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001B1 -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001B1
KR101886001B1 KR1020170113091A KR20170113091A KR101886001B1 KR 101886001 B1 KR101886001 B1 KR 101886001B1 KR 1020170113091 A KR1020170113091 A KR 1020170113091A KR 20170113091 A KR20170113091 A KR 20170113091A KR 101886001 B1 KR101886001 B1 KR 101886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nd
speed
driving
relativ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희
박영민
이창호
이융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001B1/ko
Priority to PCT/KR2018/008313 priority patent/WO2019050156A1/ko
Priority to US16/643,563 priority patent/US2020020733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2Indicating direction only, e.g. by weather vane
    • G01P13/025Indicating direction only, e.g. by weather vane indicating air data, i.e. flight variables of an aircraft, e.g. angle of attack, side slip, shear, ya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2Indicating direction only, e.g. by weather v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24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 direct influence of the streaming fluid on the properties of a detecting acoustical w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special location or mounting of sensors
    • B60W2550/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주행 보조 장치에 연관되며, 차량의 주행안정성 유지되는 주행안정영역을 풍동시험 등을 통해 미리 지정하고, 차량의 일측에 부착되어 2차원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바람센서; 및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와 상기 바람센서로부터 측정되는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안정성을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SSISTANCE}
자동차의 주행을 보조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풍속계를 활용하여 지상 주행체의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항공기에 작용하는 공기력은 항공기의 절대속도가 아닌 바람과의 상대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상대속도는 항공기 주위 유동의 전압(Total Pressure)과 정압(Static Pressure)을 측정하여 얻는다. 항공기의 상대속도가 너무 높으면 구조적으로 위험해지며, 상대속도가 너무 낮으면 실속으로 인해 추락할 위험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항공기는 고도별로 비행 가능한 상대속도 영역으로 설정되는 비행영역선도 내에서 비행하게 된다.
지상 주행체의 경우에 공기력이 작용하는 원리는 항공기와 같으나 바퀴의 회전수를 이용한 절대속도만을 측정하고, 바람의 영향을 받는 상대속도에 대한 측정은 하지 않는 대신, 운전자가 강풍을 느끼면 감속하는 방식으로 상대속도의 영향을 운전에 반영한다. 최근 자율주행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탑승자가 없거나 있어도 직접 운전하지 않을 경우, 바람의 영향을 운전에 반영하여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장치가 필요하다.
항공기의 비행영역선도와 유사하게, 차량의 경우에도 안정적 주행이 가능한 주행안정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주행안정영역은 차량의 주행속도와 바람에 의해 형성되는 상대풍의 풍향, 풍속에 따라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미리 평가하여 설정한다. 즉, 풍동과 같은 시험설비를 이용하여 차량에 상대풍을 제공하고, 차량에 작용하는 공기력이 차량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풍향, 풍속별로 평가하면, 차량 안정성에 대한 한계 풍속을 풍향별로 결정하여 주행안정영역을 얻을 수 있다.
주행안정영역은 차량의 형태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무게 및 무게중심의 위치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행안정영역은 차량의 종류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차체가 낮은 스포츠카의 경우에는 넓게 설정될 수 있고, 차체가 높은 박스카 또는 트럭의 경우에는 주행안정영역이 좁게 설정될 수 있다.
차량의 주행시, 미리 설정된 주행안정영역과 현재 차량의 상대속도를 비교하여 주행안정성을 판단한다. 즉, 차량의 상대속도가 미리 설정된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불안정하다고 판단하며, 현재 상대속도가 주행안정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안정하다고 판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주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일측에 부착되어 2차원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바람센서; 및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와 상기 바람센서로부터 측정되는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안정성을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주행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상대속도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주행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안정영역 및 상기 주행 안정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차량의 상대속도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주행 보조 장치도 개시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람센서는 상기 차량의 보닛(Bonnet) 또는 지붕(Roof)에 부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상대속도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량을 감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주행 보조 장치도 가능하며, 상기 바람센서는, 다공(multi-hole) 압력프로브, 초음파 풍향풍속계, LDV(Laser Doppler Velocimetry),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How-Wire Anemometer 등 통상의 풍향풍속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평방향의 풍향, 풍속을 측정하는 2차원 풍향풍속계이면 충분하지만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일측에 따르면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되는 차량용 주행 보조 방법에 있어서, 바람센서가 차량의 일측에 부착되어 2차원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와 상기 바람센서로부터 측정되는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행 보조 방법이 개시된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주행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상대속도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행 보조 방법도 개시된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주행안정영역 및 상기 안정성을 표시하는 단계, 또는 알림부가 상기 차량의 상대속도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행 보조 방법도 가능하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바람센서는 상기 차량의 보닛(Bonnet) 또는 지붕(Roof)에 부착되어 2차원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주행 보조 방법이 개시된다.
일측에 따르면 제어부가 상기 차량의 상대속도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량을 감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2차원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주행 보조 방법도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행 보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압력식 바람센서를 도시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정성 판단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초음파 바람센서를 도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람센서가 장착되는 차량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안정영역을 도시한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정성이 높은 경우의 영역을 도시한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정성이 낮은 경우의 영역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압력식 바람센서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2차원 압력식 바람 센서(100)는 예시적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센서는 원기둥의 외측 원주에 복수의 압력 공(Hole, 110)이 배치되어 상기 압력 공(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한다. 복수의 압력 공(110)은 예시적으로 8개의 압력 공(11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차원 상의 다양한 방향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비교하여 바람센서가 설치된 지점의 풍향, 풍속을 계산할 수 있다.
바람센서가 설치된 지점에서의 상대풍에는 차량의 형상에 따른 영향이 포함되어 있어, 차량의 주행속도와 대기중의 바람과의 상대속도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보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보정식은 바람센서가 설치된 차량의 풍동시험을 통해 미리 얻을 수 있으며, 이 풍동시험은 차량의 주행안정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풍동시험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보정식을 이용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바람센서로 측정된 상대속도를 보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정성 판단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가 주행 안정성을 판단하는 방법은 상대속도를 측정(210)하고, 미리 지정된 보정식으로 보정(220)하며, 운전자에게 상대속도를 알린다(230).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과 비교(240)한다. 마지막으로 주행 안정성을 판단하여 안정한 경우에는 특별한 조치 없이 다시 상대속도 측정(210)단계로 돌아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반면에 불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위험 경고 및/또는 속도제어(250)를 하고, 다시 상대속도 측정(210) 단계로 돌아간다.
각 단계별로 하나씩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주행안정성 판단 흐름이 시작되면, 가장 먼저 상대속도를 측정(210)한다. 상대 속도란 차량의 주행 속도와 바람의 속도를 고려하여 차량과 바람 사이의 상대 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프로세서는 바람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대속도를 미리 지정된 보정식을 이용하여 보정(220)한다.
상대속도 알림(230)단계는 일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차량의 상대속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일 뿐 반드시 상대속도 정보만을 알리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주행속도와 함께, 측정되는 풍향 및 풍속 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의 상대속도 정보는 예시적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는 이미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단순히 m/s 또는 km/h 등의 속력 단위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주행안정영역 비교(240) 단계는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과 현재의 상대속도에 따른 영역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주행안정영역이란 차량이 안정적으로 주행 가능한 상대속도 영역을 의미한다. 차량의 풍동 시험을 통하여 안정하다고 판단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미리 지정하고, 지정되는 상기 주행안정영역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되어 있는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과 현재 차량의 상대속도를 비교하여 주행안정성을 판단한다. 차량의 상대속도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불안정하다고 판단하며, 현재 상대속도가 주행안정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안정하다고 판단한다.
각 경우에 따라서 안정한 경우에는 특별히 문제될 것이 없으므로, 상대속도 측정(210) 단계로 돌아가 지속적으로 상대속도를 모니터링하며 안정성을 판단한다.
반면에 불안정한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위험 경고 및/또는 속도제어(250)를 한다. 위험경고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수행할 수 있으며, 알림 방법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시각적 알림과, 경고음을 통한 청각적 알림도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부가 점멸하거나 붉게 변하는 등의 시각적 알림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에 "위험 풍속" 등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는 의자 또는 핸들에 진동을 주는 촉각적 알림도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불안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가 차량의 속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속도제어는 운전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 운전자가 직접 속도 제어를 할 수도 있으나, 운전 보조를 위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부가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자율주행 차량의 경우에 속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대속도가 클수록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나므로 예시적으로 상대속도를 줄이기 위하여 차량을 감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감속에 의해 현재 상대속도내로 감소한 경우에는 감속을 중지하고 다시 상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부터 시작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초음파 바람센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되는 2차원 초음파 바람센서는 예시적으로 초음파 풍속계일 수 있다. 상기 2차원 바람센서는 바람을 측정하는 부분이 최대한 차량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높이가 낮게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람센서는, 차량에 부착되는 표면과 바람을 측정하는 부분이 가깝도록 별도의 마스트(Mast)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2차원 바람센서가 장착되는 차량의 모습을 도시한다.
바람센서(410, 420)는 예시적으로 그러나 한정되지 않게 차량의 보닛(Bonnet)이나 지붕(Roof)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의 보닛에 설치되는 바람센서(410)의 경우 차량의 전면부에 작용하는 바람의 영향을 측정하기에 유리하며, 반면에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는 바람센서(420)의 경우 전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측정하기에 유리하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센서(410, 420)는 하나만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의 서로 다른 일측에 부착되는 복수의 바람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에 부착 가능한 위치는 트렁크(Trunk), 사이드 미러(Side Mirror) 등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서의 바람센서(410, 420)는 초음파 바람센서를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공(multi-hole) 압력프로브, LDV(Laser Doppler Velocimetry),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How-Wire Anemometer 등 통상의 풍향풍속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평방향의 풍향, 풍속을 측정하는 2차원 풍향풍속계이면 충분하지만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하는 주행안정영역은 모두 차량의 우측 절반만을 도시하였다. 일반적인 차량의 형태가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한쪽만을 도시하였고, 차량의 좌측 절반 영역은 우측 절반에 표시되는 영역과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일 뿐 차량의 형태가 좌우가 대칭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사이드카의 경우에는 주행안정영역의 좌우가 대칭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안정영역을 도시한다.
도 5는 미리 지정되는 풍향별 주행안정성이 유지되는 상대속도의 한계를 굵은 화살표로 표시하고, 이들을 연결한 곡선으로 주행안정영역(510)을 도시한다. 주행안정영역이란, 안정적 주행이 가능한 상대속도 영역으로서 풍동 시험을 통해 미리 차량에 저장되는 정보이다.
상기 주행안정영역(510)은 차량의 종류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차체가 낮은 스포츠카의 경우에는 넓게 설정될 수 있고, 차체가 높은 박스카 또는 트럭의 경우에는 주행안정영역이 좁게 설정될 수 있다. 주행안정영역은 차량의 형태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무게 및 무게중심의 위치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안정영역(510)은 정면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차량의 설계상 넓게 표시될 수 있으며, 측면과 후방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경우에는 비교적 좁게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차량의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정성이 높은 경우의 영역을 도시한다.
현재 상대속도(V3)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610) 내에 있기 때문에 주행 안정성이 높은 경우에 해당한다. 즉, 안정한 경우이다.
예시적으로 차량의 주행에 의한 영향 이외에 바람이 거의 불지 않는 경우이거나, 차량의 주행속도 자체가 느린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는 도 6과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주행 안정성이 높은 경우기 때문에 별도의 알림이나 속도제어는 하지 않으며, 현재 상대속도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610)을 표시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의 현재 주행속도, 풍향, 풍속 및 주행 안정성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안정성이 낮은 경우의 영역을 도시한다.
현재 상대속도(V-3)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710) 밖에 있기 때문에 주행 안정성이 낮은 경우에 해당한다. 즉, 불안정한 경우이다.
차량의 외부에서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는 경우거나, 차량의 주행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는 도 7과 같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알림부에 의해 현재 상대속도를 붉은색으로 표시하거나 반복적으로 점멸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상대속도(V-3)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차량의 가속을 제한하거나, 차량이 감속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행안정영역(710)은 앞서 설명한 대로 풍동 시험을 통해 설정되는 영역이며, 차량의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어느 상대속도까지 안정한지를 연결한 영역이 된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차량에 작용하는 상대속도(V3)는 바람의 속도(V2)에서 차량의 주행속도(V-1)를 뺀 값이다. 상기 속도 값들은 모두 벡터 값이며 상대속도는 바람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보정식에 의해 보정되어 얻는다.
도 7과 같이 상기 현재 상대속도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710)을 벗어나는 경우에 불안정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고, 도 6과 같이 주행안정영역(610)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는 안정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하는 상대속도(V3)의 경우는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났기 때문에 불안정한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차량용 주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일측에 부착되어 2차원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바람센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와 상기 바람센서로부터 측정되는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바람에 대한 상대속도를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과 비교하여 주행 안정성을 판단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상대속도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량을 감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주행 보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안정영역 및 상기 주행 안정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주행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대속도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알리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주행 보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센서는 상기 차량의 보닛(Bonnet) 또는 지붕(Roof)에 부착되는 주행 보조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센서는,
    다공(multi-hole) 압력프로브, 초음파 풍향풍속계, LDV(Laser Doppler Velocimetry),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Hot-Wire 풍향풍속계 중 어느 하나인 주행 보조 장치.
  8. 컴퓨터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구현되는 차량용 주행 보조 방법에 있어서,
    바람센서가 차량의 일측에 부착되어 2차원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와 상기 바람센서로부터 측정되는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바람에 대한 상대속도를 측정하고 보정하는 단계;
    상기 상대속도를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과 비교하여 주행 안정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상대속도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차량을 감속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행 보조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주행안정영역 및 상기 주행 안정성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주행 보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알림부가, 상기 차량의 상대속도가 미리 지정되는 주행안정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주행 보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센서는 상기 차량의 보닛(Bonnet) 또는 지붕(Roof)에 부착되어 2차원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주행 보조 방법.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센서는,
    다공(multi-hole) 압력프로브, 초음파 풍향풍속계, LDV(Laser Doppler Velocimetry),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Hot-Wire 풍향풍속계 중 어느 하나인 주행 보조 방법.
  15. 제8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주행 보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113091A 2017-09-05 2017-09-05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1886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91A KR101886001B1 (ko) 2017-09-05 2017-09-05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PCT/KR2018/008313 WO2019050156A1 (ko) 2017-09-05 2018-07-24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US16/643,563 US20200207331A1 (en) 2017-09-05 2018-07-24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91A KR101886001B1 (ko) 2017-09-05 2017-09-05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001B1 true KR101886001B1 (ko) 2018-08-06

Family

ID=63252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091A KR101886001B1 (ko) 2017-09-05 2017-09-05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07331A1 (ko)
KR (1) KR101886001B1 (ko)
WO (1) WO20190501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1582A (zh) * 2020-08-14 2020-12-04 佛山市三水凤铝铝业有限公司 一种智能化门窗
JP7352948B2 (ja) 2019-10-15 2023-09-29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飛行体用対気速度及び風向計測装置及びその計測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26867A1 (en) * 2020-10-26 2022-04-28 Tusimple, Inc. Wind gust detection by an autonomous vehicle
US11433851B2 (en) * 2020-12-17 2022-09-06 Aptiv Technologies Limited Vehicle sensor system including barometric pressure sens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737B1 (ko) * 2006-07-07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풍속 경보장치
JP2009040257A (ja) * 2007-08-09 2009-02-26 Toyota Motor Corp 運転支援装置
KR20120028589A (ko) * 2010-09-15 2012-03-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사고 방지 장치
KR20150051551A (ko) * 2013-11-04 2015-05-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풍속 측정 기반의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548A (ja) * 2005-03-18 2006-09-28 Nippon Seiki Co Ltd 運転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737B1 (ko) * 2006-07-07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풍속 경보장치
JP2009040257A (ja) * 2007-08-09 2009-02-26 Toyota Motor Corp 運転支援装置
KR20120028589A (ko) * 2010-09-15 2012-03-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사고 방지 장치
KR20150051551A (ko) * 2013-11-04 2015-05-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풍속 측정 기반의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2948B2 (ja) 2019-10-15 2023-09-29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飛行体用対気速度及び風向計測装置及びその計測方法
CN112031582A (zh) * 2020-08-14 2020-12-04 佛山市三水凤铝铝业有限公司 一种智能化门窗
CN112031582B (zh) * 2020-08-14 2022-06-17 佛山市三水凤铝铝业有限公司 一种智能化门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0156A1 (ko) 2019-03-14
US20200207331A1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001B1 (ko) 주행 보조 장치 및 방법
JP5641146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US20180201314A1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device
US9682703B2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KR101316465B1 (ko)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42111B1 (ko) 운전 지원 장치
KR20150059489A (ko) 협로 검출 방법과 협로 검출 장치 및 협로 검출 시스템
WO2013030903A1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US11643009B2 (en)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based upon a predicted imminent lane change
US20170106857A1 (en) Vehicle collis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0102641A (ja) 車両用衝突回避装置
JP2011180085A (ja) 車両質量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26319B2 (en) Driving monitor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8352123A (zh) 用于在进场阶段辅助飞行器着陆的嵌入式方法和系统
JP2011134103A (ja) 案内装置、案内方法、及び案内プログラム
JPWO2018163277A1 (ja) 故障検出装置、故障検出方法及び故障検出プログラム
JP2012212379A (ja) 運転者状態検出システム及び運転者状態検出方法
JPWO2014162560A1 (ja) 走行支援装置及び走行支援方法
JP2019048483A (ja) 車両制御装置
JP2005202512A (ja) 車両運転支援装置および車両運転支援方法
US11142215B2 (en) Processing unit and processing method for inter-vehicular distance warning system, inter-vehicular distance warning system, and motorcycle
JP6020420B2 (ja) 移動体用の風検知装置
JP2014076718A (ja) 移動体の制御装置
KR20200077289A (ko) 후방 경고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JP5178652B2 (ja) 車両の走行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