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498B1 -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 Google Patents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498B1
KR101880498B1 KR1020170121946A KR20170121946A KR101880498B1 KR 101880498 B1 KR101880498 B1 KR 101880498B1 KR 1020170121946 A KR1020170121946 A KR 1020170121946A KR 20170121946 A KR20170121946 A KR 20170121946A KR 101880498 B1 KR101880498 B1 KR 10188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ing
layer
coating
covering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섭
김일택
Original Assignee
김일택
송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택, 송준섭 filed Critical 김일택
Priority to KR102017012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2201/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masking tape for pa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건물, 선박 또는 가구 등과 같은 피도장물의 부분 도장시에 피도장물의 표면에 형성된 도장부의 주변에 붙여져 도장부 이외의 부분에 도료가 묻지 않도록 하는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을 기준하여, 일측단와 중간단로 구분될 수 있는 일측부와 상기 일측부와 연결되는 타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단에는 커버링 필름이 결착되고, 중간단에는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되며, 타측부에 해당하는 타측단은 피도장물의 도장부 표면에서 일정의 경사각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도장부의 표면에 새롭게 분사 도포된 도장층의 외주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에 관한 분야이다.

Description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COVERING TAPE FOR PAINTING}
본 발명은 자동차, 건물, 선박 또는 가구 등과 같은 피도장물의 부분 도장시에 피도장물의 표면에 형성된 도장부의 주변에 붙여져 도장부 이외의 부분에 도료가 묻지 않도록 하는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을 기준하여, 일측단과 중간단으로 구분될 수 있는 일측부와 상기 일측부와 연결되는 타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단에는 커버링 필름이 결착되고, 중간단에는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되는 제1접착층이 형성되며, 타측부에 해당하는 타측단은 피도장물의 도장부 표면에서 일정의 경사각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도장부의 표면에 새롭게 분사 도포된 도장층의 외주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피도장물의 표면에 형성된 손상된 도장층을 새롭게 도장하기 위해서는, 손상된 도장층이 형성된 부분(이하, ‘도장부’라 칭함.)에 기형성된 손상된 도장층을 연마하여 벗겨낸 후, 원래의 도장층과 동일한 색상을 가지는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부 표면에 도장층을 새롭게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도장부에 새롭게 형성되는 도장층은 피도장물의 전체 표면의 일부분에 해당되기 때문에, 상기 도장부에 새로운 도장층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분사되는 도료가 상기 도장부 이외의 부분(미손상된 도장층이 형성된 피도장물의 표면 부분)으로 지나치게 비산되어 도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커버링 테이프를 도장부 주변에 결착시킨다.
하지만, 종래 커버링 테이프는 단순히 일측에 결착된 커버링 필름(비닐 형태로 이루어짐.)이 하부면에 결착되고, 커버링 테이프의 중간부를 포함한 타측이 피도장물의 표면(미손상된 부분의 도장층 표면)에 접착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커버링 테이프의 타측 말단의 두께로써 형성된 커버링 테이프의 말단턱에 의하여, 도장부의 표면에 새롭게 형성된 도장층의 외주에 단턱(이하, ‘도장턱’이라 칭함.)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커버링 테이프의 종래기술로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63850로(2015. 10. 25. 도장용 부분 비점착 테이프)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 제1563850호는 합성수지 필름의 일측면 전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점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부의 일측면으로 볼록 인쇄방식에 의해 비점착제를 코팅하여 비점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비점착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코팅되고, 이를 지관에 롤 형태로 권취되고, 상기 비점착제에는 염료가 포함되어 상기 점착부와 비점착부가 구별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장 작업 후 테이프를 제거 하면 도장면과 비도장면 사이에 도장턱이 발생하여 도장표면이 매끄럽지 못 해 이를 처리하기 위해 후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3850호(2015. 10. 2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8219호(2011. 05. 1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54045호(2005. 06.10.)
본 발명은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는 단순히 피도장물의 도장부 이외의 표면을 분사되는 도료로부터 보호하는 커버링 필름과 상기 커버링 필름을 도장부 주변에 결착시키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상기 도장부에 새롭게 도료가 분사 도포되어 형성된 도장층의 외주에 상기 테이프의 말단턱에 의한 도장턱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특히, 상기와 같이 도장층의 외주에 형성된 도장턱은 도장부 주변에 원래 도장되어 있던 도장층 부분과 새롭게 형성된 도장층을 급격하게 분리시키기 때문에, 도장작업 이후에 상기 도장턱을 없애기 위한 연마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길이와 폭을 가지는 커버링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테이프는 폭방향으로, 하부면에 제1접착층이 형성되는 일측부; 및 상기 일측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접착층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타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는 도료가 새롭게 도장되는 도장부 쪽에 위치한 폭방향의 타측단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대하여 일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되고, 도장부의 외곽쪽 상부에서 분사되는 도료의 분사압력에 의하여 상기 타측단이 중간단을 기준으로 일정의 경사를 형성하며 들어 올려지거나 내려질 수 있기 때문에, 커버링 테이프의 타측 말단턱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장턱이 형성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도장턱이 미형성되기 때문에, 새롭게 형성된 도장층과 원래 도장되어 있던 도장층의 연결부분이 단턱없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도장작업 이후에 요구되는 연마공정을 단순화되거나 불필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커버링 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커버링 필름이 결착되지 않은 커버링 테이프의 사시도(a), 커버링 필름이 결착되지 않은 커버링 테이프의 일측부가 피도장물에 접착된 단면도(b)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의한 커버링 필름이 결착된 커버링 테이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의한 커버링 테이프의 타측부가 접히지 않은 단면도(a), 타측부가 하향하며 접혀 이중층을 형성하는 단면도(b), 중간단이 피도장물에 접착된 단면도(c)와 스프레이를 이용한 도장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d), 도장 후 도장층이 형성된 도장부의 단면도(e)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의한 커버링 테이프의 타측부가 접히지 않은 단면도(a), 타측부가 하향하며 접혀 이중층을 형성하는 단면도(b), 중간단이 피도장물에 접착된 단면도(c)와 스프레이를 이용한 도장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d), 도장 후 도장층이 형성된 도장부의 단면도(e)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3에 의한 커버링 테이프의 타측부가 접히지 않은 단면도(a), 타측부가 상향하며 접혀 이중층을 형성하는 단면도(b), 중간단이 피도장물에 접착된 단면도(c)와 스프레이를 이용한 도장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d), 도장 후 도장층이 형성된 도장부의 단면도(e)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자동차, 건물, 선박 또는 가구 등과 같은 피도장물의 부분 도장시에 피도장물의 표면에 형성된 도장부(270)의 주변에 붙여져 도장부(270) 이외의 부분에 도료가 묻지 않도록 하는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와 폭을 가지는 커버링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테이프는 폭방향으로, 하부면에 제1접착층(142)이 형성되는 일측부(100); 및 상기 일측부(100)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접착층(142)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타측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이하, ‘커버링 테이프’라 칭함.)는 자동차, 건물, 선박 또는 가구 등과 같은 피도장물의 표면에 기도장되어 있던 도장층의 일부분을 새롭게 도장할 때 사용하는 커버링 테이프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커버링 테이프는 손상된 도장층의 외곽쪽에 해당하는 도장부(270) 주변의 피도장물 표면에 붙여져, 새로운 도장층(260)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도장부(270)의 상부에서 분사 도포되는 도료의 비산으로 인한 도장부(270) 주변의 피도장물 표면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상기 피도장물은 자동차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겠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2(a) 내지 6(e)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링 테이프는 도 4(a)와 같이 일정의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커버링 테이프의 길이는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후 필요에 따라 풀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버링 테이프는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을 기준하여, 거시적으로 일측부(100) 및 타측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종이,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이라 함은 커버링 테이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고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에 해당하고, 상기‘일측’이라 함은 도면의 좌측을 의미하며, 상기 ‘타측’이라 함은 도면에서의 우측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일측부(100)는 하부면에 제1접착층(142)이 형성되어 피도장물 표면에 커버링 테이프를 결착되게 하는 구성이고, 상기 일측부(100)의 타측에는 하기의 타측부(200)가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일측부(100)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링 테이프를 피도장물의 표면에 견고히 결착시킬 수 있는 구성이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일측부(100)에 커버링 필름(122)이 미구비되는 경우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ⅱ) 일측부(100)에 커버링 필름(122)이 구비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ⅰ)의 경우와 같이 일측부(100)에 커버링 필름(122)이 미구비되는 경우에는, 일측부(100)의 하부면에는 제1접착층(142)만이 형성되고, 일측부(100)의 일측에는 하기의 타측부(200)가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ⅰ)의 경우와 같이 일측(100)에 커버링 필름(122)이 미구비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링 테이프가 도료의 비산 면적이 좁은 피도장물의 표면 모서리 또는 홈에 결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ⅱ)의 경우와 같이 일측부(100)에 커버링 필름(122)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일측부(100)에 구비된 커버링 필름(122)이 도장부(270) 이외의 피도장물 표면을 보다 넓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일측부(100)는 일측단(12)과 중간단(140)을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ⅱ)의 경우와 같이 일측부(100)가 일측단(120)과 중간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단(120)의 일측에는 커버링 필름(122)이 결착되고, 일측단(120)의 타측에는 중간단(140)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중간단(140)의 타측에는 하기의 타측부(200)가 연결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일측단(120)은 커버링 필름(122)이 결착되는 구성으로서,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 일측 일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단(120)은 상기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측단(120)에는 일정의 면적을 가지는 커버링 필름(122)이 결착되어 도장부(270) 이외의 피도장물 표면에 도료가 묻지 않도록 피도장물의 표면을 덮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커버링 필름(122)은 합성수지, 종이 또는 천연수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커버링 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며,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폭이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링 필름(122)의 면적은 커버링 필름(122)의 길이와 폭에 의하여 형성되고, 이때 상기 커버링 필름(122)의 폭은 당업자의 판단에 의하여 도장부(270) 이외의 피도장물 표면의 폭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고, 긴 폭을 가지는 커버링 필름(122)을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치며 적절하게 조절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일측단(120)의 폭은 상기 커버링 필름(122)이 상기 일측단(120)에 견고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하며,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상기 일측단(120)에 결착되는 커버링 필름(122)은 일측단(120)의 하부면, 측단부 또는 상부면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 커버링 필름(122)의 타측 일부분이 겹치며 결착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일측단(120)과 커버링 필름(122) 간의 결착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방식, 핫멜트를 이용한 접합방식 또는 열융착 접합방식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하에서는 일측단(120)의 하부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일측단(120)의 하부면에 상기 커버링 필름(122)의 타측 상부면 일부분이 접착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겠다.
또한 상기 중간단(140)은 상기 일측단(120)의 타측에 연결되고, 하부면에 제1접착층(142)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커버링 테이프를 피도장물의 표면에 붙일 수 있도록 하부면에 제1접착층(142)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단(142)은 일측이 상기 일측단(120)의 타측에서 길이연장되는 형태로 연결되고, 하부면에는 접착제에 의하여 형성된 제1접착층(142)이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중간단(140)의 하부면에는 전체적으로 제1접착층(142)이 형성되어 커버링 테이프를 피도장물의 표면에 견고히 접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간단의 폭은 제1접착층(142)을 형성시키는 접착제의 접착강도 또는 커버링 테이프의 폭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접착층(142)을 형성시키는 접착제는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피도장물의 표면에 쉽게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접착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하지만, 도장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커버링 테이프가 피도장물의 표면에서 제거될 때에는 제1접착층(142)의 일부가 피도장물의 표면에서 잔존하지 않도록 접착 해제성도 용이한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타측부(200)는 상기 일측부(100)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접착층(140)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도장공정시에 도장부(270)에 분사 도포되는 도료의 분사압력에 의하여 도장부의 표면에서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지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측부(200)는 상기 일측이 상기 일측부(100)의 타측에서 길이연장되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중간단(140)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단(140)을 기준하여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피도장물의 표면과 타측부(200)의 하부 사이에 상부가 경사진 상태를 가지는 이격공간(230)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타측부(200)는 상기 일측부(100)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접착층(142)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일측부(100)에 커버링 필름(122)이 미구비되는 경우와 구비되는 경우 모두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즉, 상기 타측부(200)는 피도장물의 표면에 하부면이 접착된 중간단(140)의 타측을 기준하여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타측부(200)는 폭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타측부(200)의 하부에 상기 이격공간(230)을 형성시키고, 상기 이격공간(230)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더 낮은 높이가 형성되어, 이격공간(230)의 타측에 위치한 도장부(270)의 상부에서 분사 도포되는 도료가 이격공간(23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적은 양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장부(270)의 상부에서 분사 도포되는 도료가 이격공간(23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점적 적은 양으로 유입되면, 이격공간(230)의 하부에 위치된 피도장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료의 양이 타측에서 일측방향(이격공간(23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과 동일함.)으로 갈수록 적어지고, 결과적으로는 이격공간(230)의 일측 안쪽에 위치되는 피도장물의 표면에는 도료에 의한 도장턱(240)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타측부(200)는 피도장물의 표면을 기준하여 폭방향 타측이 일측보다 상향하는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도장부(270)의 상부쪽에서 도장부(270) 표면으로 수직 또는 경사진 상태로 분사 도포되는 입자 상태 도료의 분사압력, 분사방향 및 분사량에 따라 타측부(200)의 일측(중간단(140)의 타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순간적으로 더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지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타측단 타측의 들어올려짐 또는 내려짐으로 인하여 상기 이격공간(230)의 타측 높이 역시 높아지거나 낮아져 이격공간(230)으로 유입되는 도료의 양은 수시로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격공간(230)의 타측 높이가 수시로 달라지더라도 타측부(200)의 일측은 중간단(14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격공간(230)의 일측의 높이는 이격공간(230)의 타측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변화되고, 그 결과 높이가 낮은 이격공간(230)의 일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도료의 양은 계속적으로 적게 되어 이격공간(230)의 일측 안쪽일수록 더 얇은 두께의 도장층(260)이 형성되어 도장층 외주에는 도장턱(240)이 거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타측부(200)는 중간단(140)의 하부면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되기 이전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단(140)과 일직선상을 가지는 폭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중간단(140)의 하부면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는 반드시 타측부(200)의 폭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상기와 같은 타측부(200)의 상향 경사는 타측부(200)의 다양한 형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타측부(200)의 다양한 형태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의한 타측부(20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단(140)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접착층(142)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 타측 일부분이 하향하며 접혀져 상부층(222)과 하부층(223)을 포함하는 이중층(221)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층(222)의 하부면과 하부층(223)의 상부면 사이에는 제2접착층(224)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접착층(224)은 상부층(222)의 하부면과 하부층(223)의 상부면 간의 상접면 전체를 접착시키토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측부(200)는 상기 일측이 상기 중간단(140)의 타측에서 길이연장되는 형태로 연결되고, 타측 일부분이 하향하며 접혀져 상부층(222)과 하부층(223)을 포함하는 이중층(221)을 형성하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단(140)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단(140)을 기준하여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피도장물의 표면과 상기 타측부(200)의 하부 사이에 상부가 경사진 상태를 가지는 이격공간(230)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타측부(200)는 피도장물의 표면에 하부면이 접착된 중간단(140)의 타측 일부분이 하향하며 접혀져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타측단(140)의 두께는 상기 중간단(140)의 두께보다 두꺼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측부(200)의 타측 말단은 피도장물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타측부(200)와 피도장물 사이에 이격공간(230)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격공간(230)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더 낮은 높이가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230)의 타측에 위치한 도장부(270)의 상부에서 분사 도포되는 도료가 이격공간(23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적은 양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타측부(200)의 타측이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면 도료의 분사압력, 분사방향 및 분사량에 따라 타측부(200)의 일측(중간단(140)의 타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순간적으로 더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지는 구성을 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타측부(200)의 타측이 들어올려짐 또는 내려짐으로 인하여 상기 이격공간(230)의 타측 높이 역시 높아지거나 낮아져 이격공간(230)으로 유입되는 도료의 양은 수시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부(200)는 상기 커버링 테이프가 한번 접혀져 형성되었기 때문에 두께는 상기 중간단(140)보다 두껍게 형성되지만, 도료의 분사 압력에 의해 쉽게 들려지기 때문에 낮은 도료의 분사 압력에도 이격공간(230)으로 유입되는 도료의 양이 수시로 달라지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상기와 같이 이격공간(230)의 타측 높이가 수시로 달라지더라도 타측부(200)의 일측은 중간단(14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격공간(230)의 일측의 높이는 이격공간(230)의 타측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변화되고, 그 결과 높이가 낮은 이격공간(230)의 일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도료의 양은 계속적으로 적게 되어 이격공간(230)의 일측 안쪽일수록 더 얇은 두께의 도장층(260)이 형성되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층(260) 외주에는 도장턱(240)이 거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의한 타측부(20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단(140)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접착층(142)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상기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 타측 일부분이 하향하며 접혀져 상부층(222)과 하부층(223)을 포함하는 이중층(221)의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하향하며 접혀진 상기 타측부(2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층(222)의 하부면과 하부층(223)의 상부면 사이에는 제3접착층(22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접착층(226)은 상기 중간단(140)와 인접된 상기 상부층(222)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층(223)의 상부면 말단 일부만을 접착시키는 구성으로서, 도 5(a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단(140)의 하부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제1접착층(14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부(200)의 하부에는 중간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상기 타측부(200)의 일부분이 하향하면 접혀질 때 말단은 상기 제1접착층(142)의 타측 말단에 접착하여 제3접착층(225)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5(a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측부(200)의 하부 말단 일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경우 상기 타측부(200) 일부가 하향하며 접혀질 때 상부층(222)과 하부층(223) 사이 즉, 이중층(221)의 사이에 제3접착층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측부(20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하부면이 접착된 중간단(140)의 타측을 기준하여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링 테이프의 타측 말단 하부 일부에만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타측 말단 일부분이 하향하며 접히며 상기 중간단(140)와 인접된 상기 상부층(222)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층(223)의 상부면 일부만을 잡착시킴으로써, 상기 타측부(200)의 형상은 고리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타측부(200)는 타측 말단이 하향하며 고리형태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제3접착층(225)은 상기 중간단(140)의 타측에 근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기 타측부(200)의 타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타측부(2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경사를 가진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하는 경사를 가진 상기 타측부(200)의 하부와 피도장물의 사이에는 이격공간(230)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230)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더 낮은 높이가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230)의 타측에 위치한 도장부(270)의 상부에서 분사 도포되는 도로가 이격공간(23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적은 양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측부(200)는 고리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타측부(200)가 고리형상으로 접혀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탄성에 의해 도료의 분사압력, 분사방향 및 분사량에 따라 타측부(200)의 일측(중간단(140)의 타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순간적으로 더 들어올려 지거나 내려지는 구성을 할 때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1의 경우보다 더 높은 도료의 분사 압력에 의해 들려지게 한다.
즉, 높은 도료의 분사압력에 의해 상기 타측부(200)가 너무 높게 들려지게 되어 이격공간(230)이 너무 많이 형성되게 되면 상기 중간단(140)의 타측 부분에 단턱이 형성되어 도장턱(240)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높은 분사 압력에서는 고리형상의 타측부(200)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층(260) 외주에는 도장턱(240)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3에 의한 타측부(200)는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단(140)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접착층(142)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상기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 타측 일부분이 상향하며 접혀져 상부층(222)과 하부층(223)을 포함하는 이중층(221)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층(222)의 하부면과 하부층(223)의 상부면 사이에는 제4접착층(22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접착층(226)은 상기 중간단()와 인접된 상부층(222)의 하부면과 하부층(223)의 상부면 말단 일부분만을 접착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측부(20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하부면이 접착된 중간단(140)의 타측을 기준하여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링 테이프의 타측 말단 상부 일부에만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타측 말단 일부분이 상향하며 접히며 상기 중간단(140)와 인접된 상기 상부층(222)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층(223)의 상부면 일부만을 잡착시킴으로써, 상기 타측부(200)의 형상은 고리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타측부(200)는 타측 말단이 상향하며 고리형태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제4접착층(226)은 상기 중간단(140)의 타측에 근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기 타측부(200)의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부(200)의 고리형상 반경이 커지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타측부(2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하는 경사를 가진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상을 이루며 상향하는 경사를 가진 상기 타측부(200)의 하부와 피도장물의 사이에는 이격공간(230)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230)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더 낮은 높이가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230)의 타측에 위치한 도장부(270)의 상부에서 분사 도포되는 도로가 이격공간(23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점점 적은 양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측부(200)는 고리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타측부(200)가 고리형상으로 접혀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탄성에 의해 도료의 분사압력, 분사방향 및 분사량에 따라 타측부(200)의 일측(중간단(140)의 타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순간적으로 더 들어올려 지거나 내려지는 구성을 할 때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1과 실시예2의 경우보다 더 높은 도료의 분사 압력에 의해 들려지게 한다.
즉, 높은 도료의 분사압력에 의해 상기 타측부(200)가 너무 높게 들려지게 되어 이격공간(230)이 너무 많이 형성되게 되면 상기 중간단(140)의 타측 부분에 단턱이 형성되어 도장턱(240)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높은 분사 압력에서는 고리형상의 타측부(200)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장층(260) 외주에는 도장턱(240)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100 : 일측부 120 : 일측단
122 : 커버링 필름 140 : 중간단
142 : 제1접착층 160 : 기도장부
200 : 타측부 220 : 타측단
221 : 이중층 222 : 상부층
223 : 하부층 224 : 제2접착층
225: 제3접착층 226 : 제4접착층
230 : 이격공간 240 : 도장턱
260 : 도장층 270 :도장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길이와 폭을 가지는 커버링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테이프는 폭방향으로,
    하부면에 제1접착층(142)이 형성되는 일측부(100); 및
    상기 일측부(100)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접착층(142)이 피도장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에서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타측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측부(100)는
    커버링 필름(122)이 결착되는 일측단(120);과
    상기 일측단(120)의 타측에 연결되고, 하부면에 제1접착층(142)이 형성되는 중간단(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타측부(200)는
    상기 커버링 테이프의 폭방향 타측 일부분이 상향하며 접혀져 상부층(222)과 하부층(223)을 포함하는 이중층(221)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층(222)의 하부면과 하부층(223)의 상부면 사이에는 제4접착층(22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접착층(226)은 상기 중간단(140)과 인접된 상부층(222)의 상부면과 하부층(223)의 하부면 말단 일부분만을 접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7. 삭제
KR1020170121946A 2017-09-21 2017-09-21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KR10188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46A KR101880498B1 (ko) 2017-09-21 2017-09-21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46A KR101880498B1 (ko) 2017-09-21 2017-09-21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498B1 true KR101880498B1 (ko) 2018-07-20

Family

ID=6310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946A KR101880498B1 (ko) 2017-09-21 2017-09-21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4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403A (ja) * 1999-06-25 2001-01-16 Lintec Corp 塗装用粘着テープおよび塗装用粘着テープを用いた塗装方法
KR20040060813A (ko) * 2003-12-26 2004-07-06 장운규 커버링 테이프
KR20050054045A (ko) 2003-12-03 2005-06-10 선길섭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
KR20110048219A (ko) 2009-11-02 2011-05-11 김기태 비점착부분을 포함하는 존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563850B1 (ko) 2015-08-10 2015-10-27 주영희 도장용 부분 비점착 테이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403A (ja) * 1999-06-25 2001-01-16 Lintec Corp 塗装用粘着テープおよび塗装用粘着テープを用いた塗装方法
KR20050054045A (ko) 2003-12-03 2005-06-10 선길섭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
KR20040060813A (ko) * 2003-12-26 2004-07-06 장운규 커버링 테이프
KR20110048219A (ko) 2009-11-02 2011-05-11 김기태 비점착부분을 포함하는 존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563850B1 (ko) 2015-08-10 2015-10-27 주영희 도장용 부분 비점착 테이프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diypainting/2978 (2016.08) *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diypainting/2978 (2016.08) 1부. *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licenceautopaint/58596 (2016.02) *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licenceautopaint/58596 (2016.02) 1부. *
네이퍼 카페, http://cafe.naver.com/licenceautopaint/50245 (2008) *
네이퍼 카페, http://cafe.naver.com/licenceautopaint/50245 (2008)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3058A3 (de) Sicherheitsklebeband zum Nachweis des unbefugten Öffnens einer Verpackung
EP0580766B1 (en) Masking methods using flexible strip
US20090202773A1 (en) Flip-Over Painter's Tape
JP6813846B2 (ja) マスキングテ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塗膜形成方法
KR101880498B1 (ko)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JPH0347885A (ja) 粘着テープ
US11052560B2 (en) Tape system with a longitudinal filament for slitting film
US20080193723A1 (en) Composite masking tap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962748B2 (en) Masking tape and its use
US20080318038A1 (en) Masking material with liquid-repellent surface
JP2017095651A (ja) マスキングテープ並びにそれを用いた塗膜形成方法及び養生方法
US11279856B2 (en) Filament-bearing masking tape
KR100530634B1 (ko)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
KR100925534B1 (ko) 페인트 도포용 커버링 컬러 테이프
JP3242824U (ja) 四角形のマスキングテープ
JP4074945B2 (ja) ぼかし粘着テープ、その粘着テープを用いた塗装方法、その粘着テープの成形装置
KR100530633B1 (ko) 도장 작업용 커버
JP3062796B2 (ja) マスキングテープ
JP6448028B2 (ja) 塗装方法
US20140251211A1 (en) Paintover Tape Patterns and Shapes
JP4154284B2 (ja) メッシュシートの接着方法
JPH0629652U (ja) 塗装用マスキングシート
DE19608854C1 (de) Nichtklebend ausgerüstete Abdeckfolie
JP6222567B2 (ja) 木質床材の製造方法
KR200338645Y1 (ko) 도장 작업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