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177B1 - 분무식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분무식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177B1
KR101834177B1 KR1020170091490A KR20170091490A KR101834177B1 KR 101834177 B1 KR101834177 B1 KR 101834177B1 KR 1020170091490 A KR1020170091490 A KR 1020170091490A KR 20170091490 A KR20170091490 A KR 20170091490A KR 101834177 B1 KR101834177 B1 KR 101834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control means
main body
humidity
pow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빈
Original Assignee
임수빈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빈, 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수빈
Priority to KR102017009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염과 열섬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분무식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본체의 수직회전을 도모하면서, 본체를 수직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체의 수평회전을 도모하여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분사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냉각수의 분사효율을 향상시켜 도심지역 및 시장과 같은 인공구조물의 내부의 폭염과 열섬현상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분무식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무식 냉각장치{Atomizing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폭염과 열섬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분무식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본체의 수직회전을 도모하면서, 본체를 수직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체의 수평회전을 도모하여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분사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냉각수의 분사효율을 향상시켜 도심지역 및 시장과 같은 인공구조물의 내부의 폭염과 열섬현상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분무식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섬 현상(heat island)은 도시의 산업발달과 인구의 밀집으로 인해 공장, 난로, 굴뚝 등에서 각종 기체가 뿜어지게 되면서 열기와 기체의 과잉으로 인해 농촌지역보다 도시지역이 더 더워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열섬현상의 주요원인으로는 첫째, 시멘트로 된 건축물 및 아스팔트 도로의 어두운 색상으로 인해 태양열에 쉽게 달궈지며 열을 많이 흡수하여, 흡수한 열기를 내뿜으며 도시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둘째, 도심부에는 세워진 고층건물들로 인해 건물과 건물 사이에 바람이 잘 통하지 않아 열의 배출통로가 없어지게 되고, 셋째, 공장, 자동차, 에어컨에서 발생되는 매연, 인공열, 미세먼지가 낮시간 동안 도심부에 갇히게 되면서 늦은 밤까지 열섬현상을 발생시키고, 넷째, 도심부의 과도한 인공조명 사용을 들수 있다.
이러한 열섬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건축물의 옥상, 베란다 등의 바닥, 실내, 외벽, 칸막이 등의 벽체에 녹지를 조성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5116호가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5116호는 식재 공간 조성에 제한이 따를 수 있으며, 그 비용 또한 고가로 소요되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왔다.
이와 별개로, 열섬현상 저감을 위하여 열섬현상의 주된 요인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는 도로포장에 시간대별로 물을 분사하여 도로의 지열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자 하는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으나, 이는 도로바닥에 한정된 방법이어서 도심 전체의 열섬현상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본체의 수직회전을 도모하면서, 본체를 수직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체의 수평회전을 도모하여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분사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냉각수의 분사효율을 향상시켜 도심지역 및 시장과 같은 인공구조물의 내부의 폭염과 열섬현상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분무식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풍향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풍향정보를 통해 제어수단이 수평회전수단을 제어함으로써, 항상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냉각수가 분사되어 역풍결로를 차단하여 역풍결로에 의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분무식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분무식 냉각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저장하여 공급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냉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체가 구비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서 저장된 냉각수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공급배관과, 상기 공급배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압력작용을 통해 분사노즐로 분무토록 하는 분무펌프와, 상기 공급배관에 설치되어 분무펌프와 더불어 공급배관에 이동되는 냉각수를 압축공기로 가압하여 분사노즐로 분무토록 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분무펌프에 설치되어 공급배관에 잔류되는 냉각수를 퇴수하는 퇴수관 및 퇴수밸브로 이루어지는 공급수단; 선단이 개방되는 통체 형태인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선단에 설치되어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본체 후측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냉각수를 미립자화시켜 본체 외부로 비산시키는 송풍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의 양측에 접지되도록 양측단부가 각각 돌출되며, 접지되는 부위에 본체가 수직방향으로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힌지축으로 본체와 결합되고, 힌지축으로 회동되는 반경의 일부위에 라운딩지게 회동장공이 형성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로 구성되는 분사수단; 상기 공급수단 및 분사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지지체의 내부에서 회동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회동체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수평회전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회전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모터와, 상기 동력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동력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1감속기어와, 제1감속기어의 외측에 치합됨과 아울러 중앙으로 회동체의 하부에 축결합되어, 제1감속기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체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제2감속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체의 양측으로 감지센서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체의 하부 선단으로 돌출되는 감지체가 구성되어, 상기 회동체의 회전으로 인하여 감지체가 감지센서에 감지하게 되면 제어수단이 동력모터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회동체가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동력모터를 구동시켜 동력모터의 정, 역회전을 도모함으로서 회동체가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범위 내에서 좌, 우 방향으로 회전을 교번되게 반복하도록 회전하고, 풍향을 감지하는 풍향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풍향감지센서가 감지하는 풍향정보를 제어수단이 수집하여 수집된 풍향으로 분사노즐이 향하도록 제어수단을 통해 수평회전수단을 작동하여 회동체를 회전시켜 냉각수를 분사토록 구성되고, 주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습도 및 온도를 설정하여 측정센서에 의해 주변의 습도 및 온도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공급수단의 분무펌프 및 컴프레셔와 더불어 송풍휀 및 동력모터를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습도 및 온도와 더불어 제어수단을 통한 분무펌프와 컴프레셔와 송풍휀 및 동력모터의 구동여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는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편백나무잎 분말 2 ∼ 3중량부, 소나무잎 분말 1. 5∼ 3중량부, 숯 분말 2 ~ 3중량부가 혼합되고, 상기 송풍휀은 풍량 15 ~ 20㎥/min, 풍압 70 ~ 80mmAg의 송풍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고, 상기 제어수단에 임의의 습도값 및 온도값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1년간의 습도값 및 온도값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습도값 및 온도값을 기준으로, 제어수단에서 임의로 설정된 습도값 및 온도값이 초과되는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수단을 통해 분무펌프와 컴프레셔와 송풍휀 및 동력모터가 구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분사노즐이 구비되는 본체는 회동체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동되고, 회동체는 수평회전수단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냉각수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분사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냉각수의 분사효율을 향상시켜 도심지역 및 시장과 같은 인공구조물의 내부의 폭염과 열섬현상을 유용하게 해소시킬 수 있어 쾌적한 도심환경 및 실내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풍향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풍향정보를 통해 제어수단이 수평회전수단을 제어함으로써, 항상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냉각수가 분사되어 역풍결로를 차단하여 역풍결로에 의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수단에 의해 설정된 환경에 맞게 공급수단, 분사수단 및 수평회전수단이 작동되어 무인시스템을 구현하여 경비를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항상 쾌적한 도심환경 및 실내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분사수단 및 수평회전수단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사수단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풍향감지센서에 의해 회동체가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 3은 본 발명의 분사수단 및 수평회전수단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분사수단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풍향감지센서에 의해 회동체가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 1, 2, 3, 4,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냉각수를 공급되는 공급수단(10)과, 공급수단(10)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분사수단(20)과, 공급수단(10) 및 분사수단(20)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3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공급수단(1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사수단(20)으로 냉각수를 공급되는 구성으로, 보다 상세한 형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저장하여 공급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냉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체가 구비되는 저장탱크(11)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필터체로 하여금 저장탱크(11) 내에 저장된 냉각수가 저장탱크(11)에서 배출될 때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주도록 한다.
또한, 공급수단(10)은 저장탱크(11)에서 저장된 냉각수를 분사노즐(22)로 공급하는 공급배관(12) 및 상기 공급배관(12)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1)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압력작용을 통해 후술되는 분사수단(20)의 분사노즐(22)로 분무토록 하는 분무펌프(1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공급수단(10)은 상기 공급배관(12)에 설치되어 분무펌프(13)와 더불어 공급배관(12)에 이동되는 냉각수를 압축공기로 가압하여 분사노즐(22)로 분무토록 하는 컴프레셔(1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공급수단(10)은 상기 분무펌프(13)에 설치되어 공급배관(12)에 잔류되는 냉각수를 퇴수하는 퇴수관(15) 및 퇴수밸브(16)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공급배관(12)으로 분무펌프(13) 및 컴프레셔(14)가 각각 작용함으로써 공급배관(12)을 통해 냉각수가 분사노즐(22)로의 유동을 원활히 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컴프레셔(32)를 통한 압축공기에 의해 공급배관(12) 및 퇴수관(15)에 잔류된 냉각수를 배출시켜 동파를 방지하도록 한다.
분사수단(20)은 선단이 개방되는 통체 형태인 본체(21)와, 더불어 본체(21)의 선단에 설치되어 공급수단(1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22)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분사수단(20)은 본체(21) 후측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냉각수를 미립자화시켜 본체(21) 외부로 비산시키는 송풍휀(23)이 포함되며, 분무펌프(13) 및 컴프레셔(14)의 공기압과 함께 분사노즐(22)에서 분사되는 냉각수는 송풍휀(23)의 풍력에 의해 미립자화되어 안개 형태로 분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송풍휀(23)은 풍량 15 ~ 20㎥/min, 풍압 70 ~ 80mmAg의 송풍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분사되는 냉각수는 신속하게 기화가 빠른 속도로 일어나며, 냉각수가 기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주변의 공기온도는 낮아져 냉방효과를 발휘하여 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송풍휀(23)에 의하여 인공적인 바람에 의하여 냉각된 공기의 확산 및 미세 물방울이 지상으로 떨어지지 않고 비산되어 증발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는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편백나무잎 분말 2 ∼ 3중량부, 소나무잎 분말 1. 5∼ 3중량부, 숯 분말 2 ~ 3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재료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이는 기능성재료로 하여금 피톤치드과 같은 천연향을 다량으로 휘산하여 주어 아토피, 천식, 비염 등의 환경과 연관이 있는 질병의 퇴치를 이루어 주변에 다니는 이용자들의 건강을 증진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분사수단(20)은 본체(21)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21)의 양측에 접지되도록 양측단부가 각각 돌출되며, 접지되는 부위에 본체(21)가 수직방향으로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힌지축으로 본체(21)와 결합되고, 힌지축으로 회동되는 반경의 일부위에 라운딩지게 회동장공(25)이 형성되는 회동체(24) 및 회동체(24)를 지지하는 지지체(26)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본체(21)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상, 하로 힌지회동되어 원하는 수직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원하는 각도로 본체(21)가 회동되었을 때 회동체(24)에 형성된 회동장공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냉각수의 분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때, 본체(21)에도 회동체(24)에 형성된 회동장공(25)과 동일한 형태의 장공이 형성될 수도 있고, 본체(21)에 별도의 장공 없이 회동장공(25)에 체결되는 볼트의 가압력으로만 본체(21)를 고정할 수도 있다.
제어수단(30)은 공급수단(10) 및 분사수단(20)을 작동시키며,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수단(10)의 분무펌프(13) 및 컴프레셔(14)와 더불어 분사수단(20)의 송풍휀(23)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체(26)의 내부에서 회동체(24)의 하부에 연결되어 회동체(24)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수평회전수단(40)이 구비되어, 냉각수가 분사되는 수평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회전수단(40)의 상세한 형태는, 제어수단(30)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모터(41)와, 상기 동력모터(41)의 축에 연결되어 동력모터(41)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1감속기어(43)와, 제1감속기어(43)의 외측에 치합됨과 아울러 중앙으로 회동체(24)의 하부에 축결합되어, 제1감속기어(4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체(24)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제2감속기어(45)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동력모터(41)의 축이 회동체(24)에 바로 연결되면, 회동체(24)의 회전이 빨라져 분사노즐(22)을 통한 냉각수의 분사범위가 좁아지고, 동력모터(41)의 부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동력모터(41)와 회동체(24) 사이에 제1, 2감속기어(43, 45)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1, 2감속기어(43, 45)로 하여금 동력모터(41)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이 감속되며 이에 따라 회동체(24)의 회전력 또한 감속되어 회동체(24)가 천천히 회전하여 주변에 보다 많은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으면서도 감속되는 만큼 회전력이 향상되어 회동체(24)를 회전하기 위하여 동력모터(41)의 부하가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감속기어(45)의 중앙으로는 회동체(24)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체(26)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47)가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26)의 양측으로 감지센서(50)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체(24)의 하부 선단으로 돌출되는 감지체(60)가 구성된다.
즉, 회동체(24)의 회전으로 인하여 감지체(60)가 감지센서(60)에 감지하게 되면 제어수단(30)이 동력모터(41)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회동체(24)가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동력모터(41)를 구동시켜 동력모터(41)의 정, 역회전을 도모함으로서 회동체(24)가 감지센서(50)가 구비되는 범위 내에서 좌, 우 방향으로 회전을 교번되게 반복하도록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냉각수가 수평방향으로 분사각도를 조절 및 제어하여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 분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풍향을 감지하는 풍향감지센서(70)가 구비되고, 상기 풍향감지센서(70)가 감지하는 풍향정보를 제어수단(30)이 수집하여 수집된 풍향으로 분사노즐(22)이 향하도록 제어수단(30)을 통해 수평회전수단(40)을 작동하여 회동체(24)를 회전시켜 냉각수를 분사토록 구성되어, 항상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냉각수가 분사되어 냉각수 분사시에 역풍에 의한 송풍휀(23) 및 본체(21) 내부에 결로가 생기는 역풍결로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예컨데, 풍향감지센서(70)과 연계되어 제어수단을 통해 수평회전수단(40)을 작동하는 것은, 풍향감지센서(70)는 동, 서, 남, 북으로 좌표가 형성되고, 형성된 좌표를 기준으로 발광램프가 발광하여 풍향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수단(30)에는 풍향감지센서(70)의 발광되는 발광램프를 설정된 시간에 따라 실시간으로 영상처리하여 영상처리된 값을 기준으로 동력모터(41)를 구동하여 회동체(24)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주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8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30)은 습도 및 온도를 설정하여 측정센서(80)에 의해 주변의 습도 및 온도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공급수단(10)의 분무펌프(13) 및 컴프레셔(14)와 더불어 송풍휀(23) 및 동력모터(41)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정센서(80)로부터 측정된 습도 및 온도와 더불어 제어수단(30)을 통한 분무펌프(13)와 컴프레셔(14)와 송풍휀(23) 및 동력모터(41)의 구동여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분무펌프(13)와 컴프레셔(14)와 송풍휀(23) 및 동력모터(41)의 구동여부와 더불어 주변의 습도 및 온도를 이용자들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수단(30)에 임의의 습도값 및 온도값을 설정하고, 측정센서(80)에서 측정된 1년간의 습도값 및 온도값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또한, 상기 측정센서(80)를 통해 측정된 습도값 및 온도값을 기준으로, 제어수단(30)에서 임의로 설정된 습도값 및 온도값이 초과되는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한 프로그램에 의해 1년 동안 제어수단(30)을 통해 분무펌프(13)와 컴프레셔(14)와 송풍휀(23) 및 동력모터(41)가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제어수단(30)을 제어하는 사용자 없이도 제어수단(30)에서 임의로 설정된 습도값 및 온도값이 초과되는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한 프로그램에 의해 분무펌프(13)와 컴프레셔(14)와 송풍휀(23) 및 동력모터(41)가 구동되어 무인시스템을 구현하여 경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0 : 공급수단 11 : 저장탱크
12 : 공급배관 13 : 분무펌프
14 : 컴프레셔 15 : 퇴수관
16 : 퇴수밸브 20 : 분사수단
21 : 본체 22 : 분사노즐
23 : 송풍휀 24 : 회동체
25 : 회동장공 26 : 지지체
30 : 제어수단 40 : 수평회전수단
41 : 동력모터 43 : 제1감속기어
45 : 제2감속기어 47 : 지지부
50 : 감지센서 60 : 감지체
70 : 풍향감지센서 80 : 측정센서

Claims (8)

  1.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저장하여 공급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냉각수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체가 구비되는 저장탱크(11)와, 저장탱크(11)에서 저장된 냉각수를 분사노즐(22)로 공급하는 공급배관(12)과, 상기 공급배관(12)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1)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압력작용을 통해 분사노즐(22)로 분무토록 하는 분무펌프(13)와, 상기 공급배관(12)에 설치되어 분무펌프(13)와 더불어 공급배관(12)에 이동되는 냉각수를 압축공기로 가압하여 분사노즐(22)로 분무토록 하는 컴프레셔(14)와, 상기 분무펌프(13)에 설치되어 공급배관에 잔류되는 냉각수를 퇴수하는 퇴수관(15) 및 퇴수밸브(16)로 이루어지는 공급수단(10);
    선단이 개방되는 통체 형태인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선단에 설치되어 공급수단(1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22)과, 상기 본체(21) 후측 내부에 설치되어 분사되는 냉각수를 미립자화시켜 본체(21) 외부로 비산시키는 송풍휀(23)과, 상기 본체(21)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21)의 양측에 접지되도록 양측단부가 각각 돌출되며, 접지되는 부위에 본체(21)가 수직방향으로 힌지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힌지축으로 본체(21)와 결합되고, 힌지축으로 회동되는 반경의 일부위에 라운딩지게 회동장공(25)이 형성되는 회동체(24)와, 상기 회동체(24)를 지지하는 지지체(26)로 구성되는 분사수단(20);
    상기 공급수단(10) 및 분사수단(20)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30);이 포함되고,
    상기 지지체(26)의 내부에서 회동체(24)의 하부에 연결되어 회동체(24)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수평회전수단(40)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회전수단(40)은 제어수단(30)에 의해 정, 역방향으로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모터(41)와, 상기 동력모터(41)의 축에 연결되어 동력모터(41)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1감속기어(43)와, 제1감속기어(43)의 외측에 치합됨과 아울러 중앙으로 회동체(24)의 하부에 축결합되어, 제1감속기어(43)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체(24)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제2감속기어(45)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체(26)의 양측으로 감지센서(50)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체(24)의 하부 선단으로 돌출되는 감지체(60)가 구성되어,
    상기 회동체(24)의 회전으로 인하여 감지체(60)가 감지센서(60)에 감지하게 되면 제어수단(30)이 동력모터(41)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여 회동체(24)가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동력모터(41)를 구동시켜 동력모터(41)의 정, 역회전을 도모함으로서 회동체(24)가 감지센서(50)가 구비되는 범위 내에서 좌, 우 방향으로 회전을 교번되게 반복하도록 회전하고,
    풍향을 감지하는 풍향감지센서(70)가 구비되고,
    상기 풍향감지센서(70)가 감지하는 풍향정보를 제어수단(30)이 수집하여 수집된 풍향으로 분사노즐(22)이 향하도록 제어수단(30)을 통해 수평회전수단(40)을 작동하여 회동체(24)를 회전시켜 냉각수를 분사토록 구성되고,
    주변의 습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8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30)은 습도 및 온도를 설정하여 측정센서(80)에 의해 주변의 습도 및 온도가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공급수단(10)의 분무펌프(13) 및 컴프레셔(14)와 더불어 송풍휀(23) 및 동력모터(41)를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정센서(80)로부터 측정된 습도 및 온도와 더불어 제어수단(30)을 통한 분무펌프(13)와 컴프레셔(14)와 송풍휀(23) 및 동력모터(41)의 구동여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는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편백나무잎 분말 2 ∼ 3중량부, 소나무잎 분말 1. 5∼ 3중량부, 숯 분말 2 ~ 3중량부가 혼합되고,
    상기 송풍휀(23)은 풍량 15 ~ 20㎥/min, 풍압 70 ~ 80mmAg의 송풍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고,
    상기 제어수단(30)에 임의의 습도값 및 온도값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센서(80)에서 측정된 1년간의 습도값 및 온도값을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측정센서(80)를 통해 측정된 습도값 및 온도값을 기준으로, 제어수단(30)에서 임의로 설정된 습도값 및 온도값이 초과되는 날짜 및 시간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수단(30)을 통해 분무펌프(13)와 컴프레셔(14)와 송풍휀(23) 및 동력모터(41)의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식 냉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91490A 2017-07-19 2017-07-19 분무식 냉각장치 KR101834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90A KR101834177B1 (ko) 2017-07-19 2017-07-19 분무식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90A KR101834177B1 (ko) 2017-07-19 2017-07-19 분무식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177B1 true KR101834177B1 (ko) 2018-03-06

Family

ID=6172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490A KR101834177B1 (ko) 2017-07-19 2017-07-19 분무식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1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475B1 (ko) * 2018-05-04 2019-01-04 블루텍 주식회사 시설물용 냉각장치
CN110332637A (zh) * 2019-07-17 2019-10-15 江苏宝奥兰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冷梁系统及其控制方法
KR20200071274A (ko) * 2018-12-11 2020-06-19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용 미세 먼지 정화 시스템과, 이를 구비한 창문
KR102159760B1 (ko) 2019-08-02 2020-09-24 김성호 장거리 토네이도 기류 분사장치
CN114413164A (zh) * 2021-11-30 2022-04-29 玉环景和机械有限公司 一种减压防泄漏液化气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5015A (ja) * 2012-03-21 2013-09-30 Kyb Co Ltd ミスト装置
KR101408655B1 (ko) * 2013-11-07 2014-06-17 (주)리텍에프이에스 온도와 습도의 가변 제어를 이용한 분무 냉각 시스템
KR101430107B1 (ko) 2013-11-07 2014-08-14 (주)리텍에프이에스 노즐의 잔압에 의한 물 떨어짐 방지 기능을 갖는 분무 냉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5015A (ja) * 2012-03-21 2013-09-30 Kyb Co Ltd ミスト装置
KR101408655B1 (ko) * 2013-11-07 2014-06-17 (주)리텍에프이에스 온도와 습도의 가변 제어를 이용한 분무 냉각 시스템
KR101430107B1 (ko) 2013-11-07 2014-08-14 (주)리텍에프이에스 노즐의 잔압에 의한 물 떨어짐 방지 기능을 갖는 분무 냉각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475B1 (ko) * 2018-05-04 2019-01-04 블루텍 주식회사 시설물용 냉각장치
KR20200071274A (ko) * 2018-12-11 2020-06-19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용 미세 먼지 정화 시스템과, 이를 구비한 창문
KR102247750B1 (ko) * 2018-12-11 2021-05-0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창문용 미세 먼지 정화 시스템과, 이를 구비한 창문
CN110332637A (zh) * 2019-07-17 2019-10-15 江苏宝奥兰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冷梁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332637B (zh) * 2019-07-17 2022-04-26 雅凯热能技术(江苏)有限公司 一种冷梁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159760B1 (ko) 2019-08-02 2020-09-24 김성호 장거리 토네이도 기류 분사장치
CN114413164A (zh) * 2021-11-30 2022-04-29 玉环景和机械有限公司 一种减压防泄漏液化气罐
CN114413164B (zh) * 2021-11-30 2023-11-10 内蒙古汇能煤化工有限公司 一种减压防泄漏液化气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177B1 (ko) 분무식 냉각장치
Meng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spray cooling system employed to improve the summer thermal environment: application efficiency, impact factor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JP5479851B2 (ja) 太陽光パネル冷却装置
US20060213672A1 (en) Weather adjustment system for fighting fires
KR101965112B1 (ko) 실외기실 화재 예방용 루버 개폐 시스템
JP2007271200A (ja) 空気調和装置
US20080028775A1 (en) Method and Device Enabling Defined Temperature and Hygrometric Conditions to be Established and Maintained Inside Premises
CN108617357A (zh) 一种养殖、种植温室降温系统
KR101939616B1 (ko) 미세 분사식 운무 유니트가 연동하여 팬 모터의 낮은 소비전력 운전이 가능한 고효율 차단막 구조를 이루는 건물 출입구용 에어운무기
CN103742978B (zh) 一种具有旋转出风口且能驱蚊的空调
CN102679485A (zh) 控制室内pm2.5空气质量超标的壁挂式水雾降尘降温装置
KR102390442B1 (ko) 사계절 다기능 그린 쉼터구조물
KR101834178B1 (ko) 시설물용 분무식 냉각장치
CN108194995A (zh) 一种空调
CN208765144U (zh) 一种空调
KR101935475B1 (ko) 시설물용 냉각장치
KR20210122452A (ko) 전력공급수단을 갖는 이동식 버스정류장
CN207702635U (zh) 一种带有风能自发电装置的喷雾式空调
CN208370473U (zh) 一种养殖、种植温室降温系统
CN103742981A (zh) 具有旋转出风口且能驱蚊的空调
JPS59205535A (ja) 空調用加湿装置
Makhelouf Impact assessment of the construction of tall buildings in a big town on the urban climate and the air pollution
CN103742979B (zh) 一种具有旋转出风口且能灭蚊的空调
CN203687194U (zh) 一种具有旋转出风口且能灭蚊的空调
JP3183145U (ja) 気化潜熱による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