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673B1 -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분리막 적층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분리막 적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673B1
KR101031673B1 KR1020080094992A KR20080094992A KR101031673B1 KR 101031673 B1 KR101031673 B1 KR 101031673B1 KR 1020080094992 A KR1020080094992 A KR 1020080094992A KR 20080094992 A KR20080094992 A KR 20080094992A KR 101031673 B1 KR101031673 B1 KR 10103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membrane module
membrane
modu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769A (ko
Inventor
윤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라
Publication of KR2009009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58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1Manufactur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6Tubular membrane modules
    • B01D63/067Tubular membrane modules with pleated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01D2313/041Gaskets or O-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8Flow guidance means within the module or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3Specific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4Specific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means
    • B01D2313/243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50Specific extra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수처리 막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대용량의 원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원수 탱크, 상기 원수 탱크의 일 측면에 개구 설치된 원수 배출구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원수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다시 상기 원수 탱크에 구비된 원수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원수 탱크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원수 이동관, 상기 원수 이동관의 경로 상에 하나 또는 2 이상 구비되며 상기 원수 이동관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도록 내부에 필터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중공 원통형의 분리막 모듈, 상기 분리막 모듈과 상기 원수 이동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원수 이동관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는 중공 원통형의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상기 분리막 모듈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원수 이동관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는 중공 원통형의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상기 일 측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의 측면에 연결 구비되며 상기 분리막 모듈 내에 설치된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유동되는 처리수 이동관 및, 상기 처리수 이동관을 통하여 유동되는 정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처리수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분리막 적층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원수, 정수, 이동관, 필터부, 분리막, 모듈, 개방

Description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분리막 적층 방법{STACKED MEMBRANE FILTRATION SYSTEM AND STAC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폐수를 대량으로 처리하는 산업용 수처리 막분리 시스템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를 순환시키며 수 처리를 하고 필터가 설치된 분리막 모듈을 결합함으로써 처리 용량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분리막 적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경제 발전과 인구 증가에 따라 물 수요가 급증하게 되면서 최근에는 안정적인 물공급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여러 방안 중 하나로 대규모 하천 개발 및 지하수 개발이 검토, 추진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하천 개발로 인해 매년 일부 지역에서 하천의 건천화로 인한 용수 부족 현상이 발생되고 또한 지하수의 난개발로 인해 지하수의 오염 및 고갈 현상이 심화되어 안정적인 용수원의 확보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해안 지역의 경우에는 무리한 지하수 개발로 인해 해수가 지하 대수층으로 침투하여 지하수 자체의 오염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지하수의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용수 부족과 지하수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해 침출수 또는 하수와 같은 오폐수를 이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침출수 또는 하수는 가뭄이나 자연 재해 시에도 일정량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대체 수원으로 활용하기에는 최적이다.
이를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하수 또는 침출수 중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오염 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전국에서 발생되는 하수와 같은 생활 오수량은 하루 약 16000천 톤으로 다수의 하수종말처리장과 오수처리시설을 통하여 처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간단한 여과 설비 예컨대 모래 여과 또는 활성탄 여과 설비만을 이용하여 하수종말 처리장과 오수처리시설에서 방류된 방류수를 처리함으로써 여과설비에서 여과 처리한 처리수는 화장실 용수, 살수용수, 조경용수 등의 저급 잡용수로만 활용이 가능하였다.
다른 방법으로 생물학적 처리(혐기성, 호기성, 회전원판 등) 및 화학적 처리(중화, 응집, 침전, 펜톤산화 등) 방법에 의해 처리 후 인근 해안이나 강으로 방류하고 있으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오염물질로 인하여 하천오염과 더 나아가서는 바다오염 등의 생태계에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하수 또는 침출수를 막분리 기술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있다. 막분리 기술은 공업 용수의 탈염을 위한 역 삼투법을 중심으로 개발 및 발전 되어 왔는데, 현재 활용되는 기술에는 정밀여과(microfil tration:MF), 한외여과(ultrafiltration:UF), 나노여과(nanofiltration:NF), 역삼투여과(reverse osmosis:RO), 기체분리(gas separation:GS) 및 전기투석(electro dialysis:ED) 등이 있다.
막분리 기술에서 사용되는 삼투막 또는 반투막으로 불리는 분리막은 표면에 아주 미세한 구멍이 촘촘히 나 있으며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액체 혹은 고체의 막이다. 주로 사용되는 막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만드는데, 염을 99% 이상 거를 수 있다.
기존의 분리 및 농축 공정은 상의 변화를 유도하여 물질을 분리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량이 많고, 상을 변화시키는 데 높은 온도가 필요하므로 분리하는 물질의 특성이 변화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비하여 상의 변화없이 물질을 선별적으로 분리시키므로 공정이 단순하고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다.
주로 사용되는 막분리 기술인 침지식 수처리용 막분리 기술은 일정 규모의 원수가 담지된 침전조 내에 "분리막 모듈 유닛"을 침지하여 흡인식 펌프에 의해서 처리수를 얻는 방식이다. 침지식 수처리용 막분리 기술은 흡인 방식의 특성에 의하여 분리막 모듈 유닛의 막표면에 오염이 쉽게 발생하고 차압이 점점 커짐에 따라 유량 감소율이 커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흐름이 없는 정적인 침전조 내부의 구조에 의해 막 표면의 오염 현상은 시간에 따라 심해지게 된다. 더불어 운전방식이 dead-end filtration 방식(한번에 여과하는 방법)으로 유입수의 정수 처리 후 발생 되는 농축수의 증가에 의해 막 표면의 오염물의 부착을 가속화하여 유량 감소의 문제가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처리 용량을 증설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침전조 확장을 위한 설치를 해야되므로 시간적/경제적인 손실 요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정화하여 정화성능을 향상시키고, 다수의 분리막 모듈 유닛을 연결함으로써 시스템을 확장하여 처리 용량을 늘일 수 있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적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은 대용량의 원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원수 탱크; 상기 원수 탱크의 일 측면에 개구 설치된 원수 배출구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원수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다시 상기 원수 탱크에 구비된 원수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원수 탱크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원수 이동관; 상기 원수 이동관의 경로 상에 하나 또는 2 이상 구비되며 상기 원수 이동관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도록 내부에 필터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중공 원통형의 분리막 모듈; 상기 분리막 모듈과 상기 원수 이동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원수 이동관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는 중공 원통형의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상기 분리막 모듈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원수 이동관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는 중공 원통형의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상기 일 측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의 측면에 연결 구비되며 상기 분리막 모듈 내에 설치된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유동되는 처리수 이동관; 및, 상기 처리수 이동관을 통하여 유동되는 정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처리수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수 이동관의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원수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를 상기 분리막 모듈로 원할하게 공급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가압펌프; 및, 상기 처리수 이동관의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과한 정수를 상기 처리수 탱크로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흡인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막 모듈의 일 측면에 연결 구비된 공기 방울을 생성할 수 있는 에어 버블링 시스템; 상기 에어 버블링 시스템과 상기 분리막 모듈의 일 측면을 연결하고 상기 분리막 모듈 내의 필터부에 공기 방울을 공급하도록 상기 분리막 모듈 내부로 연장 된 에어 버블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막 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분리막 모듈의 양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필터부의 양 측 단부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원통 홈 형상의 필터 장착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된 포팅부; 및, 상기 원수 이동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하여 유 동하도록 상기 포팅부 중앙에서 내부로 연장 형성된 원수유입관;으로 구성된 것이 좋다.
더욱이 상기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는 상기 모듈 연결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형의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 상기 원수 이동관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도록 상기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중앙 축 상에 구비된 제 1 내부 통로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막 모듈의 포팅부와 맞닿는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단면이 직사각형인 제 1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1 홈 사이에 하나 또는 2 이상의 제 1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처리수 이동관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는 상기 모듈 연결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형의 양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 상기 분리막 모듈의 내부를 통과한 원수가 유동되도록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중앙 축 상에 구비된 제 2 내부 통로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막 모듈의 포팅부와 맞닿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상하 양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단면이 직사각형인 제 2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 홈 사이에 하나 또는 2 이상의 제 2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처리수 이동관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막 모듈 내의 상기 원수 유입관에 연결 구비되고 밑면과 옆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뒤집어진 원통 형상의 유로 변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원수 유입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를 윗 방향과 옆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상기 분리막 모듈의 원수 유입관과 상기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의 제 1 내부 통로관의 접촉부 또는 상기 분리막 모듈 하우징과 상기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접촉부에는 2-오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막 모듈의 원수 유입관과 상기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의 제 2 내부 통로관의 접촉부 또는 상기 분리막 모듈 하우징과 상기 양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접촉부에는 2-오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필터부에는 중공사막 또는 주름 필터가 구비된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적층 방법에 의하면 오/폐수를 시스템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정화성능을 향상시키고, 필터링을 하는 다수의 규격화된 분리막 모듈 유닛을 추가 연결하여 시스템을 확장함으로써 처리 용량을 늘일 수 있으며, 분리막 모듈 유닛 내의 필터를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적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의 유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은 하수 또는 침출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원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원수 탱크(110), 원수 탱크(110)의 일 측면에 개구 설치된 원수 배출구(112)에 연결 구비되어 원수 탱크(110)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다시 원수 탱크(110)에 구비된 원수 유입구(116)를 통하여 원수 탱크(110)로 유입되도록 원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원수 이동관(120), 원수 이동관(120)의 경로 상에 하나 또는 2 이상 구비되며 원수 이동관(120)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도록 내부에 필터부(143)가 구비된 중공 원통형의 분리막 모듈(140), 분리막 모듈(140)과 원수 이동관(120) 사이에 설치되며 원수 이동관(120)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는 중공 원통형의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 분리막 모듈(140) 사이에 구비되고 원수 이동관(120)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는 중공 원통형의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의 측면에 연결 구비되며 분리막 모듈(140) 내에 설치된 필터부(143)를 통과한 정수가 유동되는 처리수 이동관(180), 처리수 이동관(180)을 통하여 유동되는 정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처리수 탱크(190)를 포함한다.
원수 탱크(110)는 필요한 정수의 양에 따라 저장 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원수 탱크(110)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는 원수 배출구(112)와 원수 유입구(116) 사이를 연결하는 원수 이동관(120)을 따라 유동한다.
원수 이동관(120)을 따라 유동되는 원수는 원수 이동관(120)의 경로 상에 구비된 분리막 모듈(140) 내부에서 정화되고, 정화된 물은 일 측 개방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 160)로 유동되며, 모듈 연결부(150, 160)의 각 개구부(155, 165)에 연결 구비된 처리수 이동관(180)을 따라 처리수 탱크(190)로 유동한다.(실선으로 도시됨)
분리막 모듈(140) 내에서 정화되지 못한 원수는 분리막 모듈(140)의 내부를 통과하여 다시 원수 탱크(110)로 유입된다.(점선으로 도시됨)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의 분리막 모듈(14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막 모듈(140)의 포팅부(145)의 평면도이다.
원수 이동관(120)의 경로 상에 구비되어 유입된 원수를 정화하는 분리막 모듈(140)은 분리막 모듈(140)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 하우징(141), 분리막 모듈(140)의 양 끝단에 구비된 포팅부(145), 원수 이동관(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분리막 모듈(140)을 통하여 유동하도록 포팅부(145)의 중앙에서 내부로 연장 형성된 원수 유입관(146)으로 구성된다.
포팅부(145)에는 필터부(143)가 고정되도록 필터부(143)의 양 측 단부가 삽 입될 수 있는 원통 홈 형상의 필터 장착부(144)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된다.
원수 이동관(120)을 통하여 유동하는 원수는 분리막 모듈(140)의 원수 유입관(146)을 통하여 분리막 모듈(140)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정수는 포팅부(145)의 필터 장착부(144)에 장착된 다수개의 필터부(143) 사이를 유동하면서 필터부(143)의 외부에서 내부로 투입된다. 즉 외압식으로 필터링되어 불순물은 필터부(143)의 외부면에 잔류하게 되고 정수는 필터부(143)의 내부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한다.
분리막 모듈(140)은 주로 중공 원통형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중앙에 유로가 형성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필터부(143)에는 중공사막 또는 주름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원수를 외압식으로 정화하므로 각 필터의 사이가 떨어져 있는 중공사막 또는 주름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분리막 모듈(140)은 시스템 내에서 단독으로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를 이용하여 다수의 분리막 모듈(14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5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의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의 단면도이고, 도 6 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의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의 단면도이며, 도 7은 일 측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 160)의 평 면도를 나타낸다.
도 5에서 나타낸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는 모듈 연결부(150)의 외관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형의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51), 원수 이동관(120)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도록 모듈 연결부 하우징(151)의 중앙 축 상에 구비된 제 1 내부 통로관(153)으로 구성된다.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는 분리막 모듈(140)과 원수 이동관(120) 사이에 설치되고 분리막 모듈(140)의 포팅부(145)와 맞닿는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51)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단면이 직사각형인 제 1 홈(156)이 형성된다.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51)과 제 1 홈(156) 사이에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제 1 개구부(155)가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막 모듈(140)의 포팅부(145)에 구비된 필터부(143)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정수는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로 이동하여 단면이 직사각형인 제 1 홈(156)을 거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제 1 개구부(155)에 연결된 처리수 이동관(180)을 통하여 처리수 탱크(190)로 유입된다.
도 6에서 나타낸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는 모듈 연결부(150)의 외관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형의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61), 분리막 모듈(140)의 내부를 통과한 원수가 유동되도록 모듈 연결부 하우징(161)의 중앙 축 상에 구비된 제 2 내부 통로관(163)으로 구성된다.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는 분리막 모듈(140) 사이에 설치되고 분 리막 모듈(140)의 포팅부(145)와 맞닿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61)의 상하 양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단면이 직사각형인 제 2 홈(16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 양면에 구비된 제 2 홈(166)의 사이에는 일정 두께의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61)이 존재하여 상하 양측을 분리한다.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61)과 제 2 홈(166) 사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부와 하부에 하나 또는 2 이상의 제 2 개구부(165)가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막 모듈(140)의 포팅부(145)에 구비된 필터부(143)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정수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로 이동하여 단면이 직사각형인 제 2 홈(166)을 거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제 2 개구부(165)에 연결된 처리수 이동관(180)을 통하여 처리수 탱크(190)로 유입된다.
처리수 이동관(180)은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51)의 측면에 구비된 제 1 개구부(155)에 설치되거나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61)의 측면에 구비된 제 2 개구부(165)에 설치되고, 하나의 관으로 합쳐져서 처리수 탱크(190)와 연결 구비된다.
처리수 탱크(190)는 필요한 정수의 양에 따라 저장 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분리막 모듈(140)의 포팅부(145)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 4와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 7을 살펴보면, 분리막 모듈(140)의 원수 유입관(146)과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의 제 1 내부 통로관(153) 의 접촉부, 분리막 모듈 하우징(141)과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51)의 접촉부, 분리막 모듈(140)의 원수 유입관(146)과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의 제 2 내부 통로관(163)의 접촉부, 분리막 모듈 하우징(141)과 양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161)의 접촉부 사이에는 2-오링(147)이 구비되어 있다.
2-오링(147)이 분리막 모듈(140)과 일 측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 160) 사이에 구비되어 있어서 분리막 모듈(140), 제 1 내부 통로관(153), 제 2 내부 통로관(163)을 통과하는 원수가 외부로 새지 않고 또한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의 제 1 홈(156)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의 제 2 홈(166)에 임시로 저장된 정수가 외부로 새지 않는다.
또한 일 측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 160) 또는 분리막 모듈(140)의 포팅부(145)는 각각 체결부재(148)에 의하여 체결 고정된다.
원수 이동관(120)의 경로 상에는 원수 탱크(110)의 원수 배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되는 원수를 분리막 모듈(140)로 원할하게 공급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가압펌프(13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펌프(130)는 원수 이동관(120) 내부에서 유동하는 원수에 대하여 가해지는 힘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수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압펌프(130)의 압력을 높이면 유량이 증가하고, 분리막 모듈(140)을 통과하는 유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처리된 정수도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가압펌프(130)의 압력을 줄이면 유량이 감소하고, 분리막 모듈(140)을 통과하는 유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처리된 정수 는 감소하게 된다.
처리수 이동관(180)의 경로 상에는 분리막 모듈(140)의 정수능력 향상과 분리막 모듈(140)을 통과한 정수가 처리수 탱크(190)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흡인 펌프(170)가 구비될 수 있다.
흡인 펌프(170)는 처리수 이동관(180) 내부에서 유동하는 정수에 대하여 가해지는 힘을 조절할 수 있고, 가압펌프(130)의 압력에 추가적으로 흡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분리막 모듈(140)의 필터부(143)의 원수에 대한 정수처리 능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처리수 이동관(180) 내의 정수가 처리수 탱크(190)로 쉽게 이동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1에서 도시된 분리막 모듈(140)에 에어 버블링 시스템(195)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리막 모듈(140)의 일 측면에 연결 구비되고 공기 방울을 생성할 수 있는 에어 버블링 시스템(195), 에어 버블링 시스템(195)과 분리막 모듈(140)의 일 측면을 연결하고 분리막 모듈(140) 내의 필터부(143)에 공기 방울을 공급하도록 분리막 모듈(140) 내부로 연장 형성된 에어 버블 공급관(197)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에어 버블링 시스템(195)을 작동시키면 에어 버블링 시스템(195) 내에서 생성된 공기 방울은 에어 버블 공급관(197)을 통하여 유동하고 분리막 모듈(140) 내에 설치된 필터부(143) 사이로 연장 형성된 에어 버블 공급관(197)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필터부(143)의 외관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들이 공기 방울에 의하여 필터부(143)와 분리되고 분리막 모듈(140)의 내부를 유동하는 원수에 섞여 다시 원수 이동관(120)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분리막 모듈(140)의 필터부(143)를 통하여 필터링되지 않은 원수는 오염물질과 함께 원수 이동관(120)을 따라 다시 순환하며 정화될 수 있다.
에어 버블링 시스템(195)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유로 변형부(193)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유로 변형부(193)는 분리막 모듈(140) 내의 원수 유입관(146)에 연결 구비된 뒤집어진 원통 형상이며, 밑면과 옆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막 모듈(140) 내의 원수 유입관(146)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를 밑면과 옆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유동되도록 하므로 공기 방울에 의해 필터부(143)로부터 분리된 오염 물질이 쉽게 분리막 모듈(14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에 의하면 오/폐수 등의 원수를 시스템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정화성능을 향상시키고, 원수를 필터링 하는 다수의 규격화된 분리막 모듈(140)을 추가 연결하여 시스템을 확장함으로써 처리 용량을 늘일 수 있으며, 분리막 모듈(140) 내의 필터를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에 사용되는 분리막 모듈(140), 일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 양측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의 형상은 원수 및 처리수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하 설명하는 도 9 내지 도 13에서 그 변형 예들을 설명한다.
도 9는 원수가 분리막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원수 유입구(215a), 처리된 원수가 배출되는 원수 배출구(215b), 적층된 분리막의 최하단부와 최상단부에 연결되는 일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11, 213), 처리수가 배출되는 출구인 처리수 배출구(216a, 216b, 216c), 분리막 모듈(210), 필터부(214), 적층된 분리막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12), 포팅부(217)로 구성되는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 포팅부(217)은 일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11, 213)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12)에 직접 부착된다.
도 10은 원수 유입구(225a), 원수 배출구(225b), 일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21,223), 처리수 배출구(226a, 226b, 226c), 분리막 모듈(220), 필터부(224),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22), 원수 유입관(227)으로 구성되는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분리막 모듈에는 원수 유입관(227)이 추가로 설치되어 처리수 및 원수의 흐름이 도 9와는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원수 유입관(227)을 따로 설치하면 모듈 내부에 흐르는 원수의 흐름이 더욱 균일해지는 특징이 있다.
도 11은 원수 유입구(235a), 원수 배출구(235b), 일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31, 233), 처리수 배출구(236a, 236b, 236c), 분리막 모듈(230), 필터부(234),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32), 원수 유입관(237)으로 구성되는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서 원수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32)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원주 방향을 따르는 측면에 설치되는 유로를 통해서도 상단 부로 유입되므로, 더욱 균일한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2는 원수 유입구(245a), 원수 배출구(245b), 일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41, 243), 처리수 배출구(246a, 246b, 246c), 분리막 모듈(240), 필터부(244),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42), 원수 유입관(247)으로 구성되는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원수 유입구(255a), 원수 배출구(255b), 일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51, 253), 처리수 배출구(256a, 256b, 256c), 분리막 모듈(250), 필터부(254),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252), 원수 유입관(257)으로 구성되는 변형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의 유로를 표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의 분리막 모듈(140)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분리막 모듈(140)의 포팅부(145)의 평면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의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의 단면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100)의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60)의 단면도,
도 7은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150, 160)의 평면도 및,
도 8은 도 1에서 도시된 분리막 모듈(140)에 에어 버블링 시스템(195)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분리막 적층 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110 : 원수 탱크
112 : 원수 배출구 116 : 원수 유입구
120 : 원수 이동관 130 : 가압 펌프
140 : 분리막 모듈 141 : 분리막 모듈 하우징
143 : 필터부 144 : 필터 장착부
145 : 포팅부 146 : 원수 유입관
147 : 2-오링 148 : 체결 부재
150 :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151 :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
153 : 제 1 내부 통로관 155 : 제 1 개구부
156 : 제 1 홈
160 :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161 :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
163 : 제 2 내부 통로관 165 : 제 2 개구부
166 : 제 2 홈 170 : 흡인 펌프
180 : 처리수 이동관 190 : 처리수 탱크
192 : 처리수 유입구 195 : 에어 버블링 시스템
197 : 에어 버블 공급관

Claims (12)

  1. 대용량의 원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원수 탱크;
    상기 원수 탱크의 일 측면에 개구 설치된 원수 배출구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원수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원수가 다시 상기 원수 탱크에 구비된 원수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원수 탱크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원수 이동관;
    상기 원수 이동관의 경로 상에 하나 또는 2 이상 구비되며 상기 원수 이동관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도록 내부에 필터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중공 원통형의 분리막 모듈;
    상기 분리막 모듈과 상기 원수 이동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원수 이동관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는 중공 원통형의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상기 분리막 모듈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원수 이동관을 통하여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는 중공 원통형의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상기 일 측 또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의 측면에 연결 구비되며 상기 분리막 모듈 내에 설치된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유동되는 처리수 이동관; 및,
    상기 처리수 이동관을 통하여 유동되는 정수를 임시로 저장하는 처리수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이동관의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원수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를 상기 분리막 모듈로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가압펌프; 및,
    상기 처리수 이동관의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과한 정수 를 상기 처리수 탱크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압력을 가하는 흡인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의 일 측면에 연결 구비된 공기 방울을 생성할 수 있는 에어 버블링 시스템;
    상기 에어 버블링 시스템과 상기 분리막 모듈의 일 측면을 연결하고 상기 분리막 모듈 내의 필터부에 공기 방울을 공급하도록 상기 분리막 모듈 내부로 연장 된 에어 버블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모듈 하우징; 상기 분리막 모듈의 양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필터부의 양 측 단부를 삽입 설치할 수 있는 원통 홈 형상의 필터 장착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된 포팅부; 및, 상기 원수 이동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하여 유동하도록 상기 포팅부 중앙에서 내부로 연장 형성된 원수유입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는
    상기 모듈 연결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형의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 상기 원수 이동관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유동되도록 상기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중앙 축 상에 구비된 제 1 내부 통로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막 모듈의 포팅부와 맞닿는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단면이 직사각형인 제 1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1 홈 사이에 하나 또는 2 이상의 제 1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처리수 이동관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는
    상기 모듈 연결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형의 양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 상기 분리막 모듈의 내부를 통과한 원수가 유동되도록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중앙 축 상에 구비된 제 2 내부 통로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막 모듈의 포팅부와 맞닿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상하 양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단면이 직사각형인 제 2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 홈 사이에 하나 또는 2 이상의 제 2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필터부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처리수 이 동관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 내의 상기 원수 유입관에 연결 구비되고 밑면과 옆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뒤집어진 원통 형상의 유로 변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원수 유입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를 윗 방향과 옆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의 원수 유입관과 상기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의 제 1 내부 통로관의 접촉부 또는 상기 분리막 모듈 하우징과 상기 일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접촉부에는 2-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의 원수 유입관과 상기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의 제 2 내부 통로관의 접촉부 또는 상기 분리막 모듈 하우징과 상기 양 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하우징의 접촉부에는 2-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의 필터부에는 중공사막 또는 주름 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11. 원수가 분리막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원수 유입구, 처리된 원수가 배출되는 원수 배출구, 적층된 분리막의 최하단부와 최상단부에 연결되는 일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처리수가 배출되는 출구인 처리수 배출구, 분리막 모듈, 필터부, 적층된 분리막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양측 개방 분리막 모듈 연결부, 포팅부로 구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적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분리막 모듈 내부에 원수 유입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적층 방법.
KR1020080094992A 2008-02-28 2008-09-26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분리막 적층 방법 KR101031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4633 2008-02-28
KR1020080014633 2008-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769A KR20090093769A (ko) 2009-09-02
KR101031673B1 true KR101031673B1 (ko) 2011-04-29

Family

ID=4130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992A KR101031673B1 (ko) 2008-02-28 2008-09-26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분리막 적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6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175B1 (ko) 2011-12-08 2013-11-15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중공섬유 분리막 모듈
KR101384239B1 (ko) 2013-10-31 2014-04-17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침지형 세라믹 분리막 모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787942B1 (ko) 2017-01-23 2017-10-25 (주)세프라텍 분리막 접촉기용 중공사 모듈
KR20200088136A (ko)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이케이 나선관을 이용한 분리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6363A2 (de) 2000-09-28 2002-04-04 Va Tech Wabag Gmbh Membranfilteranlage und verfahren zum filtern
JP2005046689A (ja) 2003-07-31 2005-02-24 Nok Corp 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20060028090A (ko) * 2004-09-24 2006-03-2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20060070718A (ko) * 2004-12-21 2006-06-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압 및 흡인압을 동시에 이용하는 수처리 방법 및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26363A2 (de) 2000-09-28 2002-04-04 Va Tech Wabag Gmbh Membranfilteranlage und verfahren zum filtern
JP2005046689A (ja) 2003-07-31 2005-02-24 Nok Corp 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20060028090A (ko) * 2004-09-24 2006-03-2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20060070718A (ko) * 2004-12-21 2006-06-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압 및 흡인압을 동시에 이용하는 수처리 방법 및 수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175B1 (ko) 2011-12-08 2013-11-15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중공섬유 분리막 모듈
KR101384239B1 (ko) 2013-10-31 2014-04-17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침지형 세라믹 분리막 모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787942B1 (ko) 2017-01-23 2017-10-25 (주)세프라텍 분리막 접촉기용 중공사 모듈
KR20200088136A (ko)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이케이 나선관을 이용한 분리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769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Introduction to membrane processes for water treatment
CN102030390B (zh) 一种处理废水的膜精密过滤装置及其应用
KR100974912B1 (ko)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유니트
JP6258454B2 (ja) 加圧式中空糸膜モジュールを含むろ過システム
US8753509B2 (en) Advanced filtration device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Massé et al. Dead-end and tangential ultrafiltration of natural salted water: Influence of operating parameters on specific energy consumption
WO20000405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filtration
JP2015077530A (ja) 造水方法および造水装置
KR101031673B1 (ko)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분리막 적층 방법
KR101179489B1 (ko) 정삼투 현상을 이용한 저에너지형 수처리 시스템
KR101732811B1 (ko) 고분자 유도물질을 사용한 에너지 저감형 정삼투막-여과막 결합 수처리와 해수담수화 시스템 및 방법
WO2012035692A1 (ja) 水分離膜モジュール
TW201309598A (zh) 水淡化系統以及淡水化方法
KR20100092227A (ko)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여과 시스템
KR101692689B1 (ko) 가압식 모듈을 이용한 여과 시스템 및 여과 방법
KR101557544B1 (ko) 중공사막 모듈
KR20090089776A (ko) 양방향 유로관 및 그를 이용한 블록형 정수 장치
KR101372101B1 (ko)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JP2015123436A (ja) 水処理方法
KR20150003140A (ko) 수처리설비
CN218968939U (zh) 一种反渗透装置
KR101568041B1 (ko) 여과 시스템
KR102379631B1 (ko) 양돈 또는 축산용 소형 폐수 처리장치
KR20130033037A (ko)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의 세정 시스템 및 그 세정 방법
JP7213711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