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70B1 -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 - Google Patents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70B1
KR101887670B1 KR1020160008982A KR20160008982A KR101887670B1 KR 101887670 B1 KR101887670 B1 KR 101887670B1 KR 1020160008982 A KR1020160008982 A KR 1020160008982A KR 20160008982 A KR20160008982 A KR 20160008982A KR 101887670 B1 KR101887670 B1 KR 101887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group
monomer
liquid crystal
ligh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719A (ko
Inventor
김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성이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성이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성이노스
Priority to KR102016000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온, 오프 스위칭에 따라, 투과율 및 헤이즈 등 광학특성이 조절되는 조광필름에 있어서,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하여 제조된 조광필름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썬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윈도우와 건물 윈도우 등에 적용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 확보와 동시에, 적외선 차단율을 제어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UV curable composition for light control film with improved performances of weather resistance and IR cut-off and light control film form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온, 오프 스위칭에 따라, 투과율 및 헤이즈 등 광학특성이 조절되는 조광필름에 있어서,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자외선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하여 제조된 조광필름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썬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윈도우와 건물 윈도우 등에 적용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 확보와 동시에, 적외선 차단율을 제어하고자 한다.
최근 기술이 추구하는 방향중에 하나는 일상생활에 스마트한 기술을 접목하는 것이다. 이런추세에 부합하여 주거공간과 차량 등의 윈도우에 스마트 기능을 부여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와 실내로 유입되는 자외선 및 적외선을 시간과 장소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단순히 외부와의 연결통로인 윈도우를 스마트한 윈도우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액정(301)을 이용한 조광필름에 대한 발명품이 많이 제안되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을 이용하여 전기 온, 오프 스위칭에 따라 투과율 및 헤이즈 등 광학특성이 조절되는 조광필름은 ITO 필름과 같은 전도성 필름 상판, 하판 사이에 액정방울들이 랜덤하게 분포되어 있는 고분자 매트릭스층이 존재한다. 전기가 인가되면 전도성 필름의 상판, 하판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고 전기적 이방성을 지닌 액정이 전기적 방향으로 배열되어 액정의 굴절률과 고분자 매트릭스층의 굴절률이 일치되어 투명하게 되고, 반대로 전기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 액정방울 내의 액정이 랜덤하게 분포됨으로써, 액정의 굴절률과 고분자 매트릭스층의 굴절률이 불일치하게 되어 빛의 산란으로인해 불투명하게 된다. 따라서, 불투명 상태의 컬러는 우유빛을 띠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조광필름은 개인적인 프라이버시 보호에는 적합하지만, 자외선과 열차단의 성능면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및 열차단 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틴팅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몇가지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1671호, 제10-1480948호, 제10-1396235호, 제10-1424185호 등에서 개시하고 있는 종래의 방법들은 액정과 UV 경화성 또는 열경화성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염료(Dye)를 투입하는데, 제조된 조광필름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쉽게 탈색이 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액정을 이용한 조광필름에 컬러를 부여하기 위하여 염료가 투입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을 뿐 자외선 차단 및 열차단 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틴팅기능을 부여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자외선과 열에 안정한 안료(Pigment)를 도포액에 투입하는 방법이 있지만, 일정시간이 지나면 침전이 발생하게 되고, 안료(Pigment)가 충분히 분산되지 않은 경우, 조광필름에 전기인가시 뭉쳐진 입자들에 의해 투과율이 현저히 저하되며, 전기에너지가 한곳에 집중되어 스파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액정을 사용한 조광필름에 자외선 차단과 적외선 차단 기능의 부여를 위해 ITO(Indium Tin Oxide) 등의 전도성 필름에 부가적으로 은과 니켈 등과 같은 금속물질이 증착된 전도성 필름이 적용되기도 하지만, 단가 측면에서 일반 전도성 필름의 1.5 내지 2배 이상 가격이 높고, 자동차에 적용될 경우, 부가적으로 증착된 금속물질에 의해 특정 파장이 일부 차단 또는 흡수됨으로써, 하이패스와 같은 자동개폐시스템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반대로, 본 조광필름은 안료(Pigment) 등을 포함하는 유기입자 및/또는 무기입자를 단순히 소량만 나노분산시킴으로써, 제품의 단가도 저렴하며, 특정 주파수에도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본 발명을 통해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41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16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09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6235호
일반적인 조광필름은 개인적인 프라이버시 보호에는 적합하지만, 자외선과 열차단의 성능면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 및 열차단 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틴팅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액정(301)과 UV 경화성 또는 열경화성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염료(Dye)를 투입하는데, 제조된 조광필름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쉽게 탈색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자외선과 열에 안정한 안료(Pigment)를 도포액에 투입하는 방법이 있지만, 일정시간이 지나면 침전이 발생하게 되고, 안료(Pigment)가 충분히 분산되지 않은 경우, 조광필름에 전기인가시 뭉쳐진 입자들에 의해 투과율이 현저히 저하되며, 전기에너지가 한곳에 집중되어 스파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액정(301)을 사용한 조광필름에 자외선 차단과 적외선 차단 기능의 부여를 위해 ITO(Indium Tin Oxide) 등의 전도성 필름에 부가적으로 은과 니켈 등과 같은 금속물질이 증착된 전도성 필름이 적용되기도 하지만, 단가 측면에서 일반 전도성 필름의 1.5 내지 2배 이상 가격이 높고, 자동차에 적용될 경우, 부가적으로 증착된 금속물질에 의해 특정 파장이 일부 차단 또는 흡수됨으로써, 하이패스와 같은 자동개폐시스템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은 상판(100), 하판(101)의 전도성 필름 사이에 고분자 매트릭스층(200)내에 액정방울(300)들이 랜덤하게 분포되어 있는 구조이며, 액정방울(300)들과 매트릭스층(200)에 안료(Pigment)를 포함하는 유기입자 및/또는 무기입자(302)가 나노분산되어 있다.
투입되는 안료(Pigment)의 색깔에 따라, 본 발명의 조광필름은 적색, 녹색, 청색, 블랙의 컬러 구현이 가능하며, 이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컬러까지 확장할 수 있다. 안료(Pigment)는 내광성(Light fastness)이 7 이상의 견뢰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며, 밀링에 의한 나노분산이 가능하다면 특정안료(Pigment)에 국한되지 않는다.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탄소나노로드, 탄소나노와이어, 카본블랙, 아닐린 등 탄소계 소재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열차단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은, 니켈 등의 금속 나노물질도 투입할 수 있다.
안료(Pigment)와 금속입자 등의 유, 무기 소재의 프리폴리머내 나노분산은 분산제를 프리폴리머에 투입하고, 비드밀, 바스켓밀, 나노밀, 플래니터리 밀 등의 분산밀링 장비를 이용하여 나노 분산화 작업을 거친다.
분산제는 알킬그룹, 알킬아민그룹 및 산성그룹을 포함하는 분자량 5,000 이상의 고분자 분산제가 효과적이다. 분산 수준은 평균 입자 사이즈가 수백nm 수준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수준의 분산은 조광필름의 투과율을 저하시키며, 수nm 수준의 분산은 안료(Pigment) 컬러의 착색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자외선 경화에 의해 고분자 매트릭스층(200)를 형성할 수 있는 프리폴리머는 도막의 특성을 좌우하는 올리고머, 점도를 조절하기 위한 희석제 기능을 하는 모노머 및 UV 광개시제를 포함한 혼합액으로 제조되고, 상기 혼합액은 제조되는 프리폴리머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의 공지된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올리고머는 아크릴레이트계 재료들 중에서 에폭시계, 우레탄계, 싸이올기가 포함된 멀캡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릭계, 실리콘계 중에서 단독으로 투입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주로 사용되며, 관능기가 1개인 단관능 모노머에서부터 관능기가 3개인 삼관능 모노머까지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다.
단관능 모노머는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로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트라이데실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디씨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등과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될 수 있다.
이관능 모노머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펠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페닐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과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삼관능 모노머는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톨트라이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프로폭시레이티드트라이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등과 이들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필름(100, 101)과 고분자 매트릭스층(200)간 계면에서의 부착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는 기능성 첨가제로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등과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들과 카르복실에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들,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톡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들을 투입하기도 한다.
UV 광개시제는 이르가큐어 1173, 이르가큐어 819, 이르가큐어 184, 이르가큐어 754, 이르가큐어 651, 이르가큐어 369, 이르가큐어 784, 티피오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르가큐어 819 또는 티피오와 같은 380nm~400nm 정도의 흡수피크를 지니고 있는 장파장 개시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광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도포액은 유, 무기 소재의 입자가 나노분산에 의해 도핑된 프리폴리머에 액정(301)을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액정(301)은 일반적으로 질량비 기준으로 프리폴리머 및 액정(301) 전체 함량 중에서 40중량% 내지 80중량%가 투입된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60중량%가 투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광필름용 조성물에 있어서, 고분자 매트릭스층(200)를 형성하는 프리폴리머와 유기입자 및/또는 무기입자(302)는 각각 올리고머 0.1중량부 내지 30중량부, 모노머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광개시제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유기입자 및/또는 무기입자(302)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포액을 하판 전도성 필름(101)상에 일정두께로 도포하고, 상판 전도성필름(100)을 라미네이션을 실시한 후, UV 경화공정을 거치면 본 발명에 의한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도포두께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40㎛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가 적당하다. 도포를 위해서는 콤마코팅, 슬롯다이 코팅, 스프레이 코팅, 압출코팅, 커튼코팅, 그라비아코팅 등의 코팅방식을 적용할수 있다. UV 경화기는 메탈할라이드, 수은램프 등과 같은 고압램프와 블랙라이트와 같은 저압램프 등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조광필름은 자외선과 열에 매우 안정한 안료(Pigment)와 금속입자 등의 유, 무기 소재를 프리폴리머내에 나노분산시킴으로써, 일정시간 후에도 침전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은 전기인가시에 투과율의 저하가 방지되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액정(301)을 사용한 일반 조광필름의 자외선 투과율(280nm 내지 380nm)(%)은 20% 수준이지만, 본 조광필름은 5% 내지 8% 수준으로 자외선 차단 성능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적외선 투과율(780nm 내지 2,500nm)(%) 측면에서도 일반 조광필름은 70% 수준이지만, 본 조광필름은 40% 내지 50% 수준의 적외선 투과율을 보유함으로써, 적외선 차단 성능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입자 및/또는 무기입자(302)의 투입량에 따라, 자외선 투과율과 적외선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 수준을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조광필름은 유기입자 및/또는 무기입자(302)를 단순히 소량을 나노분산시킴으로써, 제품의 단가도 저렴하며, 특정 주파수에도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광필름의 단면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올리고머로 알리파틱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EB8411 0.32g, 모노머 희석제로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0.32g,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0.24g,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08g, 개시제로 이르가큐어 819 0.04g을 각각 투입하고, 완전한 균일 상으로 혼합한 후 청색 안료(PIGMENT BLUE 15:6) 0.4g과 분산제 AFCONA-4063 0.1g를 첨가하고 나노밀을 이용하여 안료(Pigment)가 나노분산된 자외선 경화형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올리고머로 알리파틱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EB8413 0.30g, 모노머 희석제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0.34g,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2-HPA) 0.26g,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0.06g, 개시제로 티피오(TPO) 0.04g을 각각 투입하고, 완전한 균일 상으로 혼합한 후 아닐린블랙 0.4g과 분산제 AFCONA-4000 0.1g를 첨가하고 나노밀을 이용하여 안료(Pigment)가 나노분산된 자외선 경화형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올리고머로 알리파틱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EB8803 0.32g, 모노머 희석제로 로릴아크릴레이트(LA) 0.34g,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EOEOEA) 0.22g,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TPGDA) 0.08g, 개시제로 이르가큐어 651 0.04g을 각각 투입하고, 완전한 균일 상으로 혼합한 후 청색 안료(PIGMENT BLUE 15:6) 0.4g과 분산제 AFCONA-4001 0.1g를 첨가하고 나노밀을 이용하여 안료(Pigment)가 나노분산된 자외선 경화형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올리고머로 알리파틱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EB8411 0.32g, 모노머 희석제로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0.32g,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0.24g,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08g, 개시제로 이르가큐어 819 0.04g을 각각 투입한후, 완전한 균일 상으로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에서 제조된 프리폴리머 각각을 머크사 E7 네마틱 액정(301)과 5:5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을 하판 ITO 필름에 코팅한 후 상판 ITO 필름을 합지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조광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필름에 대한 투과율은 일본 “JASCO”사의 자외선-가시광선/근적외선 분광광도계 V-570 모델을 이용하여 그 측정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이때, 자외선 경화를 위한 블랙라이트의 파장은 365nm이며, UV의 세기는 7mW/㎠이다.
구분
투과율(%)
자외선(280nm~380nm) 적외선(780nm~2,500nm)
실시예 1 8.7 48.5
실시예 1 5.2 42.3
실시예 1 8.5 47.8
비교예 23.1 73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작된 조광필름의 자외선 투과율(280nm 내지 380nm)(%)은 5% 내지 8% 수준이고, 적외선 투과율(780nm 내지 2,500nm)(%) 측면에서도 40% 내지 50% 수준으로 비교예의 일반 조광필름의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 성능보다 향상된 기능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투과율(280nm 내지 380nm)(%)이 5.2%로 가장 낮고, 적외선 투과율(780nm 내지 2,500nm)(%)이 42.3%인 실시예 2에서의 결과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100 : 상판 전도성 필름(ITO 필름)
101 : 하판 전도성 필름(ITO 필름)
200 : 고분자 매트릭스층
300 : 액정방울
301 : 액정
302 : 유기입자 및/또는 무기 입자

Claims (7)

  1. 상판(100) 및 하판(101)의 전도성 필름 사이에 고분자 매트릭스층(200)이 형성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층(200) 내에 액정방울(300)들이 분포되며, 상기 액정방울(300)들과 고분자 매트릭스층(200)에 안료(Pigment)를 포함하는 유기입자 및/또는 무기입자(302)가 나노분산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료(Pigment)는 탄소나노튜브, 탄소섬유, 탄소나노로드, 탄소나노와이어, 카본블랙 및 아닐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안료 이외에 은 또는 니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금속 나노물질을 더 투입하여 제조되되, 상기 안료(Pigment)와 금속 나노물질의 프리폴리머내 나노분산은 분산제를 프리폴리머에 투입하고, 비드밀, 바스켓밀, 나노밀 또는 플래니터리 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산밀링 장비를 이용하여 나노 분산화 작업을 거치고,
    상기 분산제는 알킬그룹, 알킬아민그룹 및 산성그룹을 포함하는 분자량 5,000 이상의 고분자 분산제가 사용되고, 분산 수준은 평균 입자 사이즈가 수백nm 이며,
    자외선 경화에 의해 고분자 매트릭스층(200)를 형성할 수 있는 프리폴리머는 올리고머, 모노머 및 UV 광개시제를 포함한 혼합액으로 제조되고, 상기 혼합액은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올리고머는 에폭시계, 우레탄계, 싸이올기가 포함된 멀캡탄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릭계 및 실리콘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단관능 모노머, 이관능 모노머 및 삼관능 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되,
    상기 단관능 모노머는 옥틸/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로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트라이데실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및 디씨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이관능 모노머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펠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페닐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및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상기 삼관능 모노머는 트리메틸로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톨트라이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프로폭시레이티드트라이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로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며,
    UV 광개시제는 380nm~400nm의 흡수피크를 가지는 이르가큐어 819 또는 티피오가 사용되고,
    조광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도포액은 상기 프리폴리머에 액정(301)을 투입하여 교반함으로써 얻어지되, 상기 액정(301)은 질량비 기준으로 프리폴리머 및 액정(301) 전체 함량 중에서 50중량% 내지 60중량%가 투입되고,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층(200)를 형성하는 프리폴리머와 유기입자 및/또는 무기입자(302)는 각각 올리고머 0.1중량부 내지 30중량부, 모노머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광개시제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유기입자 및/또는 무기입자(302)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도포액을 하판 전도성 필름(101)상에 일정두께로 도포하고, 상판 전도성필름(100)을 라미네이션을 실시한 후, UV 경화공정을 거쳐 조광필름을 제조하되, 상기 도포액의 도포두께는 25㎛ 내지 35㎛이고,
    조광필름의 자외선 투과율(280nm 내지 380nm)(%)은 5% 내지 8%이며, 적외선 투과율(780nm 내지 2,500nm)(%)은 40% 내지 50%이고, 건물의 윈도우 또는 자동차 썬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윈도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08982A 2016-01-25 2016-01-25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 KR101887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982A KR101887670B1 (ko) 2016-01-25 2016-01-25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982A KR101887670B1 (ko) 2016-01-25 2016-01-25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719A KR20170088719A (ko) 2017-08-02
KR101887670B1 true KR101887670B1 (ko) 2018-08-10

Family

ID=5965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982A KR101887670B1 (ko) 2016-01-25 2016-01-25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876A (ko) * 2019-11-26 2021-06-03 이상섭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KR20240033949A (ko)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티엠씨 티타늄산화물 무기안료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875A (ko) 2018-03-13 2019-09-23 김정균 망간/텅스텐/바나듐 복합 산화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산화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8494A (ja) * 2012-10-30 2014-05-15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および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422A (ja) * 1993-02-16 1994-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高分子分散型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5440A (ja) * 1993-06-16 1995-01-10 Ajinomoto Co Inc 調光液晶素子用液晶樹脂配合物
EP1453935B1 (en) 2001-12-13 2006-06-21 Sony Deutschland GmbH A method of forming a composite
KR101424185B1 (ko) 2009-12-03 2014-07-29 주식회사 큐시스 장파장 광을 이용한 pdlc형 조광체의 제조방법 및 pdlc형 조광체
KR101396235B1 (ko) 2012-12-18 2014-05-1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0948B1 (ko) 2013-12-26 2015-01-14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 윈도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8494A (ja) * 2012-10-30 2014-05-15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熱線遮蔽樹脂シート材および自動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876A (ko) * 2019-11-26 2021-06-03 이상섭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KR102316344B1 (ko) 2019-11-26 2021-10-21 이상섭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KR20240033949A (ko)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티엠씨 티타늄산화물 무기안료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719A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670B1 (ko)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
KR20130141603A (ko) 은폐층을 포함하는 전자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CN111690331A (zh) 基于光子准晶材料的透明隔热防紫外线薄膜及其制备方法
CN111592822B (zh) 一种快速响应热致型调光材料及快速响应智能调光薄膜
JP2001262016A (ja) 濃着色インク、これを用いたコーティング液、フィルム、基材、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型品
CN108957825B (zh) 一种可调节近红外光透过率的反式电控调光膜及其制备方法
KR20130057280A (ko)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
WO2005037925A1 (de) Lunineszierende transparente kompositmaterialien
CN111897157A (zh) 一种智能调光汽车膜
JP4347814B2 (ja) 熱線遮断組成物、これを利用した熱線遮断被膜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WO2022158493A1 (ja) アントラキノン化合物を含有する液晶組成物及び調光素子
AU2014100870A4 (en) Transparent, heat-insulting, UV-blocking coatings
JP7075713B2 (ja) 分散体、着色層、着色膜、着色基材、着色合わせ基材、およびインク
KR102489841B1 (ko) 점착제층, 근적외선 흡수 필름, 접합 구조체, 적층체, 점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388018A (zh) 一种防蓝光oca光学胶
CN116144229A (zh) 一种丙烯酸基耐候性路用蓄能自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60073076A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재의 코팅 방법
KR101905133B1 (ko) 구동전압이 낮은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
JP3654609B2 (ja) 熱線遮断性樹脂組成物および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JP2017107200A (ja) 熱線遮蔽フィルムおよび熱線遮蔽ガラス
JP3477109B2 (ja) 合成樹脂系微粒子及び電気光学パネル用スペーサ
JP2011116903A (ja) 複合粒子、樹脂組成物、波長変換層および光起電装置
KR20030017311A (ko) 근적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투명 수지조성물 및 그 피막
CN112647824B (zh) 节能自适应调光全息显示材料及全息膜及全息显示玻璃
CN218995834U (zh) 一种pdlc调光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