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273B1 - 코마 완구 - Google Patents

코마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273B1
KR101888273B1 KR1020160177637A KR20160177637A KR101888273B1 KR 101888273 B1 KR101888273 B1 KR 101888273B1 KR 1020160177637 A KR1020160177637 A KR 1020160177637A KR 20160177637 A KR20160177637 A KR 20160177637A KR 101888273 B1 KR101888273 B1 KR 101888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upport portion
shaft
coma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290A (ko
Inventor
겐지 호리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18000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부품의 교환을 수반하지 않고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코마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축부(10)와, 런쳐(50a, 50b)의 포크(54)가 삽입되는 긴 구멍[예를 들어 호 형상 슬릿(64)]이 축심과 동심적으로 형성된 동체(40)를 구비하고,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되는 포크(54)에 형성된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55)에 걸림 지지되는 피걸림 지지부(41f)가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고, 미리 설정된 걸림 지지 위치에서 상기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55)에 의해 피걸림 지지부(41e)를 걸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런쳐(50a, 50b)의 포크(54)의 회전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고,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55)에 의한 피걸림 지지부(41e)의 걸림 지지가 해제되었을 때에 런쳐(50a, 50b)로부터 발사되는 코마 완구(1)이며, 피걸림 지지부(41f)는 코마 완구(1)의 원하는 회전 방향에 따른 상기 단부에서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55)에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의 단부의 걸림 지지 위치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코마 완구{SPINNING TOP TOY}
본 발명은 코마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마 완구 장치로서, 시계 방향 회전 전용의 코마 완구와, 반시계 방향 회전 전용의 코마 완구와, 상기 코마 완구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런쳐를 구비한 회전 장치(런쳐)로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코마 완구 장치에 있어서는, 시계 방향 회전 전용의 코마 완구와, 반시계 방향 회전 전용의 코마 완구는, 각각, 동체와 축부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고, 동체를 교환함으로써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반대로 할 수 있다.
실용 신안 등록 제3071356호 공보
그런데, 런쳐에 의해 코마 완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경우, 그 도중에 런쳐로부터 코마 완구가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해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 예를 들어 런쳐의 포크가 삽입되는 호 형상 슬릿을 축심과 동심적으로 동체에 형성함과 함께, 긴 구멍에 삽입된 포크에 형성된 갈고리(걸림 지지부)에 걸림 지지되는 피걸림 지지부를 호 형상 슬릿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마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호 형상 슬릿의 폭을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만큼 좁게 형성해 두고, 포크의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를 호 형상 슬릿의 광폭측으로부터 협폭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호 형상 슬릿의 테두리(피걸림 지지부) 아래로 파고들게 하여 걸림 지지부와 피걸림 지지부를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런쳐로부터 코마 완구가 탈락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런쳐의 포크의 회전에 의해 코마 완구에 회전력을 부여한 후, 포크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코마 완구의 관성력에 의해, 포크의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를 호 형상 슬릿의 협폭측으로부터 광폭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지지부와 피걸림 지지부의 걸림 결합을 해제시켜 코마 완구를 런쳐로부터 발사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호 형상 슬릿의 폭을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만큼 좁게 형성해 둔 경우, 런쳐에 의한 회전 방향이 일의적으로 정해져 버린다. 그 때문에, 시계 방향 회전 전용의 코마 완구와, 반시계 방향 회전 전용의 코마 완구로 할 수밖에 없었다.
그 때문에, 종래, 코마 완구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려고 할 때에는,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시계 방향 회전 전용의 코마 완구와, 반시계 방향 회전 전용의 코마 완구의 양쪽을 갖거나, 또는, 1개의 코마 완구와, 당해 코마 완구와는 회전 방향이 상이한 동체를 가질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부품의 교환을 수반하지 않고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코마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코마 완구는,
축부와, 런쳐의 포크가 삽입되는 긴 구멍이 축심과 동심적으로 형성된 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되는 상기 포크에 형성된 걸림 지지부에 걸림 지지되는 피걸림 지지부가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긴 구멍 내에서 상기 포크를 상기 단부측으로 이동시켜 미리 설정된 걸림 지지 위치에서 상기 걸림 지지부에 의해 상기 피걸림 지지부를 걸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런쳐의 상기 포크의 회전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고, 상기 포크의 회전 정지에 의해 상기 걸림 지지부에 의한 상기 피걸림 지지부의 걸림 지지가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런쳐로부터 발사되는 코마 완구이며,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에 상기 걸림 지지 위치가 미리 1개씩 설정되고,
상기 피걸림 지지부는, 상기 걸림 지지 위치에 대하여 진퇴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진퇴 조작에 의해 한쪽의 상기 걸림 지지 위치 또는 다른 쪽의 상기 걸림 지지 위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진입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코마 완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코마 완구이며,
상기 피걸림 지지부는,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코마 완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코마 완구이며, 상기 동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상기 긴 구멍이 복수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긴 구멍의 각각에는 상기 피걸림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코마 완구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마 완구이며, 상기 긴 구멍은 짝수개 형성되고, 이 짝수개의 상기 긴 구멍의 각각은 상기 축심을 사이에 두고 다른 상기 긴 구멍의 1개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코마 완구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마 완구이며, 상기 긴 구멍은 상기 동체에 2개 형성되고, 이 2개의 상기 긴 구멍의 각각에 마련된 상기 피걸림 지지부는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코마 완구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마 완구이며,
상기 동체와 그 하측의 축부를 구비하고, 동체측에는 제1 갈고리가 형성되고, 축부측에는 제2 갈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는, 상기 축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적인 회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갈고리의 상면과 상기 제2 갈고리의 하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제1 갈고리와 상기 제2 갈고리가 상하 방향에서 겹치는 결합 상태와, 상기 제1 갈고리와 상기 제2 갈고리가 상하 방향에서 겹치지 않는 결합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결합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축부를 임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상태로 되고, 상기 코마 완구의 회전 중에 받는 충격에 의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축부가 상기 임의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여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의 결합이 해제되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코마 완구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코마 완구이며, 상기 동체측과 상기 축부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대향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동체측의 상기 대향 부분과 상기 축부측의 상기 대향 부분에는, 상기 결합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결합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사이, 서로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상기 동체에 대한 상기 축부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행하게 하는 저항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코마 완구에 따르면, 코마 완구의 원하는 회전 방향에 따라서,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서 피걸림 지지부를 걸림 지지부에 걸림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의 교환을 수반하지 않고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코마 완구에 따르면, 피걸림 지지부를 긴 구멍을 따라서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부품의 교환을 수반하지 않고 코마 완구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코마 완구에 따르면, 복수의 피걸림 지지부가 걸림 지지부에 걸림 지지되므로, 코마 완구를 확실하게 런쳐에 장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코마 완구에 따르면, 짝수개의 긴 구멍의 각각은 축심을 사이에 두고 다른 긴 구멍의 1개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마 완구를 밸런스 좋게 런쳐에 장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코마 완구에 따르면, 2개의 피걸림 지지부가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 방향의 전환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코마 완구에 따르면, 회전 방향이 상이한 배틀용의 코마 완구를 1개의 코마 완구로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코마 완구에 따르면, 동체에 대한 축부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분해까지의 배틀 시간을 오래 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코마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놀이 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코마 완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코마 완구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동체 및 회전 방향 전환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런쳐와 회전 방향 전환 부재의 걸림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의 (A), (B)는 회전시키는 방향이 서로 다른 본 실시 형태의 런쳐를 하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동체, 회전 방향 전환 부재 및 축부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도시한 하면도.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동체, 회전 방향 전환 부재 및 축부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도시한 하면도.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런쳐와 회전 방향 전환 부재의 걸림 결합 관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코마 완구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코마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놀이 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코마 완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코마 완구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하, 좌우 및 전후는 도 2에 도시한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 형태의 코마 완구(1)는 소위 코마 배틀 게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코마 완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코마 완구(1)는 서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상대방의 코마 완구(1)를 도 1의 우측과 같이 분해시켜 승리하도록 하는 코마 배틀 게임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코마 완구(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구조를 구성하는 축부(10)와,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성능 가변 링(30) 및 동체(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마 완구(1)는 도 6의 (A) 또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코마 발사 장치인 런쳐(50a) 또는 런쳐(50b)에 의해 상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어, 배틀 필드에 발사된다. 여기서, 런쳐(50a)는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코마 완구(1)에 부여하는 것, 런쳐(50b)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코마 완구(1)에 부여하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의 코마 완구(1)에 따르면, 코마 완구(1)의 부품의 교환을 수반하지 않고, 소정의 부품의 조작에 의해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세부 구성》
1. 축부(10)에 대하여
축부(10)는 하부에 회전축(11), 중간부에 플랜지(12), 상부에 원통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축(11), 플랜지(12) 및 원통부(13)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단, 재료는 합성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전부 또는 일부가 금속제나 고무이어도 된다.
플랜지(12)의 하방 부분은, 당해 플랜지(12)로부터 회전축(11)의 외주를 향하여 단계적으로 좁아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체로서 대략 역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2) 및 원통부(13)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3)와 플랜지(12)의 하방 부분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5)의 외면은 플랜지(12)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13)의 내측에는 원기둥체(16)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원기둥체(16)의 상단부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원통부(13)의 상단부보다도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원기둥체(16)의 상단부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제2 갈고리)(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0)는 원통부(13)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원기둥체(16)의 상부 외주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가동 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 부재(18)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19)이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편(19)은 상기 구멍(14)에 삽입되어 있다. 이 가동 부재(18)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구멍(14)의 상부 테두리에 의해 가동 부재(18)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가동 부재(18)는 원기둥체(16)의 주위에 권회시킨 코일 스프링(20)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보통 상태에서는, 돌출편(19)이 구멍(14)의 상부 테두리에 맞닿고, 가동 부재(18)의 상단부는 원기둥체(16)의 상단부와 대략 동일 높이 위치에 있다.
이 가동 부재(18)의 상면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조(21)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2. 성능 가변 링(30)에 대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성능 가변 링(30)으로서 예를 들어 금속제의 플라이휠이 사용되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은 판상을 이루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의 저면에는 축부(10)의 플랜지(12)가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상 단차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역U자 돌조의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2)의 하측 부분에는, 축부(10)의 돌출부(15)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각 돌출부(32)의 바로 외측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편(34)이 형성되어 있다. 설편(34)은 돌출부(32)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성능 가변 링(30)으로서는, 플라이휠 대신에 또는 플라이휠과 일체적으로, 외주면에 돌출부가 있어서 상대방의 코마 완구(1)를 공격하기 쉽게 한 것이나, 외주면에 오목부가 있어서 상대방의 코마 완구(1)로부터의 공격을 받기 어려운 것을 사용해도 된다.
3. 동체(40)에 대하여
동체(40)는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동체(4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가 설치되어 있다.
동체(40)의 외주에는 요철(4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체(40)의 천장벽(43b)에는,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호 형상 슬릿(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호 형상 슬릿(46)은 회전축(11)과 동심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호 형상 슬릿(46)은 설편(34)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는 상면에서 보아 거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는 동체(40)에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는 원판 형상의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41a)를 갖고 있다. 이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41a)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원통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부(41b)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갈고리(제1 갈고리)(41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갈고리(41c)는 상기 갈고리(제2 갈고리)(17)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41b)의 하단부면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오목조(41d)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조(41d)는 2개의 갈고리(41c)의 사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41a)에는, 회전축(11)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 기립하는 기립부(41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립부(41e)의 내주에는 갈고리 형상의 피걸림 지지부(41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기립부(41e)의 외주측은 상기 호 형상 슬릿(46)의 외주 측부 테두리부에 하방으로부터 꽉 끼워 맞춰진다. 그때에, 기립부(41e)의 피걸림 지지부(41f)와 상기 호 형상 슬릿(46)의 내주측의 테두리 사이에는 런쳐(50a, 50b)의 포크(54)(도 6 참조)를 수용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피걸림 지지부(41f)는 런쳐(50a, 50b)의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55)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런쳐(50a, 50b)의 코마 홀더(53)와 회전 전환 부재(41)가 상대 회전하였을 때에, 그 상대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피걸림 지지부(41f)와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55)가 걸림 결합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피걸림 지지부(41f)와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55)의 걸림 결합 및 걸림 결합 해제 시에 피걸림 지지부(41f)가 호 형상 슬릿(46)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립부(41e)의 외주측이 상기 호 형상 슬릿(46)의 외주 측부 테두리부에 하방으로부터 꽉 끼워 맞춰지는 것 외에, 요철에 의한 끼워 맞춤이나, 갈고리에 의한 걸림 결합이나, 자기력 등에 의해 피걸림 지지부(41f)가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4. 런쳐(50a, 50b)에 대하여
코마 완구(1)의 회전력의 차지는, 도 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런쳐(50a, 50b)에 의해 행해진다. 이 런쳐(50a, 50b)에는 코마 완구(1)가 장착된다. 즉, 포크(54)가 동체(40)의 호 형상 슬릿(46)에 삽입된다. 그리고, 포크(54)의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55)가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피걸림 지지부(41f)에 걸림 지지된다. 이에 의해, 코마 완구(1)가 런쳐(50a, 50b)에 장착된다.
이 런쳐(50a, 50b)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원판을 구비하고, 그 원판을 도시하지 않은 태엽 스프링으로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함과 함께, 원판의 주위에 권회시킨 도시하지 않은 끈을 핸들(51)로 당기면, 원판이 회전되어, 코마 홀더(53)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코마 홀더(53)의 회전은, 하방에 돌출 형성된 포크(54)에 의해 코마 완구(1)에 전달되어, 코마 완구(1)를 회전한다.
그리고, 런쳐(50a, 50b)의 핸들(51)을 끝까지 당기면, 원판 나아가서는 코마 홀더(53)의 회전이 정지하는 한편, 코마 완구(1)는 관성력에 의해 더욱더 회전하므로, 포크(54)의 경사면(54a)을 따라서 코마 완구(1)가 코마 홀더(53)로부터 빠진다.
또한, 도 6의 (A), (B)에 있어서 부호 52는 코마 홀더(53)에 대하여 출몰 가능한 로드이다. 이 로드(52)는 코마 홀더(53)에 코마 완구(1)를 장착하였을 때에 코마 완구(1)의 상면에 눌려 코마 홀더(53)에 함몰된다. 이 로드(52)는 예를 들어 코마 완구(1)의 착탈의 검출에 사용된다.
5. 동체(40),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 및 축부(10)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도 7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지는 경우의 코마 완구(1)의 동체(40),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 및 축부(10)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하면도이다. 이 경우의 코마 완구(1)에 있어서는, 2개의 호 형상 슬릿(46)의 일단부, 즉 A1 및 A2의 개소에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 34)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2개의 호 형상 슬릿(46)의 타단부, 즉 B1 및 B2의 개소에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기립부(41e, 41e)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갈고리(41c, 41c)는 원기둥체(16)의 갈고리(17, 17)와 상하 방향에서 겹쳐 결합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오목조(41d)는 가동 부재(18)의 볼록조(21)와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갈고리(41c, 41c)의 중간부에서 맞물려 있다.
도 8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지는 경우의 코마 완구(1)의 동체(40),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 및 축부(10)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하면도이다. 이 경우의 코마 완구(1)에 있어서는, 2개의 호 형상 슬릿(46)의 일단부, 즉 A1 및 A2의 개소에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기립부(41e, 41e)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2개의 호 형상 슬릿(46)의 타단부, 즉 B1 및 B2의 개소에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 34)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갈고리(41c, 41c)는 원기둥체(16)의 갈고리(17, 17)와 상하 방향에서 겹쳐 결합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오목조(41d)는 가동 부재(18)의 볼록조(21)와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갈고리(41c, 41c)의 중간부에서 맞물려 있다.
《조립 방법》
다음에, 코마 완구(1)의 조립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동체(40)에 설치된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기립부(41e)를 호 형상 슬릿(46) 내에서, 코마 완구(1)의 원하는 회전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은 손으로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를 직접 조작하거나,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오목조(41d)에 맞물리는 지그를 사용하여 행한다. 다음에, 축부(10)의 돌출부(15)를 하방으로부터 성능 가변 링(30)의 오목부(33)에 합치시키도록 하여,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을 끼워 맞춤 상태로 조립한다. 다음에, 이 조립체를 동체(40)에 하방으로부터 근접시킨다. 이때, 상기 조립체의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동체(40)의 호 형상 슬릿(46)의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기립부(41e)측에 합치시킨다. 이 상태는, 축부(10)의 갈고리(17)와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갈고리(41f)는 상하 방향에서 겹쳐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가 결합 해제 상태이다. 그 후, 상기 조립체의 축부(10)를 동체(40)측으로 압박한다. 그렇게 하면, 먼저, 성능 가변 링(30)이 동체(40)의 하면에 압박 접촉된다. 또한, 상기 조립체의 축부(10)를 동체(40)측으로 압박하면, 축부(10)의 돌출편(19)이 코일 스프링(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성능 가변 링(30)의 하면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된다. 이 상태에서는, 축부(10)의 갈고리(17)는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갈고리(41f)보다도 상방으로 된다. 그리고, 축부(10)를 성능 가변 링(30)과 일체적으로 동체(40)에 대하여 설편(34)이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기립부(41e)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의 회전은, 동체(40) 및 성능 가변 링(30)과 축부(10)의 상대적인 회전이다. 도 7 및 도 8에는, 동체(40)측을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에 대하여 회전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가 결합 상태이다. 이에 의해,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 및 동체(40)가 결합되어, 코마 완구(1)가 조립된다.
《놀이 방법》
계속해서, 이 코마 완구(1)를 사용한 놀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놀이 방법의 일례에서는, 코마 완구(1)를 회전시켜, 상대방의 코마 완구(1)와 싸움을 행한다.
이 경우의 코마 완구(1)의 회전력의 차지는, 상기 런쳐(50a, 50b)에 의해 행해진다. 런쳐(50a, 50)에 의해 차지되어 발사된 코마 완구(1)는 소정의 배틀 필드에서 회전시켜진다. 그리고, 상대방의 코마 완구(1)에 동체(40)가 충돌하면,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나 마찰 등에 의해, 동체(40)는 정지하려고 하지만,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은 더욱더 회전을 계속하므로, 동체(40)가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반대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렇게 되면, 동체(40)측의 오목조(41d)가 단계적으로 축부(10)의 볼록조(21)에 맞물리고, 그때마다 거기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동체(40)측의 갈고리(41c)가 축부(10)의 갈고리(17)로부터 빠지므로, 스프링(20)의 가압력에 의해 동체(40)가 축부(10)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마 완구(1)는 분해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10)와 동체(40)의 회전 저항으로서, 축부(10)에 볼록조(21)를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에 오목조(41d)를 형성하였지만, 그 밖의 형상의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그 수도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 저항은 축부(10)와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대향면에 형성된 고무 등의 저항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부(10)의 볼록조(21)와 회전 방향 전환 부재(41)의 오목조(41d)는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었지만, 반경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41a)에 의해 2개의 피걸림 지지부(41f, 41f)를 일체적으로 연결시켰지만, 2개의 피걸림 지지부(41f, 41f)를 각각 단체로 동체(40)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배틀용의 코마 완구(1)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런쳐(50a, 50b)에 의해 상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이 부여되는 코마 일반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형성하는 구멍은, 호 형상 슬릿(46)과 같이 동체(40)의 천장벽(43b)을 상하로 관통한 구멍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지지부인 갈고리(55) 및 피걸림 지지부(41f)를 갈고리 형상으로 하였지만, 호 형상 슬릿(46)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가능하고, 또한, 런쳐(50a, 50b)로부터 코마 완구(1)가 탈락하지 않고, 회전력 차지 후에 걸림 결합 해제할 수 있는 것이면 형상은 불문한다. 예를 들어, 요철에 의해 끼워 맞춰지도록 하는 것이어도, 자기력에 의해 걸림 결합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호 형상 슬릿(46)에 피걸림 지지부(41f)를 마련하였지만, 성능 가변 링(30)과 피걸림 지지부(41f)를 각각의 호 형상 슬릿에 마련해도 되고, 나아가, 피걸림 지지부(41f)는 동체(40)를 상하로 관통하지 않는 오목부에 마련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슬릿이나 오목부를 포함하는 의미에서 긴 구멍의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호 형상 슬릿(46)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피걸림 지지부(41f)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호 형상 슬릿(46)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의 단부의 걸림 지지 위치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하였지만, 이 구성 대신에, 호 형상 슬릿(46)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의 단부에 피걸림 지지부(41f)를 호 형상 슬릿(46)에 대하여 인위적 조작에 의해 출몰 가능(진퇴 가능)하게 되도록 미리 마련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의 피걸림 지지부(41f)의 동작은 직선 왕복 운동이어도 되고, 회전 운동 또는 왕복 회전 운동이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41a)를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함과 함께,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41a)를 스프링에 의해 피걸림 지지부(41f)가 호 형상 슬릿(46)으로부터 함몰되는 방향으로 가압해 두고, 포크(54)를 호 형상 슬릿(46) 내에서 피걸림 지지부(41f)측에 접근시켰을 때에, 포크(54)가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41a)에 닿음으로써, 당해 피걸림 지지부(41f)가 호 형상 슬릿(46) 내로 돌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1개의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41a)의 양단부에 피걸림 지지부(41f)를 형성함과 함께,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41a)를 중간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41a)의 회동에 의해 한쪽의 피걸림 지지부(41f)가 걸림 지지 위치에 진입할 때에, 다른 쪽의 피걸림 지지부(41f)가 걸림 지지 위치로부터 퇴행하도록 해도 된다.
1 : 코마 완구
10 : 축부
17 : 갈고리(제2 갈고리)
21 : 볼록조(볼록부)
30 : 성능 가변 링
34 : 설편
40 : 동체
41 : 회전 방향 전환 부재
41a :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
41e : 기립부
41f : 걸림 지지부
46 : 호 형상 슬릿(긴 구멍의 일례)
50 : 런쳐

Claims (7)

  1. 축부와, 런쳐의 포크가 삽입되는 긴 구멍이 축심과 동심적으로 형성된 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긴 구멍에 삽입되는 상기 포크에 형성된 걸림 지지부에 걸림 지지되는 피걸림 지지부가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긴 구멍 내에서 상기 포크를 상기 단부측으로 이동시켜 미리 설정된 걸림 지지 위치에서 상기 걸림 지지부에 의해 상기 피걸림 지지부를 걸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런쳐의 상기 포크의 회전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고, 상기 포크의 회전 정지에 의해 상기 걸림 지지부에 의한 상기 피걸림 지지부의 걸림 지지가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런쳐로부터 발사되는 코마 완구이며,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에 상기 걸림 지지 위치가 미리 1개씩 설정되고,
    상기 피걸림 지지부는, 상기 걸림 지지 위치에 대하여 진퇴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진퇴 조작에 의해 한쪽의 상기 걸림 지지 위치 또는 다른 쪽의 상기 걸림 지지 위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진입 가능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 지지부는,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상기 긴 구멍이 복수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긴 구멍의 각각에는 상기 피걸림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 완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은 짝수개 형성되고, 이 짝수개의 상기 긴 구멍의 각각은 상기 축심을 사이에 두고 다른 상기 긴 구멍의 1개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 완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은 상기 동체에 2개 형성되고, 이 2개의 상기 긴 구멍의 각각에 마련된 상기 피걸림 지지부는 피걸림 지지부 담지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 완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와 그 하측의 축부를 구비하고, 동체측에는 제1 갈고리가 형성되고, 축부측에는 제2 갈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는, 상기 축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적인 회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 갈고리의 상면과 상기 제2 갈고리의 하면이 대향하도록 상기 제1 갈고리와 상기 제2 갈고리가 상하 방향에서 겹치는 결합 상태와, 상기 제1 갈고리와 상기 제2 갈고리가 상하 방향에서 겹치지 않는 결합 해제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결합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축부를 임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상태로 되고, 상기 코마 완구의 회전 중에 받는 충격에 의해 상기 동체에 대하여 상기 축부가 상기 임의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여 상기 결합 해제 상태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의 결합이 해제되어 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 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측과 상기 축부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대향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동체측의 상기 대향 부분과 상기 축부측의 상기 대향 부분에는, 상기 결합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결합 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사이, 서로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상기 동체에 대한 상기 축부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행하게 하는 저항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 완구.
KR1020160177637A 2016-07-12 2016-12-23 코마 완구 KR101888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7398A JP6111365B1 (ja) 2016-07-12 2016-07-12 コマ玩具
JPJP-P-2016-137398 2016-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290A KR20180007290A (ko) 2018-01-22
KR101888273B1 true KR101888273B1 (ko) 2018-08-13

Family

ID=5761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637A KR101888273B1 (ko) 2016-07-12 2016-12-23 코마 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37821B1 (ko)
EP (1) EP3269435B1 (ko)
JP (1) JP6111365B1 (ko)
KR (1) KR101888273B1 (ko)
CN (1) CN20653519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49776S (ko) * 2015-12-21 2016-05-23
JP1549780S (ko) * 2015-12-21 2016-05-23
JP1549781S (ko) * 2015-12-21 2016-05-23
JP1549783S (ko) * 2015-12-21 2016-05-23
JP1557222S (ko) * 2016-03-15 2016-08-29
JP1557221S (ko) * 2016-03-15 2016-08-29
JP1575298S (ko) * 2016-10-04 2017-05-01
JP1575625S (ko) * 2016-10-14 2017-10-23
JP1575628S (ko) * 2016-12-05 2017-10-23
JP1582207S (ko) * 2017-01-24 2017-07-24
JP1582216S (ko) * 2017-02-03 2017-07-24
JP1582938S (ko) * 2017-02-16 2018-01-29
JP1582939S (ko) * 2017-02-20 2018-01-29
JP1590452S (ko) * 2017-06-29 2018-05-14
JP1590453S (ko) * 2017-06-30 2018-05-14
JP1596082S (ko) * 2017-07-06 2018-01-29
JP1596084S (ko) * 2017-07-07 2018-01-29
JP1596554S (ko) * 2017-08-30 2018-05-28
JP1602454S (ko) * 2017-10-02 2018-04-23
JP1602453S (ko) * 2017-10-02 2018-04-23
JP1602455S (ko) * 2017-10-02 2018-04-23
JP1602930S (ko) * 2017-10-06 2018-10-22
JP6618970B2 (ja) * 2017-10-17 2019-12-1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1602968S (ko) * 2017-10-19 2019-01-21
JP1602970S (ko) * 2017-10-20 2019-01-21
JP1602971S (ko) * 2017-10-24 2019-01-21
CN109701286A (zh) * 2017-10-25 2019-05-03 广州市三宝动漫玩具有限公司 一种连接结构及玩具
JP1602972S (ko) * 2017-10-26 2019-01-21
JP1609633S (ko) * 2018-02-23 2018-07-23
JP6494838B1 (ja) * 2018-06-01 2019-04-03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玩具
DK180321B1 (en) 2019-01-29 2020-11-16 Lego As TOY TOP LAUNCH RAMP
JP6948639B2 (ja) * 2019-02-26 2021-10-1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17B1 (ko) 2015-03-27 2015-12-21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코마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4611B (en) 1989-08-04 1993-09-01 Motorola Inc Memory system
JP3071356B2 (ja) 1993-08-13 2000-07-31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トレハロースの製造方法
JP3071356U (ja) * 2000-02-28 2000-08-29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装置
JP3588086B2 (ja) * 2002-04-17 2004-11-10 株式会社タカラ 遠隔制御コマ玩具
JP3098449U (ja) * 2003-06-09 2004-03-04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発射装置
JP2005185548A (ja) 2003-12-25 2005-07-14 Takara Co Ltd 遠隔制御コマ玩具
JP4543100B2 (ja) 2008-04-08 2010-09-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遊戯装置
JP3160157U (ja) * 2010-01-15 2010-06-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発射装置
KR20110008735U (ko) * 2010-03-08 2011-09-16 지성원 팽이 완구
CN202315282U (zh) * 2011-10-31 2012-07-1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分离的组合式玩具陀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17B1 (ko) 2015-03-27 2015-12-21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코마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11365B1 (ja) 2017-04-05
JP2018007740A (ja) 2018-01-18
EP3269435B1 (en) 2018-11-28
CN206535193U (zh) 2017-10-03
EP3269435A1 (en) 2018-01-17
US9737821B1 (en) 2017-08-22
KR20180007290A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273B1 (ko) 코마 완구
US10695660B2 (en) Toy top
KR101579417B1 (ko) 코마 완구
KR102332707B1 (ko) 팽이 완구
EP3323480B1 (en) Toy top
JP2017169776A (ja) コマ玩具
US10449438B2 (en) Toy top
US20190134517A1 (en) Spinning top toy
KR20190043068A (ko) 팽이 완구
KR20200104224A (ko) 팽이 완구
KR20190043067A (ko) 완구의 부품 분리 구조
US20180243661A1 (en) Spinning top toy
JP6516587B2 (ja) コマ玩具
JP6644338B1 (ja) コマ玩具
US20180236362A1 (en) Spinning top toy
JP6915811B2 (ja) コマ玩具
KR20210006828A (ko) 팽이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