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278B1 -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 Google Patents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278B1
KR101880278B1 KR1020170030190A KR20170030190A KR101880278B1 KR 101880278 B1 KR101880278 B1 KR 101880278B1 KR 1020170030190 A KR1020170030190 A KR 1020170030190A KR 20170030190 A KR20170030190 A KR 20170030190A KR 101880278 B1 KR101880278 B1 KR 101880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zipper
circle
convex por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애
김영교
Original Assignee
김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애 filed Critical 김영애
Priority to KR102017003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278B1/ko
Priority to US16/492,225 priority patent/US11464298B2/en
Priority to PCT/KR2018/002805 priority patent/WO2018164525A1/ko
Priority to CN201880016439.XA priority patent/CN11038176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A44B19/04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 A44B19/06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with substantially rectangular members having interlocking projections and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A44B19/08Stringers arranged side-by-side when fastened, e.g. at least partially superposed string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2Means for making slide fasteners gas or watertight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의 보관을 위한 봉지 등의 연질 재료에 부착 또는 설치되는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지퍼레일과, 상기 제1지퍼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지퍼레일 및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따라 제1지퍼레일과 제2지퍼레일이 맞물려 체결되거나, 맞물림 상태에서 체결 해지되도록 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에는 각각, 밀폐 오목부와 밀폐 볼록부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밀폐 레일과, 상기 밀폐 레일의 상측에서 상레일 오목부와 상레일 볼록부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상레일과, 상기 밀폐 레일의 하측에서 하레일 오목부와 하레일 볼록부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하레일이 포함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지퍼레일의 밀폐 오목부와 밀폐 볼록부에 제2지퍼레일의 밀폐 오목부와 밀폐 볼록부가 체결 또는 체결 해지되고, 제1지퍼레일의 상레일 오목부와 상레일 볼록부에 제2지퍼레일의 상레일 볼록부와 상레일 오목부가 체결 또는 체결 해지되며, 제1지퍼레일의 하레일 오목부와 하레일 볼록부에 제2지퍼레일의 하레일 볼록부와 하레일 오목부가 체결 또는 체결 해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안정적인 체결구조에 의해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Multi airtight type rail zipper }
본 발명은 레일 지퍼에 관한 것으로, 물건의 보관을 위한 봉지 등의 연질 재료에 부착 또는 설치되어 내용물을 밀폐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약품, 의료품 및 잡화 등을 밀폐하여 포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비닐 재질의 지퍼백(Zipperbag)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지퍼백은 개방된 입구부에 서로 형합하는 한 쌍의 띠 형상 지퍼 테이프를 배열하고, 이를 가압하여 체결시킴으로써 내부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0162“ 이중 지퍼를 구비한 비닐 용기 ”에는 서로 맞물리는 이중 레일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내용물의 인출을 위해 사용자는 입구부를 좌우로 벌리게 되는데, 이때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내용물의 일부가 누출되거나 비닐 부분이 찢겨 지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차폐 시에도 지퍼 테이프의 체결 부분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가압하게 될 경우에는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감성불만이 야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8-0003305“ 비닐 지퍼를 갖는 비닐케이스 ”에서는 입구에 형성된 비닐지퍼의 개폐를 위한 슬라이더가 구비되어 입구의 개폐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세히, 상기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암수 서로 형합하도록 형성된 비닐지퍼에 슬라이더가 결합 되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에 따라 비닐 지퍼가 서로 체결되거나 체결 해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입구의 개폐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의 경우에는 개폐 조작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비닐 지퍼의 체결면이 직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열이나 외력에 의해 비닐 지퍼의 변형이 쉽게 발생 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지퍼백의 레일 구조는 대부분 입구부를 따라 형성되는 요철부와 이에 형합하는 홈부가 측방 또는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며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밀폐된 상태에서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체결력이 약한 부분에 압력이 집중되면서 체결력이 해제되어 밀폐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중 레일을 구비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키고는 있으나 레일의 접촉면이 직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열이나 외력에 의해 레일 변형이 쉽게 발생될 수 있으며, 레일이 변형될 경우 밀폐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KR 0001 Y1 KR 0002 U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 레일과 상기 밀폐 레일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레일 및 하레일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제1지퍼레일과, 상기 제1지퍼레일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2지퍼레일이 슬라이더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지퍼레일과, 상기 제1지퍼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지퍼레일 및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따라 제1지퍼레일과 제2지퍼레일이 맞물려 체결되거나, 맞물림 상태에서 체결 해지되도록 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에는 각각, 밀폐 오목부와 밀폐 볼록부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밀폐 레일과, 상기 밀폐 레일의 상측에서 상레일 오목부와 상레일 볼록부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상레일과, 상기 밀폐 레일의 하측에서 하레일 오목부와 하레일 볼록부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하레일이 포함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지퍼레일의 밀폐 오목부와 밀폐 볼록부에 제2지퍼레일의 밀폐 오목부와 밀폐 볼록부가 체결 또는 체결 해지되고, 제1지퍼레일의 상레일 오목부와 상레일 볼록부에 제2지퍼레일의 상레일 볼록부와 상레일 오목부가 체결 또는 체결 해지되며, 제1지퍼레일의 하레일 오목부와 하레일 볼록부에 제2지퍼레일의 하레일 볼록부와 하레일 오목부가 체결 또는 체결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에서 상기 상레일 볼록부와 밀폐 레일 볼록부 및 하레일 볼록부는 수직 하방 또는 수직 상방으로 볼 때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에서 상기 상레일 오목부와 밀폐 레일 오목부 및 하레일 오목부는 중심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레일에는 상레일 오목부와 상레일 볼록부의 체결 위치를 차폐하기 위한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상레일 볼록부와 밀폐 볼록부 및 하레일 볼록부 중 하나 이상의 볼록부 내부에는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는 코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는 슬라이더에 의해 서로 체결 또는 체결해지되는 제1지퍼레일과 제2지퍼레일이 각각 밀폐 성능을 위한 밀폐 레일과, 상기 밀폐 레일의 상측 및 하측에서 체결력을 향상시키면서 밀폐 성능을 보완하는 상레일과 하레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레일과 하레일 및 밀폐 레일은 볼록부와 오목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체결 시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 레일은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체결 시 밀폐력이 가장 높으며, 상기 상레일 및 하레일은 체결 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용이하게 체결 되면서 상기 밀폐 레일의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에서는 상기 상레일 볼록부와 밀폐 레일 볼록부 및 하레일 볼록부가 수직 하방 또는 수직 상방으로 볼 때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더에 의해 가압 될 경우 순차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상레일 볼록부가 먼저 슬라이더에 의해 체결될 경우 상레일 볼록부의 체결이 완료되기 이전에 밀폐 레일 볼록부의 체결이 진행되고, 밀페 레일 볼록부의 체결이 완료되기 이전에 하레일 볼록부의 체결이 연속해서 이루어지게 되며, 체결 해지시에도 역순으로 체결 해지가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슬라이더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상레일 볼록부와 밀폐 레일 볼록부 및 하레일 볼록부의 형성위치가 서로 겹치지 않고, 이에 대응되는 상레일 오목부와 밀폐 레일 오목부 및 하레일 오목부도 중심 위치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각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체결 완료된 상태에서 물체가 수용된 공간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가압력이 특정 위치에 집중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밀폐력 유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제1지퍼레일과 제2지퍼레일이 서로 체결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 은 제1지퍼레일과 제2지퍼레일이 체결된 상태의 층상 구조 설명을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상레일 및 하레일을 구성하는 단위 셀 설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밀폐 레일을 구성하는 단위 셀 설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상레일과 밀폐 레일 및 하레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밀폐 레일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슬라이더의 상세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의 적용 일례를 보인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의 다른 적용례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제1지퍼레일과 제2지퍼레일이 서로 체결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제1지퍼레일과 제2지퍼레일이 체결된 상태의 층상 구조 설명을 위한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10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이 슬라이더(600)에 의해 맞물려 체결 또는 체결 해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음과 같은 다층 구조를 가진다.
상세히, 상기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에는 각각 밀폐 오목부(244, 444)와 밀폐 볼록부(242, 442)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밀폐 레일(240, 440)과, 상기 밀폐 레일(240, 440)의 상측에서 상레일 오목부(224, 424)와 상레일 볼록부(222, 422)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상레일(220, 420) 및 상기 밀폐 레일(240, 440)의 하측에서 하레일 오목부(264, 464)와 하레일 볼록부(262, 462)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하레일(260, 460)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1지퍼레일(200)에는 상측에서부터 제1상레일(220)과, 제1밀폐레일(240) 및 제1하레일(26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퍼레일(400)에는 상측에서부터 제2상레일(420)과, 제2밀폐레일(440) 및 제2하레일(4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레일(260)과 제2하레일(280)의 하측에는 설치를 위한 제1설치대(280) 및 제2설치대(480)이 더 형성된다.
상기 각 설치대(280, 480)는 비닐 또는 직물 주머니 등의 개방된 입구부를 따라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이 부착 가능하도록 접착부재(28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접착부재(28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열융착 등의 방법을 통해 입구부를 따라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레일(220)과 제2상레일(420)에는 각각 제1상레일 가이드부(230)와 제2상레일 가이드부(43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상레일 가이드부(230)와 제2상레일 가이드부(430)에는 상기 슬라이더(600)의 레일돌기(640, 660 도 9 참조)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홈(210) 및 제2가이드홈(410)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홈(210) 및 제2가이드홈(410)은 상기 제1하레일(260) 및 제2하레일(460)에도 더 형성되어 상기 레일돌기(640, 660 도 9 참조)의 나머지 부분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더(600)가 제1지퍼레일(200) 및 제2지퍼레일(400)을 체결 또는 체결 해지시키기 위한 이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100)는 실리콘이나 연질의 플라스틱과 같이 형상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제작된다.
도 4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상레일 및 하레일을 구성하는 단위 셀 설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밀폐 레일을 구성하는 단위 셀 설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상레일과 밀폐 레일 및 하레일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100)에서는 제1상레일(220)과 제1하레일(260) 및 제2상레일(420)과 제2하레일(460)이 모두 동일한 형상의 단위셀로 형성되며, 본 설명에서 설명하는 단위 셀은 레일을 구성하는 하나의 볼록부와 이에 연속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오목부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100)의 단위셀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우선,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제1원(C1)과, 상기 제1원(C1) 지름의 1/3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제1중심원(C1´)을 기준으로 상기 제1중심원(C1´)와 접하는 제2원(C2) 및 상기 제2원(C2) 지름의 1/3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제2중심원(C2´)을 동일 높이에 형성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제2중심원(C2´)과 접하는 제3원(C3)과 제3중심원(C3´)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높이에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1내지 제3원(C1, C2, C3)과 제1내지 제3중심원(C1´, C2´, C3´)이 나란하게 형성되면, 제1내지 제3중심원(C1´, C2´, C3´)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L1)을 형성하고, 제1내지 제3원(C1, C2, C3)의 하측으로 제4 내지 제6원(C4, C5, C6)을 도 4와 같이 더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4 내지 제6원(C4, C5, C6)의 경우도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을 뿐 제1 내지 제3원(C1, C2, C3)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형성되어 중심원과 중심선을 도시할 수 있으며, 제4원(C4)의 좌측과 제 6원(C6)의 우측으로 동일 크기의 원과 중심원이 반복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내지 제6원(C1, C2, C3, C4, C5, C6)에는 다수의 교점(Node)이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교점을 이용하여 볼록부와 오목부를 설계한다.
상세히,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의 설계를 위한 교점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점(N1)부터 제12교점(N12)까지 형성되며, 각 교점은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변곡점을 형성한다.
우선, 볼록부의 형성 시에는 도시된 제1교점(N1)부터 제2교점(N2)를 연결하는 호(Arc)를 형성한다. 상기 호의 형성 시에는 상기 제1중심원(C1´) 상의 한 지점을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호의 크기를 결정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호가 형성되면, 상기 호의 좌측은 제1원(C1)을 따라 하측으로 제5교점(N5)까지 연결되며, 제5교점(N5)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4원(C4)와 교차되도록 위치되는 임의의 원을 따라 제9교점(N9)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호의 우측은 제2교점(N2)에서 제1원(C1)을 따라 하측으로 제6교점(N6)까지 연결되며, 제6교점(N6)에서는 제5원(C5)를 따라 제10교점(N10)까지 연결되어 볼록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볼록부에는 연속해서 오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0교점(N10)에서는 전술한 볼록부의 호(Arc) 형성과정과 마찬가지로 제11교점(N11)까지 오목부의 호(Arc)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1교점(N11)에서는 제5원(C5)를 따라 상측으로 제7교점(N7)까지 연결되고, 제7교점(N11)에서는 제3원(C3)을 따라 제3교점(N3)까지 연결하여 오목부를 형성하여 단위셀이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위셀을 계속해서 반복하게 되면, 상레일(220, 420)이 형성되고, 하레일(260, 460)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상레일(220, 420)을 상기 제1중심원(C1´)의 직경만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상레일(220, 420)과 하레일(260, 460)은 서로 동일한 설계과정을 통해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나,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옮겨진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레일(220, 420)과 하레일(260, 460)은 서로 수직 선상에서 전체 영역이 겹치지 않고 일정 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레일(220, 420) 및 하레일(260, 460)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 레일(240, 440)은 전술한 제1내지 제6원(C1, C2, C3, C4, C5, C6)에 형성되는 또 다른 교점(Node)을 이용하여 설계된다.
도 5 에는 제1내지 제6원(C1, C2, C3, C4, C5, C6)에는 제21교점(N21)부터 제28교점(N28)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교점은 밀폐 레일(240, 440)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변곡점을 형성한다.
상세히, 제21교점(N21)부터 제24교점(N24)은 중심선(L1)을 기준으로 제1원(C1)과 제2원(C2) 및 제3원(C3)에 형성되는 것으로, 중심선(L1)과 각 원의 교점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모서리 부분에 곡률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심선(L1)으로부터 소정 거리 하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5교점(N25)부터 제28교점(N28)은 도시되지는 았았으나, 제4원(C4)과 제5원(C5) 및 제6원(C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된 위치에서 제4원(C4)과 제5원(C5) 및 제6원(C6) 그리고, 제6원(C6)에 연속해서 이어지는 임의의 원 상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교점이 형성되면, 제4원(C4) 상에 위치한 제25교점(N25)에서 제1원(C1) 상에 위치한 제21교점(N21)을 연결하고, 제2원(C2) 상에 위치한 제22교점(N22)까지 중심선(L1)을 따라 이동한 다음 제22교점(N22)에서 하측으로 제5원(C5) 상에 위치한 제26교점(N26)을 연결하여 밀폐 레일 볼록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6교점(N26)에서는 연속해서 제6원(C6) 상에 위치한 제27교점(N27)을 연결하고, 제27교점(N27)에서는 제23교점(N23)을 연결함으로써 밀폐 레일 오목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밀폐 레일(240, 440)은 상기 상레일(220, 420)과 하레일(260, 460)이 형성하는 영역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상에서 제2상레일 볼록부(422)와 제2밀폐레일 볼록부(442) 및 제2하레일 볼록부(426)는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측에 위치되는 구성에 차폐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레일 오목부(424)와 제2밀폐레일 오목부(444) 및 제2하레일 오목부(446)의 중심 부분도 서로 겹치지 않게 됨으로써 제2상레일(420)과 제2밀폐 레일(440) 및 제2하레일(460)의 각 볼록부와 오목부가 순차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슬라이더(600)의 이동 시 체결에 소요되는 힘이 줄어들어 보다 용이하게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밀폐 레일(240, 440)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8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밀폐 레일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제1밀폐 레일(240)에 경질 재료로 제1코어(241)를 수용하는 형태로 제1볼록부(242)와 제1오목부(244)가 형성되고, 제2밀폐 레일(440)에도 제2코어(441)를 수용하는 형태로 제2볼록부(442)와 제2오목부(444)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밀폐 레일(240)과 제2밀폐 레일(440)이 슬라이더(600)에 의해 서로 맞물려 체결되면 제1코어(241)와 제2코어(441)가 보다 견고한 결합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같은 볼록부의 구조는 상기 상레일(220, 420)과 하레일(260, 460)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슬라이더의 상세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더(600)는 골격을 형성하는 슬라이더 바디(610)와 상기 슬라이더 바디(6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손잡이(620) 및 상기 슬라이더 바디(610)의 하측에 구비되는 레일돌기(640, 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더 바디(610)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는 전측과 상기 전측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후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돌기(640, 660)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슬라이더 바디(610)의 좌우 양측 하면을 따라 형성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을 제1레일돌기(640), 우측을 제2레일돌기(660)으로 구분한다.
상기 제1레일돌기(640)는 상기 제1지퍼레일(20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레일(220)에 대응되는 제1상레일돌기(642)와 제1하레일(260)에 대응되는 제1하레일돌기(644)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돌기(660)는 제2지퍼레일(400)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4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상레일돌기(662) 및 제2하레일돌기(664)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레일돌기(640)와 제2레일돌기(660)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610)의 형상에 따라 전측이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D1과 같은 폭을 가지며, 후측은 상대적으로 좁은 D2와 같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후측의 폭 D2는 상기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이 체결된 상태의 폭과 대응되며, 전측의 폭 D1은 상기 D1 보다 적어도 상레일(220, 420)과 밀폐 레일(240, 440) 및 하레일(260, 460) 중 어느 하나의 볼록부 이상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슬라이더(600)가 시종대(300)에 의해 일단이 맞대어진 상태의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에 결합되어 이동하게 되면, 이동 진행방향에서 슬라이더(600)의 후측을 최종 통과하게 될 경우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에 체결력이 가해지고, 전측을 최종 통과하게 될 경우 체결력이 해지된다.
상기 시종대(300)는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의 단부를 모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600)의 이동이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100)에서는 슬라이더(600)와 시종대(300)도 모두 착탈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슬라이더(600)를 제거하고 시종대(300)를 이용하여 체결 시작 지점과 체결 끝 지점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100)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의 상레일(220, 420) 상에 체결 부위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520, 5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커버(520, 540)는 상레일 가이드부(230, 430)를 따라 볼록부와 오목부를 모두 차폐하는 크기의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커버는 상기 하레일(260, 460)의 하부에서 밀폐공간 내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록부와 오목부를 차폐하는 크기의 띠 형상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지퍼는 봉지나 직물 주머니 등과 같이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연질 재료의 개방된 입구 가장자리 또는 개방이 필요한 일 면을 절제하여 형성되는 개구부 등에 부착되어 물품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도 1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의 적용 일례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의 다른 적용례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100)를 비닐 봉투(700)에 적용한 실시 예로, 비닐 봉투(700)의 개구부 상단 끝부분에 시종대(300)를 위치시키고, 개구부의 일측면에 제1설치대(280)를 부착한 다음 타측면에 제2설치대(480)를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비닐봉투(700)에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이 부착되면, 상기 슬라이더(600)를 장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슬라이더(600)를 분리한 이후 시종대(300)를 이용하여 마감함으로써 비닐 봉투(700)를 밀봉시켜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이 체결된 형태를 유지하고, 양 끝단에 미리 시종대(300)가 설치된 형태를 비닐 봉투(700)의 개구부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슬라이더(600)만 장착하여 개폐 조작이 이루어지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4 는 직물로 형성된 박스(800)에 적용된 형태로, 박스(800)의 상면을“ㄷ”자 형상으로 절개하고, 절개 부위를 따라 제1설치대(280)와 제2설치대(480)를 부착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 예에 적용된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100)는 시종대(300)를 시작으로 슬라이더(600)가 이동하면서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에 체결력이 가해지면서 상레일(220, 420)과 밀폐 레일(240, 440) 및 하레일(260, 460)이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판상으로 형성된 밀폐 레일(240, 440)은 물론, 상기 밀폐 레일(240, 44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레일(220, 420)과 하레일(260, 460)이 밀폐력을 제공함은 물론 견고한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밀폐 성능을 향상시킨다.
게다가, 사용자가 내용물이 수용된 공간을 가압하게 될 경우 내부 압력이 특정 위치로 집중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100)는 상레일(220, 420)과 밀폐 레일(240, 440) 및 하레일(260, 460)의 체결 포인트가 서로 겹치지 않기 때문에 집중되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상태를 해지하고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더(600)를 시종대(3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지퍼레일(200)과 제2지퍼레일(400)의 체결력을 용이하게 해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내용물을 밀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0........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200........ 제1지퍼레일
400........ 제2지퍼레일 600........ 슬라이더

Claims (5)

  1. 제1지퍼레일;
    상기 제1지퍼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지퍼레일 및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 방향에 따라 제1지퍼레일과 제2지퍼레일이 맞물려 체결되거나, 맞물림 상태에서 체결 해지되도록 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에는 각각,
    밀폐 오목부와 밀폐 볼록부로 형성된 밀폐단위셀이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밀폐 레일과,
    상기 밀폐 레일의 상측에서 상레일 오목부와 상레일 볼록부로 형성된 상단위셀이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상레일과,
    상기 밀폐 레일의 하측에서 하레일 오목부와 하레일 볼록부로 형성된 하단위셀이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하레일;이 포함되고;
    상기 상단위셀 및 하단위셀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제1원(C1)과, 제1원(C1) 지름의 1/3 크기의 지름을 가지며 제1원(C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제1중심원(C1´)을 작도하고,
    상기 제1중심원(C1´)과 외접하면서 제1원(C1)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제2원(C2) 및 제2원(C2) 지름의 1/3 크기의 지름을 가지며 제1원(C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제2중심원(C2´)을 작도하고,
    상기 제1원(C1) 및 제2원(C2)의 중심을 이은 중심선에 중심점을 가지면서 제2중심원(C2´)과 외접하며 제1원(C1)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제3원(C3) 및 제3원(C3) 지름의 1/3 크기의 지름을 가지며 제3원(C3)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제3중심원(C3´)을 작도하고,
    상기 제1원 내지 제3원(C1, C2, C3)의 하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한 위치에 제4원 내지 제6원(C4, C5, C6) 및 중심선을 작도하여,
    상기 제1원 내지 제6원(C1, C2, C3, C4, C5, C6)의 교점(N1 내지 N12) 중 둘 이상을 곡선으로 연결한 선을 볼록부의 외곽선으로 가지며, 상기 볼록부의 선과 연결되고 상기 교점 중 둘 이상을 곡선으로 연결한 선을 오목부의 외곽선으로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밀폐단위셀은,
    상기 중심선과 제1원 내지 제6원(C1, C2, C3, C4, C5, C6)의 교점(N21 내지 N28) 중 둘 이상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연결선의 교차부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작도된 선을 외곽선으로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제1지퍼레일의 밀폐 오목부와 밀폐 볼록부에 제2지퍼레일의 밀폐 오목부와 밀폐 볼록부가 체결 또는 체결 해지되고, 제1지퍼레일의 상레일 오목부와 상레일 볼록부에 제2지퍼레일의 상레일 볼록부와 상레일 오목부가 체결 또는 체결 해지되며, 제1지퍼레일의 하레일 오목부와 하레일 볼록부에 제2지퍼레일의 하레일 볼록부와 하레일 오목부가 체결 또는 체결 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에서
    상기 상레일 볼록부와 밀폐 레일 볼록부 및 하레일 볼록부는 수직 하방 또는 수직 상방으로 볼 때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에서
    상기 상레일 오목부와 밀폐 레일 오목부 및 하레일 오목부는 중심 위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레일에는,
    상레일 오목부와 상레일 볼록부의 체결 위치를 차폐하기 위한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퍼레일 및 제2지퍼레일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상레일 볼록부와 밀폐 볼록부 및 하레일 볼록부 중 하나 이상의 볼록부 내부에는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는 코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KR1020170030190A 2017-03-09 2017-03-09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KR101880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90A KR101880278B1 (ko) 2017-03-09 2017-03-09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US16/492,225 US11464298B2 (en) 2017-03-09 2018-03-09 Multi airtight type rail zipper
PCT/KR2018/002805 WO2018164525A1 (ko) 2017-03-09 2018-03-09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CN201880016439.XA CN110381769B (zh) 2017-03-09 2018-03-09 多密封导轨拉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190A KR101880278B1 (ko) 2017-03-09 2017-03-09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278B1 true KR101880278B1 (ko) 2018-08-16

Family

ID=6344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190A KR101880278B1 (ko) 2017-03-09 2017-03-09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64298B2 (ko)
KR (1) KR101880278B1 (ko)
CN (1) CN110381769B (ko)
WO (1) WO201816452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732A1 (ko) * 2019-01-02 2020-07-09 김영교 밀폐지퍼 및 밀폐지퍼 조립체
KR20210032696A (ko) * 2019-09-17 2021-03-25 김영교 밀폐지퍼 및 밀폐지퍼 조립체
KR20220118032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케비스텐더드앤디 슬라이더 분리가 가능한 지퍼
CN113260273B (zh) * 2019-01-02 2024-05-31 金永敎 密封拉链及密封拉链组合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6392S1 (en) * 2017-02-22 2019-11-12 James Cobb Convertible magnetic zipper
USD945318S1 (en) * 2019-08-26 2022-03-08 Hee Suk Kang Zipper
USD923511S1 (en) * 2019-12-17 2021-06-29 Young Gyo KIM Airtight zipper
KR20230087299A (ko) * 2021-12-09 2023-06-16 김영교 밀폐 지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063Y1 (ko) * 2003-05-19 2003-08-06 서충실 방수 지퍼
KR101515143B1 (ko) * 2013-10-31 2015-04-24 주식회사 디카팩 지퍼
CN105686241A (zh) * 2016-03-13 2016-06-22 郑运婷 双层错开拉链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72007A (en) * 1949-12-14 1952-05-14 Madsen Borge Improvements relating to sliding clasp fasteners
US2641037A (en) 1950-04-24 1953-06-09 Treg Inc Sealing closure
US2910754A (en) * 1953-01-13 1959-11-03 Louis H Morin Watertight separable fasteners
DE1610368B1 (de) * 1966-03-05 1970-12-17 Opti Werk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r Verschlussgliederketten von Kunststoffreissverschluessen
BR8302641A (pt) * 1982-05-19 1984-01-17 Yoshida Kogyo Kk Cadarco de fecho corredico
KR850001271Y1 (ko) 1983-06-29 1985-06-19 임현규 110v/220v겸용 출입식 플러그
US4829641A (en) * 1987-06-22 1989-05-16 First Brands Corporation Enhanced color change interlocking closure strip
KR200200162Y1 (ko) 2000-04-27 2000-10-16 박석춘 이중 지퍼를 구비한 비닐 용기
GB0102142D0 (en) * 2001-01-27 2001-03-14 Ardmel Automation Ltd Slide fastener
US6854886B2 (en) * 2002-06-28 2005-02-15 Illinois Tool Works Inc. Watertight closure for a reclosable package
CN1830348A (zh) * 2005-03-07 2006-09-13 冠宇拉链股份有限公司 防水拉链
US20060207069A1 (en) * 2005-03-17 2006-09-21 Unitech Zipper And Machinery Co., Ltd. Water resistant slide fastener
KR20080003305U (ko) 2007-02-09 2008-08-13 (주)삼성출판사 비닐지퍼를 갖는 비닐케이스
US8578572B2 (en) * 2009-05-29 2013-11-12 S.C. Johnson & Son, Inc. Closure mechanism and method of closing
CN103096750B (zh) * 2010-09-17 2015-08-26 Ykk株式会社 拉链以及拉链的制造方法
CN202014673U (zh) * 2011-02-24 2011-10-26 蒋叶超 密封拉链
EP2499929A3 (en) * 2011-03-15 2014-07-02 Genmore Zipper Corporation Double layer coiling zipper and zipper slider
WO2012138967A1 (en) * 2011-04-06 2012-10-11 Illinois Tool Works Inc. Reclosable package or bag with scented zipper
US20140366336A1 (en) * 2013-06-17 2014-12-18 Roger C.Y. Chung Waterproof dual-track zipper
CN204306182U (zh) * 2014-12-10 2015-05-06 陈魏凯 一种潜水密封拉链及其封头
TWI566715B (zh) * 2016-03-17 2017-01-21 冠宇拉鍊股份有限公司 防水拉鍊的製造方法
TWI581732B (zh) * 2016-07-20 2017-05-11 冠宇拉鍊股份有限公司 雙層防水拉鍊
US20180078008A1 (en) * 2016-09-16 2018-03-22 Think Tank Photo, Inc. Waterproof Carriers
US10362839B2 (en) * 2017-08-22 2019-07-30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063Y1 (ko) * 2003-05-19 2003-08-06 서충실 방수 지퍼
KR101515143B1 (ko) * 2013-10-31 2015-04-24 주식회사 디카팩 지퍼
CN105686241A (zh) * 2016-03-13 2016-06-22 郑运婷 双层错开拉链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732A1 (ko) * 2019-01-02 2020-07-09 김영교 밀폐지퍼 및 밀폐지퍼 조립체
CN113260273A (zh) * 2019-01-02 2021-08-13 金永敎 密封拉链及密封拉链组合体
JP2022516337A (ja) * 2019-01-02 2022-02-25 ギョ キム,ヨン 密閉ジッパーおよび密閉ジッパー組立体
US11510464B2 (en) 2019-01-02 2022-11-29 Young Gyo KIM Sealing zipper and sealing zipper assembly
JP7336525B2 (ja) 2019-01-02 2023-08-31 ギョ キム,ヨン 密閉ジッパーおよび密閉ジッパー組立体
CN113260273B (zh) * 2019-01-02 2024-05-31 金永敎 密封拉链及密封拉链组合体
KR20210032696A (ko) * 2019-09-17 2021-03-25 김영교 밀폐지퍼 및 밀폐지퍼 조립체
KR102261012B1 (ko) * 2019-09-17 2021-06-03 김영교 밀폐지퍼 및 밀폐지퍼 조립체
KR20220118032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케비스텐더드앤디 슬라이더 분리가 가능한 지퍼
KR102540908B1 (ko) * 2021-02-18 2023-06-07 김영교 슬라이더 분리가 가능한 지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81769A (zh) 2019-10-25
WO2018164525A1 (ko) 2018-09-13
CN110381769B (zh) 2023-01-17
US20200008542A1 (en) 2020-01-09
US11464298B2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278B1 (ko) 다중 밀폐형 레일 지퍼
JP7398857B2 (ja) 磁気閉鎖部を有する容器
US3994372A (en) Fold-out zipper bag
CN109965475B (zh) 具有凹陷拉链的行李箱
KR100968995B1 (ko) 척 부착 밀봉 백
US20040000502A1 (en) Recloseable storage bag with user-deformable air vent
US20140270596A1 (en) Child resistant closure system including hood arrangement for recloseable bag and methods
JP2006506289A (ja) 輪郭が円形の物品を保護すると共に位置決めする包装用品
US20200039696A1 (en) Child resistant slider, zipper closure system using slider, and methods of use
US4059464A (en) Method of making fold-out zipper bag
KR20170017715A (ko) 샌드위치 포장용 봉지
CN210063817U (zh) 一种纸塑包装袋
JP2003034339A (ja) 物品の密封収容袋
KR101664135B1 (ko) 오픈 상자
KR20020032270A (ko) 개폐 척 및 접힘부를 구비한 포장 봉투 및 그 제조방법
TWI796090B (zh) 具載體側壁自扣件之組合容器
JP2584094Y2 (ja) バッグ
JP3213954U (ja) スマートフォンケース
JP4259962B2 (ja) ガセット袋
KR100322924B1 (ko) 포장백 및 그 포장백의 제조방법
KR200163333Y1 (ko) 포장백
JPH0631930Y2 (ja) ファスナ付袋体のファスナ閉止具
TWM583698U (zh) 收納袋
JPH0332606A (ja) カバン
JP2000025794A (ja) 合成樹脂製ファスナー付の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