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690B1 - 예혼합가스 버너 - Google Patents

예혼합가스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690B1
KR101885690B1 KR1020160099413A KR20160099413A KR101885690B1 KR 101885690 B1 KR101885690 B1 KR 101885690B1 KR 1020160099413 A KR1020160099413 A KR 1020160099413A KR 20160099413 A KR20160099413 A KR 20160099413A KR 101885690 B1 KR101885690 B1 KR 10188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burner body
flame
head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5866A (ko
Inventor
고봉석
Original Assignee
고봉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봉석 filed Critical 고봉석
Priority to KR1020160099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6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5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8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ax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6Protecting flame and burn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20Flame lift-off /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혼합가스 버너에 관한 것으로, 유입관이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 내부와 연통된 혼합실을 갖도록 내통과 외통 및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을 잇는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버너본체; 상기 버너본체의 외통에 안착되는 화염유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화염유도부재는 내외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버너바디와, 상기 버너바디에 안착되는 버너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버너헤드의 재질과 상기 버너바디의 재질은 서로 다르고, 상기 버너바디의 재질과 상기 버너본체의 재질은 서로 다르며, 상기 구성에 의해 바디가 헤드나 본체와 이종 재질로 형성되어 각 부품끼리 달라붙지 않는 예혼합가스 버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예혼합가스 버너{Premixed gas burner}
본 발명은 예혼합가스 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디가 헤드나 본체와 이종 재질로 형성되어 각 부품끼리 달라붙지 않는 예혼합가스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버너는 가스연료를 효율적으로 연소시켜 고온의 화염을 얻기 위한 장치로서, 가정용 풍로에 사용되는 소규모의 가정용 버너에서부터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 쓰이는 대규모의 공업용 버너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연료와 공기를 혼합시키는 방식으로서 예혼합형과 확산형의 2가지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예혼합가스 버너에 대한 기술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등록실용 제20-0309319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의 예혼합가스 버너(100)는 주철 등의 주물로 제작된 버너본체(20)와 이 버너본체(20) 상에 안착된 화염판(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버너본체(20)는 연료가스와 1차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21)과 이 유입관(21)을 통해 유입된 연료가스와 1차 공기를 혼합(이하 "예혼합가스"라 한다)하고 이를 화염판(300)으로 분산시키는 환상의 혼합실(23)이 일체적으로 이루어진다. 
버너본체(20)의 중앙부에는 연소할 때 2차 공기를 화염판(300)으로 유도하는 통로(25)가 형성된 가이드부재(27)가 설치되어 있다.
화염판(300)은 그 측면에서 볼 때, 외측에서 내측 아래로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310)과, 경사면(310)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부재(27)에 삽입 지지되는 중공부재(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염판(300)에는 버너본체(20)에 안착되는 주연부에 다수의 채널(37)이 방사상으로 설치된 주화염구(39)가 설치되어 있다.
주화염구(39)는 외주상면(330)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주화염구(39)는 후술된 혼합가스배출통로(350)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경사면(310)에는 보조화염구(320)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천공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화염구(320)는 경사면(310)에 대해 기울어지게 천공되어 있는데, 보조화염구(320)의 표면은 그 이면보다 중공부재(33)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예혼합가스 버너(10)는, 버너본체(20)와 화염판(30)이 모두 주철 등의 주물로 서로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어 왔다. 따라서 주화염구(39)를 통해 화염이 형성되면 서로 맞닿은 버너본체(20)와 화염판(30)은 온도가 상승하여 녹은 뒤 서로 달라붙게 되며, 이로 인해 혼합가스의 유동에 저항이 생기고 연소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예혼합가스 버너(10)는 서로 달라붙은 버너본체(20)와 화염판(30)을 분리해 청소하는 것이 어려웠다.
한국등록실용 제20-030931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달라붙지 않는 예혼합가스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저항이 작아 연소효율이 좋은 예혼합가스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 및 청소가 용이한 예혼합가스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혼합가스 버너는, 유입관이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 내부와 연통된 혼합실을 갖도록 내통과 외통 및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을 잇는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버너본체; 상기 버너본체의 외통에 안착되는 화염유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화염유도부재는 내외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버너바디와, 상기 버너바디에 안착되는 버너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버너헤드의 재질과 상기 버너바디의 재질은 서로 다르고, 상기 버너바디의 재질과 상기 버너본체의 재질은 서로 다르다.
또한, 상기 버너바디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버너바디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연결되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버너바디의 내면은 내면의 하측을 이루는 제1확산유도면과, 상기 제1확산유도면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내면의 상측을 이루는 제2확산유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확산유도면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확산유도면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제2확산유도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헤드는 상기 내통에 삽입 지지되는 중공부재, 상기 중공부재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화염유도부, 상기 화염유도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화염유도부의 외면은 하단부터 상단까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너헤드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버너바디의 상면에 닿은 채로 상기 버너바디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버너바디의 제2확산유도면의 기울기는 상기 화염유도부의 외면의 기울기보다 크다.
또한, 상기 버너본체와 상기 버너헤드는 주물로 형성되고, 상기 버너바디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황동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버너바디의 중심축에 대해 나선형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혼합가스 버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는 홈을 통해 화염이 발생되어 예혼합가스 버너가 전체적으로 열이 상승하더라도 서로 맞닿은 버너바디와 버너헤드가 서로 달라붙거나, 버너바디와 버너본체가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1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는 혼합가스가 막히는 부분이 없어 유동저항이 종래보다 줄어들어 예혼합가스 버너의 연소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1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는 버너바디와 버너헤드 및 버너본체의 분리가 쉽고 예혼합가스 버너의 청소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1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는 버너헤드와 버너바디간에 접촉된 부분이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되어 버너헤드와 버너바디가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달라붙는다 하더라도 보다 쉽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제2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는 화염이 발생되어 예혼합가스 버너가 전체적으로 열이 상승하더라도 이종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맞닿은 내측버너바디와 내측버너헤드가 서로 달라붙거나, 외측버너바디와 외측버너헤드가 서로 달라붙거나, 내측버너바디와 제1외통이 서로 달라붙거나, 외측버너바디와 제2외통이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예혼합가스 버너는 혼합가스의 유동저항이 작아지고 예혼합가스 버너의 연소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내측버너바디, 내측버너헤드, 외측버너바디, 외측버너헤드, 버너본체간에 분리가 쉽고 예혼합가스 버너의 청소가 용이해진다.
도 1은 종래의 예혼합가스 버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예혼합가스 버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버너바디의 상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예혼합가스 버너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의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제1실시 예 =========================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예혼합가스 버너(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예혼합가스 버너(100)를 부품별로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예혼합가스 버너(100)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버너바디(400)의 상면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예혼합가스 버너(100)는 1열 가스 버너이다.
제1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는, 유입관(210)이 연결되며, 유입관(210) 내부와 연통된 혼합실(250)을 갖도록 내통(220)과 외통(230) 및 내통(220)과 외통(230)을 잇는 바닥면(240)으로 이루어지는 버너본체(200)와, 버너본체(200)의 외통(230)에 안착되는 화염유도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너본체(200)는 반원형의 관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240)에는 버너본체(200) 자체를 받치는 다리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버너본체(200)의 외통(230) 상면에는 버너본체(200)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돌출부(232)가 형성된다.
돌출부(232)에는 후술할 버너바디(400)가 안착된다.
화염유도부재(300)는 내외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홈(426)이 상면에 형성되는 버너바디(400)와, 버너바디(400)에 안착되는 버너헤드(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너바디(400)는 링 형상을 갖는다.
버너바디(400)는 상면(410)과, 상면(41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연결되는 내면(420)과 외면(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버너바디(400)는 상면(410)과 내면(420)에 연결되는 하면(4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너바디(400)의 하면(440)에는 버너바디(400)의 내면(420)과 연결되는 돌출부(442)가 형성된다.
따라서 버너바디(400)의 돌출부(442)는 버너본체(200)의 상면에 닿고, 버너바디(400)의 하면(440)은 버너본체(200)의 돌출부(232)에 닿은 채로 버너바디(400)가 버너본체(200)에 안착된다. 즉 버너본체(200)의 턱진 부분과 버너바디(400)의 턱진 부분이 서로 걸린 채로 버너바디(400)가 버너본체(200)에 안착된다. 따라서 버너바디(400)나 버너본체(200)는 좌우로 이동하거나 좌우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버너바디(400)의 외면(430)은 하단에서 중앙부까지 수직으로 이어지고, 중앙부에서 상단까지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버너바디(400)의 내면(420)은 내면(420)의 하측을 이루는 제1확산유도면(422)과, 제1확산유도면(422)의 상단에 연결되어 내면(420)의 상측을 이루는 제2확산유도면(4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1확산유도면(422)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2확산유도면(424)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홈(426)은 제2확산유도면(424)에 형성된다. 홈(426)은 버너바디(400)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홈(426)은 버너바디(400)가 움푹 파져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홈(426)의 깊이는 버너바디(4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깊어지고, 홈(426)의 폭은 버너바디(4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이때 홈(426)과 홈(426) 사이의 버너바디(400)에는 돌출부(424b)가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홈(426)의 공간(426b)은 하측과 양측이 각각 버너바디(400)의 상면과 돌출부(424b)의 측면에 둘러 싸여 형성되어 있고, 내외측과 상측이 버너바디(400)의 외부공간과 연통된다.
보다 자세하게 홈(426)은 내측 끝단이 제1확산유도면(422)에 연결되고, 외측 끝단은 버너바디(400)의 외면(430)에 연결된다. 따라서 홈(426)의 내측 끝단에 둘러싸인 공간(426b)과 홈(426)의 외측 끝단에 둘러싸인 공간(426b) 각각은 버너바디(400)의 내측공간과 버너바디(400)의 외측공간에 각각 연통된다.
이러한 버너바디(400)에는 홈(426)의 외측 끝단에는 혼합가스가 분출되어 예혼합가스 버너(100)의 외부공간의 산소와 만나 화염이 일어나는 주화염구(426a)가 형성된다.
한편, 버너헤드(500)는 내통(220)에 삽입 지지되는 중공부재(510), 중공부재(510)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화염유도부(520), 화염유도부(520)의 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염유도부(520)의 외면(522)은 하단부터 상단까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화염유도부(520)의 내면 또한 하단부터 상단까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화염유도부(520)의 외면(522)의 기울기는 화염유도부(520)의 내면의 기울기보다 작다.
한편, 버너바디(400)의 제2확산유도면(424)의 기울기는 버너헤드(500)의 화염유도부(520)의 외면(522)의 기울기보다 크다.
또한, 버너헤드(500)의 재질과 버너바디(400)의 재질은 서로 다르고, 버너바디(400)의 재질과 버너본체(200)의 재질은 서로 다르다. 보다 자세하게 버너본체(200)와 버너헤드(500)는 주물로 형성되고, 버너바디(40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황동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혼합가스 버너(100)는 홈(426)을 통해 화염이 발생되어 예혼합가스 버너(100)가 전체적으로 열이 상승하더라도 서로 맞닿은 버너바디(400)와 버너헤드(500)가 서로 달라붙거나, 버너바디(400)와 버너본체(200)가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예혼합가스 버너(100)는 혼합가스가 막히는 부분이 없어 유동저항이 작아지면서 예혼합가스 버너(100)의 연소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버너바디(400)와 버너헤드(500) 및 버너본체(200)의 분리가 쉽고 예혼합가스 버너(100)의 청소가 용이해진다.
한편, 플랜지(530)는 화염유도부(520)의 상단 내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플랜지(530)의 내면은 화염유도부(520)의 내면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플랜지(530)의 외면은 수직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버너헤드(500)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화염유도부(5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보조화염공(542)이 더 형성된다.
보조화염공(542)의 상단에 둘러싸인 공간은 화염유도부(520)의 내측 공간과 연통되고, 보조화염공(542)의 하단에 둘러싸인 공간은 버너바디(400)와 버너헤드(500)와 혼합실(250)에 둘러싸인 공간에 연통된다.
이때 보조화염공(542)은 상단에 보조화염구(540)를 갖는다. 즉 보조화염구(540)는 화염유도부(520)의 내면 중 최외측에 형성된다.
이때 보조화염구(540)는 화염유도부(520)의 내면과 플랜지(530)의 내면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즉 보조화염구(540)의 일부는 플랜지(530)에도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화염구(540)에서 발생된 보조화염이 플랜지(530)의 경사진 내면을 타고 신속하게 상측으로 번질 수 있다.
버너바디(400)에 안착된 버너헤드(500)의 플랜지(530)는 버너바디(400)의 외면(430) 상단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버너바디(400)의 주화염구(426a)는 상측이 플랜지(530)의 하면에, 양측과 하측이 버너바디(400)의 외면(430)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따라서 버너헤드(500)는 플랜지(530)가 버너바디(400)의 상면(410)에 닿은 채로 버너바디(400)에 안착된다.
또한 버너헤드(500)와 버너바디(400) 내측에는 공간인 혼합가스통로(302)가 형성된다. 혼합가스통로(302)는 버너헤드(500)의 외면(522)과 플랜지(530), 버너바디(400)의 내면(420)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보다 자세하게 혼합가스통로(302)는 화염유도부(520)의 외면(522)과 제2확산유도면(424)과 홈(426)을 이루는 면들에 둘러싸여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공간이다.
따라서, 홈(426)의 공간(426b) 중 주화염구(426a)에 둘러싸인 공간(426b)은 버너헤드(500)와 버너바디(400)에 사방이 둘러싸여 화염유도부재(300)의 외측공간과 연통되며, 홈(426)의 나머지 공간(426b)은 상측이 개방되어 혼합가스통로(302)와 연통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는 버너헤드(500)와 버너바디(400)가 서로 닿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달라붙는다 하더라도 보다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는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된 혼합가스가 혼합실(250)로 이동한 뒤, 혼합가스통로(302)를 지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적어도 일부의 혼합가스는 홈(426)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혼합가스통로(302)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므로 혼합가스는 점차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혼합가스통로(302)를 지나는 혼합가스는 일부가 보조화염공(542)으로 들어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혼합가스는 보조화염구(540)까지 이동해 버너본체(200)의 내측 공간의 산소와 만나 보조화염을 발생시킨다. 이때 버너본체(200)의 내통(220)과 버너헤드(500)의 중공부재(510)에 둘러싸여 형성된 통로를 통해 유입된 유입산소가 버너헤드(500)의 내측으로 유도되어 화염이 연소될 때 사용된다.
한편, 주화염구(426a) 방향으로 이동한 혼합가스는 주화염구(426a)까지 이동해 예혼합가스 버너(100)의 외부 공간의 산소와 만나 주화염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는 플랜지(530)가 주화염구(426a)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주화염은 플랜지(530)의 하면을 타고 외측으로 번지다가 수직 형상을 갖는 플랜지(530)의 외주면을 타고 수직으로 번지도록 유도된다. 즉 주화염은 외측으로만 번지지 않고 플랜지(530)의 상측에 배치된 가열대상 쪽으로 유도되므로 화염의 연소가 효율적이다.
========================= 제2실시 예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제1실시 예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예혼합가스 버너(10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예혼합가스 버너(1000)를 부품별로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예혼합가스 버너(1000)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예혼합가스 버너(1000)는 2열 가스 버너이다.
제2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0)는 버너본체(2000), 버너본체(200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안착되는 2개의 화염유도부재(3100, 3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개의 화염유도부재(3100, 3200)는 내외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홈(4260, 6260)이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버너바디와, 2개의 버너바디에 각각 안착되는 2개의 버너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개의 버너바디는 외측버너바디(6000)와 내측버너바디(4000)로 이루어지고, 2개의 버너헤드는 외측버너헤드(7000)와 내측버너헤드(5000)로 이루어진다.
내측버너바디(4000)와 내측버너헤드(5000)는 제1실시 예의 버너바디(400)나 버너헤드(500)와 동일한 구성과 크기를 갖는다.
한편, 외측버너바디(6000)와 외측버너헤드(7000)는 구조가 제1실시 예의 버너바디(400)나 버너헤드(5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나 크기는 더 크게 형성된다.
반면, 외측버너헤드(7000)와 버너본체(2000) 각각은 제1실시 예의 버너헤드(500)와 버너본체(200)와 상이한 구성을 갖는다.
우선, 외측버너헤드(7000)는 플랜지(7300), 화염유도부(7200), 중공부재(7100)의 구성을 가져 제1실시 예의 버너헤드(500)와 구성은 동일하나 화염유도부(7200)의 외면(7220)과 내면의 기울기 각각이 제1실시 예의 화염유도부(520)의 외면(522)과 내면의 기울기보다 크다.
또한, 외측버너헤드(7000)에는 보조화염공, 보조화염구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2실시 예의 버너본체(2000)는 중앙의 제1내통(2210), 제1내통(2210)과 이격된 제1외통(2310), 제1내통(2210)과 제1외통(2310)에 둘러싸여 형성된 제1혼합실(2510)에 연통된 제1유입관(2110), 제1내통(2210)과 제1외통(2310)을 잇는 제1바닥면(2410), 제1외통(2310)과 이격된 제2내통(2230), 제2내통(2230)과 이격된 제2외통(2330), 제2내통(2230)과 제2외통(2330)에 둘러싸여 형성된 제2혼합실(2530)에 연통된 제2유입관(2130), 제2내통(2230)과 제2외통(2330)을 잇는 제2바닥면(2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측버너헤드(5000)의 중공부재(5100)는 제1내통(2210)에 삽입 지지되고, 외측버너헤드(7000)의 중공부재(7100)는 제2내통(2230)에 삽입 지지된다.
한편, 제1외통(2310)의 상면과 제2외통(2330)의 상면에는 각 외통(2310, 2330)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돌출부(2312, 2332)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내측버너바디(4000)의 하면과 외측버너바디(6000)의 하면에는 각 바디(4000, 6000)의 내면과 연결되는 돌출부(4422, 6622)가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버너헤드(5000)는 제1외통(2310)에 안착되고, 외측버너헤드(7000)는 제2외통(2330)에 안착되며, 제1외통(2310)의 돌출부(2312)와 내측버너바디(4000)의 돌출부(4422)는 서로 측면이 맞닿고, 제2외통(2330)의 돌출부(2332)와 외측버너바디(6000)의 돌출부(6622)는 서로 측면이 맞닿는다. 즉 제1외통(2310)의 턱진 부분과 내측버너바디(4000)의 턱진 부분이 서로 걸린 채 내측버너바디(4000)가 제1외통(2310)에 안착되고, 제2외통(2330)의 턱진 부분과 외측버너바디(6000)의 턱진 부분이 서로 걸린 채 외측버너바디(6000)가 제2외통(2330)에 안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내측버너바디(4000)의 높이는 외측버너바디(60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내측버너헤드(5000)의 높이는 외측버너헤드(70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된 상태의 제2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0)는 내측버너헤드(5000)의 상면이 외측버너헤드(7000)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0)는 내측 화염유도부재(3100)의 주화염구(4260a)를 통해 발생된 주화염이 외측버너헤드(7000)의 경사진 면들에 막혀 외측으로 번지지 않는다.
특히 외측버너헤드(7000)의 플랜지(7300)의 경사진 내면에 의해 주화염이 중앙부로 모여 화염들의 고른 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내측버너바디(4000)의 제2확산유도면(4240)의 기울기는 내측버너헤드(5000)의 화염유도부(5200)의 외면의 기울기보다 크고, 외측버너바디(6000)의 제2확산유도면(6240)의 기울기는 외측버너헤드(7000)의 화염유도부(7200)의 외면(7220)의 기울기보다 크다. 따라서 내측버너헤드(5000)의 플랜지(5300)가 내측버너바디(4000)의 상면에 닿은 채로 내측버너바디(4000)에 안착되고, 외측버너헤드(7000)의 플랜지(7300)가 외측버너바디(6000)의 상면에 닿은 채로 외측버너바디(6000)에 안착되면 내측버너바디(4000)와 내측버너헤드(5000)끼리 또는 외측버너바디(6000)와 외측버너헤드(7000)끼리 맞닿는 부분이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어든다.
또한, 내측버너헤드(5000)의 재질과 내측버너바디(4000)의 재질은 서로 다르고, 외측버너헤드(7000)의 재질과 외측버너바디(6000)의 재질은 서로 다르고, 내측버너바디(4000)의 재질과 버너본체(2000)의 재질이 서로 다르다. 보다 자세하게 내측버너바디(4000)의 재질과 제1외통(2310)의 재질은 서로 다르고, 외측버너바디(6000)의 재질과 제2외통(2330)의 재질은 서로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0)는 화염이 발생되어 예혼합가스 버너(1000)가 전체적으로 열이 상승하더라도 서로 맞닿은 내측버너바디(4000)와 내측버너헤드(5000)가 서로 달라붙거나, 외측버너바디(6000)와 외측버너헤드(7000)가 서로 달라붙거나, 내측버너바디(4000)와 제1외통(2310)이 서로 달라붙거나, 외측버너바디(6000)와 제2외통(2330)이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예혼합가스 버너(1000)는 혼합가스의 유동저항이 작아지고 예혼합가스 버너(1000)의 연소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내측버너바디(4000), 내측버너헤드(5000), 외측버너바디(6000), 외측버너헤드(7000), 버너본체(2000)간에 분리가 쉽고 예혼합가스 버너(1000)의 청소가 용이해진다.
이러한 제2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0)는 제1유입관(2110), 제2유입관(2130)을 통해 유입된 각 혼합가스가 내외측 혼합실(2510, 2530)로 각각 이동한 뒤 내외측 혼합가스통로(3021, 3023)를 각각 지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적어도 일부의 혼합가스는 내측버너바디(4000)의 홈(4260)이나 외측버너바디(6000)의 홈(6260)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혼합가스통로(3021, 3023)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므로 혼합가스가 점차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내측 혼합가스통로(3021)를 지나는 혼합가스는 일부가 내측버너헤드(5000)의 보조화염공(5420)으로 들어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내외측 혼합가스는 주화염구(4260a, 6260a) 또는 보조화염구(5400)까지 이동해 예혼합가스 버너(1000)의 외부 공간의 산소와 만나 주화염 또는 보조화염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2실시 예의 2열 버너로서 2개의 주화염과 1개의 부화염, 즉 총 3개의 화염이 발생된다.
이상에서 기재되지 않은 제2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0)의 구조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예혼합가스 버너(100)의 구조 및 효과와 동일하다.
==================================================
한편, 본 발명의 예혼합가스 버너(100, 10000)의 홈(426, 4260, 6260)은 상기 실시 예들의 홈(426, 4260, 6260)과 달리 버너바디(400, 4000, 6000)의 중심축에 대해 나선형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예혼합가스 버너(제1실시 예) 200 : 버너본체
250 : 혼합실 300 : 화염유도부재
302 : 혼합가스통로 400 : 버너바디
422 : 제1확산유도면 424 : 제2확산유도면
424b : 돌출부 426 : 홈
426a : 주화염구 426b : 공간
500 : 버너헤드 520 : 화염유도부
522 : 520의 외면 530 : 플랜지
540 : 보조화염구 542 : 보조화염공
1000 : 예혼합가스 버너(제2실시 예) 2000 : 버너본체
3021 : 내측혼합가스통로 3023 : 외측혼합가스통로
3100 : 화염유도부재(내측) 3200 : 화염유도부재(외측)
4000 : 내측버너바디 4240 : 제2확산유도면
4260 : 홈 4260a : 주화염구
5000 : 내측버너헤드 6000 : 외측버너바디
6260 : 홈 6260a : 주화염구
7000 : 외측버너헤드

Claims (7)

  1. 유입관이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 내부와 연통된 혼합실을 갖도록 내통과 외통 및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을 잇는 바닥면으로 이루어지는 버너본체;
    상기 버너본체의 외통에 안착되는 화염유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화염유도부재는 내외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버너바디와, 상기 버너바디에 안착되는 버너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링 형상의 상기 버너바디는 상면과, 상기 상면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연결되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버너바디의 내면은 내면의 하측을 이루는 제1확산유도면과, 상기 제1확산유도면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내면의 상측을 이루는 제2확산유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확산유도면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제2확산유도면에 형성되고,
    상기 버너헤드는 상기 내통에 삽입 지지되는 중공부재, 상기 중공부재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화염유도부, 상기 화염유도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버너헤드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버너바디의 상면에 닿은 채로 상기 버너바디에 안착되고,
    상기 화염유도부의 외면은 하단부터 상단까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버너바디의 제2확산유도면의 기울기는 상기 화염유도부의 외면의 기울기보다 큰 예혼합가스 버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의 재질과 상기 버너바디의 재질은 서로 다르고, 상기 버너바디의 재질과 상기 버너본체의 재질은 서로 다른 예혼합가스 버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너본체와 상기 버너헤드는 주물로 형성되고,
    상기 버너바디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황동으로 형성되는 예혼합가스 버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버너바디의 중심축에 대해 나선형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예혼합가스 버너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99413A 2016-08-04 2016-08-04 예혼합가스 버너 KR10188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13A KR101885690B1 (ko) 2016-08-04 2016-08-04 예혼합가스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413A KR101885690B1 (ko) 2016-08-04 2016-08-04 예혼합가스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866A KR20180015866A (ko) 2018-02-14
KR101885690B1 true KR101885690B1 (ko) 2018-08-06

Family

ID=6122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413A KR101885690B1 (ko) 2016-08-04 2016-08-04 예혼합가스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0190B2 (en) 2019-07-29 2022-10-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Gas burner assembly for a cooktop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831B1 (ko) * 2022-05-06 2022-10-17 김정숙 업소용 가스버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1721Y2 (ja) * 1993-07-26 1998-09-24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ーナ構造
JP2006098001A (ja) * 2004-09-30 2006-04-13 Asahi Seisakusho Co Ltd 内炎式バーナ
KR101573293B1 (ko) * 2014-07-25 2015-12-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이중화염버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319Y1 (ko) 2003-01-04 2003-03-31 경일주방주식회사 예혼합가스 버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1721Y2 (ja) * 1993-07-26 1998-09-24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ーナ構造
JP2006098001A (ja) * 2004-09-30 2006-04-13 Asahi Seisakusho Co Ltd 内炎式バーナ
KR101573293B1 (ko) * 2014-07-25 2015-12-0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이중화염버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0190B2 (en) 2019-07-29 2022-10-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Gas burner assembly for a cooktop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866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3314C2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с направленным внутрь пламенем
JP5380304B2 (ja) ガスボイラー用バーナー
US10145568B2 (en) High efficiency high power inner flame burner
EP3343104B1 (en) Distributed vertical flame burner
KR101847285B1 (ko) 버너와,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WO2016145746A1 (zh) 燃烧器及燃气用具
KR101885690B1 (ko) 예혼합가스 버너
KR20120033236A (ko) 곤로용 버너
KR102102148B1 (ko) 가스버너
JP5319616B2 (ja) コンロ用バーナ
JP2010196913A (ja) ガスコンロ
JP5164594B2 (ja) 加熱調理器
JP2016099076A (ja) バーナキャップ
EP3591289B1 (en) A dual circuit burner, a gas burner arrangement and a gas stove
KR102336420B1 (ko) 업소용 가스버너의 버너헤드
RU2295090C2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с раздельным питанием корон пламени
CN110906326B (zh) 一种燃烧器
KR101740576B1 (ko) 가스버너
TW200923277A (en) Main and secondary burner ports for stove
KR200309319Y1 (ko) 예혼합가스 버너
KR102621868B1 (ko) 가스버너
CN212204510U (zh) 一种燃气炉头的小负荷防干烧结构
CN1306210C (zh) 燃烧器和使用其的燃气灶
KR102264587B1 (ko) 이중가스버너
JP5350282B2 (ja) ガス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