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101B1 -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2101B1 KR101372101B1 KR1020120150884A KR20120150884A KR101372101B1 KR 101372101 B1 KR101372101 B1 KR 101372101B1 KR 1020120150884 A KR1020120150884 A KR 1020120150884A KR 20120150884 A KR20120150884 A KR 20120150884A KR 101372101 B1 KR101372101 B1 KR 1013721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w water
- line
- flow path
- path switching
- switching val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4—Feed pre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4—Specific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막모듈에 의해 막여과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원수 내에 분산되어 있는 고형물(현탁물질, 유기물, 미생물 등) 뿐만 아니라 용존물질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막여과공정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는, 막여과공정이 진행되는 분리막모듈의 상류에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통해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라인은 원수조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라인은 배수조와 연결되고,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여과 및 역세가 상호 교대로 진행되도록 복수의 이송관로 및 복수의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는, 막여과공정이 진행되는 분리막모듈의 상류에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통해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라인은 원수조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라인은 배수조와 연결되고,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여과 및 역세가 상호 교대로 진행되도록 복수의 이송관로 및 복수의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막모듈에 의해 막여과공정이 진행되기 전에 원수 내에 분산되어 있는 고형물(현탁물질, 유기물, 미생물 등) 뿐만 아니라 용존물질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막여과공정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발전과 인구증가, 도시의 인구집중 등으로 인해 각종 용수량의 증가와 함께 오,폐수 중에는 무기 및 유기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오,폐수에는 COD(Cemical Oxygen Demand),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SS(현탁물질), 질소, 인 등과 같은 고농도 유기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하천, 호소 및 댐 등으로 흘러들어가면 부영양화 등과 같은 수자원 오염 내지 생태계의 파괴 등이 초래되어 환경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에, 오,폐수를 정화하는 다양한 수질환경오염 제어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질환경오염 제어기술로서 최근에는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기술은 1) 화학적 처리와 생물학적 처리 및 분리막을 병용한 기술, 2) 화학적 처리와 막을 병용한 기술, 3) 물리적 처리와 분리막을 병용한 기술 등이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수처리에 이용되는 분리막은 중공사형(hollow fiber typ)으로, 중공사 다발을 내장하는 방식으로 가압식(pressurized moudle)과 침지식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가압식 분리막모듈은 중공사 다발을 케이싱 내에 정렬하고, 이 케이싱은 정격 압력을 가지며, 필요시에 역세압력에 대응하여 급수펌프가 가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식 분리막모듈은 반사율이 높고 투과율이 낮으며, 시설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장점이 있다.
침지식 분리막모듈은 원수가 저장된 분리막조, 이 분리막조 내에 분리막이 침지된 분리막유닛, 이 분리막조 내의 하부에서 블로워에 의해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관을 가진 산기유닛, 분리막유닛의 상단 헤드에는 막여과 공정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배관 및 흡입펌프 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에서 막여과공정 전에 분리막의 막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전처리공정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처리공정은 막여과공정의 처리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합한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전처리공정은 분리막모듈의 전방측에 응집조 및 침전조가 설치되고, 응집조 내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원수 내에 분산된 고형물(현탁물질, 유기물, 미생물 등)을 플록(floc)으로 응집시킨 후에 침전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전처리공정은 플록의 사이즈가 커질 경우에는 플록의 끈적거림으로써 분리막의 안정성이 저해되고, 이에 분리막의 안정성을 위하여 미량의 응집제만을 투입하기 때문에 탁질제거율은 높으나 미량의 응집제만을 사용함에 따라 용존물질 제거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처리공정은 분리막모듈의 전방측에 응집조 및 침전조가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별도의 대형 부지가 요구되고, 이로 인해 그 설비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 분리막모듈의 상류에서 충분한 양의 응집제를 사용하여 대형 플록을 형성한 후에 필터유닛의 여재에 의해 대형 플록을 제거함으로써 탁질제거율 뿐만 아니라 용존물질 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는,
막여과공정이 진행되는 분리막모듈의 상류에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통해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라인은 원수조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라인은 배수조와 연결되고,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 사이에는 복수의 이송관로 및 복수의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관로 및 복수의 유로전환밸브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여과 및 역세가 상호 교대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전방측에서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는 제1전방측 이송관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전방측에서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제1전방측 이송관로에 대해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전방측 이송관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후방측에서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는 제1후방측 이송관로; 및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후방측에서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제1후방측 이송관로에 대해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후방측 이송관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제1전방측 이송관로와 원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유로전환밸브, 상기 제1전방측 이송관로와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2유로전환밸브, 상기 제2전방측 이송관로와 원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3유로전환밸브, 상기 제2전방측 이송관로와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된 제4유로전환밸브, 상기 제1후방측 이송관로와 원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5유로전환밸브, 상기 제1후방측 이송관로와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6유로전환밸브, 상기 제2후방측 이송관로와 원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된 제7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2후방측 이송관로와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8유로전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8 유로전환밸브는 삼방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막모듈은 가압식 분리막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막모듈은 침지식 분리막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배수라인의 도중에는 배수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전방식이 아닌 원수의 고형물 및 용존물질을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여재를 이용하여 직접 여과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분리막모듈의 상류 측에서 충분한 양의 응집제를 사용하여 대형 플록을 형성한 후에 필터 내에서 대형 플록을 제거함으로써 탁질제거율 뿐만 아니라 용존물질 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여과 및 역세공정을 교대로 진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소형의 필터유닛을 이용하더라도 전처리 여과안정성을 대폭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에서 제1필터유닛의 여과공정, 제2필터유닛의 역세공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에서 제1필터유닛의 역세공정, 제2필터유닛의 여과공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에서 제1필터유닛의 여과공정, 제2필터유닛의 역세공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에서 제1필터유닛의 역세공정, 제2필터유닛의 여과공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는, 막여과공정이 진행되는 분리막모듈(5)의 상류에 원수라인(21)과 배수라인(22)을 통해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을 포함한다.
제1필터유닛(11)는 케이스(11a) 및 이 케이스(11a) 내에 충전된 여재(11b)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1a)의 유입단 및 유출단 각각은 원수라인(21)의 도중에 소통되게 연결된다.
제2필터유닛(12)은 케이스(12a) 및 이 케이스(12a) 내에 충전된 여재(12b)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2a)의 유입단 및 유출단 각각은 배수라인(22)의 도중에 소통되게 연결된다.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의 여재(11b, 12b)는 모래, 자갈, 석류석, 활성탄, 규조토, 안트라사이트 등과 같은 입자 형태로 이루어져 원수 내에 분산된 각종 고형물 및 용존물질 등을 여과할 수 있다. 그외에도, 여재(11b, 12b)는 여과포, 종이, 펠트, 스펀지 등과 같은 섬유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막모듈(5)은 그 하단부에 원수유입구(5a)가 구비되고, 분리막모듈(5)의 상단부에는 막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여과수 배출구(5b)가 구비되며, 분리막모듈(5)의 일측에는 역세용 배수구(5c)가 구비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막모듈(5)은 가압식 분리막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원수라인(21)의 일단부는 원수조(23)에 접속되고, 원수라인(21)의 타단부는 분리막모듈(5)의 원수유입구(5a) 측에 접속된다. 이에 원수조(23)로부터 원수라인(21)을 거쳐 분리막모듈(5)의 원수유입구(5a) 측으로 원수가 공급된다.
배수라인(22)의 일단부는 배수조(24)에 접속되고, 배수라인(22)의 타단부는 분리막모듈(5)의 역세용 배수구(5c) 측에 접속된다. 이에 분리막모듈(5) 내의 원수 중 일부가 배수되어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면서 그 각각의 여재(11b, 12b)를 역세한 후에 배수조(24)로 배수된다.
원수라인(21)과 배수라인(22) 사이에는 복수의 이송관로(31, 32, 33, 34) 및 복수의 유로전환밸브(41, 42, 43, 44, 45, 46, 47, 48)가 설치되고, 복수의 이송관로(31, 32, 33, 34) 및 복수의 유로전환밸브(41, 42, 43, 44, 45, 46, 47, 48)에 의해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의 여과 및 역세가 상호 교대로 진행될 수 있다.
복수의 이송관로(31, 32, 33, 34)는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의 전방측에서 원수라인(21)과 배수라인(22)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전방측 이송관로(31, 32), 및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의 후방측에서 원수라인(21)과 배수라인(22)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후방측 이송관로(33, 34)를 포함한다.
제1전방측 이송관로(31)와 제2전방측 이송관로(32)는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고, 제1후방측 이송관로(33)와 제2후방측 이송관로(34)는 서로 교차되게 설치된다.
복수의 유로전환밸브(41, 42, 43, 44, 45, 46, 47, 48)는 삼방밸브로 구성되어 그 각각의 유로를 변환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의 전방측에서 원수라인(21)과 배수라인(22)을 제1 및 제2 전방측 이송관로(31, 32) 측에 선택적으로 소통시킴과 더불어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의 후방측에서 원수라인(21)과 배수라인(22)을 제1 및 제2 후방측 이송관로(33, 34) 측에 교대로 소통시키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유로전환밸브(41, 42, 43, 44, 45, 46, 47, 48)는 제1전방측 이송관로(31)와 원수라인(21)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유로전환밸브(41), 제1전방측 이송관로(31)와 배수라인(22)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2유로전환밸브(42), 제2전방측 이송관로(32)와 원수라인(21)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3유로전환밸브(43), 제2전방측 이송관로(32)와 배수라인(22)이 연결되는 부부에 설치된 제4유로전환밸브(44), 제1후방측 이송관로(33)와 원수라인(21)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5유로전환밸브(45), 제1후방측 이송관로(33)와 배수라인(22)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6유로전환밸브(46), 제2후방측 이송관로(34)와 원수라인(21)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된 제7유로전환밸브(47), 및 제2후방측 이송관로(34)와 배수라인(22)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8유로전환밸브(48)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응집제를 원수 측에 대량으로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부(미도시)가 마련되며, 이 응집제 공급부는 원수조(23)에 설치되어 원수에 미리 응집제를 공급하여 대형의 플록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원수라인(21)의 상류단에 인접하여 설치되거나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필터유닛(11)에서 원수의 여과과정을 진행함과 동시에 제2필터유닛(12)에서는 역세과정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유로전환밸브(41, 42, 43, 44)는 제1필터유닛(11)의 양단부 각각이 원수라인(21)과 소통하도록 유로를 전환하고, 제5 내지 제8 유로전환밸브(45, 46, 47, 48)는 제2필터유닛(12)의 양단부 각각이 배수라인(22)과 소통하도록 유로를 전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수조(23)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원수라인(21)을 통해 제1필터유닛(11)을 통과함에 따라 원수 내의 고형물 및 용존물질이 제1필터유닛(11)의 여재(11b)에 의해 전처리 여과될 수 있다. 이때, 공급되는 원수에는 대량의 응집제가 투입되고, 이렇게 투입된 응집제에 의해 원수 내의 고형물은 대형의 플록(floc)이 형성되며, 이러한 대형의 플록 뿐만 아니라 용존물질 등이 제1필터유닛(11)의 여재(11b)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렇게 제1필터유닛(11)에 의해 전처리 여과된 원수는 분리막모듈(5)의 원수유입구(5a)로 유입되어 분리막모듈(5)에 의해 막여과공정을 거친 후에 여과수 배출구(5b)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분리막모듈(5)의 역세용 배수구(5c)를 통해 일부의 원수가 배수라인(22)를 거쳐 제2필터유닛(12) 측으로 역류하고, 이렇게 제2필터유닛(12)를 역류하는 일부의 원수는 제2필터유닛(12) 내의 여재(12b)를 역세한 후에 배수조(24)로 배수된다.
이와 반대로, 제2필터유닛(12)에서 원수의 여과과정을, 제1필터유닛(11)에서 역세과정을 동시에 진행하고자 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유로전환밸브(41, 42, 43, 44)는 제1필터유닛(11)의 양단부 각각이 배수라인(22)과 소통하도록 유로를 전환하고, 제5 내지 제8 유로전환밸브(45, 46, 47, 48)는 제1필터유닛(12)의 양단부 각각이 원수라인(22)과 소통하도록 유로를 전환한다. 즉, 복수의 유로전환밸브(41, 42, 43, 44, 45, 46, 47, 48)는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서 원수라인(21)과 배수라인(22)을 교차되게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원수조(23)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원수라인(21)에서 분류된 후에 제1전방측 이송라인(31)을 거쳐 제2필터유닛(12)을 통과함에 따라 원수 내의 고형물 및 용존물질은 제2필터유닛(12)의 여재(12b)에 의해 전처리 여과될 수 있다. 이때, 공급되는 원수에는 대량의 응집제가 투입되고, 이렇게 투입된 응집제에 의해 원수 내의 고형물은 대형의 플록(floc)이 형성되며, 이러한 대형의 플록 뿐만 아니라 용존물질 등이 제2필터유닛(12)의 여재(12b)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2필터유닛(12)에 의해 여과된 원수는 제1후방측 이송라인(33)을 통과하여 다시 원수라인(21)으로 합류하며, 그런 다음 분리막모듈(5)의 원수유입구(5a)으로 유입되어 분리막모듈(5)에 의해 막여과공정을 거친 후에 여과수 배출구(5b)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분리막모듈(5)에서 일부의 원수가 역세용 배수구(5c)를 통해 제2후방측 이송라인(34)을 거쳐 제1필터유닛(11) 측으로 역류하고, 이렇게 역류하는 일부의 원수는 제1필터유닛(11) 내의 여재(11b)를 역세한 후에 제2전방측 이송관로(32)를 거쳐 배수조(24)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침전방식이 아닌 제1 및 제2 필터유닛(11, 12)의 여재(11b, 12b)에 의해 원수를 직접 여과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분리막모듈의 전방측에서 충분한 양의 응집제를 사용하여 대형 플록을 형성한 후에 필터 내에서 대형 플록을 제거함으로써 탁질제거율 뿐만 아니라 용존물질 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이송관로(31, 32, 33, 34) 및 복수의 유로전환밸브(41, 42, 43, 44, 45, 46, 47, 48)에 의해 제1필터유닛(11) 및 제2필터유닛(12)의 여과공정 및 역세공정이 상호 교대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처리 여과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분리막모듈(5)이 침지식 분리막모듈로 구성되고, 이에 배수라인(22)의 도중에는 배수펌프(5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배수펌프(51)는 분리막모듈(5)의 역세용 배수구(5c)에서 역세용 원수를 보다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제8유로전환밸브(48)와 역세용 배수구(5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5: 분리막모듈 11: 제1필터유닛
12: 제2필터유닛 21: 원수라인
22: 배수라인 23: 원수조
24: 배수조 31: 제1전방측 이송관로
32: 제2전방측 이송관로 33: 제1후방측 이송관로
34: 제2후방측 이송관로 41: 제1유로전환밸브
42: 제2유로전환밸브 43: 제3유로전환밸브
44: 제4유로전환밸브 45: 제5유로전환밸브
46: 제6유로전환밸브 47: 제7유로전환밸브
48: 제8유로전환밸브
12: 제2필터유닛 21: 원수라인
22: 배수라인 23: 원수조
24: 배수조 31: 제1전방측 이송관로
32: 제2전방측 이송관로 33: 제1후방측 이송관로
34: 제2후방측 이송관로 41: 제1유로전환밸브
42: 제2유로전환밸브 43: 제3유로전환밸브
44: 제4유로전환밸브 45: 제5유로전환밸브
46: 제6유로전환밸브 47: 제7유로전환밸브
48: 제8유로전환밸브
Claims (5)
- 막여과공정이 진행되는 분리막모듈의 상류에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통해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라인은 원수조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라인은 배수조와 연결되고,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 사이에는 복수의 이송관로 및 복수의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이송관로 및 복수의 유로전환밸브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여과 및 역세가 상호 교대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로는,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전방측에서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는 제1전방측 이송관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전방측에서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제1전방측 이송관로에 대해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전방측 이송관로;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후방측에서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는 제1후방측 이송관로; 및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의 후방측에서 상기 원수라인과 배수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제1후방측 이송관로에 대해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2후방측 이송관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제1전방측 이송관로와 원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유로전환밸브, 상기 제1전방측 이송관로와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2유로전환밸브, 상기 제2전방측 이송관로와 원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3유로전환밸브, 상기 제2전방측 이송관로와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된 제4유로전환밸브, 상기 제1후방측 이송관로와 원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5유로전환밸브, 상기 제1후방측 이송관로와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6유로전환밸브, 상기 제2후방측 이송관로와 원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된 제7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2후방측 이송관로와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8유로전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8 유로전환밸브는 삼방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모듈은 가압식 분리막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모듈은 침지식 분리막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배수라인의 도중에는 배수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0884A KR101372101B1 (ko) | 2012-12-21 | 2012-12-21 |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0884A KR101372101B1 (ko) | 2012-12-21 | 2012-12-21 |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2101B1 true KR101372101B1 (ko) | 2014-03-25 |
Family
ID=5064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0884A KR101372101B1 (ko) | 2012-12-21 | 2012-12-21 |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210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1851B1 (ko) | 2016-11-10 | 2017-05-11 | (주)한국수질기술연구원 | 원통형 전처리 여과장치. |
CN112279399A (zh) * | 2020-11-10 | 2021-01-29 | 江苏电子信息职业学院 | 一种可移动式海水淡化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1233B1 (ko) | 2007-01-25 | 2007-08-23 | 정수환 | 한외여과식 중수 처리 장치 |
JP2010253418A (ja) | 2009-04-27 | 2010-11-11 | Yanmar Co Ltd |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
JP2012239948A (ja) | 2011-05-17 | 2012-12-10 | Toray Ind Inc | ろ過材の洗浄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
-
2012
- 2012-12-21 KR KR1020120150884A patent/KR1013721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1233B1 (ko) | 2007-01-25 | 2007-08-23 | 정수환 | 한외여과식 중수 처리 장치 |
JP2010253418A (ja) | 2009-04-27 | 2010-11-11 | Yanmar Co Ltd | 逆洗浄機能付濾過システムおよび濾過器の洗浄方法 |
JP2012239948A (ja) | 2011-05-17 | 2012-12-10 | Toray Ind Inc | ろ過材の洗浄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1851B1 (ko) | 2016-11-10 | 2017-05-11 | (주)한국수질기술연구원 | 원통형 전처리 여과장치. |
CN112279399A (zh) * | 2020-11-10 | 2021-01-29 | 江苏电子信息职业学院 | 一种可移动式海水淡化装置 |
CN112279399B (zh) * | 2020-11-10 | 2023-04-18 | 江苏电子信息职业学院 | 一种可移动式海水淡化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egatheesan et al. | Treatment of textile wastewater with membrane bioreactor: a critical review | |
Hamedi et al. |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membrane bioreactors (MBRs) and fouling phenomena: a systematic review | |
KR20080045166A (ko) | 물 정수 장치 및 방법 | |
US10807023B2 (en) |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ter and wastewater | |
CN103172216A (zh) | 一种用于污水深度处理回用的方法 | |
CN106587451B (zh) | 用于微污染水源水处理的去离子一体化处理方法及其装置 | |
CN210030227U (zh) | 化学镀镍漂洗废水的浓缩处理装置 | |
CN104129887A (zh) | 一种基于膜生物反应器的中水回用系统 | |
JPWO2008096585A1 (ja) | ろ過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 |
KR100356343B1 (ko) | 역삼투막을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중수처리 시스템 | |
KR101372101B1 (ko) | 막여과공정용 전처리장치 | |
KR101031673B1 (ko) | 적층형 막분리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분리막 적층 방법 | |
CN101186418A (zh) | 造纸工业废水的回收利用方法 | |
JP4844825B2 (ja) | サテライト処理場の汚水処理装置 | |
KR101073536B1 (ko) | 다수의 공급라인이 구비된 패키지형 정수처리 시스템 | |
CN203360220U (zh) | 石油焦玻璃窑余热锅炉清洗废水处理系统 | |
CN205892904U (zh) | 用于自动处理污水的一体化设备 | |
CN201400615Y (zh) | 循环水排污水的处理系统 | |
KR101408399B1 (ko) | 리볼버타입의 막여과용 전처리장치 | |
Meabe et al. | Ceramic membrane bioreactor: potential applications and challenges for the future | |
KR101469634B1 (ko) |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 |
CN106007085A (zh) | 一种纺织废水处理装置 | |
CN206467068U (zh) | 一种可移动的成套废水处理系统 | |
CN105084596A (zh) | 一种循环式雨水综合处理装置及处理方法 | |
Pellegrin et al. | Membrane proces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