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855B1 -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855B1
KR101877855B1 KR1020170033279A KR20170033279A KR101877855B1 KR 101877855 B1 KR101877855 B1 KR 101877855B1 KR 1020170033279 A KR1020170033279 A KR 1020170033279A KR 20170033279 A KR20170033279 A KR 20170033279A KR 101877855 B1 KR101877855 B1 KR 101877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pun
spunbonded nonwoven
thickness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호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호산업
Priority to KR1020170033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일면에 0.3mm 내지 0.4mm 두께의 니들(needle)로 미세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간격이 20mm 내지 30mm인 슬릿을 통해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일면으로 165℃ 내지 270℃의 온도의 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을 0.65m/s 내지 0.68m/의 속도로 상기 슬릿의 상측에서 이동시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일면에 마찰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은, 중량이 60g/m2 내지 90g/m2이며, 두께가 0.48mm 내지 0.52mm 이고, 상기 슬릿을 통과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두께는 0.38mm 내지 0.42mm 이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은 서로 인접하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피딩롤러와 제2피딩롤러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제1피딩롤러는 상기 슬릿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피딩롤러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경사진 패턴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이 폭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VERSATILE ANTIBACTERIAL SCOURING PAD}
본 발명은 수세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스판본드 부직포(spunbond non-woven fabric)를 이용한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미는 스펀지, 망사, 철, 부직포 등의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 중, 스판본드 부직포(spunbond non-woven fabric)는 사용의 편리성에 의해 최근 수세미의 재료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스판본드 부직포는 고분자를 연속필라멘트로 직접 방사하는 공정으로 만들어진다.
더 상세 설명하면, 스판본드 부직포는 섬유를 임의로 배열 적층하여 웹을 형성하는 공정과, 섬유간의 결합을 증진시키고 형태를 안정화하는 결합공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그리고, 스판본드 부직포 제작공정에 사용되는 섬유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고분자 등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정으로 만들어진 스판본드 부직포를 수세미로 그대로 사용할 경우, 마찰면이 없어 그릇 등 닦고자 하는 부분이 잘 닦이지 않을 뿐 아니라, 보풀이 쉽게 일어나 제품을 여러 번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495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마찰면을 구비하고, 여러번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은,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일면에 0.3mm 내지 0.4mm 두께의 니들(needle)로 미세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간격이 20mm 내지 30mm인 슬릿을 통해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일면으로 165℃ 내지 270℃의 온도의 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을 0.65m/s 내지 0.68m/의 속도로 상기 슬릿의 상측에서 이동시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일면에 마찰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은, 중량이 60g/m2 내지 90g/m2이며, 두께가 0.48mm 내지 0.52mm 이고, 상기 슬릿을 통과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두께는 0.38mm 내지 0.42mm 이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은 서로 인접하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피딩롤러와 제2피딩롤러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제1피딩롤러는 상기 슬릿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피딩롤러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경사진 패턴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이 폭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에 의해 생산된 다용도 항균 수세미는 마찰력이 높고 내구성이 좋아, 그릇 등에 붙은 이물질이 잘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렌지, 주방, 변기, 세면대, 욕실, 창틀, 차량용 휠 등 다양한 곳의 청소와 묵은 때 제거 또는 목용용 타올로 사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에 의해 생산된 다용도 항균 수세미는 내구성이 좋아 보풀이 잘 발생되지 않아, 여러번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에 따르면, 가공시 스판본드 부직포가 수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가열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열 장치의 슬릿 상측에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에 가해지는 열의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1의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수세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가열 장치의 제2피딩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가열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열 장치의 슬릿 상측에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에 가해지는 열의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도 1의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수세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은, 슬릿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3)와,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을 이송하는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S13)에서는 슬릿(11)을 통해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일면을 향해 열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일면의 반대 면인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타면은 다양한 색상 또는 다양한 문양으로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슬릿(11)의 수평방향 간격(D1)은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슬릿(11)의 간격을 의미하고, 상기 수평방향 간격(D1)은 20mm 내지 30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11)의 수직방향 길이(D2)는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상기 슬릿(11)의 길이를 의미하고, 상기 수직방향 길이(D2)는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폭(D3)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슬릿(11)의 하측에는 가열원(12)이 배치되고, 상기 가열원(12)은 상기 슬릿(11)의 하측에서 상기 슬릿(11)을 통과하여 상기 슬릿(11)의 상측으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은, 미세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S12)에서는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에 미세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미세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S12)에서는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을 0.3mm 내지 0.4mm 두께의 니들(needle)이 형성된 니들롤러(15)를 통과시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에 미세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에 미세구멍이 형성된 후, 가열되면 후술하는 가공면의 마찰계수는 더 증가 할 수 있다.
상기 슬릿(11)을 통과하여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일면에 가해지는 열의 분포는 도 3의 그래프와 같다.
즉,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일면은 165℃ 내지 270℃의 온도에서 가열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릿(11)의 중심부의 온도는 270℃이고, 중심으로 멀어질수록 165℃까지 떨어진다.
한편,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을 이송하는 단계(S14)는, 상기 슬릿(11)의 상측에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을 0.65m/s 내지 0.68m/s로 이송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이 열에 노출되는 시간은 0.0294sec 내지 0.462sec일 수 있다.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일면에 열이 가해지면,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일면은 변형되어 마찰면(20a, 이하, “가공면”이라고 함.)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이 열에 노출되는 시간이 0.0294sec보다 작으면, 상기 가공면의 설정된 마찰계수와 내구성을 확보하기 힘들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이 열에 노출되는 시간이 0.462sec보다 크면, 상기 가공면의 변형이 심하여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상품성이 저하된다.
상기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은,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S11)에서는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S11)에서 제조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은 그 중량이 60g/m2 내지 90g/m2 이며, 그 두께는 0.48mm 내지 0.52mm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릿(11) 통과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두께는 0.38mm 내지 0.42mm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은 제1피딩롤러(13)와 제2피딩롤러(14)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제1피딩롤러(13)와 상기 제2피딩롤러(14)는 서로 인접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1피딩롤러(13)는 상기 슬릿(11) 상측에 배치된다.
도 5는 도 2의 가열 장치의 제2피딩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제2피딩롤러(14)에는 중심으로 외측을 향한 패턴(1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14a)은 상기 제2피딩롤러(14)에 접촉되어 통과되는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을 팽창시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이 폭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은, 스판본드 부직포를 절곡하는 단계(S16)와, 스판본드 부직포를 재단하는 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를 절곡하는 단계(S15)는 사용자가 가공면이 형성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을 적절하게 뜯어낼 수 있도록,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을 적절한 길이로 절곡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를 재단하는 단계(S15)에서는 가공면이 형성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이 권취되어 수집되면, 권치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이 폭 방향에서 적절한 크기로 재단된다.
실시예 1_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중량은 65g/m2이고 두께는 0.5mm이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진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을 0.67m/s로, 상기 슬릿(11)의 상측으로 이송시켰다. 이때,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일면에 가해지는 열은 165℃ 내지 260℃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을 통해 가공된 스판본드 부직포의 원단의 두께와 가공면의 마찰계수를 특정하였다.
가공된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두께와 가공면의 마찰계수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가공전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 실시예 1을 통해 가공된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
마찰계수(μ) 두께(m) 마찰계수(μ) 두께(m)
0.3 0.5 0.7 0.4
실시예 2_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중량은 90g/m2이고 두께는 0.52mm이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진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을 0.65/s로, 상기 슬릿(11)의 상측으로 이송시켰다. 이때,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일면에 가해지는 열은 165℃ 내지 260℃였다.
실험예 2
실시예 2를 통해 가공된 스판본드 부직포의 원단의 두께와 가공면의 마찰계수를 특정하였다.
가공된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두께와 가공면의 마찰계수는 하기 표 2과 같았다.
가공전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 실시예 1을 통해 가공된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
마찰계수(μ) 두께(m) 마찰계수(μ) 두께(m)
0.3 0.52 0.74 0.4
실시예 3_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중량은 60g/m2이고 두께는 0.48mm이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진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을 0.68/s로, 상기 슬릿(11)의 상측으로 이송시켰다. 이때,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20)의 일면에 가해지는 열은 165℃ 내지 260℃였다.
실험예 3
실시예 3을 통해 가공된 스판본드 부직포의 원단의 두께와 가공면의 마찰계수를 특정하였다.
가공된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두께와 가공면의 마찰계수는 하기 표 2과 같았다.
가공전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 실시예 1을 통해 가공된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
마찰계수(μ) 두께(m) 마찰계수(μ) 두께(m)
0.3 0.48 0.69 0.4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슬릿
12: 가열원
13: 제1피딩롤러
14: 제2피딩롤러

Claims (4)

  1.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일면에 0.3mm 내지 0.4mm 두께의 니들(needle)로 미세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간격이 20mm 내지 30mm인 슬릿을 통해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일면으로 165℃ 내지 270℃의 온도의 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을 0.65m/s 내지 0.68m/의 속도로 상기 슬릿의 상측에서 이동시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일면에 마찰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은, 중량이 60g/m2 내지 90g/m2이며, 두께가 0.48mm 내지 0.52mm 이고,
    상기 슬릿을 통과한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의 두께는 0.38mm 내지 0.42mm 이고,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은 서로 인접하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피딩롤러와 제2피딩롤러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제1피딩롤러는 상기 슬릿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피딩롤러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경사진 패턴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상기 스판본드 부직포 원단이 폭방향으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33279A 2017-03-16 2017-03-16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 KR101877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79A KR101877855B1 (ko) 2017-03-16 2017-03-16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79A KR101877855B1 (ko) 2017-03-16 2017-03-16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855B1 true KR101877855B1 (ko) 2018-07-12

Family

ID=6291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79A KR101877855B1 (ko) 2017-03-16 2017-03-16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8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105B1 (ko) * 2018-09-18 2020-03-19 (주)미래본 흡수력을 증진시킨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한 양면수세미 샤워타올 제조방법
KR20200044425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비카산업 일회용 수세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일회용 수세미
KR102523278B1 (ko) 2022-09-02 2023-04-25 주식회사 바른생활 내구성, 항균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한 수세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498U (ko) * 1996-09-18 1998-06-25 노관호 전기세탁기의 급수호스 커넥터
KR100680606B1 (ko) * 2006-05-30 2007-02-0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항균 및 방취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그 제조방법
JP5799568B2 (ja) * 2010-06-03 2015-10-2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ニードルパンチ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498U (ko) * 1996-09-18 1998-06-25 노관호 전기세탁기의 급수호스 커넥터
KR100680606B1 (ko) * 2006-05-30 2007-02-0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항균 및 방취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그 제조방법
JP5799568B2 (ja) * 2010-06-03 2015-10-2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ニードルパンチ加工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799568호(2015.10.28.) 1부.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105B1 (ko) * 2018-09-18 2020-03-19 (주)미래본 흡수력을 증진시킨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한 양면수세미 샤워타올 제조방법
KR20200044425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비카산업 일회용 수세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일회용 수세미
KR102169560B1 (ko) 2018-10-19 2020-10-23 주식회사 비카산업 일회용 수세미 제조 장치
KR102523278B1 (ko) 2022-09-02 2023-04-25 주식회사 바른생활 내구성, 항균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한 수세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855B1 (ko) 다용도 항균 수세미 제조 방법
US11053616B2 (en) Non-woven absorbent textile article
KR101477881B1 (ko) 부직포
JP4338578B2 (ja) 嵩高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353847B (zh) 清洁品及其应用
JP2012507336A (ja) 肌親和力を改善した使い捨ておむつ及び生理用ナプキンの裏地
TW201105831A (en) Nonwoven fabric having surface relief structure and article using the same
CN1722998A (zh) 簇状纤维网
TW201818999A (zh) 積層不織布片及面罩
JP7160810B2 (ja) 液圧処理された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523834A (ja) 不織布穿孔装置及びその方法、それから製造された不織布
JP5843494B2 (ja) 複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731948B2 (ja) 熱可塑性不織布
EP2980293B1 (en) Nonwoven fabric and product obtained using same
US20110214827A1 (en) Unitized composites utilizing melted synthetic fibers to achieve rough or abrasive attributes and decorative effects
KR101942341B1 (ko) 세제가 포함된 2겹 스판본드 수세미 제조 방법
JP3197147U (ja) 不織布ガーゼ製品及びその製造システム
JP2016055481A (ja) 複合伸縮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071205B1 (ko)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복합부직포
TW20124065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non-woven fabric thin-layer article
JP2021098917A (ja) 不織布および不織布の製造方法
JP3851894B2 (ja) 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積層メルトブローン不織布、およびワイパー
CN201553878U (zh) 无纺布纺丝成型设备的改良结构
WO2020067516A1 (ja) ホットメルト裏抜け抑制不織布
CN111455558B (zh) 立体花纹的热风无纺布在线制程及其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