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679Y1 - 카트리지필터식 엠에프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필터식 엠에프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6679Y1 KR200176679Y1 KR2019990022753U KR19990022753U KR200176679Y1 KR 200176679 Y1 KR200176679 Y1 KR 200176679Y1 KR 2019990022753 U KR2019990022753 U KR 2019990022753U KR 19990022753 U KR19990022753 U KR 19990022753U KR 200176679 Y1 KR200176679 Y1 KR 2001766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brane
- membrane separation
- tank
- separation tank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막분리조 내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다수개의 미세공경을 가지는 MF막을 설치하여 오수의 고액분리를 행하고 MF막에 쌓인 고형물은 역세공기를 공급하여 제거함으로써, 여과 플럭스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같은 용적의 반응조에 대하여 단위시간당 처리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로서, 그 구성은 적어도 고형물 분리조를 구비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분리조는 막분리조이고, 이 막분리조는 하나의 탱크로서 하부가 역삼각형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막분리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칸막이와, 상기 막분리조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카트리지 형태의 필터를 가지는 분리막 모듈과, 처리된 유입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배출관 및 흡입펌프와, 상기 필터에 부착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의 타측에 연결설치되는 에어공급관 및 에어펌프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고체-액체 분리공정의 획기적인 개선을 가져온다. 즉, 높은 막여과 플럭스의 유지가 가능하며, 1개의 반응조 내에서 고액분리에 의한 유기물 및 SS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대폭 줄여서 설비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설비용적의 최소화를 달성하고, 결과적으로 같은 용적의 반응조에 대하여 단위 시간당 고액분리 처리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막분리조 내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다수개의 미세공경을 가지는 MF막을 설치하여 오수의 고액분리를 행하고 MF막에 쌓인 고형물은 역세공기를 공급하여 제거함으로써, 여과 플럭스를 크게 향상시켜 그 결과 고액분리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대폭 줄이고 같은 용적의 반응조에 대하여 단위시간당 처리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 물질 중, 분뇨처리장을 거친 후 공공수역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은 생활오수 발생량의 약 1,24%이고 하수처리장을 거친 후 공공수역에 유입되는 부하량은 2.39%로 극히 미량이다.
폐수처리시설은 대부분 대량 설비이고 여러 가지 방식들이 있으나 대표적인 처리설비 및 공정은 다음과 같다.
하수나 폐수를 유입수로 하여 유입하는 단계를 거치고 유속에 의하여 유입수 중의 침전물이나 토사류 등을 제거하는 침사지가 설비된다. 이 때 기계장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크린 설비에 의하여 부유물을 거르는 장치가 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어서 자연유하되도록 수위를 높이고 유량조절기능도 하는 유입펌프장으로 유입되고 자연적으로 침강되는 성분들을 제거하는 최초 침전지(1차 침전지)가 구비되고, 오수 중의 미생물이 잘 번식되도록 폭기조를 통과하게 한다. 그 후 최종 침전지(2차 침전지)에서 깨끗하게 정화된 물을 일반하천으로 방류시키며, 상기 폭기조와 2차 침전지 사이에 소정의 화학약품을 쓰거나 최종단계에서 소독을 할 수도 있다.
폐수처리를 하기 위한 종래의 여러 가지 방법들은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이어서 널리 실용화되고 있지 않고, 대부분 부분처리에 그쳐 부분처리된 오수가 수계로 유입됨으로써 하천의 오염을 증가시키고 있다.
폐수가 방류되어 수게에서 스스로 자정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방류수 수질기준이 BOD 5ppm 이하이어야 하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처리방식들은 일반생활하수는 수10∼150ppm 수준이고, 축산분뇨 등은 수10∼수만 ppm 수준으로 방류시키고 있어 하천오염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하수도 미비로 하수처리장을 거치지 않고 직접 공공수역에 방류되는 양이 38.92%로서 수계에 유입되는 대부분의 오염부하가 하수관로의 미비에 이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분뇨나 영업하수는 정화조와 오수정화시설에서 대부분이 1차 처리된 후 공공수역에 방류되기 때문에 1일 전체 오염발생량 100% 중에서 처리되지 않고 바로 공공수역에 방류되는 오염물량은 각각 영업하수 2.99%, 분뇨 6.01%로서 작은데 비하여 생활 잡배수의 경우, 오염부하의 29.92%라는 많은 양이 하수관 관거의 미비로 말미암아 공공수역에 바로 방류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생활오수에 의한 수질오염의 주원인은 하수도 시설의 미비에 의한 생활 잡배수의 무단방류라고 하겠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우리나라와 같이 하수도 시설이 미비한 상황에서는 정화조나 오수정화시설 등과 같은 현장처리시설에 의한 오염저감대책이야말로 수질오염 방비 및 관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수처리장은 중소규모로 건설되어야 하며 하수도 관망의 정비가 장시간, 대규모의 자원투자를 필요로 하는 점에 비추어 중소규모 도시에서는 하수처리장 및 관거정비와 병행하여 고도처리가 가능한 고효율의 정화조 보급도 적극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처리시설에 있어서 막분리 장치는 양호한 처리 수질의 확보, 반응장치의 소형화 및 자동화, 고도한 유기물 및 영양염류의 제거, 처리수의 재이용 등의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아왔고, 특히 중수도, 분뇨처리, 처리수의 고도화 등의 분야에서는 실제로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고도처리 방법 중의 하나로, MF나 UF와 같은 분리막을 생물반응기(MBR : Membrane Biological Reactor)의 경우, 주로 튜브형 내압식 막분리 방식이 일반적으로 국내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다. 이 장치는 운전조건이 튜브 내 압력 2∼5㎏/㎠, 막면 유속 1∼3m/sec로 막대한 에너지가 소요되는 것이 최대 단점이다.
그리고 일단 막 막힘이 발생하면 약품 세정 이외에는 적절한 처리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튜블라 내측을 원수를 통과시키는 관계로 튜블라 내측의 이물질의 축적 등에 의하여 막 막힘 현상이 잘 일어날 수 있다.
국내에서 침지형 막분리 공정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티어 포어(Stear Pore) 이용 공정의 경우, 하폐수 처리에 적합한 분리막 모듈 시스템을 연구하여 내압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흡인형식의 정밀 여과막인 스티어 포어 엘(Stear Pore-L) 모듈을 개발하여 중공사막 직접 침지형 오수처리장치를 상용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막분리 장치는 상기한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종래의 처리장치에 비하여 건설비 및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고 막 비용이 고가인 점이 단점이어서 새로운 기술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즉, 유기물 및 SS물질의 제거나 고액분리 등의 공정에 따라 각각의 추가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오폐수 처리 설비에는 막대한 건설비용이 들어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Stear Pore-L 모듈은 단위체적당 비표 용적이 크고 세정이 용이하며 장치가 컴팩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막모듈이 그렇듯이 막의 교환비용이 고가이고 내압성이 나쁘고 여과 플럭스가 1∼20 L/m2/hr 정도로 낮으며 용기 또한 다양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막모듈은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막을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는 경우, 분리막 및 모듈의 성능열화 및 파울링(fouling)에 의한 기능저하가 문제로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막분리 공정에서 특별한 추가 설비없이 에너지 소비가 적은 흡입여과방식과 고압에 의한 역세공기를 이용하여 막표면의 부착물 퇴적과 막면 내부의 눈막힘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하수 중 SS, 유기물 등을 동시적으로 제거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약 0.5∼5.0㎛ 정도의 비교적 큰 공경을 가지는 카트리지 타입의 MF막에 에어백워싱(Air Backwashing) 방식을 응용하여 1000 L/m2/hr 이상의 높은 플럭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분리막 및 모듈의 성능열화 및 파울링에 의한 기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의 주요부분인 카트리지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 내의 막여과(Suction) 단계에서의 오수처리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 내의 공기역세(Air Backwashing) 단계에서의 역세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막분리조(고액 분리조) 12 : 유입수 유입관
20 : 칸막이 30 : 분리막 모듈
32 : 카트리지식 필터 33 : 지지판
34 : 지지봉 35 : 원형 밀봉링
36 : 너트 40 : 흡입펌프
42 : 유출관 50 : 에어펌프
52 : 에어 공급관/여과수 배출관 54 : 커넥터
60 : 슬러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는,
적어도 고형물 분리조를 구비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형물 분리조는 막분리조이고, 이 막분리조는 하나의 탱크로서 하부가 역삼각형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막분리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칸막이와,
상기 막분리조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카트리지 형태의 필터를 가지는 분리막 모듈과,
처리된 유입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배출관 및 흡입펌프와,
상기 필터에 부착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의 타측에 연결설치되는 에어공급관 및 에어펌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막을 이용하지 않는 종래의 고액 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같은 용적의 반응조에 대하여 단위시간당 처리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필터는 공경 0.5∼5㎛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1㎛인 것이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눈막힘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리막 모듈은,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지지판 및 상기 필터 둘레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판과 필터 사이에 탄성 밀폐재, 예를들면 고무재로 된 원형 밀봉링을 구비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할 경우에는, 투과 플럭스가 종래의 막모듈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MF막을 사용함으로써 막분리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흡입여과 압력이 0.3기압 정도에 불과하여 운전동력비를 크게 줄일 수 있고, 가압에 의한 막 역세공정으로 인하여 장시간 안정적인 플럭스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에어 공급관과 필터 및 배출관과 필터는, 푸시 커넥터를 선택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할 경우에는 필터 교체 수리 시에 필터 측과 에어 공급관/여과수 배출관 측과의 연결과 해체가 자유롭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특징은 종래의 고체-액체 분리공정의 획기적인 개선이라는 점이다. 즉 높은 플럭스(Flux)의 유지와 동시에 유기물과 SS물질의 제거효율을 크게 높인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카트리지식 필터를 채택하여 하폐수를 처리함으로써 고부하 처리, 부하변동과 상관없는 안정적 수질확보, 반응장치의 소형화 및 자동화 등의 막분리 공정의 장점을 살리면서, 추가적으로 높은 플럭스를 유지할 수 있고, 종래의 막모듈에 비하여 단가가 저렴하며 내압성이 강한 MF막을 도입함으로써 하수 중 SS 물질, 유기물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의 주요부분인 카트리지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 내의 막여과(Suction) 단계에서의 오수처리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 내의 공기역세(Air Backwashing) 단계에서의 역세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은 고형물 분리조, 즉 막분리조이다. 이 막분리조(10)는 하나의 탱크로서 하부가 역삼각형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막분리조(10)의 내부는 일측에 막분리조(10) 내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의하여 막분리조(10) 내의 슬러지가 교란되지 못하게 하면서 슬러지의 임의부상을 방지하고 큰 고형물을 1차 분리 침전시키며, 막분리조(10) 내에서 체류시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칸막이(baffle)(20)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의 유입수는 도시하지 아니한 유입수 공급펌프에 의하여 상기 막분리조(10) 내로 강제공급된다.
또 상기 막분리조(10) 내의 칸막이(20) 타측에는 다수개의 카트리지 형태의 분리막 모듈(30)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12는 유입수 유입관, 40은 처리된 유입수를 배출하기 위한 흡입펌프, 42는 유출관, 50은 역세공정에 사용되는 에어펌프, 60은 막분리조(10) 저부에 적층되는 슬러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분리막 모듈(30)은 원통형 카트리지식 필터(32)가 구비되고 이 필터(32)는 공경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필터(32)는 상하에 2개의 지지판(33)이 구비되고, 이 지지판(33) 사이에 걸쳐지면서 상기 필터(32) 둘레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봉(34)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33)과 필터(32) 사이에는 탄성밀폐재, 예를들면 고무재로 된 원형 밀봉링(35)이 밀접하게 설치된다. 이 원형 밀봉링(35)의 설치로 인하여 지지판(33) 사이로 활성 슬러지 및 고형물의 유입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32)는 상기 지지판(33)과 지지봉(34) 및 원형 밀봉링(35)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필터(32)의 상하에는 역세척 에어를 공급하거나 여과수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 공급관/여과수 배출관(52)이 구비되고, 이 에어 공급관/여과수 배출관(52)의 끝단과 상기 필터(32) 입구와는 소정 구조의 연결수단, 즉 커넥터(5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커넥터(54)는 푸시커넥터(push-to-connec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부호 36은 상기 지지판(33)에 지지봉(34)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입수가 유입수 공급관(12)을 통하여 상기 막분리조(10) 내로 유입되면, 곧바로 칸막이(20)에 의하여 막분리조(10) 하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흐름에 의하여 유입수는 막분리조(10) 내에서 체류시간을 확보하면서 슬러지의 부상을 방지한다.
상기 막분리조(10)로 유입된 유입수와 슬러지는 막분리조(10) 내에서 고액분리가 일어나며 고액분리된 유입수 중의 상등수는 상기 다수개의 분리막 모듈(30)을 통하여 처리된다.
이 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막 모듈(30)의 필터(32)는 막여과단계에서는 상기 흡입펌프(40)의 흡입압 100∼400㎜Hg에 의하여 필터(32) 외부에서 내부로 오수가 통과할 때 공경 1㎛의 필터(32)에서 고액분리가 이루어지며, 역세척 단계에서는 상기 필터(32)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공기압 3㎏/㎡에 의하여 카트리지 필터(32)의 눈에 쌓인 고형물 케익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높은 플럭스, 약 1,000 L/m2/hr 이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Module StructureEffective Membrane Surface AreaDimendion(mm)Initial Flow Rate(120mmHg, 25℃) | Cartridge type1㎛0.048995㎡61.3×2546,000L/m2/hr | |
BackwashingOperation Condition | Backwashing Pressure(mmHg) | 3kg/㎡ |
Chemical washing Condition | Suction pressure400mmHg 이상 시 |
상기 표 1은 본 고안의 막분리 장치를 랩(Lab) 스케일로 제작하여 6개월간 운전하였을 경우의 필터(32) 사양 및 운전조건을 나타낸다.
상기 표 2는 본 막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실험한 결과를 흡입압력과 플럭스의 관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사각형 흑점은 플럭스를, 마름모꼴 흑점은 압력을 나타낸다.
표 3은 본 막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하였을 때의 각 원수별 평균 플럭스 및 흡입압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빈 막대는 플럭스를, 채운 막대는 흡입압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K 대학 식당 하수를 이용한 연속운전의 경우, 원수 유입과 막역세, 막흡입 등과 관련된 시간프로그램을 일정하게 하고 약 80일간 운전한 결과, 초기 플럭스는 3,000 L/m2/hr 이상, 초기 흡입압력은 110mmHg 이었으나, 약 8주 후 플럭스는 1,283L/m2/hr, 흡입압력은 300mmHg 정도가 되어 케미컬 워싱을 실시하였다. 그 후 플럭스는 1,700 L/m2/hr, 흡입압력은 120mmHg 정도로 복구되었다.
실험항목(mg/L) | K 대학 식당하수 | 반월공단 염색폐수침전조 상등액 | 축산폐수 UF막과 응집처리 후 상등액 | |||
막분리 전 | 막분리 후 | 막분리 전 | 막분리 후 | 막분리 전 | 막분리 후 | |
BOD5 | 23 | 4 | 36 | 24 | 175 | 98.1 |
CODcr | 52 | 20 | 60(CODMn) | 47 | 260 | 158 |
SS | 25 | 5이하 | 24 | 5이하 | 255 | 5이하 |
상기 표 4는 막 분리 전후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표이다.
이 표 4에서와 같이 유기물의 제거효율은, 식당하수의 경우 BOD5및 CODcr의 처리효율은 평균 83%, 62%를 나타내었으며, 반월공단 염색폐수 침전조 상등액의 경우, BOD5및 CODMn의 처리효율은 각각 44%, 39%이었다.
SS는 상기 상등수의 수질에 관계없이 분리막에 의하여 완벽하게 저지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카트리지식 필터를 채택하여 하폐수를 처리함으로써 고부하처리, 부하변동과 상관없는 안정적 수질확보, 반응장치의 소형화 및 자동화 등의 막분리 공정의 장점을 살리면서, 추가적으로 높은 플럭스를 유지할 수 있고, 종래의 막모듈에 비하여 단가가 저렴하며 내압성이 강한 MF막을 도입함으로써 하수 중 SS 물질은 물론이거니와 입자성 유기물까지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하수 고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고체-액체 분리공정의 획기적인 개선을 가져온다. 즉, 높은 플럭스의 유지와 동시에 유기물과 SS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1개의 반응조 내에서 고액분리에 의하여 유기물 및 SS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대폭 줄여서 설비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설비용적의 최소화를 달성하고, 결과적으로 같은 용적의 반응조에 대하여 단위 시간당 처리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 적어도 고형물 분리조를 구비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상기 고형물 분리조는 막분리조이고, 이 막분리조는 하나의 탱크로서 하부가 역삼각형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상기 막분리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칸막이와,상기 막분리조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카트리지 형태의 필터를 가지는 분리막 모듈과,처리된 유입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배출관 및 흡입펌프와,상기 필터에 부착한 고형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의 타측에 연결설치되는 에어공급관 및 에어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필터는 공경 0.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은,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지지판 및 상기 필터 둘레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판과 필터 사이에 탄성밀폐재의 원형 밀봉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필터식 MF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2753U KR200176679Y1 (ko) | 1999-10-19 | 1999-10-21 | 카트리지필터식 엠에프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5368A KR20000006691A (ko) | 1999-10-19 | 1999-10-19 | 카트리지필터식 엠에프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
KR2019990022753U KR200176679Y1 (ko) | 1999-10-19 | 1999-10-21 | 카트리지필터식 엠에프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5368A Division KR20000006691A (ko) | 1999-10-19 | 1999-10-19 | 카트리지필터식 엠에프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6679Y1 true KR200176679Y1 (ko) | 2000-04-15 |
Family
ID=2663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2753U KR200176679Y1 (ko) | 1999-10-19 | 1999-10-21 | 카트리지필터식 엠에프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6679Y1 (ko) |
-
1999
- 1999-10-21 KR KR2019990022753U patent/KR20017667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22998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f water/wastewater | |
EP2465824A1 (en) | Membrane bioreactor (MBR) configurations for wastewater treatment | |
US10807023B2 (en) |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ter and wastewater | |
KR20000019492A (ko) | 고농도 유기성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 |
Leiknes et al. | Moving bed biofilm membrane reactor (MBB-MR):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s of a hybrid process design for compac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
KR100245775B1 (ko) | 다중 병렬식 생물막 여과 오폐수 처리장치 | |
KR200176679Y1 (ko) | 카트리지필터식 엠에프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 |
US20190308898A1 (en) |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multistage long-fiber filtering device,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 |
KR101543548B1 (ko) | 중력식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총인여과방법 | |
CN213112947U (zh) | 一种ao生化-mbr一体化废水处理装置 | |
CN1238278C (zh) | 废水处理方法和装置 | |
KR20000006691A (ko) | 카트리지필터식 엠에프막을 이용한 막분리 장치 | |
CN209740890U (zh) | 一种切削液一体化处理装置 | |
KR100547463B1 (ko) | 황 충전 mbr 반응기를 이용한 포기조내 질소제거 장치 | |
KR20080082852A (ko) | 오폐수 처리용 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 |
KR100443423B1 (ko) | 자연압을 이용하는 한외여과 중수도 시스템 | |
KR100453705B1 (ko) |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2416436B1 (ko) | 다단 스크린 설비를 포함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시설 | |
KR100288980B1 (ko) | 생물막여과 오폐수 처리방법 | |
CN210313903U (zh) | 有机废水处理设备 | |
CN216191633U (zh) | 一种湿法脱酸废水处理系统 | |
CN220056570U (zh) | 一种超滤膜一体化净化处理设备 | |
CN213895514U (zh) | 焦化废水处理装置 | |
CN221889401U (en) | High-salt sewage desalination pretreatment system | |
WO2010025275A1 (en) |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