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592B1 - 먼지 제거기 - Google Patents

먼지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592B1
KR101879592B1 KR1020170118495A KR20170118495A KR101879592B1 KR 101879592 B1 KR101879592 B1 KR 101879592B1 KR 1020170118495 A KR1020170118495 A KR 1020170118495A KR 20170118495 A KR20170118495 A KR 20170118495A KR 101879592 B1 KR101879592 B1 KR 10187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blower
nozzl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주)대현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현엔텍 filed Critical (주)대현엔텍
Priority to KR1020170118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기포를 흡착수와 함께 분무상태로 분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양측에 투입구(102) 및 배출구(101)를 형성하며, 내부에 팬(103)이 장착되는 송풍기(100);, 상기 송풍기에 형성되며, 흡착수를 분사하는 노즐(200);, 상기 노즐에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용기(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먼지 제거기 {Device for removing dust}
본 발명은 미세기포를 흡착수와 함께 분무상태로 분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대기오염 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기체/액체 접촉 효율을 높이기 위해 충진하는 충진층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며, 순환배관 내 이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스케일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마이크로버블 공급장치는 용수공급부, 상기 용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에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켜 마이크로버블 함유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부,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마이크로버블 함유수로부터 상기 마이크로버블의 양을 검출하는 마이크로버블 센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마이크로버블 함유수를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로 순환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마이크로버블 함유수가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관 및 상기 마이크로버블 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버블 함유수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공기 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터의 축에 고정되는 회전 디스크와, 축에 미고정되는 고정 디스크를 교번적으로 이격 설치하고, 회전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에 슬릿홀을 형성하여 기포가 회전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의 슬릿홀을 통과하면서 회전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미세하게 분쇄되어 다량의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버블발생장치를 기반으로 장치 내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마이크로 버블화시켜 각종 오염 물질을 물에 포집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공기 청정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기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건설폐기물의 처리 공정상 약간의 물을 비산방지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물과 함께 시멘트 성분이 백 필터(bag filter)에 흡착되면서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초기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과, 자바라형 비산먼지 유입관에서 유입된 비산먼지를 수조관내에서 집진하는 장치의 경우에, 비산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수조관의 물을 통과하기 위해서 다소 과한 힘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과, 물속에 포함되어 응집된 비산먼지가 물 표면 위로 버블형태로 올라와, 버블이 터지면서 수조관 위로 다시 비산먼지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비산먼지 흡입팬모듈(100), 물마찰튀김형 비산먼지 제거모듈(200), 물공급탱크부(300), 압력조절밸브(400), 슬러지배출모듈(500), PLC 제어모듈(600)로 구성 됨으로서,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끌어당겨 밀폐된 내부공간에서 방사형 물입자와 비산먼지 사이의 물 마찰튀김효과를 통해 비산먼지를 제거하며, 바닥면에 쌓인 슬러지 높이를 센싱하여 외부로 자동배출시키는 기술을 제시하며, 물흡입, 물분사, 슬러지제거의 반복적인 공정과, 수조부의 물부족시 수위센서를 통해 PLC제어모듈의 제어에의해 물저장 탱크로부터 자동 공급받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세척을 하고자 하는 물건에 있는 이물질과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서 초음파 살균법 및 이를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고 무선 충전식 초음파 구체에 관한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발생장치와 구체표면 ON & OFF스위치, 유도 코일에 의한 에너지 전달 방법 무선충전 코드 장치를 구비 함으로써 식기뿐만 아니라 세탁물에도 초음파 세척기를 투입하고 무선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669125 B1 (등록일자 2016년10월19일) KR 10-1614906 B1 (등록일자 2016년04월18일) KR 10-1621768 B1 (등록일자 2016년05월11일) KR 10-2017-0066126 A (공개일자 2017년06월14일)
본 발명은 미세기포를 흡착수와 함께 분무상태로 분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먼지제거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양측에 투입구(102) 및 배출구(101)를 형성하며, 내부에 팬(103)이 장착되는 송풍기(100);, 상기 송풍기에 형성되며, 흡착수를 분사하는 노즐(200);, 상기 노즐에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용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먼지제거기는 앞에서 제시한 송풍기, 노즐, 흡착수공급용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복수로 형성되며, 송풍기 내부 또는 외부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먼지제거기는 앞에서 제시한 송풍기, 노즐, 흡착수공급용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510)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500);, 상기 힌지 각도를 회동시키는 제1회전장치(510);, 상기 메인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2회전장치(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먼지제거기는 앞에서 제시한 송풍기, 노즐, 흡착수공급용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미세기포발생기(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먼지제거기는 앞에서 제시한 송풍기, 노즐, 흡착수공급용기의 구성에 있어서, 일측에 먼지가 포함된 물 진입용 진입구(701)를 형성하며, 내부에 물 및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기(702)를 수용하며, 타측에 정화수관(703)에 의해 정화된 흡착수를 이송하는 정화기(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작업환경 내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미세기포를 수용하는 흡착수를 공기 중에 분사하여 먼지를 포집하며, 중력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므로 완전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송풍기에 의해 바람을 공급하며, 노즐에 의해 흡착수를 분사하므로 분무형태로 흡착수를 분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한 차량 및 캐리어에 장착하므로 자주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차량 등의 동력을 이용하므로 모듈화된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제어기에 의해 흡착수 분사량, 미세기포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먼지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조건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풍기의 상하작동 및 좌우작동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먼지가 존재하는 공간에서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위해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송풍기 및 흡착수공급용기가 일체로 수용되는 운반기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화기 및 흡착수공급용기에 결합된 미세기포발생기의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기 및 메인프레임의 작동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먼지 제거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양측에 투입구(102) 및 배출구(101)를 형성하며, 내부에 팬(103)이 장착되는 송풍기(100);, 상기 송풍기에 형성되며, 흡착수를 분사하는 노즐(200);, 상기 노즐에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용기(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공사현장의 공기 중에 떠있는 먼지 등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해, 흡착수를 공기 중으로 분무시켜 흡착수와 먼지 등을 결합시키며, 흡착수와 결합된 먼지는 중력에 의해 지면으로 낙하되어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제거기에 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시키는 송풍기, 분출되는 공기 중에 흡착수를 포함시키는 노즐, 상기 노즐에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용기로 이루어진다. 송풍기는 공기 투입용 투입구 및 공기 배출용 배출구를 형성하며, 투입구와 배출구는 관통된다. 상기 송풍기 내부는 모터 및 팬을 형성하여 공기에 추진력을 부여한다. 상기 노즐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과 상기 흡착수공급용기를 연통하며, 흡착수를 이송시키는 제1연통관(310);, 상기 제1연통관에 형성되는 제1펌프(320);를 포함한다.
흡착수공급용기에는 흡착수를 수용하며, 흡착수는 제1펌프를 통해 상기 노즐로 공급된다. 제1펌프와 노즐 사이에는 제1연통관을 형성한다. 제1연통관은 고정관 또는 유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통관은 분기구를 통해 복수로 분기되어 각각의 노즐에 흡착수를 공급한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1제어기(104);를 포함한다.
팬 회전속도 조절은 공기 분출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공기분출속도를 조정하여 분출되는 거리 및 분무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펜의 회전수는 제1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제어기가 조작된다.
(실시예 1-4) 실시예 1-1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송풍기를 설치하며, 엔진 또는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운반기(410);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실시예 1-1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송풍기를 설치하며, 일면에 주행용 바퀴를 설치하며, 차량과 착탈용 견인기(421)가 형성되는 캐리어(420);를 포함한다.
먼지제거기는 다양한 한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사현장, 터널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자체동력을 가지는 운반기에 장착되며, 운반기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용 바퀴가 장착되거나 견인기를 장착하여 차량 등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자주성을 확보 및 동력원 확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먼지제거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복수로 형성되며, 송풍기 내부 또는 외부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송풍기 투입구 또는 배출구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송풍기 내부에 형성되며, 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노즐에서 분사되는 흡착수는 분무형태로 살포되며, 송풍기 팬에 의해 추진력을 얻은 공기는 상기 분무된 흡착수를 분사시킨다. 이는 원하는 위치까지 흡착수를 이송시키는 효과가 있다. 분무효율 향상을 위해, 노즐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송풍기 배출구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기 내부에 노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송풍기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 팬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4)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는 분무캡(201)을 형성하며, 분무캡에는 복수의 분출구(202)를 형성하며, 상기 분무캡은 제2제어기(203)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포함한다.
노즐입구에는 복수의 분출구로 형성된 분무캡을 덮는다. 분무캡 내부에는 노즐입구로부터 분사된 흡착수가 파쇄되어 분출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분무캡과 노즐입구 사이에는 갭을 형성하며, 상기 갭은 외부조작으로 간격이 조정된다. 외부조작은 상기 분무캡과 결합된 동력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동력장치는 제2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분무캡의 이동을 제어하며, 이는 분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먼지제거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510)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500);, 상기 힌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회동시키는 제1회전장치(510);, 상기 메인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2회전장치(520);를 포함한다.
송풍기는 외부장치와 결합된다. 송풍기의 배출구 방향은 원하는 방향으로 분출각도를 변화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 송풍기와 외부장치는 메인프레임으로 연결된다. 메인프레임과 송풍기는 축과 축지지용 힌지로 결합된다. 상기 축은 송풍기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는 메인프레임에 형성된다. 상기 축은 송풍기 무게중심 부위에 형성된다. 이는 작은 동력으로도 중량의 송풍기를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송풍기 상하 회동각도 조절을 위해, 제1회전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제1회전장치는 제1모터(511) 또는 실린더(512)를 사용하여 상기 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제1모터는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며, 제1모터축은 상기 축과 결합되어 송풍기를 회동시킨다.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실린더 일측은 메인프레임에 장착되고, 타측은 송풍기에 장착되어 송풍기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송풍기 상하각도의 수동조절을 위해 제1핸들(513)을 상기 축에 결합하여 송풍기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송풍기의 좌우각도 회전을 위해 제2회전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제2회전장치는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530)에 장착된다. 메인프레임은 기어(521)를 형성하며, 상기 기어는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된 제2모터(522) 및 피니언(523)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송풍기 좌우각도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어와 결합된 제2핸들(524)의 회전으로 가능하다.
(실시예 3-2)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장치 및 상기 제2회전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3제어기(540);를 포함한다.
송풍기의 상하회동 및 좌우회전의 조절은 앞에서 제시한 제1회전장치 및 제2회전회전장부터 구현된다. 이러한 회동 및 회전은 원격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제3제어기에 의해 가능하다. 즉, 제3제어기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 받으며,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제1회동장치의 제1모터 또는 실린더를 조작하며, 제2회동장치의 제2모터를 회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먼지제거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미세기포발생기(600);를 포함한다.
상기 흡착수공급용기에는 미세기포가 충전되어야 된다. 상기 미세기포는 0.2 내지 0.8mm의 크기로 존재하며, 바람직하게는 0.7mm의 크기로 존재한다. 미세기포를 포함하는 흡착수가 노즐로 분사된다. 미세기포는 물과 함께 분무되며, 먼지와 충돌하여 미세기포가 폭발된다. 미세기포폭발시 먼지에 포함된 균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미세기포발생노즐(601);, 상기 흡착수공급용기의 흡착수를 상기 미세기포발생노즐에 공급하는 흡착수공급관(602);, 상기 흡착수공급관 중간에 형성되는 흡착수공급펌프(603);, 상기 미세기포발생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604); 을 포함한다.
미세기포생성을 위해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는 미세기포발생노즐을 수용한다. 미세기포발생을 위해, 흡착수공급용기의 흡착수가 흡착수공급펌프를 통해 미세기포발생노즐로 순환된다. 순환과정 중 공기공급관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착수공급관으로 진입된다. 흡착수 공급관으로 진입된 공기 및 흡착수는 미세기포발생노즐 내부에서 소용돌이형태로 혼합되며, 중간에 공기만 큰 버블로 형성된다. 공기가 흡착수공급용기로 분출되는 과정에서 소용돌이 물과 충돌하며, 충돌에너지에 의해 큰 버블이 미소한 크기로 파쇄되어 다량의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미세기포발생노즐 내부에는 소용돌이 생성용 보텍스발생기를 삽입하며, 상기 보텍스발생기는 나선형상의 베플로 형성된다. 흡착수 공급속도 및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흡착수공급밸브가 흡착수공급관에 형성되며, 이는 설정된 속도 및 유량으로 흡착수를 미세기포발생노즐에 공급한다.
(실시예 4-3)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에컴프레서(605);, 상기 상기 에어컴프레서의 공기유량을 제어하는 공기유량제어밸브(606);, 상기 공기유량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4제어기(607);를 포함한다.
미세기포생성을 위해 대기중의 공기가 미세기포발생노즐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기공급관에 에어켐프레서를 장착하며, 또한 설정된 공기량 및 압력을 공급하기 위해 공기유량제어밸브를 장착한다. 상기 공기유량제어밸브는 제4제어기에 장착되며, 상기 제4제어기는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형성된 미세기포측정기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제어한다.
(실시예 4-4)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수조(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흡착수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온도유지장치(610);를 포함한다.
흡착수공급용기의 흡착수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는 기포의 생성조건을 최적으로 유지하며, 외부기온에 의해 온도상승 및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온도유지장치는 가열장치(611) 및 냉각장치(612)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는 히터가 장착되며, 냉각장치는 냉매순환관을 형성한다. 상기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는 제5제어기(613)에 의해 제어된다. 제5제어기는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장착된 온도센서(614)의 온도신호를 감지하여 작동된다. 상기 온도센서는 서머커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균등한 목적을 달성하는 대상으로 치환 가능하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먼지제거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일측에 먼지가 포함된 물 진입용 진입구(701)를 형성하며, 내부에 물 및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기(702)를 수용하며, 타측에 정화수관(703)에 의해 정화된 흡착수를 이송하는 정화기(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정화기는 복수로 형성되며, 흡착수를 단계로 정화시키는 다단정화기;를 포함한다.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흡착수를 공급해야 된다. 이는 외부에서 준비된 흡착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는 분무된 흡착수를 정화시켜 재 공급할 수 있다. 분무된 흡착수에는 많은 먼지를 함유하고 있다.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정화기를 장착하며, 정화기는 내부에서 물과 먼지를 분리하여 정화된 물을 흡착수로 활용한다.
상기 정화기는 다단정화과정을 거처 정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기는 별도의 이송장비에 장착되며, 송풍기와 원거리에 설치 가능하다.
100 : 송풍기 102 : 투입구
101 : 배출구 103 : 팬
104 : 제1제어기 200 : 노즐
201 : 분무캡 202 : 분출구
203 : 제2제어기 300 : 흡착수공급용기
310 : 제1연통관 320 : 제1펌프
410 : 운반기 420 : 캐리어
521 : 견인기 500 : 메인프레임
510 : 제1회전장치 511 : 제1모터
512 : 실린더 513 : 제1핸들
520 : 제2회전장치 521 : 기어
522 : 제2모터 523 : 피니언
524 : 제2핸들 530 : 베이스프레임
540 : 제3제어기 600 : 미세기포발생기
601 : 미세기포발생노즐 602 : 흡착수공급관
603 : 흡착수공급펌프 604 : 공기공급관
605 : 에에컴프레서 606 : 공기유량제어밸브
607 : 제4제어기 610 : 온도유지장치
611 : 가열장치 612 : 냉각장치
613 : 제5제어기 614 : 온도센서
700 : 정화기

Claims (5)

  1. 먼지 제거기에 있어서,
    양측에 투입구(102) 및 배출구(101)를 형성하며, 내부에 팬(103)이 장착되는 송풍기(100);,
    상기 송풍기에 형성되며, 흡착수를 분사하는 노즐(200);,
    상기 노즐에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용기(300);,
    상기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미세기포발생기(600);,
    내부에 상기 송풍기를 설치하며, 엔진 또는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운반기(410);,
    상기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미세기포발생노즐(601);,
    상기 흡착수공급용기의 흡착수를 상기 미세기포발생노즐에 공급하는 흡착수공급관(602);,
    상기 흡착수공급관 중간에 형성되는 흡착수공급펌프(603);,
    일측에 먼지가 포함된 물 진입용 진입구(701)를 형성하며, 내부에 물 및 먼지를 분리하는 분리기(702)를 수용하며, 타측에 정화수관(703)에 의해 정화된 흡착수를 이송하는 정화기(700);,
    상기 정화기는 복수로 형성되며, 흡착수를 단계로 정화시키는 다단정화기;,
    상기 정화기는 별도의 이송장비에 장착되는 것;,
    상기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흡착수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온도유지장치(610);,
    상기 온도유지장치는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형성되는 가열장치(611) 및 냉각장치(612);,
    흡착수공급용기 내부에 장착된 온도센서(614);,
    상기 가열장치 및 냉각장치를 제어하는 제5제어기(613);를 포함하는 먼지제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복수로 형성되며, 송풍기 내부 또는 외부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먼지제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510)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500);,
    상기 힌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회동시키는 제1회전장치(510);,
    상기 메인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2회전장치(520);를 포함하는 먼지제거기.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8495A 2017-09-15 2017-09-15 먼지 제거기 KR10187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495A KR101879592B1 (ko) 2017-09-15 2017-09-15 먼지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495A KR101879592B1 (ko) 2017-09-15 2017-09-15 먼지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592B1 true KR101879592B1 (ko) 2018-07-18

Family

ID=6304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495A KR101879592B1 (ko) 2017-09-15 2017-09-15 먼지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59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69B1 (ko) * 2019-06-04 2019-12-05 (주)선바이오투 미세 먼지 저감 장치
KR102118735B1 (ko) * 2019-09-16 2020-06-03 인영건설 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미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분진 제거방법
KR20200065158A (ko) * 2018-11-29 2020-06-09 (주)평화엔지니어링 도로시설물의 염화칼슘 및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차량 탑재형 미세기포 세척장치용 미세기포발생장치
KR102127782B1 (ko) * 2019-08-22 2020-06-29 주식회사 엔케이위드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KR20200091620A (ko) * 2019-01-23 2020-07-31 (주)대현엔텍 먼지 제거 시스템
KR20200110555A (ko) 2019-03-15 2020-09-24 하사곤 미세먼지 제거기
KR102230257B1 (ko) * 2019-10-06 2021-03-19 (주)평화엔지니어링 버스승강장 또는 스쿨죤을 포함한 도로변 미세먼지 및 질소산화물 저감시스템
KR102232950B1 (ko) * 2019-10-06 2021-03-26 (주)평화엔지니어링 차량탑재형 도로변 대기오염원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기오염저감시스템
KR20210040747A (ko) * 2019-10-06 2021-04-14 (주)평화엔지니어링 도로시설물의 염화칼슘 및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차량 탑재형 나노버블 세척장치
WO2021227239A1 (zh) * 2020-05-25 2021-11-18 安徽理工大学 一种用于煤矿降尘的喷雾器
CN114240691A (zh) * 2021-12-23 2022-03-25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智能电网需求响应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7698A (ja) * 2008-06-13 2009-12-24 Yamaguchi Kogyo:Kk 揮発性有機化合物除去装置および揮発性有機化合物除去方法
KR20130053165A (ko) * 2011-11-15 2013-05-23 (주)서동 팬을 이용한 회전식 분무장치
KR20130142260A (ko) * 2012-06-19 2013-12-30 김영목 비산먼지 제거용 분무스프레이장치
CN103786628A (zh) * 2014-01-09 2014-05-14 平安电气股份有限公司 移动式多级液压传动风送喷雾降尘车
CN104028381A (zh) * 2014-06-12 2014-09-10 秦皇岛云立方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有效消除城市扬尘和雾霾污染的荷电雾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7698A (ja) * 2008-06-13 2009-12-24 Yamaguchi Kogyo:Kk 揮発性有機化合物除去装置および揮発性有機化合物除去方法
KR20130053165A (ko) * 2011-11-15 2013-05-23 (주)서동 팬을 이용한 회전식 분무장치
KR20130142260A (ko) * 2012-06-19 2013-12-30 김영목 비산먼지 제거용 분무스프레이장치
CN103786628A (zh) * 2014-01-09 2014-05-14 平安电气股份有限公司 移动式多级液压传动风送喷雾降尘车
CN104028381A (zh) * 2014-06-12 2014-09-10 秦皇岛云立方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有效消除城市扬尘和雾霾污染的荷电雾炮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88B1 (ko) * 2018-11-29 2021-03-25 (주)평화엔지니어링 도로시설물의 염화칼슘 및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차량 탑재형 미세기포 세척장치용 미세기포발생장치
KR20200065158A (ko) * 2018-11-29 2020-06-09 (주)평화엔지니어링 도로시설물의 염화칼슘 및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차량 탑재형 미세기포 세척장치용 미세기포발생장치
KR102193458B1 (ko) * 2019-01-23 2020-12-21 (주)대현엔텍 먼지 제거 시스템
KR20200091620A (ko) * 2019-01-23 2020-07-31 (주)대현엔텍 먼지 제거 시스템
KR20200110555A (ko) 2019-03-15 2020-09-24 하사곤 미세먼지 제거기
KR102051869B1 (ko) * 2019-06-04 2019-12-05 (주)선바이오투 미세 먼지 저감 장치
KR102127782B1 (ko) * 2019-08-22 2020-06-29 주식회사 엔케이위드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KR102118735B1 (ko) * 2019-09-16 2020-06-03 인영건설 주식회사 중앙분리대용 미스트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분진 제거방법
KR102230257B1 (ko) * 2019-10-06 2021-03-19 (주)평화엔지니어링 버스승강장 또는 스쿨죤을 포함한 도로변 미세먼지 및 질소산화물 저감시스템
KR102232950B1 (ko) * 2019-10-06 2021-03-26 (주)평화엔지니어링 차량탑재형 도로변 대기오염원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기오염저감시스템
KR20210040747A (ko) * 2019-10-06 2021-04-14 (주)평화엔지니어링 도로시설물의 염화칼슘 및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차량 탑재형 나노버블 세척장치
KR102272064B1 (ko) * 2019-10-06 2021-07-02 (주)평화엔지니어링 도로시설물의 염화칼슘 및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차량 탑재형 나노버블 세척장치
WO2021227239A1 (zh) * 2020-05-25 2021-11-18 安徽理工大学 一种用于煤矿降尘的喷雾器
US11492906B2 (en) 2020-05-25 2022-11-08 Anhu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prayer for settling dust of coal mine
CN114240691A (zh) * 2021-12-23 2022-03-25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智能电网需求响应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592B1 (ko) 먼지 제거기
KR102193458B1 (ko) 먼지 제거 시스템
KR101664148B1 (ko) 미세기포 버블기가 구비된 약액 세정 탈취장치
US8523987B2 (en) Dust arrester and method for removing dust particles from air
KR102171357B1 (ko) 습식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1655976B1 (ko) 미세먼지 정화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KR20160083681A (ko) 회전식 세정액 분무 유니트를 갖는 탈취장치
CN109529584A (zh) 一种废气净化喷淋装置
KR101965612B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갖는 악취제거용 탈취기
CN107362659A (zh) 一种化工喷雾式淋洗吸收塔
CN106669347B (zh) 一种迷宫式旋流除尘装置及除尘方法
US6521027B1 (en) Air cleaner
RU2129049C1 (ru) Флотационная машина
KR20230088645A (ko) 청정기, 정화기, 청소기, 세정기, 세척기, 정수기, 분사기, 샤워기, 집진기, 환풍기, 살균기, 소독기, 환기시설, 처리장비
CN208660681U (zh) 一种工地渣土车扬尘治理装置
JP4228990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385535B1 (ko)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CN112013460B (zh) 空气净化器
CN210021527U (zh) 一种新型多功能湿式除尘除污设备
CN208543318U (zh) 砂带打磨机
KR20060108350A (ko) 진동자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JP2006075782A (ja) 曝気槽の泡抑制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生ごみ処理装置
KR101404201B1 (ko) 도료 흡착을 방지하는 도료 분진 제거 장치
KR101621768B1 (ko) 방사형 물입자와 비산먼지 사이의 물마찰튀김효과를 통한 스마트 비산먼지 제거 장치
JPS6362527A (ja) 汚染ガス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