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045A -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 - Google Patents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045A
KR20050054045A KR1020030087327A KR20030087327A KR20050054045A KR 20050054045 A KR20050054045 A KR 20050054045A KR 1020030087327 A KR1020030087327 A KR 1020030087327A KR 20030087327 A KR20030087327 A KR 20030087327A KR 20050054045 A KR20050054045 A KR 20050054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ape
paint
auxiliary tap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634B1 (ko
Inventor
선길섭
Original Assignee
선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길섭 filed Critical 선길섭
Priority to KR10-2003-008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6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54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20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 B05B12/24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made at least partly of flexible material, e.g. sheets of paper or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masking tape for painting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작업 중 피도장체(彼塗裝體)의 원하지 않는 부분에 도료가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와 이를 구비한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보조테이프는 종래 커버에서 발생하였던 도장 후 피도장체에서 커버를 제거할 때 커버에 묻어 있던 건조된 도료가 잘게 부서져 날려서 피도장체의 덜 건조된 도장표면에 달라붙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도료 흡수층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도료 흡수층으로 인하여 도료가 흘러서 원하지 않는 부분에 도료가 묻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보조테이프를 구비한 커버는 종래 도장작업용 커버 생산라인을 이용할 수 있어서 생산에 있어 현실성이 있고, 그만큼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는 도료 흡수층만으로 또는 도료흡수층과 도료 투과방지층이 일체로 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접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AUXILIARY TAPE FOR PAINTING AND COVER SHEET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도장작업 중 피도장체(彼塗裝體)의 원하지 않는 부분에 도료가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와 이를 구비한 커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보조테이프는 종래 커버에서 발생하였던 도장 후 피도장체에서 커버를 제거할 때 커버에 건조되어 묻어 있던 도료가 잘게 부서지며 날려서 피도장체에 달라붙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도료 흡수층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료 흡수층으로 인하여 도료가 흘러서 원하지 않는 부분에 도료가 묻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조테이프를 구비한 커버는 종래 도장작업용 커버 생산라인을 약간만 개선하면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에 있어 현실성이 있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보통 각종 건축 구조물이나 자동차 등의 공업 제품 등은 붓, 롤러, 스프레이 또는 에어건 등을 이용하여 도료를 칠하는 도장작업을 하게 된다.
이 때 피도장체의 원하지 않는 부분에 도료가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이, 부직포 또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를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을 가리고 도장 작업을 하게 되는데, 종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장작업용 커버는 흔히 비닐이라 불리는 투명 합성수지로 된 커버본체 일단부에 접착테이프가 구비되어 있는 형태의 것이다.
이러한 종래 커버를 이용하여 피도장체에서 도료가 묻어서는 안 되는 부분을 가리고 도장작업을 하게 되면 피도장체와 커버에 도료가 묻게 되고, 도장작업 완료 후 커버를 떼어내면 소정의 원하는 부위만 도장된 피도장체를 얻게 된다.
그런데 보통 피도장체와 비닐 같은 투명 합성수지로 된 커버에 도료가 묻게 되면 커버에 묻은 도료가 피도장체에 묻은 도료 보다 훨씬 빨리 건조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리고 건조된 도료가 묻은 커버를 떼어내는 작업을 할 때 커버 위의 도료들이 미세하게 부서지면서 날리게 되며, 이 미세 도료 가루들이 아직 덜 건조된 피도장체의 도장 표면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피도장체의 도장표면은 미세한 도료가루 자국으로 거칠어져서 도장품질을 확보하기 어렵고 심할 경우 피도장체의 상품가치를 잃어버리게 된다.
또 종래 합성수지류의 커버는 커버에 묻은 도료가 건조되기 전까지는 커버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원하지 않는 부분에 도료가 묻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곤 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28614호 『페인트 도포용 커버 테이프』가 있고, 기재된 목적은 다소 다르지만 유사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5-0018730호 『도장용 마스킹 테이프』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 종래 고안들은 부직포 또는 종이로 이루어진 도료 흡수수단을 합성수지 커버본체 한쪽 면에 부착시킨 구조를 갖는 커버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커버를 생산하기 위하여 얇은 합성수지 커버본체에 부직포나 종이를 부착하는 기술 자체가 까다로워서 실제 제품을 생산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고, 생산이 가능할지라도 이미 존재하는 도장작업용 커버 생산라인을 크게 변경 개조하여야 하므로 제품 단가상승을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시장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28614호 고안의 경우에는 도장커버가 일반적으로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서 생산한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즉 상기 고안에서는 커버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 경우, 커버본체에 구비된 접착부재의 접착제 도포면이 부직포나 종이와 같은 도료 흡수수단과 접촉한다. 이로 인하여 도장 작업 현장에서 종래 커버를 풀어서 사용하고자 하면 접착부재의 접착재 도포면의 접착성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전혀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커버를 피도장체에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작업현장에서는 상기 종래기술들이 활용되지 못하고 비닐 같은 투명 합성수지로 된 커버체 위에 별도의 종이나 부직포 같은 재료를 덧대고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도장작업용 커버와 상기 고안들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별도로 생산되어 도장 현장에서 종래의 커버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종래의 커버 생산라인을 크게 변형하지 않고 커버본체에 부착한 형태로 쉽게 생산 할 수 있는 도료 흡수층을 구비한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두루마리 형태로 생산되면서도 접착부재의 접착제 도포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수단을 구비한 보조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도료 흡수층을 구비한 보조테이프가 결합된 도장작업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버의 양단부에 접착부재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커버를 사용할 때 한 쪽 단부의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동안 다른 쪽 단부의 접착부재가 피도장체의 원하지 않는 부위 또는 커버본체에 달라붙거나, 접착부재끼리 서로 엉겨 붙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부 보호수단을 구비한 도장작업용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는 도료 흡수층만으로 또는 도료흡수층에 도료 투과방지층이 일체로 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접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테이프는 상기 접착부재의 노출된 접착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작업용 커버는 커버본체; 및 도료 흡수층만으로 또는 도료 흡수층에 도료 투과방지층이 일체로 되어 있는 테이프본체와, 상기 테이프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접착부재 중 하나는 상기 커버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보조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접착부재'라는 용어는 통상의 접착테이프와 보조테이프 본체 또는 커버본체 자체에 도포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양면테이프'라는 용어는 양면으로 접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테이프 형태의 것을, '일면테이프'라는 용어는 일면에만 접착제 도포면이 형성된 테이프 형태의 것을 나타낸다.
아울러 접착부재와 관련하여 '접착부'는 접착제 도포면이 노출된 부분을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보조테이프 본체 또는 커버본체와 관련하여 '노출'이라는 용어는 보조테이프 또는 커버를 피도장체에 부착했을 경우 관찰자가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드러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접착부재와 관련하여 '노출'이라는 용어는 보조테이프 본체 또는 커버본체에 결합된 면 외의 접착부재의 접착제 도포면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작업용 커버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를 설명하면,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테이프(T)는 기본적으로 테이프본체(10)와, 상기 테이프본체(10) 양단부에 구비된 접착부재(21)(23)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테이프본체(10)는 도료 흡수층(11)과 도료 투과방지층(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료 흡수층(11)은 도장 후 보조테이프(T)를 피도장체에서 제거할 경우 테이프(T)에 묻은 도료가 부스러져 날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부직포, 직물, 종이, 흡수성 합성수지(예: 스펀지) 등의 흡수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테이프본체(10)를 도료 투과방지층(13)이 없이 도료 흡수층(11)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단 이 경우에는 도료가 투과할 수 없을 정도로 충분한 두께가 보장되는 등의 도료 투과 방지책이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도료 투과방지층(13)은 상기 흡수층(11)에 묻은 도료가 스며들어 피도장체에 묻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의 명함이나 팜플렛의 제작에 흔히 쓰이는 공지의 코팅지를 제작하는 기술을 적용한 합성수지 코팅일 수 있다.
또 상기 접착부재(21)(23)는 테이프본체(10)의 도료 투과방지층(13)에 부착된 접착테이프, 특히 양면테이프이거나 도료 투과방지층(13)에 도포된 접착제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테이프본체(10)와 접착부재(21)(23)만으로 이루어진 보조테이프(T)는, 보조테이프(T)를 생산하자마자 커버본체(40)에 바로 부착할 경우에 적합한 것이다. 즉 보조테이프(T)의 생산라인이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보조테이프를 커버본체(40)를 부착하는 공정라인과 인접해 있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조테이프(T)를 별도의 생산라인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완제품 보조테이프를 커버를 생산하는 장소로 이송하여야 하는 경우나, 보조테이프(T) 자체를 상품화하여 도장현장에서 종래의 합성수지 커버를 피도장체에 부착한 다음 피도장체와의 경계면에 해당하는 커버 부분에 보조테이프를 부착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조테이프(T)는 두루마리 형태로 제조되어야한다.
이 경우에는 테이프(T)의 접착부재(21)(23)의 접착제 도포면을 보호해 주는 수단이 강구되어야 유통, 휴대, 그리고 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도포면 보호수단이 없다면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28614호 고안의 경우처럼 보조테이프(T)는 두루마리 형태로 말 경우 접착부재의 접착제 도포면이 보조테이프의 도료흡수층에 접촉하여 접착되므로 보조테이프(T)를 풀어 낼 수 가없고, 풀어낸다 하더라도 접착부재의 접착재 도포면의 접착성이 현저히 떨어져서 전혀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테이프(T)는 도 1 및 도 2a에서와 같이, 접착부재(21)(23)의 노출된 접착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31)(3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도 2a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보호수단의 배열 위치는 보조테이프(T)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았을 경우 접착부재(21)(23)의 접착부가 보호수단(31)(33)에 부착되도록 상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는 여러 변형된 형태의 보조테이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가)에 도시된 것은 테이프본체(10)의 우측단부에 배열된 접착부재(23)와 보호수단(33)은 도 2a의 보조테이프의 것과 같지만, 좌측단부에 배열된 접착부재는 일면테이프(25)이다. 일면테이프(25)의 접착부(25b)의 일부분은 본체(10)에 부착되어 있다. (가)의 보조테이프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 경우, 우측단부의 접착부재(23)의 노출된 접착부는 두루마리 내측에 위치한 보호수단(33)에 부착되고, 좌측단부에 위치한 일면테이프(25)의 노출된 접착부(25b)는 두루마리 내측의 접착제 부(不)도포면(25a)에 부착된다.
그러므로 일면테이프로 된 접착부재(25)의 경우, 접착제 부도포면(25a)이 접착부(25b) 보호수단으로 기능한다.
(나)에 도시된 것은 테이프본체(10) 양단부에 구비된 접착부재가 모두 일면테이프(25)(27)인 것이다. 상기 보조테이프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 경우 역시 일면테이프(25)(27)의 노출된 접착부(25b)(27b)는 두루마리 내측의 접착제 부(不)도포면(25a)(27a)에 부착된다.
(다)에 도시된 것은 테이프본체(10) 좌측단부의 접착부재는 일면테이프(25)이고, 우측단부에 구비된 접착부재(29)는 양면테이프 또는 도포된 접착제이다. 상기 우측단부에 구비된 접착부재(29)의 접착부에는 통상의 양면테이프에서 사용되는 코팅지나 기름종이와 같이 탈착되는 보호수단(35)이 부착되어 있다.
특히 (다)에 도시된 형태의 보조테이프는 보조테이프 자체를 제품화하여 도장현장에서 먼저 종래의 커버를 피도장체에 부착하고, 이어서 커버 위로 본 발명의 보조테이프를 부착할 경우 편리하다. 즉, 보조테이프 부착시에 두루마리에서 보조테이프를 풀면서 일면테이프(25)를 먼저 피도장체와 커버의 경계면과 일치시켜 부착하고, 이어서 풀린 테이프를 잘라서 두루마리와 분리한 후, 보조테이프의 한쪽부터 보조테이프를 팽팽히 한 상태로 보호수단(35)을 차츰 제거하면서 접착부재(29)를 커버에 부착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만약 도장현장에서 미리 종래 커버를 피도장체에 부착한 후 (가) 또는 (나)에 도시된 보조테이프를 커버에 부착할 경우에는 두루마리에서 보조테이프를 풀면 두 접착부재(25,23)(25,27)의 접착부가 바로 노출되므로 한 쪽 단부의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동안 다른 쪽 단부의 접착부재가 피도장체의 원하지 않는 부위 또는 커버본체에 달라붙거나 테이프끼리 서로 엉겨 붙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의 보조테이프를 이용하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이하에서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커버 생산라인에서 커버본체(40)와 보조테이프를 부착하여 커버(C1)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다)에 도시된 보조테이프를 사용하여 우측단부의 접착부재(29)를 커버본체(40)에 부착하고자 하면 일일이 보호수단(35)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불편할 것이다. 그러므로 커버 생산라인에서는 (가) 또는 (나)에 도시된 형태의 보조테이프가 적합할 것이다.
이어서 (라)에 도시된 것은 테이프 본체(10)의 양단부 모두에 양면테이프 또는 도포된 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29)가 배열되어 있고, 이 접착부재(29)의 접착부에는 코팅지 또는 기름종이와 같이 탈착되는 보호수단(35)에 접착되어 있는 형태이다. (라)에 도시된 보조테이프의 사용방법은 (다)에 도시된 보조테이프의 사용방법에 준한다.
다음으로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테이프를 구비한 도장작업용 커버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테이프(T)를 이용하여 도장작업용 커버를 생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롤러 R1에서 부직포 또는 PVC 등의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본체(40)가 풀려나오고 롤러 R2에서는 보조테이프(T)가 풀려 나오면서 가압롤러와 같은 가압수단(미도시 됨)을 통과하면서 보조테이프(T)의 접착부재(23)는 커버본체(40)의 일단부에 부착된다. 가압수단을 통과한 후 보조테이프와 커버본체가 부착되어 완성된 커버(C1)는 또 다른 롤러 R3에 권취되고, 이때 보조테이프(T)의 접착부재(21)는 다시 보호수단(31)에 부착된다. 도 4a에는 이러한 공정을 거쳐 완성된 커버(C1)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본체(40) 폭의 길이는 수m에 이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몇 겹으로 접힌 상태로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되어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4b에 도시된 형태의 커버(C2)는 도 4a에 도시된 커버(C1)에 비하여 커버본체(40)의 우측단부에 접착부재(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우측단부의 접착부재(50)에는 접착부 보호수단(6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커버(T2)의 부착작업이 편리하다. 즉, 보호수단이 없이 접착부재(50)의 접착부가 노출되어 있을 경우, 커버(C2)를 두루마리에서 풀면서 피도장체에 부착할 때에는 좌측단부의 보조테이프(T) 접착부재(21)를 부착하는 동안 우측단부의 접착부재(50)가 피도장체의 원하지 않는 부위 또는 커버본체에 달라붙거나, 접착부재(50)끼리 서로 엉겨 붙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보호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면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커버(C2)의 부착시에는 두루마리에서 커버(C2)를 풀면서 피도장체의 필요 부분에 좌측단부의 접착부재(21)를 부착한다. 그런 다음 커버(C2)를 잘라 두루마리와 분리한 후, 겹겹이 접힌 커버본체(40)를 펼친다. 이어서 우측단부의 접착부재(50)에서 보호수단(60)을 제거하여 피도장체에 접착부재(50)를 부착하여 커버(C2)를 팽팽히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두 접착부재(21)(50)가 피도장체에 모두 부착된 커버(C2)는 웬만한 바람에도 날리지 않고 안정되게 붙어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도료 흡수수단을 구비한 도장작업용 커버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료 흡수층을 구비한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는 별도로 생산되어 도장 현장에서 종래의 도장작업용 커버에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종래의 커버 생산라인을 크게 변형하지 않고 커버본체에 쉽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우수하고 충분한 단가 경쟁력을 가지므로 현실성이 있고, 수요자의 필요에 따라 적용범위가 넓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보조테이프는 두루마리 형태로 생산되면서도 접착부재의 접착제 도포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서 유통과 휴대, 사용이 편리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도장작업용 커버는 상기와 같은 보조테이프가 구비되어 있어서 도장현장에서 도장작업 중 도료가 흘러내려 원하지 않는 부분에 도료가 묻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도장 후 커버를 피도장체에서 제거할 경우 도료가 부스러져서 피도장체에 달라붙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버의 양단부에 접착부재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 적어도 일단부의 접착부재에는 접착부 보호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커버를 사용할 때 한 쪽 단부의 접착부재를 부착하는 동안 다른 쪽 단부의 접착부재가 피도장체의 원하지 않는 부위 또는 커버본체에 달라붙거나, 접착부재끼리 서로 엉겨 붙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와 이를 구비한 커버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도료흡수층과 접착부재를 구비한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와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보조테이프의 단면도,
도 2b는 여러 형태를 갖는 보조테이프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보조테이프를 커버에 부착하는 공정과 관련된 개략적인 평면도,
도 4a는 도 3에 따라 제조된 도장작업용 커버의 단면도,
도 4b는 다른 형태를 갖는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보조테이프 10: 테이프 본체
11: 도료 흡수층 13: 도료 투과방지층
21,23,25,27,29,50: 접착부재 31,33,35,60: 접착부 보호수단
C1,C2: 커버 40: 커버본체

Claims (8)

  1. 도료 흡수층으로 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접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도료 흡수층의 일면에 도료 투과방지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의 노출된 접착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의 비(非)노출면에 도포된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테이프가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접착부 보호수단은 상기 접착부재의 배열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본체 노출면에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가 보호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면테이프이고,
    상기 일면테이프의 접착제 도포면 중 일부분은 보조테이프 본체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테이프가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는 상태에서, 두루마리 외측에 위치한 상기 일면테이프의 노출된 접착부는 두루마리 내측의 일면테이프의 접착제 부(不)도포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 중 하나가 커버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커버본체와 일체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KR10-2003-0087327A 2003-12-03 2003-12-03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 KR100530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327A KR100530634B1 (ko) 2003-12-03 2003-12-03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327A KR100530634B1 (ko) 2003-12-03 2003-12-03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045A true KR20050054045A (ko) 2005-06-10
KR100530634B1 KR100530634B1 (ko) 2005-11-22

Family

ID=3724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327A KR100530634B1 (ko) 2003-12-03 2003-12-03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498B1 (ko) 2017-09-21 2018-07-20 김일택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391B1 (ko) 2006-03-17 2007-02-06 김호진 인테리어용 장식 테이프와 그 시공방법
KR100893586B1 (ko) * 2008-03-05 2009-04-17 위더스코리아(주) 폼 마스커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498B1 (ko) 2017-09-21 2018-07-20 김일택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634B1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4307B1 (en) Masking tape
WO1988007415A1 (en) A masking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lls of such tape
JP2005524726A (ja) 改良型マスキング用粘着テープ
US20090202773A1 (en) Flip-Over Painter&#39;s Tape
EP0580766B1 (en) Masking methods using flexible strip
CA1156919A (en) Adhesive tape for joining strips of material and a method for joining strips of material
US20210355692A1 (en) A corner bea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rner bead
US6962748B2 (en) Masking tape and its use
EP1570911A2 (en) Protective strip
KR100530634B1 (ko) 도장작업용 보조테이프 및 이를 구비한 커버
GB2432332A (en) Fine lining or striping tape
KR100530633B1 (ko) 도장 작업용 커버
KR100925534B1 (ko) 페인트 도포용 커버링 컬러 테이프
JP4550212B2 (ja) モール材用マスキングテープ
JP4736154B2 (ja) 両面接着テープ
JP2006233166A (ja) ぼかし粘着テープ、その粘着テープを用いた塗装方法、その粘着テープの成形装置
CN108435505A (zh) 胶层不连续的双面涂胶胶带
JP2018196857A (ja) マスキングシート
KR200338645Y1 (ko) 도장 작업용 커버
KR101880498B1 (ko) 도장용 커버링 테이프
JPH0734913Y2 (ja) 粘着テープ
KR100679391B1 (ko) 인테리어용 장식 테이프와 그 시공방법
JPH0337739Y2 (ko)
KR200345487Y1 (ko) 페인트 라인 커버.
JPH02134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