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845B1 -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845B1
KR101879845B1 KR1020160059556A KR20160059556A KR101879845B1 KR 101879845 B1 KR101879845 B1 KR 101879845B1 KR 1020160059556 A KR1020160059556 A KR 1020160059556A KR 20160059556 A KR20160059556 A KR 20160059556A KR 101879845 B1 KR101879845 B1 KR 101879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sewage
fiber filter
water
pressu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898A (ko
Inventor
최충현
Original Assignee
(주)글로벌엔필텍
주식회사 로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로벌엔필텍, 주식회사 로펜 filed Critical (주)글로벌엔필텍
Priority to KR102016005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845B1/ko
Priority to PCT/KR2017/004435 priority patent/WO2017200221A1/ko
Priority to US16/302,575 priority patent/US20190308898A1/en
Priority to CN201780030004.6A priority patent/CN109562969A/zh
Publication of KR20170128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by using gas-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0Pressure-related systems for filters
    • B01D2201/202Systems for applying pressure to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와 적어도 하나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여 하수를 직접 여과 방식으로 처리한다.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는 하수를 직접 여과 처리하고,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는 여과 처리된 하수의 역세척수를 농축하여 탈수 폐기하도록 처리한다.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들과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들 각각은 복수 개의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모듈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수를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와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여 직접 여과 처리함으로써, 미생물 처리없이 유입 하수의 유량 변화, 농도 및 온도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온실 가스를 감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SEWAGE DISPOSAL SYSTEM USING LONG FIBER FILTER OF MULTISTAGE AND METHOD FOR TREATING THEREOF}
본 발명은 하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와 적어도 하나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다단으로 배치하고,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와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여 하수와 역세척수를 직접 여과 방식으로 처리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 하수는 순수한 물에 유기성, 무기성 오염 물질이 용존, 현탁 상태로 혼합된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를 정화하는 기술로는 물리적 처리 공법, 화학적 처리 공법, 생물학적 처리 공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물리적 처리 공법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여과 공법을 들 수 있고, 화학적 처리 공법은 응집제에 의한 응집 처리 공정 또는 산화제에 의한 산화 처리 기술 등이 있으며, 생물학적 처리 공법은 하수 자체에서 배양된 미생물을 생육시켜서 유기물을 분해하고, 무기물을 흡착함으로서 처리하는 공정이다. 기존의 하수 처리 공정의 대부분은 생물학적 처리 공정으로 설계되어 운전되고 있으며, 가장 보편적인 하수 처리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어 온 생물학적 하수 처리 공정은 호기 또는 혐기성 미생물 반응조와, 침전조 또는 침지식 멤브레인과 같은 고액 분리 장치로 구성되는데, 분리된 고형물은 탈수 배출하도록 설계된다. 미생물 반응조는 여러 외부 요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운전상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첫째, 유입 하수의 유입 유량의 변동에 의해서 생물 반응조의 체류 시간이 달라져서 처리 효율이 달라진다. 둘째, 유입 하수의 오염물 농도가 변동되어, 처리 효율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아주 낮은 오염 농도 하에서는 빈부하에 의한 미생물의 사멸 상태가 발생할 만큼 심각하다. 셋째, 하수의 기온의 변동이 처리 효율에 영향을 받으며, 겨울철에는 처리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넷째, 생물 반응조에서 폭기하는 동안, 다량의 악취가 발생하며 이를 복개 포집하여 별도의 처리 장치에서 처리해야 한다. 다섯째, 미생물 반응조의 체류 시간이 길기 때문에 처리장의 건설 면적이 매우 크고 건설 비용도 높다. 여섯째, 아주 소규모의 하수 처리 공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생물학적 하수 처리 공정은 콘크리트 탱크 형태로 건설되기 때문에 처리장의 이주가 불가능하며, 처리장의 지하화 건설시 건설 비용이 많이 증가한다. 일곱째, 미생물 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NOX 등은 6 대의 지구온실 가스로서, 향후 지구 온실 가스 감축 협약에 따라 배출을 금지 또는 감축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미생물 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들은 하수에서 유기, 무기의 오염 물질을 직접 분리하지 않고,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하기 때문에, 미생물의 생육 조건과 분해 기작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 처리 공정 자체를 미생물에 의한 오염 물질 분해보다는 하수에서 오염물을 직접 분리하는 물리적 여과 공정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1987호(공고일 2009년 12월 15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4045호(공고일 2014년 08월 13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0537호(공고일 2014년 01월 13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0261호(공고일 2014년 10월 23일)
본 발명의 목적은 미생물 처리없이 직접 여과 방식으로 하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여 하수를 직접 여과하고, 여과 처리된 하수를 복수 개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여 역세척수를 농축하여 탈수 폐기하도록 처리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해서 하수의 유량 변화, 농도 및 온도 변화에 영향을 최소화하여 온실 가스가 감축되도록 하수를 처리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와 적어도 하나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다단으로 배치하고,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와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된 하수의 역세척수를 농축, 탈수 및 폐기 처리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은 하수 처리장을 미생물에 의한 공정보다 아주 작고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건설할 수 있으며, 미생물 처리없이 유입 하수의 유량 변화, 농도 및 온도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온실 가스를 감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공급받아서 저장하는 유량 조정조와; 상기 유량 조정조로부터 공급되는 하수로부터 부유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가 상기 부유물 제거 장치로부터 부유성 오염 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공급받아서 여과하여 처리수를 배출하고, 배출되는 처리수의 일부를 역세척수로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역세척 공기를 주입받아서 상기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역세척하는 하수 여과 처리부와; 상기 하수 여과 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폐수를 공급받아서 저장하고 슬러지를 수집하는 침지식 여과조와; 상기 침지식 여과조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구비하여,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가 상기 침지식 여과조로부터 역세척 폐수를 공급받아서 여과하여 여과수를 배출하고, 배출되는 여과수의 일부를 역세척수로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역세척 공기를 주입받아서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역세척하여 상기 침지식 여과조로 역세척 폐수를 배출하는 역세수 여과 처리부 및; 상기 침지식 여과조로부터 슬러지를 공급받아서 탈수 케익을 배출하는 슬러지 탈수기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제거 장치는; 상기 유량 조정조로부터 공급되는 하수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와; 상기 저장 탱크로 미세 기포를 발생, 공급하여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하수로부터 부유성 오염 물질을 부상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기와;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에 의해 상기 저장 탱크의 상부로 부유된 부유성 오염 물질을 분리시키는 스키머 및; 상기 스키머에 의해 분리된 부유성 오염 물질을 저장하는 부유물 챔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와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들 각각은; 복수 개가 좌우 상하 대칭 구조인 정사각형 모듈 형태로 결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와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 각각은; 상부가 이송 펌프와 배관이 연결되는 가압 하우징과; 상기 가압 하우징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수를 여과하는 장섬유 여재 및; 상기 장섬유 여재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여과된 처리수와 역세척수를 배출하는 다공성 투과관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하우징은; 중앙 부분이 개방되고, 내부 하측에 상기 장섬유 여재가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장섬유 여재 결합판과; 중앙 부분이 개방되고, 상기 장섬유 여재 결합판의 하부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 투과관이 나사 결합되는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과; 중앙 부분이 개방되고, 상기 장섬유 여재 결합판과 상기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하우징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역세척 공기를 주입받아서 상기 가압 하우징의 상부 내측으로 공기를 분산시키는 공기 분산판과; 중앙 부분이 개방되고, 상기 공기 분산판과 상기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다공성 투과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상기 가압 하우징의 처리수 배출구로 배출하거나, 상기 처리수 배출구를 통해 역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상기 다공성 투과관으로 공급하는 처리수 분리판과; 상기 다공성 투과관의 하부와 상기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을 결합하는 결합 나사 및; 상기 결합 나사 외측에 결합되어 처리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 플러그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하우징은; 무홈 영역과, 상기 무홈 영역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정 크기의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홈이 상기 장섬유 여재 결합판에서부터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는 홈관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일정 높이는 상기 가압 하우징의 내경에 대응하여 2 배 내지 10 배의 크기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하우징의 내경이 15 mm 인 경우, 상기 일정 높이는 30 mm 내지 150 mm 범위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홈의 단면 가로폭은 0.2 mm 내지 3 mm 범위의 크기, 상기 홈의 깊이는 0.2 mm 내지 3 mm 범위의 크기, 그리고 상기 홈과 상기 홈 사이의 간격은 0.4 mm 내지 40 mm 범위의 크기로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 여재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처리수 및 역세척수를 여과하는 장섬유사의 상단에 결합되는 유동 홀더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홀더와; 상기 유동 홀더와 상기 고정 홀더의 각각의 내측에 구비되고, 권취된 상기 장섬유사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및 하부 내측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 홀더, 상기 내측 홀더들 및 상기 고정 홀더 각각은 중앙 부분이 개방되어 처리수나 역세척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 내측 홀더와 상기 고정 홀더의 중앙 부분은 상기 다공성 투과관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홀더는 돌기 부분에 장섬유사가 권취되며, 각각은 상기 유동 홀더와 상기 고정 홀더 각각에 경사턱으로 고정하여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수 처리 시스템의 하수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의 하수 처리 방법은, 유량 조정조로부터 하수를 공급받아서 미세 기포를 주입하여 하수에 포함되는 부유성 오염 물질을 부상시켜서 제거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여 부유성 오염 물질이 제거된 하수를 여과하여 처리수를 배출하고; 상기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역세척하여 배출되는 역세척 폐수를 적어도 하나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에 의하여 여과하여 상기 유량 조정조로 반송하고; 그리고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역세척하여 배출되는 역세척 폐수를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가 수용된 침지식 여과조 내에서 농축, 수집되어 슬러지 탈수기에 의해 탈수, 배출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식 또는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역세척하는 것은; 상기 가압식 또는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로 적어도 20 초 내지 300 초 동안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가압식 또는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의 장섬유 여재를 부상시키고, 적어도 10 초 내지 300 초 동안에 역세척 공기만을 주입하고, 적어도 10 초 내지 300 초 동안에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를 동시에 주입하고, 적어도 20 초 내지 360 초 동안에 역세척 공기만을 다시 주입하고, 적어도 20 초 내지 360 초 동안에 다시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를 주입하며, 이어서 상기 장섬유 여재의 장섬유사를 유연하게 하는 기능성 약품을 역세척수와 함께 주입하여 상기 가압식 또는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의 역세척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장섬유 여과기들을 이용하여 하수를 직접 여과 처리함으로써, 미생물의 사용없이 하수를 처리가능하고, 유입 하수의 유량 변화, 농도 및 온도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온실가스를 감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은 하수 처리장을 미생물에 의한 공정보다 아주 작고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건설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건설 비용 및 운전 비용의 감소 효과를 제공하고, 이로 인하여 공공 예산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유물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수 개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구비하는 하수 여과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섬유 여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내측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유동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고정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홀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가압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압 하우징의 결합 모듈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하수 여과 처리부의 역세척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하수 여과 처리부의 여과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복수 개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구비하는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다공성 투과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의 여과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의 역세척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유물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수 개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구비하는 하수 여과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리고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복수 개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구비하는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하수를 직접 여과 처리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장섬유 여과기들을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여 유입 하수를 여과 처리한 후, 그의 역세척수를 적어도 하나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통해 탈수 폐기하여 하수를 직접 여과 처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유량 조정조(102)와, 부유물 제거 장치(110)와,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도 3의 120a, 120b)를 구비하는 하수 여과 처리부(120)와, 제 1 역세척수 저장조(160)와, 침지식 여과조(162)와, 적어도 하나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도 14의 170a, 170b)를 구비하는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170)와, 제 2 역세수 저장조(164) 및 슬러지 탈수기(190)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상기 구성 요소들 간을 연결하여, 하수, 역세척수 및 처리수와, 미세 기포, 공기 등의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복수 개의 배관(104)들과, 배관들(104) 각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가압식 이송 펌프(180 ~ 185)들을 포함한다. 또 배관(104)들에는 예를 들어, 공급 배관, 연결 배관, 이송 배관, 분기 배관 및/또는 배출 배관 등으로 구비되고, 각각에 복수 개의 밸브(미도시됨)들이 구비될 수 있다.
유량 조정조(102)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수의 처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유입 하수를 공급 배관(104)을 통해 공급받아서 저장하는 일정 크기의 저장 용량을 갖는 저장조로 구비된다. 유량 조정조(102)는 하수의 부유 물질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기계식 믹서(미도시됨)가 설치된다. 이 실시예의 유량 조정조(102)는 유입 하수가 일정 시간 예컨대, 약 3 시간 정도의 저장되는 저장 용량을 갖는다. 유량 조정조(102)는 제 1 이송 펌프(180)를 이용하여 원수를 부유물 제거 장치(110)로 공급한다.
제 1 이송 펌프(180)는 유량 조정조(102)와 부유물 제거 장치(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104)에 설치된다. 제 1 이송 펌프(180)는 연결 배관(104)을 통해 유량 조정조(102)로부터 부유물 제거 장치(110)로 원수를 공급하도록 펌핑한다.
부유물 제거 장치(110)는 유량 조정조(102)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로부터 부유성 오염 물질 예를 들어, 기름(oil), 그리스(grease) 및 거품 등을 제거한다. 부유물 제거 장치(110)는 원수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112)와, 저장 탱크(112)의 원수로부터 분리된 부유성 오염 물질을 임시로 저장하는 부유물 챔버(114)와, 원수로부터 부유성 오염 물질을 분리시키는 스키머(skimmer)(116) 및, 저장 탱크(112)로 미세 기포를 발생, 공급하여 저장 탱크(112)에 저장된 원수로부터 부유성 오염 물질을 부상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기(도 2의 11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부유물 제거 장치(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탱크(112)를 이중 원형 탱크(112)로 구비된다. 이중 원형 탱크(112)는 내부에 원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공간의 일부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부유물 챔버(114)를 형성한다. 이중 원형 탱크(112)의 상부면에는 원수 투입구(113)와, 처리수 배출구(119)와, 복수 개의 미세 기포 주입구(117) 및, 부유물 배출구(115)가 구비된다. 이중 원형 탱크(112)의 중앙 상부에는 기름, 그리스 및 거품 등의 부유물 즉, 부유성 오염 물질를 제거하기 위한 스키머(116)가 장착된다.
스키머(116)는 이중 원형 탱크(112)의 상하 중앙선을 중심축으로 회전되어 이중 원형 탱크(112)의 상부에 부유된 부유성 오염 물질을 분리한다. 분리된 부유성 오염 물질은 부유물 챔버(114)에 임시 저장되고, 부유물 배출구(115)를 통해 외부 예를 들어, 슬러지 농축조(미도시됨)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스키머(116)는 이중 원형 탱크(112)의 중심축 상에서 스키머 회전 모터(111)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미세 기포 발생기(118)는 미세 기포 주입구(117)를 통해 이중 원형 탱크(112)의 내부로 미세 기포를 주입한다. 따라서 이중 원형 탱크(112)는 미세 기포 발생기(118)로부터 미세 기포를 공급받아서 원수에 포함된 기름, 그리스 및 거품 등의 부유성 오염 물질을 이중 원형 탱크(112)의 상부로 부상시킨다.
이러한 부유물 제거 장치(110)는 부유성 오염 물질이 부상되면, 스키머(116)에 의해서 부유성 오염 물질을 분리하여 부유물 챔버(114)에 일시 저장한 뒤, 슬러지 농축조(미도시됨)로 이송한다. 부유물 제거 장치(110)는 부유성 오염 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처리수 배출구(119)를 통해 배출하고, 이를 제 2 이송 펌프(181)를 통해 하수 여과 처리부(120)로 공급한다. 이 때, 부유물 제거 장치(11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의 일부는 침지식 여과조(162)로 공급된다.
하수 여과 처리부(120)는 부유물 제거 장치(110)로부터 부유성 오염 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공급받아서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도 3의 120a, 120b)를 이용하여 직접 여과 방식으로 하수 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한다. 이 때, 배출되는 처리수의 일부는 역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 1 역세척수 저장조(160)로 공급된다. 또 하수 여과 처리부(120)는 제 3 이송 펌프(182)를 통해 제 1 역세척수 저장조(160)로부터 역세척수를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역세척 공기를 주입받아서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를 역세척한다.
이 실시예의 하수 여과 처리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가 좌우 상하 대칭 구조인 정사각형 모듈 형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상호 대칭적으로 2 x 2(a), 4 x 4(b) 등 2의 제곱수로 구성되는 정사각형 모듈 형태로 결합된다.
제 1 역세척수 저장조(160)는 하수 여과 처리부(120)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의 일부를 받아서 저장하고, 제 3 이송 펌프(183)를 통해 다시 하수 여과 처리부(120)로 역세척수를 공급한다.
침지식 여과조(162)는 하수 여과 처리부(120)로부터 역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저장하고 슬러지 즉, 침전 고형물과 부상 고형물을 수집한다. 이를 위해 침지식 여과조(162)는 침전 고형물을 수집하는 하부 고형물 수집판과, 부상 고형물을 수집하는 상부 고형물 수집판이 장착될 수 있다.
침지식 여과조(162)는 내부에 역세척수를 여과 처리하여 여과수를 배출하는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170)가 구비된다. 또 침지식 여과조(162)는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170)에 의해 역세척수를 여과 처리한 여과수를 제 4 이송 펌프(183)를 통해 부유물 제거 장치(110) 또는 제 2 역세척수 저장조(164)로 공급한다. 또 침지식 여과조(162)는 제 5 이송 펌프(184)를 통해 슬러지 탈수기(190)로 슬러지를 공급한다.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17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를 포함한다.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170)는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들 각각이 침지식 여과조(162)에 저장된 역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역세척수를 직접 여과 처리한다. 또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170)는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들 각각이 제 2 역세척수 저장조(164)로부터 역세척수를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역세척 공기를 주입받아서 직접 여과 방식으로 역세척한다.
이 실시예의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170)는 복수 개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가 좌우 상하 대칭 구조인 정사각형 모듈 형태로 결합된다. 즉,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는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와 동일한 배열 구조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상호 대칭적으로 2 x 2(a), 4 x 4(b) 등 2의 제곱수로 구성되는 정사각형 모듈 형태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는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의 구성과 대체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는 가압식 하우징(171), 다공성 투과관(172), 장섬유 여재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섬유 여재(123)는 가압 하우징(171)의 커버를 개방한 후,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되어 다공성 투과관(172)에 의해서 가압 하우징(171)에 결합되고, 다공성 투과관(172)의 결합 나사(175)로 고정되며, 누수 플러그(176)에 의해 처리수의 누수를 방지한다.
제 2 역세척수 저장조(164)는 침지식 여과조(162)로부터 공급되는 처리수의 일부를 받아서 저장하고, 제 5 이송 펌프(184)를 통해 다시 하수 여과 처리부(120)로 역세척수를 공급한다.
그리고 슬러지 탈수기(190)는 제 6 이송 펌프(185)를 통해 침지식 여과조(162)로부터 슬러지를 받아서 탈수 처리하여 탈수 케익을 배출한다. 이 때, 탈수된 처리수는 연결 배관(104)을 통해 다시 부유물 제거 장치(110)로 회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의 구성을 도 4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장섬유 여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내측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유동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고정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홀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도이며,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가압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는 가입 하우징(121)과, 커버(122)로 구성된다. 가압 하우징(121)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상부에 커버(122)와 결합되며, 내부에 장섬유 여재(123)과 다공성 투과관(124)이 수용 결합된다. 커버(122)는 가압 하우징(121)의 개방된 상부와 결합되어 하부 방향으로 처리수가 유입되거나, 상부 방향으로 역세척수가 배출되도록 중앙부가 개방된다.
가압 하우징(121)은 예컨대, 파이프 형태의 압력 용기로 구비되어, 내부 하측에 장섬유 여재(134)와 다공성 투과관(124)을 결합하기 위한 장섬유 여재 결합판(125)과,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128)이 구비된다. 또 가압 하우징(121)은 공기 분산판(126)과, 처리수 분리판(127)과, 누수 플러그(129) 및 결합 나사(130)가 구비된다. 또 가압 하우징(121)에는 하부 일측에 공기 주입구(131)와 처리수 배출구(132)가 구비된다.
이 실시예의 가압 하우징(12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홈 영역(156)과, 무홈 영역(156)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정 크기의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홈관 영역(158)으로 구분된다. 홈관 영역(158)은 장섬유 여재 결합판(125)에서부터 일정 높이까지 홈을 가진다. 이 경우, 일정 높이는 가압 하우징(121)의 내경에 대응하여 2 ~ 10 배의 높이로, 예를 들어, 가압 하우징(121)의 내경이 15 mm인 경우, 그 높이는 30 ~ 150 mm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홈의 단면 가로폭은 0.2 ~ 3 mm, 홈의 깊이는 0.2 ~ 3 mm 범위, 홈과 홈사이의 간격은 0.4 ~ 40 mm 범위로 구비될 수 있다.
장섬유 여재(1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처리수 및 역세척수를 여과하는 장섬유사(134)의 상단에 결합되는 유동 홀더(137)와, 하단에 구비되어 가압 하우징(121)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홀더(138)와, 유동 홀더(137)와 고정 홀더(138)의 내측에 구비되고 장섬유사(134)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하부 내측 홀더(136)를 포함한다. 유동 홀더(137), 상하부 내측 홀더(136) 및 고정 홀더(138)들 각각은 중앙 부분이 개방되어, 처리수나 역세척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구비되고, 하부 내측 홀더(136)와 고정 홀더(138)의 중앙 부분은 다공성 투과관(124)의 돌출된 하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장섬유 여재(123)는 가압 하우징(121)의 커버(122)를 개방한 후,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되어 다공성 투과관(124)에 의해서 가압 하우징(121)에 결합되고, 다공성 투과관(124)의 결합 나사(130)로 고정되며, 누수 플러그(129)에 의해 처리수의 누수를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하부 내측 홀더(136) 각각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턱(140, 142)에 의해 유동 홀더(137)와 상호 강제 압착되고,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턱(140, 144)에 의해 고정 홀더(138)와 상호 강제 압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장섬유사(134, 15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의 상하부 내측 홀더(136) 각각의 원주측 돌기(152)와 돌기(152) 사이에 권취되고, 장섬유 여재(150)가 상하부 내측 홀더(136)들 각각의 상부와 하부에 유동 홀더(137)과 고정 홀더(138)가 결합된다. 또 장섬유 여재(123)는 상하부 내측 홀더(136)들 각각이 다수인 경우, 다수의 상하부 내측 홀더(136)가 층층이 결합되고, 최외곽 상하부 내측 홀더(136)에 유동 홀더(137)와 고정 홀더(138)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공성 투과관(124)은 상부에 복수 개의 홀들이 관통 형성되고, 하부가 하부 내측 홀더(136)와 고정 홀더(138)에 삽입 결합된다. 다공성 투과관(124)는 하부 중앙이 결합 나사(130)에 의해 가압 하우징(121)의 하부에 결합된다. 다공성 투과관(124)은 홀들을 통해 가압 하우징(121)의 내부에서 장섬유 여재(123)에 의해 여과 처리된 처리액을 공급받아서 하부의 홀을 통해 외부 및 제 1 역세척수 저장조(160)로 배출한다.
장섬유 여재 결합판(125)은 중앙 부분이 개방되고,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장섬유 여재(123)가 결합된다. 공기 분산판(126)은 공기 주입구(131)을 통해 외부로부터 역세척 공기를 주입받아서 가압 하우징(121)의 상부 내측으로 공기를 분산시킨다. 처리수 분리판(127)은 가압 하우징(121)의 내측 하부면에 배치되어 공기 주입구(131)로부터 주입되는 역세척 공기의 유로를 분리하고, 다공성 투과관(124)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처리수 배출구(132)로 배출하도록 구비한다.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128)은 가압 하우징(121)의 하부면에 구비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관통홀을 통해 다공성 투과관(124)이 결합 나사(130)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또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128)의 일측에는 처리수 배출구(132)가 형성된다. 누수 플러그(129)는 결합 나사(130)가 결합된 다공성 투과관(124)의 하부 외측에서 가압 하우징(121)의 하부 외측면 즉,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128)의 외측면과 결합되어 외부로 처리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 나사(130)는 다공성 투과관(124)의 하부와 나사 결합한다. 공기 주입구(131)는 외부로부터 역세척 공기를 주입받아서 공기 분산판(126)을 통해 가압 하우징 내측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그리고 처리수 배출구(132)는 다공성 투과관(124)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외부 및 제 1 역세척수 저장조(160)로 배출한다. 또 처리수 배출구(132)는 제 1 역세척수 저장조(160)로부터 역세척수를 공급받아 처리수의 경로의 역순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한다. 이러한 공기 주입구(131)와 처리수 배출구(132)는 복수 개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들의 배열 구조에 대응하여 대칭 분배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압 하우징의 결합 모듈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하수 여과 처리부(120)는 복수 개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들이 좌우 상하 대칭되는 정사각형 모듈 형태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들의 가압식 하우징(121a, 121b)들은 복수 개가 상호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가 4 개인 경우, 가압식 하우징(121a)은 2 x 2(a)로 배열되고,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가 16 개인 경우, 4 x 4(b)로 배열된다. 따라서 하수 여과 처리부(120)는 2의 제곱수로 구비되는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들이 정사각형 모듈 형태로 결합된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하수 여과 처리부의 역세척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수 여과 처리부(120)는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의 장섬유 여재(123)를 역세척하는 역세척 공정을 먼저 실시한다.
즉, 역세척 공정은 역세척수 공급구(139)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예컨대, 약 20 초 ~ 300 초 동안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장섬유 여재(123)를 부상시키고, 일정 시간 동안 예컨대, 약 10 초 ~ 300 초 동안에 역세척 공기만을 주입한다. 여기서 역세척수 공급구(139)는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의 처리수 배출구(132)를 이용한다. 또 역세척 공정은 일정 시간 동안 예컨대, 약 10 초 ~ 300 초 동안에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를 동시에 주입한다. 또 역세척 공정은 공기 주입구(131)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예컨대, 약 20 초 ~ 360 초 동안에 역세척 공기만을 다시 주입하고, 약 20 ~ 360 초 동안에 다시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를 주입한다. 이 때, 역세척 폐수는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의 상부를 통해 침지식 여과조(162)로 배출된다. 이어서 역세척 공정은 장섬유를 유연하게 하는 기능성 약품을 역세척수와 함께 주입하여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를 세척한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하수 여과 처리부의 여과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수 여과 처리부(120)는 역세척 공정이 끝나면, 여과 공정을 처리한다.
즉, 하수 여과 처리부(120)는 제 2 이송 펌프(181)에 의해 부유물 제거 장치(110)로부터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의 상부로 하수가 유입되고, 장섬유 여재(123)는 유동 홀더(137)가 하부로 압착된다. 하수 여과 처리부(120)는 압착된 장섬유 여재(123)에 의해 하수를 여과하고, 여과된 처리수가 다공성 투과관(124)을 통과한 후, 하부의 처리수 배출관(13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후, 일정 시간 동안에 여과 공정을 진행한 후, 역세척 공정을 다시 실시하며, 이 때 발생되는 역세척 폐수는 침지식 여과조(162)로 이송된다.
계속해서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의 하우징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다공성 투과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는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120a, 120b)의 구성과 대체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예컨대,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는 가입 하우징(171)과, 커버로 구성된다. 가압 하우징(171)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상부에 커버와 결합되며, 내부에 장섬유 여재와 다공성 투과관(172)이 수용 결합된다. 커버는 가압 하우징(171)의 개방된 상부와 결합되어 하부 방향으로 처리수가 유입되거나, 상부 방향으로 역세척수가 배출되도록 중앙부가 개방된다.
가압 하우징(171)은 예컨대, 파이프 형태의 압력 용기로 구비되어, 내부 하측에 장섬유 여재와 다공성 투과관(172)을 결합하기 위한 장섬유 여재 결합판과,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이 구비된다. 또 가압 하우징(171)은 공기 분산판과, 처리수 분리판과, 누수 플러그 및 결합 나사가 구비된다. 또 가압 하우징(171)에는 하부 일측에 공기 주입구와 처리수 배출구가 구비된다.
또 가압 하우징(171)은 무홈 영역(179)과, 무홈 영역(179)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정 크기의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홈관 영역(178)으로 구분된다. 홈관 영역(178)은 장섬유 여재 결합판에서부터 일정 높이까지 홈을 가진다. 이 경우, 일정 높이는 가압 하우징(171)의 내경에 대응하여 2 ~ 10 배의 높이로, 예를 들어, 가압 하우징(171)의 내경이 15 mm인 경우, 그 높이는 30 ~ 150 mm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홈의 단면 가로폭은 0.2 ~ 3 mm, 홈의 깊이는 0.2 ~ 3 mm 범위, 홈과 홈사이의 간격은 0.4 ~ 40 mm 범위로 구비될 수 있다.
다공성 투과관(172)은 상부에 복수 개의 홀(173)들이 관통 형성되고, 하부 중앙(174)이 하부 내측 홀더와 고정 홀더에 삽입되고, 결합 나사(175)에 의해 가압 하우징(171)의 하부에 결합되며, 가압 하우징(171)의 하부 외측에 누수 플러그(176)가 결합된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의 여과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170)의 여과 공정은 침지식 여과조(162)로부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의 상부로 역세척 폐수를 공급받고, 장섬유 여재와 다공성 투과관(172)을 통해 제 4 이송 펌프(183)의 흡입력으로 역세척 폐수를 여과하여 여과수를 배출한다. 여과 공정에서 배출되는 여과수는 제 4 이송 펌프(183)를 통해 제 2 역세척수 저장조(164)와 부유물 제거 장치(110)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의 역세척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역세척수 여과 처리부(170)의 역세척 공정은 제 5 이송 펌프(184)를 이용하여 제 2 역세척수 저장조(164)로부터 역세척수 공급구로 일정 시간 동안 예컨대, 약 20 초 ~ 300 초 동안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장섬유 여재를 부상시키고, 일정 시간 동안 예컨대, 약 10 초 ~ 300 초 동안에 공기 주입구로 역세척 공기만을 주입한다. 여기서 역세척수 공급구는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의 처리수 배출구이다. 또 역세척 공정은 일정 시간 동안 예컨대, 약 10 초 ~ 300 초 동안에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를 동시에 주입한다. 또 역세척 공정은 공기 주입구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예컨대, 약 20 초 ~ 360 초 동안에 역세척 공기만을 다시 주입하고, 다시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를 주입한다. 이 때, 역세척 폐수는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의 상부를 통해 침지식 여과조(162)로 배출된다. 이어서 역세척 공정은 장섬유사를 유연하게 하는 기능성 약품을 역세척수와 함께 주입하여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170a, 170b)를 세척한다.
이렇게 역세척 공정이 완료되면, 침지식 여과조(162)는 역세척수 폐수를 제 6 이송 펌프(185)를 이용하여 슬러지 탈수기(190)으로 배출하여 탈수 케익을 배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하수를 공급받아서 미세 기포를 주입하고 믹싱하여 하수에 포함되는 부유성 오염 물질을 부상시켜서 제거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여 부유성 오염 물질이 제어된 하수를 여과하여 처리수를 배출한다. 또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역세척수로 이용해서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역세척하고,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폐수를 여과하여 역세척수를 배출하며 그리고 역세척 폐수를 수집하여 슬러지를 배출한다. 이 때, 하수 처리 시스템(100)은 배출된 역세척수를 이용하여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역세척하여 배출되는 역세척 폐수를 수집하여 슬러지를 더 배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하수 처리 시스템
102 : 유량 조정조
110 : 부유물 제거 장치
114 : 부유물 챔버
116 : 스키머
120 : 하수 여과 처리부
120a,120b :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
160, 164 : 역세척수 저장조
162 : 침지식 여과조
170 : 역세척 여과 처리부
170a, 170b :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
190 : 슬러지 탈수기

Claims (11)

  1. 하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하수를 공급받아서 저장하는 유량 조정조와;
    상기 유량 조정조로부터 공급되는 하수로부터 부유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가 상기 부유물 제거 장치로부터 부유성 오염 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공급받아서 여과하여 처리수를 배출하고, 배출되는 처리수의 일부를 역세척수로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역세척 공기를 주입받아서 상기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를 역세척하는 하수 여과 처리부와;
    상기 하수 여과 처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폐수를 공급받아서 저장하고 슬러지를 수집하는 침지식 여과조와;
    상기 침지식 여과조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구비하여,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가 상기 침지식 여과조로부터 역세척 폐수를 공급받아서 여과하여 여과수를 배출하고, 배출되는 여과수의 일부를 역세척수로 공급받고 외부로부터 역세척 공기를 주입받아서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를 역세척하여 상기 침지식 여과조로 역세척 폐수를 배출하는 역세수 여과 처리부 및;
    상기 침지식 여과조로부터 슬러지를 공급받아서 탈수 케익을 배출하는 슬러지 탈수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와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 각각은, 상부가 이송 펌프와 배관이 연결되는 가압 하우징과, 상기 가압 하우징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수를 여과하는 장섬유 여재, 및 상기 장섬유 여재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여과된 처리수와 역세척수를 배출하는 다공성 투과관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하우징은,
    중앙 부분이 개방되고, 내부 하측에 상기 장섬유 여재가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장섬유 여재 결합판과;
    중앙 부분이 개방되고, 상기 장섬유 여재 결합판의 하부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 투과관이 나사 결합되는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과;
    중앙 부분이 개방되고, 상기 장섬유 여재 결합판과 상기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하우징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역세척 공기를 주입받아서 상기 가압 하우징의 상부 내측으로 공기를 분산시키는 공기 분산판과;
    중앙 부분이 개방되고, 상기 공기 분산판과 상기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다공성 투과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를 상기 가압 하우징의 처리수 배출구로 배출하거나, 상기 처리수 배출구를 통해 역세척수를 공급받아서 상기 다공성 투과관으로 공급하는 처리수 분리판과;
    상기 다공성 투과관의 하부와 상기 다공성 투과관 조립판을 결합하는 결합 나사 및;
    상기 결합 나사 외측에 결합되어 처리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누수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제거 장치는;
    상기 유량 조정조로부터 공급되는 하수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와;
    상기 저장 탱크로 미세 기포를 발생, 공급하여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하수로부터 부유성 오염 물질을 부상시키는 미세 기포 발생기와;
    상기 미세 기포 발생기에 의해 상기 저장 탱크의 상부로 부유된 부유성 오염 물질을 분리시키는 스키머(skimmer) 및;
    상기 스키머에 의해 분리된 부유성 오염 물질을 저장하는 부유물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식 장섬유 여과기와 상기 침지식 장섬유 여과기들 각각은;
    복수 개가 좌우 상하 대칭 구조인 정사각형 모듈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하우징은;
    무홈 영역과, 상기 무홈 영역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정 크기의 직경을 갖는 복수 개의 홈이 상기 장섬유 여재 결합판에서부터 일정 높이까지 형성되는 홈관 영역으로 구분되되;
    상기 일정 높이는 상기 가압 하우징의 내경에 대응하여 2 배 내지 10 배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하우징의 내경이 15 mm 인 경우, 상기 일정 높이는 30 mm 내지 150 mm 범위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홈의 단면 가로폭은 0.2 mm 내지 3 mm 범위의 크기, 상기 홈의 깊이는 0.2 mm 내지 3 mm 범위의 크기, 그리고 상기 홈과 상기 홈 사이의 간격은 0.4 mm 내지 40 mm 범위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 여재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처리수 및 역세척수를 여과하는 장섬유사의 상단에 결합되는 유동 홀더와;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홀더와;
    상기 유동 홀더와 상기 고정 홀더의 각각의 내측에 구비되고, 권취된 상기 장섬유사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및 하부 내측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 홀더, 상기 내측 홀더들 및 상기 고정 홀더 각각은 중앙 부분이 개방되어 처리수나 역세척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부 내측 홀더와 상기 고정 홀더의 중앙 부분은 상기 다공성 투과관의 하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홀더는 돌기 부분에 장섬유사가 권취되며, 각각은 상기 유동 홀더와 상기 고정 홀더 각각에 경사턱으로 고정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59556A 2016-05-16 2016-05-16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879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56A KR101879845B1 (ko) 2016-05-16 2016-05-16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PCT/KR2017/004435 WO2017200221A1 (ko) 2016-05-16 2017-04-26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16/302,575 US20190308898A1 (en) 2016-05-16 2017-04-26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multistage long-fiber filtering device,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CN201780030004.6A CN109562969A (zh) 2016-05-16 2017-04-26 利用多段的长纤维过滤器的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56A KR101879845B1 (ko) 2016-05-16 2016-05-16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98A KR20170128898A (ko) 2017-11-24
KR101879845B1 true KR101879845B1 (ko) 2018-07-18

Family

ID=6032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556A KR101879845B1 (ko) 2016-05-16 2016-05-16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308898A1 (ko)
KR (1) KR101879845B1 (ko)
CN (1) CN109562969A (ko)
WO (1) WO20172002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863B1 (ko) 2022-03-23 2022-10-12 주식회사 로펜 응집제로 코팅된 마이크로 파이버 여재를 사용하는 물리·화학적 수처리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3661A (zh) * 2021-06-25 2021-09-21 北京格朗德科技有限公司 一种废水处理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98B1 (ko) * 1997-09-30 2000-02-01 최충현 가변 필터층을 갖는 여과장치
KR100405152B1 (ko) * 2001-06-07 2003-11-14 은석규 간단한 구조로 사이드 스트림 여과와 클로스 플로우여과가 가능한 가변세공 정밀 여과장치
JP2005152694A (ja) * 2003-11-20 2005-06-16 Kurita Water Ind Ltd 浄水処理設備
KR101334995B1 (ko) * 2011-08-09 2013-11-29 (주) 동양이엔지 나노 및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중수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767A (ja) * 1998-03-18 1999-09-28 Japan Organo Co Ltd 下水二次処理水の高度処理システム
CN1274613C (zh) * 2005-03-15 2006-09-13 北京交通大学 洗涤污水循环再利用的处理方法及微絮凝反应器
CN200951338Y (zh) * 2005-05-19 2007-09-26 孟广桢 可反冲除油纤维束过滤器
KR100942270B1 (ko) * 2009-07-30 2010-02-16 정수환 다단 가변필터형 여과장치
CN101863577B (zh) * 2010-05-28 2012-06-06 深圳市水务(集团)有限公司 滤池反冲洗水回收处理方法及其膜滤系统
KR101278020B1 (ko) * 2011-11-24 2013-06-24 정수환 가변필터 여과장치
CN104606929A (zh) * 2013-11-05 2015-05-13 上海羽利环保设备技术有限公司 采用新技术的农村大型纤维环保转盘过滤器
CN104326604B (zh) * 2014-11-28 2016-11-3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一研究所 基于钠碱法的船舶废气脱硫洗涤水处理工艺及其处理系统
JP6122525B1 (ja) * 2016-03-29 2017-04-26 栗田工業株式会社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198B1 (ko) * 1997-09-30 2000-02-01 최충현 가변 필터층을 갖는 여과장치
KR100405152B1 (ko) * 2001-06-07 2003-11-14 은석규 간단한 구조로 사이드 스트림 여과와 클로스 플로우여과가 가능한 가변세공 정밀 여과장치
JP2005152694A (ja) * 2003-11-20 2005-06-16 Kurita Water Ind Ltd 浄水処理設備
KR101334995B1 (ko) * 2011-08-09 2013-11-29 (주) 동양이엔지 나노 및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중수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863B1 (ko) 2022-03-23 2022-10-12 주식회사 로펜 응집제로 코팅된 마이크로 파이버 여재를 사용하는 물리·화학적 수처리 공법
US11613476B1 (en) 2022-03-23 2023-03-28 Ropen Co., Ltd. Physicochemical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microfiber filter coated with coagulant
EP4249099A1 (en) 2022-03-23 2023-09-27 Ropen Co., Ltd. Physicochemical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microfiber filter coated with coagu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2969A (zh) 2019-04-02
WO2017200221A1 (ko) 2017-11-23
US20190308898A1 (en) 2019-10-10
KR20170128898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3215B2 (en) Membrane module for fluid filtration
KR20120069587A (ko) 멤브레인 바이오 리액터 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동상 바이오 리액터 원수 처리 시스템
KR20090121833A (ko)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유니트
KR101879845B1 (ko) 다단의 장섬유 여과기를 이용하는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100991B1 (ko) 다공성 세라믹 분리막을 이용한 액비정제장치
JP6184541B2 (ja) 汚水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汚水処理方法
JP2014000495A (ja) 汚水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汚水処理方法
KR101031673B1 (ko)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분리막 적층 방법
KR101393533B1 (ko) 다양한 산기 방식이 적용된 드래프트 튜브형 끈상 미생물 접촉 여재 정화 장치를 이용한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 방법
KR20200000056A (ko) 세라믹 분리막을 이용한 가축분뇨, 축산폐수 또는 축산세척수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1469634B1 (ko)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KR100574672B1 (ko)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999329B1 (ko) 하폐수 처리공정의 슬러지 농축 및 탈수 시스템 및 이의 성능유지관리 방법
KR102208641B1 (ko) 산화전처리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
CN207002534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KR830007442A (ko) 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JP2008238042A (ja) 有機性汚泥の減量化方法
KR100610251B1 (ko)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79631B1 (ko) 양돈 또는 축산용 소형 폐수 처리장치
KR100228075B1 (ko) 분리막모듈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CN212999378U (zh) 一种浸没式kmpr过滤成套装置
KR200185060Y1 (ko) 마이크로시브를 이용한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용 고액분리장치
KR200206067Y1 (ko) 하수처리조
Kozlov et al. IMPROVEMENT TECHNOLOGICAL SCHEME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THE TOWER GUBKINSKY
KR200176679Y1 (ko) 카트리지필터식 엠에프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