    소정길이를 갖되 하부가 지면에 고정설치되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110); 및
    상기 베이스(110) 상부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0)와 함께 상기 덕트체(10)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110) 상부 일측에는 상기 가압부(300), 상기 구동부(200), 상기 제어판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설치판(111)이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121), 상기 이동판(121)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덕트체(10)의 플랜지(11) 끝단이 안착하는 롤러(123)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123)는 상기 이동판(121) 상부에 복수의 유닛으로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롤러(123) 외주면에는 상기 덕트체(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플랜지(11)가 일정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부(125)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200)는
    일정속도를 갖도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상기 거치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판넬(400)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210);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덕트체(10)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기어(220); 및
    상기 제1지지기어(220)와 소정거리 이웃하되 연결부재(240)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되 상기 제1지지기어(220)와 함께 상기 덕트체(10)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기어(2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기어(220) 및 제2지지기어(230)에는 각각 상기 덕트체(10)에 형성된 플랜지(11) 끝단이 일정깊이 삽입되어 이탈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홈(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41055A 2018-04-09 2018-04-09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 KR101889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55A KR101889692B1 (ko) 2018-04-09 2018-04-09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55A KR101889692B1 (ko) 2018-04-09 2018-04-09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692B1 true KR101889692B1 (ko) 2018-08-17

Family

ID=6340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055A KR101889692B1 (ko) 2018-04-09 2018-04-09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6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5303A (zh) * 2019-09-25 2019-12-31 浙江物产中大电机铁芯制造有限公司 一种直流铁芯焊接机器人
KR102151258B1 (ko) * 2020-05-22 2020-09-02 양성천 용접용 롤링장치
CN112060023A (zh) * 2020-09-23 2020-12-11 湖南恒岳重钢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风电塔筒加工用的滚轮架
CN113172383A (zh) * 2021-06-02 2021-07-27 徐州海瑞电动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配件加工用对位翻转装置
CN113941821A (zh) * 2021-11-18 2022-01-18 青岛海纳特船舶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轴流风机风筒焊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78A (ja) * 1983-06-23 1985-01-12 Nippon Steel Corp スパイラル鋼管の製造方法
KR101502279B1 (ko) * 2014-07-09 2015-03-12 하정선 탄산가스 용접기를 이용한 자동 용접 방법
KR101610636B1 (ko) * 2015-09-08 2016-04-08 (주)삼호용접기 플랜지 자동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78A (ja) * 1983-06-23 1985-01-12 Nippon Steel Corp スパイラル鋼管の製造方法
KR101502279B1 (ko) * 2014-07-09 2015-03-12 하정선 탄산가스 용접기를 이용한 자동 용접 방법
KR101610636B1 (ko) * 2015-09-08 2016-04-08 (주)삼호용접기 플랜지 자동용접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5303A (zh) * 2019-09-25 2019-12-31 浙江物产中大电机铁芯制造有限公司 一种直流铁芯焊接机器人
KR102151258B1 (ko) * 2020-05-22 2020-09-02 양성천 용접용 롤링장치
CN112060023A (zh) * 2020-09-23 2020-12-11 湖南恒岳重钢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风电塔筒加工用的滚轮架
CN113172383A (zh) * 2021-06-02 2021-07-27 徐州海瑞电动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配件加工用对位翻转装置
CN113941821A (zh) * 2021-11-18 2022-01-18 青岛海纳特船舶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轴流风机风筒焊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692B1 (ko) 관형의 덕트체 용접용 회전장치
KR101853733B1 (ko) 철근 파일 구조체 자동 제조장치
KR20070114654A (ko) 절단장치
US3602335A (en) Platform positioning mechanism
CN109746624A (zh) 一种新型石油管道焊接设备
KR20130084785A (ko) 배관용접장치
US52056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tilting drums of flowable material
US2818493A (en) Circle welding machine
EP1880974B1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20100038837A (ko) 아크길이의 제어가 가능한 용접장치
CN108747075B (zh) 一种钢管法兰自动焊接装置
CN113245733A (zh) 一种塔机底座的自动化焊接设备
KR102195815B1 (ko) 중량물의 흔들림 방지가 가능한 리프팅 장치
KR101797753B1 (ko) 용접용 틸팅테이블
CN210703270U (zh) 一种管道焊接装置
JP6734511B1 (ja) 円筒状中空体の溶接装置
KR200210401Y1 (ko) 관 연결용 용접장치
KR20190114376A (ko) 원통형 탱크의 용접장치
US5678707A (en) Mechanism for rotating a crane turret through a 500° arc
CN113579425A (zh) 一种避免波纹管打卷的环缝焊接机
KR200260900Y1 (ko) 용접보조장치
CN112658543A (zh) 一种波纹管内圈焊接设备
KR100834070B1 (ko) 산소절단기가 구비된 마그넷 크레인 장치
CN220312210U (zh) 一种管件自动焊接装置
KR101300702B1 (ko) 탈가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