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314B1 -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 - Google Patents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314B1
KR101885314B1 KR1020110033688A KR20110033688A KR101885314B1 KR 101885314 B1 KR101885314 B1 KR 101885314B1 KR 1020110033688 A KR1020110033688 A KR 1020110033688A KR 20110033688 A KR20110033688 A KR 20110033688A KR 101885314 B1 KR101885314 B1 KR 10188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plate portion
net
sha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124A (ko
Inventor
송치호
치화 송
박창수
Original Assignee
송치호
송치화
박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치호, 송치화, 박창수 filed Critical 송치호
Priority to KR102011003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314B1/ko
Priority to PCT/KR2011/004203 priority patent/WO2012141377A1/ko
Priority to US14/111,545 priority patent/US9795266B2/en
Priority to CN201180070063.9A priority patent/CN103476318B/zh
Publication of KR2012011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를 개시한다. 상기 수세미(10)는 성기거나 및/또는 조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그물눈을 갖고 휘거나 접기 쉬운 망체(2); 및 합성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망체(2)의 일면의 일부분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13a)를 따라 복수의 치형(13bb)이 형성된 치형부(13b)를 갖는 형상 지지체(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주방용기들이나 다양한 용도의 용기들의 표면 외에도 상기 용기 등의 좁고 깊은 홈부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느슨하게 또는 단단하게 부착된 이물질들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Scrubber with a form supporter}
본 발명은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한 망체(net body)의 일부분에 형상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형상 지지체를 제공하여, 주방 용기 등의 좁고 깊은 홈부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주방용기들이나 다양한 용도의 용기들을 세척하는데 종종 수세미가 사용되는데, 수세미의 종류에는 단순히 망체 형태로 이루어진 망체 타입 수세미, 내부에 스폰지를 포함하는 스폰지 타입 수세미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망체 타입 수세미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망체 타입 수세미를 이용하여 용기의 홈부를 세척하는 경우를 보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망체 타입 수세미(1)는 부분에 따라 성기거나 조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그물눈(mesh)을 갖고 휘거나 접기 쉬운 망체(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망체 타입 수세미(1)를 세척제에 적신 상태에서 그 적셔진 망체 타입 수세미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용기들의 표면에 들러붙은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망체 타입 수세미(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의 홈부(4)를 세척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그 이유는 종래 기술의 망체 타입 수세미(1)가 너무 유연하기 때문에 그 자체의 모서리부로 상기 용기(3)의 홈부(4)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다. 이러한 유연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망체 타입 수세미(1)를 여러 겹으로 접을 경우에도 다소 강성은 증가하지만 만족스럽지 못하고 상기 접힌 부분의 두께의 증대로 상기 홈부(4)의 공간 내로의 진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3은 종래 기술의 다른 례에 따른 스폰지 타입 수세미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스폰지 타입 수세미를 이용하여 용기의 홈부를 세척하는 경우를 보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스폰지 타입 수세미(5)는 스폰지(6)와, 상기 스폰지(6)를 감싸고 성기거나 조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그물눈(mesh)을 가지며, 휘거나 접기 쉬운 망체(2)와, 상기 망체(2)의 양측 개구부분을 열융착시켜 형성된 납작한 모서리부(7)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폰지 타입 수세미(5)를 세척제에 적신 상태에서 그 적셔진 스폰지 타입 수세미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용기들의 표면에 들러붙은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납작한 모서리부(7)를 이용하여 용기(3)의 홈부(4)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폰지 타입 수세미(5)의 납작한 모서리부(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의 홈부(4)에 삽입은 가능하나 비교적 강성도가 약해 상기 홈부(4)에 강하게 들러붙은 이물질들의 분리를 어렵게 한다. 게다가, 상기 스폰지 타입 수세미(5)는 납작한 모서리부(7)의 전체 선단부가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용기(3)의 홈부(4) 내의 이물질들이 상기 납작한 모서리부(7)의 선단면에 의해 주로 눌릴뿐 잘 제거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주방용기들이나 다양한 용도의 용기들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등의 좁고 깊은 홈부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 등의 좁고 깊은 홈부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단단히 부착된 이물질들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고 홈부의 형태를 따라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시켜 가면서 이동시켜 이물질들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콤팩트하고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며, 사용 또는 취급이 매우 편리한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성기거나 및/또는 조밀하게(sparse and/or dense) 형성되는 다수의 그물눈을 갖고 휘거나 접기 쉬운 망체; 및
합성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망체의 일면의 일부분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를 따라 복수의 치형이 형성된 치형부를 갖는 형상 지지체;를 포함하는 수세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상 지지체는 상기 형상 지지체의 외면이 상기 망체에 의해 둘러싸여 사용될 때 상기 망체의 일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상 지지체의 중간부분은 피 세척 용기(vessel to be cleaned)의 홈부를 따라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시켜 가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양단부의 주위 보다 잘록하게 형성되는 잘록부(slender portion)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형부의 치형은 삼각형, 사각형, 아크형, 또는 다각형 중의 어느 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망체와 상기 형상 지지체는 실(thread)을 사용하는 박음질 또는 융착 방식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스폰지;
상기 스폰지를 감싸고 성기거나 및/또는 조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그물눈을 갖고 휘거나 접기 쉬운 망체; 및
합성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망체의 양측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납작한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모서리부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를 따라 복수의 치형이 형성된 치형부를 갖는 형상 지지체;를 포함하는 수세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상 지지체는 일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공을 갖는 제1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의 해당 관통공에 각각 대응되도록 타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돌기를 갖는 제2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와 상기 제2 평판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평판부와 상기 제2 평판부 중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힌지 기능을 하는 중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부는 힌지 기능을 수행하고 두 개의 긴 모서리부를 따라 복수의 치형이 형성된 치형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공과, 상기 절단공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결합돌기는 상기 제1 평판부의 관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추형 상단부와, 상기 제2 평판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경이 상기 원추형 상단부의 하단의 그것 보다 작으며, 상기 원추형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스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상 지지체는 상기 망체의 납작한 모서리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형상 지지체는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상기 망체에 고정될 때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중간부분에 재료가 절약되는 형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망체 또는 스폰지를 갖는 망체에 복수의 치형이 형성된 치형부를 갖는 형상 지지체를 제공하여, 각종 주방용기들이나 다양한 용도의 용기들의 표면 외에도 상기 용기 등의 좁고 깊은 홈부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느슨하게 또는 단단하게 부착된 이물질들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망체 또는 스폰지를 갖는 망체에 복수의 치형이 형성된 치형부를 갖는 형상 지지체를 박음질 구조, 분리 가능구조, 또는 인서트 몰딩 구조로 제공하여, 소비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게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망체 또는 스폰지를 갖는 망체에 복수의 치형이 형성된 치형부를 구비하고 중간부분에 잘록한 잘록부를 갖는 형상 지지체를 제공하여, 용기 등의 좁고 깊은 홈부의 형태를 따라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시켜 가면서 이동시켜 이물질들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치형이 형성된 치형부를 갖는 형상 지지체에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를 제공하여, 상기 형상 지지체의 외면이 망체에 의해 둘러싸여 사용될 때 상기 망체의 일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켜 세척 작업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망체 타입 수세미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망체 타입 수세미를 이용하여 용기의 홈부를 세척하는 경우를 보이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다른 례에 따른 스폰지 타입 수세미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스폰지 타입 수세미를 이용하여 용기의 홈부를 세척하는 경우를 보이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를 이용하여 용기의 홈부를 세척하는 경우를 보이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의 개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를 이용하여 용기의 홈부를 세척하는 경우를 보이는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의 개략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를 이용하여 용기의 홈부를 세척하는 경우를 보이는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의 각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1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기거나 및/또는 조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그물눈을 갖고 휘거나 접기 쉬운 망체(2); 및
합성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망체(2)의 일면의 일부분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13a)를 따라 복수의 치형(13bb)이 형성된 치형부(13b)를 갖는 형상 지지체(13);를 포함한다. 상기 망체(2)의 그물눈은 세척제 및/또는 물의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어떤 크기이든 무방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10)는 종래 기술의 망체 타입 수세미에 비해 상기 망체(2)의 일면의 일부분에 합성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태를 이루는 형상 지지체(13)가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데다, 상기 형상 지지체(13)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13a)에 복수의 치형(13bb)이 형성된 치형부(13b)가 제공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10)는 각종 주방용기들이나 다양한 용도의 용기들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3) 등의 좁고 깊은 홈부(4)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느슨하게 또는 단단히 부착된 이물질들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구체화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 지지체(13)는 상기 형상 지지체의 외면이 상기 망체(2)에 의해 둘러싸여 사용될 때 상기 망체(2)의 일부분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걸이부(1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 지지체(13)의 걸이부 구조는 상기 형상 지지체(13)의 외면에 둘러싸인 상기 망체(2)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형상 지지체(13)를 이용하여 용기(3)의 좁고 깊은 홈부(4)를 세척할 때 상기 형상 지지체(13)의 외면을 둘러싸는 상기 망체(2)가 의도하지 않게 상기 형상 지지체(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일실시예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 지지체(13)의 중간부분은 양단부의 주위 보다 잘록하게 형성되는 잘록부(13d)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형상 지지체(13)의 잘록부 구조는 상기 형상 지지체(13)를 피 세척 용기(3)의 홈부(4)를 따라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시켜 가면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일실시예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형부(13b)의 치형(13bb)은 삼각형, 사각형, 아크형, 또는 다각형 중의 어느 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치형부(13b)의 치형 구조는 상기 치형(13bb)에 망체(2)를 휘감아 고정시킬 수 있어 세척력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용기(3)의 좁고 깊은 홈부(4)에 들러붙은 이물질을 파내어 상기 치형(13bb) 내의 오목한 부분 내로 모을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일실시예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체(2)와 상기 형상 지지체(13)는 실(thread)(15)을 사용하는 박음질 또는 융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박음질 또는 융착 방식의 고정구조는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박음질 또는 융착 장비를 통해 실현 가능하고 따라서 제작비용 또한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박음질 또는 융착 방식의 고정구조는 상기 망체(2)와 상기 형상 지지체(13)를 유효수명 동안 일체화된 형태로 사용하고자할 때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를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20)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폰지(6), 망체(2) 및 형상 지지체(21,21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폰지(6)는 세척제 및/또는 물을 흡수할 수 있고 탄력성이 있는 것이면 어떤 재료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망체(2)는 상기 스폰지(6)를 감싸고 성기거나 및/또는 조밀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그물눈을 갖고 휘거나 접기 쉬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체(2)의 그물눈은 세척제 및/또는 물의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어떤 크기이든 무방하다.
상기 형상 지지체(21,21A)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형상 지지체(21,21A)는 상기 망체(2)의 양측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납작한 모서리부(7)를 감싸도록 상기 모서리부(7)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21a)를 따라 복수의 치형(21bb)이 형성된 치형부(21b)를 갖는다.
도 7,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20)는 종래 기술의 스폰지 타입 수세미에 비해 상기 망체(2)의 양측 중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7)에 합성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태를 이루는 형상 지지체(21,21A)가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데다, 상기 형상 지지체(21,21A)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21a)에 복수의 치형(21bb)이 형성된 치형부(21b)가 제공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20)는 각종 주방용기들이나 다양한 용도의 용기들의 표면을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3) 등의 좁고 깊은 홈부(4)나 내측 모서리 부분에 느슨하게 또는 단단히 부착된 이물질들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구체화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 지지체(21)는 제1 평판부(22), 제2 평판부(23) 및 중간부(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평판부(22)는 일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공(22a)을 갖는다. 상기 제2 평판부(23)는 상기 제1 평판부(22)의 해당 관통공(22a)에 각각 대응되도록 타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돌기(25)를 갖는다. 상기 중간부(24)는 상기 제1 평판부(22)와 상기 제2 평판부(23)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평판부(22)와 상기 제2 평판부(23) 중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힌지 기능을 한다.
위와 같이 제1 평판부(22), 제2 평판부(23) 및 중간부(24)를 포함하는 형태의 상기 형상 지지체 구조는 상기 수세미(20)의 모서리부(7)에 상기 형상 지지체(21)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형상 지지체(21)를 상기 수세미(20)의 모서리부(7)에 부착시키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형상 지지체(21)를 상기 수세미(20)의 모서리부(7)에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형상 지지체(21)를 상기 수세미(20)의 모서리부(7)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평판부(22)를 상기 중간부(24)를 중심으로 상기 제2 평판부(23)로 구부려 상기 제1 평판부(22)의 두 관통공(22a)에 상기 제2 평판부(23)의 두 결합돌기(25)를 끼우면 된다. 이때, 상기 제2 평판부(23)의 두 결합돌기(25)는 상기 수세미(20)의 망체(2)의 그물눈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형상 지지체(21)를 상기 수세미(20)의 모서리부(7)로부터 이탈시키고자할 경우, 전술한 부착방식의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 지지체 구조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부(24)는 힌지 기능을 수행하고 두 개의 긴 모서리부(13f)를 따라 복수의 치형(13gg)이 형성된 치형부(13g)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공(24a)과, 상기 절단공(24a)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24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부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게 힌지 기능과 세척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각 결합돌기(25)는 상기 제1 평판부(22)의 관통공(22a)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추형 상단부(25a)와, 상기 제2 평판부(23)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경이 상기 원추형 상단부(25a)의 하단의 그것 보다 작으며, 상기 원추형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스템부(25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게 상기 제1 평판부(22)와 상기 제2 평판부(23) 간의 결합 또는 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를 이용하여 용기의 홈부를 세척하는 경우를 보이는 사용 상태도이다.
일실시예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 지지체(21A)는 상기 수세미(20)의 납작한 모서리부(7)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고정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형상 지지체(21A)의 이러한 인서트 몰딩 방식 고정구조는 상기 수세미(20)의 모서리부(7)와 상기 형상 지지체(21A) 간의 안정된 고정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상기 수세미(20)의 납작한 모서리부(7)로부터 상기 형상 지지체(21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형상 지지체(21A)는 금형의 성형부(미도시) 내에 상기 수세미(20)의 납작한 모서리부(7)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성형부 내에 수지 용융물을 부어 냉각공정을 통해 굳혀 완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 지지체(21A)는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상기 망체(2)에 고정될 때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중간부분에 재료가 절약되는 형상 구조(26)를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형상 지지체(21A)의 형상 구조(26)는 구멍(hole), 오목부(recess), 웨이브 패턴(wave pattern)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2: 망체 6: 스폰지
7: 모서리부 10,20: 수세미
13a,13f,21a: 모서리부 13bb,13gg,21bb: 치형
13b,13g, 21b: 치형부 13c: 걸이부
13d: 잘록부 13,21,21A: 형상 지지체
22: 제1 평판부 22a: 관통공
23: 제2 평판부 24: 중간부
24a: 절단공 24b: 연결부
25: 결합돌기 25a: 원추형 상단부
25b: 스템부 26: 형상 구조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스폰지(6); 상기 스폰지(6)를 감싸고 다수의 그물눈을 갖고 휘거나 접기 쉬운 망체(2); 및 합성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망체(2)의 양측 중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납작한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모서리부(7)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21a)를 따라 복수의 치형(21bb)이 형성된 치형부(21b)를 갖는 형상 지지체(21,21A);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 지지체(21)는 일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공(22a)을 갖는 제1 평판부(22)와, 상기 제1 평판부(22)의 해당 관통공(22a)에 각각 대응되도록 타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돌기(25)를 갖는 제2 평판부(23)와, 상기 제1 평판부(22)와 상기 제2 평판부(23)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제1 평판부(22)와 상기 제2 평판부(23) 중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힌지 기능을 하는 중간부(24)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부(24)는 힌지 기능을 수행하고 두 개의 긴 모서리부(13f)를 따라 복수의 치형(13gg)이 형성된 치형부(13g)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공(24a)과, 상기 절단공(24a)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24b)로 구성된 수세미.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돌기(25)는 상기 제1 평판부(22)의 관통공(22a)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추형 상단부(25a)와, 상기 제2 평판부(23)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경이 상기 원추형 상단부(25a)의 하단의 그것 보다 작으며, 상기 원추형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스템부(25b)로 구성된 것인 수세미.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지지체(21A)는 상기 망체(2)의 납작한 모서리부(7)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고정된 것인 수세미.
  11. 삭제
KR1020110033688A 2011-04-12 2011-04-12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 KR10188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688A KR101885314B1 (ko) 2011-04-12 2011-04-12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
PCT/KR2011/004203 WO2012141377A1 (ko) 2011-04-12 2011-06-08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
US14/111,545 US9795266B2 (en) 2011-04-12 2011-06-08 Scourer having a shape-supporting body
CN201180070063.9A CN103476318B (zh) 2011-04-12 2011-06-08 具有形状支持体的洗碗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688A KR101885314B1 (ko) 2011-04-12 2011-04-12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124A KR20120116124A (ko) 2012-10-22
KR101885314B1 true KR101885314B1 (ko) 2018-08-06

Family

ID=4700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688A KR101885314B1 (ko) 2011-04-12 2011-04-12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95266B2 (ko)
KR (1) KR101885314B1 (ko)
CN (1) CN103476318B (ko)
WO (1) WO2012141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6312B1 (en) 2015-11-13 2019-10-01 Sani Products, Inc. Integrated scraper-sponge
US10882083B2 (en) * 2015-11-13 2021-01-05 Sani Products, Inc. Integrated scraper-sponge
US11325169B2 (en) * 2019-08-21 2022-05-10 Sani Products, Inc. Methods for using an integrated scraper-sponge
US11883860B2 (en) * 2020-12-02 2024-01-30 Sani Products, Inc. Methods for using an integrated scraper-spong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3922A (en) * 1924-06-10 1926-07-27 Viragh Mary Scouring pad
US2657413A (en) * 1950-07-06 1953-11-03 Orrice L Murdock Cleaning device
JPS60195667U (ja) * 1984-06-01 1985-12-27 株式会社 オ−エ 摺洗具
US5187830A (en) * 1991-11-25 1993-02-23 Sponge Fishing Co., Inc. Washing, drying and scrubbing pad
KR950005956Y1 (ko) * 1993-11-22 1995-07-26 이홍석 수세미
KR950008362B1 (ko) * 1993-11-22 1995-07-28 이홍석 수세미 봉접부를 접합한 수세미 및 그 제조방법
KR0148562B1 (ko) * 1996-02-28 1998-12-01 이성석 흡수부재가 내장된 수세미의 제조방법
KR970061202U (ko) * 1996-05-02 1997-12-10 자동차의 에어 인넷 도어 샤프트의 링크 로드 삽입 구조
SI20241A (sl) * 1999-05-17 2000-12-31 Mitja Šušterič Goba za ročno pomivanje posode
CA2463712A1 (en) * 2001-11-16 2003-05-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sh care and hard surface cleaning wipe
CN201164445Y (zh) * 2008-02-26 2008-12-17 刘殿铎 网式擦具
CN201469234U (zh) * 2009-09-14 2010-05-19 何春城 一种洗碗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1377A1 (ko) 2012-10-18
CN103476318B (zh) 2016-06-22
CN103476318A (zh) 2013-12-25
US9795266B2 (en) 2017-10-24
KR20120116124A (ko) 2012-10-22
US20140033462A1 (en)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2159C2 (ru) Очис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85314B1 (ko) 형상 지지체를 구비한 수세미
KR200286205Y1 (ko) 손걸레
JP2012254262A (ja) ほこりクリーナー
JP2015024105A (ja) 摺洗具
KR200489458Y1 (ko) 돌기형 수세미
JP2006015037A (ja) 摺洗具および把手付摺洗具、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CN215777858U (zh) 一种清洁拖布
JP2004121646A (ja) 摺洗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6591138B2 (ja) スポンジたわし
KR102252580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JP3190819U (ja) 食器洗い泡立てスポンジ
KR20100005686U (ko) 장갑형 수세미
KR101476918B1 (ko) 컬럼형 플렉시블 와이퍼
KR20160138327A (ko) 전동 식기 세척기
KR200432676Y1 (ko) 주방용 세척기구
KR200428999Y1 (ko) 양면 수세미
JP3207729U (ja) 洗浄用具
JP3162742U (ja) クリーニングクロス
JP3195980U (ja) たわし及びたわし連結体
KR200243863Y1 (ko) 차량용 세정장치
KR940001891Y1 (ko) 수세미
JP2018033499A (ja) 洗浄具
JP3199369U (ja) 清掃具
KR20230001383A (ko) 기능성 수세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