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191B1 -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191B1
KR101879191B1 KR1020180011375A KR20180011375A KR101879191B1 KR 101879191 B1 KR101879191 B1 KR 101879191B1 KR 1020180011375 A KR1020180011375 A KR 1020180011375A KR 20180011375 A KR20180011375 A KR 20180011375A KR 101879191 B1 KR101879191 B1 KR 101879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eiling
fixing plate
side wall
rot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이흥수
오대곤
김영석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주)다음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음기술단 filed Critical (주)다음기술단
Priority to KR1020180011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의 박스형 구조물 내부의 천장과 측벽 사이의 우각부에 설치되어 우각부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키는 내진보강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슬롯이 관통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슬롯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플레이트를 천장과 측벽에 고정시키는 앵커체와, 천장에 부착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하부고리로 이루어진 고정부; 천장에 부착될 고정플레이트에 하측 사선 방향으로 체결되고 내부에 나사홀이 형성된 연결부; 측벽에 부착될 고정플레이트에 상측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삽입홀이 형성된 소켓부; 및 연결부와 소켓부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체결된 회전봉은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부가 삽입홀의 내부에 삽입된 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중앙에 조임구가 돌출 형성된 회전부로 이루어진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의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진보강장치의 각 부재들을 개별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임시앵커, 체인블록, 임시고정부재 등을 이용하여 내진보강장치를 일체로 준비한 후 한번에 가설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 정확도가 증가하며, 시공여유량을 확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ASEISMATIC REINFORCEMENT DEVICE FOR DIAGONAL CORNER OF UNDERGROUND STRUCTURE WITH BOX TYP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된 사각의 박스형 구조물, 예컨대 지하철, 지하차도 및 수로 등의 우각부에 미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차도, 지하철, 수로 등에 지하에 콘크리트로 설치되는 지하의 박스형 구조물(1)은 천장(2), 측벽(3) 및 바닥(4)으로 이루어지고, 천장(2)과 측벽(3) 사이의 상부 코너부에 우각부(5)가 형성되며, 중앙에 세로 방향의 기둥부(5c)에 의해 좌우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박스형 구조물(1)은 상부에 성토를 하거나 교통 차량 등에 의하여 추가하중이 적재되기 때문에 세로 방향의 측벽(3)이나, 천장(2)과 측벽(3) 사이의 우각부(5)에서 전단저항 및 부모멘트저항이 하중보다 적어 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지하의 박스형 구조물(1)은 지진하중을 받을 때 수평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한다. 예컨대 도 1a를 참고하면 지진하중이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작용하는 경우 좌측 우각부(5a)는 코너부를 벌어지도록 하는 모멘트인 정모멘트가 발생하여 우각부에 설치된 보강장치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우측 우각부(5b)는 코너부가 모아지도록 하는 부모멘트가 발생하여 우각부에 설치된 내진보강장치(100)에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토압하중 등이 변하지 않고 상시 작용하는 상시하중에 의해서는 도 1b와 같이 전단강도가 대칭적으로 발생하지만, 지하 박스형 구조물에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하중에 의해 전단강도가 도 1c와 같이 플러스(+) 방향으로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1d를 참고하면 지하 박스형 구조물이 지진하중을 받을 때 좌측 우각부는 전단강도의 허용치보다 작게 나타나지만, 우측 우각부는 상시하중과 지진하중의 전단력이 합쳐져서 전단강도의 허용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NG 상태가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상부, 좌우측 벽체의 내부면에 박스형 보수보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박스형의 단면 증설을 통해 구조물을 보강코자 하였으나, 주로 경량빔에 의한 보강이어서 내진 보강 효과가 저조하고, 지진발생시 보수보강장치에 하중이 가해져 전단력과 모멘트가 증가하며, 시공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성과 비용면에서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8089호(2006.03.10.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진보강장치의 각 부재들을 개별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임시앵커, 체인블록, 임시고정부재 등을 이용하여 내진보강장치를 일체로 준비한 후 한번에 가설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 정확도가 증가하며, 시공여유량을 확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하 박스형 구조물이 지진하중을 받을 때 인장력이 작용하는 우각부에서는 내진보강장치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압축력이 작용하는 우각부에서는 내진보강장치가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우각부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우각부에 미치는 전단력과 부모멘트를 분산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하의 박스형 구조물(1) 내부의 천장(2)과 측벽(3) 사이의 우각부(5)에 설치되어 상기 우각부(5)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키는 내진보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내진보강장치(100)는 회전부(140)의 중앙에 조임구(14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140)의 회전봉(141) 상하단부에 사선방향으로 상하부 고정부(110)가 각각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부(110)는 고정플레이트(111)에 고정판(112)이 볼트결합되어 이중판으로 형성되어지되,
천장(2)과 측벽(3)에 각각 부착 설치되고 장홈의 슬롯(111a)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3개 이상 형성된 직사각형의 고정플레이트(11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슬롯(111a)에 앵커체(113)가 관통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천장(2)과 측벽(3)에 고정되어질 때 1차 시공 여유량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는 다수개의 볼트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장홈이 형성된 고정판(112)이 볼트 결합되어 이루어져 2차 시공 여유량이 제공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앵커체(113)에 의하여 천장(2)과 측벽(3)에 고정될 때 콘크리트에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이 배제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고정부(110);
천장(2)에 부착 설치된 상부 고정부(110)의 천장고정판(112)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리(114);
상기 천장고정판(112)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리(114)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되어지도록 상부에 상부고리(1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리(121) 하부의 몸체부 내부에 나사홀(123)이 형성된 연결부(120);
측벽(3)에 부착 설치된 하부 고정부(110)의 측벽고정판(112)에 상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부 내부에 삽입홀(131)이 형성된 소켓부(130); 및
상기 상부고정부(110)의 상부 고정판(112)에 형성된 한쌍의 하부고리(114) 사이에 상기 연결부(120)의 상부고리(121)가 삽입되어 체결핀(122)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부(120)의 나사홀(123)과 상기 소켓부(130)의 삽입홀(131)에 상기 회전부(140)의 회전봉(141) 상하단부가 끼워져 사선 방향으로 체결되어지되,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는 외주면에 나사산(14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 나사산(142)이 상기 연결부(120)의 나사홀(123)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회전봉(141)의 나사산(142)에는 풀림방지너트(144)가 체결되며, 상기 풀림방지너트(144)와 연결부(120)사이에는 스프링 와셔(145)가 개재되어 긴밀한 체결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나사홀(123)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124)에 고정핀(147)이 관통되어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46)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고,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는 소켓부(130)의 삽입홀(131) 내부에 삽입되어 임시고정부재(149)가 상기 삽입홀(131)의 일측에 형성된 임시홀(132)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에 형성된 임시홈(148)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전부(140)의 상하부에 상부 고정부(110) 및 하부 고정부(110)가 각각 일체로 결합된 내진보강장치(100)가 이루어지고, 상기 일체로 준비된 내진보강장치(100)가 체인블록(C)을 통해 상측으로 인양하여 우각부(5)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설치 후에는 상기 소켓부(130)의 임시홀(132)에 끼워진 임시고정부재(149)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가 상기 소켓부(130)의 삽입홀(131) 내부에 삽입된 체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의 박스형 구조물(1) 내부의 천장(2)과 측벽(3) 사이의 우각부(5)에 설치되어 상기 우각부(5)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키는 내진보강장치(100)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틀비계(A)를 준비하고, 천장에 임시앵커(B)를 고정한 후 임시앵커(B)에 체인블록(C)을 설치하는 인양 준비 단계;
레이저 조사기로 우각부(5)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천장(2)과 측벽(3)에 고정플레이트(111)가 설치될 위치를 확보하는 레이저 조사 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100)는 회전부(140)의 중앙에 조임구(14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140)의 회전봉(141) 상하단부에 사선방향으로 상하부 고정부(110)가 각각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부(110)는 고정플레이트(111)에 고정판(112)이 볼트결합되어 이중판으로 형성되어지되,
천장(2)과 측벽(3)에 각각 부착 설치되고 복수 개의 장홈의 슬롯(111a)이 관통 형성된 직사각형의 고정플레이트(11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장홈의 슬롯(111a)에 앵커체(113)가 관통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천장(2)과 측벽(3)에 고정되어질 때 1차 시공 여유량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는 장홈이 형성된 고정판(112)이 볼트 결합되어 이루어져 2차 시공 여유량이 제공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앵커체(113)에 의하여 천장(2)과 측벽(3)에 고정될 때 콘크리트에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이 배제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고정부(110);
천장(2)에 부착 설치된 상부 고정부(110)의 천장고정판(112)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리(114);
상기 천장고정판(112)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리(114)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핀(122)에 의해 체결되어지도록 상부에 상부고리(1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리(121) 하부의 몸체부 내부에 나사홀(123)이 형성된 연결부(120);
측벽(3)에 부착 설치된 하부 고정부(110)의 측벽고정판(112)에 상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부 내부에 삽입홀(131)이 형성된 소켓부(130); 및
상기 상부고정부(110)의 상부 고정판(112)에 형성된 한쌍의 하부고리(114) 사이에 상기 연결부(120)의 상부고리(121)가 삽입되어 체결핀(122)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부(120)의 나사홀(123)과 상기 소켓부(130)의 삽입홀(131)에 상기 회전부(140)의 회전봉(141) 상하단부가 끼워져 사선 방향으로 체결되어지되,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는 외주면에 나사산(14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 나사산(142)이 상기 연결부(120)의 나사홀(123)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회전봉(141)의 나사산(142)에는 풀림방지너트(144)가 체결되며, 상기 풀림방지너트(144)와 연결부(120)사이에는 스프링 와셔(145)가 개재되어 긴밀한 체결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나사홀(123)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124)에 고정핀(147)이 관통되어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46)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고,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가 소켓부(130)의 삽입홀(131)에 삽입되어 임시고정부재(149)가 상기 삽입홀(131)의 일측에 형성된 임시홀(132)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에 형성된 임시홈(148)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전부(140)의 상하부에 상부 고정부(110) 및 하부 고정부(110)가 각각 일체로 결합된 내진보강장치(100)를 준비하고,
상기 임시고정부재(149)가 끼워져 결합된 내진보강장치(100)를 체인블록(C)을 통해 상측으로 인양하여 우각부(5)에 가설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설치될 천장(2)과 측벽(3)에 앵커홀(2a,3a)을 각각 마킹하는 가설 단계;
가설된 내진보강장치(100)를 제거한 후, 철근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전자파를 이용한 철근탐사기(D)로 우각부(5)를 탐사하여 배근된 철근의 위치를 확인하고 고정플레이트(111)가 부착될 위치를 확인하는 철근 탐사 단계;
천장(2)과 측벽(3)에 각각 마킹된 앵커홀(2a,3a)을 천공기(E)로 천공하고, 상기 앵커홀(2a,3a) 내부의 잔여물을 제거하며, 앵커홀(2a,3a)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천공 단계;
체인블록(C)을 이용하여 내진보강장치(100)를 상측으로 인양한 후, 앵커체(113)를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장홈의 슬롯(111a)에 삽입시킨 채 앵커홀(2a,3a)에 결합시켜 내진보강장치(100)를 천장(2)과 측벽(3) 사이에 고정하는 고정 설치 단계;
내진보강장치(100)의 소켓부(130)에 임시로 끼워진 임시고정부재(149)를 제거하는 임시고정부재 제거단계
공구(F)로 회전봉(141)을 조여서 설계시 계산된 가압력을 도입하는 가압력 도입 단계;
회전봉(141) 상단부의 나사산(142)에 풀림방지너트(144)를 체결하고 상기 풀림방지너트(144)와 연결부 사이에 스프링와셔(145)를 개재한 후 공구로 조여서 내진보강장치(100)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따른 회전봉(141)의 풀림을 방지하는 회전봉 풀림 방지 단계;
연결부(120)의 나사홀(123) 일측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124)에 고정핀(147)을 관통시켜서 회전봉(141) 상단부의 나사산(142)에 형성된 고정홈(146)에 삽입시켜 회전봉(141)을 고정시키는 회전봉 고정 단계; 및
우각부(5)에 임시로 설치된 임시앵커(B), 체인블록(C)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에 내진보강장치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진보강장치의 각 부재들을 개별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임시앵커, 체인블록, 임시고정부재 등을 이용하여 내진보강장치를 일체로 준비한 후 한번에 가설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 정확도가 증가하며, 시공여유량을 확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하 박스형 구조물이 지진하중을 받을 때 인장력이 작용하는 우각부에서는 내진보강장치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압축력이 작용하는 우각부에서는 내진보강장치가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우각부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우각부에 미치는 전단력과 부모멘트를 분산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지진하중이 좌측에서 우측을 향해 작용하는 경우 좌측 우각부와 우측 우각부에 각각 미치는 정모멘트와 부모멘트에 따른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상시하중에 따른 전단강도가 대칭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지진하중에 따른 전단강도가 플러스(+)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지하 박스형 구조물이 지진하중을 받을 때 작용하는 전단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우측 우각부에 내진보강장치가 설치된 지하 박스형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필요한 앵커체의 갯수보다 더 많은 슬롯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판의 볼트체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체로 앵커철근을 사용하여 내진보강장치를 설치한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주면이 양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된 회전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진 회전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f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봉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g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봉과 소켓부의 임시 고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h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고정부 하부고리와 연결부 상부고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i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 설치시 지진하중이 지하 박스형 구조물에 미치는 전단강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내진보강장치 설치시 지하 박스형 구조물이 지진하중을 받을 때 작용하는 전단강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c는 내진보강장치의 보강전과 보강후에 따른 지하 박스형 구조물에 발생된 전단력의 변화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시공 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a를 참고하면, 지하의 박스형 구조물(1)은 지하차도, 지하철, 수로 등에 설치되는 각형의 구조물로서, 상부의 천장(2), 양측의 측벽(3), 하부의 바닥(4)으로 이루어진 폐쇄형 구조물이고, 중앙에 세로 방향의 기둥부(5c)에 의해 좌우 공간으로 구획되며, 천장(2)과 측벽(3) 사이의 상부 코너부에 전단력과 모멘트에 취약한 우각부(5)가 형성되고, 좌측 공간의 좌측 우각부(5a)와 우측 공간의 우측 우각부(5b)에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100)가 설치된다.
도 2b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100)는 지하철, 지하차도 및 수로 등의 우각부(5)에 미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고정부(110), 연결부(120), 소켓부(130) 및 회전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우각부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우각부에 미치는 전단력과 부모멘트를 분산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고정부(110)는 천장(2)과 측벽(3)에 각각 일측이 부착 설치되고 타측은 연결부(120)와 소켓부(130)와 연결되는 바, 천장(2)의 내면에는 다수의 앵커홀(2a)이 천공 형성되고, 측벽(3)의 내면에는 다수의 앵커홀(3a)이 천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고정판(112)이 볼트결합된 상하부의 고정부(110)는 도 3b 및 도4b에서와 같이 장홈의 슬롯(111a)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3개 이상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1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슬롯(111a)에 앵커체(113)가 관통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천장(2)과 측벽(3)에 고정되어질 때 먼저 횡방향으로 1차 시공 여유량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가 고정판(112)의 장홈에 끼워져 볼트 결합되어질 때 횡방향으로 다시 2차 시공 여유량이 제공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의 장공형의 슬롯(111a) 및 고정판(112)의 장홈에 의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슬롯(111a)을 관통하는 앵커체(113)가 콘크리트에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슬롯(111a)의 갯수는 6개이고, 상기 6개의 슬롯(111a)에 4개의 앵커체(113)만 관통 체결해도 가능하다. 따라서 콘크리트에 배근된 철근을 피하여 선택적으로 4개의 앵커체(113)를 필요한 슬롯(111A)에 관통 체결하여 콘크리트에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고정부(110)의 고정플레이트(111)에는 고정판(112)이 볼트 체결되어 이중판으로 형성되고, 천장측 고정판(112)에는 한쌍의 하부고리(114)가 돌출 형성되고, 측벽측 고정판(112)에는 소켓부(130)가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천장이나 벽면을 천공하여 앵커체를 시공할 때 배근된 철근의 간섭으로 인하여 시공이 곤란하거나 시공 불량인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차 시공 여유량 조정판과 2차 시공 여유량 조정판을 구비하도록 설계하되, 여기서 1차 시공 여유량 조정판은 장홀 형상의 슬롯(111a)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11)이고, 2차 시공 여유량 조정판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볼트결합된 장홈이 형성된 고정판(112)이 된다. 이로써, 고정플레이트(111)에 의한 1차 시공 여유량 조정판에서 시공 여유량을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지고, 그 위에 고정판(112)에 의한 2차 시공 여유량 조정판을 통한 부재 고정으로, 시공 불가한 위치 조정 부분을 1차 시공 여유량 조정판에서 조정할 수 있어 나머지 부재들의 통일성이 이루어질 수 있고, 설계 및 시공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공법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앵커체(113)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스터드 앵커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 4c와 같이 스터드 앵커보다 길이가 훨씬 연장 형성된 앵커철근을 사용하여 천장과 측벽에 체결함으로써 박스형 구조물에 대한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공법 적용에 있어 내진보강장치(100)를 설치할 공간이 협소하여 기존 자재 및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할 경우, 앵커철근을 적용하여 1차적으로는 시공 자재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2차적으로는 전단보강 철근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줄이고 전단보강 자재의 경량화를 통해 공법 적용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이때, 전단 보강량에 따라 앵커철근의 설치 갯수 및 위치를 달리할 수 있어 합리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120)는 천장에 부착 설치된 상부 고정부(110)의 고정플레이트(111)에 볼트결합된 상부 고정판(12)에 하측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체결되고, 상부에 상부고리(12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리(121)는 고리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리(121)는 한쌍의 하부고리(114)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핀(122)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123)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부(130)는 측벽(3)에 부착 설치된 하부 고정부(110)의 고정플레이트(111)에 볼트결합된 하부 고정판(12)에 상측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연결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홀(131)이 형성되며, 삽입홀(131)의 일측에 임시홀(132)이 수평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예컨대, 지진하중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작용한다면 우측 우각부(5b)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고, 내진보강장치(100)가 압축력에 저항하여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키지만, 좌측 우각부(5a)에서는 내진보강장치(100)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내진보강장치(100)에 지진하중이 더 가해지게 되므로 전단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좌측 우각부(5a)에 소켓부(130)를 설치하고 회전봉(141)의 하단부가 삽입홀(131)에 삽입된 채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내진보강장치(100)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단력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전부(140)는 연결부(120)와 소켓부(130)의 사이에 회전봉(141)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체결된다. 상기 회전봉(141)은,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산(142)이 형성되어 나사홀(12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체결됨으로써 보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하단부가 삽입홀(131)의 내부에 삽입된 채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회전봉(141)의 회전 조작시 삽입홀(131)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되어 그 회전이 가이드되고, 박스형 구조물(1)이 지진하중을 받을 때 인장력이 작용하는 우각부(5)에서 회전봉(141)의 하단부가 사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여 내진보강장치(100)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4d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부(140)는 외주면이 양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압축력이 작용하는 우각부에서 내진보강장치(100)의 저항력을 증대시켜 우각부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회전봉(141)의 중앙에 조임구(143)가 형성되고, 조임구(143)는 외주면이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회전봉(141)의 중앙에 육각 형상의 조임구(143)를 형성하여 중앙의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크도록 형성됨으로써, 기존에 인력으로 회전시키던 회전봉을 스패너 등의 공구로 조여서 힘을 가해 회전봉(141)의 용이한 회전이 가능하고 조작이 편리하며, 회전봉(141) 설계시 계산된 가압력을 쉽게 도입할 수 있다.
더불어, 회전봉(141)의 상단부의 나사산에 풀림방지너트(144)가 체결되고, 공구로 풀림방지너트(144)를 조여서 내진보강장치(100)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따른 회전봉(14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림방지너트(144)와 연결부(120) 사이에 스프링와셔(145)가 개재되어 더욱 긴밀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e를 참고하면 회전봉은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f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120)는 나사홀(123)의 일측에 고정홀(124)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회전봉(140)의 상단부에 고정홈(146)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고정핀(147)이 연결부(120) 일측의 고정홀(124)을 관통하여 나사홀(123)에 삽입된 회전봉(141) 상단부의 고정홈(146)에 삽입되어 회전봉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긴밀한 체결이 가능해지고, 내진보강장치(100)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따른 회전봉(141)의 풀림이 방지된다.
아울러, 도 4g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에 임시홈(148)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핀 형상의 임시고정부재(149)를 임시홀(132)에 관통시키고 임시홈(148)에 삽입함으로써 회전봉(141)과 소켓부(130)가 고정된 상태가 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체로 조립되어 준비된 내진보강장치(100)를 체인블록(C)을 통해 상측으로 인양하여 우각부(5)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박스형 구조물이 지진하중을 받을 때, 내진보강장치(100)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우각부(5)에서는 회전봉(141)의 하단부가 삽입홀(131)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내진보강장치(100)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내진보강장치(100)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우각부(5)에서는 내진보강장치(100)가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우각부(5)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100)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100)의 시공 방법은 인양 준비 단계(S10), 레이저 조사 단계(S20), 가설 단계(S30), 철근 탐사 단계(S40), 천공 단계(S50), 고정 설치 단계(S60), 가압력 도입 단계(S70), 풀림 방지 단계(S80), 회전봉 고정 단계(S90), 제거 단계(S1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5a를 참고하면 상기 인양 준비 단계(S10)는 틀비계(A)를 준비하고, 천장에 임시앵커(B)를 고정한 후 임시앵커(B)에 체인블록(C)을 설치하여 내진보강장치(100)의 인양을 준비하는 공정이다.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레이저 조사 단계(S20)는 상기 가설 단계(S10)의 수행 전에, 레이저 조사기로 우각부(5)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천장(2)과 측벽(3)에 고정플레이트(111)가 비뚫어지지 않고 정확히 설치될 위치를 확보하는 공정이다. 오차는 2°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를 참고하면, 상기 가설 단계(S30)는 내진보강장치(100)를 일체로 준비하여 우각부의 상측으로 인양하여 가설하는 공정이다. 상술한 천장(2)과 측벽(3)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슬롯(111a)이 관통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11)를 구비한 고정부(110); 천장(2)측 고정부(110)와 연결된 연결부(120); 측벽(3)측 고정부(110)에 연결되고 내부에 삽입홀(131)이 형성된 소켓부(130); 및 연결부(120)와 소켓부(130)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체결되되 상단부가 연결부(120)와 회전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고 하단부가 소켓부(130)의 삽입홀(131)에 삽입된 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회전부(140)로 구성되어 조립된 내진보강장치(100)를 일체로 준비한다. 이후, 내진보강장치(100)는 회전봉(141)의 하단부가 소켓부(130)의 삽입홀(131)에 임시고정부재(149)를 통해 고정된 채 체인블록(C)을 통하여 상측으로 인양되어 가설한다. 즉, 회전봉(141)의 하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소켓부(130)의 삽입홀(131)에 삽입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측으로 인양시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임시고정부재(149)를 소켓부(130)의 임시홀(132)에 관통시키고, 회전봉(141)의 임시홈(148)에 삽입함으로써 회전봉(141)과 소켓부(130)가 임시로 고정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일체로 준비된 내진보강장치(100)를 체인블록(C)을 통해 상측으로 인양하여 우각부에 임시로 설치하는 것이다. 내진보강장치(100)가 가설된 상태에서, 천장(2)과 측벽(3)에 부착될 고정플레이트(111)의 슬롯(111a)을 통해 천장(2)과 측벽(2)에 앵커홀(2a,3a)를 마킹하여 표시한다.
도 5d를 참고하면, 상기 철근 탐사 단계(S40)는 가설된 내진보강장치(100)를 체인블록(C)을 이용하여 내려서 제거한 후, 철근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파를 이용한 철근탐사기(D)로 우각부를 탐사하여 배근된 철근의 위치를 확인하고 고정플레이트(111)가 부착될 위치를 확인하는 공정이다. 고정플레이트(111)의 천정(2) 및 측벽(3) 부착은 철근이 없는 부위를 선택하는 것이 철근 간섭을 배제할 수 있어 좋고, 철근탐사기(D)가 발사한 전자파의 간섭과 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배근된 철근의 크기, 위치, 방향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결과의 판정을 용이하기 위해 콘크리트 표면을 균질하고 매끄럽게 표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5e를 참고하면, 상기 천공 단계(S50)는 천공기(E)로 천장(2)과 측벽(3)에 각각 앵커홀(2a,3a)을 천공하고, 천공한 앵커홀(2a,3a)의 내부의 잔여물을 제거하며, 앵커홀(2a,3a)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공정이다. 접착제 주입으로 앵커체(113)의 접착 강도가 증가하여 탈락이 방지되고, 지진하중에 따른 수평 방향으로의 변형에 대한 저항력도 증가하게 된다.
도 5f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 설치 단계(S60)는 체인블록(C)을 이용하여 내진보강장치(100)를 상측으로 인양한 후, 천장(2)과 측벽(3)에 고정플레이트(111)가 각각 부착될 위치를 확인하고, 앵커체(113)들을 천장(2)과 측벽(3)에 각각 부착될 고정플레이트(111)의 슬롯(111a)에 삽입시킨 채 천공된 앵커홀(2a,3a)에 결합시켜 내진보강장치(100)를 천장(2)과 측벽(3) 사이에 고정하는 공정이다.
도 5g를 참고하면, 상기 가압력 도입 단계(S70)는 공구(F)로 회전봉(141)을 조여서 설계시 계산된 가압력을 도입하는 공정이다. 스패너 등의 공구로 회전봉(141)의 중앙에 돌출되게 연결된 조임구(143)를 그랩한 채 힘을 가하여 회전시켜 가압력을 도입한 후, 나중에 조정이 필요할 경우 공구(F)로 다시 조임구(14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천장측과 측벽측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간격이 벌어지게 되면 천장(2)에 직접 가압력을 가하여 전단력과 부모멘트를 분산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보강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도 5h를 참고하면, 상기 풀림 방지 단계(S80)는 상기 가압력 도입 단계(S70)의 수행 후, 공구(F)로 풀림방지너트(144)를 조여서 내진보강장치(100)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따른 회전봉(141)의 풀림을 방지하는 공정이다.
도 4f를 참고하면, 상기 회전봉 고정 단계(S90)는 상기 가압력 도입 단계(S70)의 수행 후, 고정핀(147)을 고정홀(124)에 관통시켜 고정홈(146)에 삽입하여 회전봉(141)을 고정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제거 단계(S100)는 우각부에 임시로 설치된 임시앵커(B) 및 체인블록(C)과, 내진보강장치(100)에 임시 고정 설치된 임시고정부재(149)를 제거하는 공정이고, 내진보강장치(100)의 시공이 완료된 사진은 도 5i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이와 같이 내진보강장치(100)를 지하의 박스형 구조물(1)에 설치하게 되면, 박스형 구조물(1)이 지진하중을 받을 때 내진보강장치(100)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좌측 우각부(5a)에서는 회전봉(141)의 하단부가 삽입홀(131)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다소간 이동하게 함으로써 내진보강장치(100)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내진보강장치(100)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우측 우각부(5b)에서는 내진보강장치(100)가 압축력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지진은 시간을 두고 좌측과 우측에서 교번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내진보강장치(100)는 좌측 우각부(5a)와 우측 우각부(5b)에 동일하게 설치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내진보강장치(100)는 박스형 구조물(1)의 우각부에 작용되는 인장력에는 저항하지 않고 압축력에는 저항하도록 설계됨으로써, 도 6b와 같이 좌·우측 우각부(5a, 5b)에 미치는 전단강도가 전단강도의 허용치 아래로 나타나게 되며, 따라서 지진하중에 대한 저항에 최적화된 내진보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c는 내진보강장치(100)의 보강전과 보강후에 따른 지하의 박스형 구조물(1)에 발생된 전단력의 변화값을 도시한 그래프인데, 보강후에 좌·우측 우각부(5a, 5b)와 기둥부(5c) 모두 전단력의 허용치 이내로 작용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은 내진보강장치의 각 부재들을 개별적으로 설치하지 않고, 임시앵커, 체인블록, 임시고정부재 등을 이용하여 내진보강장치를 일체로 준비한 후 한번에 가설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시공 정확도가 증가하며, 시공여유량을 확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또한 지하 박스형 구조물이 지진하중을 받을 때 인장력이 작용하는 우각부에서는 내진보강장치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압축력이 작용하는 우각부에서는 내진보강장치가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우각부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키고, 우각부에 미치는 전단력과 부모멘트를 분산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박스형 구조물 2. 천장
2a. 앵커홀 3. 측벽
3a. 앵커홀 4. 바닥
5. 우각부 5a. 좌측 우각부
5b. 우측 우각부 5c. 기둥부
100. 내진보강장치 110. 고정부
111. 고정플레이트 111a. 슬롯
112. 고정판 113. 앵커체
114. 하부고리 120. 연결부
121. 상부고리 122. 체결핀
123. 나사홀 124. 고정홀
130. 소켓부 131. 삽입홀
132. 임시홀 140. 회전부
141. 회전봉 142. 나사산
143. 조임구 144. 풀림방지너트
145. 스프링와셔 146. 고정홈
147. 고정핀 148. 임시홈
149. 임시고정부재 A. 틀비계
B. 임시앵커 C. 체인블록
D. 철근탐사기 E. 천공기
F. 공구

Claims (4)

  1. 지하의 박스형 구조물(1) 내부의 천장(2)과 측벽(3) 사이의 우각부(5)에 설치되어 상기 우각부(5)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키는 내진보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내진보강장치(100)는 회전부(140)의 중앙에 조임구(14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140)의 회전봉(141) 상하단부에 사선방향으로 상하부 고정부(110)가 각각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부(110)는 고정플레이트(111)에 고정판(112)이 볼트결합되어 이중판으로 형성되어지되,
    천장(2)과 측벽(3)에 각각 부착 설치되고 장홈의 슬롯(111a)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3개 이상 형성된 직사각형의 고정플레이트(11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슬롯(111a)에 앵커체(113)가 관통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천장(2)과 측벽(3)에 고정되어질 때 1차 시공 여유량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는 다수개의 볼트가 구비되어 다수개의 장홈이 형성된 고정판(112)이 볼트 결합되어 이루어져 2차 시공 여유량이 제공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앵커체(113)에 의하여 천장(2)과 측벽(3)에 고정될 때 콘크리트에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이 배제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고정부(110);
    천장(2)에 부착 설치된 상부 고정부(110)의 천장고정판(112)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리(114);
    상기 천장고정판(112)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리(114)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핀(122)에 의해 체결되어지도록 상부에 상부고리(1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리(121) 하부의 몸체부 내부에 나사홀(123)이 형성된 연결부(120);
    측벽(3)에 부착 설치된 하부 고정부(110)의 측벽고정판(112)에 상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부 내부에 삽입홀(131)이 형성된 소켓부(130); 및
    상기 상부고정부(110)의 상부 고정판(112)에 형성된 한쌍의 하부고리(114) 사이에 상기 연결부(120)의 상부고리(121)가 삽입되어 체결핀(122)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부(120)의 나사홀(123)과 상기 소켓부(130)의 삽입홀(131)에 상기 회전부(140)의 회전봉(141) 상하단부가 끼워져 사선 방향으로 체결되어지되,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는 외주면에 나사산(14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 나사산(142)이 상기 연결부(120)의 나사홀(123)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회전봉(141)의 나사산(142)에는 풀림방지너트(144)가 체결되며, 상기 풀림방지너트(144)와 연결부(120)사이에는 스프링 와셔(145)가 개재되어 긴밀한 체결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나사홀(123)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124)에 고정핀(147)이 관통되어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46)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고,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는 소켓부(130)의 삽입홀(131) 내부에 삽입되어 임시고정부재(149)가 상기 삽입홀(131)의 일측에 형성된 임시홀(132)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에 형성된 임시홈(148)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전부(140)의 상하부에 상부 고정부(110) 및 하부 고정부(110)가 각각 일체로 결합된 내진보강장치(100)가 이루어지고, 상기 일체로 준비된 내진보강장치(100)가 체인블록(C)을 통해 상측으로 인양하여 우각부(5)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설치 후에는 상기 소켓부(130)의 임시홀(132)에 끼워진 임시고정부재(149)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가 상기 소켓부(130)의 삽입홀(131) 내부에 삽입된 체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2. 삭제
  3. 지하의 박스형 구조물(1) 내부의 천장(2)과 측벽(3) 사이의 우각부(5)에 설치되어 상기 우각부(5)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를 감소시키는 내진보강장치(100)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틀비계(A)를 준비하고, 천장에 임시앵커(B)를 고정한 후 임시앵커(B)에 체인블록(C)을 설치하는 인양 준비 단계;
    레이저 조사기로 우각부(5)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천장(2)과 측벽(3)에 고정플레이트(111)가 설치될 위치를 확보하는 레이저 조사 단계;
    상기 내진보강장치(100)는 회전부(140)의 중앙에 조임구(14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140)의 회전봉(141) 상하단부에 사선방향으로 상하부 고정부(110)가 각각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부(110)는 고정플레이트(111)에 고정판(112)이 볼트결합되어 이중판으로 형성되어지되,
    천장(2)과 측벽(3)에 각각 부착 설치되고 복수 개의 장홈의 슬롯(111a)이 관통 형성된 직사각형의 고정플레이트(11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장홈의 슬롯(111a)에 앵커체(113)가 관통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천장(2)과 측벽(3)에 고정되어질 때 1차 시공 여유량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는 장홈이 형성된 고정판(112)이 볼트 결합되어 이루어져 2차 시공 여유량이 제공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앵커체(113)에 의하여 천장(2)과 측벽(3)에 고정될 때 콘크리트에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이 배제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고정부(110);
    천장(2)에 부착 설치된 상부 고정부(110)의 천장고정판(112)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리(114);
    상기 천장고정판(112)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고리(114)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핀(122)에 의해 체결되어지도록 상부에 상부고리(1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리(121) 하부의 몸체부 내부에 나사홀(123)이 형성된 연결부(120);
    측벽(3)에 부착 설치된 하부 고정부(110)의 측벽고정판(112)에 상측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몸체부 내부에 삽입홀(131)이 형성된 소켓부(130); 및
    상기 상부고정부(110)의 상부 고정판(112)에 형성된 한쌍의 하부고리(114) 사이에 상기 연결부(120)의 상부고리(121)가 삽입되어 체결핀(122)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부(120)의 나사홀(123)과 상기 소켓부(130)의 삽입홀(131)에 상기 회전부(140)의 회전봉(141) 상하단부가 끼워져 사선 방향으로 체결되어지되,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는 외주면에 나사산(14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 나사산(142)이 상기 연결부(120)의 나사홀(123)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회전봉(141)의 나사산(142)에는 풀림방지너트(144)가 체결되며, 상기 풀림방지너트(144)와 연결부(120)사이에는 스프링 와셔(145)가 개재되어 긴밀한 체결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나사홀(123)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124)에 고정핀(147)이 관통되어 상기 회전봉(141)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46)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고,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가 소켓부(130)의 삽입홀(131)에 삽입되어 임시고정부재(149)가 상기 삽입홀(131)의 일측에 형성된 임시홀(132)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봉(141)의 하단부에 형성된 임시홈(148)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전부(140)의 상하부에 상부 고정부(110) 및 하부 고정부(110)가 각각 일체로 결합된 내진보강장치(100)를 준비하고,
    상기 임시고정부재(149)가 끼워져 결합된 내진보강장치(100)를 체인블록(C)을 통해 상측으로 인양하여 우각부(5)에 가설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11)가 설치될 천장(2)과 측벽(3)에 앵커홀(2a,3a)을 각각 마킹하는 가설 단계;
    가설된 내진보강장치(100)를 제거한 후, 철근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전자파를 이용한 철근탐사기(D)로 우각부(5)를 탐사하여 배근된 철근의 위치를 확인하고 고정플레이트(111)가 부착될 위치를 확인하는 철근 탐사 단계;
    천장(2)과 측벽(3)에 각각 마킹된 앵커홀(2a,3a)을 천공기(E)로 천공하고, 상기 앵커홀(2a,3a) 내부의 잔여물을 제거하며, 앵커홀(2a,3a)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천공 단계;
    체인블록(C)을 이용하여 내진보강장치(100)를 상측으로 인양한 후, 앵커체(113)를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장홈의 슬롯(111a)에 삽입시킨 채 앵커홀(2a,3a)에 결합시켜 내진보강장치(100)를 천장(2)과 측벽(3) 사이에 고정하는 고정 설치 단계;
    내진보강장치(100)의 소켓부(130)에 임시로 끼워진 임시고정부재(149)를 제거하는 임시고정부재 제거단계
    공구(F)로 회전봉(141)을 조여서 설계시 계산된 가압력을 도입하는 가압력 도입 단계;
    회전봉(141) 상단부의 나사산(142)에 풀림방지너트(144)를 체결하고 상기 풀림방지너트(144)와 연결부 사이에 스프링와셔(145)를 개재한 후 공구로 조여서 내진보강장치(100)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따른 회전봉(141)의 풀림을 방지하는 회전봉 풀림 방지 단계;
    연결부(120)의 나사홀(123) 일측에 관통 형성된 고정홀(124)에 고정핀(147)을 관통시켜서 회전봉(141) 상단부의 나사산(142)에 형성된 고정홈(146)에 삽입시켜 회전봉(141)을 고정시키는 회전봉 고정 단계; 및
    우각부(5)에 임시로 설치된 임시앵커(B), 체인블록(C)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에 설치되는 내진보강장치의 시공방법.
  4. 삭제
KR1020180011375A 2018-01-30 2018-01-30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879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75A KR101879191B1 (ko) 2018-01-30 2018-01-30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75A KR101879191B1 (ko) 2018-01-30 2018-01-30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191B1 true KR101879191B1 (ko) 2018-08-09

Family

ID=6325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75A KR101879191B1 (ko) 2018-01-30 2018-01-30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1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089B1 (ko) 2003-10-15 2006-03-10 노윤근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면에 박스형 단면을 증설한 보수보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12950B1 (ko) * 2014-12-10 2016-04-18 주식회사 해광 이중마루 레벨 풋 유닛 및 이를 사용하는 장비 설치방법
KR20170081140A (ko) * 2017-05-19 2017-07-11 (주)다음기술단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 감소를 위한 내진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089B1 (ko) 2003-10-15 2006-03-10 노윤근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면에 박스형 단면을 증설한 보수보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12950B1 (ko) * 2014-12-10 2016-04-18 주식회사 해광 이중마루 레벨 풋 유닛 및 이를 사용하는 장비 설치방법
KR20170081140A (ko) * 2017-05-19 2017-07-11 (주)다음기술단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 감소를 위한 내진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1382C (en) Ajustable compact jacking coupler and method of use
BR112014032519B1 (pt) Combinação de acoplador de reforço e dispositivo de alinhamento decoluna
KR101870309B1 (ko) 내진보강용 철골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0659744B1 (ko)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흙막이 공법에 적용되는 띠장재
JP6872767B2 (ja) 吊り足場の支持構造、支持方法及び構築方法
EP2453062B1 (de) Verfahren und System zur Spriessung von Baugruben
KR102237936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
KR10137289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JP3906185B2 (ja) 構造物の支持装置
KR101879191B1 (ko)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845717B1 (ko) 힌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4391011B2 (ja) 架設鋼材定着用治具
KR20180090230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US20170130473A1 (en) Post-tensioning apparatus and system for structures
KR101991938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
JP5636167B2 (ja) 隅金具および耐震装置
JP4355680B2 (ja) 耐震補強装置
CN216552387U (zh) 新型可调节桁架节点装置
JP4703226B2 (ja) 型枠の施工方法
JP6717782B2 (ja) 既設フーチングの補強方法
JP2015101894A (ja) 移動制限具及び移動制限具の施工方法
KR20170081140A (ko) 지하 박스형 구조물의 우각부에 발생되는 전단력과 모멘트 감소를 위한 내진보강장치
KR102000082B1 (ko) 토글형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20220036282A (ko) 앵커 볼트 정렬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