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1620A - 먼지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먼지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1620A
KR20200091620A KR1020190008595A KR20190008595A KR20200091620A KR 20200091620 A KR20200091620 A KR 20200091620A KR 1020190008595 A KR1020190008595 A KR 1020190008595A KR 20190008595 A KR20190008595 A KR 20190008595A KR 20200091620 A KR20200091620 A KR 20200091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sent
dust
removal system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458B1 (ko
Inventor
김준규
송인상
문정수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대현엔텍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현엔텍, 롯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대현엔텍
Priority to KR102019000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4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01F3/0424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며, 본 발명은 미세기포를 흡착수와 함께 분무상태로 분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접촉되어 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건설현장의 폐수를 정화하여 미세기포 흡착수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양측에 투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며, 내부에 팬이 장착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 형성되며, 흡착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용기와 상기 흡착수공급용기 외측에 결합되어, 양측이 관통된 유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며,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나노기포발생기와 상기 유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나노기포발생기로 공급되는 흡착수를 단계로 정화시키는 다단정화기이다.

Description

먼지 제거 시스템{System for removing dust}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며, 본 발명은 미세기포를 흡착수와 함께 분무상태로 분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접촉되어 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건설현장의 폐수를 정화하여 미세기포 흡착수로 활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다.
특허발명 001은 대기오염 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기체/액체 접촉 효율을 높이기 위해 충진하는 충진층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며, 순환배관 내 이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스케일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마이크로버블 공급장치는 용수공급부, 상기 용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에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켜 마이크로버블 함유수를 생성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부,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마이크로버블 함유수로부터 상기 마이크로버블의 양을 검출하는 마이크로버블 센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마이크로버블 함유수를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로 순환시키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관, 상기 순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마이크로버블 함유수가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관 및 상기 마이크로버블 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버블 함유수의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공기 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터의 축에 고정되는 회전 디스크와, 축에 미고정되는 고정 디스크를 교번적으로 이격 설치하고, 회전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에 슬릿홀을 형성하여 기포가 회전 디스크와 고정 디스크의 슬릿홀을 통과하면서 회전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미세하게 분쇄되어 다량의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는 버블발생장치를 기반으로 장치 내로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마이크로 버블화시켜 각종 오염 물질을 물에 포집한 후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공기 청정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기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일정량의 처리수에 기체를 주입하여 기포를 생성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에 의해 생성된 처리수 내 기포에 양전하를 대전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에 의해 생성된 양전하를 갖는 기포가 내부노즐을 통과하면서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혼합탱크를 포함하는 양전하를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4는 액체(정수,하수,폐수)속에 포함된 오염물 중 중력에 의하여 침전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침전물 제거와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미립자의 침전 효율을 극대화 한 액체 침전장치로서 유입액체를 경사지게 설치되며,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분리된 침전관부재를 경유해서 처리수가 이동시 액체에 포함된 모래, 실트, 점토등과 같은 미립자 침전물을 중력을 이용하여 침전시키고, 먼지나 오일과 같은 부유물은 관체들의 입수측으로 모아 배출함으로서, 적은 처리용적에서 수면 부하율을 높여 오염물의 침전율을 높이며, 부유물 및 침전물의 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KR 10-1669125 B1 (등록일자 2016년10월19일) KR 10-1614906 B1 (등록일자 2016년04월18일) KR 10-2013-0078327 A (공개일자 2013년07월10일) KR 10-2010-0135374 A (공개일자 2010년12월27일)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며, 본 발명은 미세기포를 흡착수와 함께 분무상태로 분사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접촉되어 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건설현장의 폐수를 정화하여 미세기포 흡착수로 활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은 먼지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양측에 투입구(102) 및 배출구(101)를 형성하며, 내부에 팬(103)이 장착되고, 상기 팬(10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1제어기(104)를 구비하는 송풍기(100);, 상기 송풍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분출구(202)를 형성하는 분무캡(201)을 형성하며, 제2제어기(203)에 의하여 흡착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200);, 상기 노즐(200)에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용기(300);, 상기 흡착수공급용기(300) 외측에 결합되어, 양측이 관통된 유입구(610) 및 토출구(620)를 형성하며,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나노기포발생기(600);, 상기 토출구(620)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박판으로 형성된 허니컴 형상의 기포확산구가 형성되며, 원통체로 형성된 기포생성기(700);, 상기 유입구(610)의 일측에 경사 형성된 제1경사면(661) 및 상기 제1경사면(66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수평면(662)을 구비하는 제1유로(660);, 상기 제1유로(660)의 일측에 경사 형성된 제2경사면(671) 및 상기 제2경사면(67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수평면(672)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평면(672)의 내주면에 나선형의 돌기(673)가 다수 형성된 스파이럴 튜브(674)가 배치되는 제2유로(670);, 상기 제2유로(670)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경사면(681) 및 상기 제3경사면(68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3수평면(682)을 구비하는 제3유로(680);, 상기 제3유로(680)에 배치되며, 내부에 복수의 분산판(821)이 형성되는 흐름분산체(820);, 상기 유입구(610)에 결합되어, 상기 나노기포발생기(600)로 공급되는 흡착수에 결합되는 먼지를 단계로 정화시키는 다단정화기(1000);, 상기 다단정화기(1000) 내부에 제1배플(1110)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배플(1110) 상부에 정화투입구(1101)를 형성하는 1차용기(1100);, 상기 제1배플(1110) 상부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1120);, 일측이 상기 내부용기(1120)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1차용기(1100) 외부로 형성되는 제1연결관(1130);, 상측에 상기 제1연결관(1130) 타측을 연통하며, 하측에 개폐되는 차단밸브(1373)가 형성되는 제2연결관(1210) 일측을 연통하는 2차용기(1200);, 상기 제2연결관(1210) 타측과 연통되며, 내부에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3차용기(1300);, 상기 차단밸브(1373)를 조절하는 제2제어기(203)로 상기 3차용기(1300)의 수위정보를 전송하는 수위센서(1372));, 일측이 상기 정화투입구(1101)에 결합되며, 중간에 형성된 흡입펌프(1422)에서 흡착수와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관(1421);, 상기 흡입관(1421)의 타측에 결합되어 먼지를 여과하는 프리필터(1423);, 상기 프리필터(1423)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기(100)에서 분사되어 먼지가 흡착된 흡착수를 상기 흡입관(1421)으로 유도하여 순환시키는 유도판(1500); 및 상기 유도판(1500) 상부에 다수가 돌출되어 부피가 큰 비닐 및 낙엽이 걸리는 걸림돌기(1510);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기(100)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500);, 상기 힌지 각도를 회동시키는 제1회전장치(510);, 상기 메인프레임(500)을 회동시키는 제2회전장치(520);를 포함한다.
상기 기포확산구 내부에 형성되며, 돌출 핀으로 형성된 분할편(7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로(660)와 상기 제2유로(670) 사이에 배치되는 증속유도체(800);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공간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차용기(130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간용기(1310);, 상기 중간용기(131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131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최종용기(1320);, 상기 최종용기(1320)와 연통되며, 상기 제3차용기(1300) 외부로 관통되는 제3연결관(1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작업환경내의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미세기포를 수용하는 흡착수를 공기 중에 분사하여 먼지를 포집하며, 중력에 의해 먼지를 제거하므로 완전하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송풍기에 의해 바람을 공급하며, 노즐에 의해 흡착수를 분사하므로 분무형태로 흡착수를 분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압으로 압축된 기액혼합물이 기포생성기를 통과하면서 공기가 나노 크기로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미세 기포를 물리적으로 파쇄하여 나노 기포를 생성하며, 기포의 크기를 균일하게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난류현상을 유발시켜 안정적인 나노 기포를 얻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로 내에서 기액혼합물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정화단계를 거쳐 정화가 이루어지므로 정화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심력에 의해 중량물을 하부로 침전시키며, 부유물을 상부에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응집제를 이용하여 잔류물질을 응집하며, 2차용기 하부에 침전시키므로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순환과정을 통해 미세침전물을 제3용기 하부에 포집하므로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의 송풍기 및 흡착수공급용기가 일체로 수용되는 운반기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송풍기 및 메인프레임의 작동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나노기포발생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포생성기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포발생기커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파이럴 튜브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증속유도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흐름분산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흐름분산체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단정화기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단정화기 및 캐리어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3차용기, 중간용기, 최종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유도판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에 대한 발명으로서, 양측에 투입구(102) 및 배출구(101)를 형성하며, 내부에 팬(103)이 장착되는 송풍기(100);, 상기 송풍기(100)에 형성되며, 흡착수를 분사하는 노즐(200);, 상기 노즐(200)에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용기(300);, 상기 흡착수공급용기(300) 외측에 결합되어, 양측이 관통된 유입구(610) 및 토출구(620)를 형성하며,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나노기포발생기(600);, 상기 유입구(610)에 결합되어, 상기 나노기포발생기(600)로 공급되는 흡착수를 단계로 정화시키는 다단정화기(10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공사현장의 공기 중에 떠있는 먼지 등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해, 흡착수를 공기 중으로 분사시켜 흡착수와 먼지 등을 결합시키며, 흡착수와 결합된 먼지는 중력에 의해 지면으로 낙하됨에 따라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공사현장의 폐수를 흡입하여 다수의 단계로 정화함에 따라 재사용할 수 있으며, 정화된 흡착수와 공기를 혼합하여 나노 크기의 기포를 발생하여 다시 공기 중으로 분사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공기를 분사시키는 송풍기(100), 분출되는 공기 중에 흡착수를 포함시키는 노즐(200), 상기 노즐(200)에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용기(300), 흡착수공급용기(300)의 외측에 결합되어 흡착수에 기포를 발생하는 나노기포발생기(600), 나노기포발생기(600)로 먼지가 흡착된 흡착수를 흡입하여 정화시키는 다단정화기(1000)로 이루어진다. 송풍기(100)는 공기 투입용 투입구(102) 및 공기 배출용 배출구(101)를 형성하며, 투입구(102)와 배출구(101)는 관통된다. 송풍기(100) 내부는 모터 및 팬(103)을 형성하여 공기에 추진력을 부여한다. 노즐(200)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기포발생기(600)는 양측이 관통된 유입구(610) 및 토출구(620)가 형성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다단정화기(1000)는 공사현장에서 분사된 흡착수에 먼지가 결합되어 낙하된 먼지수(水)를 흡입한다.
이러한 정화기는 다단정화과정을 거처 정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정화기는 별도의 이송장비에 장착되며, 송풍기(100)와 원거리에 설치 가능하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200)과 상기 흡착수공급용기(300)를 연통하며, 흡착수를 이송시키는 제1연통관(310);, 상기 제1연통관(310)에 형성되는 제1펌프(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흡착수공급용기(300)에는 흡착수를 수용하며, 흡착수는 제1펌프(320)를 통해 노즐(200)로 공급된다. 제1펌프(320)와 노즐(200) 사이에는 제1연통관(310)을 형성한다. 제1연통관(310)은 고정관 또는 유연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통관(310)은 분기구를 통해 복수로 분기되어 각각의 노즐(200)에 흡착수를 공급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팬(10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1제어기(1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팬(103) 회전속도 조절은 공기 분출속도를 조절한다. 따라서 공기분출속도를 조정하여 분출되는 거리 및 분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펜의 회전수는 제1제어기(104)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제어기(104)가 조작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송풍기(100) 및 상기 나노미세발생기를 설치하며, 엔진 또는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운반기(410);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송풍기(100)를 설치하며, 일면에 주행용 바퀴를 설치하며, 차량과 착탈용 견인기(421)가 형성되는 캐리어(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공사현장, 터널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자체동력을 가지는 운반기(410)에 장착되며, 운반기(410)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용 바퀴가 장착되며, 견인기(421)가 장착되어 차량 등에 결합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자주성을 확보 및 동력원 확보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노즐(200)은 송풍기(100) 내부에 형성되며, 팬(103)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노즐(200)에서 분사되는 흡착수는 분무형태로 살포되며, 송풍기(100) 팬(103)에 의해 추진력을 얻은 공기는 분무된 흡착수를 분사시킨다. 이는 원하는 위치까지 흡착수를 이송시키는 효과가 있다. 분무효율 향상을 위해, 노즐(200)은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송풍기(100) 배출구(101)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기(100) 내부에 노즐(2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송풍기(100)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 팬(103)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노즐(200)은 송풍기(100) 투입구(102) 또는 배출구(101)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노즐(200)은 분무캡(201)을 형성하며, 분무캡(201)에는 복수의 분출구(202)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노즐(200)입구에는 복수의 분출구(202)로 형성된 분무캡(201)을 덮는다. 분무캡(201) 내부에는 노즐(200)입구로부터 분사된 흡착수가 파쇄되어 분출구(20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분무캡(201)과 노즐(200)입구 사이에는 갭을 형성하며, 상기 갭은 외부조작으로 간격이 조정된다. 외부조작은 상기 분무캡(201)과 결합된 동력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동력장치는 제2제어기(203)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분무캡(201)의 이동을 제어하며, 이는 분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1-1 또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00)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500);, 상기 힌지 각도를 회동시키는 제1회전장치(510);, 상기 메인프레임(500)을 회동시키는 제2회전장치(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송풍기(100)는 외부장치와 결합된다. 송풍기(100)의 배출구(101) 방향은 원하는 방향으로 분출각도를 변화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 송풍기(100)와 외부장치는 메인프레임(500)으로 연결된다. 메인프레임(500)과 송풍기(100)는 축과 축지지용 힌지로 결합된다. 상기 축은 송풍기(100)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는 메인프레임(500)에 형성된다. 상기 축은 송풍기(100) 무게중심 부위에 형성된다. 이는 작은 동력으로도 중량의 송풍기(100)를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송풍기(100) 상하 회동각도 조절을 위해, 제1회전장치(510)가 장착된다. 상기 제1회전장치(510)는 제1모터(511) 또는 실린더(512)를 사용하여 상기 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모터(511)를 사용하는 경우, 제1모터(511)는 메인프레임(500)에 고정되며, 제1모터(511)는 상기 축과 결합되어 송풍기(100)를 회동시킨다. 실린더(512)를 사용하는 경우, 실린더(512) 일측은 메인프레임(500)에 장착되고, 타측은 송풍기(100)에 장착되어 송풍기(10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송풍기(100) 상하각도의 수동조절을 위해 제1핸들(513)을 상기 축에 결합하여 송풍기(10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송풍기(100)의 좌우각도 회전을 위해 제2회전장치(520)를 형성한다. 상기 제2회전장치(520)는 메인프레임(500)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530)에 장착된다. 메인프레임(500)은 기어(521)를 형성하며, 상기 기어(521)는 베이스프레임(530)에 장착된 제2모터(522) 및 피니언(523)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송풍기(100) 좌우각도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어(521)와 결합된 제2핸들(524)의 회전으로 가능하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장치(510) 및 상기 제2회전장치(520)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전제어기(5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송풍기(100)의 상하회동 및 좌우회전의 조절은 앞에서 제시한 제1회전장치(510) 및 제2회전장치(520)로부터 구현된다. 이러한 회동 및 회전은 원격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회전제어기(540)에 의해 가능하다. 즉, 회전제어기(54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으며,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제1회전장치(510)의 제1모터(511) 또는 실린더(512)를 조작하며, 제2회전장치(520)의 제2모터(522)를 회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620) 내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기포확산구가 형성되며, 원통체로 형성된 기포생성기(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흡착수공급용기(300)에는 미세기포가 충전되어야 된다. 상기 미세기포는 700 내지 800 nm의 크기로 존재하며, 바람직하게는 700 nm의 크기로 존재한다. 미세기포를 포함하는 흡착수가 노즐(200)로 분사된다. 미세기포는 흡착수와 함께 분무되며, 먼지와 충돌하여 미세기포가 폭발된다. 미세기포폭발시 먼지에 포함된 균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포생성기(700)는 기액혼합물(흡착수와 공기 혼합)을 이용하여 나노 크기의 기포를 발생하는 것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고압으로 압축된 기액혼합물이 기포생성기(700)를 통과하며, 공기가 나노 크기로 분리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포발생기(600)의 양측에 단턱(63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630)의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3-1에 있어서, 나노기포발생기(6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통공(641)이 형성되는 기포발생기커버(6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나노기포발생기(600) 내부의 부품 설치 및 교체를 위해, 상기 기포발생기커버(640)는 나도기포발생기의 단턱(630)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기포발생기커버(640)는 부품들의 외부 이탈을 방지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포발생기(600)과 기포발생기커버(640) 사이에 패킹(65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액혼합물의 누수 방지를 위해, 고무로 제작된 패킹(650)을 상기 나도기포발생기과 기포발생기커버(640) 사이에 결합한다. 패킹(650)은 실링 효과를 발휘하여 기액혼합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기포생성기(700)는 내부에 기포확산구를 형성하며, 외부에는 결합체(71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포생성기(700)는 후술하게 될 흐름분산체(820)를 지지하며, 동시에 기포확산구를 수용해야 한다. 이는 기포 생성 시 고압의 압력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합체(710)는 내식성 및 내구성이 강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이와 치환되어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재질로 치환될 수 있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기포확산구는 허니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포확산구는 미세 기포를 물리적으로 파쇄하여 나노 기포를 생성한다. 종래 기술의 경우, 대부분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는 막형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미세한 구멍은 유동저항을 발생한다. 이에 기포들이 기포확산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기포확산구는 다수의 박판이 균일하게 형성된 허니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박판의 균일한 형성에 의해 기포확산구의 강도를 유지하며, 기포의 크기를 균일하게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기포확산구 내부에 형성되며, 돌출 핀으로 형성된 분할편(7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포확산구를 통과한 나노 기포는 물속에서 균일하게 분산이 되어야 한다. 기포확산구의 내측에는 복수의 분할편(720)이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분할편(720)에 의해 나노 기포는 균일하게 분산되며, 동시에 난류현상을 유발시켜 안정적인 나노 기포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61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1유로(660);, 상기 제1유로(66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2유로(670);, 상기 제2유로(67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3유로(6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나도기포발생기는 기액혼합물 속 공기를 압축시키며, 폭발력을 높이기 위해 제1유로(660), 제2유로(670) 및 제3유로(680)의 흐름 구조로 연속 형성된다. 이에 기액혼합물이 제1유로(660), 제2유로(670) 및 제3유로(680)에 의해 나노 기포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660)는 경사 형성된 제1경사면(661) 및 상기 제1경사면(66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수평면(66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액혼합물 속 공기가 압축되기 위해서는 기액혼합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유로의 흐름 면적을 넓혀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유로(660)에는 제1경사면(661)과 제1수평면(662)을 형성한다. 제1경사면(661)은 유입구(610)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1수평면(662)은 제1경사면(661)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670)는 경사 형성된 제2경사면(671) 및 상기 제2경사면(67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수평면(67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나노 기포 생성을 위해서 유로 내부는 고속 흐름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유로(670)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어야 한다. 기액혼합물이 제2유로(670)를 급속히 통과하면 유체 전단력에 의해 나노 기포를 발생시킨다. 제2경사면(671)은 제1수평면(662)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2수평면(672)은 제2경사면(671)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면(672)의 내주면에 나선형의 돌기(673)가 다수 형성된 스파이럴 튜브(674)가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기포 발생 및 기액혼합물의 에너지 충전을 위해 스파이럴 회전을 유도하며, 이는 제2수평면(672) 내부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673)에 의해 회전력을 얻는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튜브(674)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돌기(673) 간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튜브(674)는 돌기(673) 간의 간격이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파이럴 튜브(674)의 돌기(673) 간의 간격은 유로 내부로 흐르는 기액혼합물의 속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4-7)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680)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경사면(681) 및 상기 제3경사면(68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3수평면(68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나노 기포의 물속 안정화를 위해서 나노 기포의 흐름을 분산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흐름분산체(8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제3유로(680)가 형성된다. 제3경사면(681)은 제2수평면(672)의 일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제3수평면(682)은 제3경사면(681)의 일측 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실시예 4-8)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4-7에 있어서, 상기 제3수평면(682)은 일측에 결합홈(683)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유로(680)와 흐름분산체(820) 사이로 나노 기포의 흐름 통로가 존재해야 한다. 흐름 통로 형성을 위해서는 흐름분산체(820)의 위치를 고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제3수평면(682)에는 흐름분산체(820)의 일측이 결합되는 결합홈(683)을 형성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660)와 제2유로(670) 사이에 배치되는 증속유도체(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포 발생률을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유로 내에서 기액혼합물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켜 신속하게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유로(660)와 제2유로(670) 사이에는 증속유도체(800)를 형성하였다. 증속유도체(800)를 통과하는 기액혼합물은 빠른 흐름 속도와 추출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증속유도체(800)는 양측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액혼합물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증속유도체(800)는 유선형으로 형성한다. 기액혼합물이 유선형으로 유동되므로 유로 내로 유입되는 기액혼합물은 큰 저항을 받지 않는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증속유도체(800)는 외부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8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액혼합물의 안정적인 흐름을 유도하며, 난류에 의한 유동저항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810)를 복수로 형성한다. 증속유도체(800)에서 유속이 증대된다. 따라서 속도 증가에 따른 난류가 발생하며, 이는 조기에 기포가 파쇄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실시예 6-1)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680)에 배치되며, 내부에 복수의 분산판(821)이 형성되는 흐름분산체(8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유로(670)를 통해 생성된 기포는 나노 크기를 갖도록 잘게 쪼개져야 한다. 이를 위해, 증속유도체(800)의 후방에 흐름분산체(820)를 형성한다. 흐름분산체(820)는 기포발생기커버(640)에 의해 지지된다. 기포 입자들은 분산판(821)을 지나면서 분쇄되어 균일하게 분산된다. 분산된 나노 기포는 물속에서 안정화를 이룬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흐름분산체(8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결합돌기(82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흐름분산체(820)는 분산판(821)의 강도를 보강해준다. 이는 기포 생성 시 고압의 압력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흐름분산체(820)는 분산판(821)을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돌기(822)는 흐름분산체(820)를 제3유로(680) 내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다. 결합돌기(822)는 제3유로(680)의 제3수평면(682)에 형성된 결합홈(683)에 결합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흐름분산체(820)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구(823); 상기 고정구(823)의 일측에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분산헤드(8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액혼합물의 폭발력이 높아야 한다. 이를 위해, 흐름분산체(820)의 중간부에 고정구(823)를 형성하며, 고정구(823)의 선단에 분산헤드(824)를 형성한다. 나노 기포는 분산판(821)과 충돌하기에 앞서 분산헤드(824)에 먼저 충돌하여 폭발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분산헤드(824) 일측은 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체역학 상 저항이 작은 이상적인 형상이다. 분산헤드(824)는 선단으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고 끝이 날카롭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은 나노 기포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시킨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분산헤드(824)의 타측과 연결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는 이송축(825);, 상기 이송축(825)을 지지하며,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는 고정체(826);, 상기 이송축(825) 일측에 형성되는 스플라인(827);, 상기 스플라인(827)과 결합되며, 구동모터(828)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82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산헤드(824)는 고정구(823)에 전후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828)의 작동에 의해 회전부재(829)가 회전되며, 회전부재(829)의 회전과 함께 스플라인(827)이 연동 회전되면서 이송축(825)도 회전된다. 회전되는 이송축(825)은 고정체(826)에 의해 가이드(810)되어 왕복 이송을 한다. 따라서 분산헤드(824)의 전진 시 압력이 형성되며, 증압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증압효율 상승으로 나노 기포의 토출량을 증대시킨다.
(실시예 6-6)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포발생기 내부로 다단정화기(1000)의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관(910);, 상기 흡착수공급관(910) 중간에 형성되는 흡착수공급펌프(920);, 상기 미세기포발생기에 공급되는 공기공급관(9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나노 단위의 미세기포 발생을 위해 다단정화기(1000)에서 정화된 흡착수가 흡착수공급펌프(920)를 통해 미세기포발생기로 순환된다. 순환과정 중 공기공급관(930)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착수공급관(910)으로 진입된다. 흡착수공급관(910)으로 진입된 공기 및 흡착수가 결합되어 기액혼합물로 생성되며 나노미세기포발생기에 의하여 나노 단위의 미세기포가 공급된다. 그리고 공기가 흡착수공급용기(300)로 분출되는 과정에서 미세기포생성기(700)에 의하여 나노 크기로 파쇄되어 다량의 기포를 발생시킨다.
(실시예 6-7)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6-6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930)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컴프레서(940);, 상기 에어컴프레서(940)의 공기유량을 제어하는 공기유량제어밸브(950);, 상기 공기유량제어밸브(950)를 제어하는 공기제어기(9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미세기포생성을 위해 대기중의 공기가 미세기포발생기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기공급관(930)에 에어켐프레서를 장착하며, 또한 설정된 공기량 및 압력을 공급하기 위해 공기유량제어밸브(950)를 장착한다. 상기 공기유량제어밸브(950)는 공기제어기(960)에 장착되며, 상기 공기제어기(960)는 흡착수공급용기(300) 내부에 형성된 미세기포측정기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제어한다.
(실시예 6-8)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6-7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공급용기(300) 내부에 형성되며, 흡착수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온도유지장치(9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흡착수공급용기(300)의 흡착수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는 기포의 생성조건을 최적으로 유지하며, 외부기온에 의해 온도상승 및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온도유지장치(970)는 가열장치(971) 및 냉각장치(97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971)는 히터가 장착되며, 냉각장치(972)는 냉매순환관을 형성한다. 상기 냉각장치(972) 및 가열장치(971)는 온도제어기(973)에 의해 제어된다. 온도제어기(973)는 흡착수공급용기(300) 내부에 장착된 온도센서(974)의 온도신호를 감지하여 작동된다. 상기 온도센서(974)는 서머커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균등한 목적을 달성하는 대상으로 치환 가능하다.
(실시예 7-1)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7-1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단정화기(1000)는 내부에 제1배플(1110)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배플(1110) 상부에 정화투입구(1101)를 형성하는 1차용기(1100);, 상기 제1배플(1110) 상부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1120);, 일측이 상기 내부용기(1120)와 연통되며, 타측이 1차용기(1100) 외부로 형성되는 제1연결관(1130);을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정화투입구(1101)는 경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화투입구(1101)는 공사현장에서 흡착수를 분사하여 흡착수와 함께 결합된 먼지가 낙하된 먼지수(水)를 흡입하며, 흡입된 먼지수는 1차용기(1100) 내부에 저장되며, 1차용기(1100) 내부는 소용돌이를 형성한다. 소용돌이 과정 중, 중량의 흙, 자갈 등은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며, 낙하된 것은 1차용기(1100) 하부에 포집된다. 상기 소용돌이는 경사된 정화투입구(1101)에 의해 소용돌이를 생성한다.
1차용기(1100) 내부에는 내부용기(1120)를 형성하며, 내부용기(1120)는 낙하물이 제외한 먼지수 만을 수용한다. 따라서 공사현장 폐수 중, 중량이 큰 물질을 1차로 정화한다. 또한, 폐수에는 오일 및 부유성 고형물을 포함한다. 상기 오일 및 부유성 고형물 포집을 위해 1차용기(1100) 및 내부용기(1120) 사이에는 부유물포집체(1150)에 수용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제1배플(1110)은 중심부에 제1침전구멍(1111);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배플(1110)은 경사 각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1차용기(1100) 하부에 형성된 제1배플(1110)은 경사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제1배플(1110) 중심부에는 낙하물 투입용 제1침전구멍(1111)을 형성한다. 중력에 의해 1차용기(1100) 하부로 침전된 낙하물이 제1배플(1110) 하부로 포집되며, 상기 낙하물이 난류에 의한 상승 방지를 위해 제1배플(1110)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실시예 7-4)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1배플(1110) 하부에 형성되며 1차용기(1100) 외부로 연통되는 제1드레인관(1140);을 포함한다.
(실시예 7-5)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1드레인관(1140)에 형성되는 제1드레인밸브(1141);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1차용기(1100) 하부에 침전된 낙하물은 제1드레인관(11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제1드레인관(1140)은 제1드레인밸브(1141)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1드레인밸브(1141)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거나, 낙하물 중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실시예 7-6)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측에 상기 제1연결관(1130) 타측을 연통하며, 하측에 제2연결관(1210) 일측을 연통하는 2차용기(1200);, 상기 2차용기(120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1210) 하부에 형성되는 제2배플(1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1차용기(1100)에서 정화된 먼지수는 제1연결관(1130)을 통해 2차용기(1200)로 진입된다. 2차용기(1200) 내부에는 2차배플을 형성한다. 먼지수는 2차용기(1200)에서 응집되며, 응집된 먼지수가 하부로 낙하되고 제2배플(1220) 하부에 포집된다. 응집되지 않은 먼지수는 제2연결관(1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실시예 7-7)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7-6에 있어서, 2차용기(1200)에 결합되며,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용기(1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먼지수 응집은 자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인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차용기(1200) 상부에는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용기(1240)를 형성한다. 상기 응집제용기(1240) 내부에는 응집수를 수용하며, 상기 응집수는 응집제용기(1240)로부터 2차용기(1200)로 공급되고 2차용기(1200) 내부의 먼지수를 인위적으로 응집한다. 응집제용기(1240)와 2차용기(1200) 사이에는 응집수공급관(1241)을 형성하며, 응집수공급관(1241) 중간에는 응집수공급밸브(1242)를 형성한다. 상기 응집수공급밸부는 응집수공급제어기(1243)에 의해 개폐된다.
(실시예 7-8) 실시예 7-7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1210) 중간에 형성되는 제2펌프(1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먼지수가 응집된 이후, 잔류된 먼지수는 제2펌프(1230)를 통해 2차용기(1200) 외부로 배출된다.
(실시예 7-9)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1220)은 제2침전구멍(1221);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10)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7-9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1220)은 경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2차용기(1200) 하부에 형성된 제2배플(1220)은 경사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제2배플(1220) 중심부에는 응집물 투입용 제2침전구멍(1221)을 형성한다. 중력에 의해 2차용기(1200) 하부로 침전된 응집물이 제2배플(1220) 하부로 포집되며, 상기 낙하물이 난류에 의한 상승 방지를 위해 제2배플(1220)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실시예 7-11)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7-10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1220) 하부에 형성되며 2차용기(1200) 외부로 연통되는 제2드레인관(1250);을 포함한다.
(실시예 7-12)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7-11에 있어서, 상기 제2드레인관(1250)에 형성되는 제2드레인밸브(125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2차용기(1200) 하부에 침전된 응집물은 제2드레인관(12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제2드레인관(1250)은 제2드레인밸브(1251)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드레인밸브(1251)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거나, 응집물 중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실시예 8-1)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7-1 또는 실시예 7-6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1210) 타측과 연통되며, 내부에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3차용기(1300);, 상기 순환공간 내부에 형성되며, 제3차용기(130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간용기(1310);, 상기 중간용기(1310) 내부에 형성되며, 중간용기(131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최종용기(1320);, 상기 최종용기(1320)와 연통되며, 제3차용기(1300) 외부로 관통되는 제3연결관(1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응집물이 제거된 먼지수는 제2연결관(1210)을 통해 3차용기(1300)로 투입된다. 투입력을 확보를 위해 제2연결관(1210)에는 제2펌프(1230)를 장착하며, 제2펌프(1230)는 설정된 압력으로 먼지수를 공급한다.
3차용기(1300)에 투입된 먼지수는 저속흐름을 발생하며 중력에 의해 미세잔류물을 하부에 포집한다. 이러한 포집과정은 3회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3차용기(1300) 내부에는 중간용기(1310)를 수용하며, 중간용기(1310) 내부에는 최종용기(1320)를 수용한다. 먼지수는 3차용기(1300)를 통해 중간용기(1310)로 이동하며, 중간용기(1310)에서 최종용기(1320)로 이어진다. 이동과정 중 각각의 용기 하부에는 미세잔류물을 단계적으로 축적하여, 먼지수를 정화함에 따라 나노기포발생기(600)로 공급되는 흡착수가 생성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제3차용기(1300), 중간용기(1310) 및 최종용기(1320)는 상부가 개방되며, 중간용기(1310) 및 최종용기(1320) 양측판 높이가 상이하며, 중간용기(1310) 양측판 중 최저높이는 최종용기(1320) 양측판 중 최저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먼지수가 3차용기(1300)에서 중간용기(1310)로 이동하며, 중간용기(1310)에서 최종용기(1320)로 이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3차용기(1300), 중간용기(1310), 최종용기(1320) 상부가 개방된다. 또한 중간용기(1310) 및 최종용기(1320) 중 측면에 형성된 판의 일부가 다른 것보다 낮아야 한다. 또한 중간용기(1310)의 낮은 판 높이는 최종용기(1320)의 낮은판 높이보다 높아야 된다. 이러한 조건이 성립될 경우, 3차용기(1300) 내에서 먼지수의 이동이 중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8-3)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8-2에 있어서, 상기 중간용기(1310) 및 최종용기(1320) 양측판 중 최저 높이의 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톱니모양을 형성하는 흐름유도홈(136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3차용기(1300)의 먼지수가 중간용기(1310)로 이동하는 과정 중, 미세먼지물을 필터링하기 위해 톱니모양의 흐름유도홈(1361)을 복수로 평행하게 형성한다. 중간용기(1310)에서 최종용기(1320)로 이동하는 먼지수 또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8-4)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8-3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3차용기(1300) 하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외부로 연통되는 제3드레인관(1341), 일측이 상기 중간용기(1310) 하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제3차용기(1300) 외부로 연통되는 제4드레인관(1342), 일측이 상기 최종용기(1320) 하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제3차용기(1300) 외부로 연통되는 제5드레인관(1343)을 포함한다.
(실시예 8-5)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8-4에 있어서, 상기 제3드레인관(1341)에 형성되는 제3드레인밸브(1351), 상기 제4드레인관(1342)에 형성되는 제4드레인밸브(1352), 상기 제5드레인관(1343)에 형성되는 제5드레인밸브(13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3차용기(1300) 하부에 침전된 미세먼지물은 제3드레인관(13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제3드레인관(1341)은 제3드레인밸브(1351)에 의해 개폐된다. 중간용기(1310) 및 최종용기(1320) 또한 제4차드레인관 및 제5차 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미세먼지물을 배출하며, 제4드레인밸브(1352) 및 제5드레인밸브(1353)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상기 제3, 4, 5드레인밸브는 작업자 조작으로 작동되거나, 미세먼지물 중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실시예 8-6)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8-5에 있어서, 상기 제3차용기(1300), 중간용기(1310) 및 최종용기(1320)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경사면을 형성한다.
(실시예 8-7)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8-6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들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물이 제3용기, 중간용기(1310), 최종용기(1320)의 하부에 퇴적되는 경우 고형화 될 수 있다. 고형화 방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드레인밸브의 작동이 요구된다. 그러나 드레인밸브의 잦은 작동은 정화된 먼지수를 함께 배출하므로 정화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미세먼지물이 하부 일측에 모여지게 한다. 이는 배출효과를 향상시키며, 먼지수가 정화된 흡착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8-8)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8-7에 있어서, 상기 3차용기(1300), 중간용기(1310) 최종용기(1320) 및 제3연결관(1330)은 폴리머 또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먼지수와 접촉되는 용기는 부식 우려가 높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3차용기(1300) 중간용기(1310) 및 최종용기(1320)는 폴리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스테인레스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8-9)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1210)에 형성되며, 개폐되는 차단밸브(1373) 상기 차단밸브(1373)를 조절하는 제3제어기(1371)에 3차용기(1300)의 수위정보를 전송하는 수위센서(137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3차용기(1300)로 투입되는 먼지수량이 과도한 경우, 먼지수 유동속도가 빨라지며, 이는 미세먼지물 퇴적효율을 저하 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3차용기(1300)의 유속은 적정한 속도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3차용기(1300) 내부 수위로부터 제어된다. 즉, 3차용기(1300) 수위제어를 위해 제2연결관(1210)에는 차단밸브(1373)를 장착한다. 차단밸브(1373)는 제3제어기(1371)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며, 상기 제3제어기(1371)는 3차용기(1300)의 수위센서(1372)로부터 얻어진 신호로 작동된다. 상기 수위센서(1372)는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통상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9-1)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1차용기(1100), 2차용기(1200), 3차용기(1300)를 수용하는 케이스(1400);를 포함하는 다단정화기(1000).
본 발명의 제한된 공간에 1차용기(1100), 2차용기(1200), 3차용기(1300)를 수용하기 위해 하나의 케이스(1400)를 형성한다. 이는 모듈화되어 관리의 효율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9-2)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9-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케이스(1400)를 관통하여 상기 정화투입구(1101)에 결합되는 흡입관(1421);, 상기 흡입관(1421) 중간에 결합되는 흡입펌프(1422);, 상기 흡입관(1421) 타측에 결합되는 프리필터(14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사현장의 먼지수는 흙, 자갈, 먼지, 돌 등의 잔류물을 다량 포함한다. 이러한 잔류물 흡입을 위해 흡입펌프(1422)가 사용되며, 상기 흡입펌프(1422)는 흡입관(1421) 중간에 연결된다. 흡입관(1421) 일측은 상기 정화투입구(1101)에 결합되며, 흡입관(1421) 타측을 프리필터(1423)와 연결된다. 상기 프리필터(1423)는 메시망을 형성하여 일정한 크기의 잔류물을 사전에 걸러낸다. 상기 흡입관(1421)은 소모품이므로 잦은 교체가 예상된다. 따라서 체결수단에 의해 정화투입구(1101)와 결착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플랜지를 형성하여 복수의 볼트로 결합하거나, 밴드로 체결하거나, 끼워맞춤 결합하거나, 나사 결합하거나, 클램프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이 균등대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1421)은 유연관으로 형성된다. 또는 유연관 및 직선관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직선관은 신장 가능하다.
(실시예 9-3)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9-2에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1423)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기(100)에서 분사되어 먼지가 흡착된 흡착수를 상기 흡입관(1421)으로 유도하여 순환시키는 유도판(1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도판(1500)은 잔류물이 다량 포함한 먼지수가 막히지 않고 유도되어 흡입관(1421)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판(1500)은 흡착수가 분사된 후 낙하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흡착수를 흡입관(1421)으로 유도한다. 또한, 유도판(1500)은 지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먼지수가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 9-4) 본 발명의 먼지 제거 시스템의 실시예 9-3에 있어서, 유도판(1500) 상부에 다수가 돌출되어 부피가 큰 잔류물이 걸리는 걸림돌기(15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 구비되는 유도판(1500) 상부에 걸림돌기(1510)가 다수 돌출되어 흡입관(1421) 및 프리필터(1423)에 걸리는 비닐, 낙엽 등이 걸린다. 이 때, 걸림돌기(1510)는 등간격 및 지그재그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어 유도판(1500)에 의하여 흡입관(1421)으로 유도되는 먼지수의 비닐, 낙엽 등이 걸린다. 일반적으로 비닐, 낙엽 등은 물의 흐름을 방해하며, 여과 과정에서 막힘에 의한 피해를 발생시킨다. 그로 인해, 걸림돌기(1510)가 유도판(1500) 상부에 구비됨에 따라 와류가 발생하여 비닐, 낙엽 등은 걸려 프리필터(1423)와 흡입관(1421)으로 유도되는 크기의 먼지수만 유도된다.
100 : 송풍기 101 : 배출구
102 : 투입구 103 : 팬
104 : 제1제어기 200 : 노즐
201 : 분무캡 202 : 분출구
203 : 제2제어기 300 : 흡착수공급용기
310 : 제1연통관 320 : 제1펌프
410 : 운반기 420 : 캐리어
421 : 견인기 500 : 메인프레임
510 : 제1회전장치 511 : 제1모터
512 : 실린더 513 : 제1핸들
520 : 제2회전장치 521 : 기어
522 : 제2모터 523 : 피니언
524 : 제2핸들 530 : 베이스프레임
540 : 회전제어기 600 : 나노기포발생기
610 : 유입구 620 : 토출구
630 : 단턱 640 : 기포발생기커버
641 : 통공 650 : 패킹
660 : 제1유로 661 : 제1경사면
662 : 제1수평면 670 : 제2유로
671 : 제2경사면 672 : 제2수평면
673 : 돌기 674 : 스파이럴 튜브
680 : 제3유로 681 : 제3경사면
682 : 제3수평면 683 : 결합홈
700 : 기포생성기 710 : 결합체
720 : 분할편 800 : 증속유도체
810 : 가이드 820 : 흐름분산체
821 : 분산판 822 : 결합돌기
823 : 고정구 824 : 분산헤드
825 : 이송축 826 : 고정체
827 : 스플라인 828 : 구동모터
829 : 회전부재 910 : 흡착수공급관
920 : 흡착수공급펌프 930 : 공기공급관
940 : 에어컴프레서 950 : 공기유량제어밸브
960 : 공기제어기 970 : 온도유지장치
971 : 가열장치 972 : 냉각장치
973 : 온도제어기 974 : 온도센서
1000: 다단정화기 1100 : 1차용기
1101 : 정화투입구 1110 : 제1배플
1111: 제1침전구멍 1120 : 내부용기
1130 : 제1연결관 1140 : 제1드레인관
1141: 제1드레인밸브 1150 : 부유물포집체
1200 : 2차용기 1210 : 제2연결관
1220 : 제2배플 1221 : 제2침전구멍
1230 : 제2펌프 1240 : 응집제용기
1241 : 응집수공급관 1242 : 응집수공급밸브
1243 : 응집수공급제어기 1250 : 제2드레인관
1251 : 제2드레인밸브 1300 : 3차용기
1310 : 중간용기 1320 : 최종용기
1330 : 제3연결관 1341 : 제3드레인관
1342 : 제4드레인관 1343 : 제5드레인관
1351 : 제3드레인밸브 1352 : 제4드레인밸브
1353 : 제5드레인밸브 1361 : 흐름유도홈
1371 : 제3제어기 1372 : 수위센서
1373 : 차단밸브 1400 : 케이스
1421 : 흡입관 1422 : 흡입펌프
1423 : 프리필터 1500: 유도판
1510: 걸림돌기

Claims (5)

  1. 먼지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양측에 투입구(102) 및 배출구(101)를 형성하며, 내부에 팬(103)이 장착되고, 상기 팬(10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1제어기(104)를 구비하는 송풍기(100);,
    상기 송풍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분출구(202)를 형성하는 분무캡(201)을 형성하며, 제2제어기(203)에 의하여 흡착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200);,
    상기 노즐(200)에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공급용기(300);,
    상기 흡착수공급용기(300) 외측에 결합되어, 양측이 관통된 유입구(610) 및 토출구(620)를 형성하며,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나노기포발생기(600);,
    상기 토출구(620)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박판으로 형성된 허니컴 형상의 기포확산구가 형성되며, 원통체로 형성된 기포생성기(700);,
    상기 유입구(610)의 일측에 경사 형성된 제1경사면(661) 및 상기 제1경사면(66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수평면(662)을 구비하는 제1유로(660);,
    상기 제1유로(660)의 일측에 경사 형성된 제2경사면(671) 및 상기 제2경사면(67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수평면(672)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평면(672)의 내주면에 나선형의 돌기(673)가 다수 형성된 스파이럴 튜브(674)가 배치되는 제2유로(670);,
    상기 제2유로(670)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경사면(681) 및 상기 제3경사면(68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3수평면(682)을 구비하는 제3유로(680);,
    상기 제3유로(680)에 배치되며, 내부에 복수의 분산판(821)이 형성되는 흐름분산체(820);,
    상기 유입구(610)에 결합되어, 상기 나노기포발생기(600)로 공급되는 흡착수에 결합되는 먼지를 단계로 정화시키는 다단정화기(1000);,
    상기 다단정화기(1000) 내부에 제1배플(1110)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배플(1110) 상부에 정화투입구(1101)를 형성하는 1차용기(1100);,
    상기 제1배플(1110) 상부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1120);,
    일측이 상기 내부용기(1120)와 연통되며, 타측이 상기 1차용기(1100) 외부로 형성되는 제1연결관(1130);,
    상측에 상기 제1연결관(1130) 타측을 연통하며, 하측에 개폐되는 차단밸브(1373)가 형성되는 제2연결관(1210) 일측을 연통하는 2차용기(1200);,
    상기 제2연결관(1210) 타측과 연통되며, 내부에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3차용기(1300);,
    상기 차단밸브(1373)를 조절하는 제2제어기(203)로 상기 3차용기(1300)의 수위정보를 전송하는 수위센서(1372));,
    일측이 상기 정화투입구(1101)에 결합되며, 중간에 형성된 흡입펌프(1422)에서 흡착수와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관(1421);,
    상기 흡입관(1421)의 타측에 결합되어 먼지를 여과하는 프리필터(1423);,
    상기 프리필터(1423)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기(100)에서 분사되어 먼지가 흡착된 흡착수를 상기 흡입관(1421)으로 유도하여 순환시키는 유도판(1500); 및
    상기 유도판(1500) 상부에 다수가 돌출되어 부피가 큰 비닐 및 낙엽이 걸리는 걸림돌기(1510);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00)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500);,
    상기 힌지 각도를 회동시키는 제1회전장치(510);,
    상기 메인프레임(500)을 회동시키는 제2회전장치(520);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포확산구 내부에 형성되며, 돌출 핀으로 형성된 분할편(720)을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660)와 상기 제2유로(670) 사이에 배치되는 증속유도체(800);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간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차용기(130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간용기(1310);,
    상기 중간용기(131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용기(131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최종용기(1320);,
    상기 최종용기(1320)와 연통되며, 상기 제3차용기(1300) 외부로 관통되는 제3연결관(1330);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KR1020190008595A 2019-01-23 2019-01-23 먼지 제거 시스템 KR10219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95A KR102193458B1 (ko) 2019-01-23 2019-01-23 먼지 제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595A KR102193458B1 (ko) 2019-01-23 2019-01-23 먼지 제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20A true KR20200091620A (ko) 2020-07-31
KR102193458B1 KR102193458B1 (ko) 2020-12-21

Family

ID=7183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595A KR102193458B1 (ko) 2019-01-23 2019-01-23 먼지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4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9062A (zh) * 2020-09-16 2020-12-08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环保除尘设备
CN112807898A (zh) * 2020-12-22 2021-05-18 盐城兴城置业有限公司 房屋拆除用洒水吸尘式降尘装置
CN113680166A (zh) * 2021-07-30 2021-11-23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爆破粉尘处理设备
CN114042558A (zh) * 2021-11-11 2022-02-15 杨诺诚 装煤列车的抑尘剂喷洒时长管理系统和方法
KR20220068011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비산먼지 방지용 살수장치
KR20220090764A (ko) * 2020-12-23 2022-06-30 (주)평화엔지니어링 도로변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이동형 미세먼지 측정차량
CN115487636A (zh) * 2022-09-03 2022-12-20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绿色施工降尘装置
CN117511594A (zh) * 2024-01-08 2024-02-06 东营市润泽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脑油的安全生产用脱硫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422B1 (ko) 2021-03-09 2021-06-14 주식회사 케이씨티이엔씨 비산먼지 위치추적형 이중분사 방식의 비산먼지 저감장치 및 그를 이용한 비산먼지 저감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11B1 (ko) * 2006-10-26 2007-06-27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건식 청소차
KR20100135374A (ko) 2009-06-17 2010-12-27 주식회사 비.씨.오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KR20130078327A (ko) 2011-12-30 2013-07-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양전하를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614906B1 (ko) 2015-09-18 2016-04-29 성상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공기 청정장치
KR101669125B1 (ko) 2016-08-08 2016-10-25 세마엔지니어링(주) 마이크로버블 공급장치 및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대기오염 처리장치
KR101768009B1 (ko) * 2016-08-18 2017-08-14 박성종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865240B1 (ko) * 2017-11-27 2018-06-07 (주)대현엔텍 나노 기포 발생장치
KR101879592B1 (ko) * 2017-09-15 2018-07-18 (주)대현엔텍 먼지 제거기
KR101913415B1 (ko) * 2018-06-27 2018-12-28 (주)대현엔텍 다단정화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411B1 (ko) * 2006-10-26 2007-06-27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건식 청소차
KR20100135374A (ko) 2009-06-17 2010-12-27 주식회사 비.씨.오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KR20130078327A (ko) 2011-12-30 2013-07-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양전하를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614906B1 (ko) 2015-09-18 2016-04-29 성상규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공기 청정장치
KR101669125B1 (ko) 2016-08-08 2016-10-25 세마엔지니어링(주) 마이크로버블 공급장치 및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대기오염 처리장치
KR101768009B1 (ko) * 2016-08-18 2017-08-14 박성종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879592B1 (ko) * 2017-09-15 2018-07-18 (주)대현엔텍 먼지 제거기
KR101865240B1 (ko) * 2017-11-27 2018-06-07 (주)대현엔텍 나노 기포 발생장치
KR101913415B1 (ko) * 2018-06-27 2018-12-28 (주)대현엔텍 다단정화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9062A (zh) * 2020-09-16 2020-12-08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环保除尘设备
KR20220068011A (ko) * 2020-11-18 2022-05-2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비산먼지 방지용 살수장치
CN112807898A (zh) * 2020-12-22 2021-05-18 盐城兴城置业有限公司 房屋拆除用洒水吸尘式降尘装置
KR20220090764A (ko) * 2020-12-23 2022-06-30 (주)평화엔지니어링 도로변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이동형 미세먼지 측정차량
CN113680166A (zh) * 2021-07-30 2021-11-23 中电建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便于爆破粉尘处理设备
CN114042558A (zh) * 2021-11-11 2022-02-15 杨诺诚 装煤列车的抑尘剂喷洒时长管理系统和方法
CN114042558B (zh) * 2021-11-11 2022-07-26 杨诺诚 装煤列车的抑尘剂喷洒时长管理系统和方法
CN115487636A (zh) * 2022-09-03 2022-12-20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绿色施工降尘装置
CN117511594A (zh) * 2024-01-08 2024-02-06 东营市润泽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脑油的安全生产用脱硫装置
CN117511594B (zh) * 2024-01-08 2024-04-05 东营市润泽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脑油的安全生产用脱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458B1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458B1 (ko) 먼지 제거 시스템
EP0532494B1 (en) Improved water clarifying apparatus
KR100251826B1 (ko) 하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US109275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large pipes, such as storm drain conduits
CN103097307A (zh) 包括固体分离装置的净化器、以及用于废水净化的方法
CN108355569B (zh) 制备超细浆料的固液混合装置
KR101654508B1 (ko) 경사판 침전조 겸용 오폐수 가압부상장치
WO20191357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dewatering efficiency
CN109081414A (zh) 基于气动旋流强制掺混技术的高效澄清器
CA2788623A1 (en) Ballast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water treatment system with simplified sludge recirculation, and process therefor
US202101704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large pipes, such as storm drain conduits
CN114229956A (zh) 一种旋流混合式固液分离器以及旋流混合式混凝澄清装置
CN101772368B (zh) 浓缩设备和方法
CN107032462A (zh) 一种用高效中性絮凝剂净化选矿污水的处理装置
CN107552252B (zh) 餐厨垃圾用砂浆分离设备
CN215479957U (zh) 自循环加密颗粒污泥滤沉池
CN208532301U (zh) 一种气浮机
KR101913415B1 (ko) 다단정화기
KR102102920B1 (ko) 미세 버블을 이용한 일체형 정수 장치 및 방법
CN202430033U (zh) 叶轮切割式涡旋气浮装置
CN102557177A (zh) 叶轮切割式涡旋气浮装置
RU11036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с помощью напорной флотации
CN207024734U (zh) 污水处理回收池
KR200335075Y1 (ko) 양어장 사료찌꺼기 및 오물 제거장치
CN211367252U (zh) 一种污水处理气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