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734B1 -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734B1
KR101887734B1 KR1020150184145A KR20150184145A KR101887734B1 KR 101887734 B1 KR101887734 B1 KR 101887734B1 KR 1020150184145 A KR1020150184145 A KR 1020150184145A KR 20150184145 A KR20150184145 A KR 20150184145A KR 101887734 B1 KR101887734 B1 KR 10188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ver
rectangular frame
wall surfaces
dim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241A (ko
Inventor
와타루 가와기시
다카시 고다
Original Assignee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3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ubular housing wherein the PCB is inserted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케이스 본체의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내에 덮개가 밀어 넣어져 장착되는 덮개의 장착구조로, 그 밀어 넣기에 필요로 하는 힘의 현저한 증대를 초래하는 일없이, 장착 후의 빠짐 방지, 분리 방지용의 걸림부의 내향의 돌출량도 적당히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장착 후의 덮개의 편차도 없이 분리, 탈락의 위험성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 내에는 스토퍼와, 장착되는 사각형의 덮개(201)가 앞으로 이동 등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31)를 설치한다. 덮개(201)의 장착 전의 사각형 프레임부(110) 중, 덮개장착위치(115)에 있어서의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117)의 상호의 대변 치수(Wx)를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크게 하고, 걸림부 (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118)의 상호의 대변 치수(Wy)를 덮개 (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y)보다 작게 했다.

Description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COVER ATTACHMENT STRUCTURE OF CASE}
본 발명은 케이스(덮개체) 본체 내에 회로기판 등의 수용물을 수용하고, 그 수용용의 개구에 덮개를 장착하여 폐색해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것은, 그와 같은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엔진룸에 배치되는 전자제어장치(이하, ECU)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실장, 탑재된 회로기판(이하, 기판이라고도 한다)과, 이 기판 등을 수용하는 수지제의 케이스 본체와, 기판 등이 수용된 케이스 본체의 수용물(부품)의 수용용의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덮개에는 예를 들면, 이 덮개의 이면에 고정된 회로기판에 있어서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 단자가 그 덮개의 외측에 돌출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덮개는 그 개구의 폐색 후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단자에 상대방의 커넥터(암 커넥터) 단자가 끼워 맞춰져 접속된다. 이와 같은 덮개는 케이스(본체) 내에 수용된 회로기판 등의 보호를 위해,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서도 안정된 장착상태가 되는 것이나, 상대방 커넥터 단자의 빼내기 등에 있어서의 외력에 대해서도 분리, 탈락이 없는 것이 요청된다.
이와 같은 요청에 부응하기 위한 덮개의 장착구조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 본체에 있어서의 부품의 수용용의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 부위에 환 형상의 고무 패킹을 개재시킨다. 그리고 덮개(커버)의 둘레 가장자리 부위가 이 패킹을 누르도록 하여 그 덮개를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 부위에 있어서, 비스를 비틀어 넣어 나사 고정하도록 한 장착(고정)구조이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이것은 수밀(水密)이 확보되는 이점이 얻어지는 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 본체 중, 덮개가 장착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부위가 횡단면 사각형(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통 형상의 것인 경우에는 적어도, 그 사각형의 둘레 가장자리 부위에 있어서, 3개소, 혹은 4코너 근방에 있어서 4개소, 나사 고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적어도 3개의 나사 부품을 필요로 하는데다, 그 비틀어 넣음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케이스의 제조, 조립 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고 하는 점이다.
이러한 가운데, 이것과는 다른 덮개의 장착구조(수단)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는 플라스틱(절연 수지)으로 이루어지고, 내측 단면이 사각형이며 통 형상(소켓 형상)을 이루는 탄성 변형 가능한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내에, 그 단의 개구로부터 내측 단면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덮개가 소정량 안쪽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덮개장착위치에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서는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내에는 덮개의 과도하게 밀어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한편, 덮개장착위치보다도 앞이며, 통상, 2조의 대향하는 내벽면 중의 1조의 대향하는 내벽면에 대해, 장착된 덮개가 앞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클로 (claw), 돌기 등]가 장착된다. 여기에, 걸림부는 대향하는 내벽면에 덮개 장착 전에 있어서의 최소 내측 치수가 덮개의 대응하는 대변(對邊) 치수(외측 치수)보다 작아지게 내향(內向)으로 돌출되도록(또는 융기되도록) 설치된다. 이것에서는 이 걸림부에 기인하는 덮개의 밀어 넣기[압입(壓入)]저항을 경감하고, 밀어 넣기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해,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내의 덮개장착위치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가로 세로 2조의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은, 대응하는 덮개의 대변 치수보다 어느 것이나 미량, 크게 된다.
이에 따라, 덮개는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 및 그 부분 근방의 케이스 본체측의 변형 등에 의해 밀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압입력(押入力)으로 그 장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 조립 작업의 간이(簡易), 또한 신속이 도모된다. 또한, 대향하는 2개의 걸림부는 덮개의 밀어 넣기의 간이화를 도모하기 위해, 요약하면, 개구의 안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그 상호 간의 내측 치수가 작아지는 경사진 것이 된다. 이것에서는 덮개의 밀어 넣기에 있어서는 걸림부에 있어서의 경사에, 덮개의 가장자리를 꽉 눌러서 1조의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을 넓히도록 변형시키기 쉽다. 그리고 덮개가 그 경사를 타고 넘었을 때, 스토퍼와 그 걸림부의 사이(덮개장착위치)에 장착됨과 동시에,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변형의 복원(탄성 복귀)에 의해, 덮개의 가장자리는 소정의 걸림 값으로, 구조적으로 그 걸림부에서 고정되어 앞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장착 수단만으로는 수밀의 확보는 곤란하지만, 그 장착은 덮개의 밀어 넣기에 기인하는 케이스 본체(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변형 및 그 복원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고정 나사 등의 별도의 부재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다가, 그 장착은 밀어 넣기[또는 압입(壓入)]라고 하는 단순 작업으로 끝나므로, 작업도 간단하고 편리 또한,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 장착구조에 있어서의 수밀의 확보를 별도로 강구할 수 있는 경우에 매우 적합한 장착구조라고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3-25845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6-049701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밀어 넣기에 의한 덮개의 장착구조에서는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내의 덮개장착위치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가로 세로 2조의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은, 대응하는 덮개의 대변 치수보다 가로 세로 어느 것이나 미량, 크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덮개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이른바 틈새 끼움 상태에 있기 때문에, 미묘한 편차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또, 덮개가 개구측(앞측)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은, 내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와 덮개의 가장자리의 걸림 값(치수)에 의존할 뿐이다. 따라서, 밀어 넣기에 의한 덮개의 장착상태만으로는 그 장착의 안정성이 높다고는 말할 수 없다.
한편, 그 덮개의 장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걸림부의 내향 돌출량을 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하면, 걸림부 자체에 깨짐이나 균열이 생기거나 하는 등의 위험성이 있다. 게다가, 그와 같이 해도, 미묘한 편차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로 인해, 걸림부의 내향 돌출량을 크게 하는 일없이,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내의 덮개장착위치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가로 세로 2조의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을, 대응하는 덮개의 대변 치수와 가로 세로, 미량, 작게 하던지, 같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그 장착상태에 있어서, 덮개가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내에 있어서, 가로 세로, 단단히 끼워지거나, 틈새 없이 긴밀하게 장착되도록 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덮개의 밀어 넣기에 있어서 필요하게 되는 밀어 넣기 힘은 매우 큰 것이 되어, 덮개의 장착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내벽면의 상호에 있어서는 걸림부의 존재에 의해 압입(壓入)값이 국부적으로 일층 커진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가로 세로, 어느 것이나 단단히 끼움 등이 되도록 하면, 덮개의 밀어 넣기 과정이나, 그 후의 덮개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걸림부나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자체에 깨짐이나 균열이 생기거나 하는 등의 위험성마저 있다고 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케이스 본체의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에 대한 덮개의 밀어 넣기[압입(壓入)]에 필요로 하는 힘(하중)의 현저한 증대를 초래하는 일없이, 걸림부의 내향 돌출량도 적당히 유지한 채, 그 밀어 넣기에 의한 장착 후에는 그 덮개의 편차도 없고, 게다가, 분리, 탈락의 위험성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케이스 본체(101)는 단면이 사각형이며 통 형상 또는 소켓 형상을 이루는 탄성 변형 가능한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 내에, 그 단의 개구(103)로부터, 윤곽이 사각형인 덮개(201)가 소정량 안쪽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소정의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는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로서,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 내에는 상기 덮개(201)가 과도하게 밀어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23)와, 상기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는 덮개(201)가 앞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131)는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를 이루는 대향하는 2조의 내벽면(117, 118) 중의 1조의 내벽면에, 상기 덮개(201)의 장착 전에 있어서의 최소 내측 치수(Wxt)가 상기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작아지게 내향으로 돌출 또는 융기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201)의 장착 전의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 중, 상기 덮개장착위치(115)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 (117)의 상호의 대변 치수(Wx)가 상기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크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덮개장착위치(115)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118)의 상호의 대변 치수(Wy)가 상기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y)보다 작게 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201)가 밀어 넣어져 상기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118)의 상호의 간격이 상기 덮개(201)에 의해서 넓혀지는 것에 대응하고, 이 내벽면 상호가 상기 덮개(201)를 단단히 조임과 동시에, 이 넓혀짐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부 (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117)의 상호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가 변형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걸림부(131)가 상기 내벽면 중,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에 있어서의 코너 상호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는 2조의 대향하는 내벽면(117, 118) 모두, 상기 덮개장착위치(115)보다도 개구단측에 있어서, 개구단으로 향하여 대변 치수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케이스 본체(101)가 바닥(105)이 있는 통 구조를 이루고,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가 상기 통 구조에 있어서의 개구단 근처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케이스 (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케이스 본체(101)가 회로기판 수용용의 케이스 본체이며, 상기 덮개(201)가 커넥터 단자 부착의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덮개의 장착 전의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중, 덮개장착위치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에 대해서, 가로 세로의 어느 일방의 대변 치수를, 덮개의 대응하는 각 대변 치수보다 작게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Wx)가 상기 덮개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크게 되어 있지만,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Wy)는 상기 덮개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y)보다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의 장착상태에서는 후자의 대변 치수의 방향에 있어서는 덮개는 단단히 조여지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편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자의 대변 치수의 방향에 있어서는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 쪽이 덮개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의 밀어 넣기에 있어서는 극단적인 밀어 넣기 힘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은 없다.
게다가, 당해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Wy)를, 덮개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y)보다 작게 한 것에 의해서, 덮개의 장착상태에 있어서는 당해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은 좁아진다. 따라서, 덮개의 장착상태에 있어서는 걸림부에 의한 덮개에 대한 구조적인 걸림 값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덮개에 인발력(引拔力, 밀어 넣기와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덮개가 앞으로 이동하고, 또는 분리되는 것의 방지 작용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덮개의 장착 전의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중, 상기 덮개장착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대변 치수(Wx)가 상기 덮개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 (Hx)보다 크게 되어 있다라고 하는 것은, 이들의 대변 치수 방향에 있어서, 양자의 사이에는 틈새가 얻어지는 치수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상기 덮개장착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대변 치수(Wy)가 상기 덮개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y)보다 작게 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상기 덮개가 밀어 넣어져 상기 덮개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내벽면 상호로 상기 덮개를 단단히 조일 수 있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대변 치수(Wy)를, 덮개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y)보다 작게 하고 있기 때문에, 내벽면의 상호의 양 대변 치수와도, 덮개의 대응하는 양 대변 치수보다 크게 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면, 덮개의 밀어 넣기에 필요로 하는 힘은 증대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대변 치수(Wx)를, 덮개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그 대변 치수 사이에서는 걸림부에 의한 저항에 각별한 증대를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덮개의 밀어 넣기에 필요로 하는 전체로서의 밀어 넣기 힘의 극단적인 증대를 초래하지 않는다. 게다가, 상기 덮개가 밀어 넣어져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에 있어서의 상기 덮개장착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에 의해, 덮개는 단단히 조여진다. 게다가,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그 걸림부에 있어서의 덮개의 가장자리와의 걸림 값이, 덮개 장착 전의 설정 치수보다도 증대한다. 따라서, 덮개의 분리 등의 위험성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의 밀어 넣기에 필요로 하는 밀어 넣어 힘의 극단적인 증대를 초래하는 일없이, 게다가, 덮개 장착상태에 있어서는 편차가 없는 덮개의 장착과, 그 분리 등의 위험성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내향으로 돌출 또는 융기되도록 설치하는 걸림부는 개구의 앞에서 안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대향하는 걸림부 상호 간의 내측 치수가 작아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지만, 덮개가 밀어 넣어지는 것에 의해, 그 가장자리가 그 걸림부를 타고 넘어서 덮개장착위치에 위치 결정될 수 있으면 좋다. 따라서, 걸림부는 덮개(덮개의 가장자리)와의 걸림 값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절한의 경사 형상, 또는 내측 치수의 변화로 형성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략 사각형이란, 등변의 사각(대략 정사각형), 또는 부등변의 사각(대략 직사각형)을 의미하지만, 이것은, 언뜻 보기에, 사각형이면 좋고, 물리적 의미에 있어서의 것은 아니다. 따라서,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를 이루는 벽은, 단면에 있어서, 그 4각의 변 중, 1조의 대향하는 변 (내벽면)이 외향으로 완만한 볼록 곡면(R, 호)을 이루고, 다른 1조의 대향하는 변(내벽면)이, 반대로 내향으로 완만한 볼록 곡면을 이루는 것이라도 좋으며, 2조 모두, 외향 또는 내향으로 볼록 곡면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통 형상 또는 소켓 형상이란, 그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내경(대각 치수, 또는 대변 치수)과 비교하여, 그 길이가 긴 것에 한정되지 않고, 짧은 통 형상 또는 소켓 형상의 것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면 중,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에 있어서의 코너 상호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그 변형의 용이성보다 바람직하다. 단, 이 걸림부는 1개의 내벽면에 1개가 아니고, 복수로 분할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단면에 있어서의 사각형이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그 긴 변을 이루는 측의 내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그 변형 용이성에 의거하여 짧은 변을 이루는 측의 내벽면에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개구단 근처 부위(내주면)는 덮개의 밀어 넣기만으로 덮개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그 밀어 넣기 전(자유상태)에 있어서, 덮개가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단의 개구(개구단)보다도 안쪽으로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사각형으로 설정하여 두는 것이 좋다. 그러나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에, 적당한 외력을 부가하여 예비 변형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덮개가 비집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두어도 좋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2조의 대향하는 내벽면 모두, 상기 덮개장착위치보다도 개구단측에 있어서, 개구단으로 향하여 대변 치수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의 밀어 넣기에 있어서의 원활, 용이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형상, 구조, 또는 케이스 본체에 있어서의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부위 등에 관해서는 케이스의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한 것으로 하면 좋다. 단,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가 바닥이 있는 통 구조를 이루고,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가 상기 통 구조에 있어서의 개구단 근처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것이 좋다.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는 적당한 탄성 변형성 및 인성(靭性)이 있다, 예를 들면, PA66 등의 나일론계 수지(폴리아미드계 수지)나, PBT 수지 등으로부터 케이스의 용도에 따라서 적합한 수지를 선택하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 예를 설명하는 덮개 장착 전의 케이스 본체와 덮개의 사시도.
도 2는 덮개가 장착되기 전의 케이스 본체의 종단면도.
도 3은 덮개가 장착되기 전의 케이스 본체의 도 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덮개장착위치를 통과하는 단면도).
도 5는 덮개의 외형(윤곽)을 설명하는 그 표면(외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덮개 장착 전의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덮개장착위치에 있어서의 내벽면의 상호의 대변 치수(Wx, Wy)와 대응하는 덮개의 대변 치수(Hx, Hy)의 크기 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그들을 선만으로 과장하여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도 2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내로 덮개가 밀어 넣어지는 과정의 설명도.
도 8은 도 3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내로 덮개가 밀어 넣어지는 과정의 설명도.
도 9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를 설명하는 도 2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도.
도 10은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를 설명하는 도 3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및 주요부 확대도.
도 11은 도 6에 있어서,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횡단면과 덮개의 윤곽을 변경한 다른 예를 선만으로 과장하여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도 6에 있어서,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횡단면과 덮개의 윤곽을 변경한 다른 예를 선만으로 과장하여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 예에 대해서,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예에서는 케이스 본체가 회로기판 수용용의 케이스 본체이며, 덮개가 커넥터 단자 부착의 덮개로서, 회로기판을 일체적으로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이다. 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케이스(100)에 있어서, 덮개의 장착구조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101)는 횡단면이 정사각형에 가까우며, 대략 직사각형으로, 앞뒤로 대략 일정한 통 구조의 것이다. 이 케이스 본체(101)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수지제(플라스틱제, 구체적으로는 나일론계 수지제)로, 일단에 개방된 개구(103)를 가지며, 타단에 바닥(105)을 가짐과 아울러, 통을 이루는 4개의 평탄한 벽(107, 108)을 가지는 사각 통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덮개(201)는 절연재(예를 들면, 수지)로 이루어지고, 도 1, 도 5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곽이 정사각형에 가까운 대략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케이스 본체(101) 내에 있어서 그 횡단면을 폐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본 예에서는 일체적으로 설치된 회로기판(250)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적수(適數)의 단자 커넥터 (270)가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회로기판(250)은 덮개(201)의 이면에 수직으로, 덮개(201)의 직사각형을 이루는 1개의 변을 따라서 맞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1)는 그 앞뒤(통의 연신 방향) 영역 중, 개구(103)측의 단(도면 우측 단. 개구단) 근처의 대략 1/3의 범위가 통 형상 또는 소켓 형상을 이루는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를 이루고 있으며, 나머지의 바닥(도면 좌측 단, 105) 근처의 부위가 기판 수용 부위(113)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에 있어서의 안쪽 중, 안쪽 단 또는 그 근방[기판 수용 부위(113)와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의 경계 근방]으로 덮개(201)가 밀어 넣어져 장착되는 위치, 즉, 덮개장착위치(115)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사각형 프레임부 또는 단지 프레임부라고도 한다, 110)의 내측 단면[4개의 벽(107, 108)이 이루는 내벽면(117, 118)]에 대응하는 대략 사각형의 덮개(201)가 프레임부(110) 내에 개구(103)단에서 안쪽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덮개(20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250)을 일체적으로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인 바, 이 회로기판(250)은 덮개(201)가 케이스 본체(101)에 장착되었을 때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101)의 1개의 벽(108)에 평행으로 근접하여 수용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설명을 간단하고 쉽게 하기 위해, 회로기판 (250)은 적절하게 생략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1)는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를 포함하고, 대략 일정한 직사각형인 횡단면의 통 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이 중,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는 그 개구(103)단 근처 부위가 개구(103)단으로 향하여 그 내측의 횡단면이 점증(漸增)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 3 등 참조). 즉, 케이스 본체(101)를 이루는 벽(107, 108)의 내벽면(117, 118) 중, 개구(103)단 근처 부위에 있어서는 각 대향하는 내벽면(117, 118)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내측 단면의 세로 치수 또는 가로 치수)가 테이퍼 형상으로 점증하여 그 단면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과, 통 형상 또는 소켓 형상의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를 이루는 벽(107, 108)은 이 테이퍼에 대응하여 개구(103)단으로 향함에 따라, 그 두께가 얇아지고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01)는 횡단면(직사각형)에 있어서의 내벽면(117, 118)의 4개의 코너(각 코너)에, 오목 곡면(R, 호)이 통의 연신 방향을 따라, 그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붙여져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케이스 본체 (101)의 기판 수용 부위(113)에 있어서 대향하는 1조의 내벽면(117, 117)에는 통의 연신 방향을 따라서 볼록 돌조(121)가 그 각 내벽면에, 각각 2개, 그 내벽면(117)의 가로 방향(단면 사각형의 변)의 중심과 대칭 배치되도록 간격을 두고, 그 내벽면(117)에 융기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각 볼록 돌조(121)의 선단[개구(103) 근처의 단]이 덮개(201)의 과도하게 밀어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23)를 이루고 있다. 이 스토퍼(123)는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의 안쪽 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스토퍼(123)의 앞[개구(103)단측]의 소정 범위의 부위가 덮개장착위치(115)를 이루고 있다. 또한, 각 벽(107, 108) 중, 스토퍼(123)보다도 바닥(105) 근처 부위는 개구(103) 근처 부위보다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한편, 덮개(201)는 이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 내의 덮개장착위치 (115)에 있어서, 그 개구(103, 횡단면)를 대략 막을 수 있는 가로 세로(윤곽) 치수를 가지며, 대향하는 2조의 변(217, 218)을 가지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것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그 사각형 프레임부(110)의 개구(103)단 근처 부위가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퍼에 의해 점증된 횡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자유상태에 있어서, 덮개(201)의 외주 가장자리(변)가 그 개구(103)단 근처 부위에, 주위에 미소한 틈새를 유지하여 비집고 들어갈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7, 8 참조). 또한, 이 덮개(201)의 코너에는 프레임부(110)의 내벽면(117, 118)의 4개의 코너(각 코너)에 설치된 곡면에 대응한 볼록 곡면이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의 스토퍼(123)는 케이스 본체(101)의 프레임부 (110)의 내벽면(117)에 설치되어 있는 볼록 돌조(121)의 선단으로 되어 있지만, 이 선단[스토퍼(123)]보다도 개구(103)단측의 내벽면(117)에는 밀어 넣어져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된 덮개(201)가 앞으로 이동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부(131)는 볼록 돌조(121)가 설치되어 있는 1조의 대향하는 내벽면(117)에 설치되어 있다. 단, 걸림부(131)는 각 내벽면(117)에 있어서, 볼록 돌조(121)의 중간 위치(횡단면 직사각형의 변의 중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양 걸림부(131)는 덮개(201)의 장착 전에 있어서, 도 6의 모식도에 과장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대향하는 최소 내측 치수(Wxt)가 덮개(2점 쇄선으로 나타냄, 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작아지도록 내향으로 돌출 또는 융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걸림부(131)는 각 내벽면(117)에 있어서, 프레임부(110)에 있어서의 직사각형의 변의 대략 중앙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201)는 사각형 프레임부(110) 내에 개구(103)단으로부터 밀어 넣어지는 것에 의해, 그 프레임부(110)를 변형시키면서, 덮개(201)의 대향하는 양 외주 가장자리인 변(217)의 부위가 걸림부(131)를 타고 넘어 스토퍼(123)에서 고정되어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201)는 그 장착상태에 있어서, 그 대향하는 변(217) 근처의 외향면[개구(103)단]이 걸림부 (131)의 안쪽 방향면에 걸려서 앞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걸림부(131)에 대응하는 덮개(201)의 대향하는 양 변(가장자리, 217) 중, 외향면[개구(103)단]에 덮개(201)의 두께 방향으로 노치(갈고리 형상 오목부, 225)가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201)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걸림부(131)가 이 노치(갈고리 형상 오목부, 225)에 끼워지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에, 도 4∼도 6을 참조하면서 덮개(201)의 장착 전의 사각형 프레임부(110) 중, 덮개장착위치(115)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내벽면(117, 118)의 상호의 대변 치수와, 장착되는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의 치수 관계 등에 대해 설명한다.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117)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도시하는 가로 방향의 치수, Wx)는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예를 들면, 0.2∼0.5㎜ 크게 되어 있다(도 6 참조). 한편,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118)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도시하는 세로 방향의 치수, Wy)는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y)보다, 예를 들면, 0.2∼0.5㎜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치수 차는 각 대변 치수의 크기나, 케이스 본체(101)의 변형 용이성이나 강도에 의거하여 설정된다.
한편, 걸림부(1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최소 내측 치수(Wxt)가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작아지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이 양 걸림부(131)의 상호 간의 내측 치수는 본 예에서는 사각형 프레임부(110)의 안쪽으로 향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각각 경사져 있다. 또, 사각형 프레임부(110) 내의 대변 치수는 개구 (103)의 단으로 향함에 따라 증대하도록 각 내벽면(117, 118)에는 테이퍼져 있는 것은 상기한 바이지만, 이 개구(103)단 근처 부위의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는 가로 세로 어느 것이나 장착되는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덮개(201)의 밀어 넣기에 있어서, 덮개(201)는 프레임부(110) 내에 틈새 끼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본 예에서는 개구(103)의 단으로 향함에 따라 증대하는 테이퍼 구배(勾配)의 개시 위치는 돌기를 이루는 걸림부(131)보다도 개구(103)단측에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은 걸림부(131)로부터 개시하는 등, 덮개(201)의 밀어 넣기 용이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은 케이스 본체(101)와 덮개(201)로 이루어지는 본 예에 있어서는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의 자유상태에 있어서, 그 개구(103)단 근처 부위의 내측에, 그 개구(103)를 막도록 덮개(201)를 대응하는 가로 세로상태로 배치한다. 그리고 그 자세 그대로 화살표 방향으로 안쪽에 밀어 넣는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01)는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고, 본 예의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가 얻어진다. 즉, 이 밀어 넣기에 의해, 걸림부(131)에 대응하는 위치(도 4∼6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위치. 이하, 가로 방향)에 있는 덮개(201)의 대향하는 외주 가장자리를 이루는 변(217)의 부위가 걸림부(131)를 타고 넘어 안쪽의 스토퍼(123)에서 고정되고, 다른 위치(도 4∼6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위치. 이하, 세로 방향)에 있는 덮개(201)의 대향하는 외주 가장자리를 이루는 변(218)의 부위가 사각형 프레임부(110)의 내벽면(118) 상호 간을 넓히도록 각각의 내벽면을 변형시키면서, 덮개(201)는 밀어 넣어져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며, 케이스(덮개체, 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가 얻어진다(도 9, 도 10 참조).
또한, 이 밀어 넣기 과정에서는 변형의 발생 상황의 상세한 것은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우선, 덮개(201)가 스토퍼(123)에 고정될 때까지 사각형 프레임부 (110)는 도 4∼6에 있어서의 그 세로 방향에 대향하는 내벽면(118)의 상호의 간격이 덮개(201)의 양 가장자리의 변(218)의 부위에서 넓혀진다. 한편, 그 가로 방향에 대향하는 프레임부(110)의 내벽면(117)의 상호의 간격은 그 넓혀짐에 대응하여 좁혀지도록 변형된다. 그러나 프레임부(110)의 걸림부(131)에 덮개(201)의 가장자리가 꽉 눌려져 덮개(201)의 가장자리가 걸림부(131)를 타고 넘을 때까지는 그 걸림부(131)를 포함하는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프레임부(110)의 내벽면(117)은 부분적으로 넓혀지도록 변형된다. 그리고 걸림부(131)의 타고 넘음이 끝난 후, 즉, 스토퍼(123)에 고정되어 덮개(201)가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Wy<Hy의 상기 치수 관계에 의거하여 동일 위치(115)에 있어서는 세로 방향에 대향하는 덮개(201)의 변(218)에 의해, 내벽면(118)의 상호의 간격이 실제로는 도 9 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넓혀진다.
이 넓혀짐에 대응하여 덮개장착위치(115)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에 대향하는 프레임부(110)의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는 내벽면(117)의 상호의 간격(도 10 참조)은 탄성에 의거하는 복원상태[자유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치수(Wx)]보다도 작아지도록 좁혀진다. 이렇게 해서, 덮개(201)가 밀어 넣어져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도 9 중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방향에 대향하는 내벽면(118)의 상호가 덮개(201)에 의해서 넓혀지는 만큼, 덮개 (201)는 프레임부(110)에서 세로 방향으로 단단히 조여진다. 다른 한편, 이 넓혀짐에 대응하여 가로 방향에 대향하는 내벽면(117)의 상호의 간격은 좁혀진다. 결과,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걸림부(131)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외주 가장자리를 이루는 변(217)과의 걸림 값을 덮개(201) 장착 전의 설정 치수인 (Hx-Wxt)/2보다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 (118)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Wy)가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y)보다 작기 때문에, 이 내벽면(118)의 상호 간에서는 밀어 넣기 힘의 증대를 초래하지만,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117)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 (Wx)를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내벽면(117)의 상호 간에서는 걸림부(131)의 부위를 포함하는 부분적인 저항(확장)을 동반하는 밀어 넣기로 끝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내벽면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를 가로 세로 모두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보다 작게 하는 일없이,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내벽면(118)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만을 작게 하고 있는 것뿐이기 때문에 덮개(201)의 밀어 넣기 힘의 극단적인 증대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그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118)의 상호 간에 있어서는 덮개(201)의 긴밀화가 도모된다. 이에 따라, 덮개(201)의 편차는 방지된다.
한편,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117)의 상호 간에 있어서는 걸림부(131)의 타고 넘음에 동반하는 밀어 넣기 저항은 동반하지만, 장착 후에는 그 내벽면(117)의 상호의 간격이 덮개 장착 전보다도 작아지기 때문에, 그만큼, 덮개(201)의 대응하는 변(217)과 걸림부(131)의 걸림 값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덮개(201)의 분리, 탈락의 위험성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예에서는 덮개(201)의 커넥터 단자(270)에 외부 리드선에 있어서의 상대방의 단자(암 커넥터)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로 인해, 그 후의 메인터넌스 등에 있어서, 그것이 큰 힘으로 뽑아지는 일이 있지만, 그 장착구조에 의거하여 덮개의 분리, 탈락의 위험성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결과, 본 예의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에 따르면, 고도(高度)의 내진동성이나 내충격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자동차에 탑재되는 전자제어장치(이하, ECU)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덮개체)에 매우 적합하다.
또, 본 예에서는 걸림부(131)를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의 직사각형을 이루는 변의 중간 부위에 설치했기 때문에, 그 변에 있어서의 변형의 언밸런스가 방지된다. 이에 따라, 밀어 넣기의 용이화와 아울러, 장착의 안정성도 도모된다. 걸림부(131)의 돌출량, 또는 융기량 등은, 밀어 넣기 힘 내지 사각형 프레임부 (110)의 변형 용이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또, 본 예에서는 사각형 프레임부(110)는 2조의 대향하는 내벽면(117, 118) 모두 덮개장착위치(115)보다도 개구(103)단측에 있어서, 개구(103)단으로 향하여 대변 치수가 점차 커지고, 또한, 자유상태에 있어서, 덮개(201)가 사각형 프레임부(110) 내 중, 그 개구(103)단 근처 부위로 비집고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덮개(201)의 장착 작업의 간단하고 편리 또한, 원활화가 도모된다.
또한, 덮개(201)의 밀어 넣기 개시는 자유상태에 있는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 내에 있어서 실시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117)의 상호 간을 그 양 벽(107)을 양측에서 끼워 압축하는 것에 의해,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118)의 상호 간의 치수를 크게 한 상태에서 개시해도 좋다. 또, 본 예에서는 대향하는 걸림부(131) 상호 간에 안쪽으로 향함에 따라, 내측 치수가 작아지는 경사를 주었지만, 걸림부 (131) 자체의 변형 등에 의해, 그들에 균열 등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덮개(201)의 밀어 넣기가 가능하여 그 장착이 가능한 한, 걸림부는 이와 같은 경사가 없는 돌기 (돌출편 또는 융기부)로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118)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도시하는 세로 방향의 치수, Wy)를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y)보다 작게 하는 정도도, 적당한 밀어 넣기 힘으로 그 밀어 넣기가 가능하도록 설정하면 좋은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117)의 상호의 간격인 대변 치수(도시하는 가로 방향의 치수, Wx)를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크게 하는 정도도, 밀어 넣기 후에 있어서, 덮개(201)의 외주 가장자리와 걸림부 (131)의 걸림 값이 적당히 증대하도록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이 경우, 덮개 (201)에 대한 틈새가 될 수 있는 한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 좋지만, 틈새가 0이 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예에서는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의 직사각형의 코너, 또는 덮개(201)의 코너에 곡면을 붙인 것에 있어서 구체화했지만, 본 발명은 그 유무에 관계없이 구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의 횡단면, 및 덮개(201)에 있어서의 대략 사각형은, 언뜻 보기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보이는 것을 말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따라서, 도 11의 모식도에 과장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를 이루는 벽은,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117)이 횡단면 직사각형의 변에 있어서 외향으로 완만한 볼록 곡면으로 부풀어 올라 나오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다른 1조의 대향하는 내벽면(118)이 횡단면 직사각형의 변에 있어서, 반대로 완만한 오목 곡면으로 오목한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 예를 들면, 덮개(2점선, 201)의 대응하는 직사각형의 변 중, 오목 곡면의 내벽면 (118)에 대응하는 변(218)이 볼록 곡면으로 부풀어 올라 나오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 6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도 12에 과장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사각형 프레임부(110)의 횡단면 형상에 있어서, 대향하는 2조의 내벽면(117, 118)이 함께 횡단면 직사각형의 변에 있어서 외향으로 완만한 볼록 곡면으로 부풀어 올라 나오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 예를 들면, 덮개(2점선, 201)의 대응하는 직사각형의 변 중,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내벽면(118)에 대응하는 변(218)이 완만한 오목 곡면으로 오목한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즉, 도 11, 12 중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110)의 횡단면, 및 덮개(201)는 언뜻 보기에,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면 좋다. 또한, 도 11, 12 중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변이 곡면을 이루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Wx, Hx, Wy, Hy는 각각의 내측 치수, 또는 외측 치수는 최대의 치수를 말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케이스 본체(101)를 횡단면 일정한 폐관 통 형상의 것으로 하고,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가 그 개구(103)단 근처 부위에 있는 것으로 하여 구체화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케이스 본체는 단면이 대략 사각형이며 통 형상 또는 소켓 형상을 이루는 탄성 변형 가능한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좋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는 이와 같은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를 케이스 본체의 일부로서 가지고 있으면 좋으며, 따라서, 케이스 본체의 형상 등은 어느 것으로 해도 구체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ECU용의 케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100: 케이스
101: 케이스 본체
103: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의 개구
110: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
115: 덮개장착위치
117: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
118: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
123: 스토퍼
131: 걸림부
201: 덮개
Wx: 덮개장착위치에 있어서의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대변 치수
Wxt: 걸림부 상호의 최소 내측 치수
Hx: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에 대응하는 덮개의 대변 치수
Wy: 덮개장착위치에 있어서의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의 대변 치수
Hy: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의 상호에 대응하는 덮개의 대변 치수

Claims (5)

  1. 케이스 본체(101)는 단면이 사각형이며 통 형상 또는 소켓 형상을 이루는 탄성 변형 가능한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 내에, 그 단의 개구(103)로부터, 윤곽이 사각형인 덮개(201)가 소정량 안쪽으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소정의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는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로서,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 내에는 상기 덮개(201)가 과도하게 밀어 넣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23)와, 상기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는 덮개(201)가 앞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131)는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를 이루는 대향하는 2조의 내벽면(117, 118) 중의 1조의 내벽면에, 상기 덮개(201)의 장착 전에 있어서의 최소 내측 치수(Wxt)가 상기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작아지게 내향으로 돌출 또는 융기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201)의 장착 전의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 중, 상기 덮개장착위치(115)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내벽면 (117)의 상호의 대변 치수(Wx)가 상기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x)보다 크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덮개장착위치(115)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내벽면(118)의 상호의 대변 치수(Wy)가 상기 덮개(201)의 대응하는 대변 치수(Hy)보다 작게 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201)가 밀어 넣어져 상기 덮개장착위치(115)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3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118)의 상호의 간격이 상기 덮개(201)에 의해서 넓혀지는 것에 대응하고, 이 내벽면 상호가 상기 덮개(201)를 단단히 조임과 동시에, 이 넓혀짐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부 (131)가 설치되어 있는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117)의 상호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가 변형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31)가 상기 내벽면 중,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에 있어서의 코너 상호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는 2조의 대향하는 내벽면(117, 118) 모두, 상기 덮개장착위치(115)보다도 개구단측에 있어서, 개구단으로 향하여 대변 치수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01)가 바닥(105)이 있는 통 구조를 이루고, 상기 덮개 장착 사각형 프레임부(110)가 상기 통 구조에 있어서의 개구단 근처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101)가 회로기판 수용용의 케이스 본체이며, 상기 덮개 (201)가 커넥터 단자 부착의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100)에 있어서의 덮개(201)의 장착구조.
KR1020150184145A 2015-01-23 2015-12-22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 KR101887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1615 2015-01-23
JPJP-P-2015-011615 2015-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241A KR20160091241A (ko) 2016-08-02
KR101887734B1 true KR101887734B1 (ko) 2018-08-10

Family

ID=5517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145A KR101887734B1 (ko) 2015-01-23 2015-12-22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48867B1 (ko)
JP (1) JP6283700B2 (ko)
KR (1) KR1018877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475A (ja) 1998-07-27 200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基板取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188Y2 (ko) * 1985-03-30 1990-07-03
US5045181A (en) * 1989-09-07 1991-09-03 Beloit Corporation Apparatus for removing ash from repulped wastepaper
JP2741422B2 (ja) * 1990-07-02 1998-04-1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シーバ用防水キヤツプ
JP2867914B2 (ja) * 1995-02-22 1999-03-10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の固定構造
JP3758038B2 (ja) 2002-02-28 200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筐体のシール構造
JP4164764B2 (ja) * 2004-05-31 2008-10-15 オムロン株式会社 収納ケースの組立方法
JP4501585B2 (ja) 2004-08-06 2010-07-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防水構造を持つ電気回路部品および筐体
KR101079988B1 (ko) * 2009-12-14 2011-11-04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전자제어유닛 케이스
DE102011057192A1 (de) * 2011-12-30 2013-07-0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ehäuse zur Aufnahme einer Elektronikeinheit
JP2014107114A (ja) * 2012-11-27 2014-06-09 Hosiden Corp 部品モジュール及び相手側コネクタ並びに部品モジュールと相手側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6036547B2 (ja) * 2013-05-22 2016-11-3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ユニットおよび保護ケー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475A (ja) 1998-07-27 200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基板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8867A1 (en) 2016-07-27
EP3048867B1 (en) 2018-03-07
JP2016139803A (ja) 2016-08-04
JP6283700B2 (ja) 2018-02-21
KR20160091241A (ko)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785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achable connecting terminals
EP0677894B1 (en) Seal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waterproof connector
US7094098B2 (en) Connector for apparatus
CN104285343B (zh) 防水连接器
JP5417954B2 (ja) 防水コネクタ
JP6527909B2 (ja) コネクタ設置構造及び端子台
US8267720B2 (en) Seal structure
US20150024630A1 (en) Connector
US10122097B2 (en) Molded portion-equipped electric wire
US20190020146A1 (en) Waterproof structure of connector
US20180226745A1 (en) Wire cover member
US11031726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inflow resistant interface
US9147978B2 (en) Shield connector
JP2018513535A (ja) 電気差込コネクタ部品
EP3346557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US10333287B2 (en) Clearance filling structure of accommodation box,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JP2018206636A (ja) コネクタ
KR101887734B1 (ko) 케이스에 있어서의 덮개의 장착구조
US10008803B2 (en) Connector for a camera with reduced dimensions in a fitting direction
JP5327100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9755352B2 (en) Waterproofing structure for connector
JP2007087903A (ja) 基板用コネクタ
US20200335901A1 (en) Connector
JP2006066216A (ja) 電子ユニット用ケース
JP201800623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