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335B1 -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335B1
KR101884335B1 KR1020170160764A KR20170160764A KR101884335B1 KR 101884335 B1 KR101884335 B1 KR 101884335B1 KR 1020170160764 A KR1020170160764 A KR 1020170160764A KR 20170160764 A KR20170160764 A KR 20170160764A KR 101884335 B1 KR101884335 B1 KR 101884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grinder
steering wheel
suc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창
Original Assignee
(주)대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테크 filed Critical (주)대림테크
Priority to KR1020170160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메인 프레임(20);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된 석션부(30);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석션부(30)에 거치된 조향핸들(2)의 접점(4)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그라인더(40);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부(30)는, 상기 그라인더(4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구비된 석션볼(32); 상기 석션볼(32)의 내부 공간부를 집진기에 연결시키는 석션홀(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Car steering wheel contact point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된 전기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향핸들의 접점을 크리닝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조향핸들은 내부로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어 접점(예를 들어, 호온 플레이트의 접점)과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접점과 상부핸들커버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장치, 예를 들어, 오디오의 기능리모컨 및 휴대폰 통화기능 리모컨 등이 상호 전기배선으로 연결되어, 운전자가 혼의 작동 및 각종 전자장치의 리모컨을 차량 운전과 동시에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호온 플레이트는 흔히 말하는 크락숀을 울리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상기 호온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차량의 혼(크락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호온 플레이트 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조향핸들에도 접점이 구비되어, 상기 호온 플레이트를 누르면 호온 플레이트 접점과 조향핸들의 접점이 서로 접촉되는 스위칭 상태로 전환되므로, 상기 차량에 장착된 호온(크락숀)이 울리게 된다. 즉, 차량 조향핸들에는 차량 휘일의 조향 뿐만 아니라 호온과 같이 차량의 각종 전기전자 장치에 전기배선이나 통전성 콘택트 스위치와 같은 통전유닛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접점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의 접점과 차량에 장착된 각종 전기전자 장치 사이가 전기배선과 같은 전기적인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조향핸들에는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조작 스위치 등을 누름으로써 조향핸들에서 차량에 필요한 각종 전기전자 부품(예를 들어, 차량의 호온(경적), 조명등, 오디오 등)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차량을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하다 보면 조향핸들의 접점과 상기 통전유닛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차량 조향핸들에서 차량의 전기전자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더라도 제대로 조작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지 못하여 차량의 전기전자장치를 제대로 작동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조향핸들의 접점에 각종 이물질이 쌓이거나 접점에 녹이 슬어서 조향핸들의 접점과 통전유닛 사이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조향핸들의 접점과 전기전자장치 사이의 통전 불량이 초래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조향핸들의 접점이 차량의 전기전자장치외 제대로 통전이 되지 못하면, 예를 들어, 호온 플레이트를 누르더라도 호온(경적)이 제대로 울리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따라서, 차량 조향핸들을 분해하여 접점을 크리닝(청소)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조향핸들의 크리닝 작업이 쉽지 않고, 크리닝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기존에는 조향핸들의 접점을 일일이 수동으로 갈아내기 때문에, 접점의 크리닝 작업이 쉽지 않다. 작업자가 일일이 그라인더를 들고 조향핸들의 접점을 갈아내는 경우 작업자의 손목이 아프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일일이 수작업을 할 경우 접점 크리닝 작업시에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긴다. 또한, 기존에는 조향핸들의 접점을 그라인딩하여 갈아낼 때에 생기는 미세한 유해성 파티클이 작업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조향핸들의 접점을 그라인딩하는 작업 도중에 금속성의 미세한 유해성 파티클이 많이 발생하고, 이러한 유해성 파티클들이 작업자의 호흡기관에 침투하여 작업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초래한다. 조향핸들의 접점을 크리닝 작업할 때의 환경이 열악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동으로 차량 조향핸들의 접점을 일일이 그라인딩하는 경우에는 접점마다 높이의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많이 생기고, 이처럼 접점마다 높이 차이가 생기면 어느 접점은 통전유닛과 접촉이 되고 다른 접점은 통전유닛과 제대로 접촉이 되지 못하여 조행핸들을 접점 그라인딩 작업 이후에 제대로 쓸 수 없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조향핸들의 접점들을 그라인딩하여 크리닝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 모든 접점들의 높이가 맞아야 조향핸들을 제대로 쓸 수가 있는데, 기존에는 접점들을 그라인딩하여 크리닝한 다음에 다시 쓰려고 하여도 접점들의 높이게 제대로 맞지 않기 때문에, 조향핸들을 크리닝 작업이 이후에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크락숀을 눌렀을 때에 접점들이 제대로 통전유닛(통전부)에 접촉되지 못하여 크락숀이 제대로 울리지 못하는 문제가 생기므로, 조향핸들의 접점을 크리닝한 이후에 조향핸들을 제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38511호(1998.08.05 공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03547호(2000.09.06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1997-0065281호(1997.10.13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장착된 전기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향핸들의 접점을 주기적으로 크리닝할 수 있어서, 차량 조향핸들의 접점과 차량의 전기전자 장치 사이의 통전성이 저하되는 경우 등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며, 작업 환경의 개선에도 도움이 되는 새로운 구성의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을 제공하고자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석션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석션부에 거치된 조향핸들의 접점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그라인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석션부는, 상기 그라인더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된 석션볼; 상기 석션볼의 내부 공간부를 집진기에 연결시키는 석션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라인더는, 고속회전하는 로테이션 샤프트를 구비한 그라인딩 구동부; 상기 그라인딩 구동부의 상기 로테이션 샤프트에 장착된 그라인딩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승강되는 상기 그라인딩 구동부와 상기 그라인딩 브러시는 승강 포지셔너에 의해 승강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그라인딩 브러시의 사용 횟수를 기록하는 카운팅 유닛;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운팅 유닛은 그라인딩 브러시의 사용횟수를 표시하는 카운팅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석션볼에 이너 석션홀이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 석션불에 집진기와 연결되는 아웃터 석션홀(134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석션홀로 들어오는 이물질 입자가 상기 아웃터 석션홀(134H)을 통하여 집진기에 수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라인더에 의해 정밀하게 조향핸들의 접점들을 그라인딩함으로써 접점의 크리닝 작업을 완료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크리닝 작업 속도가 빠르다. 기존에 수작업으로 일일이 접점을 그라인딩하는 것에 비하여 작업 속도가 현저하게 빠르다.
장치에 달려 있는 그라인더를 내려서 각각의 접점들을 그라인딩하게 되므로, 접점들의 높이가 균일하게 된다. 접점들의 높이가 균일하게 되어서 조향핸들에서 호온(경적)과 같은 차량용 각종 전기전자 장치를 작동시킬 때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라인더에 의해 조향핸들의 접점을 갈아줄 때에 항시 힘의 균형을 맞춰주므로 힘이 덜 들게 된다. 여자도 작업을 할 수 있다.
조향핸들의 접점을 그라인딩하는 도중에는 집진기에 의해 유해성 파티클(입자)들을 빨아들이게 되므로, 작업자가 유해성 파티클을 흡입함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를 해소한다. 작업하는 사람에게 가루(파티클)이 날려서 작업자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방지된다. 작업 환경의 개선에 매우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에 의해 크리닝을 하기 위한 조향핸들의 접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에 의해 조향핸들의 접점을 크리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의 주요부인 석션볼에 그라인딩부가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석션볼에 조향핸들을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에 의해 조향핸들의 접점을 크리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의 주요부인 그라인딩부가 석션볼로 하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에 의해 조향핸들의 접점을 크리닝하는 주요부를 일부 절개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에 의해 조행핸들의 접점을 크리닝할 때에 크리닝 횟수를 카운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의 주요부인 석션볼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는 메인 프레임(20)에 석션부(30)와 그라인더(40)가 장착되어, 차량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그라인더(40)에 의해 갈아내서 크리닝하고, 접점(4) 그라인딩시 생기는 파티클(금속 파티클 등)은 석션부(30)에서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은 석션부(30)와 그라인더(40)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은 베이스 프레임(22)과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은 메인 프레임(20)의 하부 프레임을 구성한다. 베이스 프레임(22)은 육면체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프레임 바아가 전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어 육면체 틀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22)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에는 베이스 패널(22PN)이 구비된다. 베이스 프레임(22)의 상부에 베이스 패널(22PN)이 구비된다. 베이스 패널(22PN)은 석션볼(32)을 지지하기 위한 판이다.
상기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은 그라인더(40)가 승강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22)에 지지되어 세워진 서포트 포스트(24A)와 승강 브라켓(24B) 및 슬라이드 부재(24C)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포스트(24A)의 하단부는 베이스 프레임(22)의 베이스 패널에 고정된다. 서포트 포스트(24A)가 베이스 패널(22PN)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상기 서포트 포스트(24A)에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다. 가이드 레일은 서포트 포스트(2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서포트 포스트(24A)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어서 가이드 레일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상기 승강 브라켓(24B)은 서포트 포스트(24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포트 포스트(24A)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승강 브라켓(24B)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 브라켓(24B)이 서포트 포스트(24A)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포스트(24A)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고, 상기 승강 브라켓(24B)은 서포트 포스트(24A)와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 브라켓(24B)에는 이동 가이드 바아(24GB)가 구비된다. 이동 가이드 바아(24GB)는 승강 브라켓(24B)의 전후단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동 가이드 바아(24GB)도 서포트 포스트(24A)와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4C)는 승강 브라켓(24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 브라켓(24B)에 구비된 이동 가이드 바아(24GB)에 슬라이드 부재(24C)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가이드 바아(24GB)가 승강 브라켓(24B)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24C)가 승강 브라켓(24B)의 전후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승강 브라켓(24B)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슬라이드 부재(24C)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4C)에는 레버(24L)가 구비된다. 레버(24L)는 옆으로 눕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4C)에는 픽싱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픽싱수단은 슬라이드 부재(24C)가 승강 브라켓(24B)의 전후단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때에 필요한 위치에 슬라이드 부재(24C)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픽싱수단은 전자석과 릴리스 스위치(24RS)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브라켓(24B)은 자석이 붙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상기 전자석은 슬라이드 부재(24C)에 장착되고, 상기 전자석은 슬라이드 부재(24C)에 구비된 릴리스 스위치(24RS)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릴리스 스위치(24RS)는 레버(24L)의 전단부 앞에 배치된다. 상기 릴리스 스위치(24RS)가 오프 상태(즉,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자석의 자력이 작용하여 슬라이드 부재(24C)가 승강 브라켓(24B)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릴리스 스위치(24RS)를 누르면 전자석의 자력에 해제되어 슬라이드 부재(24C)를 승강 브라켓(24B)에 구비된 이동 가이드 바아(24GB)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릴리스 스위치(24RS)를 누른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24C)를 승강 브라켓(24B)의 전후단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 브라켓(24B)은 승강 포지셔너(50)의 주요부인 와이어에 연결된다. 승강 브라켓(24B)이 서포트 포스트(24A)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한 상태에서 승강 포지셔너(50)에 의해 필요한 위치에 승강 브라켓(24B)을 고정하게 된다. 승강 포지셔너(5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석션부(30)는 메인 프레임(20)에 구비된다. 상기 석션부(30)는 석션볼(32)과 석션홀(34)을 포함한다.
상기 석션볼(32)(Suction bowl)은 상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내부의 수용부는 개방부와 연통된 사발(그릇)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그라인더(4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20)에 석션볼(32)이 고정된다.
상기 석션홀(34)은 석션볼(32)에 구비된다. 석션홀(34)은 석션볼(32)의 내부 공간부를 집진기에 연결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석션볼(32)은 바텀부(32BP)와, 이 바텀부(32BP)의 둘레부에서 상향 연장된 사이드벽(32SW)을 포함하는 그릇 형상인데, 석션홀(34)은 사이드벽의 내외표면으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석션홀(34)에는 연결관(CP)(플레시블관 등)에 의해 집진기가 연결되므로, 석션볼(32)의 내부 공간부가 석션홀(34)을 통해서 집진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석션볼(32)의 바텀부(32BP)에는 그라인딩 서포트 바아(32SB)가 구비된다. 그라인딩 서포트 바아(32SB)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조향핸들(2)의 접점(4)들의 안쪽 영역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핸들홀(2H)이 구비되는데, 상기 핸들홀(2H)이 그라인딩 서포트 바아(32SB)에 끼워진다. 따라서, 조향핸들(2)이 석션볼(32)의 가운데에 세워져 있는 그라인딩 서포트 바아(32SB)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조향핸들(2)을 그라인딩 서포트 바아(32SB)를 기준으로 돌려줄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라인더(40)는 석션부(30)에 거치된 조향핸들(2)의 접점(4)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메인 프레임(20)에 그라인더(40)가 장착된다. 그라인더(40)는 석션볼(32)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된다. 이때, 그라인더(40)는 그라인딩 구동부(42)와 그라인딩 브러시(44)를 포함한다.
상기 그라인딩 구동부(42)는 고속회전하는 그라인딩 샤프트(43)가 구비된 그라인딩 장치라 할 수 있다. 그라인딩 구동부(42)는 그라인더 바디의 내부에 그라인딩 모터가 구비되고, 그라인딩 모터의 모터축은 그라인더 바디의 하단부로 노출되며, 상기 그라인딩 모터의 모터축이 그라인딩 샤프트(43)가 된다. 상기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의 주요부인 슬라이드 부재(24C)에 상기 그라인딩 구동부(42)가 장착된다. 상기 그라인딩 샤프트(43)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라인딩 샤프트(43)가 석션볼(32) 방향을 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그라인딩 브러시(44)는 그라인딩 구동부(42)의 그라인딩 샤프트(43)에 장착된다. 그라인딩 샤프트(43)의 하단부에 그라인딩 브러시(44)가 결합된다. 그라인딩 브러시(44)는 그라인딩 샤프트(43)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라인딩 브러시(44)는 철브러시로 이루어진다. 조향핸들(2)의 접점(4)이 금속이라서 그라인딩 브러시(44)도 접점(4)을 잘 그라인딩하도록 철브러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서포트 포스트(24A)에 승강 브라켓(24B)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승강 브라켓(24B)에는 전후단 방향(메인 프레임(20)의 정면에서 볼 때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24C)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24C)에 그라인딩 구동부(42)가 장착되므로, 상기 그라인딩 구동부(42)가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라인딩 구동부(42)의 그라인딩 샤프트(43)에 장착된 그라인딩 브러시(44)도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라인딩 구동부(42)와 그라인딩 브러시(44)는 승강 포지셔너(50)에 의해 메인 프레임(20)에서 승강된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을 구성하는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승강 포지셔너(50)가 구비된다. 승강 포지셔너(50)는 그라인더(40)의 위쪽에 배치된다. 상기 승강 포지셔너(50)는 로프 하우징(52)과 와인딩롤(미도시)에 감겨지는 포지션 셋팅로프(54)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 하우징(52)은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장착된다. 그라인더(40)의 위쪽에 로프 하우징(52)이 배치된다. 로프 하우징(52)에는 내외표면으로 연통된 개방부가 구비된다. 개방부는 로프 하우징(52)의 하단부로 개방될 수도 있고 측면이나 정면 또는 후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방부는 로프 하우징(52)의 하단부로 개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와인딩롤은 로프 하우징(5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와인딩롤은 로프 하우징(52)의 정면에서 볼 때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와인딩롤이 로프 하우징(52)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포지션 셋팅로프(54)는 와인딩롤에 감져진다. 와인딩롤의 외주면에 포지션 셋팅로프(54)가 롤형태로 감겨진다. 포지션 셋팅로프(54)의 일단부가 와인딩롤에 고정된 상태에서 와인딩롤의 외주면에 포지션 셋팅로프(54)가 감겨진다. 또한, 포지션 셋팅로프(54)의 타단부는 그라인더(4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그라인더(40)가 장착된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의 승강 브라켓(24B)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포지션 셋팅로프(54)는 탄성이 있는 스프링 로프로 구성되어, 상기 포지션 셋팅로프(54)를 와인딩롤에 감아주면 감긴 상태로 유지되고, 와인딩롤에서 포지션 셋팅로프(54)를 풀어주면 일자형 로프 형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줄자처럼 포지션 셋팅로프(54)가 와인딩롤에 감겨져 있다가 포지션 셋팅로프(54)를 당겨주면 와인딩롤에서 포지션 셋팅로프(54)가 풀어지게 된다. 즉, 하우징에 롤형태로 감겨져 있고, 하우징의 일측 개방부로 인출하면 일자형으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는 줄자와 같이 상기 포지션 셋팅로프(54)가 롤형태로 와인딩롤에 감겨져 있다가 로프 하우징(52)에서 포지션 셋팅로프(54)를 당겨서 풀어주면 포지션 셋팅로프(54)가 일자형으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와인딩롤에 포지션 셋팅로프(54)가 롤형태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포지션 셋팅로프(54)를 당겨주면 수직 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포지션 셋팅로프(54)가 인출된다.
상기 포지션 셋팅로프(54)는 승강 브라켓(24B)에 연결되는데, 상기 그라인더(40)와 승강 브라켓(24B)과 슬라이드 부재(24C)를 합산한 중량이 스프링 로프 구조인 포지션 셋팅로프(54)의 장력(스프링 장력)과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그라인더(40)를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을 따라 승강시키면, 그라인더(40)와 승강 브라켓(24B) 및 슬라이드 부재(24C)가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을 따라 승강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즉, 그라인더(40)를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을 따라 내리면, 그라인더(40)가 내린 위치에서 고정되고, 그라인더(40)를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을 따라 올리면, 그라인더(40)가 올린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 그라인더(40)와 승강 브라켓(24B) 및 슬라이드 부재(24C)를 합산한 중량이 포지션 셋팅로프(54)의 스프링 장력과 힘의 균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에는 그라인딩 브러시(44)의 사용 횟수를 기록하는 카운팅 유닛(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카운팅 유닛(60)은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와 피봇 스위칭 바아(64) 및 카운팅 표시부(66)를 포함한다.
상기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는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구비된다.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는 상기 로프 하우징(5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고정된다. 상기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는 전기 배선과 같은 전기적인 연결수단에 의해 그라인더(40)의 그라인딩 모터에 연결된다.
상기 피봇 스위칭 바아(64)는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의 몸체인 스위치 박스(62SB)에 힌지부를 매개로 장착된다. 스위치 박스(62SB)의 상단부에 힌지부를 매개로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장착된다.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되면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가 스위칭 오프(switching off) 상태로 절환되고,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면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가 스위칭 온(switching on) 상태로 절환된다. 피봇 스위칭 바아(64)의 회동에 따라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가 스위칭 온 상태로 절환되면 그라인더(40)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그라인딩 샤프트(43)가 회전하고,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가 스위칭 오프 상태로 절환되면 그라인더(40) 구동모터의 그라인딩 샤프트(43)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한편, 상기 피봇 스위칭 바아(64)의 선단부에는 롤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 브라켓(24B)에 의해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한다. 상기 그라인더(40)의 구동이 중지되는 영역인 그라인더(40) 스탑 승강영역에 승강 브라켓(24B)이 올라가 있으면 상기 피봇 스위칭 바아(64)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되어, 상기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가 스위칭 오프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그라인더(40)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영역인 그라인더(40) 구동 승강영역에 승강 브라켓(24B)이 내려와 있으면 상기 피봇 스위칭 바아(64)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어, 상기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가 스위칭 온 상태로 절환된다. 본 발명에서 그라인더 스탑 영역에서는 승강 브라켓(24B)의 한쪽 단부(메인 프레임(20)의 정면에서 볼 때에 내측 단부)에 피봇 스위칭 바아(64)의 선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상향 회동된 상태가 되고, 그라인더 구동 영역에서는 승강 브라켓(24B)의 한쪽 단부에 피봇 스위칭 바아(64)의 선단부가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하향 회동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의 정면도에서 NDS로 표시된 영역이 그라인더 스탑 영역이고 DS로 표시된 영역이 그라인더 구동 영역이다. 즉, 상기 승강 브라켓(24B)이 NDS로 표시된 승강 영역에 올라가 있으면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상향 회동되어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가 스위칭 오프 상태가 되면서 그라인딩 구동부(42)의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의 회전이 멈춘 상태가 되고, 상기 승강 브라켓(24B)이 DS로 표시된 승강 영역에 내려와 있으면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하향 회동되어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가 스위칭 온 상태가 절환되면서 그라인딩 구동부(42)의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승강 브라켓(24B)이 그라인더(40) 스탑 승강영역에 있을 때에는 피봇 스위칭 바아(64)의 선단부에 구비된 롤러가 승강 브라켓(24B)의 내측단부에 접촉되며, 상기 그라인더(40) 스탑 승강영역에서 승강 브라켓(24B)이 승강할 때에는 상기 롤러가 승강 브라켓(24B)의 내측단에 접촉된 상태에서 롤링되는 한편, 상기 피봇 스위칭 바아(64)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그라인딩 브러시(44)의 사용 횟수를 기록하는 카운팅 유닛(60)이 더 구비된다. 카운팅 유닛(60)은 메인 프레임(20)에 구비된다. 카운팅 유닛(60)은 피봇 스위칭 바아(64)와 카운팅 표시부(66)를 포함하는데,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장착된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에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카운팅 표시부(66)는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장착되므로, 상기 카운팅 유닛(60)이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된 구조가 된다.
상기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어 그라인딩 구동부(42)의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가 회전하고, 상기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다시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되어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의 회전이 멈출 때마다 1회씩 카운트되어 그라인딩 구동부(42)의 그라인딩 샤프트(43)에 장착된 그라인딩 브러시(44)의 사용 횟수가 상기 카운팅 표시부(66)에 숫자로 표시된다. 즉, 상기 승강 브라켓(24B)과 이에 장착된 그라인딩 구동부(42)가 내려와서 상기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가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그라인딩하여 크리닝한 다음, 상기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딩 구동부(42)가 다시 올라가서 하향 회동되어 있던 피봇 스위칭 바아(64)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다시 상향 회동시켜서 그라인딩 구동부(42)의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의 회전이 멈춘 동작을 그라인딩 브러시(44)가 1회 사용된 것을 카운팅하고, 이러한 그라인딩 브러시(44)의 1회 사용시마다 상기 카운팅 표시부(66)에 숫자로 누적되어 표시된다. 예들 들어, 상기 그라인딩 브러시(44)에 의해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그라인딩한 횟수가 100회이면 카운팅 표시부(66)에 숫자 100으로 표시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에 의해 조향핸들(2)의 접점(4)을 크리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딩 구동부(42) 및 그라인딩 브러시(44)가 그라인더(40) 비가동 영역에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편의상 그라인딩 구동부(42)와 그라인딩 브러시(44)를 그라인더(40)라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그라인더(40)의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가 회전이 중지되어 있는 그라인딩 비가동 승강영역에서 상기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더(40)를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을 따라 아래로 내려준다. 즉, 그라인더(40)와 승강 브라켓(24B)이 그라인더(40)의 구동이 멈춘 상태로 유지되도록 위로 올라가 있는데, 위로 올라가 있는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더(40)를 아래로 내려준다. 물론, 승강 브라켓(24B)에 슬라이드 부재(24C)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슬라이드 부재(24C)에 그라인더(40)가 장착되는데, 상기 승강 브라켓(24B)과 슬라이드 부재(24C) 및 그라인더(40)를 같이 아래로 내려주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에 구비된 레버(24L)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승강 브라켓(24B)과 슬라이드 부재(24C) 및 그라인더(40)를 같이 아래로 내려준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더(40)가 내려오고 올라가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슬라이드 부재(24C)도 같이 내려오고 올라가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상기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더(40)를 아래로 내려서 상기 그라인더(40) 구동 승강영역으로 진입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그라인더(40)의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가 회전한다.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가 고속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그라인더(40)와 그라인딩 브러시(44)를 아래로 내려준 상태에서 그라인딩 브러시(44)가 조행핸들의 접점(4)에서 어긋난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레버(24L)의 앞쪽에 배치된 스위치를 손으로 눌러주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24C)를 따라서 상기 그라인더(40)를 전후단 방향으로 이동(슬라이드 부재(24C)를 정면에서 볼 때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그라인딩 브러시(44)가 조향핸들(2)의 접점(4)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가 고속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셕벽볼의 내부 수용부에 거치되어 있는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그라인딩 브러시(44)에 의해 갈아낸다. 고속회전하는 그라인딩 브러시(44)에 의해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갈아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조향핸들(2)의 접점(4)에서 이물질이 제거된다. 조향핸들(2)의 접점(4) 자체를 갈아내는 것이 아니라 접점(4)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갈아내서 제거한다.
상기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그라인딩 브러시(44)에 의해 갈아내서 크리닝할 때에 생기는 미세 입자인 파티클(금속성 파티클 등)은 상기 석션볼(32)의 내부 공간부에 수집되었다가 상기 석션홀(34)을 통해 집진기 쪽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다음, 상기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그라인딩하여 크리닝 작업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더(40)를 다시 그라인더(40) 서프트 프레임을 따라 위로 올려준다. 상기 그라인더(40) 구동 승강영역에서 그라인더(40) 스탑 승강영역으로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더(40)가 진입하도록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더(40)를 올려준다. 그라인더(40)와 승강 브라켓(24B)을 그라인더(40) 비구동 승강영역으로 진입시키면 상기 그라인더(40)의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더(40)가 그라인딩 가동 승강영역으로 내려와서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가 회전하는 상태로 있다가 다시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더(40)가 그라인딩 비가동 승강영역으로 올라가서 그라인더(40)의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의 회전이 멈추는 동작이 1회 카운트로 기록되어 상기 카운팅 표시부(66)에 그라인더(40)의 카운트 누적 횟수가 숫자로 표시된다. 작업자는 카운팅 표시부(66)에 표시된 숫자에 의해 그라인더(40)가 몇 회 사용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가 기존에 비하여 차별화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지지되어 위로 올라가 있는 그라인더(40)를 아래로 내려주면 자동적으로 그라인더(40)가 구동되어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가 회전하고, 이러한 고속회전하는 그라인딩 브러시(44)에 의해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갈아내어 크리닝할 수 있으므로, 조향핸들(2)의 크리닝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고, 크리닝 시간도 많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조향핸들(2)의 접점(4)을 일일이 수동으로 갈아내지 않고,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포지션 셋팅로프(54)로 메달려서 지지되어 있는 그라인더(40)와 그라인딩 브러시(44)에 의해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갈아내는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그라인더(40)를 손으로 들고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갈아내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자의 손목이 아프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일일이 수작업을 할 경우 접점(4) 크리닝 작업시에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지만,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지지되어 있는 그라인더(40)를 내려서 그라인딩 브러시(44)에 의해 갈아주기만 하면 되므로, 조향핸들(2)의 접점(4) 크리닝 작업 시간도 기존에 비하여 상당히 많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기존에 비하여 2배 내지 3배 이상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그라인딩하여 갈아낼 때에 생기는 미세한 유해성 파티클이 작업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해소된다.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그라인딩하는 작업 도중에 금속성의 미세한 유해성 파티클이 많이 발생하는데, 상기 파티클을 석션볼(32)에 받아서 석션홀(34)을 통해 외부의 집진기로 수집하므로, 파티클이 날라다니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고, 이러한 유해성 파티클들이 작업자의 호흡기관에 침투하여 작업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조향핸들(2)의 접점(4)을 크리닝 작업할 때의 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동으로 차량 조향핸들(2)의 접점(4)을 일일이 그라인딩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향핸들(2)의 접점(4)마다 높이의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방지된다. 조향핸들(2)의 접점(4)을 그라인딩함으로 인한 접점(4)들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처럼 접점(4)마다 높이 차이가 생기지 않으므로, 어느 접점(4)은 통전유닛과 접촉이 되고 다른 접점(4)은 통전유닛과 제대로 접촉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조행핸들을 접점(4) 그라인딩 작업 이후에 제대로 쓸 수 없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조향핸들(2)의 접점(4)들을 그라인딩하여 크리닝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 모든 접점(4)들의 높이가 제대로 맞게 되므로, 조향핸들(2)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접점(4)들을 그라인딩하여 크리닝한 다음에 다시 쓰려고 할 때에 접점(4)들의 높이게 제대로 맞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조향핸들(2)을 크리닝 작업이 이후에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크락숀을 눌렀을 때에 접점(4)들이 제대로 통전유닛(통전부)에 접촉되어서 크락숀이 제대로 울리지 못하는 문제는 전혀 생기지 않으므로, 조향핸들(2)의 접점(4)을 크리닝한 이후에 조향핸들(2)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 브라켓(24B)과 그라인더(40)를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메달려서 지지되도록 하는 포지션 셋팅로프(54)는 스프링 로프 구조로 이루어져서 자체 탄성이 있는 로프이고, 상기 포지셧 셋팅로프의 장력(스피링 장력)이 승강 브라켓(24B)과 슬라이드 부재(24C)와 그라인더(40)를 합산한 중량과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상기 그라인더(40)를 승강 브라켓(24B)과 슬라이드 부재(24C)와 함께 올리고 내릴 때에 힘이 들지 않게 되고 동시에 필요시에 그라인더(40)를 필요한 위치에서 세워놓을 수 있으므로, 조향핸들(2)의 접점(4) 크리닝 작업이 보다 편하게 이루어진다. 작업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그라인더(40)를 올리고 내릴 수 있어서 여자인 경우에도 크리닝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그라인더(40)를 필요한 위치에 편리하게 고정시켜 놓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석션볼이 이너 석션볼(132)과 아웃터 석션볼(13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석션볼은 이너 석션볼(132)과 아웃터 석션볼(134)을 구비한 이중 볼로 구성된다.
상기 이너 석션볼(132)에 이너 석션홀(132H)이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 석션볼(134)에 집진기와 연결되는 아웃터 석션홀(134H)(34)이 구비된다. 상기 이너 석션홀(132H)로 들어오는 이물질 입자가 상기 아웃터 석션홀(134H)(34)을 통하여 집진기에 수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너 석션볼(132)은 이너 바텀부(132BP)와 이너 사이드벽(132SW)을 구비하고, 상기 아웃터 석션볼(134)은 아웃터 바텀부(134BP)와 아웃터 사이드벽(134SW)을 구비하며, 상기 이너 사이드벽(132SW)에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이너 석션홀(132H)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너 석션홀(132H)은 이너 석션볼(132)의 이너 바텀부(132BP)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 사이드벽(134SW)에 집전기와 연결되는 아웃터 석션홀(134H)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너 석션홀(132H)은 이너 석션볼(132)의 이너 바텀부(132BP)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아웃터 석션홀(134H)(34)은 한 개만 구비되고, 아웃터 석션홀(134H)에 석션관에 의해 집진기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터 사이드벽(134SW)에도 집전기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아웃터 석션홀(134H)이 구비될 수 있으며, 아웃터 석셜홀도 아웃터 석션볼(134)의 아웃터 바텀부(134BP)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웃터 사이드벽(134SW)의 각각 아웃터 석션홀(134H)마다 석션관을 연결하고, 각각의 석션관마다 집진기를 연결하거나 각각의 석션관을 하나의 집진기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아웃터 석션볼(134)에 형성된 아웃터 석션홀(134H)(34)을 통해서 집진기의 진공 흡입력을 작용시켜서 이너 석션볼(132)의 이너 석션홀(132H)을 통해서 파티클들을 흡입하여 집진기 쪽으로 배출하는데, 상기 이너 석션볼(132)과 아웃터 석션볼(134) 사이의 진공 흡입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향핸들(2)의 접점(4) 그라인딩 작업시에 발생하여 이너 석션볼(132)에 모아져 있는 파티클들을 진공 흡입 공간으로 신속하게 빨아들여서 집진기 쪽으로 배출하므로, 혹시라도 이너 석션홀(132H)과 비교적 멀리 떨어진 위치에 수집되어 있는 파티클들이 이너 석션볼(132) 바깥으로 날라다니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웃터 석션볼(134)의 아웃터 사이드벽(134SW)을 따라 복수개의 아웃터 석션홀(134H)(34)이 구비되고, 이너 석션볼(132)의 이너 사이드벽(132SW)에도 아웃터 석션홀(134H)(34)과 마주하는 위치에 이너 석션홀(132H)이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134H)(34)마다 석션관체가 연결된 경우에는 각각이 이너 석션홀(132H)마다 곧바로 파티클들을 빨아들여서 각각의 아웃터 석션홀(134H)(34)마다 곧바로 배출하게 되므로, 조향핸들(2)의 접점(4) 그라인딩 작업시에 생기는 미세 파티클들이 바깥으로 날라지 않고 더욱더 확실하게 집진기 쪽으로 흡입 배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메인 프레임 30. 석션부
32. 석션볼 34. 석션홀
40. 그라인더 42. 그라인딩 구동부
43. 그라인딩 샤프트 44. 브러시

Claims (6)

  1. 메인 프레임(20);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된 석션부(30);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구비되어 상기 석션부(30)에 거치된 조향핸들(2)의 접점(4)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그라인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석션부(30)는,
    상기 그라인더(4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구비된 석션볼(32);
    상기 석션볼(32)의 내부 공간부를 집진기에 연결시키는 석션홀(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그라인더(40)는,
    고속회전하는 그라인딩 샤프트(43)를 구비한 그라인딩 구동부(42);
    상기 그라인딩 구동부(42)의 상기 그라인딩 샤프트(43)에 장착된 그라인딩 브러시(44);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인딩 구동부(42)와 상기 그라인딩 브러시(44)는 승강 포지셔너(50)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20)에서 승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20)에는 상기 그라인딩 브러시(44)의 사용 횟수를 기록하는 카운팅 유닛(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카운팅 유닛(60)은,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그라인더 서포트 프레임(24)에 구비되며 상기 그라인더(40)의 그라인딩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
    상기 그라인더 구동 스위치(62)의 스위치 박스(62SB)에 힌지부를 매개로 장착된 피봇 스위칭 바아(64);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힌지부를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어 상기 그라인딩 구동부(42)의 그라인딩 샤프트(43)와 그라인딩 브러시(44)가 회전하고, 상기 피봇 스위칭 바아(64)가 다시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되어 상기 그라인딩 샤프트(43)와 상기 그라인딩 브러시(44)의 회전이 멈출 때마다 1회씩 카운트되어 그라인딩 구동부(42)의 그라인딩 샤프트(43)에 장착된 그라인딩 브러시(44)의 사용 횟수가 카운팅 표시부(66)에 숫자로 표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60764A 2017-11-28 2017-11-28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 KR101884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764A KR101884335B1 (ko) 2017-11-28 2017-11-28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764A KR101884335B1 (ko) 2017-11-28 2017-11-28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335B1 true KR101884335B1 (ko) 2018-08-29

Family

ID=6343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764A KR101884335B1 (ko) 2017-11-28 2017-11-28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3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4366A (ja) * 2002-08-21 2004-03-11 Fuji Heavy Ind Ltd バリ取り装置のブラシ寿命判別方法及び装置
KR101145875B1 (ko) * 2012-03-02 2012-05-15 승현창 반자동 브러싱 머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4366A (ja) * 2002-08-21 2004-03-11 Fuji Heavy Ind Ltd バリ取り装置のブラシ寿命判別方法及び装置
KR101145875B1 (ko) * 2012-03-02 2012-05-15 승현창 반자동 브러싱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1212B (zh) 一种锯片磨削直线式自动上下料及厚度检测一体机
CN110773665B (zh) 一种盒状电子元件的机械加工装置
KR101884335B1 (ko) 차량 조향핸들 접점 크리닝 장치
CN105366362A (zh) 一种大巴汽车玻璃自动转向机
CN105021366B (zh) 一种汽车座椅冲击试验系统
JPH04128023A (ja) ディスプレイ器を備えた射出成形機
CN110841820A (zh) 一种智能跟随式汽车车顶喷泡沫设备
JP3170941U (ja) 景品配置装置
CN115639382A (zh) 一种特高压电缆的局放智能监测装置
CN210550178U (zh) 一种动画设计样品打磨处理装置
CN209962459U (zh) 一种发动机实训台
CN103120965B (zh) 电动手动相结合的易清洁生物安全柜
CN218556565U (zh) 一种柜体拉丝机
JP4914490B2 (ja) 高電圧電極をアースするための方法
CN215785825U (zh) 一种灭火器罐体加工用弧面整形设备
US1091407A (en) Grinding-machine.
CN221038594U (zh) 一种室内粉尘检测仪
CN219954882U (zh) 一种会务策划登记平台
CN214752585U (zh) 一种基于建筑设计用模型沙盘
CN215846336U (zh) 一种可摄像显示的手持激光焊接装置
CN208013373U (zh) 一种带有安全防护装置的线路板测试机
CN214979402U (zh) 一种便于调节的模具钢切割装置
CN204094803U (zh) 一种空心轴探伤机用可移动式机械臂装置
CN216804011U (zh) 一种防尘式石材雕刻机
CN209664950U (zh) 一种砂轮机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