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415B1 - 다단정화기 - Google Patents

다단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415B1
KR101913415B1 KR1020180074237A KR20180074237A KR101913415B1 KR 101913415 B1 KR101913415 B1 KR 101913415B1 KR 1020180074237 A KR1020180074237 A KR 1020180074237A KR 20180074237 A KR20180074237 A KR 20180074237A KR 101913415 B1 KR101913415 B1 KR 10191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vessel
baffle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주)대현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현엔텍 filed Critical (주)대현엔텍
Priority to KR102018007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정화기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내부에 제1배플(110)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배플 상부에 투입구(101)를 형성하는 1차용기(100);, 상기 제1배플 상부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120);, 일측이 상기 내부용기와 연통되며, 타측이 1차용기 외부로 형성되는 제1연결관(130);로 이루어지며, 2차용기, 3차용기의 연속적 정화과정으로 건축폐기수로부터 물을 추축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다단정화기 {Multiple stage purifier of water}
본 발명은 다단정화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물과 함께 포함된 먼지, 모래, 자갈 등의 침전물이 복수의 정화단계를 거쳐 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단정화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물과 함께 포함된 먼지, 모래, 자갈 등의 침전물이 복수의 정화단계를 거쳐 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문헌 001은 먼지나 분진을 살수장치에서 분사되는 물과 융합하여 필터로 여과시켜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사된 물을 침전조로 회수하여 미분과 분리된 폐수를 정화장치에서 정화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수장치(5)에서 분사되어 분진과 융합된 폐수를 이송하여 침전시킨 후 폐수와 분진을 분리하는 침전조(9)와, 상기 침전조(9)에서 수중 분리된 폐수를 유입하여 폐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다수개 필터(103)가 내장된 필터함(101)을 거치면서 정화된 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살수장치로 순환시키는 정화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허문헌 002는 건설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건설폐기물 처리 과정 중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10mm이하의 선별토사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1수침분리조(100)내에 투입하여 일정시간 동안 분산제 수용액속에 수침을 하여 점성을 제거함과 동시에 하부 에어분사구에 의한 폭기, 교반장치에 의한 분산 효과로 입자가 상하 부유 운동을 통해 분산제 수용액이 입자마다 골고루 접촉하도록 하여 점성이 제거되어 분리되도록 하고, 점성이 제거된 선별토사를 슬러리 상태로 이송하여 제2수침분리조에 주입됨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에어와 물이 각기 분사되어 침강시 입자가 고루 확산 되도록 하는 과정과 비중에 따라 다른 침강속도를 이용하여 0.2mm이하의 미세한 점토입자를 부유시켜 0.2mm 체로 구성된 여과벽으로 여과되도록 하고 이를 집수하며, 집수관의 구배에 의해 집수와 동시에 탈수조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 후 제2수침분리조내 잔류하는 물과 모래 중 물을 여과망이 부착된 하부경사방향 배출구로 우선 배출하고 남은 모래를 하부중앙배출구를 통해 회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특허발명 003은 액체(정수,하수,폐수)속에 포함된 오염물 중 중력에 의하여 침전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침전물 제거와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미립자의 침전 효율을 극대화 한 액체 침전장치로서 유입액체를 경사지게 설치되며,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분리된 침전관부재를 경유해서 처리수가 이동시 액체에 포함된 모래, 실트, 점토등과 같은 미립자 침전물을 중력을 이용하여 침전시키고, 먼지나 오일과 같은 부유물은 관체들의 입수측으로 모아 배출함으로서, 적은 처리용적에서 수면 부하율을 높여 오염물의 침전율을 높이며, 부유물 및 침전물의 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KR 10-1172040 B1 (등록일자 2012년08월01일) KR 10-0801856 B1 (등록일자 2008년01월30일) KR 10-2010-0135374 A (공개일자 2010년12월27일)}
본 발명은 다단정화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물과 함께 포함된 먼지, 모래, 자갈 등의 침전물이 복수의 정화단계를 거쳐 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단정화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제2연결관 타측과 연통되며, 내부에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3차용기(300);, 상기 순환공간 내부에 형성되며, 3차용기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간용기(310);, 상기 중간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중간용기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최종용기(320);, 상기 최종용기와 연통되며, 3차용기 외부로 관통되는 제3연결관(3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단정화기에 대한 발명으로서,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상기 1차용기, 2차용기, 3차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단정화기는 복수의 정화단계를 거쳐 정화가 이루어지므로 정화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정화기는 원심력에 의해 중량물을 하부로 침전시키며, 부유물을 상부에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단정화기는 응집제을 이용하여 잔류물질을 응집하며, 2차용기 하부에 침전시키므로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정화조는 복수의 순환과정을 통해 미세침전물을 3차용기 하부에 포집하므로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정화조는 하나의 케이스에 3단계의 정화기를 수용하므로 좁은 공간에서 사용가능하며, 본 발명의 다단정화조는 캐리어에 장착되므로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정화조는 1차용기 및 2차용기에 형성된 제1배플 및 제2배플에 의해 먼지수유동에 의해 발생되는 난류로부터 침전물 재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정화조는 2차용기 및 3차용기 사이에 제2펌프를 형성하므로 3차용기내 투입되는 먼지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단정화기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단정화기 및 캐리어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3차용기, 중간용기, 최종용기의 결합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다단정화기는 내부에 제1배플(110)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배플 상부에 투입구(101)를 형성하는 1차용기(100);, 상기 제1배플 상부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120);, 일측이 상기 내부용기와 연통되며, 타측이 1차용기 외부로 형성되는 제1연결관(130);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경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는 공사현장에서 물을 분사하여 물과 함께 결합되어 낙하된 먼지수(水)를 흡입한다. 흡입된 먼지수는 1차용기 내부에 저장되며, 1차용기 내부는 소용돌이를 형성한다. 소용돌이 과정 중, 중량의 흙, 자갈 등은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며, 낙하된 것은 1차용기 하부에 포집된다. 상기 소용돌이는 경사된 투입구에 의해 소용돌이를 생성한다.
1차용기 내부에는 내부용기를 형성하며, 내부용기는 낙하물이 제외한 먼지수 만을 수용한다. 따라서 공사현장 폐수 중, 중량이 큰 물질을 1차로 정화한다. 또한, 폐수에는 오일 및 부유성 고형물을 포함한다. 상기 오일 및 부유성 고형물 포집을 위해 1차용기 및 내부용기 사이에는 부유물포집체(150)에 수용된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배플은 중심부에 제1침전구멍(111);을 형성하며, 상게 제1배플은 경사 각도를 형성한다.
1차용기 하부에 형성된 제1배플은 경사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제1배플 중심부에는 낙하물 투입용 제1침전구멍을 형성한다. 중력에 의해 1차용기 하부로 침전된 낙하물이 제1배플 하부로 포집되며, 상기 낙하물이 난류에 의한 상승 방지를 위해 제1배플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실시예 1-4)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배플 하부에 형성되며 1차용기 외부로 연통되는 제1드레인관(140);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드레인관에 형성되는 제1드레인밸브(141);를 형성한다.
1차용기 하부에 침전된 낙하물은 제1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제1드레인관은 제1드레인밸브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1드레인밸브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거나, 낙하물 중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실시예 2-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측에 상기 제1연결관 타측을 연통하며, 하측에 제2연결관(210) 일측을 연통하는 2차용기(200);, 상기 2차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2배플(220);을 포함한다.
1차용기에서 정화된 먼지수는 제1연결관을 통해 2차용기로 진입된다. 2차용기 내부에는 2차배플을 형성한다. 먼지수는 2차용기에서 응집되며, 응집된 먼지수가 하부로 낙하되고 제2배플 하부에 포집된다. 응집되지 않은 먼지수는 제2연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2차용기에 결합되며,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용기(240);를 포함한다.
먼지수 응집은 자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인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차용기 상부에는 응집제용기를 형성한다. 상기 응집제용기 내부에는 응집수를 수용하며, 상기 응집수는 응집제용기로부터 2차용기로 공급되고 2차용기 내부의 먼지수를 인위적으로 응집한다. 응집제용기와 2차용기 사이에는 응집수공급관(241)을 형성하며, 응집수공급관 중간에는 응집수공급밸브(242)를 형성한다. 상기 응집수공급밸부는 응집수공급제어기(243)에 의해 개폐된다.
(실시예 2-3)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 중간에 형성되는 제2펌프(230);를 포함한다.
먼지수가 응집된 이후, 잔류된 먼지수는 제2펌프를 통해 2차용기 외부로 배출된다.
(실시예 2-4)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은 제2침전구멍(222);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은 경사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2차용기 하부에 형성된 제2배플은 경사각도를 형성한다. 또한 제2배플 중심부에는 응집물 투입용 제2침전구멍을 형성한다. 중력에 의해 2차용기 하부로 침전된 응집물이 제2배플 하부로 포집되며, 상기 낙하물이 난류에 의한 상승 방지를 위해 제2배플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실시예 2-6)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 하부에 형성되며 2차용기 외부로 연통되는 제2드레인관(250)을 포함한다.
(실시예 2-7)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제2드레인관에 형성되는 제2드레인밸브(251)를 포함한다.
2차용기 하부에 침전된 응집물은 제2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제2드레인관은 제2드레인밸브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2드레인밸브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거나, 응집물 중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실시예 3-1)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 타측과 연통되며, 내부에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3차용기(300);, 상기 순환공간 내부에 형성되며, 3차용기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간용기(310);, 상기 중간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중간용기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최종용기(320);, 상기 최종용기와 연통되며, 3차용기 외부로 관통되는 제3연결관(330);를 포함한다.
응집물이 제거된 먼지수는 제2연결관을 통해 3차용기로 투입된다. 투입력을 확보를 위해 제2연결관에는 제2펌프를 장착하며, 제2펌프는 설정된 압력으로 먼지수를 공급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단정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제1배플(110)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배플 상부에 투입구(101)를 형성하는 1차용기(100); 상기 제1배플(110) 상부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120); 일측이 상기 내부용기와 연통되며, 타측이 1차용기 외부로 형성되는 제1연결관(130);을 포함하고,
상측에 상기 제1연결관 타측을 연통하며, 하측에 제2연결관(210) 일측을 연통하는 2차용기(200); 상기 2차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2배플(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관 타측과 연통되며, 내부에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3차용기(300); 상기 순환공간 내부에 형성되며, 3차용기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간용기(310); 상기 중간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중간용기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최종용기(320); 상기 최종용기와 연통되며, 3차용기 외부로 관통되는 제3연결관(330);을 포함하며,
상기 3차용기(300)의 하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용기(310)의 상부는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용기(310)의 하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최종용기(320)의 상부는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최종용기(320)의 하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3차용기에 투입된 먼지수는 저속흐름을 발생하며 중력에 의해 미세잔류물을 하부에 포집한다. 이러한 포집과정은 3회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3차용기 내부에는 중간용기를 수용하며, 중간용기 내부에는 최종용기를 수용한다. 먼지수는 3차용기를 통해 중간용기로 이동하며, 중간용기에서 최종용기로 이어진다. 이동과정 중 각각의 용기 하부에는 미세잔류물을 단계적으로 축적하여, 먼지수를 정화한다.
(실시예 3-2)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3차용기, 중간용기 및 최종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중간용기 및 최종용기 양측판 높이가 상이하며, 중간용기 양측판 중 최저높이는 최종용기 양측판 중 최저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먼지수가 3차용기에서 중간용기로 이동하며, 중간용기에서 최종용기로 이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3차용기, 중간용기, 최종용기 상부가 개방된다. 또한 중간용기 및 최종용기 중 측면에 형성된 판의 일부가 다른 것보다 낮아야 한다. 또한 중간용기의 낮은 판 높이는 최종용기의 낮은판 높이보다 높아야 된다. 이러한 조건이 성립될 경우, 3차용기 내에서 먼지수의 이동이 중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3-3)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중간용기 및 최종용기 양측판 중 최저 높이의 면에 형성되며, 복수로 형성되며, 톱니모양을 형성하는 흐름유도홈(361)을 포함한다.
3차용기의 먼지수가 중간용기로 이동하는 과정 중, 미세먼지물을 필터링하기 위해 톱니모양의 흐름유도홈을 복수로 평행하게 형성한다. 중간용기에서 최종용기로 이동하는 먼지수 또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4) 실시예 3-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3차용기 하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외부로 연통되는 제3드레인관(341), 일측이 상기 중간용기 하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3차용기 외부로 연통되는 제4드레인관(342), 일측이 상기 최종용기 하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3차용기 외부로 연통되는 제5드레인관(343)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제3드레인관에 형성되는 제3드레인밸브(351), 상기 제4드레인관에 형성되는 제4드레인밸브(352), 상기 제5드레인관에 형성되는 제5드레인밸브(353),을 포함한다.
3차용기 하부에 침전된 미세먼지물은 제3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제3드레인관은 제3드레인밸브에 의해 개폐된다. 중간용기 및 최종용기 또한 제4차드레인관 및 제5차 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미세먼지물을 배출하며, 제4드레인밸브 및 제5드레인밸브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상기 제3, 4, 5드레인밸브는 작업자 조작으로 작동되거나, 미세먼지물 중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실시예 3-6)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3차용기, 중간용기 및 최종용기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가 경사면을 형성한다.
(실시예 3-7)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들은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미세먼지물이 3차용기, 중간용기, 최종용기의 하부에 퇴적되는 경우 고형화 될 수 있다. 고형화 방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드레인밸브의 작동이 요구된다. 그러나, 드레인밸브의 잦은 작동은 정화된 먼지수를 함께 배출하므로 정화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미세먼지물이 하부 일측에 모여지게한다. 이는 배출효과를 향상시키며, 정화된 먼지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8)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3차용기, 중간용기 최종용기 및 제3연결관은 폴리머 또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먼지수와 접촉되는 용기는 부식 우려가 높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3차용기 중간용기 및 최종용기는 폴리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스테인레스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9)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에 형성되며, 개폐되는 제2차단밸브(373) 상기 제2차단밸브를 조절하는 제2제어기(371) 상기 제2제어기에 3차용기의 수위정보를 전송하는 수위센서(372)를 포함한다.
3차용기로 투입되는 먼지수량이 과도한 경우, 먼지수 유동속도가 빨라지며, 이는 미세물지물 퇴적효율을 저하 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3차용기의 유속은 적정한 속도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3차용기 내부 수위로부터 제어된다. 즉, 3차용기 수위제어를 위해 제2연결관에는 제2차단밸브를 장착한다. 제2차단밸브는 제2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며, 상기 제2제어기는 3차용기의 수위측정센서로부터 얻어진 신호로 작동된다. 상기 3차수위측정센서는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통상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4-1)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1차용기, 2차용기, 3차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400);를 포함하는 다단정화기.
제한된 공간에 1차용기, 2차용기, 3차용기를 수용하기 위해 하나의 케이스를 형성한다. 이는 모듈화되어 관리의 효율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케리어(410)에 장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이동성 확보를 위해 캐리어를 케이스 하부에 장착한다. 즉, 캐리어 이동으로 1차 내지 3차 용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는 내부에는 자체동력을 활용하여 자주식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견인장치를 장착하여 다른 이동수단과 함께 이동 될 수 있다.
(실시예 4-3) 앞에 제시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는 흡입관(421);, 상기 흡입관 중간에 결합되는 흡입펌프(422);, 상기 흡입관 타측에 결합되는 프리필터(423);를 포함한다.
공사현장의 먼지수는 흙, 자갈, 먼지, 돌 등의 잔류물을 다량 포함함다. 이러한 잔류물 흡입을 위해 흡입펌프가 사용되며, 상기 흡입펌프는 흡입관 중간에 연결된다. 흡입관 일측은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며, 흡입관 타측을 프리필터와 연결된다. 상기 프리필터는 메시망을 형성하여 일정한 크기의 잔류물을 사전에 걸러낸다. 상기 흡입관은 소모품 이므로 잦은 교체가 예상된다. 따라서 체결수단에 의해 투입구와 결착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플랜지를 형성하여 복수의 볼트로 결합하거나, 밴드로 체결하거나, 끼워맞춤 결합하거나, 나사 결합하거나, 클램프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이 균등대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은 유연관으로 형성된다. 또는 유연관 및 직선관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직선관은 신장 가능하다.}
100 : 1차용기 101 : 투입구
110 : 제1배플 120 : 내부용기
130 : 제1연결관 140 : 제1드레인관
141 : 제1레인밸브 150 : 부유물포집체
200 : 2차용기 210 : 제2연결관
220 : 제2배플 222 : 제2침전구멍
230 : 제2펌프 240 : 응집제용기
241 : 응집수공급관 242 : 응집수공급밸브
243 : 응집수공급제어기 250 : 제2드레인관
251 : 제2드레인밸브 300 : 3차용기
310 : 중간용기 320 : 최종용기
330 : 제3연결관 341 : 제3드레인관
342 : 제4드레인관 343 : 제5드레인관
351 : 제3드레인밸브 352 : 제4드레인밸브
353 : 제5드레인밸브 361 : 흐름유도홈
371 : 제2제어기 372 : 수위센서
373 : 제2차단밸브 400 : 케이스
410 : 케리어 421 : 흡입관
422 : 흡입펌프 423 : 프리필터

Claims (4)

  1. 다단정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제1배플(110)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배플 상부에 투입구(101)를 형성하는 1차용기(100); 상기 제1배플(110) 상부에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120); 일측이 상기 내부용기와 연통되며, 타측이 1차용기 외부로 형성되는 제1연결관(130);을 포함하고,
    상측에 상기 제1연결관 타측을 연통하며, 하측에 제2연결관(210) 일측을 연통하는 2차용기(200); 상기 2차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관 하부에 형성되는 제2배플(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관 타측과 연통되며, 내부에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3차용기(300); 상기 순환공간 내부에 형성되며, 3차용기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간용기(310); 상기 중간용기 내부에 형성되며, 중간용기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최종용기(320); 상기 최종용기와 연통되며, 3차용기 외부로 관통되는 제3연결관(330);을 포함하며,
    상기 3차용기(300)의 하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용기(310)의 상부는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용기(310)의 하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최종용기(320)의 상부는 일측이 타측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최종용기(320)의 하부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단정화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용기, 2차용기, 3차용기를 수용하는 케이스(400);를 포함하는 다단정화기.

KR1020180074237A 2018-06-27 2018-06-27 다단정화기 KR10191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37A KR101913415B1 (ko) 2018-06-27 2018-06-27 다단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237A KR101913415B1 (ko) 2018-06-27 2018-06-27 다단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415B1 true KR101913415B1 (ko) 2018-12-28

Family

ID=6500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237A KR101913415B1 (ko) 2018-06-27 2018-06-27 다단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20A (ko) * 2019-01-23 2020-07-31 (주)대현엔텍 먼지 제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279B1 (ko) * 2013-04-04 2013-07-15 주식회사 에스비씨환경건설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672313B1 (ko) * 2016-04-11 2016-11-07 (주)대현엔텍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279B1 (ko) * 2013-04-04 2013-07-15 주식회사 에스비씨환경건설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672313B1 (ko) * 2016-04-11 2016-11-07 (주)대현엔텍 비점오염원 초기우수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20A (ko) * 2019-01-23 2020-07-31 (주)대현엔텍 먼지 제거 시스템
KR102193458B1 (ko) 2019-01-23 2020-12-21 (주)대현엔텍 먼지 제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0328B2 (ja) 液体又は気体の流れから固形物を分離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US7722763B2 (en) Purification and separation system for a fluid flow stream
KR101733979B1 (ko) 물리화학적 수질 정화장치
US5374352A (en) Universal recycled wash water system
CN201132782Y (zh) 含油污水净化装置及具有该装置的净化系统
KR100992430B1 (ko) 침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ㆍ폐수 처리 장치
KR101214553B1 (ko) 합류식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KR101300070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08038089U (zh) 污水处理气浮澄清装置
CN109133413A (zh) 基于气浮过滤处理的工业废水净化系统和净化工艺
KR100345493B1 (ko) 응집 침전장치
KR101189912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913415B1 (ko) 다단정화기
EP0950639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US5676834A (en) Upflow clarifier
JPH0999203A (ja) 雨水および/または排水の処理方法
CN205391828U (zh) 一体式斜管沉淀过滤池
CN105999776A (zh) 泥渣层过滤沉淀池及其方法
KR101106154B1 (ko) 우수 정화 기능을 갖는 저류 장치
CN205867667U (zh) 泥渣层过滤沉淀池
KR101038684B1 (ko)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KR200377629Y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100628881B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CN107050937A (zh) 一种煤化工黑水的处理系统及处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