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170B1 - 이동 대차 - Google Patents

이동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170B1
KR101885170B1 KR1020170083216A KR20170083216A KR101885170B1 KR 101885170 B1 KR101885170 B1 KR 101885170B1 KR 1020170083216 A KR1020170083216 A KR 1020170083216A KR 20170083216 A KR20170083216 A KR 20170083216A KR 101885170 B1 KR101885170 B1 KR 10188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rotation
casters
rotation shaf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오
윤상섭
이준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7008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60B2200/43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동 대차는 적재물이 놓여지는 적재판; 및 적재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캐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캐스터는 문턱 통과시 자동으로 접혀지고 문턱을 통과하면 자동으로 펼쳐지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이동 대차{moving carrier}
본 발명은 이동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이나 공장 등에서 다소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이동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륜이 달린 이동 대차는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데 편리하므로 산업 현장과 생활 주변에서 널리 사용된다. 차륜이 달린 이동 대차는 적재부의 하부에 달린 차륜으로 인해 이동하는데 편리하지만, 문턱 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넘어가는데 불편이 따른다. 예를 들어서, 조선 해양분야에서 쓰이는 이동 대차의 경우에 도어(door)를 통과시 상부의 리프팅 장치(Lifting facility)를 이용하여 도어를 통과한다.
기존의 이동 대차가 문턱을 통과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대차가 문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문턱 위에 설치된 리프팅 장치에 이동 대차를 연결한다. 리프팅 장치는 연결된 이동 대차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서 문턱 위를 통과시킨다. 문턱을 통과한 이후에는, 이동 대차를 지지면에 내려놓고 연결을 해제한다.
이러한 기존의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은, 리프팅 장치와 이동 대차의 연결 체결 및 해제에 많은 시간이 소요가 되며, 장애물을 통과할 때 무거운 이동 대차가 공중에 들려서 이동되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리프팅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램프웨이(Rampway)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램프웨이의 재질 특성상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장애물을 만났을 때 적은 시간을 들이면서도 안전하게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는 이동 대차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문턱 구간에서 손쉽게 통행할 수 있는 이동 대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문턱 통과시에는 자동으로 접혀지고 문턱을 통과한 후에는 자동으로 펼쳐지는 캐스터를 갖는 이동 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재물이 놓여지는 적재판; 및 적재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캐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캐스터는 문턱 통과시 자동으로 접혀지고 문턱을 통과하면 자동으로 펼쳐지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 이동 대차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스터는 상기 적재판의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고 하단에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지지대를 갖는 접이식 몸체; 상기 접이식 몸체의 회동을 구속하는 잠금 부재; 및 상기 잠금 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잠금 해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스터는 상기 접이식 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다시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 및 양단은 상기 적재판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이식 몸체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톱퍼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 부재는 상기 접이식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회전축을 갖는 센터부; 상기 센터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문턱을 통과할 때 문턱과 접촉되는 터치부; 및 상기 센터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핀과 연결되는 핀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판에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핀의 양단이 위치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제1홈; 상기 제1홈과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해제 부재는 일단은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이식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캐스터가 문턱을 통과하면 상기 잠금 해제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스터는 상기 적재판에 3열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대차가 문턱을 손쉽게 통행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문턱 통과시에는 캐스터가 자동으로 접혀지고 문턱을 통과한 후에는 캐스터가 자동으로 펼쳐지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평지 구간에서는 캐스터가 임의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대차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캐스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수납홈에 장착된 제1캐스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가이드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가 문턱을 통과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대차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대차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대차(10)는 적재판(100)과 복수의 캐스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판(100)은 다소 무거운 화물 등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장방향 판체의 형상을 갖는다. 적재판(100)의 후측에는 기립 설치된 손잡이부(120)를 갖는다.
캐스터(200)는 적재판(100)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캐스터(200)는 문턱(20) 통과시 자동으로 접혀지고 문턱(20)을 통과하면 자동으로 펼쳐지는 접이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캐스터(200)는 적재판(100)의 전방 양사이드에 위치되는 한쌍의 제1캐스터(200a), 적재판(100)의 후방 양사이드에 위치되는 한 쌍의 제2캐스터(200c) 그리고 제1캐스터(200a)와 제2캐스터(200c) 사이에 위치되는 제3캐스터(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스터(200)가 3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스터(200)는 3열 이상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재판(100)의 저면에는 캐스터(200)가 위치되는 수납홈(140)들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캐스터(200a)와 제2캐스터(200c) 그리고 제3캐스터(200b)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제1캐스터(200a)를 일례로 하여 각 캐스터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제2캐스터(200c) 그리고 제3캐스터(200b)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제1캐스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수납홈에 장착된 제1캐스터의 정면도이며, 도 6은 가이드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캐스터(200a)는 접이식 몸체(210), 바퀴(220), 제1탄성부재(230), 잠금 부재(240), 잠금 해제 부재(300) 그리고 제2탄성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이식 몸체(210)는 제1회전축(212)과 바퀴 지지대(2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축(212)은 적재판(100)의 고정축(15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회전축(212)의 양단부에는 제1축공(213)이 형성되며, 축공(213)에는 적재판(100)에 설치된 고정축(150)이 끼워진다. 고정축(150)은 적재판(100)의 수납홈(140) 양사이드에 위치된다.
제1탄성부재(230)는 접이식 몸체(210)가 접혀진 상태에서 다시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탄성부재(230)는 제1회전축(212)의 양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부재(230)는 고정축(150)에 고정되는 일단과 제1회전축(212)에 고정되는 타단을 갖는 테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탄성부재(230)는 테엽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도 접이식 몸체(210)가 접혀진 상태에서 다시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스프링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퀴 지지대(218)의 양측면에는 제2축공(219)이 형성된다.
바퀴(220)는 바퀴 지지대(218)의 하단에 설치된다.
잠금 부재(240)는 접이식 몸체(210)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르면, 잠금 부재(240)는 고정홈(242)과 스톱퍼 핀(24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242)은 제1회전축(212)의 외주면에 제공된다. 고정홈(242)은 제1회전축(212)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스톱퍼 핀(244)은 고정홈(242)에 삽입되어 접이식 몸체(210)의 회동을 구속한다. 스톱퍼 핀(244)의 양단은 적재판(100)의 수납홈(140) 사이드에 형성된 가이드홈(160)에 위치된다.
가이드 홈(160)은 제1홈(162)과 제2홈(164)을 포함한다. 제1홈(162)은 제2회전축(313)을 중심으로 하는 제1회전반경(R1)을 따라 형성된다. 제2홈(164)은 제1홈(162)과 연결된다. 제2홈(164)은 제1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하는 제2회전반경(R2)을 따라 형성된다.
잠금 해제 부재(300)는 잠금 부재(240)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위해 제공된다.
잠금 해제 부재(300)는 센터부(312)와 터치부(314) 그리고 핀 연결부(316)로 이루어지는 브라켓(310)을 포함한다. 브라켓(310)은 접이식 몸체(210)의 양사이드에 서로 대칭되어 위치된다.
센터부(312)는 접이식 몸체(210)의 제2축공(219)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회전축(313)을 갖는다. 터치부(314)는 센터부(3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퀴(2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문턱(20)을 통과할 때 문턱(20)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핀 연결부(316)는 센터부(312)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스톱퍼 핀(244)과 연결된다.
즉, 잠금 해제 부재(300)는 터치부(314)가 문턱(20)과 접촉되면 제2회전축(313)을 중심으로 잠금 해제 부재(300)가 회동되고, 이러한 잠금 해제 부재(300)의 회동에 의해 스톱퍼 핀(244)이 가이드 홈의 제1홈을 따라 회동되면서 고정홈(242)으로부터 이탈된다.
제2탄성부재(320)는 브라켓(310)이 일정각도 회동된 상태에서 다시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탄성부재(320)는 센터부(312)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탄성부재(320)는 제2회전축(313)에 고정되는 일단과 바퀴 지지대(218)에 고정되는 타단을 갖는 테엽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탄성부재(320)는 테엽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도 브라켓이 회동된 상태에서 다시 원위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스프링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대차가 문턱을 통과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이동 대차(10)가 평지를 이동 중에는 스톱퍼핀(244)이 고정홈(242)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캐스터(200)의 접이식 몸체(210)가 임의로 접혀지지 않으므로 캐스터(200)들의 바퀴(220)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되어 편리한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운반하는 과정에서 이동 대차(10)가 도어에 형성된 문턱(20)에 이르러 작업자가 이동 대차(10)를 밀면 잠금 해제 부재(300)의 터치부(314)가 문턱(20)과 접촉되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로 인해 잠금 해제 부재(300)는 제2회전축(313)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된다. 스톱퍼 핀(244)은 잠금 해제 부재(300)의 회동에 의해 가이드 홈(160)의 제1홈(162)을 따라 이동되면서 고정홈(242)으로부터 이탈된다. 스톱퍼 핀(244)이 고정홈(242)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이동 대차(10)를 전진 이동시키면 바퀴(220)가 문턱(20)과 접촉되고, 바퀴(220)가 장착된 접이식 몸제(210)가 고정축(15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문턱(20)을 통과하게 된다.
제1캐스터(200a)가 문턱(20)을 넘은 후에는 제1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접이식 몸체(210)는 원위치도 회동되고, 제2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 브라켓(310)도 원위치로 이동하게 되면서 스톱퍼핀(244)이 고정홈(24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캐스터가 문턱을 통과하면, 그 다음 제2캐스터와 제3캐스터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동작으로 문턱을 통과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적재판 200 : 캐스터
210 : 접이식 몸체 220 : 바퀴
230 : 제1탄성부재 240 : 잠금 부재
300 : 잠금 해제 부재 320 : 제2탄성부재

Claims (7)

  1. 적재물이 놓여지는 적재판; 및
    적재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캐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캐스터는
    상기 적재판의 고정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고 하단에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지지대를 갖는 접이식 몸체;
    상기 접이식 몸체의 회동을 구속하는 잠금 부재; 및
    상기 잠금 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잠금 해제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는
    상기 접이식 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다시 펼쳐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대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 및
    양단은 상기 적재판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이식 몸체의 회동을 구속하는 스톱퍼 핀을 포함하는 이동 대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부재는
    상기 접이식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회전축을 갖는 센터부;
    상기 센터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문턱을 통과할 때 문턱과 접촉되는 터치부; 및
    상기 센터부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핀과 연결되는 핀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터치부가 문턱과 접촉되면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잠금 해제 부재가 회동되면서 상기 스톱퍼 핀을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이동 대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에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핀의 양단이 위치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제1홈;
    상기 제1홈과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반경을 따라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는 이동 대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부재는
    일단은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이식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캐스터가 문턱을 통과하면 상기 잠금 해제 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대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는
    상기 적재판에 3열 이상으로 구비되는 이동 대차.
KR1020170083216A 2017-06-30 2017-06-30 이동 대차 KR10188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16A KR101885170B1 (ko) 2017-06-30 2017-06-30 이동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16A KR101885170B1 (ko) 2017-06-30 2017-06-30 이동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170B1 true KR101885170B1 (ko) 2018-08-06

Family

ID=6325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216A KR101885170B1 (ko) 2017-06-30 2017-06-30 이동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1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565B2 (ja) * 1997-06-13 2000-05-29 邦夫 隈本 段差越え用車輪
JP2007230542A (ja) * 2006-01-31 2007-09-13 Ryukoku Univ キャスター連結装置、連結装置付きキャスター、段差乗り越え装置および車椅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565B2 (ja) * 1997-06-13 2000-05-29 邦夫 隈本 段差越え用車輪
JP2007230542A (ja) * 2006-01-31 2007-09-13 Ryukoku Univ キャスター連結装置、連結装置付きキャスター、段差乗り越え装置および車椅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137B1 (ko) 반송차 및 연결기구
EP2778015B1 (en) Dolly with slidably retractable tow bar
EP2671814B1 (en) Adaptor pallet
US10364065B2 (en) Logistics system, an adaptor pallet and a load carrier
US20090284036A1 (en) Cargo floor assembly for loading cargo in motor vehicles
US10392041B1 (en) Folding chassis for manually driven carrier vehicles
JP5520707B2 (ja) 荷台、トレーラ、及びラック
US4170379A (en) Carriage insertable into the load space of a motor vehicle
KR101885170B1 (ko) 이동 대차
US95556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 tarp over a cargo on a truck load bed
US20140252194A1 (en) Trailer Stabilizing Jack
CN103935387A (zh) 新型四轮操舵物流运输车
US4550940A (en) Pallet-bar lift and support apparatus
KR101683815B1 (ko)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운반용 캐스터
US4574937A (en) Guide and hand rail with latch
KR200460971Y1 (ko) 손수레
CN212267552U (zh) 搬运车
JPH06329240A (ja) 重量物運搬用ローラ台車
KR101531577B1 (ko) 블록 전도 및 블록 의장품 간섭 방지용 장치
US6170855B1 (en) Web roll cart
JP3820304B2 (ja) 運搬台車
US10005628B2 (en) Loading dock locking system
CN211592567U (zh) 定位销、定位装置及运输车
CN113815521A (zh) 一种货箱牵引锁
US8915683B2 (en) Latch device for securing and/or guiding at least one cargo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