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907A -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907A
KR20110113907A KR1020100033238A KR20100033238A KR20110113907A KR 20110113907 A KR20110113907 A KR 20110113907A KR 1020100033238 A KR1020100033238 A KR 1020100033238A KR 20100033238 A KR20100033238 A KR 20100033238A KR 20110113907 A KR20110113907 A KR 2011011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earing
output
electric power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306B1 (ko
Inventor
홍성종
송강석
박병선
Original Assignee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3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306B1/ko
Priority to CN201080061563.1A priority patent/CN102712335B/zh
Priority to PCT/KR2010/008288 priority patent/WO2011129509A1/ko
Publication of KR2011011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에 장착되고 보조 조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측 외곽측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소정위치에 축지지되고 조타력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는 웜과 상기 웜과 상호 맞물림 결합되도록 상기 웜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보조 조타력을 상기 웜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대향하는 측의 베어링은 이 베어링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 지지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에 탄력성 링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탄력성 링부재와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구형체가 맞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본 발명은 웜기어 예압기구를 갖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웜기어 부분에 발생하는 유격 및 이 유격 등에 기인한 래틀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관련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조향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이 적용되는바, 이와 같은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기존에는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HPS;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가 차량에 널리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유압을 사용하던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향력을 쉽게 해주며, 환경친화적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EPS; Electrical Power Steering System)의 설치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상기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차속센서 및 조향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ECU에서 모터를 구동시켜 저속 운행시에는 가볍고 편안한 조향감을 부여하고, 고속 운행시에는 무거운 조향감과 더불어 양호한 방향 안정성을 부여하며, 비상 상황에서는 급속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그 설치상태에 따라 칼럼타입(C-EPS)과, 피니언 타입(P-EPS) 및 랙 타입(R-EPS)으로 세분된다.
상기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중 상기 랙 타입(R-EPS) 스티어링 장치는, 랙 하우징 일측에 둔각 또는 예각의 기울기를 지니며 설치된 전동 모터의 피니언 기어가 랙바 일측 외주부를 지지하고 있는 볼 너트의 종동기어와 치합된 상태에서 전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볼 너트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회전력에 의해 랙바를 좌ㅇ우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핸들 조타에 따른 조력(助力)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기어 감속기구에서는, 웜과 웜기어의 각각의 맞물림 반경을 포함한 축거리에 대하여, 하우징의 기어 수납측과 구동모터의 출력축과의 축거리가 동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설정 백래시에 더하여 각각의 가공상 불균일 등에 기인하는 추가 백래시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백래시는, 차량이 악로를 주행하는 때, 이로인한 래틀음에 의한 불쾌감을 운전자에게 부여하는 등 신뢰성이나 기술적 레벨을 손상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기어의 정밀도를 높여, 백래시를 아주 작게 설정하거나, 또는 웜과 그 축받침용 베어링 사이에 탄성체 등을 설치하여 진동을 흡수하는 등의 방법이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종래에는, 기어의 마모 등에 의하여 웜과 웜기어의 축심 사이 거리가 변동할 경우, 웜의 미소 변위에 의하여 예압력이 변화되어, 안정적인 예압력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등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 상의 단점을 해소하고, 백래시를 억제하고, 또 보조 조타력의 전달 성능을 훼손시키지 않고, 스플라인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래틀음을 저감할 수 있는 간단 구성의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함을 주된 기술적 해결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종래의 복잡한 구성의 토크 센서와 입출력토크축 사이의 결합구조에 따른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출력축을 이루는 입력토크축과 출력토크축의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와 입력토크축과 출력토크축 사이의 슬라이딩 및 심플한 구성의 연결구조를 통해, 조립성과 토크 감지에 대한 감지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신뢰성 향상에 조력함을 해결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에 장착되고 보조 조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측 외곽측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소정위치에 축지지되고 조타력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는 웜과 상기 웜과 상호 맞물림 결합되도록 상기 웜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보조 조타력을 상기 웜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대향하는 측의 베어링은 이 베어링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 지지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에 탄력성 링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탄력성 링부재와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구형체가 맞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형체는 댐퍼링 특성을 갖는 고무, 우레탄, 탄소유리섬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되어 채용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관통공은 상기 구형체가 외주면을 따라 설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외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이 채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 장착되고 보조 조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측 외곽측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소정위치에 축지지되고 조타력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는 웜과 상기 웜과 상호 맞물림 결합되도록 상기 웜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보조 조타력을 상기 웜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중앙에 토크 센서를 사이에 두고, 동축적으로 일체로 결합된 입력토크축과 출력토크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토크축과 출력토크축에 마주하는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토크 센서의 입력 로터와 출력 로터에 각각 연결된 상기 입력토크축과 출력토크축의 토크를 측정하여 ECU로 전송하도록, 상기 입력 로터측의 입력체결돌기와 출력 로터측의 출력체결돌기에 각각 계합되는, 입력계합구와 출력계합구가 각각 오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차량의 조향력을 조력하여 운전자의 조타동작을 보조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에서, 웜측 회전축에 유격보상수단의 일환으로서 베어링의 외주면을 일방향 가압 가능한 구형체와 탄력성 링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웜축 마모로 인해 유발되는 유격을 보상하며, 래틀음 등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정면 구조도,
도 3은 도 1의 선 A-A에 따른 종단면 구조도,
도 4는 도 1의 선 A-A에 따라 일부 절취하여 나타낸 단면 구조도,
도 5는 도 4에서 출력축을 제외한 회전축과 이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요소들만 나타낸 분해사시 구조도,
도 6은 도 1의 선 B-B에 따른 종단면 구조도,
도 7은 도 6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 구조도,
도 8은 도 1 및 도 6에서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조립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구성요소들을 합체하여 도시한 합체 사시 구조도,
도 10은 도 9의 선 D-D에 따른 종단면 구조도,
도 11은 도 10에서 쿠일 샤트프의 출력토크부재와 입력토크부재 만을 나타낸 종단면 구조도,
도 12는 도 9에서 쿠일 샤프트 출력토크부재와 입력토크부재 만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인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란 용어는, 하우징(10)에 장착되고 보조 조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M)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모터측 및 외곽측 베어링(20, 3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M)의 모터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회전축(40)과, 상기 하우징(10)의 소정위치에 축지지되고 조타력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축(50)과, 상기 회전축(40)에 일체로 형성되는 웜(41)과 상기 웜(41)과 상호 맞물림 결합되도록 상기 웜기어(43)로 이루어진 감속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M)의 보조 조타력을 상기 웜기어(43)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축(50)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모듈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 구조도이다.
상기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상기 구동모터(M)와 대향하는 외곽측의 베어링(30)은 이 외곽측 베어링(30)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 지지부재(60)에 의해 둘러싸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6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61)에 탄력성 링부재(7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력성 링부재(70)와 상기 외곽측 베어링(30)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60)의 환상홈(61)의 외주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61a)을 통해, 구형체(80)가 맞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형체(80)는 댐퍼링 특성을 갖는 고무, 우레탄, 탄소유리섬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상기 관통공(61a)은 상기 구형체(80)가 외주면을 따라 설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외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채택해도 좋다.
한편, 상기 출력축(50)은 중앙에 토크 센서(100)를 사이에 두고, 동축적으로 일체로 결합된 입력토크축(51)과 출력토크축(5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입력토크축(51)과 출력토크축(53)에 마주하는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토크 센서(100)의 입력 로터와 출력 로터에 각각 연결된 상기 입력토크축(51)과 출력토크축(53)의 토크를 측정하여 ECU로 전송하도록, 상기 입력 로터측의 입력체결돌기(101)와 출력 로터측의 출력체결돌기(103)에 각각 계합되는, 입력계합구와 출력계합구가 각각 오목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출력 로터의 중앙에는 출력체결돌기(103)가 형성되어 있어서 출력토크축(53) 출력체결돌기(103)에 출력토크축(53)의 출력계합구가 압입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입력 로터의 중앙에는 입력토크축(51) 입력체결돌기(101)가 형성되어 있어서 입력토크축(51) 입력체결돌기(101)에 입력토크축(51)의 입력계합구를 삽입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웜기어(43)의 일측에는 이 웜기어(43)와 출력토크축(53)으로 연결되는 토크 센서(10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토크 센서(100)는 상기 입력토크축(51)과 출력토크축(53)의 토크를 측정하여 ECU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ECU에서 상기 구동 모터를 작동시켜 조향 보조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토크 센서(100)는 출력 로터(도시하지 않음), 입력 로터(도시하지 않음) 및, 커버(10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출력 로터의 중앙에는 출력토크축(53)의 출력체결돌기(103)가 형성되어 있어서 출력토크축(53) 출력체결돌기(103)에 출력토크축(53)이 압입 고정된다.
또한, 입력 로터의 중앙에는 입력토크축(51)에 결합되도록 입력체결돌기(101)가 연결형성되어 있어서 입력토크축(51) 입력체결돌기(101)에 입력토크축(51)을 삽입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커버(100a)는 출력 로터와 입력 로터를 감싸게 되는데, 상기 커버는 출력 로터와 입력 로터를 보호하면서 출력 로터와 입력 로터를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일명, 'ECU')에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웜기어(43)의 기어면 사이에는, 백래시(backlash)가 생길 것이므로, 맞물림부(meshing portion)에서 연속적인 기어 타격음(gear slapping sound)이 발생될 수 있다.
또, 상기 모터측 베어링(20)의 양단에는 상기 모터측 베어링(20)의 내륜과 양단면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단면이 ㅏ 자 형상의 플랜지-구비 댐핑부재(46, 47)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구비 댐핑부재(46, 47)는 상기 모터측 베어링(20)의 내륜과 양 외단면부에서 압축되어, 상기 회전축(40)의 반경 방향의 변위에 대하여 전체 주위에 있어서 균일한 반발력을 발생한다. 이 때문에, 무 부하시에, 상기 웜(41)이 형성된 회전축의 모터측 베어링(20)의 내륜에 대하여 플로팅(floating) 배열되고, 상기 회전축(40)과 상기 모터측 베어링(20)의 내륜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웜 축 및 웜기어(43)를 조립할 때, 웜, 이를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20, 30), 웜기어(43) 및 이를 지지하는 상기 출력축 등의 치수 오차에 의해, 조립 후에 비교적 큰 비율로 백래시가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각 부품을 정밀도에 따라서 조립할 필요가 있어서, 조립이 매우 번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모터측 베어링(20)의 양단에 공통 구조의 플랜지-구비 댐핑부재(46, 47)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상기 모터측 베어링(20)의 양단에 댐핑부재(46, 47)를 설치하고, 웜(41) 및 회전축(40)을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맞물림부의 충격을 완화하고, 기어 타격음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노면으로의 입력 등에 의한 경부하가 상기 웜(41)-구비 회전축(40)에 걸리면, 반경 방향의 하중이 발생하고, 상기 회전축(40)이 변위되더라고, 상기 댐핑부재(46, 47)에 의해 상기 인가된 하중을 받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40)과 상기 모터측 베어링(20)의 내륜(20a)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미소 간극에 따른 금속 타격음을 완전히 규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부가적으로 상기 모터측 베어링(20) 양측에서 진동, 충격흡수 기능을 하는 댐핑부재(46, 47)는,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입력토크축(51)과 출력토크축(53)은 플라스틱재의 슬리브(90)에 의해 회전시 초기 마찰토크를 감소시키고 원할한 회전성능을 달성하도록, 상기 슬리브(90)가 상기 입력토크축(51)의 선단 외주부와 상기 출력토크축(53)의 내주부 사이에 접속 결합됨으로써, 윤활유 사용없이 조립이 가능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질의 슬리브(90) 적용으로 회전 시 초기 마찰토크를 감소시키고 원할한 회전성능을 확보하여, 토크센서의 안정적인 출력성능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력성 링부재(70)는 웜(41)의 축 단부를 지지하는 외곽측 베어링(30)의 외주부를 감쌈과 동시에, 내적으로 상기 베어링(30)의 외주면에 상기 구형체(80)를 항시 착접시켜, 상기 웜(41)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유격을 유연하게 흡수 또는 보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차속센서 및 조향 토크센서(100)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ECU에서 전동모터 구동명령을 산출하여 전동모터를 적정 회전수로 구동시키고, 이러한 전동모터의 회전력은 웜(41)과 웜기어(43)로 이루어진 감속기어를 거치면서 적정회전수로 감속된 상태로 스티어링 샤프트에 전달되어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조타력을 어시스트(assist)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감속기어인 상기 웜(41)을 지지하는 외곽측 베어링(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고정된 탄력성 링부재(70) 및 구형체(80)가 제공됨으로써, 감속기어가 잦은 마찰로 인해 마모되었을 때,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극력 규제함으로써, 이로인해 기어치간에 불규칙한 접촉에 의한 래틀음을 포함한 소음(Lattle noise)을 극력 규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력성 링부재(70)와 구형체의 부가로 인해, 상기 회전축(40)의 외곽부를 지지하는 측의 외곽측 베어링(30)에 예압(豫壓)을 부여함으로써, 항시 상기 웜(41)과 웜기어(43)가 상호 접촉하게 됨으로써, 이 부분의 유격이 극력 규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력축(50)을 이루는 상기 입력토크축(51)과 출력토크축(53)의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100)와 상기 입력토크축(51)과 출력토크축(53) 사이의 간단한 구성의 연결구조를 통해, 조립성과 토크 감지에 대한 감지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신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우징 20 : 모터측 베어링
30 : 모터 외곽측 베어링 40 : 회전축
41 : 웜 43 : 웜기어
50 : 출력축 51 : 입력토크축
53 : 출력토크축 60 : 베어링 지지부재
61 : 환상홈 61a : 관통공
70 : 탄력성 링부재 80 : 구형체
90 : 슬리브

Claims (7)

  1. 하우징에 장착되고 보조 조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측 외곽측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소정위치에 축지지되고 조타력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는 웜과 상기 웜과 상호 맞물림 결합되도록 상기 웜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보조 조타력을 상기 웜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대향하는 측의 베어링은 이 베어링의 외주면을 감싸는 베어링 지지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에 탄력성 링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탄력성 링부재와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구형체가 맞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체는 스틸 볼 또는 댐퍼링 특성을 갖는 고무, 우레탄, 탄소유리섬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구형체가 외주면을 따라 설정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외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4. 하우징에 장착되고 보조 조타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터 내외곽측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소정위치에 축지지되고 조타력을 전달하기 위한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는 웜과 상기 웜과 상호 맞물림 결합되도록 상기 웜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보조 조타력을 상기 웜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중앙에 토크 센서를 사이에 두고, 동축적으로 일체로 결합된 입력토크축과 출력토크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토크축과 출력토크축에 마주하는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토크 센서의 입력 로터와 출력 로터에 각각 연결된 상기 입력토크축과 출력토크축의 토크를 측정하여 ECU로 전송하도록, 상기 입력 로터측의 입력체결돌기와 출력 로터측의 출력체결돌기에 각각 계합되는, 입력계합구와 출력계합구가 각각 오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토크축(51)과 출력토크축(53)은 플라스틱재의 슬리브에 의해 회전시 초기 마찰토크를 감소시키고 원할한 회전성능을 달성하도록, 상기 슬리브가 상기 입력토크축의 선단 외주부와 상기 출력토크축의 내주부 사이에 접속 결합된 것을 특지으로 하는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베어링의 양측에는, 상기 웜이 형성된 회전축의 모터측 베어링(20)의 내륜에 대하여 플로팅(floating) 배열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모터측 베어링(20)의 내륜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공통 구조의 플랜지-구비 댐핑부재가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베어링 양측에서 진동, 충격흡수 기능을 하는 댐핑부재의 양측에는 고정 받침용 스틸링이 각각 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KR20100033238A 2010-04-12 2010-04-12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1204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3238A KR101204306B1 (ko) 2010-04-12 2010-04-12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CN201080061563.1A CN102712335B (zh) 2010-04-12 2010-11-23 电动动力转向装置
PCT/KR2010/008288 WO2011129509A1 (ko) 2010-04-12 2010-11-23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3238A KR101204306B1 (ko) 2010-04-12 2010-04-12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907A true KR20110113907A (ko) 2011-10-19
KR101204306B1 KR101204306B1 (ko) 2012-11-23

Family

ID=4479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3238A KR101204306B1 (ko) 2010-04-12 2010-04-12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04306B1 (ko)
CN (1) CN102712335B (ko)
WO (1) WO2011129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6779B (zh) * 2012-10-26 2016-04-27 宁波如意股份有限公司 一种双组脉冲输出电转向器
US9168949B2 (en) * 2013-04-18 2015-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eering system clatter mitigation
KR102101664B1 (ko) 2015-12-31 2020-04-27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베어링 홀더 구조체
CN106741140B (zh) * 2016-12-20 2022-12-16 博世华域转向系统有限公司 一种电动助力驱动单元的减震降噪结构
KR101957349B1 (ko) * 2016-12-29 2019-06-19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DE102017205516A1 (de) * 2017-03-31 2018-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rvolenk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KR20190137378A (ko)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우진산전 전동식 조향 시스템의 웜샤프트 구조체
CN110492246B (zh) * 2019-08-13 2021-05-28 中信科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基站天线电下倾角调节传动机构及基站天线
CN113541442A (zh) * 2021-08-19 2021-10-22 王金龙 一种磁能动力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898A (ja) * 2000-12-27 2002-07-10 Koyo Seiko Co Ltd トルクセンサ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フェールセーフ機構
JP2004045151A (ja) * 2002-07-10 2004-02-12 Koyo Seiko Co Ltd トルクセンサ
JP2005219708A (ja) * 2004-02-09 2005-08-18 Nsk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131144A (ja) * 2005-11-10 2007-05-31 Nsk Ltd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306B1 (ko) 2012-11-23
WO2011129509A1 (ko) 2011-10-20
CN102712335A (zh) 2012-10-03
CN102712335B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306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CN102109036B (zh) 电动转向装置的减速器
KR100816401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101271324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261093B1 (ko) 랙 구동식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CN107031700B (zh) 转向装置
KR101381047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8636099B2 (en) Rack-driven steering apparatus and rack-driven auxiliary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477907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US8381868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10238416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JP2010116150A (ja) 電動式動力補助操向装置の減速機
KR102635273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0723732B1 (ko) 웜 기어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조향장치
KR20120140303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0883554B1 (ko) 웜축 유격보상수단을 구비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0897787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축 유격보상장치
KR20110096816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090123208A (ko)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소음저감장치
JP2001322554A (ja) 電動式舵取装置
KR101085336B1 (ko) 세레이션이 형성된 댐핑 커플러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기식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45254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121839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060101622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감속기 유격보상구조
KR20110073001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