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782B1 -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782B1
KR102127782B1 KR1020190103272A KR20190103272A KR102127782B1 KR 102127782 B1 KR102127782 B1 KR 102127782B1 KR 1020190103272 A KR1020190103272 A KR 1020190103272A KR 20190103272 A KR20190103272 A KR 20190103272A KR 102127782 B1 KR102127782 B1 KR 102127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housing
fine particle
fine
spray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위드
Priority to KR102019010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여 먼지를 감소시키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제공한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대포 형상의 블로워 하우징;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전방으로 블로잉하는 송풍부;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내측의 상기 송풍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방을 향한 반구형 또는 반타원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 노즐을 가지는 중심 분사부; 그리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전단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며,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노즐을 가지는 보조 분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FINE PARTICLE SPREADING DEVICE FOR FINE DUST REMOVAL}
본 발명은 미세 입자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가, 도심지나 공장 밀집지역(공단 등)에서 발생되는 미세 먼지나 공사 현장에서의 비산 먼지 등의 먼지를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여 감소시키는 미세먼지 제거용 미세 입자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산되는 먼지는 사람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저해하고 있다. 예를 들어, 광산, 석재 채석장, 시멘트 공장, 쓰레기 공장 등에서 먼지가 비산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업장 등에서 일정한 배출구를 거치지 않고 대기중에 직접 배출되는 비산 먼지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렇게 발생된 비산먼지는 공기 중에 부유하면서 호흡을 통해 인체에 침입하여 기관지 및 폐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입자 중 일부는 기침, 재채기, 섬모운동 등에 의하여 제거되기도 하지만, 일부는 폐포 등에 쉽게 침착, 축적되기 쉬워 다른 대기 오염물질보다 인체 건강에 더 큰 악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먼지들은 산업의 발전과 자연의 훼손에 따라 발생량이 더욱 증가하고 있어 환경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인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황사나 미세먼지는 입자 크기가 매우 작고 단순한 여과장치나 마스크로는 효과적으로 여과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은 사람의 활동에 제약을 주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먼지뿐만 아니라 지구의 온난화가 계속됨에 따라 기온이 계속해서 상승하여 생활환경의 쾌적함을 저해하고 있다.
이러한 먼지에 대응하기 위해 종래에는 살수 차량을 이용하거나 스프링쿨러를 사용하여 용수를 살수함으로써 작업장 주변에 발생하는 먼지나 비산 분진을 제거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용수살포 장치는 일반 소화전과 같은 굵은 물줄기 형태나 스프링 쿨러 형태로 살수하기 때문에 살수된 주변이 불결하고, 미세한 분진까지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용수살포 장치는 용수가 분사되는 범위가 좁아 살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세 물입자의 살포 거리가 향상되고, 미세 물입자의 살포의 옵션이 제공하며, 취급 및 작동이 편리하고, 고효율을 가지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여 먼지를 감소시키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제공한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통 형상의 블로워 하우징;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전방으로 블로잉하는 송풍부;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내측의 상기 송풍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방을 향한 반구형 또는 반타원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 노즐을 가지는 중심 분사부; 그리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전단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며,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노즐을 가지는 보조 분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노즐 및 제2 노즐은 안개 노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분사부와 보조 분사부가 함께 동작하거나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설치된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회동과 상기 중심 분사부 및 보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보호 박스; 그리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호 박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이 좌우 회동 및 상하 회동 가능하게 상기 블로워 하우징이 결합되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회동과 상기 중심 분사부 및 보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설치 장소의 지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운트되며,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보호 박스; 그리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호 박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작지시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 패널; 그리고 상기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온/오프 및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박스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를 감싸는 외부 용기; 그리고 상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의 사이에 개재된 단열층;을 포함하며,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상기 보호 박스의 내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무선신호 수신기; 그리고 상기 무선신호 수신기와 통신하여 조작지시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상기 블로워 하우징 내에서 상기 분사노즐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상기 제1 노즐 및 상기 제2 노즐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보호 박스에 수용된 원격 다중 격자 원심 워터 펌프;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대기 기간 동안 상기 미세 입자 살포장치가 가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다중 격자 원심 워터 펌프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자동배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구형 또는 반타원체형의 중심 분사부를 가져서 먼거리 분사성능이 향상된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분사부가 블로워 하우징의 전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미세 물입자의 방사 내지 살포 각도가 넓어져 중심 분사부만으로 커버하지 못하는 영역에 동시에 미세 물입자를 살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분사부와 보조 분사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서 미세 입자를 생성하는 옵션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워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설치되는 조작패널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리모컨에 의해 조작도 가능하여 사용자가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블로워 하우징의 회동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블로워 하우징에 설치된 분사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물을 이용하여 미세 물입자를 생성 및 살포하는 장치로서, 미스트나 안개 형태의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여 비산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지지부(100), 블로워 하우징(200), 송풍부(300), 중심 분사부(400) 및 보조 분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설치 장소의 지지면 상에 위치하거나 설치될 수 있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지면에 설치되거나,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00)에는 설치를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지지부(100)의 하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이동식 장치일 수 있다.
또는, 미세 물입자 살포장치는 콘크리트 형성한 플랫폼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디젤 발전기 세트와 함께 트럭에 설치되거나 물수레에 설치될 수도 있다d접속되는 유체공급구가 형성될 수 있다. 유체공급구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외부로부터 물이 파이프나 튜브나 호스 등을 통해 유체공급구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로워 하우징(200)은 소음 저감을 위해 외기와 접하는 외통 및 상기 외통과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내측으로 형성된 내통으로 구분(미도시)되어 형성될 수 있다(즉, 블로워 하우징(200)이 이중의 격벽 구조로 형성). 이 경우 외통과 내통 사이는 진공 상태, 대기압 보다 낮은 기압 상태 또는 별도의 흡음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음재는 다공성 흡음소재층과 클래딩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흡음소재층 표면은 상기 클래딩층으로 밀봉되어 클래딩되고, 클래딩 및 조인트 지점에 밀봉 처리를 하여 연결되고, 상기 클래딩층은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미세다공성 박막층 또는 ePTFE 미세다공성 박막의 개질 박막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 하우징(200)의 설정된 하부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퇴수구(退水口,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퇴수구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인자 살포장치, 특히 블로워 하우징(200) 내 분사되지 못하고 남아 내부에 수용된 물이 동결(겨울철)되어 미세먼지 제거나 인공눈 생성 등 다양한 목적에 당장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수용된 물의 동결로 인한 블로워 하우징(200)의 동파나 구조적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멍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퇴수구는 블로워 하우징(200)의 설정된 하부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 여닫이가 가능한 퇴수밸브 형태(일 실시예로 가스차단 밸브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임자 살포장치의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블로워 하우징(200) 내 수용된 물을 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퇴수구는 하기 조작부(7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 가능한 전자식 밸브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작업이 아닌 작업자의 제어신호 또는 외기 온도에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제거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한해, 블로워 하우징(200) 내부의 물을 퇴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700)는 설정된 위치(표면이나 내부 등)에 형성된 별도의 온도센서 및/또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외부의 기상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미세 입자 살포장치가 설치된 장소의 외기 온도를 실시간 또는 설정된 간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700)는 현재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작동 여부 및 작동 상태를 실시간 또는 설정된 간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겨울철에 작동되지 않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내, 특히 블로워 하우징(200) 내부에 고여있는 물의 동결로 인한 블로워 하우징(200)의 사용 불능 상태나 동결되어 팽창하는 물에 의한 블로워 하우징(200)의 파손 역시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미세 물입자 생성 이외에도 다른 미세 입자의 생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농약을 미세 입자로 생성하여 살포하는 장치 또는 내부에 별도의 냉각기(미도시)를 포함하여, 미세하게 형성되는 물 입자를 얼려 인공눈 살포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미세 입자 살포장치가 미세 물입자를 살포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송풍부(300)는 블로워 하우징(200)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전방으로 블로잉(blowing)할 수 있다. 송풍부(300)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팬은 나일론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된 것을 수 있다. 이 경우, 팬의 날개와 고정 트레이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한번에 형성되므로, 균질성과 동적 균형이 우수하고, 소음이 적고, 송부 성능이 좋다.
중심 분사부(400)는 블로워 하우징(200)의 내측 송풍부(300)의 전방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연결관이 중심 분사부(400)와 블로워 하우징(200)의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부(300)로부터의 바람은 중심 분사부(400)와 블로워 하우징(200)의 내측면 사이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중심 분사부(400)는 반구형 또는 반타원체 형상, 예를 들어, 럭비공을 절반 자른 형상을 가지는 몸체와, 이러한 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노즐(410)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노즐(410)은 반구형 또는 반타원체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노즐(410)은 이와 같이 반구형 또는 반타원체형 몸체에 배열됨으로써,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 분사부(400)가 구성됨으로써, 단순히 노즐을 원형으로 평면적으로 배열한 경우에 비해 물 안개나 미스트 형태의 미세 물입자의 분사거리 또는 살포거리가 현저히 증가하고, 분사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물론, 물 공급라인은 블로워 하우징(200)을 통하지 않고, 직접 중심 분사부(4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후술될 지지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로는 원격 다중 격자 원심워터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를 사용하여 고압을 달성하고 분사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자동배수밸브(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될 조작패널이나 리모컨(800)으로 사용자가 대기 기간 설정을 할 수 있고, 미세 입자 살포장치가 설정된 대기 기간 동안 가동되지 않으면, 후술되는 제어부가 자동으로 자동배수밸브를 개방하여 펌프로부터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겨울철에 배관 내에 잔류한 물이 결빙되어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조 분사부(500)는 블로워 하우징(200)의 전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노즐(5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노즐(510)은 중심 분사부(400) 주변으로 블로워 하우징(200)의 전단 원주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분사부(500)는 블로워 하우징(200)의 전단에 블로워 하우징(200)의 내면을 따라 삽입된 원통형 부재와, 이러한 원통형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배관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복수의 배관의 말단이 복수의 제2 노즐(510)이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관으로 전술된 파이프, 호스 또는 튜브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는 제1 노즐(410)에 연결된 물 공급라인이 분기되어 제2 노즐(5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노즐(410)이나 제2 노즐(510)은 물 안개나 미스트와 같은 미세 물입자 생성에 적합하도록 맞춤형 노즐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즐(410)이나 제2 노즐(510)은 안개 노즐일 수 있다. 이러한 아토마이징 입자가 작은 특수 맞춤형 안개 노즐을 사용하여 200㎛ 이하의 먼지를 거의 완전히 제어할 수 있는 반면, 먼지 표면의 수분함량은 0.3% 증가하는데 그칠 수 있다. 또한, 안개 노즐은 노즐 분리 청소가 더욱 쉽다. 이러한 안개 노즐을 사용하여 충분한 살포를 하면서도 70~80%의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물 안개의 커버력은 다른 방진 장비보다 훨씬 크다.
본 실시예의 미세 입자 살포장치에서는 중심 분사부(4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반구형 또는 반타원체형 형상을 가진다. 이로 인해, 미세 물입자의 분사거리가 현저히 증가하고, 분사압력이 증가한다. 또한, 밸브나 스위치를 조작하여 중심 분사부(400)와 보조 분사부(5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즉, 중심 분사부(400)와 보조 분사부(500)가 함께 동작하거나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물입자 살포 거리가 증가하여 살포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보조 분사부(500)는 중심 분사부보다 넓은 각도로 미세 물입자가 살포되도록 해주어서 미세 물입자 살포 면적이 넓어 시간당 살포면적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중심 분사부(400)로 분사거리를 현저히 증가시키고 보조 분사부(500)로 분사각을 넓게 가져갈 수 있어서, 효율적으로 미세 물입자를 생성 및 살포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먼지 제거용으로 뿐만 아니라, 학교 및 공원과 같은 장소에서 물안개나 미스트를 분사하는 데 사용하여 기온의 상승을 막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온도를 2~3도 낮춰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축구장, 야구장, 콘서트장 등에서, 먼지 제거와 온도 하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블로워 하우징(200)의 회동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블로워 하우징(200)의 회동과 중심 분사부(400) 및 보조 분사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0)는, 제어부가 수용되는 보호박스(110) 및 회동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결합부(130)는 블로워 하우징(200)을 지지하도록 보호박스(1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회동결합부(130)는 블로워 하우징(200)이 좌우 회동 및 상하 회동 가능하게 블로워 하우징(2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 동작을 위해, 회동결합부(130)는 모터와 기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보호박스(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700)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작지시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터치식 콘트롤 화면)를 제공하는 조작패널과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온/오프 및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패널의 화면은 산업용 터치패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장치의 작동에 관한 사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조작패널을 통해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및 속도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에 사용되는 전기 유형은 3상 380V의 그리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발전기 세트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유압 유형은 차시스 PTO(전원 이륙) 또는 보조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조작패널에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에서 물의 흐름과 작동시간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터치방식이나 스위치나 버튼을 조작하여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패널에는 메인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실시간 디스플레이, 실행 조정 디스플레이, 자동 실행 디스플레이, 파라미터 디스플레이, 고장 경보 디스플레이 등의 제어창이 있을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시스템 작동 중""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며, 그리드 또는 제너레이터 세트의 전압, 전류 및 전력이 표시되며, 팬과 펌프의 주파수, 속도 및 흐름도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리셋을 누르면 유량이 ""0""으로 돌아갈 수 있다.
시스템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조정 실행 중""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조정 디스플레이가 실행되며, 디스플레이에는 파라미터 설정, 실시간 디스플레이, 조정의 3가지 버튼이 있을 수 있다.
파라미터 설정 디스플레이에서, 팬과 펌프의 주파수 및 작동 시간을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설정시 요구조건에 따라 미세 물입자의 살포범위 및 살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간 디스플레이에서는 팬의 시동 또는 정지등, 펌프, 피칭 전기 모터 및 수평 튜닝 전기 모터, 주파수, 속도, 팬의 흐름 및 펌프의 제어를 할 수 있다.
실행 조정 디스플레이에서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블로워 하우징(200)을 손으로 조정할 수 있다. '수동 조정'을 먼저 누르고 '시작' 버튼을 누른 다음, '분사' 버튼을 눌러 미세 물입자 살포가 시작될 수 있다.
"자동 실행 디스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자동 실행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며, "자동 모드" 버튼을 누르고 "ON" 버튼을 누르면 미세 입자 살포장치가 자동으로 실행된다.
"파라미터 디스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파라미터 디스플레이"가 나타난다. 여기에는 전원 공급 장치 디스플레이, 작동 매개 변수 디스플레이, 펌프 작동 디스플레이 및 블로워 하우징(200)의 작동 상태, 재설정, 물 흡입구, 배수 밸브 디스플레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Breakdown alarm display"를 통해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작동상태, 전원공급상태, 제어상태의 모든 고장경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패널은 보호박스(110)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원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원격 설치시에는 조작패널과 보호박스(110) 내의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컨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보호박스(110)의 내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무선신호 수신기(도시되지 않음)와 리모컨(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800)으로 조작신호를 송신하고 무선신호 수신기에 수신된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블로워 하우징(200)의 좌우 회동(즉, 수평회전), 상하 회동, 중심 분사부(400) 및 보조 분사부(500)의 분사의 제어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리모컨(800)으로는 산업용 리모컨으로서 수신 거리가 100 미터(m) 정도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리모컨(800)에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작동과 팬을 작동시키는 시작버튼 1과, 펌프정지 및 팬을 정지시키는 정지버튼 2와, 작동시작을 지시하는 on 버튼과 장비정지를 지시하는 off 버튼과 수평회전 및 상하피칭을 지시하는 상하좌우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블로워 하우징(200)에 설치된 분사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00)는, 설치 장소의 지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120)와, 지지대(120)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운트되며, 제어부가 수용되는 보호박스(110)와, 블로워 하우징(200)을 지지하도록 보호박스(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로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부(150)는 유압기구, 예를 들어, 유압피스톤을 포함하여 블로워 하우징(200)을 상하 회동(상하 피칭)시킬 수 있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블로워 하우징(200)의 내측면의 송풍부(300)와 중심 분사부(400)의 사이에 설치되어 블로워 하우징(200) 내에서 난류발생을 방지하는 가이드 날개(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를 수용한 보호박스(110)는 내부 용기(111), 내부 용기(111)와 이격되며 내부 용기(111)를 감싸는 외부 용기(113) 및 내부 용기(111)와 외부 용기(113) 사이에 개재된 단열층(115)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체육관이나 공연장 등 실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강한 햇빛이나 영하의 온도 등 가혹한 야외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혹한 환경에서 보호박스(110) 내에 수용된 제어부와 같은 부품의 장기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박스(110)가 단열층(115)을 포함하는 구조여서, 높은 온도나 영하의 온도 등 가혹한 환경에서도 제어부와 같은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열층(115)은 진공일 수 있다. 또는 단열층은 스티로폼 등 단열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미세 입자 살포장치는 제1 블레이드(1100) 및 제2 블레이드(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200)는 반구 또는 반타원체 형상의 분사노즐부(400)의 전방에 블로워 하우징(200)의 내에 위치하며, 제1 블레이드(1100)는 분사노즐부(400)와 제2 블레이드(12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100) 및 제2 블레이드(1200)는 모터 등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분사노즐부(400)로부터 분사된 미세 물입자를 전방으로 더 멀리 비산시킬 수 있다. 즉, 미세 물입자는 분사노즐부(400)의 분사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분사되며, 이에 더하여 제1 블레이드(1100) 및 제2 블레이드(1200)의 회전에 의한 강제 이송에 의해 전방으로 더욱 강력하게 살포될 수 있다.
특히, 제1 블레이드(1100)와 제2 블레이드(1200)는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고, 이렇게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을 활용하여, 제1 블레이드(1100)와 제2 블레이드(1200)의 각각의 회전속도를 다르게 하거나 회전방향(일 예로 제1 블레이드는 시계 방향의 회전을, 제2 블레이드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각각 수행)을 다르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과하는 미세 입자(물 또는 인공눈, 농약 등)의 배출 속도나 배출 가능 범위, 배출량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1 블레이드(1100) 및 제2 블레이드(1200) 사이의 이격된 "이격된 내부 공간"의 상태를 상기 제 1 및 제2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 및/또는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진공 상태, 외부 대기압에 비해 낮은 기압 상태 등으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블로워 하우징(200)을 통해 외부로 배출(살포)되는 미세 입자의 살포양, 살포속도 및 살포 범위 등을 보다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격된 내부 공간"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로워 하우징(200) 내부의 공기 흐름을 다르게 하여, 미세 물입자의 분사 패턴을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게 되며, 전방의 2단 블레이드 구조에 의해 미세 물입자의 분사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반구형 또는 반타원체형의 중심 분사부를 가져서 먼거리 분사성능이 향상된 미세 입자 살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분사부가 블로워 하우징의 전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미세 물입자의 방사 내지 살포 각도가 넓어져 중심 분사부만으로 커버하지 못하는 영역에 동시에 미세 물입자를 살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분사부와 보조 분사부에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여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어서, 미세 물입자를 생성 및 살포하는 방법에 옵션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워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설치되는 조작패널에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리모컨에 의해 조작도 가능하여 사용자가 취급 및 사용이 편리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지지부
110 : 보호박스
130 : 회동결합부
120 : 지지대
150 : 로드부
200 : 블로워 하우징
300 : 송풍부
400 : 중심 분사부
500 : 보조 분사부
410 : 제1 노즐
510 : 제2 노즐
600 : 가이드 날개
700 : 조작부
800 : 리모컨

Claims (10)

  1.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여 먼지를 감소시키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에 있어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통 형상의 블로워 하우징;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전방으로 블로잉하는 송풍부;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내측의 상기 송풍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방을 향한 반구형 또는 반타원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1 노즐을 가지는 중심 분사부; 그리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전단 테두리를 따라 배열되며, 미세 물입자를 분사하는 복수의 제2 노즐을 가지는 보조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블로워 하우징은,
    소음 저감을 위해 외기와 접하는 외통 및 상기 외통과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내측으로 형성된 내통으로 구분되어 이중의 격벽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는 진공 상태, 대기압 보다 낮은 기압 상태 또는 별도의 흡음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되며,
    상기 흡음재는 다공성 흡음소재층과 클래딩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흡음소재층 표면은 상기 클래딩층으로 밀봉되어 클래딩되고, 클래딩 및 조인트 지점에 밀봉 처리를 하여 연결되고,
    상기 클래딩층은 ePTFE(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미세다공성 박막층 또는 ePTFE 미세다공성 박막의 개질 박막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노즐 및 제2 노즐은 안개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분사부와 보조 분사부가 함께 동작하거나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설치된 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회동과 상기 중심 분사부 및 보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보호 박스; 그리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호 박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이 좌우 회동 및 상하 회동 가능하게 상기 블로워 하우징이 결합되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하우징의 회동과 상기 중심 분사부 및 보조 분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설치 장소의 지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운트되며,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보호 박스; 그리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상기 보호 박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7.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작지시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조작 패널; 그리고
    상기 미세 입자 살포장치의 온/오프 및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또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8.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박스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를 감싸는 외부 용기; 그리고
    상기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의 사이에 개재된 단열층;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 박스의 내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무선신호 수신기; 그리고
    상기 무선신호 수신기와 통신하여 조작지시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리모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9.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하우징 내에서 분사노즐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블레이드; 그리고,
    상기 블로워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 및 상기 제2 노즐에 물을 공급하도록, 상기 보호 박스에 수용된 원격 다중 격자 원심 워터 펌프;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대기 기간 동안 상기 미세 입자 살포장치가 가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다중 격자 원심 워터 펌프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자동배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입자 살포장치.
KR1020190103272A 2019-08-22 2019-08-22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KR102127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272A KR102127782B1 (ko) 2019-08-22 2019-08-22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272A KR102127782B1 (ko) 2019-08-22 2019-08-22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782B1 true KR102127782B1 (ko) 2020-06-29

Family

ID=7140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272A KR102127782B1 (ko) 2019-08-22 2019-08-22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78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7814A (zh) * 2020-07-07 2021-01-19 内蒙古普胜环保科技有限公司 车载式抑尘作业机
KR102264422B1 (ko) * 2021-03-09 2021-06-14 주식회사 케이씨티이엔씨 비산먼지 위치추적형 이중분사 방식의 비산먼지 저감장치 및 그를 이용한 비산먼지 저감방법
KR102286937B1 (ko) * 2020-09-22 2021-08-05 강민영 액상물질 미세 분무장치
KR20220068011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비산먼지 방지용 살수장치
KR20230043317A (ko) * 2021-09-24 2023-03-31 이승호 송풍 효율이 높은 광역 살포기
KR102565853B1 (ko) * 2022-10-04 2023-08-11 (주)한찬기업 증발냉각장치 시스템
KR102565846B1 (ko) * 2022-10-04 2023-08-14 (주)한찬기업 대류증발냉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6181A (ja) * 2007-12-27 2009-07-16 Denso Corp 吸気ダクト
KR20130142260A (ko) * 2012-06-19 2013-12-30 김영목 비산먼지 제거용 분무스프레이장치
CN106111390A (zh) * 2016-08-31 2016-11-16 张兴利 一种高压雾炮机
KR101879592B1 (ko) * 2017-09-15 2018-07-18 (주)대현엔텍 먼지 제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6181A (ja) * 2007-12-27 2009-07-16 Denso Corp 吸気ダクト
KR20130142260A (ko) * 2012-06-19 2013-12-30 김영목 비산먼지 제거용 분무스프레이장치
CN106111390A (zh) * 2016-08-31 2016-11-16 张兴利 一种高压雾炮机
KR101879592B1 (ko) * 2017-09-15 2018-07-18 (주)대현엔텍 먼지 제거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7814A (zh) * 2020-07-07 2021-01-19 内蒙古普胜环保科技有限公司 车载式抑尘作业机
KR102286937B1 (ko) * 2020-09-22 2021-08-05 강민영 액상물질 미세 분무장치
WO2022065826A1 (ko) * 2020-09-22 2022-03-31 강민영 액상물질 미세 분무장치
KR20220068011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비산먼지 방지용 살수장치
KR102511734B1 (ko) 2020-11-18 2023-03-2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비산먼지 방지용 살수장치
KR102264422B1 (ko) * 2021-03-09 2021-06-14 주식회사 케이씨티이엔씨 비산먼지 위치추적형 이중분사 방식의 비산먼지 저감장치 및 그를 이용한 비산먼지 저감방법
KR20230043317A (ko) * 2021-09-24 2023-03-31 이승호 송풍 효율이 높은 광역 살포기
KR102620951B1 (ko) 2021-09-24 2024-01-03 이승호 광역 살포기
KR102565853B1 (ko) * 2022-10-04 2023-08-11 (주)한찬기업 증발냉각장치 시스템
KR102565846B1 (ko) * 2022-10-04 2023-08-14 (주)한찬기업 대류증발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782B1 (ko)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미세 입자 살포장치
AU2017202676B2 (en) Venturi sprinkler for controlling smoke and apparatus for removing poisonous gas
US7766090B2 (en) Fire fighting system
KR102130273B1 (ko) 먼지 제거장치
US20060213672A1 (en) Weather adjustment system for fighting fires
US8291990B1 (en) Fire fighting system
CN109788883A (zh) 窗户清洁机器人
KR20100088178A (ko) 터보팬형 미분무수 분사장치가 탑재된 친환경 소형 소방차
KR101834177B1 (ko) 분무식 냉각장치
US201002522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ating Fires
CN205549910U (zh) 一种智能避障除尘机
KR20110129199A (ko) 유에스엔을 이용한 안개 제거 시스템
CN211799668U (zh) 一种用于建筑工地的扬尘抑制设备
CN108496759A (zh) 道路绿化带浇水装置
CN208975406U (zh) 一种建筑工地利用爬架进行喷淋的多功能防护系统
KR101205349B1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활주로의 안개 발생방지 및 제거장치
CN202516444U (zh) 一种控制pm2.5空气质量超标的路灯杆式水雾降尘装置
KR101935475B1 (ko) 시설물용 냉각장치
CN212605811U (zh) 一种飞行式喷雾除尘的装置
CN210584216U (zh) 一种城市施工工地降尘系统
CN205730729U (zh) 一种智能干雾抑尘设备
CN214328700U (zh) 一种建筑工地用电动洒水车
CN112402852A (zh) 一种带清洁功能的多用途手自一体式智能消防车
CN214809434U (zh) 一种高层建筑除尘增湿喷雾器
KR102565853B1 (ko) 증발냉각장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