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210B1 - 에어백 모듈용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용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210B1
KR101887210B1 KR1020137017220A KR20137017220A KR101887210B1 KR 101887210 B1 KR101887210 B1 KR 101887210B1 KR 1020137017220 A KR1020137017220 A KR 1020137017220A KR 20137017220 A KR20137017220 A KR 20137017220A KR 101887210 B1 KR101887210 B1 KR 101887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support
retaining
spring eleme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496A (ko
Inventor
가르시아 페르난도 호세 에이레오스
Original Assignee
델피 메탈 에스파나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메탈 에스파나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델피 메탈 에스파나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3012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는 제1 부분, 특히 래치 후크(30)를 포함하는 핸들 인서트(28), 제2 부분, 특히 래치 후크(30)를 위한 통로 개구(14)와 스프링 요소(18)를 위한 홀더(16)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기부 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지지부(22) 및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한 유지부(24)를 구비한 스프링 요소(18)를 또한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18)는, 유지부(24)가 시작 위치로부터 래치 후크(30)를 통로 개구(14)를 통하여 안내할 수 있는 편향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유지부(24)가 래치 후크(30)의 유지면(40)에 대하여 눌려지는 유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홀더(16)에 유지된다. 그에 반하여, 지지부(22)는 홀더(16)에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용 고정 장치{FASTENING DEVICE FOR AN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 모듈들을 고정하기 위해, 에어백 모듈 또는 핸들에 형성된 래치 후크가 핸들 또는 에어백 모듈에 배치되는 디텐트 스프링에 의해 빠지지 않게 고정되는 복수의 상이한 스프링 디텐트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모든 시스템들에서(예를 들어 독일 특허공보 DE 299 08 967호를 인용함), 에어백의 방출시에 힘들을 견딜 수 있고 핸들에 모듈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약 2 - 3 mm의 최소 직경을 갖는 둥근 스프링 와이어로 만들어진 스프링이 구부러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스프링들은 조립하는 동안 휴지 상태에서 벗어난 스프링 암들을 눌려 스프핑 암들을 장착 위치로 넣기 위해 래치 후크들이 지나갈 수 있는 위치로 스프링 암들을 누르기 위하여 상당한 수고를 들여야만 모듈이 핸들에 수용되게 눌려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것은 모든 래치 후크들이 정확하게 결합되어 있는지에 관하여 추가적인 점검을 요구한다.
통상적인 와이어 스프링들로 에어백 모듈들을 조립할 때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유럽 특허출원 공개공보 EP 2 145 801 A1호에서 포괄적인 고정 장치를 제안하였다. 둥근 와이어 스프링 대신에, 플레이트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2개의 평행한 길다란 암들을 갖는 평평한 철로 만들어진 U자형 스프링이 제안되었다. 플레이트의 통로 개구(passage opening)를 통하여 래치 후크를 삽입할 때 처음에 전체 스프링은 회전을 실행하고 후속해서 암들 중의 하나가 편향(deflection)되도록 스프링의 이동 자유도는 한편으로, 브리지 형태의 요소들에 의해서 다른 한편으로, 핀들에 의해서 제한되었다. 홀더(스프링을 압축하지 않고)에서 스프링을 전체로서 변위시킴으로써, 래치 후크를 결합하기 위해 제공된 개별적인 비교적 긴 스프링 암은 그 다음에 단지 작은 정도로 평향되었다. 이 방식에서 에어백 모듈을 조립하는 수고는 이미 상당히 감소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고정에서는 플레이트에 대한 스프링의 방해받지 않는 낮은 마찰 이동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특히 스프링은 조립하는 동안 전체로서 회전하기 적합하게 되어야 하고, 따라서 여유가 제공되어야 한다. 더욱이, 특히 결합 이전에 스프링이 움직일 수 없게 되는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치수, 통로 개구, 브리지 형상의 요소들과 서로에 대한 핀들의 배열 뿐만 아니라 스프링(굽힘)의 형상에서의 허용 공차 한계가 엄격하게 준수되어야 한다. 이것은 비용이 높은 제조를 수반한다. 게다가, 스프링의 회전은 모듈의 수용 챔버에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공간 및 모듈을 조립하기 위해 적은 수고를 요하는 스프링 요소를 사용하여 에어백 모듈의 간단하고 안전한 고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유리하고 편리한 구성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는 제1 부분, 특히 래치 후크를 포함하는 핸들 인서트과 제2 부분, 특히 래치 후크를 위한 통로 개구와 스프링 요소를 위한 홀더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기부(base)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지지부(bearing section) 및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한 유지부(retaining section)를 포함하는 스프링 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스프링 요소는, 유지부가 시작 위치로부터 통로 개구를 통하여 래치 후크를 안내할 수 있는 편향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유지부가 래치 후크의 유지면에 대하여 눌려지는 유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홀더에 유지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부가 홀더에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움직이지 않게"라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래치 후크가 안내될 때 스프링 요소의 지지부가 변위되지 않고, 회전 또는 편향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지부의 움직이지 않는 지지로 인하여, 스프링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소정 위치를 맞추며 전체 고정 작업 동안 동일한 위치를 유지한다. 유지부가 지지부에 대하여 편향되지만, 제2 부분 상에서 스프링 요소의 위치 그 자체는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이 방식에서 스프링 요소의 움직일 수 없음(jamming) 또는 조립 불량의 위험성은 최소화된다.
스프링 요소의 특히 콤팩트한 설계는 지지부와 유지부를 연결하는 기부를 갖는 평평한 강으로 만들어진 스프링 요소의 실질적으로 U자형 구성의 결과로부터 나타나며, 유지부는 지지부와 면하고 바람직하게는 래치 후크가 통로 개구를 통하여 안내될 때 지지부를 향하여 편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요소는 기부와 함께 시작하여 정지부까지 홀더에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은 고정 장치의 제2 부분에 스프링 요소의 매우 간단하고 편리한 사전 조립을 야기한다. 정지부에 대하여 분명하게 접하기 때문에, 사전 조립하는 동안 스프링 요소의 불완전한 삽입의 위험은 감소된다.
스프링 요소의 유리한 구성은 유지부와 지지부 사이의 거리가 기부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도록 유지부와 지지부가 스프링 요소의 기부로부터 연장함과 더불어 스프링 요소가 기부를 향하여 테이퍼진(tapered) 것을 제공한다.
스프링 요소의 전술한 구성의 장점은 스프링 요소의 삽입 방향에서 홀더의 측면의 접촉면들이 대체로 스프링 요소보다 심하게 테이퍼를 형성하는 홀더의 구성과 조합에서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설계는 스프링 요소의 삽입에 의해 스프링 요소의 바이어스를 자동적으로 이미 달성한다.
스프링 요소의 형상이 에어백 모듈의 기부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의 방향에 맞추어진 경우에, 유지부는 스프링 요소의 기부로부터 연장된 제1 유지 세그먼트 및 제1 유지 세그먼트로부터 둔각으로 연장된 제2 유지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제2 유지 세그먼트가 래치 후크에 대해 작용한다.
스프링 요소의 유지 세그먼트를 보강하기 위해서 적어도 제2 유지 세그먼트는 C자형 단면을 갖는 구성이 유리하다. 이것은 에어백 모듈의 활성화 때에 발생하는 부하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유지력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유지 세그먼트의 C자형 단면은 확대된 접촉면으로 인하여 스프링 요소로부터 래치 후크로 힘의 양호한 전달을 제공한다.
상부 및/또는 하부 날개부(wing section)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 및/또는 지지부와 면하는 특히 지지부를 향한 제2 유지 세그먼트의 벽에 수직으로 연장, 및/또는 C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제2 유지 세그먼트의 벽의 상부 및/또는 하부 에지에 연결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2 유지 세그먼트의 구역에서 스프링의 비틀림 강성이 둥근 단면과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통상적인 스프링의 수준을 훨씬 초과하여 증가되기 때문에 특히, C자형 단면의 구성은 평평한 금속 특히 (탄성적인) 시트 금속의 스프링을 제조하기 위한 옵션으로 유리하다.
또한, C자형 단면 대신에 L자형 단면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지지부는 스프링 요소의 기부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 세그먼트와 제1 지지 세그먼트로부터 둔각으로 연장된 제2 지지 세그먼트를 갖는다.
제1 지지 세그먼트와 제1 지지 세그먼트로부터 연장된 제2 지지 세그먼트 사이의 둔각이 제1 유지 세그먼트와 제1 유지 세그먼트로부터 연장된 제2 유지 세그먼트 사이에 형성된 둔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가 구성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기부에 더 가까이 배열된 제1 지지 세그먼트가 제1 지지 세그먼트로부터 연장된 제2 지지 세그먼트보다 짧도록, 및/또는 기부에 더 가까이 배열된 제1 유지 세그먼트가 제1 유지 세그먼트로부터 연장된 제2 유지 세그먼트보다 짧도록 장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요소가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기부에 인접하여 배열된 제1 지지 세그먼트가 기부에 인접하여 배열된 제1 유지 세그먼트보다 길도록, 및/또는 기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형성된 제2 지지 세그먼트가 기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형성된 바람직하게 C자형 단면을 갖는 제2 유지 세그먼트보다 짧도록 장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요소가 또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이 방식에서 본 발명에 따라 모듈을 수용하는 곳에 모듈을 용이하게 수용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프링 요소 및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한 설치에 대한 고객의 요구 사항들이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 후크는 래치 후크가 통로 개구를 통하여 안내될 때 유지부의 자유 단부가 유지부의 다른 구역들보다 더욱 심하게 편향되게 래치 후크가 스프링 요소의 유지부에 대해 비스듬히 접촉하도록 배열된 작동면을 구비한다. 지지부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유지부의 자유 후방 단부는 기부에 가까운 유지부의 전방 단부보다 더욱 용이하게 편향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 요소가 대체로 유지부의 편향과 관련하여 매우 강성임에도 불구하고 편향을 위해 필요한 힘은 비교적 낮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힘의 효율적인 변환은 고정 장치의 제1 부분에 제2 부분을 부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고를 최소화시키고, 이에 의해 조립이 매우 간편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기부 플레이트와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사전 조립할 서브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의 도 1의 서브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사전 조립된 서브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사전 조립된 서브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사전 조립된 서브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스프링 요소의 상이한 위치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스프링 요소의 상이한 위치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세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와 비교하여 변경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요소의 다른 실시예의 세부 사시도이다.
도 1에는 팽창기, 에어백과 같은 에어백 모듈(도시 생략)의 실질적인 부품들이 고정되는 에어백 모듈의 기부 플레이트(10)가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은 차량, 특히 차량의 핸들에 설치되거나 또는 핸들과 통합되어 형성되는 핸들 인서트에 기부 플레이트(10)에 의해서 고정된다.
기부 플레이트(10)는 축선 방향을 한정하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중앙 개구(12)를 갖는다. 축선 방향은 기부 플레이트가 핸들 인서트에 부착되는 설치 방향과 평행하고, 지정한 의미를 달리 제한하지 않는 한 도 1에 도시된 것에 따라 이하에서는 수직 방향(V)이라 할 것이다.
기부 플레이트(10)는 외부 에지와 중앙 개구(12) 사이에 래치 후크를 위한 통로 개구(14)를 갖고 있다. 스프링 요소를 위한 홀더(16)가 통로 개구(14)에 형성된다. 다른 통로 개구(14) 및 다른 홀더(16)가 중앙 개구(12)의 건너편에 제공된다.
도 1은 기부 플레이트(10)와 스프링 요소(18)가 사전 조립된 상태를 취하도록 수평 설치 방향(H)으로 홀더(16)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요소(18)를 또한 도시하고 있다.
스프링 요소(18)는 바람직하게는 블랭크를 절단하고 그 개별적인 섹션들을 챔퍼 가공한 평평한 금속편으로 만들어져 있다.
스프링 요소(및/또는 평평한 금속편)의 두께는 0.2 내지 0.6mm,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4 mm, 특히 0.3 내지 0.35 mm이다.
스프링 요소(18)는 실질적으로 U자형이며, 바람직하게는 다리부들이 구부러져, 특히 서로 다르게 구부러져 있다.
기부(20)로부터 각각 지지부(22)와 상기 지지부와 면하는 유지부(24)는 거의 직각 연장하거나 약간 V자형으로 개방되어 있다. 유지부(24)와 지지부(22) 사이의 거리는 기부(20)로부터의 거리가 커짐에 따라 계속해서 증가한다. 즉, 스프링 요소(18)는 기부(20)를 향하여 테이퍼져 있다.
지지부(22)와 유지부(24) 양자는 세그먼트들로 세분될 수 있다. 기부(20)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 세그먼트(22a)에 제2 지지 세그먼트(22b)가 둔각으로 연결된다. 제2 지지 세그먼트(22b)는 지지부(22)의 자유 후방 단부를 만드는 더욱 심하게 구부려진 지지 단부 세그먼트(22c)로 개방한다.
지지부(22)와 상응하게, 또한 유지부(24)도 제1 유지 세그먼트(24a), 제2 유지 세그먼트(24b) 및 후방 유지 단부 세그먼트(24c)로 세분되며, 여기에서 상응하는 세그먼트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면하고 제2 지지 세그먼트(22b)와 제2 유지 세그먼트(24b)뿐만 아니라 지지 단부 세그먼트(22c)와 유지 단부 세그먼트(24c)는 각각의 제1 지지 세그먼트(22a)와 제1 유지 세그먼트(24a)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지지부(22)와 유지부(24)는 기부 플레이트(10)의 외부 에지의 방향에 맞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홀더(16)의 구역에서 기부(10)는 스프링 요소(18)의 지지 단부 세그먼트(22c)(및/또는 유지 단부 세그먼트(24c))가 바람직하게는 통로 개구의 형태인 수용부(14)에서 빠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안정된 안착을 보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9)들을 포함한다.
전체의 스프링 요소(18)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단면을 갖고 있으며, 장방형의 긴 측면은 - 기부 플레이트(10)와 스프링 요소(18)의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 -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나의 예외적인 것은 추가로 2개의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날개(24d, 24e)들을 포함하는 제2 유지부(24)에 의해 구성되며 따라서 C자형 단면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도 1 및 도 10 참조)에 따라, 최종적으로 구부러진 스프링은 40 내지 60 mm, 특히 45 내지 50 mm의 길이(기부(20)로부터 유지 단부 세그먼트(24c)까지 측정한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도 1 및 도 10 참조)에 따라, 최종적으로 구부러진 스프링은, 아직 삽입되지 않은(기부로부터 V자형으로 약간 개방된) 상태에서 단부 세그먼트(22c, 24c)들의 구역에서, 15 내지 40 mm, 특히 20 내지 30 mm의 폭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도 1 및 도 10 참조)에 따라, 기부 및 지지부(20, 22)의 구역에서 최종적으로 구부러진 스프링은 3 내지 6 mm, 특히 4 내지 5 mm의 높이, 및/또는 C자형 지지부의 구역에서 스프링은 상응하는 높이 또는 3 내지 7 mm, 특히 4 내지 6 mm의 높이를 갖는다.
홀더(16)는 복수의 유지부들과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할 측면의 접촉면들을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 요소(18)는 수평 방향(H)으로 기부(20)와 함께 시작해서 기부(20)가 정지부(26)와 접하는 지점까지 홀더(16)에 삽입된다. 도 2 내지 도 6은 스프링 요소(18)가 홀더(16)에 완전히 삽입되고 시작 위치에 맞추어진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의 기부 플레이트(10) 및 스프링 요소(18)를 도시한다.
수평 유지부들은 양쪽 수직 방향들에 스프링 요소(18)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홀더(16)의 모든 측면의 수직 접촉면들은 삽입 방향(H)에서 스프링 요소(18)의 것보다 심하게 페이퍼진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스프링 요소(18)가 홀더(16)에 삽입될 때 자동적으로 바이어스가 형성된다.
지지부(22)와 유지부(24)에 의해 측면으로 접촉되는 수직 접촉면들은 지지부(22)가 중앙 개구(12)를 향하여 편향될 수 없고 유지부(24)가 반대 방향으로 편향될 수 없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나, 지지부(22)를 향한 유지부(24)의 탄성적인 수평 편향은 가능하다. 도 6은 유지부(24)가 지지부(22)와 접하는, 유지부(24)의 최대 가능 편향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에 표시된 이러한 위치는 이하에서 편향 위치로 칭할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기부 플레이트(10)가 차량 핸들의 인서트(28)에 고정되어 있는 최종 조립 상태의 고정 장치를 나타낸다. 핸들 인서트(28)는 래치 후크(30)들이 그곳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레이트로서 간소화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래치 후크(30)들은 수평면(수직 방향(V)과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에 평행하지 않으며 수직하지도 않은 작동면(36)을 가진 돌출된 러그(lug)(34) 및 기부 섹션(32)을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 요소(18)와 래치 후크(30) 간의 상호작용은 모든 쌍들에 대해 동일하다.
핸들 인서트(28)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하여, 래치 후크(30)가 통로 개구(14)를 통하여 안내되도록 기부 플레이트(10)가 수직 방향(V)에서 핸들 인서트(28) 상에 부착된다. 그 다음에 작동면(36)이 유지부(24)에, 더 정확하게 말하면 보강된 제2 유지 세그먼트(24b)에 맞닿는다. 래치 후크(30)가 더욱더 안내될 때, 래치 후크(30)가 스프링 요소(18)를 지나 미끄러질 때까지 래치 후크(30)의 러그(34)가 수평 방향으로 유지부(24)를 편향시킨다. 도 7에 도시된 이러한 위치는 도 6에 이미 도시된 편향 위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유지부(24)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래치 후크(30)가 연장하는 기부면(38)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기부 섹션(32)으로부터 작동면(36)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러그(34)의 작동면(36)이 경사져 있다. 더욱이, 후방 단부에서 작동면(36)은 전방 단부보다 넓다. 도 7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작동면(36)의 설계는 유지부(24)의 자유 후방 단부가 래치 후크(30)를 통하여 안내될 때 유지부(24)의 다른 구역들보다 더욱 심하게 편향된다는 사실을 초래한다.
러그(34)가 유지부(24)를 통과하자 마자, 유지부(24)는 바이어스되는 한편 래치 후크(30)의 유지면(40)과 접촉할 때까지 수평 방향으로 편향 위치로부터 튀어 오른다. 이 위치는 이하에서 유지 위치로 칭할 것이다. 제2 유지 세그먼트(24b)의 C자형 프로파일의 상부 날개(24d)는 유지 위치에서 큰 면적 접촉을 보장한다. 대체로, 유지 위치에서 스프링 요소(18)는 제2 유지 세그먼트(24b)의 안정적인 C자형 프로파일로 인하여 매우 높은 수직의 후퇴하는 힘들을 견딘다.
기부 플레이트(10)에 스프링 요소(18)의 사전 조립된 후에, 스프링 요소(18)의 지지부(22)는 기부 플레이트(10)의 통로 개구(14)를 통하여 래치 후크(30)를 안내하는 동안 및 안내한 후에 홀더에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즉, 지지부(22)는 변위되지 않으며 회전 또는 편향되지 않는다.
당연히, 래치 후크(30)와 스프링 요소(18)의 반대 배열이 또한 가능하다. 즉, 스프링 요소(18)가 핸들 인서트(28)에 유지될 수 있으며 래치 후크(30)가 기부 플레이트(10)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에어백 모듈이 기부 플레이트(10)에 의해 절대적으로 핸들 인서트(28)에 고정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스프링 요소(18) 및 래치 후크(30)는 차량 또는 핸들에 고정된 다른 부품이나 에어백 모듈 부품에 배열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래치 후크(30)를 포함하는 핸들 인서트(28),
    래치 후크(30)를 위한 수용부(14)와 스프링 요소(18)를 위한 홀더(16)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기부 플레이트(10),
    지지부(22) 및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한 유지부(24)를 포함하는 평평한 금속으로 형성된 스프링 요소(18)를 포함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프링 요소(18)는, 유지부(24)가 시작 위치로부터 래치 후크(30)를 수용부(14)에 수용할 수 있는 편향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유지부(24)가 래치 후크(30)의 유지면(40)에 대하여 눌려지는 유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홀더(16)에 유지되고,
    지지부(22)가 홀더(16)에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2. 래치 후크(30)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의 기부 플레이트(10),
    래치 후크(30)를 위한 수용부(14)와 스프링 요소(18)를 위한 홀더(16)를 포함하는 핸들 인서트(28),
    지지부(22) 및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한 유지부(24)를 포함하는 평평한 금속으로 형성된 스프링 요소(18)를 포함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프링 요소(18)는, 유지부(24)가 시작 위치로부터 래치 후크(30)를 수용부(14)에 수용할 수 있는 편향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유지부(24)가 래치 후크(30)의 유지면(40)에 대하여 눌려지는 유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홀더(16)에 유지되고,
    지지부(22)가 홀더(16)에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18)는 지지부(22)와 유지부(24)를 연결하는 기부(20)를 갖는 실질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유지부(24)는 지지부(22)와 면하고 래치 후크(30)가 통로 개구(14)를 통하여 안내될 때 지지부(22)를 향하여 편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18)는 기부(20)와 함께 시작하여 정지부(26)까지 홀더(16)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18)가 기부(20)를 향하여 테이퍼져 있고, 유지부(24)와 지지부(22) 사이의 거리가 기부(20)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도록 유지부(24)와 지지부(22)가 스프링 요소(18)의 기부(20)로부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18)의 삽입 방향에서 홀더(16)의 측면의 접촉면들이 스프링 요소(18)의 것보다 심한 테이퍼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유지부(24)는 기부(20)로부터 연장된 제1 유지 세그먼트(24a) 및 제1 유지 세그먼트(24a)로부터 연장되어 래치 후크에 대해 작용하는 제2 유지 세그먼트(2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2 유지 세그먼트(24b)는 C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부 및 하부 날개부(24d, 24e)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지지부(22)와 면하는 제2 유지 세그먼트(24b)의 벽에 수직으로 연장되거나, C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제2 유지 세그먼트(24b)의 벽의 상부 및 하부 에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지지부(22)는 기부(20)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 세그먼트(22a) 및 제1 지지 세그먼트(22a)로부터 둔각으로 연장된 제2 지지 세그먼트(2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지지부(22)는 스프링 요소(18)의 기부(20)로부터 연장된 제1 지지 세그먼트(22a) 및 제1 지지 세그먼트(22a)로부터 둔각으로 연장된 제2 지지 세그먼트(22b)를 포함하며, 지지 단부 세그먼트(22c)가 제2 지지 세그먼트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제1 지지 세그먼트(22a)와 제1 지지 세그먼트로부터 연장된 제2 지지 세그먼트(22b) 사이의 둔각은 제1 유지 세그먼트(24a)와 제1 유지 세그먼트로부터 연장된 제2 유지 세그먼트(24b) 사이에 형성된 둔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기부(20)에 더 가까이 배열된 제1 지지 세그먼트(22a)가 기부에서 함께 연장된 제2 지지 세그먼트(22b)보다 짧거나, 또는 기부(20)에 더 가까이 배열된 제1 유지 세그먼트(24a)가 기부에서 함께 연장된 제2 유지 세그먼트(24b)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기부(20)에 인접하여 배열된 제1 지지 세그먼트(22a)가 기부(20)에 인접하여 배열된 제1 유지 세그먼트(24a)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기부(20)로부터 거리를 두고 형성된 제2 지지 세그먼트(22b)가 기부(20)로부터 거리를 두고 형성된 제2 유지 세그먼트(24b)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 있어서,
    래치 후크(30)는 래치 후크(30)가 통로 개구(14)를 통하여 안내될 때 유지부(24)의 자유 단부가 유지부(24)의 다른 구역들보다 더욱 심하게 편향되게 래치 후크가 스프링 요소(18)의 유지부(24)에 대해 비스듬히 접촉하도록 배열된 작동면(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에어백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20137017220A 2010-12-01 2011-11-30 에어백 모듈용 고정 장치 KR101887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0016004U DE202010016004U1 (de) 2010-12-01 2010-12-01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Gassackmodul
DE202010016004.9 2010-12-01
PCT/EP2011/005988 WO2012072241A1 (de) 2010-12-01 2011-11-30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gassackmod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496A KR20130120496A (ko) 2013-11-04
KR101887210B1 true KR101887210B1 (ko) 2018-08-09

Family

ID=4546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220A KR101887210B1 (ko) 2010-12-01 2011-11-30 에어백 모듈용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27372B2 (ko)
EP (1) EP2646288A1 (ko)
JP (2) JP2013544210A (ko)
KR (1) KR101887210B1 (ko)
CN (1) CN103237688B (ko)
BR (1) BR112013013381B1 (ko)
DE (1) DE202010016004U1 (ko)
WO (1) WO2012072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5281A1 (de) * 2015-04-24 2016-10-27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7119886A1 (de) * 2017-08-30 2019-02-28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ederelement zur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fahrzeuglenkrad sowie lenkradbaugruppe mit einem solchen federelement
FR3098166A1 (fr) * 2019-07-04 2021-01-08 Autoliv Development Ab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sur un vola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876A (ja) * 2005-03-16 2007-03-0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21295U1 (de) * 1996-11-27 1997-02-06 Petri A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Airbagmoduls im Lenkrad
ES1040263Y (es) * 1998-05-22 1999-07-16 Dalphi Metal Espana Sa Nuevo clipaje del modulo del air-bag con el volante.
US6237944B1 (en) * 1999-09-30 2001-05-29 Delphi Technologies, Inc. Mounting mechanism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ES1045448Y (es) * 1999-11-23 2001-03-01 Dalphi Metal Espana Sa Disposicion de fijacion rapida perfeccionada del modulo airbag con el volante.
US6325408B1 (en) * 2000-05-15 2001-12-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 bag attachment arrangement
DE10157043A1 (de) * 2001-11-21 2003-06-18 Opel Adam Ag Mittel zur Befestigung eines Airbagmoduls in einem Kraftfahrzeug
GB2383301A (en) * 2001-12-18 2003-06-25 Autoliv Dev Air bag unit with locating means
US7185915B2 (en) * 2003-02-27 2007-03-06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incorporating air bag device
JP4015572B2 (ja) * 2003-02-27 2007-11-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4135553B2 (ja) * 2003-04-25 2008-08-20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7059631B2 (en) * 2003-04-29 2006-06-13 Toyoda Gose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driver's side airbag to a steering wheel
DE20316519U1 (de) * 2003-10-27 2004-03-04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Gassackrückhaltesystem
DE102004015529B4 (de) * 2004-03-30 2009-08-27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Lenkrad für ein Fahrzeug
US7533897B1 (en) * 2005-02-16 2009-05-19 Key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air bag
DE502005003191D1 (de) * 2005-03-21 2008-04-24 Delphi Tech Inc Lenkradanordnung
GB2433234A (en) * 2005-12-08 2007-06-20 Autoliv Dev A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DE102008028121A1 (de) 2008-06-13 2009-12-31 Jos. Schneider Optische Werke Gmbh Bestimmen des Zentrierfehlers einer Linse mittels einer Einrichtung zur optischen Antastung der Linsenoberfläche
DE102008028126A1 (de) * 2008-06-13 2009-12-17 Autoliv ASP, Inc., Ogden Lenkradeinheit
EP2145801B1 (en) 2008-07-18 2011-01-12 Dalphi Metal España, S.A. Device for fixing an airbag module in a motor vehicle
EP2213523B1 (en) * 2009-01-28 2013-03-20 Dalphi Metal España, S.A. Fixing arrangement with self-centring elements for fixing an airbag module in an automotive vehicle
JP5045694B2 (ja) * 2009-02-27 2012-10-10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876A (ja) * 2005-03-16 2007-03-0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13381A2 (pt) 2021-06-08
WO2012072241A1 (de) 2012-06-07
JP6366654B2 (ja) 2018-08-01
KR20130120496A (ko) 2013-11-04
DE202010016004U1 (de) 2012-03-02
CN103237688A (zh) 2013-08-07
CN103237688B (zh) 2016-08-17
US20130285354A1 (en) 2013-10-31
BR112013013381B1 (pt) 2022-06-28
JP2016216042A (ja) 2016-12-22
US8727372B2 (en) 2014-05-20
EP2646288A1 (de) 2013-10-09
JP2013544210A (ja)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340B1 (ko) 와이퍼 암을 위한 연결 장치
US6643900B2 (en) Quick fixing element
EP0867333B1 (en) Wire attachment to a seat frame
TWI395682B (zh) 雨刷片用的接頭元件以及雨刷片
US20070164188A1 (en) Holding clip for a rain sensor
EP3754207B1 (en) Fastening clip
US20120241574A1 (en) External material clamp and external material clamping structure
KR101887210B1 (ko) 에어백 모듈용 고정 장치
RU2733364C2 (ru) Подвесная система
KR20150056836A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에서의 패드 유지 클립의 배치 및 브레이크 패드
EP0863058A2 (en) Blade to arm connection for windshield wiper
CN101365915A (zh) 用于将零件固定到支承元件的紧固元件
RU2009112283A (ru) Крепежный узел выдвижного ящика
RU2554731C2 (ru)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ь ветрового стекла
KR100988444B1 (ko) 벨트 와인더용 고정 장치
KR200428825Y1 (ko) 커넥터 고정용 클립
JP2013544210A5 (ko)
CN113710542A (zh) 包括夹持元件和反向支承件的用于传感器外壳的载体装置
KR20180066349A (ko) 자동차용 선루프 장착용 파스너
CN109278609A (zh) 一种汽车后排座椅座垫固定结构
KR101807123B1 (ko)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JP4150392B2 (ja) シートベルト取付装置
KR20180095761A (ko) 클립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장치
JP2013545668A (ja) ワイパブレード装置
KR20110006887U (ko)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