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045B1 - 하폐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폐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045B1
KR101886045B1 KR1020180014858A KR20180014858A KR101886045B1 KR 101886045 B1 KR101886045 B1 KR 101886045B1 KR 1020180014858 A KR1020180014858 A KR 1020180014858A KR 20180014858 A KR20180014858 A KR 20180014858A KR 101886045 B1 KR101886045 B1 KR 10188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pipe
waste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남종
Original Assignee
(주)일신종합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신종합환경 filed Critical (주)일신종합환경
Priority to KR102018001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C02F3/223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using "air-li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여과장치에 에어리프트관과 오염수 챔버를 설치함으로써 여재를 세척하여 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오염수 챔버의 하부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는 제1 산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여재에 부착되거나 슬러지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오염수 배출관으로 원활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여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하폐수 처리 시스템{WASTE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장치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이다.
최근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서 배출되는 방류수의 총질소 농도 및 총인 농도의 기준이 대폭 강화되고 있다. 2012년부터 바뀐 방류수 수질기준에 따르면,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방류수의 총질소 농도 및 총인 농도는 각각 20㎎/ℓ 및 0.2㎎/ℓ까지 낮춰야 한다. 하폐수에 포함되는 질소는 대부분 암모니아성 질소 상태로 존재한다. 수계로부터 질소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생물학적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생물학적 방법은 폭기에 의한 질산화 작용을 통해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로 변환시키고, 탈질 미생물에 의한 탈질 작용을 통해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의 상태로 대기 중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7488호(2012.07.27, 하폐수의 인 및 질소 동시 제거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0466호(2013.08.27, 하폐수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 제거방법)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포함된 여과장치의 오염수 챔버에서 여재에 부착되거나 슬러지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슬러지를 오염수 배출관으로 원활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오염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염수 배출관의 내주면에서 슬러지 거름망을 위치하여 2차 처리수 배출관으로 2차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여과장치에 제2 산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하폐수에 포함된 잔류 질소 중 용존산소량의 부족으로 미처 질산화되지 못한 일부 질소를 질산화한 후에 탈질 미생물에 의해 탈질하여 겨울철에도 방류수의 총질소 농도의 기준을 맞출 수 있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 시스템은 하폐수가 유입되는 여과장치를 포함하되, 여과장치는 내부에 여재로 이루어지는 여과층이 형성된 반응조, 반응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폐수를 분사하는 분산관, 반응조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폐수가 여과층을 통과된 1차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관, 반응조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여재와 슬러지 오염수를 상향 이송하는 에어리프트관, 에어리프트관의 상단에 결합되고, 에어리프트관을 통해 상향 이송된 여재와 슬러지 오염수가 비중 차이에 의해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저면에는 분리된 여재가 자중에 의해 여과층으로 낙하하는 반송 홀이 형성되는 오염수 챔버, 오염수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고, 분리된 슬러지 오염수를 배출하는 오염수 배출관 및 오염수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고, 오염수 챔버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여 여재에 부착되거나 슬러지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키는 제1 산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산기장치는 30㎛ ~ 50㎛ 직경의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염수 배출관 입구에 설치되어 오염수가 월류되어 배출되는 오염수 웨어를 더 포함하되, 오염수 웨어는 제1 산기장치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 버블의 크기 및 에어 공급량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염수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직경이 상기 에어리프트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반송 홀의 직경보다 작은 여재 탈출 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염수 배출관에서 분기되어 처리수 배출관에 연결되는 2차 처리수 배출관 및 오염수 배출관에 결합되고, 슬러지 오염수에서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슬러지 거름망을 더 포함하고, 슬러지 오염수 중 일부는 슬러지 거름망을 거쳐 2차 처리수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슬러지 거름망을 거치지 않고 오염수 배출관의 출구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러지 거름망은 슬러지 오염수가 하향 이송되는 영역에서 오염수 배출관의 내주면과 협력하여 2차 처리수 배출관의 입구에 접하는 고리 형상의 필터링 공간을 형성하고, 필터링 공간의 상측에서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수위센서, 필터링 공간의 하측에서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수위센서, 분산관에 하폐수가 유입되게 하는 펌프, 필터링 공간을 기준으로 오염수 배출관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오염수 배출관을 개폐하는 제2 밸브, 기 필터링 공간에 배치되어 슬러지 거름망을 향해 압축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 및 제1 수위센서와 제2 수위센서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펌프, 제2 밸브 및 에어 노즐을 제어하여 슬러지 거름망에 부착된 슬러지를 분리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가 제1 수위센서보다 높아지면 펌프를 정지시키고 제2 밸브에 의해 오염수 배출관을 폐쇄한 상태에서 에어 노즐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에 제2 밸브에 의해 오염수 배출관을 개방하고,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가 제2 수위센서보다 낮아지면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반응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여과층을 통과하는 하폐수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는 제2 산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여과층은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질산화 작용이 이루어지는 폭기 영역, 폭기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고, 탈질 미생물에 의한 탈질 작용이 이루어지는 무산소 영역 및 폭기 영역과 무산소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버퍼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여과장치는 버퍼 영역에서 하폐수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센서 및 산소센서에서 측정되는 용존산소량에 따라 제1 산기장치에서 분사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산소센서에서 측정되는 용존산소량이 기 설정 값 이상이 되면 제1 산기장치에서 분사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여과장치는 반응조에 유입되는 하폐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하폐수의 온도가 기 설정 값 이상이 되면 제1 산기장치에서 분사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여과장치에 에어리프트관과 오염수 챔버를 설치함으로써 여재를 세척하여 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오염수 챔버의 하부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는 제1 산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오염수 챔버에서 여재에 부착되거나 슬러지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슬러지를 오염수 배출관으로 원활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오염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오염수 배출관의 내주면에서 슬러지 거름망을 위치하여 2차 처리수 배출관으로 2차 처리수를 배출할 수 있으며, 슬러지 거름망에 슬러지가 과도하게 부착되어 2차 처리수 배출관으로의 2차 처리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탐지되면, 슬러지 거름망을 자동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물리적 1차 처리, 생물학적 및 화학적 2차 처리된 하폐수에 잔류하는 영양 성분을 여과장치에서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다공정에 따른 처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도 처리 공정을 매우 간소화할 수 있고, 특히 여과장치에 제2 산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하폐수에 포함된 잔류 질소 중 용존산소량의 부족으로 미처 질산화되지 못한 일부 질소를 질산화한 후에 탈질 미생물에 의해 탈질하여 겨울철에도 방류수의 총질소 농도의 기준을 맞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염수 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염수 배출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폐수 처리 시스템(1)은 전처리조(2), 1차 침전조(3), 생물반응조(4), 2차 침전조(5), 여과장치(6) 및 소독장치(7)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수(A)는 전처리조(2)를 거치면서 스크린, 여과, 침강 등 주로 물리적 방법으로 부유 물질이 제거되고, 생물반응조(4)를 거치면서 생물학적 방법으로 유기물,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제거되어 적정 수준으로 정화된 방류수(B)는 소독장치(7)를 거쳐 하천 등으로 방류된다.
하폐수에 포함되는 질소는 생물반응조(4)를 거치면서 폭기에 의한 질산화 작용 및 탈질 미생물에 의한 탈질 작용을 통해 질소 가스의 상태로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생물반응조(4)에서 제거되지 않은 질산성 질소는 여과장치(6)를 거치면서 철수산화물이 코팅된 여재의 표면이나 공극에 형성된 탈질 미생물에 의해 탈질되어 질소 가스의 상태로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그 결과, 방류수(B)의 총질소 농도를 더욱 낮출 수 있다.
방류수(B)의 총인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1차 침전조(3) 또는 2차 침전조(5)의 상류 측에 응집제를 투입하기 위한 응집제 투입시설(25, 45)을 설치하거나, 2차 침전조(5)의 하류 측에 응집제 투입시설과 침전조로 구성된 응집침전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기도 한다. 하폐수에 포함된 인은 응집제 투입시설(25, 45)에서 투입된 응집제에 의하여 불용성 침전물의 형태로 1차 침전조(3), 2차 침전조(5) 또는 응집침전장치의 침전조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폐수에 포함된 인은 생물학적 방법 및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여과장치(6)는 하폐수가 전처리조(2), 생물반응조(4), 침전조(3, 5) 등을 거치면서 하폐수에 포함된 질소 및 인이 생물학적 처리 및 화학적 처리에 의해 일부 제거된 상태로 유입될 수 있다. 여과장치(6)는 상향류식 모래 여과 장치로 오염물질을 여재를 통하여 여과한 후, 여재를 세정하여 오염수를 분리하고 여재는 순환시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과장치(6)는 이하 도 2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1차 침전조(3), 2차 침전조(5) 및 응집침전장치에서 발생하는 슬러지(S)는 슬러지 농축조(320) 및 탈수장치(340)를 거쳐 탈수 케이크(C)로 분리되고, 슬러지 농축조(320)에서 발생하는 농축여액과 탈수장치(340)에서 발생하는 탈수여액은 전처리조(2)로 순환시켜 유입수(A)와 함께 처리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여과장치(6)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도 전처리조(2)로 순환시켜 유입수(A)와 함께 처리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폐수 처리 시스템(1) 내에서 순환시키는 농축여액, 탈수여액 및 오염수를 반류수(R)라고 한다. 하폐수 처리 시스템(1)에서 반류수(R)의 수량이 커지면 반류수(R)에 대한 처리 비용이 증가하므로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편, 슬러지 처리 라인에는 슬러지 저류조(310) 및 슬러지 소화조(330)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장치(6)은 여과와 동시에 여과(모래)의 세정이 가능한 상향류식 모래 여과 장치이다. 여과장치(6)는 원수가 여과층을 상승하며 여과됨으로써 고농도 부유 물질(SS)이 제거되며, 청정수는 웨어를 월류하여 제1 처리수 배출관(113)으로 유출된다. 여과장치(6)는 여과하여 오탁물을 포집한 여재가 흡입된 공기에 의하여 에어리프트관(130)에 도입되고, 에어리프트관 내의 여재, 물, 공기가 각기 다른 속도로 상승하여 세척되고 오염된 여재 및 오염수가 여과기 상부로 이송되어 오염수 챔버(140)에서 분리된다. 여과장치(6)는 깨끗하게 세척된 여재가 강하게 낙하함으로써, 상향되는 여과수에 의한 소량의 부유물질을 2차 세척이 가능하고, 침전 및 부상 여과를 동시에 여과층에서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여과장치(6)는 반응조(110), 가스 배출관(111), 제1 처리수 배출관(113), 분산관(120), 에어리프트관(130), 오염수 챔버(140) 및 오염수 배출관(150)을 포함한다.
반응조(110)의 내부 공간에는 여재로 이루어지는 여과층(11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과층(115)을 형성하는 여재는 비중 2 이상의 다공성 또는 비다공성 여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래여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층(115)을 형성하는 여재의 표면에는 철수산화물, 예를 들어 비정형의 철수화물(am-Fe(OH)3), 페리하이드라이트(ferrihydrite), 지오사이트(goethite), 레피도크로사이트(lipidocrocite), 헤마타이트(hematite) 등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철수산화물은 철염을 하폐수와 함께 반응조(110)에 투입시켜 물과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여재에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철염의 투입량은 하폐수의 인 농도에 관계없이 하폐수의 유입량에 비례하여 투입함으로써 투입량 조절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철수산화물이 코팅된 여재가 용존성 인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원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748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과층(115), 구체적으로 여재의 표면 또는 공극에는 탈질 미생물, 예를 들어 슈도모나스(Pseudomonas), 바실러스(Bacillus)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반응조(110)에 유입되는 하폐수에 포함된 질소는 2차 생물학적 처리 공정에서 질산화 과정이 완료된 질산성 질소가 대부분이고, 탈질 미생물에 의해 탈질되어 질소 가스 상태로 가스 배출관(111)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탈질 과정에서 필요한 탄소원으로 메탄올, 에탄올, 아세트산, 메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하폐수와의 혼합, 여재 사이로의 확산 등을 고려하면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탄소원은 하폐수와 함께 반응조(110)에 공급될 수 있다.
가스 배출관(111) 및 제1 처리수 배출관(113)은 반응조(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스 배출관(111)은 하폐수가 여과층(115)을 통과하면서 하폐수에서 분리되는 질소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수 배출관(113)은 하폐수가 여과층(115)을 통과하면서 인 및 질소가 제거된 처리수를 소독장치(7) 또는 하천으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처리수 배출관(113)의 입구에는 처리수가 월류되어 배출되도록 처리수 웨어(114)가 설치될 수 있다.
반응조(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기둥 형상,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관(120)은 하폐수가 반응조(110)에 유입되는 유입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분산관(120)은 반응조(11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반응조(110)에 유입되는 하폐수가 바로 여과층(115)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분산관(120)은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분산관(120)은 반응조(110)의 중심에 배치되는 원뿔대 형상 구조물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분산관(120)은 원뿔대 형상 구조물을 통해 하폐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분산관(120)의 상부에는 분산관(12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분사 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하폐수는 복수의 제1 분사 공을 통해 상향 분사될 수 있다.
에어리프트관(130)은 반응조(110), 예를 들어 반응조(110)의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에어리프트관(130)은 에어리프트관(130)의 하측에서 압축공기 분사장치(미도시)에 의해 상향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여재를 상향 이송할 수 있다. 에어리프트관(130)을 통해 상향 이송되는 여재는 물 및 공기와의 속도 차이에 의하여 여재에 부착된 오염물질, 예를 들어 인 결합 고형물이 분리되는 1차 세정 작용을 거칠 수 있다.
오염수 챔버(140)는 에어리프트관(130)의 상단에 결합되어, 에어리프트관(130)을 통해 상향 이송된 여재와 슬러지 오염수가 수용되고 비중 차이에 의해 상호간에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재는 자중에 의해 오염수 챔버(140)의 저면에 형성된 반송 홀(141)을 통해 여과층(115)으로 낙하하여 재 사용될 수 있다. 오염수 챔버(140)는 이하 도 3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오염수 배출관(150)은 오염수 챔버(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에어리프트관(130)을 통해 상향 이송되는 여재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 오염수를 슬러지 저류조(310)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염수 챔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염수 챔버(140)는 반송 홀(141), 제1 산기장치(143), 오염수 웨어(151), 여재 탈출 방지판(152)를 포함한다.
반송 홀(141)은 오염수 챔버(1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향 이송된 여재가 슬러지와 분리되어 여과층(115)으로 낙하한다.
제1 산기 장치(143)은 오염수 챔버(1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오염수 챔버(140)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여 여재에 부착되거나 슬러지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여재와 슬러지를 분리한다. 제1 산기장치(143)는 30㎛ ~ 50㎛ 직경의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버블의 직경이 30㎛보다 작으면 여재와 슬러지의 분리가 잘 되지 않아서 슬러지의 부상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마이크로 버블의 직경이 50㎛보다 크면 슬러지와 함께 여재가 부상하여 오염수 웨어(151)를 넘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오염수 챔버(140) 내에서 효과적인 여재와 슬러지의 분리 및 슬러지의 부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정 크기의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표 1은 오염수 챔버(140) 내 슬러지 가압 부상시 적정 에어 공급량을 나타낸 것이다.
1 2 3
하폐수 처리량
(㎥/day)
250 500 1000
슬러지 오염수량
(㎥/hour)
0.21 0.42 0.83
슬러지 오염수 중 슬러지량
(mg/ℓ)
300 800 2200
에어 공급량
(ℓ/min)
0.25 1.32 7.14
오염수 웨어(151)는 오염수 배출관(150)의 입구에는 슬러지 오염수가 월류되어 배출되도록 설치된다. 오염수 웨어(151)는 여재와 슬러지 오염수의 분리 정도에 따라 오염수 챔버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오염수 웨어(151)는 상하 이동을 위하여 유압 실린더(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오염수 웨어(151)는 제1 산기장치(143)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 버블의 크기 및 에어 공급량에 따라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여재 탈출 방지판(152)는 오염수 챔버(14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향 이송된 여재가 슬러지와 분리되어 오염수 챔버(140)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여재 탈출 방지판(152)는 에어리프트관(130)을 통하여 여재가 상향 이송되어 부딪친 후 반송 홀(141)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도록 직경이 에어리프트관(130)의 직경보다 크고 반송 홀(141)의 직경보다 작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염수 배출관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여과장치(6)는 펌프(121), 2차 처리수 배출관(153), 슬러지 거름망(154), 제1 수위센서(155) 제2 수위센서(156), 제1 밸브(157), 에어 노즐(1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121)는 분산관(120)에 설치되어 분산관(120)을 통해 하폐수가 유입되게 할 수 있다.
2차 처리수 배출관(153)은 오염수 배출관(150)에서 분기되어 제1 처리수 배출관(113)에 연결될 수 있다. 2차 처리수 배출관(153)의 입구는 슬러지 오염수가 하향 이송되는 영역의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오염수 배출관(150)은 해당 영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슬러지 거름망(154)은 오염수 배출관(150)에 결합되어 슬러지 오염수에서 슬러지를 필터링할 수 있고, 슬러지 거름망(154)을 통과한 2차 처리수는 2차 처리수 배출관(15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슬러지 거름망(154)은 오염수 배출관(150)의 내주면과 협력하여 고리 형상의 필터링 공간(A)을 형성할 수 있고, 필터링 공간(A)은 2차 처리수 배출관(153)의 입구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슬러지 오염수 중 일부는 슬러지 거름망(154)을 거쳐 2차 처리수 배출관(153)으로 배출될 수 있고, 슬러지 오염수 중 나머지는 슬러지 거름망(154)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오염수 배출관(150)의 출구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수위센서(155)는 필터링 공간(A)의 상측에 설치되어 오염수 배출관(150)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가 제1 수위센서(155)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수위센서(155)는 오염수 배출관(150)에 유입되는 하폐수가 상부에서 흘러내려 수위 감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1 유수막이(19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유수막이(192)는 L자 모양일 수 있다.
제2 수위센서(156)는 필터링 공간(A)의 하측에 설치되어 오염수 배출관(150)을 통해 이송되는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가 제2 수위센서(156)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수위센서(156) 또한, 오염수 배출관(150)에 유입되는 하폐수가 상부에서 흘러내려 수위 감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2 유수막이(19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수막이(194) 또한, L자 모양일 수 있다.
제1 밸브(157)는 필터링 공간(A)을 기준으로 오염수 배출관(150)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오염수 배출관(150)을 개폐할 수 있다. 제1 밸브(157)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노즐(158)은 오염수 배출관(150)에 결합되어 필터링 공간(A)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 노즐(158)은 오염수 배출관(150)의 내주면에서 슬러지 거름망(154)을 향해 압축 에어를 분사하여 슬러지 거름망(154)에 부착된 슬러지를 분리시킬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수위센서(155)와 제2 수위센서(156)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펌프(121), 제1 밸브(157) 및 에어 노즐(158)을 제어하여 슬러지 거름망(154)에 부착된 슬러지를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가 제1 수위센서(155)보다 높아지면, 즉 제1 수위센서(155)에서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슬러지 거름망(154)에 슬러지가 과도하게 부착되어 2차 처리수 배출관(153)으로의 2차 처리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펌프(121)를 정지시키고 제1 밸브(157)에 의해 오염수 배출관(150)을 폐쇄한 상태에서 에어 노즐(158)을 작동시킴으로써 슬러지 거름망(154)에 부착된 슬러지를 슬러지 거름망(154)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에어 노즐(158)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에는 에어 노즐(158)을 정지시키고, 제1 밸브(157)에 의해 오염수 배출관(150)을 개방하여 슬러지 오염수를 오염수 배출관(150)을 통해 배출시키며, 그 결과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가 제2 수위센서(156)보다 낮아지면, 즉 제2 수위센서(156)에서 감지 신호의 전송이 중단되면 펌프(121)를 작동시켜 하폐수 처리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여과장치에 제2 산기장치(160), 산소센서(170), 온도센서(180) 및 제어부(190)를 더 포함한다.
제2 산기장치(160)는 반응조(1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분산관(120)에서 분사되어 여과층(115)을 통과하는 하폐수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할 수 있다. 그 결과, 하폐수에 포함된 잔류 질소 중 2차 생물학적 처리 공정에서 미처 질산화되지 못한 일부 질소를 질산화 할 수 있다.
제2 산기장치(160)는 마이크로 버블을 하향 분사함으로써 하폐수와의 접촉 시간을 늘릴 수 있다. 그 결과, 후술하는 폭기 영역(117)의 높이를 감소시켜 반응조(110)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산기장치(160)는 에어 공급관(161), 제2 밸브(163) 및 산기관(165)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관(161)은 산기관(165)에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에어 공급관(161)을 통해 이송되는 압축공기의 유량, 즉 산기관(165)을 통해 분사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은 에어 공급관(161)에 설치되는 제2 밸브(163)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2 밸브(163)는 유량조절밸브일 수 있다.
산기관(165)은 에어 공급관(161)을 통해 이송된 압축공기를 여과층(115)으로 분사할 수 있다. 여과층(115)은 산기관(165)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폭기 영역(117), 버퍼 영역(118) 및 무산소 영역(119)으로 구획될 수 있다. 폭기 영역(117), 버퍼 영역(118) 및 무산소 영역(119)은 가상의 수평면을 경계로 상호간에 분리될 수 있고, 버퍼 영역(118)은 폭기 영역(117)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무산소 영역(119)은 버퍼 영역(11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폭기 영역(117)은 산기관(165)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질산화 작용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무산소 영역(119)은 탈질 미생물에 의한 탈질 작용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산기관(165)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 버블에 포함된 산소는 폭기 영역(117)에서의 질산화 작용에 전부 또는 대부분 소모될 수 있고, 무산소 영역(119)에서는 탈질 미생물에 의한 탈질 작용에 필요한 무산소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버퍼 영역(118)은 폭기 영역(117)과 무산소 영역(119) 사이의 완충 지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산기관(165)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 버블은 여과층(115)을 구성하는 여재 사이의 공극을 확장시켜 하폐수와 여재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질소 및 인의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산소센서(170)는 폭기 영역(117), 버퍼 영역(118) 및 무산소 영역(119)에서 각각 하폐수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할 수 있고, 온도센서(180)는 반응조(110)에 유입되는 하폐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산소센서(170) 및 온도센서(180)에서 측정된 결과를 기초로 제2 밸브(163)를 제어하여 제2 산기장치(160)에서 분사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산소센서(170), 구체적으로 버퍼 영역(118)에 설치된 산소센서(170)에서 측정되는 용존산소량이 기 설정된 제1 기준산소량 이상이 되면 무산소 영역(119)에서의 무산소 상태가 파괴되지 않도록 제2 밸브(163)를 제어하여 제2 산기장치(160)에서 분사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190)는 산소센서(170), 구체적으로 버퍼 영역(118)에 설치된 산소센서(170)에서 측정되는 용존산소량이 기 설정된 제2 기준산소량 이하가 되면 폭기 영역(117)에서의 질산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 밸브(163)를 제어하여 제2 산기장치(160)에서 분사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산소량은 제1 기준 산소량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폭기 영역(117), 버퍼 영역(118) 및 무산소 영역(119)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산소센서(170)에서 측정되는 용존산소량을 상호간에 비교한 후 제2 밸브(163)를 제어하여 제2 산기장치(160)에서 분사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산소센서(170)에서 측정되는 용존산소량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하폐수에 포함된 질소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반응조(110)에 유입되기 전에 2차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질산화 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밸브(163)를 제어하여 제2 산기장치(160)에서 분사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온도센서(180)에서 측정되는 하폐수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이 되면 하폐수에 포함된 질소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반응조(110)에 유입되기 전에 2차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질산화 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밸브(163)를 제어하여 제2 산기장치(160)에서 분사하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하폐수 처리 시스템 2: 전처리조
3: 1차 침전조 4: 생물반응조
5: 2차 침전조 6: 여과장치
7: 소독장치 25, 45: 응집제 투입시설
110: 반응조 111: 가스 배출관
113: 처리수 배출관 114: 처리수 웨어
115: 여과층 117: 폭기 영역
120: 분산관 121: 펌프
130: 에어리프트관 140: 오염수 챔버
141: 반송 홀 143: 제1 산기장치
150: 오염수 배출관 151: 오염수 웨어
153: 2차 처리수 배출관 154: 슬러지 거름망
155: 제1 수위센서 156: 제2 수위센서
157: 제1 밸브 158: 에어 노즐
160: 제2 산기장치 161: 에어 공급관
163: 제2 밸브 165: 산기관
167: 가이드 패널 170: 산소센서
180: 온도센서 190: 제어부
310: 슬러지 저류조 320: 슬러지 농축조
330: 슬러지 소화조 340: 탈수장치

Claims (12)

  1. 하폐수가 유입되는 여과장치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내부에 여재로 이루어지는 여과층이 형성된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폐수를 분사하는 분산관;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폐수가 상기 여과층을 통과된 1차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관;
    상기 반응조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여재와 슬러지 오염수를 상향 이송하는 에어리프트관;
    상기 에어리프트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리프트관을 통해 상향 이송된 상기 여재와 상기 슬러지 오염수가 비중 차이에 의해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저면에는 분리된 상기 여재가 자중에 의해 상기 여과층으로 낙하하는 반송 홀이 형성되는 오염수 챔버;
    상기 오염수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고, 분리된 상기 슬러지 오염수를 배출하는 오염수 배출관; 및
    상기 오염수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 챔버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여 상기 여재에 부착되거나 상기 슬러지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키는 제1 산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오염수 배출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처리수 배출관에 연결되는 2차 처리수 배출관; 및
    상기 오염수 배출관에 결합되고, 상기 슬러지 오염수에서 슬러지를 필터링하는 슬러지 거름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 오염수 중 일부는 상기 슬러지 거름망을 거쳐 상기 2차 처리수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슬러지 거름망을 거치지 않고 상기 오염수 배출관의 출구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기장치는 30㎛ ~ 50㎛ 직경의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 배출관 입구에 설치되어 오염수가 월류되어 배출되는 오염수 웨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염수 웨어는 상기 제1 산기장치에서 분사되는 마이크로 버블의 크기 및 에어 공급량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여 직경이 상기 에어리프트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반송 홀의 직경보다 작은 여재 탈출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거름망은 상기 슬러지 오염수가 하향 이송되는 영역에서 상기 오염수 배출관의 내주면과 협력하여 상기 2차 처리수 배출관의 입구에 접하는 고리 형상의 필터링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링 공간의 상측에서 상기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수위센서;
    상기 필터링 공간의 하측에서 상기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수위센서;
    상기 분산관에 상기 하폐수가 유입되게 하는 펌프;
    상기 필터링 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오염수 배출관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 배출관을 개폐하는 제2 밸브;
    상기 필터링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슬러지 거름망을 향해 압축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 및
    상기 제1 수위센서와 상기 제2 수위센서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펌프,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에어 노즐을 제어하여 상기 슬러지 거름망에 부착된 슬러지를 분리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가 상기 제1 수위센서보다 높아지면 상기 펌프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 밸브에 의해 상기 오염수 배출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 노즐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킨 후에 상기 제2 밸브에 의해 상기 오염수 배출관을 개방하고, 상기 슬러지 오염수의 수위가 상기 제2 수위센서보다 낮아지면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
  8. 하폐수가 유입되는 여과장치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내부에 여재로 이루어지는 여과층이 형성된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폐수를 분사하는 분산관;
    상기 반응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폐수가 상기 여과층을 통과된 1차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 배출관;
    상기 반응조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여재와 슬러지 오염수를 상향 이송하는 에어리프트관;
    상기 에어리프트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에어리프트관을 통해 상향 이송된 상기 여재와 상기 슬러지 오염수가 비중 차이에 의해 분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저면에는 분리된 상기 여재가 자중에 의해 상기 여과층으로 낙하하는 반송 홀이 형성되는 오염수 챔버;
    상기 오염수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고, 분리된 상기 슬러지 오염수를 배출하는 오염수 배출관; 및
    상기 오염수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 챔버 내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여 상기 여재에 부착되거나 상기 슬러지 오염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키는 제1 산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층을 통과하는 상기 하폐수에 마이크로 버블을 분사하는 제2 산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층은,
    상기 마이크로 버블에 의한 질산화 작용이 이루어지는 폭기 영역;
    상기 폭기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고, 탈질 미생물에 의한 탈질 작용이 이루어지는 무산소 영역; 및
    상기 폭기 영역과 상기 무산소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버퍼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버퍼 영역에서 상기 하폐수의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센서; 및
    상기 산소센서에서 측정되는 용존산소량에 따라 상기 제1 산기장치에서 분사하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소센서에서 측정되는 용존산소량이 기 설정 값 이상이 되면 상기 제1 산기장치에서 분사하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반응조에 유입되는 상기 하폐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하폐수의 온도가 기 설정 값 이상이 되면 상기 제1 산기장치에서 분사하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 시스템.

KR1020180014858A 2018-02-07 2018-02-07 하폐수 처리 시스템 KR10188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858A KR101886045B1 (ko) 2018-02-07 2018-02-07 하폐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858A KR101886045B1 (ko) 2018-02-07 2018-02-07 하폐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045B1 true KR101886045B1 (ko) 2018-09-06

Family

ID=6359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858A KR101886045B1 (ko) 2018-02-07 2018-02-07 하폐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0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914A (ja) * 1981-07-17 1983-01-28 Tsukishima Kikai Co Ltd 濾過器洗浄部の汚泥付着防止装置
JPS63214392A (ja) * 1987-11-18 1988-09-07 Ebara Infilco Co Ltd 有機性廃水の生物処理方法
KR101167488B1 (ko) 2012-02-01 2012-07-27 (주)일신종합환경 하폐수의 인 및 질소 동시 제거 시스템
KR20130031477A (ko) * 2011-09-21 2013-03-29 에이티이 주식회사 상향류식 연속 여과기를 구비한 질소·인 제거 및 재이용수 처리 시스템
KR101300466B1 (ko) 2011-08-24 2013-08-27 (주)에코지텍 하·폐수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 제거방법
KR101826085B1 (ko) * 2016-11-02 2018-02-06 (주)대신환경기술 무반류 연속세정 상향류 여과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914A (ja) * 1981-07-17 1983-01-28 Tsukishima Kikai Co Ltd 濾過器洗浄部の汚泥付着防止装置
JPS63214392A (ja) * 1987-11-18 1988-09-07 Ebara Infilco Co Ltd 有機性廃水の生物処理方法
KR101300466B1 (ko) 2011-08-24 2013-08-27 (주)에코지텍 하·폐수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 제거방법
KR20130031477A (ko) * 2011-09-21 2013-03-29 에이티이 주식회사 상향류식 연속 여과기를 구비한 질소·인 제거 및 재이용수 처리 시스템
KR101167488B1 (ko) 2012-02-01 2012-07-27 (주)일신종합환경 하폐수의 인 및 질소 동시 제거 시스템
KR101826085B1 (ko) * 2016-11-02 2018-02-06 (주)대신환경기술 무반류 연속세정 상향류 여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208B1 (ko) 생물 여과 기술을 이용하는 회분식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1761949B1 (ko) 현탁 매질 막 생물학적 반응기 시스템 및 현탁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정
JP4447579B2 (ja) 汚水処理装置
KR100510878B1 (ko) 호기성 생물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1579310B1 (ko) 외부 침지식 분리막 시스템
KR100940123B1 (ko) 부유접촉형 하수처리시설 장치
US6964738B1 (en) Bioreactor processing of wastewater
KR20170074401A (ko) 친환경 발포 인공여재를 이용하여 침전지와 생물막 여과조를 개선한 하이브리드형 하수 고도처리장치
KR100992827B1 (ko)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KR101886045B1 (ko) 하폐수 처리 시스템
KR101817471B1 (ko)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KR20140037457A (ko) 연속 순환식 여과기 및 방법
JP5925023B2 (ja) 汚泥排水の処理設備及び処理方法
JPS6349297A (ja) 廃水処理装置
JPH0142758B2 (ko)
KR101898183B1 (ko) 복합담체와 분사수류장치를 구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질소 제거 방법
KR100456346B1 (ko) 미생물 접촉산화법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20180120525A (ko) 마이크로 버블 산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32740B1 (ko) 일체형 호기 질소탈기조를 이용한 생물학적 고도처리장치 및 그 공법
KR102213273B1 (ko) 오폐수 및 해수의 재이용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WO201103209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a waste stream
KR101905447B1 (ko) 이동식 오폐수 처리장치
CN107188377A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
JPH0160317B2 (ko)
JP3458336B2 (ja) 移床式生物膜ろ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