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401Y1 - 관 연결용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용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401Y1
KR200210401Y1 KR2020000021578U KR20000021578U KR200210401Y1 KR 200210401 Y1 KR200210401 Y1 KR 200210401Y1 KR 2020000021578 U KR2020000021578 U KR 2020000021578U KR 20000021578 U KR20000021578 U KR 20000021578U KR 200210401 Y1 KR200210401 Y1 KR 200210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guide member
support
pipes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조병국
Original Assignee
유열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열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열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1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4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401Y1/ko

Links

Landscapes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 연결용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되는 관의 개수에 구애받지 않고 용접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플럭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접기 본체(1)의 프레임(3) 양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접 위치를 특정시키는 판상의 제 1 안내부재(2)와, 상기 제 1 안내부재(2)의 중심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측에 위치되는 2개의 관(5,5')을 지지하는 가압수단(4)과, 상기 제 1 안내부재(2)에 슬라이딩 모터(7,7',7')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5,5')의 외측 접촉부분을 용접하는 제 1 용접토치부(6)와, 상기 제 1 용접토치부(6)에 대향되도록 적재된 관(5,5')을 위치 이동시킴과 아울러 관(5,5')의 외측 접촉부분 전영역을 용접할 수 있게 관(5,5')을 회전시키는 대차(8)와, 상기 대차(8)의 진행방향인 관(5,5')의 중심에 위치된 프레임(9)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접 위치를 특정시키는 제 2 안내부재(10)와, 상기 제 2 안내부재(10)의 지지바(12)에 슬라이딩 모터(13,13')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5,5')의 내측 접촉부분을 용접하는 제 2 용접토치부(11)와, 상기 용접기 본체(1)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용접 전원(15)을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어부(14)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관 연결용 용접장치 {WELDING DEVICE FOR PIPE CONNECTION}
본 고안은 관 연결용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이형관을 제작할 때 자동적으로 용접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용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관은 지점과 지점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 내부를 통해서 물 등을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지점과 지점을 연결할 때 설치 각도 변화로 인해서 중간 중간에 엘보, T자, 십자 등의 이형관을 형성하여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형관을 제작할 때 2개 또는 3개의 부분을 접촉시킨 후 접촉부위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켜서 일정 각도가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형관 제작은 관과 관을 일정 각도가 유지되게 배치하여 접촉시킨 후 용접토치 등을 이용하여 용접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접토치를 연결(접촉)부위에 작업자가 직접 위치시키게 되면 용접 전원이 관과 용접토치에 인가되면서 아크가 발생되는 것이고, 상기 아크가 발생되면 용접토치의 용접 와이어가 용융되면서 연결부분을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용접을 할 때 용접부분의 산화 방지를 위하여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은 접합부분에 용제(溶劑)인 플럭스(Flux)를 도포한 상태에서 플럭스 속에서 용접토치와 관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그 열로 용접하는 것이다. 상기한 이형관을 제작할 때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적용하게 됨으로써 접합부분의 산화와 누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으로 이형관을 제작할 때 자동 용접과 수동 용접을 병행하는 것인 바, 상기 자동 용접은 관의 외부를 용접할 때 수행하는 것으로서 용접토치에 관의 접합부분을 위치시켜서 자동적으로 용접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수동 용접은 관의 내부를 용접할 때 수행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용접토치를 관 내부의 접합부분에 위치시켜서 용접하는 것이다. 상기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을 행할 때 용융되지 않은 플럭스는 관의 내외부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이형관의 제작은 2개의 관을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것으로서, 상기 2개의 관을 연결한 상태에서 또 다른 한개의 관을 연결하여 일체화시킬 때는 자동 용접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바, 상기 또 다른 관을 연결할 때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관을 2개가 연결된 관의 측부에 위치시킨 후 관 내외부의 접촉부분을 작업자가 직접 용접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이형관 제작은, 2개의 관을 일체화시킬 때 관의 외측은 자동 용접을 수행함과 아울러 관의 내측은 수동 용접을 통해서 작업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어느정도 향상되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일체화된 관에 또 다른 관을 연결할 때는 수동 용접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관을 용접할 때 사용되는 플럭스의 잔여분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플럭스의 원료 낭비와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연결되는 관의 개수에 구애받지 않고 용접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플럭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관 연결용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접기 본체의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안내부재와, 상기 제 1 안내부재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측에 위치되는 관을 지지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제 1 안내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의 외측을 용접하는 제 1 용접토치부와, 상기 제 1 용접토치부에 대향되도록 관을 위치 이동시킴과 아울러 관을 회전시키는 대차와, 상기 대차의 진행방향에 위치된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안내부재와, 상기 제 2 안내부재의 지지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의 내측을 용접하는 제 2 용접토치부와, 상기 용접기 본체를 작동시킬 수 있게 용접 전원을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내부 용접용 프레임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대차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용접기 본체 2: 제 1 안내부재
4: 가압수단 5,5',5': 관
6: 제 1 용접토치부 8: 대차
10: 제 2 안내부재 11: 제 2 용접토치부
14: 제어부 19: 베이스
23: 지지체 28: 안내통
30: 포스트 32: 플럭스 공급호스
33: 플럭스 흡입호스 40: 회전 지지체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기 본체(1)의 프레임(3) 양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접 위치를 특정시키는 판상의 제 1 안내부재(2)와, 상기 제 1 안내부재(2)의 중심 하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측에 위치되는 2개의 관(5,5')을 지지하는 가압수단(4)과, 상기 제 1 안내부재(2)에 슬라이딩 모터(7,7',7')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5,5')의 외측 접촉부분을 용접하는 제 1 용접토치부(6)와, 상기 제 1 용접토치부(6)에 대향되도록 적재된 관(5,5')을 위치 이동시킴과 아울러 관(5,5')의 외측 접촉부분 전영역을 용접할 수 있게 관(5,5')을 회전시키는 대차(8)와, 상기 대차(8)의 진행방향인 관(5,5')의 중심에 위치된 프레임(9)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접 위치를 특정시키는 제 2 안내부재(10)와, 상기 제 2 안내부재(10)의 지지바(12)에 슬라이딩 모터(13,13')를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5,5')의 내측 접촉부분을 용접하는 제 2 용접토치부(11)와, 상기 용접기 본체(1)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용접 전원(15)을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어부(14)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용접기 본체(1)의 프레임(3)에 설치된 제 1 안내부재(2)는 프레임(3)의 상측에 설치된 구동 모터(16)에 의해서 승강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 모터(16)의 축에 나선봉(17)의 상측을 결합함과 아울러 나선봉(17)을 프레임(3)의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나선봉(17)을 제 1 안내부재(2)의 결합부(18)에 교합하는 것이다. 상기 나선봉(17)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결합부(18)가 교합되면서 제 1 안내부재(2)를 프레임(3) 상하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1 안내부재(2)에 설치된 가압수단(4)은 용접 지점을 특정시킴과 아울러 관(5,5')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판상의 베이스(19)와, 상기 베이스(19)의 상측에 형성된 하중 지지체(21)에 피스톤(22)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안내부재(2)에 고정되어 유압력에 의해서 승강되는 실린더(20)와, 상기 베이스(19)의 하측에 지지축(24)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하측에 롤러(25)를 설치하여 회전 지지되도록 한 지지체(23)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19)의 상측에 지지봉(26)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26)이 관통되게 제 1 안내부재(2)에 제 1 안내홀(27)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봉(26)이 제 1 안내홀(27)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베이스(19) 승강시 승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19)를 관(5,5')에 위치시킬 때 관(5,5')의 외주연에 위치되는 지지체(23)가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19) 상측에 스프링(29)과 포스트(30)가 내설된 안내통(28)을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30)의 하측을 제 2 안내홀(31)에 관통시켜 지지체(23)의 상측에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포스트(30)는 스프링(29)의 압력에 의해서 베이스(19) 하측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상기 포스트(30)를 지지체(23)가 압박하게 됨과 동시에 스프링(29)을 압박하면서 상측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관(5,5')의 내외부 접촉부분을 용접하는 상기 제 1, 2 용접토치부(6,11)는 측부에 플럭스 공급호스(32)와 플럭스 흡입호스(33)를 각각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플럭스 공급호스(32)는 프레임(3,9)에 설치된 공급탱크(34)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공급탱크(34)의 측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플럭스 공급모터를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플럭스를 공급하는 것이고, 상기 플럭스 흡입호스(33)는 지상에 위치된 흡입탱크(35)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흡입탱크(35)는 용접이 완료된 부분에 존재하는 플럭스를 흡입하는 것이며, 상기 흡입탱크(35)로 흡입된 플럭스는 공급탱크(34)로 자동 귀환되는 것이다.
상기 대차(8)는 2개 또는 3개의 관(5,5',5')을 적재한 상태에서 위치 이동하기 위하여 바퀴(36)와 모터(37)를 구비하는 것인 바, 상기 대차(8)의 상측에는 구동 모터(38)에 의해서 회전됨과 아울러 회전되면서 적재된 관(5,5',5')을 회전시킬 수 있게 롤러(39)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39) 측부에 회전 지지체(4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회전 지지체(40)는 롤러(39)에 위치된 2개의 관(5,5')에 추가적으로 관(5')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새로운 관(5')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대차(8)상에 3개의 관(5,5',5')을 적재한 상태에서 이형관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대차(8)의 진행방향인 레일(41)의 대향지점에 설치된 제 2 안내부재(10)는 제 2 용접토치부(11)를 통해서 관(5,5',5')의 내부를 용접하는 것으로서, 프레임(9)의 상측에 구동 모터(42)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 모터(42)의 축에 나선잭(43)을 설치하며, 상기 나선잭(43)에 나선봉(44)을 교합시킴과 아울러 나선봉(44)의 하단에 제 2 안내부재(1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안내부재(10)는 구동 모터(42)의 작동에 의해서 승강되면서 지지바(12)와 제 2 용접토치부(11)의 위치를 특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용접기 본체(1)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14)는 외부 제어판(45)과 내부 제어판(46)으로 나뉘어지는 바, 상기 외부 제어판(45)은 제 1 안내부재(2)와 가압수단(4), 제 1 용접토치부(6), 대차(8) 및 구동 모터(38) 등을 조정하는 것이고, 상기 내부 제어판(46)은 제 2 안내부재(10)와 제 2 용접토치부(11) 및 구동 모터(38) 등을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4)를 작동시킬 때 해당 슬라이딩 모터(7,7',7',13,13')와 공급탱크(34) 및 흡입탱크(35) 등이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47은 제 1, 2 용접토치부(6,11)의 용접 와이어(48)가 권회된 와이어 공급체이고, 49는 벨트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관(5,5',5')의 내외측에서 동시에 용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2개 또는 3개의 관(5,5',5')을 대차(8)에 적재한 상태에서 용접함으로써 이형관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용접기 본체(1)와 제어부(14) 등에 용접 전원(15)을 인가시킨 상태에서 대차(8) 상부에 적정 각이 형성되도록 2개의 관(5,5')을 접촉시켜 적재하고, 상기 외부 제어판(45)의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대차(8)를 제 1 안내부재(2) 측으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1 안내부재(2)의 제 1 용접토치부(6) 대향지점에 관(5,5')의 접촉부분이 위치되면 대차(8)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이고, 상기 외부 제어판(45)의 제 1 안내부재(2) 작동용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제 1 안내부재(2)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1 안내부재(2)는 구동 모터(16)의 구동으로 나선봉(17)이 회전되면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나선봉(17)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1 안내부재(2)가 하강하는 것이고, 상기 나선봉(17)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1 안내부재(2)가 상승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안내부재(2)를 관(5,5') 상측에 근접시킨 후 외부 제어판(45)의 제 1 안내부재(2) 작동용 스위치를 오프(OFF)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1 안내부재(2)의 위치를 정지시키게 되면 지지체(23)의 롤러(25)가 관(5,5')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관(5,5')을 지지하는 것이고, 제 1 용접토치부(6)는 관(5,5')의 접촉부분에 근접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안내부재(2)의 위치를 정지시킨 후 외부 제어판(45)의 가압수단(4) 작동용 스위치(미도시)를 온(ON)시켜 실린더(20)의 피스톤(22)이 유압력에 의해서 하강함으로써 지지체(23)가 관(5,5')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23)를 적정 상태로 위치시킨 후 가압수단(4) 작동용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제 1 용접토치부(6)를 작동시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모터(7,7',7')가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용접토치부(6)의 슬라이딩 모터(7,7',7')는 통상의 방법으로 작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용접토치부(6)를 적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 1 용접토치부(6)를 작동시키게 되면 공급탱크(34)의 플럭스가 플럭스 공급호스(32)를 통해 관(5,5')의 용접부위상에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플럭스가 위치됨과 동시에 용접 와이어(48)가 아크를 발생하면서 용접 와이어(48) 및 플럭스를 용융시키면서 접촉부위를 접합하는 것이다.
상기 용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용접속도에 대응되게 대차(8)의 구동 모터(38)가 구동되면서 롤러(39)를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롤러(39)가 회전되면서 롤러(39)상에 위치된 관(5,5')을 적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관(5,5')이 회전될 때 관(5,5') 상측에 롤러(25)를 통해서 지지된 지지체(23)가 회동되는 것이고, 상기 지지체(23)가 회동될 때 포스트(30)가 스프링(29)에 의해서 지지체(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관(5,5')의 회전 요동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접이 완료된 부분에 존재하는 잔여 플럭스를 자동적으로 흡입하여 재활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관(5,5')이 회전되어 용접 완료된 부분이 플럭스 흡입호스(33)에 대응되면 관(5,5')의 표면에 위치하는 플럭스가 흡입탱크(35)의 흡인력에 의해서 흡입탱크(35)로 흡입되는 것이고, 상기 흡입탱크(35)로 흡입된 플럭스는 자동적으로 공급탱크(34)로 이송되게 됨으로써 유실되지 않고 재활용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 1 용접토치부(6)를 통해서 관(5,5')의 외주연 접촉부분을 완전하게 접합시킨 후 외부 제어판(45)의 제 1 용접토치부(6) 작동용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이고, 대차(8)의 구동 모터(38)를 정지시켜 관(5,5')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관(5,5')의 외측 접촉부분에 제 1 용접토치부(6)가 대향됨과 동시에 제 2 안내부재(10)에 설치된 제 2 용접토치부(11)도 관(5,5')의 내측 접촉부분에 대향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용접토치부(6)를 작동시킨 후 내부 제어판(46)의 제 2 용접토치부(11)를 온시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모터(13,13')가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용접토치부(11)의 슬라이딩 모터(13,13')는 통상의 방법으로 작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용접토치부(11)를 적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 2 용접토치부(11)를 작동시키게 되면 공급탱크(34)의 플럭스가 플럭스 공급호스(32)를 통해 관(5,5')의 용접부위상에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플럭스가 위치됨과 동시에 용접 와이어(48)가 아크를 발생하면서 용접 와이어(48) 및 플럭스를 용융시키면서 접촉부위를 접합하는 것이다.
상기 용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롤러(39)가 회전되면서 롤러(39)상에 위치된 관(5,5')을 적정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고, 상기 관(5,5')이 회전되어 용접 완료된 부분이 플럭스 흡입호스(33)에 대응되면 관(5,5')의 내부 표면에 위치하는 플럭스가 흡입탱크(35)의 흡인력에 의해서 흡입탱크(35)로 흡입되는 것이고, 상기 흡입탱크(35)로 흡입된 플럭스는 자동적으로 공급탱크(34)로 이송되게 됨으로써 유실되지 않고 플럭스가 재활용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용접토치부(11)가 작동될 때 선택적으로 제 2 안내부재(10)를 작동시켜 제 2 용접토치부(11)의 용접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용접토치부(6)의 작동 정지로 인해서 구동 모터(38)가 정지되더라도 내부 제어판(46)의 구동 모터(38) 작동용 스위치(미도시)를 온시켜 관(5,5')이 적정 시간 동안 회전되게 하고, 상기 제 2 용접토치부(11)의 용접 완료후 스위치를 오프시켜 관(5,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2개의 관(5,5') 내외측을 자동 용접하여 이형관을 제작한 상태에서 또 다른 관(5')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관(5')을 대차(8)에 적재한 후 용접하는 것이다. 상기 대차(8)에 관(5')을 추가적으로 적재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전 지지체(40)를 펼쳐 기 제작된 이형관의 일측에 관(5')의 측부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지지체(40)에 관(5')을 위치시킨 후 대차(8)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 1, 2 안내부재(2,10)의 제 1, 2 용접토치부(6,11) 대향지점에 관(5')의 접촉부분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2 용접토치부(6,11)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일정 범위를 용접하는 것이고, 상기 일정 범위를 용접한 후 대차(8)의 구동 모터(38)를 작동시켜 기 제작된 이형관과 새로운 관(5')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이 이루어질 때 제 1, 2 용접토치부(6,11)를 통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플럭스를 적정하게 공급 및 흡입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이형관 제작시에 연결되는 관의 개수를 2개 또는 3개로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관을 롤러와 회전 지지체에 지지시킨 후 제 1, 2 용접토치부를 작동시켜 관의 내외부를 자동 용접하는 것이고, 상기 관의 내외부를 자동 용접함에 따라 용접 작업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2 용접토치부를 통해서 용접할 때 공급탱크와 플럭스 공급호스를 통해서 플럭스를 자동 공급함과 아울러 흡입탱크와 플럭스 흡입호스를 통해서 잔여 플럭스를 흡입하여 재활용하게 됨으로써 플럭스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안내부재에 고정된 실린더의 피스톤을 베이스의 하중 지지체에 고정하여 지지체의 지지위치를 적정하게 변경시킬 수 있고, 상기 베이스 하측에 지지체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회전되는 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베이스 상측에 안내통을 설치함과 아울러 포스트를 지지체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지지체의 롤러가 관의 외면을 항상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용접기 본체(1)의 프레임(3)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안내부재(2);
    상기 제 1 안내부재(2)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측에 위치되는 관(5,5')을 지지하는 가압수단(4);
    상기 제 1 안내부재(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5,5')의 외측을 용접하는 제 1 용접토치부(6);
    상기 제 1 용접토치부(6)에 대향되도록 관(5,5')을 위치 이동시킴과 아울러 관(5,5')을 회전시키는 대차(8);
    상기 대차(8)의 진행방향에 위치된 프레임(9)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안내부재(10);
    상기 제 2 안내부재(10)의 지지바(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5,5')의 내측을 용접하는 제 2 용접토치부(11);
    상기 용접기 본체(1)를 작동시킬 수 있게 용접 전원(15)을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제어부(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재(2)는 프레임(3)의 상측에 구동 모터(16)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 모터(16)의 축에 결합되도록 프레임(3)의 상하방향으로 나선봉(17)을 설치하며, 상기 나선봉(17)을 결합부(18)에 교합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용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은 베이스(19)와, 상기 베이스(19)의 하중 지지체(21)에 피스톤(22)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안내부재(2)에 고정되어 유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20)와, 상기 베이스(19)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하측에 롤러(25)를 설치한 지지체(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용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9)의 상측에 지지봉(2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26)이 관통되게 제 1 안내부재(2)에 제 1 안내홀(2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용접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9)의 상측에 스프링(29)과 포스트(30)가 내설된 안내통(28)을 설치하고, 상기 포스트(30)의 하측을 제 2 안내홀(31)에 관통시켜 지지체(23)의 상측에 접촉되도록 한 관 연결용 용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용접토치부(6,11) 측부에 플럭스 공급호스(32)를 설치함과 아울러 플럭스 흡입호스(33)를 설치하고, 상기 플럭스 공급호스(32)를 공급탱크(34)에 연결함과 아울러 플럭스 흡입호스(33)를 흡입탱크(35)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용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8)는 구동 모터(38)에 의해서 회전되는 롤러(39)와, 상기 롤러(39)에 위치된 관(5,5')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는 관(5')을 지지할 수 있게 롤러(39) 측부에 설치된 회전 지지체(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용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부재(10)는 프레임(9)의 상측에 구동 모터(42)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 모터(42)의 축에 나선잭(43)을 설치하며, 상기 나선잭(43)에 나선봉(44)을 교합함과 아울러 나선봉(44)의 하단을 제 2 안내부재(10)에 연결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용 용접장치.
KR2020000021578U 2000-07-28 2000-07-28 관 연결용 용접장치 KR200210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578U KR200210401Y1 (ko) 2000-07-28 2000-07-28 관 연결용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578U KR200210401Y1 (ko) 2000-07-28 2000-07-28 관 연결용 용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617A Division KR20000063653A (ko) 2000-07-28 2000-07-28 관 연결용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401Y1 true KR200210401Y1 (ko) 2001-01-15

Family

ID=7308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578U KR200210401Y1 (ko) 2000-07-28 2000-07-28 관 연결용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40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305A (ko) * 2003-07-10 2003-07-23 (주)제이엔씨인더스트리 탱크 단복관 자동 용접 시스템
KR100722793B1 (ko) * 2005-05-06 2007-05-31 주식회사 유일엔지니어링 플라즈마를 이용한 파형강관 절단 시스템에서의 터릿회전장치
KR100747792B1 (ko) 2006-03-17 2007-08-08 정동옥 용접대상물 지지장치
KR20070082293A (ko) * 2006-02-16 2007-08-21 서상인 관체 용접용 로테이터
KR100957682B1 (ko) * 2007-12-21 2010-05-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선 정렬이 용이한 해저 파이프라인 자동용접장치
KR20140050137A (ko) * 2012-10-17 2014-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무장발사관의 압력링 용접장치
KR101406577B1 (ko) * 2012-12-21 2014-06-11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305A (ko) * 2003-07-10 2003-07-23 (주)제이엔씨인더스트리 탱크 단복관 자동 용접 시스템
KR100722793B1 (ko) * 2005-05-06 2007-05-31 주식회사 유일엔지니어링 플라즈마를 이용한 파형강관 절단 시스템에서의 터릿회전장치
KR20070082293A (ko) * 2006-02-16 2007-08-21 서상인 관체 용접용 로테이터
KR100747792B1 (ko) 2006-03-17 2007-08-08 정동옥 용접대상물 지지장치
KR100957682B1 (ko) * 2007-12-21 2010-05-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선 정렬이 용이한 해저 파이프라인 자동용접장치
KR20140050137A (ko) * 2012-10-17 2014-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무장발사관의 압력링 용접장치
KR102037182B1 (ko) 2012-10-17 2019-10-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무장발사관의 압력링 용접장치
KR101406577B1 (ko) * 2012-12-21 2014-06-11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1176A (en) Robotic automatic welding apparatus
KR200210401Y1 (ko) 관 연결용 용접장치
KR100808916B1 (ko) 대구경 강관용 내면 접합부 용접장치
CN114227089B (zh) 一种大型管道、容器自爬行式自动焊接装置
CN212122133U (zh) 一种起重机主梁内焊缝组焊机器人
CN104842104A (zh) 汽车淋水器水箱自动焊接装置
KR20000063653A (ko) 관 연결용 용접장치
CN115235708A (zh) 一种流体管道检漏机器人
CN101590578A (zh) 叉车门架型钢焊接装置
JP2001314997A (ja) 自動溶接装置
CN217212431U (zh) 一种钢结构焊接处质量检测装置
CN116175003A (zh) 一种铁路货车箱型中梁板材自动化焊接工作站
CN215747339U (zh) 一种大型钢管对接环缝专用焊接设备
CN207757132U (zh) 一种压力管道的焊接装置
CN210475919U (zh) 罐箱加热系统组焊生产线及其罐体升降翻转装置
CN211840563U (zh) 全自动环缝滚焊机
JPH01224167A (ja) 鋼管溶接装置
CN108107833B (zh) 台车用自动控制系统
JP2005082366A (ja) フォークのティルト構造
KR100639608B1 (ko) 철판의 변형 보정용 자동 곡직장치
CN217370873U (zh) 一种大管径管道焊接作业装置
CN219818528U (zh) 筒体焊接机器人工作站
CN216541664U (zh) 一种电永磁快速装夹装置
CN210549268U (zh) 法兰与管道焊接工装
KR101205024B1 (ko) 코일 스트립의 선단부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