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659B1 - 데이터 수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수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659B1
KR101877659B1 KR1020167025477A KR20167025477A KR101877659B1 KR 101877659 B1 KR101877659 B1 KR 101877659B1 KR 1020167025477 A KR1020167025477 A KR 1020167025477A KR 20167025477 A KR20167025477 A KR 20167025477A KR 101877659 B1 KR101877659 B1 KR 10187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chedule
connection group
data collection
redundancy sche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162A (ko
Inventor
겐이치 기쿠치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2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G05B9/03Safety arrangements electric with multiple-channel loop, i.e. redundant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7Measurements
    • G05B2219/37533Real time processing of data acquisition,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뢰성의 향상과 처리 부하의 저감을 고려한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 수집 서버가, 용장 방식마다 커넥션 그룹을 형성하고, 커넥션 그룹에 적용하는 용장 방식의 식별 정보와, 커넥션 그룹에 속하는 관리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커넥션 관리부와,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에 따라 관리 데이터의 데이터 수집 스케줄을 생성 또는 취소하는 스케줄 관리부와, 데이터 수집 스케줄에 따라서 커넥션 그룹마다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관리 데이터 송신 처리의 개시 주기마다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관리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커넥션 그룹에 적용되는 용장 방식에 따라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설정하는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를 각각 갖는다.

Description

데이터 수집 시스템{DATA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장 등의 생산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에서는, 플랜트 내에 배치한 기기로부터 정기적으로 프로세스 데이터 등을 수집하고,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서버의 다운이나 디스크의 크래시 등의 예기치 않은 장해에 대비하여, 서버를 이중화하는 등의 용장화 구성을 채용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대표적인 용장 방식으로서, 예컨대, 병렬 용장 방식과 대기 용장 방식이 있으며,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대기 용장 방식을 채용한 프로세스 데이터 수집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58125호 공보
상기 용장 방식 중, 병렬 용장 방식에서는, 2개의 서버를 항상 병렬하여 가동시키기 때문에, 쌍방의 서버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하위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 부하가 증대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대기 용장 방식에서는, 가동계에서 장해가 발생했을 때에, 대기계를 가동시킬 때까지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발생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생산 프로세스에 있어서 수집 대상이 되는 프로세스 데이터 등에는, 예컨대, 수집 주기가 짧아, 고품질에 의한 기록이 필요한 데이터와, 수집 주기가 길어, 저품질에 의한 기록이 가능한 데이터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데이터에 알맞은 용장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면, 신뢰성의 향상과 처리 부하의 저감을 고려한 운용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신뢰성의 향상과 처리 부하의 저감을 고려한 운용이 가능해지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 스케줄에 따라서 관리 기기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는, 용장 방식마다 커넥션 그룹을 형성하며, 상기 커넥션 그룹에 적용하는 용장 방식을 나타내는 용장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커넥션 그룹에 속하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특정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기억하여, 상기 커넥션 그룹을 관리하는 커넥션 관리부와,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에 따라 상기 관리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수집 스케줄을 생성 또는 취소하는 스케줄 관리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 스케줄에 따라서, 상기 커넥션 그룹마다, 상기 관리 기기로부터 상기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수집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관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를 시작하는 주기마다, 자(自)노드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상기 커넥션 그룹 단위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상기 커넥션 그룹에 적용되는 상기 용장 방식마다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커넥션 그룹마다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설정하는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는, 상기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내용으로 하고, 상기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타(他)노드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가 가동중일 때에는,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취소를 지시하는 내용으로 하고, 타노드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가 가동중이 아닐 때에는,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내용으로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자노드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자노드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 및 타노드에 송신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뢰성의 향상과 처리 부하의 저감을 고려한 운용이 가능해지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수집 서버가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수집 서버가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 기록 서버 등에 송신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기록 서버가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수신한 수집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이하에 명시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이나 기술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 서버(1A, 1B)(제1 노드 및 제2 노드)와, 데이터 기록 서버(2)를 구비한다.
데이터 수집 서버(1A, 1B)는, 플랜트 내에 배치되는 관리 대상이 되는 기기(이하, 「관리 기기」라고 함)로부터, 프로세스 데이터 등의 관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이하, 「관리 데이터」라고 함)를 수집하고, 데이터 기록 서버(2)에 송신한다.
플랜트 내에 배치되는 기기로는, 예컨대, HART(Highway Addressable Remote Transducer) 통신 기능을 탑재하는 기기나, 파운데이션 필드 버스(Foundation(등록상표) Field bus; FF) 기술에 대응하는 기기가 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유량이나 압력, 온도 등을 검출하는 각종 센서 기기, 유량 제어 밸브나 압력 제어 밸브 등의 각종 밸브를 제어하는 밸브 포지셔너, 펌프나 팬 등을 동작시키는 각종 액추에이터 등을, 기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관리 데이터로는, 예컨대, 유량이나 압력, 온도 등의 측정 데이터, 밸브의 개방도 등의 제어 데이터 등이 해당한다.
데이터 수집 서버(1A, 1B)는, 관리 데이터 단위로 설정하는 용장 방식(병렬 용장 방식 또는 대기 용장 방식)에 따라서, 병렬 용장 방식의 이중화 서버의 한쪽을 구성하는 서버, 대기 용장 방식의 가동계 서버 또는 대기계 서버로서 각각 기능한다. 이와 같이 기능함으로써, 각각의 관리 데이터에 알맞은 용장 방식을 채용하여 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하에, 이러한 특징을 갖는 데이터 수집 서버(1A, 1B)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 서버(1A, 1B)를, 특별히 구별하여 기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하에 있어서는, 데이터 수집 서버(1)라고 기재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 서버(1A, 1B)가 각각 갖는 이하의 각 기능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 서버(1)는, 기능적으로는, 예컨대, 커넥션 관리부(11)와,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와, 스케줄 관리부(13)와, 데이터 수집부(14)와, 데이터 송신부(15)를 갖는다.
커넥션 관리부(11)는, 용장 방식마다 커넥션 그룹을 형성하고, 그 커넥션 그룹에 적용하는 용장 방식의 식별 ID와, 상기 커넥션 그룹에 속하는 관리 데이터의 식별 ID를 대응시켜 기억함으로써, 커넥션 그룹을 관리한다.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커넥션 그룹에 적용되는 용장 방식마다 정해진 조건에 따라, 커넥션 그룹마다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설정한다.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는, 스케줄 관리부(13)에 대하여, 데이터 수집 스케줄을 생성할 것인지, 취소할 것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로서, 예시적으로, 온/오프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 수집 스케줄에는, 예컨대, 스케줄 대상이 되는 관리 데이터를, 어떠한 주기로 수집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이하에 있어서,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의 기능을, 용장 방식마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온 상태로 한다. 이것은, 병렬 용장 방식에서는, 쌍방의 서버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록할 필요가 있는 것에 기인한다.
(2)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
(2-a) 다른 쪽 데이터 수집 서버(1)에 있어서의 커넥션 그룹이 가동중인 경우;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취소를 지시하는 오프 상태로 한다. 이것은, 대기 용장 방식에서는, 가동계의 서버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록하고 있으면, 대기계의 서버에서는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없는 것에 기인한다.
(2-b) 다른 쪽의 데이터 수집 서버(1)에 있어서의 커넥션 그룹이 가동중이 아닐 경우;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온 상태로 한다. 이것은, 대기 용장 방식에서는, 다른 쪽이 대기계의 서버인 경우에는, 자서버가 가동계가 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록할 필요가 있는 것에 기인한다.
다른 쪽의 데이터 수집 서버(1)에 있어서의 커넥션 그룹이 가동중인지 여부는, 그 다른 쪽의 데이터 수집 서버(1)로부터 송신되는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는, 각 데이터 수집 서버(1)가, 데이터 기록 서버(2) 및 다른 한쪽의 데이터 수집 서버(1)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데이터이다. 각 가동 상태 정보에는, 예컨대, 가동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가동", 정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지", 이상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 관리부(13)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에 따라서 관리 데이터의 데이터 수집 스케줄을 생성하거나 또는 취소한다. 구체적으로, 스케줄 관리부(13)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관리 데이터의 데이터 수집 스케줄을 생성하고,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관리 데이터의 데이터 수집 스케줄을 취소한다.
데이터 수집부(14)는, 데이터 수집 스케줄에 따라서, 커넥션 그룹마다, 관리 기기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 송신부(15)는, 데이터 기록 서버(2)에 대한 수집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시작하는 주기마다, 자데이터 수집 서버(1)에 있어서의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데이터 수집부(14)에 의해 수집된 관리 데이터를, 커넥션 그룹 단위로 루프 처리하여 송신한다.
데이터 송신부(15)는,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데이터 기록 서버(2) 및 다른 쪽의 데이터 수집 서버(1)에,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관리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데이터 기록 서버(2)에만,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관리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데이터 수집 서버(1)가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동작은, 미리 설정된 스케줄 주기마다 실행되며, 모든 커넥션 그룹에 대하여 커넥션 그룹 단위로 실행된다.
처음에, 데이터 수집 서버(1)의 데이터 수집부(14)는, 현시점에서 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 수집 스케줄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1). 이 판정이 NO인 경우(단계 S101; NO)에는, 본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01에 있어서 현시점에서 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 수집 스케줄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01; YES)에, 데이터 수집부(14)는,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2). 이 판정이 YES인 경우(단계 S102; YES)에는, 본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S102에 있어서 이상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102; NO)에, 데이터 수집부(14)는, 관리 기기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집한다(단계 S103).
계속해서, 데이터 수집부(14)는, 수집한 관리 데이터를 리커버리용 데이터로서 메모리에 기억시킨다(단계 S104).
계속해서, 데이터 수집부(14)는, 수집한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 기록 서버(2) 등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버퍼에 저장하고(단계 S105), 본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 S101에서 단계 S105까지의 각 처리를, 커넥션 그룹에 속하는 모든 관리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 실행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 수집 서버(1)가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 기록 서버(2) 등에 송신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동작은, 미리 설정된 송신 처리를 시작하는 주기마다 실행되고, 모든 커넥션 그룹에 대하여 커넥션 그룹 단위로 실행된다.
처음에, 데이터 수집 서버(1)의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처리 대상이 되는 관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1). 이 판정이 YES인 경우(단계 S201; YES)에,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온 상태로 하고(단계 S207), 처리를 후술하는 단계 S208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01에 있어서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201; NO)에,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가동되도록 지시하는 가동 지시를 데이터 기록 서버(2)로부터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2). 이 판정이 YES인 경우(단계 S202; YES)에,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온 상태로 하고(단계 S207), 처리를 후술하는 단계 S208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02에 있어서 가동 지시를 수신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202; NO)에,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정지 지시를 데이터 기록 서버(2)로부터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3). 이 판정이 YES인 경우(단계 S203; YES)에,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취소를 지시하는 오프 상태로 하고(단계 S206), 처리를 후술하는 단계 S208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03에 있어서 정지 지시를 수신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203; NO)에,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다른 쪽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수신한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가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4). 이 판정이 YES인 경우(단계 S204; YES)에,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온 상태로 하고(단계 S207), 처리를 후술하는 단계 S208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04에 있어서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가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204; NO)에,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다른 쪽의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송신된 관리 데이터를 리커버리용 데이터로서 메모리에 기억시킨다(단계 S205).
계속해서,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취소를 지시하는 오프 상태로 한다(단계 S206).
계속해서, 단계 S208로 이행하고, 데이터 송신부(15)는, 현시점에서의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를, 데이터 기록 서버(2) 등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버퍼에 저장한다(단계 S208).
계속해서, 데이터 송신부(15)는, 처리 대상이 되는 관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단계 S209; YES)에는, 송신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 데이터 및 가동 상태 정보를, 데이터 기록 서버(2)에 송신하고(단계 S210), 본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데이터 송신부(15)는, 처리 대상이 되는 관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단계 S209; NO)에는, 송신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 데이터 및 가동 상태 정보를, 데이터 기록 서버(2) 및 다른 쪽 데이터 수집 서버(1)에 송신하고(단계 S211), 본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 S201에서 단계 S211까지의 각 처리를, 커넥션 그룹에 속하는 모든 관리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 실행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데이터 기록 서버(2)가 데이터 수집 서버(1)로부터 수신한 수집 데이터(관리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동작은, 데이터 수집 서버(1)를, 가동하는 쪽의 노드인 1계와 대기하는 쪽의 노드인 2계로 구별하여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처리 대상이 되는 커넥션 그룹에 대응하는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쌍방의 데이터 수집 서버(1)가 가동계 노드로 설정되고, 이 동작의 1계로서 취급된다. 한편, 처리 대상이 되는 커넥션 그룹에 대응하는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한쪽 데이터 수집 서버(1)가 가동계 노드로 설정되고, 이 동작의 1계로서 취급되며, 다른 쪽 데이터 수집 서버(1)가 대기계 노드로 설정되고, 이 동작의 2계로서 취급된다.
이 동작은, 미리 설정된 데이터 기록 처리를 시작하는 주기마다 실행되고, 모든 커넥션 그룹에 대하여 커넥션 그룹 단위로 실행된다.
처음에, 데이터 기록 서버(2)는, 1계 데이터 수집 서버(1)의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가 "정지"인지, "가동"인지, "이상"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301). 이 판정에서 "정지"라고 판정한 경우에, 데이터 기록 서버(2)는, 1계 데이터 수집 서버(1)에 가동되도록 지시하는 가동 지시를 송신하고(단계 S302), 처리를 후술하는 단계 S304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01의 판정에 있어서 가동 상태 정보가 "가동"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데이터 기록 서버(2)는, 1계 데이터 수집 서버(1)로부터 수신한 수집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기록한다(단계 S303).
계속해서, 데이터 기록 서버(2)는, 처리 대상이 되는 관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4). 이 판정이 NO인 경우(단계 S304; NO)에, 처리를 후술하는 단계 S307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04의 판정에 있어서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이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304; YES)에, 데이터 기록 서버(2)는,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가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5). 이 판정이 NO인 경우(단계 S305; NO)에, 처리를 후술하는 단계 S307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05의 판정에 있어서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가 가동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305; YES)에, 데이터 기록 서버(2)는,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에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정지 지시를 송신한다(단계 S306).
계속해서, 데이터 기록 서버(2)는, 1계 데이터 수집 서버(1)를 가동하는 쪽의 가동계 노드로서 설정하고,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를 대기하는 쪽의 대기계 노드로서 설정하며(단계 S307), 본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01의 판정에 있어서 가동 상태 정보가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데이터 기록 서버(2)는,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가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8). 이 판정이 YES인 경우(단계 S308; YES)에, 본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08의 판정에 있어서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가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308; NO)에, 데이터 기록 서버(2)는,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가 가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9). 이 판정이 NO인 경우(단계 S309; NO)에, 데이터 기록 서버(2)는,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에 가동되도록 지시하는 가동 지시를 송신하고(단계 S310), 처리를 후술하는 단계 S312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09의 판정에 있어서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가 가동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309; YES)에, 데이터 기록 서버(2)는,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의 수집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기록한다(단계 S311).
계속해서, 데이터 기록 서버(2)는, 1계 데이터 수집 서버(1)를 대기하는 쪽의 서버로서 설정하고, 2계 데이터 수집 서버(1)를 가동하는 쪽의 서버로서 설정하며(단계 S312), 본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 S301에서 단계 S312까지의 처리를, 커넥션 그룹에 속하는 모든 관리 데이터에 대하여 순차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따르면, 커넥션 관리부(11)를 가짐으로써, 커넥션 그룹에 적용하는 용장 방식의 식별 ID와, 커넥션 그룹에 속하는 관리 데이터의 식별 ID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커넥션 그룹을 관리할 수 있으며,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를 가짐으로써, 커넥션 그룹에 적용되는 용장 방식마다 정해진 조건에 따라, 커넥션 그룹마다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스케줄 관리부(13)를 가짐으로써,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에 따라서 관리 데이터의 데이터 수집 스케줄을 생성 또는 취소할 수 있고, 데이터 수집부(14)를 가짐으로써, 데이터 수집 스케줄에 따라서, 커넥션 그룹마다, 관리 기기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데이터 송신부(15)를 가짐으로써, 데이터 기록 서버(2)에 대한 관리 데이터 송신 처리의 개시 주기마다,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관리 데이터를, 커넥션 그룹 단위로 루프 처리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특정한 용장 방식을 적용하는 커넥션 그룹 단위로 관리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어, 용장 방식마다 정해진 조건에 따라, 커넥션 그룹마다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설정하고, 그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에 따라서 관리 데이터의 데이터 수집 스케줄을 작성 또는 취소하고, 작성한 스케줄에 따라서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기록 서버(2)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따르면, 각각의 관리 데이터에 알맞은 용장 방식을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의 향상과 처리 부하의 저감을 고려한 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12)를 가짐으로써,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온 상태로 하고,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다른 쪽 데이터 수집 서버(1)에 있어서의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가 가동중일 때에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취소를 지시하는 오프 상태로 하고, 다른 쪽 데이터 수집 서버(1)에 있어서의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가 가동중이 아닐 때에는,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온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송신부(15)를 가짐으로써,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자데이터 수집 서버(1)에 있어서의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데이터 수집부(14)에 의해 수집된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 기록 장치(2)에 송신하고,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자데이터 수집 서버(1)에 있어서의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데이터 수집부(14)에 의해 수집된 관리 데이터를, 데이터 기록 장치(2) 및 다른 쪽 데이터 수집 서버(1)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신뢰성의 향상과 처리 부하의 저감을 고려한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적합하다.
1A, 1B : 데이터 수집 서버
2 : 데이터 기록 서버
11A, 11B : 커넥션 관리부
12A, 12B :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
13A, 13B : 스케줄 관리부
14A, 14B : 데이터 수집부
15A, 15B : 데이터 송신부

Claims (4)

  1.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수집 스케줄에 따라서 관리 기기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는,
    용장 방식마다 커넥션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커넥션 그룹에 적용하는 용장 방식을 나타내는 용장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커넥션 그룹에 속하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특정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기억하여, 상기 커넥션 그룹을 관리하는 커넥션 관리부와;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에 따라서 상기 관리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수집 스케줄을 생성 또는 취소하는 스케줄 관리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 스케줄에 따라서, 상기 커넥션 그룹마다, 상기 관리 기기로부터 상기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수집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관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를 시작하는 주기마다, 자(自)노드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상기 커넥션 그룹 단위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와;
    상기 커넥션 그룹에 적용되는 상기 용장 방식마다 정해진 조건에 따라, 상기 커넥션 그룹마다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설정하는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
    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용장 방식은 병렬 용장 방식 또는 대기 용장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설정부는,
    상기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내용으로 하고,
    상기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타(他)노드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가 가동중일 때에는,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취소를 지시하는 내용으로 하고, 타노드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가 가동중이 아닐 때에는, 상기 스케줄 필요 여부 정보를 상기 데이터 수집 스케줄의 생성을 지시하는 내용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는,
    상기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자노드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자노드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션 그룹의 가동 상태 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관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 및 타노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는,
    상기 커넥션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용장 방식이 병렬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의 쌍방을 가동계 노드로서 설정하고,
    상기 커넥션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용장 방식이 대기 용장 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 중 어느 한쪽을 상기 가동계 노드로서 설정하며,
    상기 가동계 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관리 데이터를 기억 장치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
KR1020167025477A 2014-03-28 2015-02-18 데이터 수집 시스템 KR101877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0426A JP6317974B2 (ja) 2014-03-28 2014-03-28 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JP-P-2014-070426 2014-03-28
PCT/JP2015/054435 WO2015146381A1 (ja) 2014-03-28 2015-02-18 データ収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162A KR20160124162A (ko) 2016-10-26
KR101877659B1 true KR101877659B1 (ko) 2018-07-12

Family

ID=5419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477A KR101877659B1 (ko) 2014-03-28 2015-02-18 데이터 수집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17974B2 (ko)
KR (1) KR101877659B1 (ko)
CN (1) CN106133623B (ko)
WO (1) WO20151463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417A1 (en) * 2017-12-18 2019-12-05 Turkcell Teknoloji Arastirma Ve Gelistirme Anonim Sirketi A system optimizing use of client source for communication in data gathering services
JP7421052B2 (ja) * 2019-03-15 2024-01-24 アイコム株式会社 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セスの冗長化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200B2 (ja) * 1985-10-16 1995-04-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タ収集方法
KR20020045275A (ko) * 2000-12-08 2002-06-19 박종섭 교환기 및 망관리 센터간 망 관리 데이터 전송장치 및 그방법
KR20080070152A (ko) * 2007-01-25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 시스템에서 보드 이중화 장치 및 방법
JP2016192158A (ja) * 2015-03-31 2016-11-10 アズビル株式会社 異常判断装置、異常判断方法、及び異常判断プログラム
JP7034200B2 (ja) * 2015-02-03 2022-03-11 エーエスエムエル ネザーランズ ビー.ブイ. 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1742B2 (ja) * 1998-01-21 2005-05-25 株式会社東芝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
AU3332001A (en) * 2000-02-04 2001-08-14 Tuneto Com Inc System for distributed media network and meta data server
US6876994B2 (en) * 2000-05-30 2005-04-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acquisi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78921A1 (en) * 2005-02-04 2006-08-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0386734C (zh) * 2005-10-28 2008-05-07 北京和利时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多种冗余方式并存的双机数据采集主从切换方法和装置
JPWO2008032821A1 (ja) * 2006-09-15 2010-01-28 有限会社アプリコシステム データ送受信方法
JP4826557B2 (ja) * 2007-07-27 2011-11-30 オムロン株式会社 二重化plc
CN201345048Y (zh) * 2008-12-26 2009-11-11 中国铁路通信信号上海工程有限公司 数据采集解析系统
CN101741616B (zh) * 2009-12-03 2012-10-31 北京和利时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数据采集系统及其设备
JP2011205579A (ja) * 2010-03-26 2011-10-13 Seiko Epson Corp データ収集システムおよび無線タグ
JP2011258125A (ja) * 2010-06-11 2011-12-22 Yokogawa Electric Corp プロセスデータ収集装置
JP5840410B2 (ja) * 2010-09-08 2016-01-06 株式会社東芝 監視制御システム
JP2012128573A (ja) * 2010-12-14 2012-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二重化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ビル管理システム
CN102436408B (zh) * 2011-10-10 2014-02-19 上海交通大学 基于Map/Dedup的数据存储云化和云备份方法
CN202383511U (zh) * 2011-12-30 2012-08-15 北京中天华拓工程技术有限公司 电机控制中心监控系统
CN102842914B (zh) * 2012-08-02 2015-04-29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储能电站监控系统
CN102833095A (zh) * 2012-08-10 2012-12-19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多专业、大容量实时数据采集方法
CN103034195B (zh) * 2012-12-05 2015-05-13 中铝华大科技股份有限公司 多通道交直流数据采集并行校准系统及方法
CN103516051B (zh) * 2013-10-11 2016-02-24 国家电网公司 风电场集中监控系统平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200B2 (ja) * 1985-10-16 1995-04-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タ収集方法
KR20020045275A (ko) * 2000-12-08 2002-06-19 박종섭 교환기 및 망관리 센터간 망 관리 데이터 전송장치 및 그방법
KR20080070152A (ko) * 2007-01-25 200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 시스템에서 보드 이중화 장치 및 방법
JP7034200B2 (ja) * 2015-02-03 2022-03-11 エーエスエムエル ネザーランズ ビー.ブイ. マスク
JP2016192158A (ja) * 2015-03-31 2016-11-10 アズビル株式会社 異常判断装置、異常判断方法、及び異常判断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7034200호(1995.04.12.)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162A (ko) 2016-10-26
CN106133623B (zh) 2019-03-22
CN106133623A (zh) 2016-11-16
JP2015191614A (ja) 2015-11-02
WO2015146381A1 (ja) 2015-10-01
JP6317974B2 (ja)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6582B2 (en) Discrete manufacturing hybrid cloud solution architecture
CN102298372A (zh) 用于替换过程控制系统中的现场设备的方法、装置和制品
CN103955188A (zh) 支持冗余切换功能的控制系统及方法
KR101877659B1 (ko) 데이터 수집 시스템
CN105518547B (zh) 自动化系统
KR101748027B1 (ko) 이상 판정 장치
JP2010067115A (ja) データ記憶システム、データ記憶方法
KR101846222B1 (ko) 이중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7233891A (ja)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
JP4541241B2 (ja) 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
WO2011111131A1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現用系コンピュータ並びに予備系コンピュータ
JP2014137794A (ja) フィールド機器管理装置
JP5516020B2 (ja) データ格納装置およびデータ格納方法
US10627784B2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JP2006309637A (ja) 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8197907A (ja) 監視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
JP4890497B2 (ja) プラント監視制御システム
KR20210020498A (ko) 스마트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4851994B2 (ja) 稼動監視装置、稼動監視方法および稼動監視プログラム
CN108702308A (zh) 用于智能事件分页的系统和方法
JP2011253358A (ja) 警報出力システム
JP201910975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67419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6271260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及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JP2006146631A (ja) フィールド機器管理装置およびフィールド機器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