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279B1 - 점착 클리너 - Google Patents

점착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279B1
KR101888279B1 KR1020167004189A KR20167004189A KR101888279B1 KR 101888279 B1 KR101888279 B1 KR 101888279B1 KR 1020167004189 A KR1020167004189 A KR 1020167004189A KR 20167004189 A KR20167004189 A KR 20167004189A KR 101888279 B1 KR101888279 B1 KR 101888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debri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cleaner
aque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1745A (ko
Inventor
도미오 가키타
가즈유키 츠치야
가즈마사 시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60051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54Aqueous solutions or disper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수분을 표면에 갖는 고형 부스러기를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점착 클리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 클리너는 고형 부스러기를 포착하는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는 점착제에 의해 구성된 점착성 표면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점착성 표면은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부착량을 측정하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에서, 점착성 표면 1㎡당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가 190g/㎡ 이상을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은 중심 입경이 1.20 내지 1.50mm인 골재에 계면 활성제를 5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첨가한 것이며, 상기 수용액의 첨가량은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이다.

Description

점착 클리너{PRESSURE-SENSITIVE ADHESIVE CLEANER}
본 발명은 점착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3년 9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8316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서 편입되어 있다.
바닥이나 카페트 등의 청소 수단으로서, 점착제에 의해 이물(진애나 부스러기 등의 제거 대상물)을 포착하는 점착 클리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점착 클리너는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롤 형상을 갖고 있으며, 롤 표면에 배치된 점착제를 피 클리닝 영역에 접촉시키면서 당해 롤을 굴림으로써, 해당 피 클리닝 영역 상의 이물을 상기 점착제로 포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을 개시하는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37023호 공보
종래의 점착 클리너는 표면이 건조되어 있는 통상의 고형 부스러기에 대해서는 양호한 포착성을 발휘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키친 싱크 안에 존재하는 야채 조각과 같이, 수분이 부착된 고형 부스러기에 대해서는, 통상의 고형 부스러기의 경우와 비교해서 포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로 인해, 수분을 표면에 갖는 고형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이물의 제거에 대해서는, 반드시 사용하기 좋은 것은 아니었다. 통상의 고형 부스러기뿐만 아니라, 수분을 표면에 갖는 고형 부스러기를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점착 클리너가 제공되면, 점착 클리너의 이물 전체에 대한 제거기능이 향상되고, 또한 점착 클리너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어, 유익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개량에 관한 것이고, 그 목적은 수분을 표면에 갖는 고형 부스러기를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점착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형 부스러기를 포착하는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를 구비하는 점착 클리너가 제공된다. 상기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는 점착제에 의해 구성된 점착성 표면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점착성 표면은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부착량을 측정하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에 있어서, 점착성 표면 1㎡당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가 190g/㎡ 이상을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은 중심 입경이 1.20 내지 1.50mm의 골재에 계면 활성제를 5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첨가한 것이며, 상기 수용액의 첨가량은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이다. 상기 구성 및 특성을 충족하는 점착 클리너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포착성이 우수하므로, 수분을 표면에 갖는 고형 부스러기(이하, 간단히 수성 고형 부스러기라고도 함)를 충분히 포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이물(진애, 부스러기 등의 고형 부스러기나 액상의 오염 등을 포함하는 제거 대상물)의 제거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 클리너는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이 부착된 해당 점착 클리너를 5cm 높이로부터 경질 표면에 낙하시키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에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율 AD가 50% 미만을 나타낸다. 상기 특성을 충족하는 점착 클리너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보유지지성이 우수하므로, 포착된 수성 고형 부스러기를 확실히 보유지지하고, 상기 포착된 수성 고형 부스러기가 도중에 탈락하는 등의 문제 발생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을 만족하는 점착 클리너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이물의 제거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란, 상기와 같이 수분을 표면에 갖는 고형 부스러기를 가리키고,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수분이 부착된 고형 형상의 부스러기라고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분을 함유하고, 그 일부가 표면에 존재하는 고형 부스러기를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성 표면은 10N/20mm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박리 강도가 소정 값 이하로 억제된 점착 클리너는 클리닝 작업성이 우수하다. 통상, 상기와 같이 박리 강도를 억제하면 고형 부스러기의 포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데,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는 박리 강도가 소정 값 이하로 억제되어 있음에도, 수성 고형 부스러기에 대하여 우수한 포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중합체를 50질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원료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는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가교제를 배합함으로써, 가교 후의 점착제는 양호한 수팽윤성을 나타낸다. 이 수팽윤성을 이용하여, 점착제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를 포착한 후, 당해 고형 부스러기를 확실히 보유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는 수용성 가소제를 함유한다. 수용성 가소제를 배합함으로써,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포착성이 향상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상기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는 시트 형상의 지지 기재와, 해당 지지 기재의 한쪽 표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점착성 표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편면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지지 기재에 지지된 점착제층 표면(점착성 표면)의 점착력을 이용해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는 포착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이다.
또한, 상기 편면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을 외측으로 해서 권회됨으로써 점착 시트 롤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점착 시트 롤의 외주면을 피 클리닝 영역에 접촉시킴으로써 수성 고형 부스러기를 양호하게 포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빈도나 수성 고형 부스러기 등의 부착량 등에 따라서 당해 롤로부터 클리닝에 사용한 외주 부분을 제거함으로써(예를 들어, 당해 외주 부분을 박리함으로써), 당해 외주면에 미사용된 점착제층을 노출시킬 수 있다. 즉, 미사용 점착제층의 상기 외표면에의 노출을 용이하게 갱신해 갈 수 있다. 상기 갱신에 의해 원하는 클리닝 성능(예를 들어, 수성 고형 부스러기 포착 성능)은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서는, 원통형의 전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점착 시트 롤은 해당 전동 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점착 클리너에 의하면, 전동 부재를 상기 원통의 둘레 방향으로 전동시킴으로써, 그 외주면에 위치하는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에 의해 피 클리닝 영역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등이 효율적으로 포착되어, 해당 영역으로부터 제거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는 상기 전동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파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파지 부재를 파지해서 전동 부재를 굴림으로써, 피 클리닝 영역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포착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 명세서에 의하면, 수분을 표면에 갖는 고형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점착 클리너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클리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클리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클리너의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의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의 방법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점착 클리너의 낙하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상기 낙하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예 1에 관한 시험용 클리너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도 7은 예 2에 관한 시험용 클리너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도 8은 예 3에 관한 시험용 클리너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당해 분야에서의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부재·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설명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점착 클리너의 제거 대상>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의 제거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애나 부스러기 등의 다양한 이물이 제거 대상으로 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는 수분을 표면에 갖는 고형 부스러기(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포착성이 우수하므로, 수성 고형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점착 클리너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그 적용 영역은 수성 고형 부스러기가 존재하는 곳이면 되고, 그러한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키친의 싱크 내에 존재하는 야채 조각과 같이, 수분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고형 부스러기를 들 수 있다. 또한, 고형의 건더기와 수분을 포함하는 요리가 유리 등의 용기와 함께 바닥에 낙하하고, 유리 파편과 덩어리가 수분이 부착된 상태로 산재해 있는 경우,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포착성 외에 안전성의 관점에서도,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성 고형 부스러기가 존재하는 영역으로서는, 바닥이나 카페트, 차내 공간 등을 들 수 있다. 키친의 싱크 내도 상기 적용 영역의 적합한 예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는 상기와 같은 영역에 사용하는 점착 클리너로서 바람직하다.
<점착 클리너의 구조 예>
이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점착 클리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 클리너(이하, 간단히 클리너라고도 함)(10)는 점착 시트 롤(30)을 구비한다. 클리너(10)는 또한, 점착 시트 롤(30)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 부재(권취 코어)(20)를 구비하고 있고, 점착 시트 롤(30)은 원통형의 보유지지 부재(20)의 외주면에 유지됨으로써, 보유지지 부재(20)와 일체로 되어 있다. 클리너(10)는 또한, 클리너 주 부재(15)를 구비하고 있고, 이 클리너 주 부재(15)는 원기둥 형상의 전동 부재(40)와, 전동 부재(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막대 형상의 파지 부재(50)를 구비한다. 전동 부재(40)에는 보유지지 부재(20)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전동 부재(40)의 회전과 함께 보유지지 부재(20)와 점착 시트 롤(30)도 연동해서 롤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구성되어 있다.
점착 시트 롤(30)은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가 되는 점착 시트(31)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시트(고형 부스러기 포착부)(3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시트 형상(띠 형상)의 지지 기재(36)와, 해당 지지 기재(36)의 한쪽 면(36A)에 배치된 점착제층(32)을 구비하는 편면 점착 시트(31)로서 구성되어 있다. 편면 점착 시트(31)는 그 점착제층(32)이 외측이 되도록 권회됨으로써 점착 시트 롤(30)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지만, 원통형의 점착 시트 롤의 사이즈는 직경(미사용 시의 직경(외경)을 말한다. 이하 동일함) 10 내지 200mm(예를 들어, 30 내지 100mm, 전형적으로는 40 내지 60mm) 정도, 폭 50 내지 700mm(예를 들어, 60 내지 350mm, 전형적으로는 80 내지 160mm) 정도이다.
클리너 주 부재(15)를 구성하는 전동 부재(40)에는 구체적으로는, 그 원통의 중심축이 되는 위치에 중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심 구멍에 파지 부재(50)의 단부(일단부)를 삽입 관통함으로써, 전동 부재(40)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파지 부재(5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지 부재(50)의 타단부에는, 클리너 주 부재(15)를 구성하는 부재로서의 손잡이(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올레핀계나 폴리에스테르계 기타의 합성수지제나 종이제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부재, 파지 부재, 손잡이의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나 폴리에스테르계 기타의 합성수지제,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클리너(10)는 예를 들어, 바닥이나 카페트 등의 피 클리닝 영역에 존재하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오염(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 적합한 사용 형태는 이하와 같다. 즉, 작업자는 피 클리닝 영역에 클리너(10)의 점착 시트 롤(30) 부분을 배치하고, 손잡이(52)를 파지해서 클리너(10)에 소정의 외력을 가한다. 그러면, 당해 외력은 파지 부재(50)로부터 전동 부재(40)에 전해지고, 전동 부재(40)는 전동한다. 이에 의해, 전동 부재(4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점착 시트 롤(30)의 점착제층(32)은 전동 부재(40)의 전동과 함께 피 클리닝 영역 위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피 클리닝 영역 상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이물은 점착제층(32)의 표면(점착성 표면)(32A)에 포착되어서, 피 클리닝 영역으로부터의 이물 제거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 롤에 있어서, 점착 시트는 거의 1 둘레 길이마다 절단용의 절취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절취선은 클리너를 몇 번 사용한 후에 클리닝(오염 제거) 성능이 저하된 점착제층 표면(고형 부스러기 포착부의 외표면)을 갱신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한 절단 수단이다. 예를 들어, 긴 구멍이나 파형의 슬릿을 배열한 것, 재봉선 등의 간헐 슬릿 등일 수 있다. 상기 절취선은 점착 시트를 폭 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의 외주면의 갱신은 상기 절단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재봉선 등의 간헐 슬릿을 점착 시트 롤의 시트 권취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전형적으로는 상기 폭 방향에 대하여 30 내지 60°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형성해 두어도 된다. 또는 또한, 재봉선 등의 간헐 슬릿 대신에 점착 시트 롤을 구성하는 점착 시트에 소정 간격으로 슬릿(연속한 절취선)을 형성해 두어도 된다. 이 형태에서는 점착 시트 롤을 구성하는 점착 시트는, 미리 롤 권취 방향으로 외주 1 둘레분 마다 재봉선에 의한 간헐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릿마다 점착 시트 롤의 외표면을 벗겨낼 수 있고, 용이하게 당해 외표면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갱신을 반복한 결과, 점착 시트 롤을 다 쓴 후에는, 예를 들어, 도 1, 2에 나타내는 보유지지 부재(20)를 전동 부재(40)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점착 시트 롤로 교환함으로써 다시 클리닝에 제공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점착 클리너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채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리너의 점착 시트 롤은 종래의 롤 형상 클리너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종래 공지된 여러 가지 코팅 수단에 의해 긴 시트 형상의 지지 기재 표면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 부착하고, 계속해서 건조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점착제층이 외주면이 되게 점착 시트를 보유지지 부재에 권회함으로써, 롤 형상의 점착 시트 롤을 형성한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를 전동 부재에 설치함으로써 클리너는 구축된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의 전동 부재에의 설치 구조나 클리너 주 부재의 구조는 종래의 롤 형상 클리너와 마찬가지 구조이면 되고, 본 발명을 특징짓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점착 클리너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 클리너는 예를 들어,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만으로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는 지지 기재와 점착제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는 점착제만으로 형성된 것(예를 들어, 무기재 점착제)이어도 된다. 또는,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가 지지 기재를 갖는 경우, 해당 지지 기재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형 포착부는 원통형의 지지 기재의 외표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점착 시트 롤은 전동 부재를 개재해서 파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파지 부재는 상기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연결 또는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한 점착 클리너로서는 예를 들어, 막대 형상의 파지 부재의 일단부에 원기둥 형상이나 직육면체 형상의 점착체가 고정된 것을 들 수 있다.
<점착 클리너의 특성>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는 당해 점착 클리너의 점착성 표면에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부착량을 측정하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에서, 점착성 표면 1㎡당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가 190g/㎡ 이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특성을 만족하는 점착 클리너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포착성이 우수하다. 상기 부착량 AC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g/㎡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g/㎡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0g/㎡ 이상(전형적으로는 400g/㎡ 이상)이다.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은 하기와 같이 해서 행하면 된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
시험에 제공하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을 준비한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로서는 골재와 계면 활성제를 물에 용해한 수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은 골재에 계면 활성제를 5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첨가한 것이고, 이 수용액의 골재에의 첨가량은 골재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이다. 골재로서는 체 분류 시험 방법에 의한 중심 입경이 1.20 내지 1.50mm의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한다. 골재로서 규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 수용액을 첨가한 규사는 예를 들어, 비닐 봉지 내에서 잘 흔들거나 해서 수분이 전체에 균일하게 묻도록 한 것을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로서 사용하면 된다. 준비한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은 바닥면이 평탄한 트레이(예를 들어, 240mm×320mm의 스테인리스제 트레이)의 바닥면 전체에 퍼지도록 배치한다. 여기에 점착 클리너의 점착성 표면을 그 전체가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과 접촉하도록 눌러, 점착 클리너의 점착성 표면에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을 부착시킨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사용량은 200g 정도로 하면 된다. 그리고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을 부착시킨 후의 점착 클리너의 중량 W1(g)을 측정하고, 미리 측정해 둔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 전의 점착 클리너의 초기 중량 W0(g)과의 차로부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W2(W2(g)=W1-W0)를 구한다. 이 W2(g)를 점착 클리너의 점착성 표면의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점착성 표면 1㎡당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g/㎡)를 구한다.
또한, 상기 시험에서 사용하는 규사로서는 신토 컬러 샌드 34시리즈(신토 도료사제의 컬러 골재(규사(천연 규석, 코란덤(corundum), 현무암, 사암, 화산재 경석 등)의 표면에 도자기용 무기 안료를 소성 용착한 것) 중심 입경 1.20 내지 1.50mm, 입도 규격 0.5 내지 2.4mm)를 사용할 수 있다. 물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면 된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40%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용액(와코 쥰야꾸 고교사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 클리너의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가, 시트 형상의 지지 기재와, 해당 지지 기재의 한쪽 표면에 배치되어서 점착성 표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편면 점착 시트의 경우, 이하와 같이 해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대상인 점착 클리너의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편면 점착 시트)를 150mm×150mm의 크기로 커트해서 시험용 샘플을 제작하고, 도 1, 2에 나타내는 점착 클리너(10)의 점착 시트 롤(직경(외경) 48mm, 폭 160mm)(30)의 외표면(외주면) 전체에, 시험용 샘플을 그 점착성 표면이 외측이 되도록 부착함으로써, 시험용 클리너를 제작한다. 계속해서, 200g의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을, 바닥면이 평탄한 트레이(240mm×320mm의 스테인리스제 트레이)의 바닥면 전체에 퍼지도록 배치한다. 여기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작한 시험용 클리너(10')의 점착성 표면(32A)을 접촉시켜서 굴리고, 트레이 T의 길이 방향으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범위를 2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점착성 표면(32A)에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100)을 부착시킨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100)을 부착시킨 후의 시험용 클리너(10')의 중량 W1(g)을 측정하고, 미리 측정해 둔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 전의 시험용 클리너(10')의 초기 중량 W0(g)과의 차로부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W2(W2(g)=W1-W0)를 구한다. 이 W2(g)를 시험용 샘플의 노출된 점착성 표면(32A)의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점착성 표면 1㎡당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g/㎡)를 구한다.
측정에 사용하는 시험용 클리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총중량이 대락 100 내지 500g이고, 점착 시트 롤 중량이 대략 10 내지 250g이고, 전동 부재 중량이 대략 10 내지 50g인 것을 사용하면 된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로서는 상기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하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에 관한 특징은 본 발명을 특정하는 하나의 적합한 특징으로서 파악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 필수적인 구성이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에 관한 특징의 한정이 없는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는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이 부착된 해당 점착 클리너(전형적으로는,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 방법에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을 부착시킨 점착 클리너)를 5cm 높이로부터 경질 표면에 낙하시키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에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율 AD가 50% 미만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특성을 만족하는 점착 클리너는 소정의 충격을 가해도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탈락량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보유지지성이 우수하다. 상기 탈락율 AD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고 30%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은 하기와 같이 해서 행하면 된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
상술한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을 행한 후, 연속해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을 행하면 된다. 경질 표면(전형적으로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를 포함하는 경질 평탄면) 상에서, 점착 클리너를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의 최하부가 상기 경질 표면으로부터 5cm 높이가 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이 높이로부터 점착 클리너를 낙하시켜, 낙하 후의 점착 클리너의 중량 W4(g)를 측정하고, 미리 측정해 둔 낙하 전의 점착 클리너의 중량 W3(g)(W1일 수도 있음) 과의 차로부터 상기 낙하 후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량 W5(W5(g)=W3-W4)를 구한다. 그리고, 식: AD(%)=W5/(W3-W0)×100으로부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율 AD(%)를 구한다. 또한, 상기 식 중, W0은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 전의 점착 클리너의 초기 중량(g)이다.
또한, 점착 클리너의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가, 시트 형상의 지지 기재와, 해당 지지 기재의 한쪽 표면에 배치되어서 점착성 표면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편면 점착 시트일 경우, 편면 점착 시트를 사용한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 후, 연속해서 이하와 같이 해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질 평탄면 G 상에서, 시험용 클리너(10')의 점착 시트 롤(30)을 그 원통 축 방향을 수직으로 하고, 또한 점착 시트 롤(30)의 하단부가 상기 경질 평탄면 G로부터 5cm 높이(도 5(a) 중의 부호 h로 나타내는 높이)가 되게, 파지 부재(50)의 손잡이(52)측의 단부를 지그(J)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게 고정한다. 점착 시트 롤(30)의 하단부와 경질 평탄면 G 사이에는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거나 해서 시험용 클리너(10')를 상기 높이로 보유지지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를 빼거나 해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용 클리너(10')의 점착 시트 롤(30)측을 낙하시킨다. 낙하 후의 시험용 클리너(10')의 중량 W4(g)를 측정하고, 미리 측정해 둔 낙하 전의 시험용 클리너(10')의 중량 W3(g)(W1일 수도 있음) 과의 차로부터 상기 낙하 후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량 W5(W5(g)=W3-W4)를 구한다. 그리고 식: AD(%)=W5/(W3-W0)×100으로부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율 AD(%)를 구한다. 측정에 사용하는 시험용 클리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총중량이 대략 100 내지 500g이고, 점착 시트 롤 중량이 대략 10 내지 250g이며, 전동 부재 중량이 대략 10 내지 50g인 것을 사용하면 된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로서는 상기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행하여질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의 점착성 표면은 14N/20mm 미만(예를 들어, 10N/20mm 미만, 전형적으로는 8N/20mm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박리 강도가 소정 값 이하로 억제된 점착 클리너는 클리닝 작업성이 우수하다. 상기 180도 박리 강도는 JIS Z0237에 규정하는 스테인리스강(SUS304) 판에 대한 180도 박리 시험에 기초하는 측정값이다. 상기 180도 박리 강도의 하한값은 고형 부스러기 포착성의 관점에서, 3N/20mm 이상(예를 들어, 5N/2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 강도의 측정은 구체적으로는 다음 순서로 행하여진다.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전형적으로는 점착 시트)를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커트한 시험편을 준비한다. 시험편은 길이 100 내지 20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폭은 15 내지 3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이 20mm가 아닐 경우, 실제의 폭과 기준 폭 20mm의 비로부터 [N/20mm]를 산출(환산)하면 된다.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얻어진 시험편의 점착성 표면(예를 들어, 점착제층측 표면)을 스테인리스강(SUS304) 판에 2kg의 롤러를 1 왕복시켜서 부착한다. 시험편이 양면 점착 시트 등의 양면에 점착성을 갖는 것일 경우, 측정면과는 반대측 표면에 대하여 두께 25㎛ 정도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배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23℃, RH50%의 환경 하에 30분간 유지한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고, JIS Z0237에 준거하여, 23℃, RH50%의 환경 하, 박리 각도 180도,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180도 박리 강도(대 SUS 점착력 [N/20mm])를 측정한다. 인장 시험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마즈 세이사꾸쇼사제의 「텐실론」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클리너가 점착 시트 롤을 갖는 경우, 점착 시트 롤은 피 클리닝 영역(예를 들어, 바닥이나 카페트) 상에서의 레일 끌기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점착력(전형적으로는 상기 180도 박리 강도)과 되감기력이 조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되감기력이란, 점착 시트를 점착 시트 롤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힘(즉 되감기에 대한 저항력, 점착 시트의 이면(전형적으로는 지지 기재의 배면)에 대한 점착력으로서도 파악됨)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점착력에 비하여 되감기력이 너무 낮은 설정이면, 점착 시트 롤을 피 클리닝 영역 상에서 굴릴 때에 되감기력이 점착 시트(전형적으로는 점착제층)와 상기 표면 사이의 점착력에 져서 레일 끌기 현상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되감기력이 너무 높을 경우에는, 점착 시트가 원활하게 인출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되감기력은 다음과 같이 해서 평가할 수 있다. 즉, 점착 시트 롤을 소정의 인장 시험기에 세팅하고, 온도 23℃, RH50%의 환경 하에서, 권회된 점착 시트의 외주측 선단을 시험기의 척에 장착해서 300mm/분의 속도로 인장함으로써 점착 시트 롤을 접선 방향으로 되감고, 이때의 되감기력을, 예를 들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폭(예를 들어, 150mm)당 값(N/150mm)으로 환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되감기력이 0.5 내지 2.5N/15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여기에 개시되는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예를 들어,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예를 들어, 점착제층)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수용성 점착제 조성물이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등의 수계 점착제 조성물, 또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등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일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무용제형 점착제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계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수용성 점착제 조성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로서는,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성능이나 비용의 관점에서, 고무계 점착제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점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고무계 점착제로서는 천연 고무나 그의 변성물 등의 천연 고무계 중합체, 이소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중합체란, 중합체 성분 속의 주성분, 주된 점착성 성분을 가리킨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에서의 베이스 중합체의 배합 비율은 고형분 기준으로 대략 50질량% 이상(예를 들어, 6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배합 비율의 상한은 100질량% 이하(예를 들어, 90질량% 이하)일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베이스 중합체로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주 단량체로서 함유하는 단량체 원료로부터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계 단량체란, 1 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를 가리킨다. 또한, 주 단량체란 전체 단량체 성분(단량체 원료)의 50질량% 이상(예를 들어, 70질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8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단량체 성분을 가리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아크릴계 단량체란, (메트)아크릴산 구조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단량체, 올리고머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메트)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각각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원료로서는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단량체, 에폭시기(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알콕시실릴 기 함유 단량체,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비닐 에스테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 디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 디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 폴리알킬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보다 구체적으로는 알콕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의 알콕시기를 갖는 알콕시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카르복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1):
Figure 112016016099893-pct00001
(식(1)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10의 범위에 있음)으로 표현되는 카프로락톤 (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1) 중의 R1은 수소 원자이고, 또한 식(1) 중의 n은 1 내지 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과 그 이외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예를 들어,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를 병용하는 경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총량에 차지하는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비율은 50질량% 이상(예를 들어, 70질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9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실질적으로 전부가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이어도 된다. 환언하면,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이외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의 단량체 원료를 사용해서 합성한 것이어도 된다.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등의 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류,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2-히드록시에틸 비닐 에테르, 4-히드록시부틸 비닐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비닐 에테르 등의 불포화 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비닐모르폴린, N-비닐카프로락탐, N-(메트)아크릴로일 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 디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 디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비닐술폰산 나트륨, 스티렌술폰산 나트륨,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비닐 에스테르계 단량체로서는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서는 스티렌, 치환 스티렌(α-메틸스티렌 등), 비닐 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단량체 성분으로서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및/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서의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합계 공중합 비율은 1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중합체에 친수성이 부여되어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흡착성이 향상되고, 수팽윤성의 향상에 의해 포착한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보유지지성이 향상된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서의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합계 공중합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예를 들어, 80질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90질량% 이상)이다. 상기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합계 공중합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100질량% 이하이면 되고, 예를 들어, 95질량% 이하(전형적으로는 85질량% 이하)이어도 된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 중합체에서의 각 단량체 성분의 공중합 비율은 중합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단량체 원료 중의 각 단량체 성분의 배합 비율과 대응(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있는 것일 경우,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예를 들어,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구체적으로는 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구체적으로는 카프로락톤 아크릴레이트)와의 질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3:7 내지 8:2(전형적으로는 5:5 내지 7: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아크릴계 중합체가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및/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있는 것일 경우, 여기에 개시되는 아크릴계 중합체에는 점착력 향상이나 가교점 도입에 의한 응집력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상기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및/또는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기타의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한 공중합 가능한 기타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각종 단량체(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산 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질소 원자 함유 환을 갖는 단량체,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알콕시실릴기 함유 단량체,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비닐 에스테르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 화합물 등)를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 가능한 기타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그들 단량체 성분의 아크릴계 중합체에서의 공중합 비율은 85질량% 이하(예를 들어, 50질량% 이하, 전형적으로는 20질량% 이하, 나아가 10질량% 이하) 정도이다. 상기 공중합 비율의 하한은 예를 들어, 5질량% 이상(전형적으로는 15질량% 이상)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단량체 원료를 사용해서 합성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단량체 또는 그의 혼합물을 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중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한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액 중합이 바람직하다. 중합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단량체 공급 방법, 중합 조건(온도, 시간, 압력 등), 단량체 이외의 사용 성분(중합 개시제 등)을 적절히 선택해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량체 공급 방법으로서는 전체 단량체 혼합물을 한꺼번에 반응 용기에 공급(일괄 공급)해도 되고, 서서히 적하해서 공급(연속 공급)해도 되고, 몇 회분으로 분할해서 소정시간마다 각 분량을 공급(분할 공급)해도 된다. 상기 단량체 또는 그의 혼합물은 일부 또는 전부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 또는 용매에 유화시킨 분산액으로서 공급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개시제, 벤조일 퍼옥시드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페닐 치환 에탄 등의 치환 에탄계 개시제,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 나트륨과의 조합 등의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조합한 산화 환원계 개시제 등이 예시된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단량체의 종류(단량체 혼합물의 조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은 전체 단량체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5 내지 1질량부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적당하다. 중합 온도는 예를 들어, 20℃ 내지 100℃(전형적으로는 40℃ 내지 80℃)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의 가교제로서는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바륨 등의 유기 금속염,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등이 적합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옥사졸린계 가교제나 아지리딘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를 사용해도 된다. 이들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카르복실기와 적절하게 가교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조작성(전형적으로는 경박리성)이 얻어지기 쉽고, 또한 내산성도 우수한 점에서, 에폭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에폭시계 가교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가교제의 구체예로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글리시딜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한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 A·에피클로로히드린형 에폭시 수지,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시딜 아닐린,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교 후의 수팽윤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가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양호한 점착력을 얻는 관점이나, 가교 후의 수팽윤성을 양호한 범위로 해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포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베이스 중합체(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질량부(예를 들어, 0.05 내지 5질량부, 전형적으로는 0.1 내지 5질량부)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하는 용제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시클로헥실알코올, 2-메틸시클로헥실알코올, 트리데실알코올 등의 알코올; 헥산, 헵탄, 미네랄 스피릿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 나프타, 테트랄린, 디펜텐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이소프로필,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물만을 포함하는 수성 용매, 물과 메탄올 등의 알코올과의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합성)하는 베이스 중합체(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의 분자량(Mw: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략 30만 내지 100만 정도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갖는 중합체(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의 점착제는 수용성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수용성 가소제로서는 각종 폴리올(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 소르비톨 에테르, 폴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가소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중합체(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상(예를 들어, 20질량부 이상, 전형적으로는 30질량부 이상)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점착제의 점착력이 높아지고,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포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수용성 가소제의 배합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단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베이스 중합체(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질량부 이하(예를 들어, 70질량부 이하, 전형적으로는 50질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의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점착제 분야에서 공지된 점착 부여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계 점착 부여 수지,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 에폭시계 점착 부여 수지, 폴리아미드계 점착 부여 수지, 엘라스토머계 점착 부여 수지, 케톤계 점착 부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점착 부여 수지의 예로서는 지방족계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크실렌 수지 등), 지방족계 환상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방향족계 석유 수지(스티렌-올레핀계 공중합체 등), 지방족·지환족계 석유 수지, 수소 첨가 탄화수소 수지, 쿠마론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등의 각종 탄화수소계 수지를 들 수 있다.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의 예로서는 α-피넨 중합체, β-피넨 중합체 등의 테르펜계 수지; 이들 테르펜계 수지를 변성(페놀 변성, 방향족 변성, 수소 첨가 변성 등)한 변성 테르펜계 수지(예를 들어, 테르펜 페놀계 수지, 스티렌 변성 테르펜계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계 수지, 수소 첨가 테르펜 페놀계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의 예로서는 검 로진, 우드 로진 등의 미변성 로진(생 로진); 이들 미변성 로진을 수소 첨가화, 불균화, 중합 등에 의해 변성한 변성 로진(수소 첨가 로진, 불균화 로진, 중합 로진, 기타의 화학적으로 수식된 로진 등); 그 밖의 각종 로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의 예로서는 레졸형 또는 노볼락형 알킬페놀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바람직한 점착 부여제로서, 테르펜계 수지, 변성 테르펜계 수지 및 알킬페놀 수지를 들 수 있다.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력을 높여서 고형 부스러기 포착성을 얻는 관점에서, 160℃ 이하가 바람직하고, 1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력의 과도한 상승을 피하는 관점에서, 60℃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력의 과도한 상승을 피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베이스 중합체(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50질량부 이하로 할 수 있고, 통상은 40질량부 이하가 적당하고, 30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 부여제의 배합에 의한 효과를 보다 잘 발휘하는 관점에서는, 베이스 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한 배합량을 예를 들어, 1질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는, 이러한 점착 부여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점착제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의 점착제 조성물(또는 점착제나 점착제층)에는 그밖에도,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중합체, 노화예방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 중화제(암모니아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점착제 분야에서 공지된 각종 첨가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 필수성분이 아닌 첨가 성분의 종류나 배합량은 이러한 종류의 점착제에서의 통상적인 종류 및 배합량과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점착제층>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점착제(예를 들어, 점착제층)를 형성하는 경우, 그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이 코터, 그라비아 롤 코터 등의 종래 공지된 도포 부착 수단을 사용해서 점착제 조성물을 지지 기재에 직접 부여(전형적으로는 도포 부착)해서 건조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성이 좋은 표면(예를 들어, 박리 라이너의 표면, 이형 처리된 지지 기재 배면 등)에 부여해서 건조시킴으로써 해당 표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그 점착제층을 지지 기재에 전사하는 방법(전사법)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성이 좋은 표면에 부여해서 건조시킨 무기재 타입의 점착제층여도 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충분한 수성 고형 부스러기 포착성을 얻는 관점에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대략 5㎛ 이상(예를 들어, 10㎛ 이상, 전형적으로는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00㎛ 이하(예를 들어, 150㎛ 이하, 전형적으로는 100㎛ 이하, 나아가 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기재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 점착제층은 지지 기재의 한쪽 표면의 전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예를 들어, 지지 기재의 폭 방향으로 양단을 따라,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점착부(드라이 에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점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지만,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는 점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등의 규칙적 또는 랜덤한 패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점착제층은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의 점착제층을 지지 기재의 한쪽 표면에 연속적인 막으로서 형성하고, 그 위에 종래 공지된 점착제층을 스트라이프 형상 등으로 형성해서 되는 2층 구조의 점착제층일 수도 있다. 반대로, 종래 공지된 점착제층을 지지 기재의 한쪽 표면에 연속적인 막으로서 형성하고, 그 위에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에서의 점착제층을 스트라이프 형상 등으로 형성해서 되는 2층 구조의 점착제층일 수도 있다.
<지지 기재>
여기에 개시되는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가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지지 기재를 구비하는 것일 경우, 지지 기재로서, 여러 가지 합성수지, 부직포, 또는 종이로 구성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 기재의 재질은 천, 고무 시트, 발포체 시트, 금속박, 이들의 복합체 등이어도 된다.
합성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 비닐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제의 지지 기재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이로서는 일본 종이, 크라프트지, 글라신지, 상질지, 합성지, 톱 코팅지 등이 예시된다. 천의 예로서는 각종 섬유 형상 물질의 단독 또는 혼방 등에 의한 직포나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섬유 형상 물질로서는 면, 스테이플 파이버, 마닐라 마,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등이 예시된다. 고무 시트의 예로서는 천연 고무 시트, 부틸 고무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발포체 시트의 예로서는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 발포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박의 예로서는 알루미늄 박, 구리 박 등을 들 수 있다. 지지 기재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등), 노화예방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활제, 가소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되어도 된다.
또한,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로서, 지지 기재의 편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면 점착 시트를 채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 기재의 배면(점착제층 비형성면)에는 실리콘계 박리제의 도포 부착 등, 점착 시트 롤의 되감기력을 적절한 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표면 처리(전형적으로는 되감기력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기재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두께를 대략 20㎛ 이상(예를 들어, 30㎛ 이상, 전형적으로는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 이하(예를 들어, 150㎛ 이하, 전형적으로는 100㎛ 이하, 나아가 70㎛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나 부직포, 종이제의 지지 기재에 대하여 상기 두께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지지 기재가 발포체 시트일 경우에는, 그 두께는 0.6 내지 3mm 정도(예를 들어, 0.6 내지 2mm 정도, 전형적으로는 0.8 내지 1.2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로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 「부」 및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예 1>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카프로락톤 아크릴레이트(도아 고세사제의 상품명 「아로닉스 M-5300」, 상기 식(1) 중의 n의 평균값이 약 1.8인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 모노아크릴레이트) 24부,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3부, 수산화칼륨 5부(정제수 28부에 용해한 것), 스티렌술폰산 나트륨 5부(정제수 30부에 용해한 것)를 메탄올 73부에 균일하게 용해 혼합하고,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부를 첨가해서 중합 반응을 행하고, 아크릴계 중합체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계속해서, 아크릴계 중합체 100부에 대하여 수용성 가소제 40부와 가교제 2부를 혼합하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용성 가소제로서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소르비톨 에테르(폴리헥산올, 산요 가세이사제의 상품명 「산닉스 SP750」)를 사용하였다. 가교제로서는 2관능 에폭시 화합물(나가세 켐텍스사제의 상품명 「DENACOLEX-830」, 중합도(n)가 대략 9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지지 기재의 한쪽 표면에 도포 부착한 후, 110℃에서 3분간 건조 처리를 행함으로써, 두께(풀 두께) 약 20㎛의 점착제층이 지지 기재의 편면에 형성된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지지 기재로서는 두께 50㎛의 종이의 다른 쪽 표면(점착제층이 형성되는 면과는 반대측 면, 즉 배면)에, 두께 20㎛의 폴리에틸렌 필름이 라미네이트된 지지 기재를 사용하였다. 이 폴리에틸렌 필름의 표면에는 실리콘계 박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얻어진 편면 점착 시트를 종이제의 원통형 보유지지 부재의 표면에 권회함으로써 점착 시트 롤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도 1, 2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클리너 주 부재(15)를 준비하고, 그 폴리프로필렌제의 원기둥 형상(중공 부분을 가짐)의 전동 부재에 상기 보유지지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예 1에 관한 점착 클리너를 구축하였다.
<예 2>
베이스 중합체로서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 100부와 점착 부여 수지 100부와 프로세스 오일 100부를 포함하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가열 용융 상태에서 압출해서 지지 기재의 한쪽 면에 도포 부착해서 건조 처리를 행함으로써, 두께(풀 두께) 약 15㎛의 점착제층이 지지 기재의 편면에 형성된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SIS로서는 닛본 제온사제의 상품명 「퀸 태크 3520」을 사용하였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도넨 가가꾸사제의 상품명 「에스코렛츠 1310」을 사용하였다. 프로세스 오일로서는 재팬 켐텍사제의 상품명 「나이프렉스 222B」를 사용하였다. 상기 편면 점착 시트를 사용한 것 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예 2에 관한 점착 클리너를 구축하였다.
<예 3>
예 2에서 제조한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을 가열 용융 상태에서 압출해서 지지 기재의 한쪽 면에 도포 부착해서 건조 처리를 행함으로써, 두께(풀 두께) 약 20㎛의 스트라이프 형상(스트라이프 폭 1.0mm, 피치 1.0mm) 점착제층이 지지 기재의 편면에 형성된 편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상기 편면 점착 시트를 사용한 것 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예 3에 관한 점착 클리너를 구축하였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
각 예에 관한 편면 점착 시트를 150mm×150mm(점착성 표면의 면적 0.0225㎡)의 크기로 커트해서 시험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용 샘플을 도 1, 2에 나타내는 점착 클리너(10)의 점착 시트 롤(직경 48mm, 폭 160mm)(30)의 외표면(외주면) 전체에 그 점착성 표면이 외측이 되도록 부착함으로써, 시험용 클리너를 제작하였다. 이 시험용 클리너는 전동 부재(중량 26.5g 정도)(40)와 손잡이(52)가 폴리프로필렌제이고, 파지 부재(50)의 막대 형상 부분은 직경이 5mm인 스테인리스강제 부재이었다. 또한, 시험용 클리너의 전체 길이는 대략 40cm, 총중량은 약 241g, 점착 시트 롤(30)의 중량은 약 113g, 클리너 주 부재(15)의 중량은 약 128g이었다. 점착 시트 롤(30)은 예 2에 관한 편면 점착 시트를 종이제의 원통형 보유지지 부재에 두께 약 1cm 정도가 될 때까지 권회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다.
또한, 시험에 제공하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을 준비하였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로서는, 골재로서의 규사에, 해당 규사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의 비율로 계면 활성제 수용액을 첨가하고, 비닐 봉지 내에서 잘 흔들어서 수용액이 규사 전체에 균일하게 묻도록 한 것을 준비하였다. 규사로서는, 신토 도료사제의 컬러 골재(상품명: 신토 컬러 샌드 34시리즈, 중심 입경 1.20 내지 1.50mm, 입도 규격 0.5 내지 2.4mm)를 사용하였다. 계면 활성제 수용액으로서는 5중량%의 계면 활성제(40%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용액(와코 쥰야꾸 고교사제))를 물(증류수)에 용해한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준비한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200g을, 트레이(240mm×320mm의 스테인리스제 트레이)의 평탄한 바닥면 전체에 퍼지도록 균일하게 배치하였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100)을 배치한 트레이 T에, 제작한 시험용 클리너(10')의 점착성 표면(32A)을 접촉시켜서 굴리고, 상기 트레이 T의 길이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의 범위를 2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점착성 표면(32A)에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100)을 부착시켰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100)을 부착시킨 후의 시험용 클리너(10')의 중량 W1(g)을 측정하고, 미리 측정해 둔 시험용 클리너(10')의 초기 중량 W0(g)과의 차로부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부착량 W2(W2(g)=W1-W0)를 구하고, W2(g)를 시험용 샘플의 노출된 점착성 표면(32A)의 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점착성 표면 1㎡당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g/㎡)를 구하였다. 상기 시험은 각 예에 대해서 5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예에 대해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 후의 상태를 촬영한 화상을 도 6, 7, 8에 나타내었다.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
상술한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을 행한 후, 연속해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을 다음 요령으로 행하였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질 평탄면 G 상에서, 시험용 클리너(10')의 점착 시트 롤(30)을 그 원통 축 방향을 수직으로 하고, 또한 점착 시트 롤(30)의 하단부가 상기 경질 평탄면 G로부터 5cm 높이(도 5(a) 중의 부호 h로 나타내는 높이)가 되게, 파지 부재(50)의 손잡이(52)측 단부를 지그(J)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해지게 고정하였다. 점착 시트 롤(30)의 하단부와 경질 평탄면 G와의 사이에는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고, 시험용 클리너(10')를 상기 높이로 유지하였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를 점착 시트 롤(30)과 경질 평탄면 G와의 사이에서 발취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용 클리너(10')의 점착 시트 롤(30)측을 낙하시켰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b) 중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자유 낙하에 가까운 상태에서 낙하시켰다. 낙하 후의 시험용 클리너(10')의 중량 W4(g)를 측정하고, 미리 측정해 둔 낙하 전의 시험용 클리너(10')의 중량 W3과의 차로부터 상기 낙하 후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량 W5(W5(g)=W3-W4)를 구하였다. 그리고 식:
AD(%)=W5/(W3-W0)×100
으로부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율 AD(%)를 구하였다. 또한, 각 예에 있어서, W3과 W1은 동일한 값이었다. 상기 시험은 각 예에 대해서 5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80도 박리 강도]
각 예에 관한 점착 시트를 200mm×20mm로 커트해서 직사각 형상의 시험편을 준비하였다. 상기 시험편의 점착면(점착성 표면)을 스테인리스강(SUS304) 판에 2kg의 롤러를 1 왕복시켜서 부착하고, 이것을 23℃, RH50%의 환경 하에 30분간 유지한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고, JIS Z0237에 준거하여, 23℃, RH50%의 환경 하, 박리 각도 180도, 인장 속도 300mm/분의 조건에서, 대 SUS 180도 박리 강도(N/20mm)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시마즈 세이사꾸쇼사제의 「텐실론」을 사용해서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예 1 예 2 예 3
수성 고형 부스러기[g]
부착량 W2
탈락량 W5

9.2
1.6

4.2
2.1

3.6
2.1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g/m2]
408.9 186.7 160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율 AD[%]
17.4 50 58.3
180도 박리 강도
[N/20mm]
7 10 10
표 1, 도 6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 1에서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에서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가 190g/㎡ 이상(보다 구체적으로는 400g/㎡ 이상)을 나타냈다. 이에 비해, 예 2, 3에서는,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는 190g/㎡ 미만을 나타냈다. 이들 결과로부터, 예 1에 관한 점착 클리너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의 포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예 1에서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에서의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율 AD가 50% 미만(보다 구체적으로는 20% 이하)을 나타냈다. 이에 비해, 예 2, 3에서는,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율 AD는 50% 이상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예 1에 관한 점착 클리너는 포착한 수성 고형 부스러기를 확실히 보유지지하고, 상기 포착된 수성 고형 부스러기가 도중에 탈락하는 등의 문제 발생이 억제 또는 방지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10 점착 클리너
15 클리너 주 부재
20 보유지지 부재
30 점착 시트 롤
31 점착 시트(고형 부스러기 포착부)
32 점착제층
32A 점착성 표면
36 지지 기재
40 전동 부재
50 파지 부재
52 손잡이
100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Claims (12)

  1. 고형 부스러기를 포착하는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는, 점착제층에 의해 구성된 점착성 표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50질량% 이상의 비율로 함유하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원료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것이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단량체 성분으로서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서의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합계 공중합 비율은 15질량% 이상이고,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은, 수용성 가소제를 함유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5㎛ 이상이고,
    상기 점착성 표면은,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의 부착량을 측정하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부착 시험에서, 점착성 표면 1㎡당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부착량 AC가 190g/㎡ 이상을 나타내고; 여기서,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은 중심 입경이 1.20 내지 1.50mm인 골재에 계면 활성제를 5중량% 함유하는 수용액을 첨가한 것이며, 상기 수용액의 첨가량은 상기 골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인, 점착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클리너는, 상기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이 부착된 해당 점착 클리너를 5cm 높이로부터 경질 표면에 낙하시키는 수성 고형 부스러기 탈락 시험에서, 수성 고형 부스러기 샘플 탈락율 AD가 50% 미만을 나타내는, 점착 클리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표면은, 10N/20mm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점착 클리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부스러기 포착부는, 시트 형상의 지지 기재와, 해당 지지 기재의 한쪽 표면에 배치되어서 상기 점착성 표면을 구성하는 상기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편면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착 클리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면 점착 시트는, 상기 점착제층을 외측으로 해서 권회됨으로써 점착 시트 롤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착 클리너.
  10. 제9항에 있어서,
    원통형의 전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점착 시트 롤은, 해당 전동 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점착 클리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파지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점착 클리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분을 표면에 갖는 고형 부스러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점착 클리너.
KR1020167004189A 2013-09-04 2014-09-03 점착 클리너 KR101888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3166 2013-09-04
JPJP-P-2013-183166 2013-09-04
PCT/JP2014/073200 WO2015033962A1 (ja) 2013-09-04 2014-09-03 粘着クリー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745A KR20160051745A (ko) 2016-05-11
KR101888279B1 true KR101888279B1 (ko) 2018-08-13

Family

ID=5262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189A KR101888279B1 (ko) 2013-09-04 2014-09-03 점착 클리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48114B2 (ko)
KR (1) KR101888279B1 (ko)
CN (1) CN105517479B (ko)
WO (1) WO2015033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1732B2 (ja) * 2018-08-22 2023-01-24 株式会社ニトムズ 粘着クリーナー
DE102020132780A1 (de) * 2020-05-28 2021-12-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Reinigungsverfahren für fotomasken und apparat dafü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574A (ja) 2001-12-06 2003-08-08 Permacel 粘着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テープ
JP2004113362A (ja) * 2002-09-25 2004-04-15 Nitto Denko Corp 粘着除塵クリーナー
JP2005027945A (ja) 2003-07-08 2005-02-03 Nitto Denko Corp 回転式粘着除塵具、粘着除塵クリーナー及び粘着テープ用アダプター
US20070269626A1 (en) 2006-05-18 2007-11-22 Neenah Paper, Inc. Self-releasing lint tape
CN103108581A (zh) * 2011-07-26 2013-05-15 尼托母斯股份有限公司 板表面用粘合清洁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113Y2 (ja) * 1990-11-28 1997-03-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除塵クリーナ
JPH06322355A (ja) * 1993-05-11 1994-11-22 Nitto Denko Corp 水溶性または水分散性の感圧接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
JP3346636B2 (ja) * 1993-12-23 2002-11-18 日東電工株式会社 防塵マツト
JPH11218800A (ja) * 1998-01-30 1999-08-10 Sega Enterp Ltd カメラ用フィルター装置
JP3611717B2 (ja) * 1998-05-08 2005-01-19 花王株式会社 貼着清掃シート
JP2004237023A (ja) 2002-02-28 2004-08-26 Kao Corp 粘着ロールクリーナ
JP5757606B2 (ja) * 2010-11-04 2015-07-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574A (ja) 2001-12-06 2003-08-08 Permacel 粘着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テープ
JP2004113362A (ja) * 2002-09-25 2004-04-15 Nitto Denko Corp 粘着除塵クリーナー
JP2005027945A (ja) 2003-07-08 2005-02-03 Nitto Denko Corp 回転式粘着除塵具、粘着除塵クリーナー及び粘着テープ用アダプター
US20070269626A1 (en) 2006-05-18 2007-11-22 Neenah Paper, Inc. Self-releasing lint tape
CN103108581A (zh) * 2011-07-26 2013-05-15 尼托母斯股份有限公司 板表面用粘合清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3962A1 (ja) 2015-03-12
JP6248114B2 (ja) 2017-12-13
CN105517479B (zh) 2018-05-15
CN105517479A (zh) 2016-04-20
KR20160051745A (ko) 2016-05-11
JPWO2015033962A1 (ja)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1225B2 (ja) プレート表面用粘着クリーナー
JP6856374B2 (ja) 表面保護シート
JP6704729B2 (ja) 有機質汚れ除去用粘着クリーナー
KR102038735B1 (ko) 유기질 오염물 제거용 점착 클리너
JP5437207B2 (ja) 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研磨部材
KR20190015572A (ko) 점착 클리너
JP2011102370A (ja) 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6814527B2 (ja) 粘着クリーナー
KR101888279B1 (ko) 점착 클리너
CN107249420B (zh) 粘合清洁器
KR20170099898A (ko) 항균 처리용 점착 클리너
JP6317938B2 (ja) 粘着シート
KR101888278B1 (ko) 점착 클리너
JP6781144B2 (ja) 粘着クリー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