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876A -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 Google Patents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876A
KR20210064876A KR1020190153588A KR20190153588A KR20210064876A KR 20210064876 A KR20210064876 A KR 20210064876A KR 1020190153588 A KR1020190153588 A KR 1020190153588A KR 20190153588 A KR20190153588 A KR 20190153588A KR 20210064876 A KR20210064876 A KR 20210064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ilm
polymer
polymer dispersed
disperse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344B1 (ko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102019015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3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19/54Additives having no specific mesophase characterised by their chemical composition
    • C09K19/54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머에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됨으로써 제조된 필름의 탁도, 투과율, 광시야각 등의 기능이 확보되면서도 액정 복합막과 ITO 전도성 필름간의 부착력을 향상되어 필름의 절단이나 굽힘 등과 같은 물리적인 외력에 액정 복합막과 ITO 전도성 필름 간의 박리(층분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은, 폴리머와 네마틱 액정 혼합물 및 광개시제가 포함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에는 아크릴계 화합물인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PDLC COMPOSITION AND PDLC FIL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머에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됨으로써 제조된 필름의 탁도, 투과율, 광시야각 등의 기능이 확보되면서도 액정 복합막과 ITO 전도성 필름간의 부착력을 향상되어 필름의 절단이나 굽힘 등과 같은 물리적인 외력에 액정 복합막과 ITO 전도성 필름 간의 박리(층분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LC 표시장치인 PDLC 복합 필름은 고분자 물질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미세한 액정 방울들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반응하여 산란 또는 투과의 형태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상기 기능을 갖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은 종래의 액정표시소자와 비교해서 액정 기능을 유연한 필름 내에서 발휘시킬 수 있고, 광 이용 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뿐 아니라 대면적화가 가능해지는 등 액정만으로는 실현 불가능하였던 기능의 전개가 가능하여 신규 디스플레이 재료로서 주목 받고 있다.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소자 내의 액정 분자와 고분자는 상 분리를 일으켜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에 작은 액정 방울을 형성하게 되는데,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액정 방울 내의 액정 분자들이 임의의 방향으로 배열하게 되어 액정 방울의 굴절률과 고분자의 굴절률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고, 그 결과 입사되는 빛은 불투명하게 산란되며, 전압이 인가되면 이 액정 방울 내의 액정 분자들이 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고분자의 굴절률과 같아지게 되고, 그 결과 입사되는 빛은 시편을 투명하게 투과되는 등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은 전압의 유무에 따라 빛이 투과되는 상태와 산란되는 두 상태에서 디스플레이가 구동된다.
상기 특성을 갖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이하 'PDLC'라 칭한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액정, 모노머, 광개시제, 올리고머로 이루어져 있고, 이 조성물을 이용한 PDLC 필름은 투명전극( Indium Tin Oxide, ITO)이 코팅된 두 장의 투명필름 사이에 형성된다.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외선 및 열을 조사하면 광개시제에 의해 올리고머와 모노머가 경화 반응을 일으키고 그에 따라 고분자 매트릭스가 형성 되면서 액정이 분리되어 액정 방울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PDLC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제작된 필름 제품은 유리에 부착되거나 블라인드 막으로 활용되는데, 곡면 유리에 부착되거나 블라인드 롤 권취에 의한 필름의 굽힘에 의해 액정 복합막과 ITO 전도성 필름 간의 박리(층분리)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액정 복합막과 ITO 전도성 필름 간의 박리(층분리)는 필름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된 가장자리에도 흔히 발생되어 제품 시공시 불량 등의 발생으로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4323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22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머에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됨으로써 제조된 필름의 탁도, 투과율, 광시야각 등의 기능이 확보되면서도 액정 복합막과 ITO 전도성 필름간의 부착력을 향상되어 필름의 절단이나 굽힘 등과 같은 물리적인 외력에 액정 복합막과 ITO 전도성 필름 간의 박리(층분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은, 폴리머와 네마틱 액정 혼합물 및 광개시제가 포함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에는 아크릴계 화합물인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은, 상기 폴리머는 NOA65(우레탄 올리고머), PU210(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U340(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HA(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PETA(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은, 상기 폴리머는 NOA65 20wt%, PU210 20wt%, PU340 20wt%, EHA 15 내지 30wt%, PETA 5wt%, HEA 5 내지 20wt%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은, 상기 폴리머와 상기 네마틱 액정 혼합물의 중량비는 (4 ~ 6) : (6 ~ 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은, 전도성 필름 하판과, 상기 전도성 필름 하판에 제4항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코팅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에 합지된 전도성 필름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은 폴리머에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됨으로써 제조된 필름의 탁도, 투과율, 광시야각 등의 기능이 확보되면서도 액정 복합막과 ITO 전도성 필름간의 부착력을 향상되어 필름의 절단이나 굽힘 등과 같은 물리적인 외력에 액정 복합막과 ITO 전도성 필름 간의 박리(층분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에 대한 구동 전압에 따른 탁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의 각 시험군의 T peel 강도 및 대조군 대비 증가율을 도시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에 대한 구동 전압에 따른 탁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의 각 시험군의 T peel 강도 및 대조군 대비 증가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은 폴리머와 네마틱 액정 혼합물 및 광개시제가 포함된 혼합물로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은 상기 폴리머에 아크릴계 화합물인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폴리머는 NOA65(우레탄 올리고머), PU210(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U340(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HA(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PETA(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되되, NOA65 20wt%, PU210 20wt%, PU340 20wt%, EHA 15 내지 30wt%, PETA 5wt%, HEA 5 내지 20wt%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머 혼합물에는 폴리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의 광개시제가 혼합되고, 네마틱 액정 혼합물은 (폴리머): (네마틱 액정 혼합물) = (4 ~ 6) : (6 ~ 4)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은 전도성 필름 하판과, 상기 전도성 필름 하판에 제4항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코팅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에 합지된 전도성 필름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1 : 폴리머 및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배합>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구성하는 폴리머 배합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전폴리머조성물 NOA65
wt%
PU210
wt%
PU340
wt%
EHA
wt%
PETA
wt%
HEA
wt%
시험군1 20 20 20 15 5 20
시험군2 20 20 20 20 5 15
시험군3 20 20 20 25 5 10
시험군4 20 20 20 30 5 5
대조군1 20 20 20 35 5 0
상기 시험군1 내지 4 및 대조군1에서 얻어진 폴리머에 광개시제(irgaqure 184)를 폴리머 100 중량에 대하여 1중량부를 혼합하고, 네마틱 액정 E7(merk사의 E7 nematic liquid crystal)을 배합비(폴리머 : 네마틱 액정) = (4:6) 중량비로 혼합 여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배합하였다.
<실시예2 :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시편 제작>
실시예1에서 배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 혼합물에 20cm의 볼 스페이서(ball spacer)를 첨가하여, 전도성 필름 하판으로 188 ITO 필름에 코팅한 다음 전도성 필름 상판 ITO 필름을 합지하고, UV선을 조사하여 PIPS(polymerization induced phase separation) 방법에 의해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크기 3cm×3cm의 시편에 100W/㎠의 광량을 갖는 저압 UV에 경화하여 1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3 : 투과율, 탁도 및 부착력 시험>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구동전압에 따른 탁도(Haze)를 Nippon denshoku사의 COH-400로 측정하여 아래의 표 2로 정리하였고, 도 1은 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동전압 0V 5V 10V 15V 20V 25V 30V
시험군1 86.72 75.12 50.12 25.02 10.35 7.58 5.9
시험군2 81.61 79.32 64.85 40.85 20.77 10.48 8.47
시험군3 78.75 78.75 72.3 50.79 36.88 18.79 9.76
시험군4 70.1 70.1 68.29 59.35 43.89 28.76 16.25
대조군1 69.85 69.85 69.2 60.5 45.49 29.55 20.56
표 2 및 도 1에 따르면, 시험군 1 및 시험군 2의 경우 15V의 구동 전압의 인가시 탁도가 40% 이하(투과율 60% 이상)로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저압 구동 전압에도 기능이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각의 시편에 대하여 110V 구동전압 ON/OFF시의 탁도(Haze)를 Nippon denshoku사의 COH-400로 측정하여 아래의 표 3으로 정리하였고, 도 1은 이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시험군 OFF Haze ON Haze(110V)
시험군1 86.72 5.78
시험군2 81.61 5.01
시험군3 78.75 3.14
시험군4 70.1 2.44
대조군1 69.85 3.19
표 2에 따르면 시험군1, 2의 경우 110V의 구동전압을 인가한 경우 탁도가 각각 5.78%, 5.01%)로 측정되어 충분한 투과율(90% 이상)의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각각의 시편에 대한 부착력을 T-박리(peel) 강도로 측정하였다. T-박리 강도는 만능재료시험기(UTM, Universal Testing Instrument Model) 설비를 사용하였으며, 시편 10개의 2.54Cm 변위가 발생되는 시점의 로드에 대한 평균값을 표 4 및 도 2에 정리하였다. 표 4에서 두께는 액정 복합막의 두께이다.
시험군 두께
(㎛)
평균T-peel 강도
(gf/2.54Cm)
시험군1 20 261.5
시험군2 20 229.4
시험군3 20 157.9
시험군4 20 130.1
대조군1 20 129.7
표 4 및 도 2에 따르면 대조군에 비하여 시험군 모두 T-peel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시험군 1 및 2의 경우 대조군1 대비 T-peel 강도가 각각 202%, 177%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시험 결과 HEA의 첨가는 구동 전압을 하향시키며(표 2참조), OFF 상태에서 탁도를 높이는 것(표 3 참조)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HEA가 액정과의 상분리를 화학적으로 크게 유도하여 적정 액정의 크기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표 3에서 상기와 같이 시험군 모두에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투명 전극간의 접차력이 크게 증가하는 이유는 HEA의 수산기가 ITO의 표면과 강하게 결합하기 때문이며, HE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접착력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HEA를 20wt% 이상 다량으로 첨가할 경우, HEA가 단관능 모노머 이기때문에 중합의 정지 반응을 유도하고, 액정과의 희석성 및 상용성 저하로 인해 조액 상태에서 상분리가 발생되어 HEA는 20wt%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폴리머와 네마틱 액정 혼합물 및 광개시제가 포함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에는 아크릴계 화합물인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NOA65(우레탄 올리고머), PU210(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PU340(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EHA(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PETA(펜타에리트리톨 트리 아크릴레이트) 및 HEA(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NOA65 20wt%, PU210 20wt%, PU340 20wt%, EHA 15 내지 30wt%, PETA 5wt%, HEA 5 내지 20wt%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와 상기 네마틱 액정 혼합물의 중량비는 (4 ~ 6) : (6 ~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5. 전도성 필름 하판과,
    상기 전도성 필름 하판에 제4항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을 코팅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과,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에 합지된 전도성 필름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KR1020190153588A 2019-11-26 2019-11-26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KR10231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88A KR102316344B1 (ko) 2019-11-26 2019-11-26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88A KR102316344B1 (ko) 2019-11-26 2019-11-26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76A true KR20210064876A (ko) 2021-06-03
KR102316344B1 KR102316344B1 (ko) 2021-10-21

Family

ID=7639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588A KR102316344B1 (ko) 2019-11-26 2019-11-26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3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230A (ko) 2002-11-16 2004-05-24 대한민국(부산대학교 총장) 폴리우레탄계 전구체와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고분자분산 액정복합막
KR100812276B1 (ko) 2006-12-28 2008-03-13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전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 액정 복합막
KR20170074509A (ko) * 2015-12-22 2017-06-3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그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및 액정 소자
KR101887670B1 (ko) * 2016-01-25 2018-08-10 주식회사 하성이노스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230A (ko) 2002-11-16 2004-05-24 대한민국(부산대학교 총장) 폴리우레탄계 전구체와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고분자분산 액정복합막
KR100812276B1 (ko) 2006-12-28 2008-03-13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전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 액정 복합막
KR20170074509A (ko) * 2015-12-22 2017-06-3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그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및 액정 소자
KR101887670B1 (ko) * 2016-01-25 2018-08-10 주식회사 하성이노스 내후성 및 열차단 성능이 향상된 조광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조광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344B1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0899B2 (en) Polymer formulations for use with electro-optic media
KR101566060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66061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CN103937417B (zh) 粘合剂膜、粘合剂组合物和包含该粘合剂膜的显示器
JP2011507034A (ja) 液晶ディスプレイ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CN102540542A (zh) 一种聚合物分散液晶薄膜及其制造方法
KR20170074509A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그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및 액정 소자
JP4946288B2 (ja) 偏光板
KR20160093803A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TWI804547B (zh) 光硬化性樹脂組合物、及圖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JP6894686B2 (ja) 粘接着剤組成物、粘接着剤、粘接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100812275B1 (ko) 전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역방식 고분자 분산 액정복합막
KR101577372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및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KR102316344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KR100812276B1 (ko) 전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 액정 복합막
KR102316331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US928448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JP5386630B1 (ja) 高分子/液晶複合材料および調光デバイス
KR101100533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EP4269534A1 (en) Anthraquinone compound containing liquid cryst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light, photocured product thereof, and light-controlling element
KR102316335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
KR101099932B1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KR102671405B1 (ko) 전기 변색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장치
KR101795063B1 (ko) 올리고머를 이용한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EP4269535A1 (en) Anthraquinone compound containing liquid cryst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light, photocured product thereof, and light-controll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