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372B1 -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372B1
KR101878372B1 KR1020170020286A KR20170020286A KR101878372B1 KR 101878372 B1 KR101878372 B1 KR 101878372B1 KR 1020170020286 A KR1020170020286 A KR 1020170020286A KR 20170020286 A KR20170020286 A KR 20170020286A KR 101878372 B1 KR101878372 B1 KR 101878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g
current
tilting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덕
신현주
Original Assignee
(주)제니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니스타 filed Critical (주)제니스타
Priority to KR102017002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다리 교정을 위한 운동 과정에서 조절된 형태의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다리 교정의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는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 각각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에 형성된 발 위치 부위(12a, 12b); 각각의 발 위치 부위(12a, 12b)에 배치되어 인체에 미세전류가 인가되도록 접촉 전극(13a, 13b); 접촉 전극(13a, 13b)의 접촉 상태에 따라 미세전류가 인체에 인가되도록 하는 미세전류 발생기(16);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을 작동시키는 기판 작동 모듈(17); 및 미세전류 발생기(16)와 기판 작동 모듈(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An Apparatus for Correcting an Angular Deformity of a Leg Having a Structure of Applying a Micro-Current}
본 발명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다리 교정을 위한 운동 과정에서 조절된 형태의 미세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다리 교정의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리의 각 변형 치료(angular deformity correction)는 X-다리, O-다리 또는 이와 유사한 다리의 비정상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시술을 말하고, 보조기에 의한 보존적인 방법과 수술 방식이 있다. 보존적인 치료를 위한 다양한 보조기 또는 다리 교정 장치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129390호는 사용자의 체형 및 휘어짐에 맞추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1 지지 판과 제1 가이드 판, 고정부, 제2 지지 판, 제2 가이드 판 및 교정 신발로 이루어진 다리 교정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등록번호 제10-1372723호는 불필요한 동력이나 에너지 소모를 할 필요가 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운동을 실시하여 각선미를 살리는 미용 효과를 도모하면서 다리 교정 및 재활 치료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다리 교정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666148호는 외형을 이루는 발판 몸체 및 상기 발판 몸체에 대칭선을 기준으로 사선 각도로 구비되는 좌측 발판 및 우측 발판을 포함하고, 좌측 발판의 후방으로 좌측 발판에 사선 각도로 구비되는 보조 우측 발판을 포함하는 다리 교정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다리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다리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동이 되는 구조를 가지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교정을 위한 운동 과정에서 자극이 가해질 필요가 있지만 이와 같은 자극이 병행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129390호(곽동주, 2009년12월16일 공개) 다리 교정기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372723호((주)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 2014년04월01일 공고) 다리 교정 장치 선행기술 3: 특허등록번호 제10-1666148호(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년10월14일 공고) 휜 다리 교정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경사 운동이 되면서 이와 동시에 교정 운동 과정에서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것에 의하여 교정 운동 과정에서 조절된 형태의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는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 각각의 경사 운동 기판에 형성된 발 위치 부위; 각각의 발 위치 부위에 배치되어 인체에 미세전류가 인가되도록 접촉 전극; 접촉 전극의 접촉 상태에 따라 미세전류가 인체에 인가되도록 하는 미세전류 발생기;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을 작동시키는 기판 작동 모듈; 및 미세전류 발생기와 기판 작동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사 운동 기판을 1 방향으로 경사 운동이 되도록 하는 경사 유도 유닛; 및 경사 유도 유닛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경사 운동 기판이 1 방향과 다른 2 방향으로 경사 운동이 되도록 하는 전환 경사 유도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사 운동 기판에 배치되어 경사각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탐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경사 탐지 유닛에서 탐지된 정보는 중심 탐지 유닛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교정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휜 다리, X-다리, O-다리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형태의 다리 교정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는 교정 운동 과정에서 조절된 방식으로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것에 의하여 교정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다리 상태를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교정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에서 교정 운동을 위한 경사 운동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에서 교정 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에서 교정 운동 및 미세전류의 인가를 위한 상태 탐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10)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리 교정 장치(10)는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 각각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에 형성된 발 위치 부위(12a, 12b); 각각의 발 위치 부위(12a, 12b)에 배치되어 인체에 미세전류가 인가되도록 접촉 전극(13a, 13b); 접촉 전극(13a, 13b)의 접촉 상태에 따라 미세전류가 인체에 인가되도록 하는 미세전류 발생기(16);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을 작동시키는 기판 작동 모듈(17); 및 미세전류 발생기(16)와 기판 작동 모듈(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8)을 포함한다.
다리 교정 장치(10)는 정상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정이 되는 다리의 교정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예들어 X-다리, O-다리 또는 이와 유사한 다리의 교정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리 교정 장치(10)는 다리 건강의 유지를 위하여 또는 운동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목적을 위하여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의 작동 상태 또는 미세전류의 인가 방법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고, 본 발명은 다리 교정 장치(10)의 사용 용도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다각 판 형상 또는 발과 유사한 판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중심 축(15a, 15b)을 기준으로 좌우로 교대로 경사지도록 운동되거나 전후로 교대로 경사지도록 운동될 수 있다. 또는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좌우로 경사면을 따라 진동되는 방식으로 운동되거나, 전후로 경사면을 따라 진동되는 방식으로 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중심 축(15a, 15b)을 기준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진동 방식으로 운동이 될 수 있고, 교정되어야 하는 다리의 형태에 따라 전후 진동과 좌우 진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평면 상태에서 또는 경사진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주기적으로 회전 운동이 될 수 있다.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다양한 방식으로 운동이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교정되어야 하는 다리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의 각각에 발 위치 부위(12a, 12b)가 형성될 수 있고, 발 위치 부위(12a, 12b)는 전체적으로 발바닥 형상이 될 수 있지만 발바닥에 비하여 충분히 큰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발 위치 부위(12a, 12b)에 사용자의 양쪽 발이 각각 위치될 수 있고, 발 위치 부위(12a, 12b)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반-구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지압 돌기가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지압 돌기는 미세전류의 인가 과정에서 인체 세포의 활성에 유리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다양한 부위에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발 위치 부위(12a, 12b)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스트립 형상의 접촉 전극(13a, 13b)이 형성될 수 있고, 접촉 전극(13a, 13b)은 인쇄 방식으로 만들어지거나, 전도성 소재를 발 위치 부위(12a, 12b)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각의 발 위치 부위(12a, 12b)에 접촉 전극(13a, 13b)이 형성될 수 있고, 양쪽의 접촉 전극(13a, 13b)에 양쪽 발바닥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접촉된 상태에서 미세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전극(13a, 13b)의 양쪽 끝 부분에 위치 탐지 전극(131, 132)이 배치될 수 있고, 위치 탐지 전극(131, 132)에 의하여 발바닥의 발 위치 부위(12a, 12b)의 접촉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위치 탐지 전극(131, 132)에 발바닥이 접촉되면 접촉 전압이 발생되어 제어 모듈(18)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모듈(18)은 각각의 위치 탐지 전극(131, 132)에서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발바닥의 접촉 전극(13a, 13b)에 대한 접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탐지 전극(131, 132)은 접촉 위치 탐지 기능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미세전류 인가 전극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발 위치 부위(12a, 12b)의 중간 부분에 위치 탐지 유닛(PD)이 배치될 수 있고, 위치 탐지 유닛(PD)은 발 위치 부위(12a, 12b)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압력 탐지 센서가 될 수 있다. 위치 탐지 유닛(PD)에 가해지는 압력 또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발바닥의 위치 또는 위치 변화가 제어 모듈(18)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축 연결 유닛(1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중심 축(15a, 15b)을 중심으로 좌우 또는 전후 경사 운동이 될 수 있다. 또한 중심 축(15a, 15b)을 중심으로 평면을 따라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진자 운동이 될 수 있다.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고,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좌우 경사 운동 과정 과정에서 동일 시각에 바깥쪽으로 경사가 지고, 다시 다른 동일 시각에 안쪽으로 경사가 질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다리의 이상 상태에 따라 각각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의 설정은 기판 작동 모듈(17) 또는 제어 모듈(18)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 작동 모듈(17)은 각각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을 작동시키는 모터, 기어, 벨트, 캠 또는 이와 유사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작동 모듈(17)은 각각의 부품의 작동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작동 모듈(17)은 제어 모듈(18)에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의 작동 과정에서 발바닥을 통하여 미세전류가 인체로 인가될 수 있다. 미세전류는 1 내지 1,000 ㎂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가 될 수 있고, 펄스 형태로 인가될 수 있다. 미세전류의 인가를 위하여 미세전류 발생기(16) 또는 제어 모듈(18)에 의하여 미세전류의 인가를 위한 미세전류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미세전류는 펄스 형태로 인가될 수 있고, 미세전류 데이터는 펄스 형태의 미세전류의 듀티 사이클, 인가 주기, 시간의 경과에 따른 미세전류의 크기 또는 방향 및 인가 시간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기(16)는 전류의 발생을 위한 전류 공급원, 스위치 모듈 또는 정-전류 회로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정해진 크기의 미세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품 또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전류는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의 운동 과정에서 발바닥을 통하여 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세포 활성이 증가되어 다리 교정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건강 증진의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은 기판 작동 모듈(17)에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운동이 되어 다리 교정의 효과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에서 교정 운동을 위한 경사 운동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구동 모듈 또는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의 작동을 위한 작동 모듈은 베이스 기판(21); 베이스 기판(21)의 위쪽 면에 경사 분리 유닛(221)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경사면을 따라 선형으로 배치되는 레일 또는 선형 가이드 형상의 한 쌍의 경사 유도 유닛(22); 및 한 쌍의 경사 유도 유닛(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유도되는 경사 이동 유닛(23)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유도 유닛(22)은 베이스 기판(21)에 고정될 수 있고 경사 이동 유닛(23)은 이동 가능한 구조로 경사 유도 유닛(22)에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 이동 유닛(23)은 경사 이동 블록(24)에 결합될 수 있다. 경사 이동 블록(24)은 터널 형상이 될 수 있고, 양쪽 가장 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이동 경사 측면(241)을 가질 수 있다. 이동 경사 측면(241)의 양쪽 면에 경사 이동 유닛(23)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 이동 블록(24)의 위쪽 면에 경사 운동 기판(11a)이 결합될 수 있다.
경사 유도 유닛(22)은 베이스 기판(21)의 위쪽 면에 곡면 형상의 경사로를 형성하고, 경사로는 진자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경사 유도 유닛(22)의 측면 또는 위쪽 면에 롤러, 레일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경사 이동 유닛(23)은 경사 유도 유닛(22)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면서 롤러가 결합되는 레일, 레일이 결합되는 홈 또는 돌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롤러와 레일 또는 홈과 돌기가 서로 맞물려 경사 이동 유닛(23)이 경사 유도 유닛(22)을 따라 진자 운동 형태로 운동할 수 있다. 경사 이동 유닛(23)의 이동을 예를 들어 모터, 기어, 캠, 벨트 또는 이와 유사한 기계 부품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별도의 기계, 전기적 구동 수단이 없이 사용자의 이동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의 위쪽 면은 경사 유도 유닛(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오목 렌즈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동 경사 측면(241)의 아래쪽 부분이 오목 렌즈 형상에 대응되는 볼록 렌즈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기판(21)의 위쪽 면에 이동 경사 측면(241)의 아래쪽 부분의 이동을 유도하는 홈 형상의 선형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 유도 유닛(22)과 경사 이동 유닛(23)에 의하여 경사 운동 기판(11a)이 1 방향으로 경사로를 따라 진자 운동 형태로 경사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1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경사 운동 기판(11a)을 운동시키기 위하여 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경사 유도 유닛(22)과 경사 이동 유닛(23)과 동일 또는 유사한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21)이 2 방향 이동을 위한 모듈 위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기판(21)의 아래쪽 부분이 경사 이동 블록(24)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면서 배치 방향이 수직이 되는 전환 경사 이동 블록(25)의 위쪽 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전환 경사 이동 블록(25)의 전환 이동 경사 측면(251)의 안쪽 면에 전환 경사 이동 유닛(23a)이 배치되어 전환 베이스 기판(26)에 배치된 전환 경사 유도 유닛(22a)에 맞물릴 수 있다. 전환 경사 유도 유닛(22a)은 전환 베이스 기판(26)에 고정될 수 있고, 경사 유도 유닛(22)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면서 배치 방향이 평면에서 경사 유도 유닛(22)과 수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경사 유도 기판(11a)은 1 방향으로 경사 운동이 되면서, 1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 또는 1 방향과 다양한 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경사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분리 유닛(221, 221a)은 속이 반-실린더 형상 또는 위쪽 면이 개방된 채널 형상이 될 수 있고, 경사 운동의 안전성을 위하여 경사 이동 블록(24) 또는 전환 경사 이동 블록(25)의 아래쪽 면에 분리 유닛(221, 221a)을 따라 경사 운동이 되는 이동 돌기 또는 이동 롤러가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1 방향 경사 운동과 2 방향 경사 운동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동안 1 방향 경사 운동이 진행되고, 이후 다시 다른 일정 시간 동안 2 방향 경사 운동이 진행될 수 있다. 또는 1 방향 경사 운동과 2 방향 경사 운동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1 방향 경사 운동과 2 방향 경사 운동이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1 방향 운동이 진행되는 경우 2 방향 운동이 제한되어야 하고, 2 방향 운동이 제한되는 경우 1 방향 운동이 제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 경사 측면(241)과 베이스 기판(21) 또는 전환 이동 경사 측면(251)과 전환 베이스 기판(26)에 이동 제한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방향 경사 운동의 제한을 위하여 이동 경사 측면(241)의 아래쪽 두께 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H1, H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홀(H1, H2)에 결합 또는 분리가 되도록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기판(21)에 이동 가능한 제한 부재(S1, S2)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에 제한 부재(S1, S2)가 수용되는 작동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고, 제한 부재(S1, S2)의 아래쪽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E1, 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한 부재(S1, S2)는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2 방향 경사 운동의 제한을 하여 전환 이동 경사 측면(251) 및 전환 베이스 기판(26)에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이동 제한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경사 운동 기판(11a)의 1, 2 방향 경사 운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동 제한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에서 교정 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18)에 의하여 장치 전체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고, 제어 모듈(18)에 의하여 경사 운동 기판 및 미세전류 발생기가 작동될 수 있다. 경사 운동 기판의 작동을 위하여 진동 테이블 유닛(33)에 의하여 경사 운동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고, 미세전류의 인가를 위하여 미세전류 테이블 유닛(34)에 의하여 미세전류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18)은 경사 운동 형태 또는 미세전류의 인가 구조를 결정하기 위하여 중심 탐지 유닛(32)에 의하여 사용자의 발바닥에 의하여 바닥 면에 가해지는 힘의 중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18)은 사용자의 장치의 사용 이력, 연령, 다리의 상태 또는 이와 유사한 사용자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 모듈(18)은 이와 같은 중심 위치 또는 사용자 상태를 진동 테이블 유닛(33) 및 미세전류 테이블 유닛(34)으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경사 운동 데이터 또는 미세전류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경사 운동 데이터는 경사 운동의 방향, 경사 운동 속력, 경사각 범위, 작동 시간, 주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작동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세전류 데이터는 펄스 크기, 발생 주기, 전류의 방향, 듀티 사이클 또는 인가 시간과 같은 작동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운동 데이터와 미세전류 데이터가 생성되면 접촉 확인 유닛(35)에 의하여 경사 운동 기판에 대한 발바닥의 접촉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전류 발생기(16), 1 방향 구동 유닛(171) 및 2 방향 구동 유닛(172)에 의하여 미세전류가 인가되거나, 경사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에서 교정 운동 및 미세전류의 인가를 위한 상태 탐지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경사 운동 기판(11a)에 배치되어 경사각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탐지 유닛(411, 412)을 포함하고, 경사 탐지 유닛(411, 412)에서 탐지된 정보는 중심 탐지 유닛(32)으로 전송될 수 있다. 경사 탐지 유닛(411, 412)은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또는 경사 탐지 유닛(411, 412)은 근거리 초음파 센서가 될 수 있다. 두 개의 초음파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경사 운동 기판(11a)의 거리를 측정하여 경사 수준이 측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위치 탐지 유닛(PD)이 또한 경사 운동 기판(11a)에 설치될 수 있다. 경사 탐지 유닛(411, 412) 또는 위치 탐지 유닛(PD)에서 탐지된 정보는 경사 탐지 모듈(41)로 전송되어 경사 수준이 결정되어 중심 탐지 유닛(32)으로 전송될 수 있다. 경사 탐지 모듈(41)은 발바닥의 접촉 이전 및 이후 경사 운동 기판(11a)의 경사 변화를 탐지하여 중심 탐지 유닛(32)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경사 운동 기판(11a)에 예를 들어 로드 셀과 같은 중량 센서(421)가 설치되어 무게 탐지 유닛(4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측정된 무게는 속도 설정 유닛(43)으로 전송되어 경사 운동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 탐지 전극(131, 132)에 의하여 탐지된 발바닥의 접촉 상태 또는 접촉 압력이 접촉 탐지 유닛(351)으로 전송되고 미세전류 테이블 유닛(34)으로 전송되어 미세전류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탐지 센서 또는 유닛은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탐지할 수 있고, 탐지된 정보의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미세전류 데이터 또는 경사 운동 데이터가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탐지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배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교정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휜 다리, X-다리, O-다리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형태의 다리 교정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는 교정 운동 과정에서 조절된 방식으로 미세전류가 인가되는 것에 의하여 교정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다리 상태를 확인하여 그에 적합한 교정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다리 교정 장치 11a, 11b: 경사 운동 기판
12a, 12b: 발 위치 부위 13a, 13b: 접촉 전극
14: 축 연결 유닛 15a, 15b: 중심 축
16: 미세전류 발생기 17: 기판 작동 모듈
18: 제어 모듈 21: 베이스 기판
22: 경사 유도 유닛 22a: 전환 경사 유도 유닛
23: 경사 이동 유닛 23a: 전환 경사 이동 유닛
24: 경사 이동 블록 25: 전환 경사 이동 블록
26: 전환 베이스 기판 32: 중심 탐지 유닛
33: 진동 테이블 유닛 34: 미세전류 테이블 유닛
35: 접촉 확인 유닛 41: 경사 탐지 모듈
42: 무게 탐지 유닛 43: 속도 설정 유닛
131, 132: 위치 탐지 전극 171: 1 방향 구동 유닛
172: 2 방향 구동 유닛 221, 221a: 분리 유닛
221: 경사 분리 유닛 241: 이동 경사 측면
251: 전환 이동 경사 측면 351: 접촉 탐지 유닛
411, 412: 경사 탐지 유닛 421: 중량 센서
E1, E2: 탄성 수단 H1, H2: 고정 홀
PD: 위치 탐지 유닛 S1, S2: 제한 부재

Claims (3)

  1.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
    각각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에 형성된 발 위치 부위(12a, 12b);
    각각의 발 위치 부위(12a, 12b)에 배치되어 인체에 미세전류가 인가되도록 접촉 전극(13a, 13b);
    접촉 전극(13a, 13b)의 접촉 상태에 따라 미세전류가 인체에 인가되도록 하는 미세전류 발생기(16);
    한 쌍의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을 작동시키는 기판 작동 모듈(17); 및
    미세전류 발생기(16)와 기판 작동 모듈(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8)을 포함하고,
    베이스 기판(21); 베이스 기판(21)의 위쪽 면에 경사 분리 유닛(221)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경사면을 따라 선형으로 배치되는 레일 또는 선형 가이드 형상의 한쌍의 경사 유도 유닛(22); 및 한 쌍의 경사 유도 유닛(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유도되는 경사 이동 유닛(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 유도 유닛(22)와 경사 이동 유닛(23)에 의하여 경사 운동 기판(11a)이 1 방향으로 경사로를 따라 경사 운동을 하며,
    경사 유도 유닛(22)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경사 운동 기판(11a, 11b)이 1 방향과 다른 2 방향으로 경사 운동이 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21)의 아래쪽 부분에 결합하는 전환 경사 이동 유닛(23a), 상기 전환 경사 이동 유닛(23a)에 맞물리는 전환 경사 유도 유닛(22a) 및 상기 전환 경사 유도 유닛(22a)이 고정되는 전환 베이스 기판(26)을 더 포함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사 운동 기판(11a, 11b)에 배치되어 경사각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탐지 유닛(411, 412)을 더 포함하고, 경사 탐지 유닛(411, 412)에서 탐지된 정보는 중심 탐지 유닛(32)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
KR1020170020286A 2017-02-15 2017-02-15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 KR10187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86A KR101878372B1 (ko) 2017-02-15 2017-02-15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86A KR101878372B1 (ko) 2017-02-15 2017-02-15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372B1 true KR101878372B1 (ko) 2018-07-13

Family

ID=6291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286A KR101878372B1 (ko) 2017-02-15 2017-02-15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0961A (ja) * 2018-07-20 2020-01-23 株式会社 Mtg 電気刺激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096A (ja) * 1998-06-05 1999-12-21 Ya Man Ltd 足裏マッサージ器
JP2008264293A (ja) * 2007-04-23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096A (ja) * 1998-06-05 1999-12-21 Ya Man Ltd 足裏マッサージ器
JP2008264293A (ja) * 2007-04-23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0961A (ja) * 2018-07-20 2020-01-23 株式会社 Mtg 電気刺激装置
JP7229688B2 (ja) 2018-07-20 2023-02-28 株式会社 Mtg 電気刺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74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it rehabilitation using mechanical perturbations
Almeida et al. Postural strategy to keep balance on the seesaw
EP2277491B1 (en) Passive exercise assistance device
KR101494685B1 (ko) 하지 훈련 운동기구
KR102012348B1 (ko) 병렬 로봇을 이용한 체간 재활 장치
US9757610B2 (en) Variable stiffness treadmill system
KR101878372B1 (ko)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다리 교정 장치
KR20100105746A (ko) 서 있는 자세로 사용하는 동력식 운동 기기
ES2691379T3 (es) Dispositivo terapéutico para rodilla postoperatoria
WO2004078255A1 (en) Nerve stimulation apparatus
JP2022530117A (ja) 身体位置決め装置
JPWO2009084495A1 (ja) 運動補助装置
Skidmore et al. On the effect of walking surface stiffness on inter-limb coordination in human walking: toward bilaterally informed robotic gait rehabilitation
KR20120117877A (ko) 마사지기
JP6695720B2 (ja) 足首ストレッチ装置
KR102202659B1 (ko) 마사지기
KR101689181B1 (ko) 동적 복합 자세균형훈련장치
KR20180106563A (ko) 다리 회전 구조의 허리 근력 강화용 운동 장치
JP6757711B2 (ja) マッサージ機
KR20220062199A (ko) 균형감 피드백을 통한 보조 및 훈련 시스템, 그 작동방법
JP2008048966A (ja) 浴槽装置
KR20140125477A (ko) 하체운동기구
KR101274252B1 (ko) 족관절 근육 반응시간 측정장치
JP6507283B2 (ja) マッサージ機
WO2022209599A1 (ja) 筋肉電気刺激プログラム及び電気刺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