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507B1 -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507B1
KR101878507B1 KR1020130135370A KR20130135370A KR101878507B1 KR 101878507 B1 KR101878507 B1 KR 101878507B1 KR 1020130135370 A KR1020130135370 A KR 1020130135370A KR 20130135370 A KR20130135370 A KR 20130135370A KR 101878507 B1 KR101878507 B1 KR 10187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polyamide
worm
boss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436A (ko
Inventor
안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13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5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0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ngines, clutches or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B62D5/093Telemotor driven by steering wheel movement
    • B62D5/097Telemotor driven by steering wheel movement geroto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60Y2300/207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related to drive shaft torsion, e.g. driveline osci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웜과 웜휠을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상기 웜휠은, 조향축이 삽입되는 중공 형상으로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수개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허브; 외주면에 상기 웜과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된 내경부와, 상기 내경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수개의 요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기어부; 상기 허브의 외측과 상기 기어부의 내측 사이에 사출 성형되는 보스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Reducer of Power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속기 웜휠의 허브, 보스, 기어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웜과 조향축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자체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고, 더불어 웜휠의 성형성과 정밀성, 기계적 내구성 및 마찰특성을 증대시켜 감속기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동력 보조 조향장치 중에는 모터에 의해 조향력이 조절되는 전동식 조향장치가 있으며, 이것은 차속 센서 및 조향 토크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의 운행 조건에 따라 전자 제어 장치에서 모터를 정밀하게 구동하고, 모터에서 발생한 토크가 감속기를 거쳐 조향컬럼 또는 피니언에 전달되어서 이 조향컬럼 및 피니언에 연결된 조향휠을 조작하는 운전자의 조향력을 돕게 된다.
이에 따라, 저속 주행시에는 가볍고 편안한 조향 상태를 제공하고, 고속 주행시에는 무겁고 안정적인 조향 상태를 제공하며, 돌발적인 비상 상황에서는 이에 대처하여 급속한 조향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 성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동식 조향장치는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로 나눠질 수 있는데, 주로 운전석의 조향휠과 차량 하부의 기어박스를 연결하는 조향축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조향컬럼 부위, 또는 랙바와 결합되는 피니언이 내장된 기어박스 부위 등에 모터를 구비한 감속기를 설치하고,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력이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서 랙바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통상 사용되는 컬럼에 구비된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러한 감속기는 중간부에 웜(102)이 형성된 강(鋼)과 같은 금속 재질의 웜축(104)이 구비되고, 웜축(104)의 양단에는 웜베어링(106)이 각각 설치되어 웜축(104)을 지지하며, 웜축(104)과 모터축(108)이 연결되어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웜축(104)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감속기어로서 웜축(104)의 중간부에 형성된 웜(102)과 치합될 수 있도록 웜(102)의 외경 일측에는 예컨대 수지 조성물로 된 웜휠(114)이 구비되며, 웜휠(114)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112)에 장착되어, 모터(110)의 구동에 의한 웜축(104)의 회전력이 조향축(112)에 전달되게 된다. 웜기어 방식으로 치합되는 이들 웜휠(114)과 웜축(104)은 외부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하우징(116)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차량의 운행 조건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미도시)가 모터(110)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터(110)의 구동에 의한 웜축(104)의 회전력이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력에 부가되어 조향축(112)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운전 상태를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감속기의 웜휠은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조향축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 조성물로 된 기어와 금속 재질로 된 기어가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속기는 서로 회전하는 웜축, 웜휠, 조향축 등이 맞물려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운전자에게 직접 매우 크게 전달되고, 감속기 내부 부품의 내구성을 떨어트리거나 심한 경우에는 부품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요철이 심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바퀴로부터 랙바와 조향축을 타고 전달되는 하중이 순간적으로 증대하여 이로 인해 감속기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더욱 증대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웜과 웜휠, 조향축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대폭 줄여서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고, 더불어 웜휠의 성형성과 정밀성, 기계적 내구성 및 마찰특성을 증대시켜 감속기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웜과 웜휠을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상기 웜휠은, 조향축이 삽입되는 중공 형상으로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수개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허브; 외주면에 상기 웜과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된 내경부와, 상기 내경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수개의 요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기어부; 상기 허브의 외측과 상기 기어부의 내측 사이에 사출 성형되는 보스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허브, 보스, 기어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웜휠을 제작함으로써, 웜과 조향축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자체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고, 더불어 웜휠의 성형성과 정밀성, 기계적 내구성 및 마찰특성을 증대시켜 감속기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 사용되는 컬럼에 구비된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웜휠 중 보스와 기어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웜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웜휠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웜휠의 내구횟수에 대한 유격 변화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웜휠 중 보스와 기어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웜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웜휠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웜휠의 내구횟수에 대한 유격 변화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감속기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웜축과 웜휠을 매개로 전달되며, 웜과 웜휠 기어의 기어비에 따라서 감속 또는 가속되는 것으로, 웜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웜축이 구비되고, 이 웜축의 외주에 형성된 웜과 치합될 수 있도록 웜의 외경 일측에는 웜휠이 구비된다.
이러한 감속기는 전동식 조향장치에 장착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웜축과 웜휠이 연동되면서 조향축을 회전시켜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게 되는데, 모터의 구동시 모터의 축과 연동되는 웜축의 양단에는 웜축베어링이 체결되어 웜축의 회전을 지지하며, 조향축과 연동되는 웜휠과 웜축은 기어 하우징에 내장된다.
한편, 운전자가 조향휠의 조작시 조향휠의 회전력을 랙바로 전달하는 조향축은 조향휠로부터 컬럼, 유니버설 조인트,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를 내장하는 기어박스까지 연결되어 있고, 감속기는 컬럼, 기어박스에 내장되는 조향축(또는 피니언)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으로 웜축이 회전하면 웜휠이 연동되어 회전하고, 이때 웜휠이 컬럼의 조향축 또는 기어박스의 조향축에 결합되어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게 된다.
여기서, 웜휠(200)은 조향축이 결합되는 허브(210), 허브(210)의 외주측에 일체로 성형되는 보스(230), 보스(230)의 외주측에 일체로 성형되며 웜과 치합되는 기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략 링과 같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틸 재질의 허브(210)는 중심부에 조향축이 관통 결합되는 축연결부(213)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수개의 돌기부(215)가 구비되어 있다.
축연결부(213)는 보스(230)의 상측면(211, 이하 보스의 양측면 중 축연결부(213)가 돌출된 쪽을 상측면으로 설명하기로 함)에서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축연결부(213)의 내주면 양측끝단에는 조향축과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경사부가 구비되어 있다.
돌기부(215)는 허브(21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의 위치에 동일 간격으로 구비되며 허브(210)의 외주면과 돌기부(215)에는 탄성재질의 댐핑부(217)가 허브(2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렇게 허브(210)에 댐핑부(217)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웜, 조향축의 회전력 전달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댐핑부(217)가 자체 흡수하게 되어 별도의 댐핑 부품이 없어도 감속기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의 대부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댐핑부(217)를 형성하는 탄성재질은 NR(Natural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FPM(Fluorocarbon Rubber), SBR(Styrene Butadine Rubber), CSM(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Rubber), 실리콘, 우레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 재질로 될 수 있다.
기어부(220)는 외주면에 웜과 치합되는 치형(221)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된 내경부(223)와, 내경부(223)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수개의 요홈부(225)가 구비되어 있다.
기어부(220)의 내경부(223)와 요홈부(225)는, 기어부(220)의 내측 중심에 허브(210)를 위치하고 보스(230)를 사출 성형할 때, 수지의 사출압과 흐름이 구석 구석까지 잘 전달되어 보스(230)의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 기어부(220)의 치형(221)이 변형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어부(220)는 EMMA(에틸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혼합된 폴리아미드(PA) 수지를 사출하여 성형되는데, 외주면에 웜과 치합되는 치형(221)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기어부(220)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12 중 어느 하나이고, 이에 EMMA가 1 ~ 10 중량%로 혼합되는데, 이로 인해 폴리아미드 수지로만 형성될 때에 비하여, 수분 흡수량은 30% 이상 줄어들어 부피 팽창에 의한 웜휠(200)의 회전 토크의 증가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어 있다.
보스(230)는 허브(210)의 외측과 기어부(220)의 내측 사이에 유리섬유가 혼합 보강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출하여 성형되며, 상측면과 하측면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수개의 함몰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23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함몰부(231)는 보스(23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테두리를 격벽으로 둘러싼 형태로 원주방향으로 분리되어 허브(210)와 기어부(220)의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보스(230)를 사출 성형하는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12 중 하나이고, 이에 유리섬유가 30 ~ 50 중량%로 혼합되는데, 이로 인해 폴리아미드 수지로만 형성될 때에 비하여, 경도와 인장강도, 신율, 굴곡강도 고온물성 등이 향상되고 우수한 마찰특성을 갖게 되어 내구성이 좋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허브(210), 보스(230), 기어부(220)로 이루어지는 웜휠(200)의 제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웜휠(200)은 기어부(220)와 허브(210)를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보스(230)를 사출하면서 일체로 웜휠(200)이 형성되는데, 기어부(220)는 치형(221)과 내경부(223), 요홈부(225)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반영되어 있는 금형에 EMMA(에틸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혼합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출하여, 기어부(220)의 내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된 내경부(223)가 구비되도록 하고, 내경부(223)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수개의 요홈부(225)를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웜과 치합되는 치형(221)을 형성하는 기어부 형성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후 금형에서 분리된 기어부(220)는 치형(221)이나 내경부(223)에 추가적인 가공 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아울러, 허브(210)를 형성할 스틸 재질로 형성된 환형의 외주면에 프레스, 절삭 등의 가공을 통해 돌기부(215)를 형성하고, 외주면과 돌기부(215)에 탄성재질의 댐핑부(217)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허브 형성단계를 거친다.
댐핑부(217)의 사출이 완료되면 기어부(220)의 내측 중심에 허브(210)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금형의 내부에 셋팅하고, 허브(210)의 외측과 기어부(220)의 내측 사이에 유리섬유가 혼합 보강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출하여 보스(230)를 성형하는 보스 형성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금형의 내부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전술한 함몰부(231)가 음각 또는 양각 반영되어 있어서, 금형을 제거하면 본 발명의 웜휠(20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후 금형에서 분리된 웜휠(200)은 보스(23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추가적인 가공 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웜휠(200)은 기어부(220)의 성형과 보스(230)의 성형이 짧은 시간 간격으로 공정이 이루어지는데, 보스(230)의 사출 성형시 사출압과 수지의 흐름에 의한 영향으로 기어부(220)의 치형(22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어부(220)의 치형 정밀도와 함께 스틸 재질의 허브(210)로 인해 조향축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과 노이즈를 댐핑하는 댐핑부(217)도 기어부(220)에 형성할지 또는 허브(210)에 형성할지에 따라서 기어부(220)의 치형 정밀도와 내구후의 유격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댐핑부(217)가 없이 스틸 재질의 허브(210)와 기어부(220)에 수지를 사출하여 보스(230)를 형성하는 경우 웜휠(200)의 내구가 진행된 후 치형(221)의 유격 변화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댐핑부가 없는 경우(A)에는 댐핑부가 있는 경우(B)에 비해 대략 20,000 싸이클의 내구 후에는 유격 변화량이 급격히 커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아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부가 없는 경우(C)에는 댐핑부가 있는 경우(D)에 비해 치형(221)의 형상 오차와 기울기 오차, 잇줄 형상 오차와 기울기 오차 등이 커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여기서, 잇줄은 치형 한개의 폭방향 프로파일을 의미하고, 표 1에서 L과 R은 치형 한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된 프로파일 중 일측과 타측의 프로파일을 의미한다.)

댐핑부가 없는 경우(C) 댐핑부가 있는 경우(D)
L R L R
치형 형상 오차(㎛) 12 17 8 8
치형 기울기 오차(분) -14'2 -18'5 -11'6 -9'6
잇줄 형상 오차(㎛) 62 60 4 4
잇줄 경사 오차(분) 7'3 7'0 -3'1 -1'3
단일 피치 오차(㎛) 47 47 10 9
인접 피치 오차(㎛) 80 78 16 15
또한, 댐핑부(217)를 허브(210)에 사출하지 않고 기어부(220)에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는, 허브(210)와 기어부(220)의 사이에 수지를 사출하여 보스(230)를 형성할 때, 수지의 사출압과 흐름이 구석 구석까지 잘 전달되지 못해, 보스(230)의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동안 기어부(220)의 치형(221)이 변형되어 치형(221)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도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웜휠(200)에서는 댐핑부(217)를 형성하되 기어부(220)쪽이 아닌 허브(210)의 외주면에 사출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치형(221)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진동과 노이즈를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허브, 보스, 기어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웜휠을 제작함으로써, 웜과 조향축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자체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쾌적한 조향감을 제공하고, 더불어 웜휠의 성형성과 정밀성, 기계적 내구성 및 마찰특성을 증대시켜 감속기가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웜휠 210: 허브
213: 축연결부 215: 돌기부
217: 댐핑부 220: 기어부
221: 치형 223: 내경부
225: 요홈부 230: 보스
231: 함몰부

Claims (8)

  1. 웜과 웜휠을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상기 웜휠은,
    조향축이 삽입되는 중공 형상으로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수개의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허브로서, 상기 허브의 외주면과 상기 돌기부에는 탄성재질의 댐핑부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있는 상기 허브;
    외주면에 상기 웜과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된 내경부와, 상기 내경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수개의 요홈부가 구비되어 있는 기어부;
    상기 허브의 외측과 상기 기어부의 내측 사이에 사출 성형되는 보스;
    를 포함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허브의 중심으로부터 방사 방향의 위치에 동일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질은 NR(Natural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FPM(Fluorocarbon Rubber), SBR(Styrene Butadine Rubber), CSM(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Rubber), 실리콘,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12 중 어느 하나의 폴리아미드 수지에, EMMA(에틸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1 ~ 10 중량%로 혼합되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12 중 어느 하나의 폴리아미드 수지에, 유리섬유가 30 ~ 50 중량%로 혼합되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측면과 하측면에 격벽으로 구획된 수개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8. EMMA(에틸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혼합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출하여, 내주면에는 경방향으로 돌출된 내경부와, 상기 내경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갖는 수개의 요홈부를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웜과 치합되는 치형을 형성하는 기어부 형성단계;
    스틸 재질로 형성된 환형의 외주면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주면과 돌기부에 탄성재질의 댐핑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허브 형성단계;
    상기 기어부의 내측 중심에 상기 허브의 중심을 위치하고 상기 허브의 외측과 상기 기어부의 내측 사이에 유리섬유가 혼합 보강된 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출하여 보스를 성형하는 보스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제조 방법.
KR1020130135370A 2013-11-08 2013-11-08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70A KR101878507B1 (ko) 2013-11-08 2013-11-08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70A KR101878507B1 (ko) 2013-11-08 2013-11-08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436A KR20150053436A (ko) 2015-05-18
KR101878507B1 true KR101878507B1 (ko) 2018-07-13

Family

ID=5339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370A KR101878507B1 (ko) 2013-11-08 2013-11-08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643B1 (ko) * 2015-11-19 2021-11-12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5672B1 (ko) * 2015-12-15 2022-05-11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113013B1 (ko) * 2015-12-31 2020-05-20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및 그 조립방법
CN106273229B (zh) * 2016-09-29 2018-07-03 富奥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器支撑衬套加工方法与支撑衬套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916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30092859A (ko) * 2012-02-13 2013-08-21 남양공업주식회사 Mdps 웜휠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916A (ko)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30092859A (ko) * 2012-02-13 2013-08-21 남양공업주식회사 Mdps 웜휠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436A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330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878507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5672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US10035534B2 (en) Steering shaft for a motor vehicle
JP4657590B2 (ja) 滑り軸受及びそれを具備した軸受機構
US8905185B2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1719392B1 (ko) 보조 조향 장치
KR101454505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20030146039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100137170A (ko) 랙 구동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1204306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CN107002853A (zh) 齿轮和设置有该齿轮的电动致动器
KR20130064056A (ko) 보조 조향 장치
JP2007040429A (ja) 軸受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滑り軸受
US20210293319A1 (en) Reducer of power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2543217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0804443B1 (ko) 랙바를 지지하는 서포트 요크를 구비한 조향장치
KR101882250B1 (ko) 댐핑 웜휠
KR101574807B1 (ko)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댐핑장치
KR102324643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50240B (zh) 适于电动助力转向系统的减速机构的公差补偿环
WO2005012748A1 (ja) 動力伝達機構とこれを組み込んだ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70080160A (ko) 댐핑 기어휠 구조체
KR100857623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휠 구조
JP4811521B2 (ja) 滑り軸受及びそれを具備した軸受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