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280A -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 - Google Patents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280A
KR20130057280A KR1020110123113A KR20110123113A KR20130057280A KR 20130057280 A KR20130057280 A KR 20130057280A KR 1020110123113 A KR1020110123113 A KR 1020110123113A KR 20110123113 A KR20110123113 A KR 20110123113A KR 20130057280 A KR20130057280 A KR 20130057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polym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3219B1 (ko
Inventor
이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렉스
이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렉스, 이찬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렉스
Priority to KR1020110123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2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1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n

Abstract

항균성, 살균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경화성수지 고형분 20 내지 60 중량부와,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 0.1 내지 10 중량부와, 금속산화물 미립자 0.1 내지 25 중량부, 및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과량의 물로 가수분해하여 생성한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 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고분자 필름의 제조단계에서 혼합하여 단열성 및 항균성 등이 우수한 기능성 고분자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RESIN COMPOSITIONS HAVING INSULATION EFFECT AND ANTIBIOTIC EFFECT, FUNCTIONAL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성, 살균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나노기술의 발달로 나노 크기를 갖는 무기입자 또는 금속입자들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해졌다. 무기물 또는 금속의 나노 입자들은 그들의 극대화된 표면적 및 양자효과로 인해 벌크(bulk) 상태에서 나타내는 물리, 화학적 성질들을 적은 양으로도 뛰어나게 구현할 뿐만 아니라, 벌크 상태에서와는 다른 성질들을 나타내기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나노 입자들은 극소량 사용하여도 벌크 상태로 사용되는 재료와 거의 동등하거나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나노 입자들은 극소량 사용되기 때문에 인체 및 환경에 대한 독성도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도 유익한 재료로 인정되어, 새로운 재료로 각광받으며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나노 입자들을 합성섬유, 플라스틱 성형품, 필름, 도료, 잉크 등의 고분자수지 제품에 혼입시켜 복합재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고분자수지와 무기 또는 금속 나노 입자와의 낮은 상용성, 응집, 불균일 분포 등으로 인한 복합재료의 물성의 열화 및/또는 불투명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여, 나노 입자화에 따른 의도하는 효과를 수득하는 것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불상용성, 응집, 불균일 분포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분산제와 같은 상용화제의 사용이나, 나노 입자 존재하의 중합반응 등의 방법들이 제안되었지만, 아직 만족스러운 해결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다.
한편, 은(銀, silver)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으로서 항균, 살균, 항곰팡이, 탈취, 원적외선 방출, 대전 방지 등의 복합적인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고대로부터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은은 값비싼 귀금속이기 때문에, 은의 전도성, 항균성, 탈취성 등을 경제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미립자화, 실리카와 제올라이트 등의 다공성물질에 담지, 코팅 또는 도금을 통해 이용하여 왔다.
나노 크기로 미립자화 된 은나노 입자들은 벌크상의 은에 비해 더욱 탁월한 성질들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어, 은나노 입자를 분말 또는 액상으로 제조하는 나노기술에 대해 여러 연구가 있었다. 한편, 이렇게 제조된 은나노 입자를 사용한 연구에서, 은나노 입자들은 어떠한 종류의 세균들에 대해서는 수초 이내에 99% 이상의 살균력을 보여주는 등, 벌크상의 은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항균, 살균, 항곰팡이 등의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나노 입자화 된 은을 중합체와 같은 고분자수지에 첨가하여 섬유, 필름 등과 같은 항균성 물품을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콜로이드 상태의 은나노 입자들은 건조 시에 서로 응집하여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입자로 성장하게 되며, 고분자수지 내에서 나노미터 크기로 재 분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말상태의 은나노 입자들은 중합체와 같은 고분자수지와의 상용성이 적어 혼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입자의 응집 등은 필연적으로 나노 입자화에 따른 우수한 효과를 반감시키며, 은나노 입자-고분자수지 복합재료의 물성, 즉 고분자수지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특히 섬유 또는 필름 형태로 제조를 불가능하게 한다.
이밖에도, 은나노 입자와 모노머를 포함하는 용액의 중합반응에 의해 은나노 입자를 고분자수지 내에 혼입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은나노 입자가 비교적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합재료를 얻을 수 있지만, 용액중합에만 적용할 수 있고, 은나노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분산제 등의 첨가제가 중합반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첨가제로 분산제를 사용하면 은나노 입자의 응집은 상당히 억제되지만,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중성 물성이 산성화되어 항균성이 저하하거나 복합재료의 물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고분자수지의 물성 및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은의 항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복합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17180호(2011.02.2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55197호(2003.07.0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6491호(2003.05.0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49007호(2003.06.25 공개)
따라서,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경화성수지에 나노 크기의 은 입자가 함유된 콜로이드 용액과 금속산화물 미립자를 혼합시킴으로써, 도포 후 항균성, 살균성, 항곰팡이성, 단열성, 탈취성,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고분자 필름에 도포하거나, 액상 또는 팰릿(pallet) 형태의 고상의 고분자 원료물질과 균일하게 혼합하여 필름형태로 제조함으로써 항균성, 살균성, 항곰팡이성, 단열성, 탈취성,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열차단 및 향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다층 구조의 기능성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경화성수지 고형분 20 내지 60 중량부;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 1 내지 10 중량부;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이 0.1 내지 100 ㎛의 두께로 도포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이 고분자 필름 제조를 위한 고분자 원료물질과 균일하게 혼합되어 제조된 기능성 필름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차단 필름과 상기 열차단 필름 상에 형성되는 상부 고분자 필름, 및 상기 상부 고분자 필름 상에 형성되고, 제 2 경화성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및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 1 내지 10 중량부를 가지는 항균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건축물의 창호에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고분자 필름의 제조단계에서 혼합하여 단열성 및 항균성 등이 우수한 기능성 고분자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이 사용된 고분자 필름은 창호를 통한 열 손실의 원인되는 열관류율을 최소화하여 여름에는 냉방 부하를 줄일 수 있고, 겨울철에는 열에너지 효율성의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로 세척한 이후에도 부착된 물체의 표면에 99% 이상의 항균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세척액이나 이슬 등에 의해 습기가 잔존하게 되더라도 고분자 필름은 표면에 항균력 및 살균력을 부여하여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한다.
또한, 지진이나 강풍 등에 의해 창호의 유리가 파손되더라도 파편이 사방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차단하여주는 효과도 갖는다.
이와 같이,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물체나 건축물에 적용하면, 해당 물체에 항균력, 살균력, 탈취력을 부여함으로써, 손이나 발 등의 접촉을 통해 세균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당 건축물은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공중이 이용하는 공공물의 표면 등을 지속적으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중위생 활동 없이도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기능성 필름은 각종 터치패널, PDP, LCD 등의 표면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표면의 내구성을 강화시켜 손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접촉되어도 흠집이 발생되는 것이 억지된다. 이와 같이, 액정의 흠집 발생이 억지됨에 따라 액정의 교체주기가 길어져 전자제품의 관리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이하, "수지 조성물"이라 한다)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필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수지,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 금속산화물 미립자, 및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은 건축물의 유리창이나 자동차의 창문에 적용하여 각종 세균 및 자외선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사용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터치폰을 비롯하여 은행과 증권사의 ATM기기, 관공서에서 사용되는 민원발급기 등에 사용되는 TFT-LCD 등의 터치패널, 쇼핑카트의 손잡이 등의 표면부에 적용하여 각종 세균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표면부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성분들은 서로 화학적인 작용을 통하여 공동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는 화학 물질의 특성상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기능 성분에만 의존 한다기보다는 여러 조성의 조합과 그 조합량에 특이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수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수지는 고형분을 기준으로 20 내지 60 중량부 사용되고, 이때 상기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0.1 내지 10 중량부, 금속산화물 미립자는 0.1 내지 25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상기 경화성 수지는 건조된 수지 조성물의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H 내지 5H(표준번호 KS M ISO 15184:2002 방법에 의함)의 경도를 갖는 열경화성수지, UV경화성수지, 열 및 UV 동시 경화성수지, 습기경화성수지 또는 이들을 2 이상 혼합한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열경화성수지로는 에폭시수지,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불소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UV경화성수지로는 어떠한 UV경화성수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25 내지 35 중량부, 반응성 모노머 희석제 10 내지 27 중량부, 접착촉진제 1 내지 3 중량부,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 이하 "MEK"라 한다.) 15 내지 20 중량부, 톨루엔 20 내지 2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UV경화성수지에는 기타용제 5 내지 27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성 모노머 희석제로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모노머, 삼관능 아크릴레이트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경화성수지로는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25 내지 35 중량부, 반응성 모노머 희석제 15 내지 40 중량부, 접착촉진제 1 내지 3 중량부, 광개시제 8 내지 14 중량부, 레벨링제 0.5 내지 1.5 중량부, MEK 15 내지 20 중량부, 톨루엔 20 내지 25 중량부 및 부틸아세테이트 1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성 모노머 희석제로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이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삼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 및 UV 동시 경화성수지로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65 중량부, 반응성 모노머 15 내지 60 중량부, 광개시제 2 내지 10 중량부, 레벨링제 0.5 내지 5 중량부 및 경화제 20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로는 단관능 모노머, 2관능 모노머, 3관능 모노머, 다관능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관능 모노머로는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데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베헤닐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에톡시레이티드모노아크릴레이트, 베타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4-부틸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테닐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모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관능 모노머로는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3관능 모노머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을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프로필레이티드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모노머로는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콕시레이티드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을 띠는 벤조페논계, 벤조인, 벤조인에테르계, 벤질케탈계, 아세토페논계, 안트라퀴논계, 티옥산톤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레벨링제는 실리콘 디아크릴레이트계나 실리콘 폴리 아크릴레이트계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경화제는 산무수물과 아민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습기경화성 수지로는 습기 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수지는 고형분 기준으로 20 내지 60 중량부가 사용된다. 이때,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없다. 또한, 경화성수지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전체 조성에서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과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첨가량이 감소하여 항균성이나 단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포함한다.
상기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어 항균력, 살균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항곰팡이성, 탈취성이 우수하다.
상기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은나노 입자가 콜로이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산질로서 1 내지 20㎚ 크기의 은나노 입자와 분산매로서 수계, 유기용제계, 또는 수계와 유기용제계의 혼합물을 사용하는게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매로는 물, 알코올,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류(메틸셀루솔브, 에틸셀루솔브, 부틸셀루솔브 등), 에스테르류(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등),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 이하, "DMF"라 한다.), n-메틸피로리딘, 프로필렌 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베이직 에스테르, 디메틸카보네이트, 또는 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25℃에서 5 내지 10 ㎫ㅇs 범위의 점도를 나타내며, 25℃에서 0.97 내지 0.99 범위의 액상비중을 가지는 물성의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분산제, 반응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산제로는 왁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첨가제로는 퓨란계, 타이타니아계, 지르코니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0.1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된다. 이때,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은나노 입자의 함량이 낮아서 필름에 도포하거나, 필름 제조 시에 필름제조용 고분자 원료물질, 예를 들면 고분자 용융액(액상의 고분자) 또는 팰릿 형태의 고상의 고분자 필름 제조용 원료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필름의 표면에 증식하는 세균을 살균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향상은 미비하지만 생산비가 증가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은 100 중량%를 기준으로 은나노 입자 1 내지 7 중량%와 물, 알코올,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류(메틸셀루솔브, 에틸셀루솔브, 부틸셀루솔브 등), 에스테르류(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등), DMF, n-메틸피로리딘, 프로필렌 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베이직 에스테르, 디메틸카보네이트, 톨루엔, 또는 이들을 2 이상 혼합한 분산매를 93 내지 99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금속산화물 미립자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산화물 미립자는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어 단열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 특성을 유지해 유리 본연의 투광성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도 복사열의 대부분을 함유하는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거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실내외 온도차이가 클 경우에도 유리를 통한 열전달이 거의 없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금속산화물 미립자로는 가시광선의 차단성이 낮고 자외선 및 적외선의 차단성이 우수한 ZnO나 InO2 또는 SnO2 또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결과적으로 열전달을 차단하는 IZO(Indium Zinc Oxide) 또는 ATO(Antimony Tin 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금속산화물 미립자는 0.1 내지 25 중량부가 포함된다. 이때,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함량이 낮아서 필름으로 입사되는 햇빛에 포함된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거나, 흡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 미립자의 함량이 25 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향상은 미비하지만 생산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어 친수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무수한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금속미립자 화합물이 이러한 기공에 안착되어 안정적고 균일하게 본 조성물에 분포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과량의 물로 가수분해하여 생성된다. 이때, 상기 실리케이트 화합물로는 메틸실리케이트나 에틸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과량의 물로 가수분해하여 생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가수 분해된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그 상태가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가수 분해된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그대로 실온에서 방치하면 겔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제조된 즉시 에틸알콜이나 메틸알콜을 이용하여 20% 이하의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에틸실리케이트에 빙초산 등의 산촉매를 첨가하여 pH를 3 내지 5로 조정한 다음,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물을 적하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된다. 이때, 물의 이론 필요량은 에틸실리케이트의 약 1/6배 정도에 해당되지만, 본 발명의 가수 분해에서는 이론 필요량 보다 과량, 예를 들면 이론 필요량의 6배 정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은 1 내지 25 중량부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이 포함된 수지 조성물이 유리창의 표면에 도포되면, 유리창의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코팅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코팅으로 유리창의 표면적은 수십 내지 수백 배 이상 증대되기 때문에 유리창의 표면에 잔존하는 물 입자는 넓게 퍼지게 되어 물에 의한 얼룩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필름에 부착증진을 위하여 실란 커플링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실란 커플링 첨가제로는 비닐관능기의 트리메톡시 실란, 클로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글리시딜 에테르 관능기의 트리메톡시 실란,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의 트리메톡시 실란, 1급아민 관능기 및 2관능 아민 관능기의 트리메톡시 실란, 머캅토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양이온 스터럴 트리메톡시 실란, 크로스링커 트리메톡시 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로는 필름 표면의 전기 저항을 작게 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먼지의 흡착을 막기 위해 대전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는 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된다. 이때,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낮아서 필름에 도포하거나, 필름 제조 시에 대전효과를 달성할 수 없으며,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사용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향상은 미비하지만 생산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이 고분자 필름에 적용된 기능성 필름을 제공한다.
먼저,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액상 또는 고상의 고분자 필름 제조용 고분자 원료물질과 균일하게 혼합하여 기능성 필름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 조성물은 0.1 내지 40 중량%, 상기 고분자 원료물질은 60 내지 99.9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0.1 중량% 미만 사용하면 충분한 항균성 및 단열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반대로 4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고가인 은나노 콜로이드의 사용량 증가에 따라 제품의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필름형태로 제조된 완성품을 각종 기기나 제품 등에 적용할 때 요구되는 필름으로서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 고분자 필름 제조용 고분자 원료물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ABS,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나일론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액상 또는 고상의 고분자 원료물질이거나, 이런 원료물질들을 2 이상 혼합한 고분자의 원료물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지 조성물과 상기 고분자 원료물질을 혼합하여 제작한 기능성 필름은 표면뿐만 아니라 필름 전체가 항균성, 단열성 등의 기능성을 가지므로, 설사 표면 필름이 손상되더라도 항균성, 단열성 등의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필름형태로 제작된 고분자 필름 표면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기능성 필름을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1 내지 300 ㎛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ABS,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나일론 소재의 필름이거나, 이러한 각각의 고분자 필름 제조를 위한 원료물질을 복수 개 혼합하여 제작한 복합소재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기능성 필름은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0.01 내지 100 ㎛ 두께의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고분자 필름에 300 내지 500 mJ/㎠의 자외선(UV) 광량을 제공하는 동시에 70 내지 80℃로 2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필름은 30 내지 70 ㎛ 두께의 제 2 고분자 필름, 상기 제 2 고분자 필름의 상부에 구비된 제 1 실리콘 압력밀봉접착제(Pressure Sealing Adhesive: PSA) 점착층, 상기 제 1 실리콘 PSA 점착층의 상부에 구비된 1 내지 300 ㎛ 두께의 고분자 필름, 상기 고분자 필름 상부에 구비된 수지 조성물, 상기 수지 조성물 상부에 구비된 제 2 실리콘 PSA 점착층, 및 상기 제 2 실리콘 PSA 점착층의 상부에 구비된 30 내지 70 ㎛ 두께의 제 3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고분자 필름과 제 3 고분자 필름은 상기 고분자 필름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 고분자 필름 및 제 3 고분자 필름이 구비된 기능성 필름은 제품에 사용하는 시점에, 제 1 실리콘 PSA 점착층으로부터 제 2 고분자 필름을 분리시키고, 제 2 실리콘 PSA 점착층으로부터 제 3 고분자 필름을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고분자 필름 및 제 3 고분자 필름은 임의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고분자 필름의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필름구조에 본 항균 및 열차단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필름 층마다 필요한 구별되는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 두 개 층으로 이루어진 필름의 경우, 외부로 드러나는 상부필름에는 항균성을 부여하고, 하부필름에는 열차단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필름은 열차단 기능을 나타내는 공지의 염료필름이나 반사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부필름으로 하부 고분자 필름, 및 상기 하부 고분자 필름 상에 형성되고, 제 1 경화성수지 고형분 20 내지 50 중량부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0.1 내지 25 중량부를 가지는 열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고분자 필름은 PET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경화성 수지는 앞선 실시예에서 예시된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차단을 하는 금속산화물 미립자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열을 반사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필름 상에 상부 필름이 형성되는 데, 상기 상부필름은 상기 열차단 필름 상에 형성되는 상부 고분자 필름, 및 상기 상부 고분자 필름 상에 형성되고, 제 2 경화성수지 20 내지 60 중량부 및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 0.1 내지 10 중량부를 가지는 항균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필름의 경우, 외부로 드러나고 사람이 직접 접촉하는 하는 층이므로 항균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필름은 예를 들면, PET 등의 고분자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경화성 수지는 앞선 실시예에서 예시된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경화성 수지는 상기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가 분산될 수 있고, 외부의 마찰이나 충격에 손상이 적게 되는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는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UV경화성수지 제조
교반기 및 냉각기가 장치되어 있는 반응용기에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250g,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50g,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100g, 접착촉진제 30g, MEK 200g, 톨루엔 250g, 부틸아세테이트 50g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400rpm으로 교반하고 방치하여 기포가 제거된 UV경화성수지를 수득하였다.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제조
1. 물 592g에 AgNO3 1.863g, 이소프로필알코올 395g 및 75:25 혼합중량비의 (1-비닐 피롤리돈)-아크릴산 공중합체(M.W. 96,000) 11.137g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2. 1시간 동안 N2 가스로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기를 완전히 밀폐시켰다.
3. 30KGy 선폭량이 되도록 감마선 처리하여 노란색의 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을 수득하였다.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 제조
교반기에 에틸실리케이트 100g과 빙초산 15% 용액 5g을 투입하고, 상온에서 10분 동안 400rpm으로 교반하면서 100g의 물을 조금씩 적하하여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상기 UV경화성수지 40g,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3g, 수용성 실리케이트 화합물 5g, 산화주석 미립자 10g을 1시간 동안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2. 100 ㎛ PET 필름의 상부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자외선 광량을 400mJ/㎠로 하여 온도 75℃하에서 2분 동안 건조하여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에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되, 실시예의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 3g을 첨가하지 않고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항균성 효과 시험 및 결과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을 대상으로 필름밀착법(JIZ Z 2801:2006)을 사용하여 기능성 필름의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필름은 Stomacher 400 poly-bag을 사용하였고, 시험균액을 35ㅁ 1℃, RH 90% 에서 24시간 정치 배양후 균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1로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필름은 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대해 2.0 이상의 항균활성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필름은 건축물의 유리창이나 터치패널, 자동판매기의 버튼이나 쇼핑카트의 손잡이에 사용되면, 우수한 세균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경화성수지 고형분 20 내지 60 중량부;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 0.1 내지 10 중량부;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0.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리케이트 화합물을 과량의 물로 가수분해하여 생성한 수용성 다공질의 실리케이트 화합물 1 내지 2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3. 고분자 필름; 및
    상기 고분자 필름 상에 0.01 내지 100 ㎛의 두께로 도포된, 경화성수지 고형분 20 내지 60 중량부,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 0.1 내지 10 중량부,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0.1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4. 제 1 항에 따른 수지 조성물이 고분자 필름 제조를 위한 고분자 원료물질과 균일하게 혼합되어 제조된 기능성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0.1 내지 40 중량%가 사용되고, 상기 고분자 원료물질은 60 내지 99.9 중량%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부티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ABS,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소재의 필름 또는 이들을 2 이상 혼합하여 제조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7. 열차단 필름; 및
    상기 열차단 필름 상에 형성되는 상부 고분자 필름, 및
    상기 상부 고분자 필름 상에 형성되고, 제 2 경화성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및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 용액 1 내지 10 중량부를 가지는 항균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 필름은
    하부 고분자 필름; 및
    상기 하부 고분자 필름 상에 형성되고, 제 1 경화성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및 금속산화물 미립자 1 내지 25 중량부를 가지는 열차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 필름이 열을 차단하는 염료 필름 또는 반사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화성 수지는 상기 은나노 입자 콜로이드가 분산될 수 있는 내스크래치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KR1020110123113A 2011-11-23 2011-11-23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 KR10141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13A KR101413219B1 (ko) 2011-11-23 2011-11-23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113A KR101413219B1 (ko) 2011-11-23 2011-11-23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280A true KR20130057280A (ko) 2013-05-31
KR101413219B1 KR101413219B1 (ko) 2014-06-30

Family

ID=4866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113A KR101413219B1 (ko) 2011-11-23 2011-11-23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21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158B1 (ko) * 2014-06-02 2014-10-22 송정민 열 차단 수지 조성물
KR101642453B1 (ko) 2015-11-02 2016-07-25 한국화학연구원 가시광선 영역의 높은 광활성, 은폐력 및 항균력이 우수한 견운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견운모
CN108165063A (zh) * 2016-12-02 2018-06-15 法国亿讯电缆集团 用于总线线束热伸缩护套的抗真菌清漆
KR20200054260A (ko) * 2017-09-15 2020-05-19 사우스월 테크놀로지즈 인크. 적층 광학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82773B1 (ko) * 2021-05-10 2021-07-28 이상진 항균 uv 스프레이 코팅제
WO2021237005A1 (en) * 2020-05-21 2021-11-25 Kuprion Inc. Garments, gloves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enhanced with metal nanoparticle agglomerates
KR20220010219A (ko) * 2020-07-17 2022-0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투명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30105A (ko)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폴리카보네이트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874B1 (ko) * 2021-12-13 2023-02-14 율촌화학 주식회사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784A (ko) 2015-02-16 2016-08-24 이동열 창호 코팅용 단열스프레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코팅 방법, 그 창호
KR101982809B1 (ko) * 2017-11-10 2019-05-27 조예나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9356B2 (ja) * 2006-05-29 2008-01-09 東洋紡績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KR100805160B1 (ko) 2006-12-12 2008-02-25 바이오신텍스 주식회사 일라이트가 함유된 마스터배치 칩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필름, 사출물, 섬유 및 보온덮개
KR101038875B1 (ko) * 2009-09-04 2011-06-02 전순희 음이온 항균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신선도 유지 음이온 항균 수지 필름
KR101145276B1 (ko) * 2010-03-23 2012-05-24 황태경 승화성 분산염료-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을 이용한 염착 코팅형 태양광 반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158B1 (ko) * 2014-06-02 2014-10-22 송정민 열 차단 수지 조성물
KR101642453B1 (ko) 2015-11-02 2016-07-25 한국화학연구원 가시광선 영역의 높은 광활성, 은폐력 및 항균력이 우수한 견운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견운모
CN108165063A (zh) * 2016-12-02 2018-06-15 法国亿讯电缆集团 用于总线线束热伸缩护套的抗真菌清漆
CN108165063B (zh) * 2016-12-02 2020-10-23 法国亿讯电缆集团 用于总线线束热伸缩护套的抗真菌清漆
KR20200054260A (ko) * 2017-09-15 2020-05-19 사우스월 테크놀로지즈 인크. 적층 광학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237005A1 (en) * 2020-05-21 2021-11-25 Kuprion Inc. Garments, gloves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enhanced with metal nanoparticle agglomerates
KR20220010219A (ko) * 2020-07-17 2022-0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투명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30105A (ko)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폴리카보네이트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282773B1 (ko) * 2021-05-10 2021-07-28 이상진 항균 uv 스프레이 코팅제
KR102498874B1 (ko) * 2021-12-13 2023-02-14 율촌화학 주식회사 항균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3219B1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219B1 (ko)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
KR101160190B1 (ko) 나노 크기의 은 입자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필름
Nikolic et al. Use of nanofillers in wood coatings: a scientific review
JP3982466B2 (ja) 熱線遮蔽成分分散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分散体を用いて得られる熱線遮蔽膜形成用塗布液と熱線遮蔽膜並びに熱線遮蔽樹脂成形体
CN101760110A (zh) 一种紫外光固化的纳米透明隔热复合涂料
CN1990610B (zh) 抗菌和抗静电多功能硬质涂料组合物
WO2007145285A1 (ja) ポリマー被覆金属酸化物微粒子およびその応用
CN105143373B (zh) 涂布剂组合物及抗菌/抗病毒性构件
Hadavand et al. Preparation of modified nano ZnO/polyester/TGIC powder coating nanocomposite and evaluation of its antibacterial activity
WO2004033558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成形体
JP2016020431A (ja) 金属酸化物粒子分散液、金属酸化物粒子含有組成物、塗膜、表示装置
JP4308252B2 (ja) 帯電防止被覆された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法
US8628845B2 (en) Heat ray shielding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09084398A5 (ko)
JP6217353B2 (ja) 透明樹脂組成物及び塗膜並びに熱線遮蔽フィルム
Buruga et al. A facile synthesis of halloysite nanotubes based polymer nanocomposites for glass coating application
RU235363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с антистатическим покрытием
JP4144477B2 (ja) 液状硬化性組成物、硬化膜及び帯電防止用積層体
JP2008137848A (ja) 無機酸化物透明分散液と透明複合体、発光素子封止用組成物および発光素子並びに透明複合体の製造方法
CN101124267B (zh) Uv固化的促进
KR101141736B1 (ko) 자외선 차단 및 친수성 코팅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필름
JP3654609B2 (ja) 熱線遮断性樹脂組成物および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
JP2008308584A (ja) 無機酸化物透明分散液と透明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397811A (zh) 一种抗污地毯及其制备方法
KR20180007742A (ko) 에너지 절감형 코팅액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