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781B1 -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 Google Patents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781B1
KR101882781B1 KR1020170108402A KR20170108402A KR101882781B1 KR 101882781 B1 KR101882781 B1 KR 101882781B1 KR 1020170108402 A KR1020170108402 A KR 1020170108402A KR 20170108402 A KR20170108402 A KR 20170108402A KR 101882781 B1 KR101882781 B1 KR 10188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tructure
shrinkage
semi
creep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수
최병호
최상현
오정호
김태곤
Original Assignee
(주) 선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선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08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대, 교각 및 상부구조를 포함하는 교량의 제조공법으로서, 제1 교대와 제2 교대로 이루어진 한쌍의 교대 및 한쌍의 상기 교대 사이에 복수의 교각을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교대로부터 상기 제2 교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교각과 강결시키면서 상부구조를 상기 제2 교대의 상부까지 연장 설치하되, 상기 제1 교대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의 일단부를 가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상부구조를 연장 설치하여 상기 제1 교대 방향으로 수축변형이 발생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교대 방향으로 리턴수축변형이 발생하도록 상기 상부구조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교대의 상부를 강결하고, 상기 제1 교대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 일단부의 가고정을 해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SEMI-INTEGRATED CONTINUOUS BRIDGE MANUFACTURING METHOD WITH MINIMIZED INFLUENCE OF DRYING SHRINKAGE AND CREEP}
본 발명은 세미 일체형 연속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지진,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대한 영향력이 이슈화되면서 이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교량구조 시스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지진에 저항하기 위한 내진구조를 위해서는 고가의 교량 부속품이 요구된다. 예를들어, 진동완충받침, 전단저항장치, 면진용 교좌장치, 탄성연결장치 등 면진 또는 제진을 위한 설비들이 구조물에 필요하다. 이러한 고가의 부속품은 지속적인 유리관리가 요구되는데, 잦은 파손에 의한 수리 및 교체로 유리관리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위와 같은 내진구조의 고가의 부속품을 없애고, 교량의 유지관리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교량과 교각을 상부에 강결시키되, 교대 및 교각의 수평하중 저항력을 높인 일체형 연속교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일체형 연속교는 고가의 신축이음이나 받침 등의 고가의 부속품이 사용되지 않고, 이에 따라 유지관리비용도 줄어들지만, 이러한 일체형 연속교는 하루아침에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보통 수개월 또는 수년의 공기가 요구되고 제조되는 것으로서 온도하강시나 건조 등에 의한 수축균열 또는 크리프 등에 대응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일체형 연속교의 제작과정 중 발생하는 상부구조의 건조수축, 크리이프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방법에 대하여 오랫동안 연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일체형 연속교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상부구조의 건조수축,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미 일체형 연속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대, 교각 및 상부구조를 포함하는 교량의 제조공법으로서,
제1 교대와 제2 교대로 이루어진 한쌍의 교대 및 한쌍의 상기 교대 사이에 복수의 교각을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교대로부터 상기 제2 교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교각과 강결시키면서 상부구조를 상기 제2 교대의 상부까지 연장 설치하되, 상기 제1 교대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의 일단부를 가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상부구조를 연장 설치하여 상기 제1 교대 방향으로 수축변형이 발생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교대 방향으로 리턴수축변형이 발생하도록 상기 상부구조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교대의 상부를 강결하고, 상기 제1 교대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 일단부의 가고정을 해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단계 이후,
상기 상부구조의 상기 제1 교대 방향을 향한 강제수축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구조에 상기 제1 교대 방향으로 강제하중을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제하중을 부가하는 것은, 상기 상부구조의 수축변형이 전체 수축변형의 35 내지 40%의 수축변형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의 리턴수축변형을 고려하여 상기 제1 교대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의 일단부를 가고정시킨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리턴수축변형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부구조를 연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3 단계에서의 리턴수축변형을 고려하여, 상기 제1 교대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의 일단부를 가고정시킨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리턴수축변형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부구조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는 불연속부가 전혀 없는 일체형으로서, 신축이음부를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와 상기 교각은 일체로 강결되어, 받침 및 받침 점검시설을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명확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상부구조의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에 의한 영향력이 최소화된 세미 일체형 연속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이음부를 사용하지 않고, 교대와 상부구조의 강결 및 교각과 상부구조의 강결로 인한 받침(SHOE) 등의 유지관리설비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교량의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으로 제조된 세미 일체형 연속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의 제1 교대에 상부구조를 가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 교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부구조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의 상부구조의 제1 교대 방향을 향한 강제수축변형이 발생하도록 제1 교대 방향으로 강제하중을 부가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에 있어서 상부구조의 제2 교대 방향으로 리턴수축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1 교대의 상부와 상부구조의 일단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제2 교대의 상부와 상부구조의 타단을 강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에 있어서, 자연수축에 따른 변형양과 강제수축에 따른 변형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에서의 세미는 상부구조와 한쪽 교대만의 강결을 의미한다. 즉, 상부구조의 양단 중 일단은 제1 교대와 강결되고, 타단은 제2 교대와 강결되지 않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모든 교각은 상부구조와 강결됨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으로 제조된 세미 일체형 연속교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교대(100)와 상부구조(400)의 일단은 고정하지 않고, 제2 교대(200)와 상부구조(400)의 타단은 강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서 제1 교대(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구조(400)의 일단으로부터 제2 교대(20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구조(400)의 타단방향으로 상부구조(400)의 자연수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자연수축은 공사기간 중 발생한 자연수축의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리턴수축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은 교량의 운영기간에 비하여 짧은 공사기간 중 발생된 자연수축을 공사 후 리턴수축으로 천천히 회복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은 교대 및 교각(300) 설치단계, 제1 교대(100) 가고정 상태에서 제2 교대(200) 방향으로 상부구조(400) 설치단계, 제1 교대(100) 방향으로 강제 하중 부가 단계, 제2 교대(200) 강결 및 제1 교대(100) 가고정 해제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1 교대(100) 방향으로 강제 하중 부가 단계는 공사의 기간 및 상부구조(400)의 수축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교대 및 교각(300) 설치단계는 제1 교대(100)와 제2 교대(200)로 이루어진 한쌍의 교대를 교량이 요구되는 장소에 이격하여 설치하고 한쌍의 교대 사이에 복수의 교각(300)을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복수의 교각(300)은 설계하중에서 요구되는 두께 및 개수를 고려하여 설치되되, 일반적인 교량의 교각에 비해 매우 가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교각(300)은 주로 상부구조(400)에 의한 수직하중을 지지하게 되고, 상부구조와 강결되는 한 쌍의 교대는 상부구조(400)의 수직하중 및 지진, 풍하중 등에 의한 수평하중까지 지지할 수 있다.
교대 및 교각(300)을 순차적으로 설치해가며 상부구조(400)를 설치하게 된다. 상부구조(400)는 교량의 상판으로서 교대 및 교각(3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상부구조(400)는 PC 강선이 매립되거나 또는 RC 구조로 형성되어 건조수축이나 온도 하강 등에 의한 수축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구조(400)를 타설시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교대(100)의 상부로부터 제2 교대(200)의 상부를 향하여 상부구조(400)를 타설해 나간다. 이때 제1 교대(100)의 상부와 상부구조(400)는 가고정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다시말해, 제1 교대(100)의 상부와 상부구조(400)의 일단을 가고정한 상태에서 제2 교대(200)를 향하여 상부구조(400)를 타설해 나가는 것이다.
교대 및 교각(300)을 모두 설치한 다음 상부구조(400)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제1 교대(100)의 설치 후 교각(300) 및 제2 교대(200)의 설치는 상부구조(400) 설치의 진도에 맞추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1 교대(100)와 제1 교대(100)에 인접한 교각(300)을 설치한 다음 상부구조(400)를 설치하고, 이어서 그 다음 교각(300)을 설치하고, 상부구조(400)를 설치해 나갈수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의 제1 교대(100)에 상부구조(400)를 가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 교대(200)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부구조(400)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대(100)로부터 제2 교대(200)를 향하여 상부구조(400)를 연속적으로 타설해 가게되면, 제1 교대(100)방향을 향하여 수축변형이 발생한다. 즉, 시공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축변형이 진행되게 된다. 제1 교대(100) 상부에 타설된 상부구조(400)의 일단이 제1 교대(100)에 가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이 되어 가고정단을 향하여 자연수축변형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는 온도에 의한 건조수축 및 콘크리트 자체 내부에서의 응력에 의한 크리이프 등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때 각 교각(300) 또한 상부구조(400)와 함께 상단부가 제1 교대(100)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변형량을 최소화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의 상부구조(400)의 제1 교대(100) 방향을 향한 강제수축변형이 발생하도록 제1 교대(100) 방향으로 강제하중을 부가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구조(400)의 타단이 제2 교대(200)의 상부까지 연장 설치된 다음, 상부구조(400)에 제1 교대(100)방향으로 강제하중을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구조(400)의 건조수축이나 크리프 등에 의한 자연수축량은 공사기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공사기간이 길어지면 그에 상응하여 자연수축량 또한 증가하고, 공사기간이 짧아지면 반대로 자연수축량 또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강제하중 부가시 부가되는 강제하중의 크기 및 시간은 공사기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에 있어서, 자연수축에 따른 변형양과 강제수축에 따른 변형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기간 중 발생하는 자연수축이 전체 수축량의 20%에 해당하게 된다면, 강제하중에 의한 추가 수축으로 수축량을 20%를 더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부구조(400)에 대하여 강제하중에 의한 강제수축을 더 진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공사기간은 교량이 설치된 뒤 운영되는 운영기간에 비해 짧을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세미 일체형 연속교에 관한 것으로서 세미 일체형 연속교의 상부구조(400)는 일단부는 고정단으로, 그리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상부구조(400)의 자유단 측에서 상부구조(400)의 고정단 측으로 상부구조(400)의 자연수축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콘크리트 등의 재료로 형성된 상부구조(400)의 수축변형은 긴 시간을 두고 매우 천천히 진행된다. 이에 공사기간 중 수축변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강제로 하중을 주어 40% 가까이까지 수축량을 증가시키고, 이후 잔존하는 수축변형(리턴수축변형으로서 반대방향으로 진행)은 공사가 완성된 이후에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사기간 중 발생하는 자연수축과 강제하중에 의한 강제수축의 총량을 35 내지 40%에 도달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1 교대(100)로부터 제2 교대(200)방향으로의 시공 중 상부구조(400)는 제2 교대(200)로부터 제1 교대(100)방향으로 자연수축이 대략 20% 발생했다면, 이후 강제하중에 의한 강제수축으로 수축의 총량을 40% 가까이 증가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에 있어서 상부구조(400)의 제2 교대(200) 방향으로 리턴수축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제1 교대(100)의 상부와 상부구조(400)의 일단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제2 교대(200)의 상부와 상부구조(400)의 타단을 강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대(100)의 상부와 상부구조(400)의 일단부의 가고정은 해제하고, 제2 교대(200)의 상부와 상부구조(400)의 타단은 강결하게 되면, 제1 교대(100)로부터 제2 교대(200)방향을 향하여 상부구조(400)의 수축이 진행된다. 이때의 수축 또한 온도 등에 의한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 등에 의한 자연수축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때의 자연수축을 리턴수축이라고 한다.
리턴수축 또한 교량의 공사 완료 후 매우 천천히 진행된다. 전 단계에서 자연수축 및 강제수축에 의하여 수축량을 전체 수축량의 대략 35 내지 40%까지 일방향으로 진행시켜 놓으면, 나머지 리턴수축은 공사 완료 후 천천히 반대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렇게 우선 전체 수축량의 대략 35 내지 40%를 제2 교대(200)로부터 제1 교대(100) 방향으로 상부구조(400)의 수축을 진행시키고, 이후 공사 완료 이후 제1 교대(100)로부터 제2 교대(200)방향으로 상부구조(400)의 잔존하는 수축을 진행시키게 된다.
상부구조(400)에 있어서 건조수축이나 크리이프가 일방향으로 진행될 때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교량 상부구조(400)의 좌우측 방향의 수축을 균형있게 진행시킴으로써 교각(300)의 변형에 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상부구조(400)의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부구조(400)는 제1 교대를 제외하고는 불연속부가 전혀 없는 일체형으로서, 신축이음부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교량의 단위미터당 건설 단가를 줄이고, 공용 중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교각(300)은 상부구조(400)와 강결된다. 복수의 교각(300)이 상부구조(400)와 강결됨에 따라 복수의 교각(300)과 상부구조(400)가 일체화되고, 이에 따라 교각(300)과 상부구조(400)를 연결하는 받침 또는 받침 점검시절이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량의 제작비는 물론 유지 관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사 완료 후의 리턴수축변형을 고려하여, 제1 교대(100)의 상부와 상부구조(400)의 일단부를 가고정시킨 부분을 기준으로 리턴수축변형의 반대방향으로 상부구조(400)를 연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즉, 리턴수축변형이 일어나게되면 상부구조(400)의 일단부가 제2 교대(2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리턴수축변형양을 예측하여, 예측된 리턴수축변형양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상부구조(400)를 연장시켜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리턴수축변형을 고려하여 가고정을 해제한 이후 상부구조(400)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설치에 의하여 리턴수축변형으로 상부구조(400)가 줄어드는 것에 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제1 교대
200: 제2 교대
300: 교각
400: 상부구조

Claims (7)

  1. 교대, 교각 및 상부구조를 포함하는 교량의 제조공법으로서,
    제1 교대와 제2 교대로 이루어진 한쌍의 교대 및 한쌍의 상기 교대 사이에 복수의 교각을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교대로부터 상기 제2 교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교각과 강결시키면서 상부구조를 상기 제2 교대의 상부까지 연장 설치하되, 상기 제1 교대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의 일단부를 가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상부구조를 연장 설치하여 상기 제1 교대 방향으로 수축변형이 발생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교대 방향으로 리턴수축변형이 발생하도록 상기 상부구조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교대의 상부를 강결하고, 상기 제1 교대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 일단부의 가고정을 해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이후,
    상기 상부구조의 상기 제1 교대 방향을 향한 강제수축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구조에 상기 제1 교대 방향으로 강제하중을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하중을 부가하는 것은, 상기 상부구조의 수축변형이 전체 수축변형의 35 내지 40%의 수축변형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의 리턴수축변형을 고려하여 상기 제1 교대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의 일단부를 가고정시킨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리턴수축변형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부구조를 연장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제3 단계에서의 리턴수축변형을 고려하여, 상기 제1 교대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의 일단부를 가고정시킨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리턴수축변형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상부구조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는 불연속부가 전혀 없는 일체형으로서, 신축이음부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와 상기 교각은 일체로 강결되어, 받침 및 받침 점검시설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KR1020170108402A 2017-08-28 2017-08-28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KR10188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02A KR101882781B1 (ko) 2017-08-28 2017-08-28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02A KR101882781B1 (ko) 2017-08-28 2017-08-28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781B1 true KR101882781B1 (ko) 2018-08-24

Family

ID=6345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02A KR101882781B1 (ko) 2017-08-28 2017-08-28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7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078A (ja) 2002-08-29 2004-03-25 Nippon Ps:Kk 橋梁の構造と構築方法
KR100720997B1 (ko) 2006-07-18 2007-05-2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현장타설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0842062B1 (ko) 2007-11-08 2008-06-30 우경건설 주식회사 프리플랙션 스틸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078A (ja) 2002-08-29 2004-03-25 Nippon Ps:Kk 橋梁の構造と構築方法
KR100720997B1 (ko) 2006-07-18 2007-05-23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현장타설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을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KR100842062B1 (ko) 2007-11-08 2008-06-30 우경건설 주식회사 프리플랙션 스틸거더를 이용한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908B1 (ko)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압출공법
Xu et al.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damage controllable energy dissipation beam to column connection
KR101198812B1 (ko) 프리플렉스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2034502B1 (ko) 미끄럼판과 이탈방지판을 이용한 온도하중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077090B1 (ko) 연속 피에스씨 거더 교량 구조
KR101882781B1 (ko) 건조수축 및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세미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JP2007332665A (ja) 変位調整機能付き落橋防止装置
JP5444203B2 (ja) 橋梁の閉合部施工方法
KR20100057446A (ko) 수직 구조체 전도 방지 장치
KR100396715B1 (ko) 단계적 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및그 제작방법
JP5528217B2 (ja) 橋台の補強方法
KR100761732B1 (ko) 강합성 거더의 연속화 방법
JP4973361B2 (ja) 橋の免震構造及び免震化工法
KR101674725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KR20130090455A (ko) 구속 콘크리트를 이용한 연속교의 시공방법
JP3581691B2 (ja) 構造物の水平力緩衝装置の取付け方法および取付け構造
JPH11117227A (ja) スライド式橋桁支承体の取付け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8130B2 (ja) 複合橋脚
KR100474640B1 (ko) 임시하중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빔의 프리스트레스 손실방지 방법
KR100554533B1 (ko) 지연합성거동수단을 이용한 라멘식 복합교량시공방법
KR20020041719A (ko) 온도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교량의 보강공법
JP2553357B2 (ja) アーチコンクリート施工用型枠支保工の支持装置
KR20190032256A (ko) 건조수축과 크리이프의 영향을 최소화한 완전 일체형 연속교 제조공법
KR20060110685A (ko) 교량 연결부 및 그 시공방법
JP2003293323A (ja) 連続桁橋梁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