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587B1 - 다발성 경화증(ms)의 새로운 치료 - Google Patents

다발성 경화증(ms)의 새로운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587B1
KR101877587B1 KR1020137010891A KR20137010891A KR101877587B1 KR 101877587 B1 KR101877587 B1 KR 101877587B1 KR 1020137010891 A KR1020137010891 A KR 1020137010891A KR 20137010891 A KR20137010891 A KR 20137010891A KR 101877587 B1 KR101877587 B1 KR 101877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biprof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o
treatment
enanti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494A (ko
Inventor
이름가르트 테제데
게르트 게이스링거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ublication of KR2014001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3/00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hydrogen
    • C07C53/132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hydrogen containing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발성 경화증(MS)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R-에난티오머, 또는 상기 화합물의 니트로-변이체, 및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바람직하기로 타렌플러빌(R-플루비프로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3037294496-pct00004

상기 식에서,
R1 또는 R2는 H, -CH3, -CH2CH3, -CH2CH2CH3, 및 -CH2CH2CH2CH3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거나 또는 다른 하나와 함께 취하여 사이클로프로필 고리, 사이클로부틸 고리, 사이클로펜틸 고리, 또는 사이클로헥실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3는 -COOH, -COOR6, -CONH2, -CONHR6, -CONR6R7, -CONHSO2R6, -COO-(CH2)3-CH2OH, -COO-(CH2)4-ONO2, -COO-PhOCH3-C2H2-COO-(CH2)4-ONO2, 테트라졸일, 및 -COOH 생물학적 등가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R4 또는 R5는 -Cl, -F, -Br, -I, -CF3, -OCF3, -SCF3, -OCH3, -OCH2CH3, -CN, -CH=CH2, -CH2OH, 및 -NO2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R6 또는 R7은 -CH3, -CH2CH3, -CH2CH2CH3, 및 -CH2CH2CH2CH3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이며, m 또는 n은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Description

다발성 경화증(MS)의 새로운 치료{Novel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MS)}
본 발명은 다발성 경화증(MS)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R-에난티오머, 또는 상기 화합물의 니트로-변이체(nitro-variant), 및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바람직하기로 타렌플러빌(Tarenflurbil)(R-플루비프로펜(R-Flurbiprofen))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3037294496-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또는 R2는 H, -CH3, -CH2CH3, -CH2CH2CH3, 및 -CH2CH2CH2CH3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거나 또는 다른 하나와 함께 취하여 사이클로프로필 고리, 사이클로부틸 고리, 사이클로펜틸 고리, 또는 사이클로헥실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3는 -COOH, -COOR6, -CONH2, -CONHR6, -CONR6R7, -CONHSO2R6, -COO-(CH2)3-CH2OH, -COO-(CH2)4-ONO2, -COO-PhOCH3-C2H2-COO-(CH2)4-ONO2, 테트라졸일, 및 -COOH 생물학적 등가물(bioisostere)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R4 또는 R는 -Cl, -F, -Br, -I, -CF3, -OCF3, -SCF3, -OCH3, -OCH2CH3, -CN, -CH=CH2, -CH2OH, 및 -NO2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R6 또는 R7은 -CH3, -CH2CH3, -CH2CH2CH3, 및 -CH2CH2CH2CH3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m 또는 n은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MS는 중추 신경계(CNS)에 영향을 주는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이다. 상기 질환의 가장 흔한 초기 과정은 재발-완화 아형이며, 이는 예측할 수 없는 발병(재발) 이후 질환 활동도(disease activity)의 새로운 징후가 없이 비교적 회복의 기간이 뒤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치료법이 급성 발병을 경함한 환자, 재발-완화 아형에 걸린 환자, 진행형 아형에 걸린 환자에 대하여 사용되며, MS의 다양한 결과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치료법의 일차적인 목표는 발병 이후 기능을 회복하고, 새로운 발병을 예방하며, 신체 장애를 예방하는 것이다.
하기의 치료법이 다발성 경화증의 사례에 사용될 수 있다: 인터페론 베타 1a 및 1b, 글라티라머, 미토산트론, 나탈리주맙(인테그린 알파4베타1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및 급성 발병의 치료를 위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FTY-720(핑골리모드, 의료용으로 최근에 허가된, 스핑고신-1-포스페이트 유사체(analogon)), 클라드리빈(면역 억제제), 테리플루노미드(면역 억제제) 및 팜프리딘(4-아미노피리딘, 포타슘 채널 억제제)이 임상 개발 중에 있다. 또한,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및 특정한 칸나비노이드(cannabinoid)의 효능이 실험적으로 조사되었다.
재발-완화 MS의 치료를 위한 약물 핑골리모드 및 등록된 나탈리주맙을 사용한 리서치로부터 나온 다수의 장래성이 있는 결과에도 불구하고, 치료는 없으며, 기껏해야 발병의 빈도(frequency)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신경 결손을 지연시킨 것이 있다.
원발성 진행성 MS(primary progressive MS)의 경우에, 효과적인 치료는 알려진 바 없다. 또한, 모든 이용가능한 약물-기초의 치료법(베타-인터페론, 글리티라머, 미토산트론, 나탈리주맙)은 상당한 독성을 초래한다.
타렌플러빌(R-플루비프로펜)(화학명 (R)-2-(2-플루오로-4-페닐페닐)프로피온산((R)-2-(2-fluoro-4-phenylphenyl)propionic acid))은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를 위한 강력한 후보 물질로서 2008년에 테스트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지표(indication)에 대한 추가적인 개발은 인지 기능의 불충분한 개선이 확인된 후 중지되었다.
R-플루비프로펜은,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및 나프록센과 함께 2-아릴 프로피온산(프로펜)의 그룹에 속한다. 이부프로펜처럼, R-플루비프로펜은, S-에난티오머인 것으로 여겨지는 활성 제제(active agent)인, 시판되는 라세믹 플루비프로펜의 부산물이다. 플루비프로펜은 현재 전이된 전립선 암의 치료를 위한 임상 시험 중에 있다.
Cardozo et al. (in: Cardozo LD, Stanton SL, Robinson H, Hole D. Evaluation of flurbiprofen in detrusor instability. Br Med J. 1980 Feb 2;280(6210):281-2)은 배뇨근 불안정을 겪는 여성의 사례(특발성의 27개 사례, 및 3개의 다발성 경화증으로의 2차 사례)에서 프로스타글란딘 합성효소 억제제 플루비프로펜 및 플라시보의 이중-블라인드, 교차 시험을 개시한다. 잦은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긴박성 요실금이 모두 플루비프로펜으로 인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각각 P 0.001 이하, P 0.025 이하, P 0.025 이하), 배뇨근-압력 상승이 방광 충전 도중에 감소하였다(P 0.01 이하). 그러나, 플라시보를 섭취하는 5명의 환자와 비교하여 플루비프로펜을 섭취하는 13명의 환자에서 부작용이 발생하였다(P 0.025 이하). 상기 시험 후, 19명의 환자가 플루비프로펜으로 계속하길 희망하였다. 플루비프로펜은 특발성 배뇨근 불안정을 위한 유용한 치료법이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충분히 내성이 있다.
US 2009-0162421은 통증-관련 신경병 치료용 약물의 제조를 위한 에난티오머적으로 순수한 타렌플러빌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용인 가능한 염 또는 유도체를 개시한다. US 2009-016242과 반대로, 본 발명은 다발성 경화증의 신경면역학적 병리의 치료, 및 이로 인한 면역-매개의 탈수초로부터 초래하는 운동 기능의 손실 및 신경퇴화의 예방 또는 진행을 위한 R-플루비프로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중추 신경계 내 수초 세포(myelinating cell)의 자가면역 발병으로 인한 탈수초의 예방은 신경병성 통증-유사 현상을 갖는 통각수용기계의 중추적으로 매개된 과민증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신경학적인 MS-관련된 증상의 감소와 관련될 수 있다. 그러나, 신경 손상(외상성, 염증성, 대사성, 허혈성, 독성 등)에 의해 야기된 US 2009-0162421에 기재되어 있는 신경병성 통증은 주로 손상을 입은 또는 2차적인 통각 뉴런의 과흥분에 의해 야기된다. 몇몇의 형태는 설치류 모델에서 소교 세포 활성화와 관련되나, 이는 메커니즘 및 국소화(localization) 면에서 모두 다발성 경화증의 일반적인 광범위한 면역 활성화와 전적으로 상이하다.
또한, 신경병성 통증은 자가면역 질환이 아니며 신경병성 통증의 치료를 위한 US 2009-0162421에 개시된 R-플루비프로펜의 효능 및 사용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면역조절 특징과 비교하여 상이한 메커니즘을 통해 매개된다. R-플루비프로펜을 사용한 신경병성 통증의 감소는 축색돌기의 손상 이후에 발생하는 부적응적인 뉴런의 변화의 예방으로부터 대부분 기인하는데 반해, 다발성 경화증에서의 이의 효능은 대부분 T-세포에 대한 면역조절 효과로부터 기인하고 이로 인하여 자가면역 매개의 뉴런의 수초의 파괴, 즉 희소돌기아교세포 및 슈반 세포의 파괴를 예방한다. 이러한 수초 파괴가 시상피질로, 즉 상행 통증 경로에서 발생하는 경우, 이는 다발성 경화증의 중추 신경병성 통증의 증상을 야기할 수 있다. 즉(means), 이차적으로, R-플루비프로펜은 MS 환자의 신경병성 통증의 이러한 형태 또는 이의 진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요약하면, 신경병성 통증(예를 들어, 외상, 대상포진 감염, 당뇨병 또는 허혈에 의해 대부분 야기됨)에서의 R-플루비프로펜의 효능은, 이의 면역조절 효과의 예측,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MS에서의 면역-매개의 수초 파괴 및 운동 기능 손실의 예방을 허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경계의 자가면역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에서의 면역 조절 및 운동 기능 보존을 위한 R-플루비프로펜의 새로운 용도에 기초하지만, 말초 신경 외상, 염증, 대사 장애 또는 허혈에 의해 가장 자주 야기되는 통각 뉴런 과흥분의 예방 또는 반전(reversal)을 위한 R-플루비프로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Barkhof et al. (in: Barkhof F, van Waesberghe JH, Uitdehaag BM, Polman CH. Ibuprofen does not suppress active multiple sclerosis lesions on gadolinium-enhanced MR images. Ann Neurol. 1997 Dec;42(6):982)은 MRT에서 MS-손상의 수 및 크기에 대한 이부프로펜의 효과를 조사한다. 상기 저자는 베타-인터페론을 공동 투여한 효과가 병용 요법제(co-medication)에 의해 본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개시한다.
상기의 관점에서, MS, 특히 원발성 진행성 MS를 위한 새롭고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에 대한 계속적인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다발성 경화증(MS)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R-에난티오머, 또는 상기 화합물의 니트로-변이체, 예컨대 (R)-2-(2-플루오로-비페닐-4-일)프로피온산 4-니트로옥시부틸 에스테르, 및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의해 해결된다:
Figure 112013037294496-pct00002
상기 식에서,
R1 또는 R2는 H, -CH3, -CH2CH3, -CH2CH2CH3, 및 -CH2CH2CH2CH3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거나 또는 다른 하나와 함께 취하여 사이클로프로필 고리, 사이클로부틸 고리, 사이클로펜틸 고리, 또는 사이클로헥실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3는 -COOH, -COOR6, -CONH2, -CONHR6, -CONR6R7, -CONHSO2R6, -COO-(CH2)3-CH2OH, -COO-(CH2)4-ONO2, -COO-PhOCH3-C2H2-COO-(CH2)4-ONO2, 테트라졸일, 및 -COOH 생물학적 등가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R4 또는 R5는 -Cl, -F, -Br, -I, -CF3, -OCF3, -SCF3, -OCH3, -OCH2CH3, -CN, -CH=CH2, -CH2OH, 및 -NO2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R6 또는 R7은 -CH3, -CH2CH3, -CH2CH2CH3, 및 -CH2CH2CH2CH3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이며, m 또는 n은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바람직하기로, R1은 H로부터 선택된다. 하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2-(2-플루오로-4-페닐페닐)프로피온산,
(R)-2-(2-플루오로-비페닐-4-일)프로피온산 4-니트로옥시부틸 에스테르,
(R)-1,1'-비페닐)-4-아세트산 2-플루오로-α-메틸-4-히드록시부틸에스테르,
(R)-3-[4-(2-플루오로-α-메틸-[1,1'-비페닐]-4-아세틸옥시)-3-메톡시페닐]-2-프로페노산 4-니트로옥시부틸 에스테르,
(R)-2-메틸-2(2-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펜-4-일)프로피온산,
(R)-2-메틸-2(2-플루오로-4'사이클로헥실비펜-4-일)프로피온산,
(R)-2-(2-플루오로-3',5'-비스(클로로)비펜-4-일) 프로피온산 아미드,
(R)-2-(2-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비펜-4-일)프로피온산,
(R)-2-(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비펜-4-일) 프로피온산,
(R)-2-(2-플루오로-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비펜-4-일)프로피온산,
(R)-2-(4'-사이클로헥실-2-플루오로비펜-4-일)프로피온산,
(R)-2-(2-플루오로-1,1'-비페닐-4-일) -2-메틸프로피온산, 및
(R)-5-[1-(2-플루오로-비페닐-4-일)-1-메틸-에틸]-2H-테트라졸.
다발성 경화증(MS)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하여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발성 경화증(MS)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하여, 상기와 같은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의 사용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MS)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법의 일차적인 목표는 발병 이후 기능 회복, 새로운 발병의 예방, 및 신체 장애의 예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는 바람직하기로 통증-관련 신경병의 치료와 상이한 치료에 관한 것으로, 즉 바람직하기로 통증-관련 신경병의 치료와 관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치료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MS의 질환 증상의 예방적인 및/또는 실제적인 치료 모두를 포함하여야 하고, 상기 증상은 상기 치료법을 사용하여 경감되고 및/또는 심지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펜-화합물의 R-에난티오머, 즉 R-플루비프로펜이 마우스의 다발성 경화증의 EAE-모델(EAE: 실험적인 자가면역 뇌척수염)에서 마비(paralysis)의 발생을 감소/억제하고, 소교 세포의 MOG-유도된 활성화 및 요추(lumbal spinal cord) 내 면역 세포 침윤을 거의 완전히 차단한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그러므로, 인간의 상황과 마우스 모델 간의 유사성으로 인하여, 인간 환자에서 타렌플러빌(R-플루비프로펜)의 최소한의 유사한 효과가 예측된다.
S-이성질체와 반대로, R-플루비프로펜은 사이클로옥시게나제를 억제하지 않고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높은 1일 투여량 및 장기간의 치료법에서 조차, 본질적인 독성이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를 억제하지 않고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발성 경화증(MS)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의 억제로부터 초래한 상기 치료와 관련된 독성을 예방 및/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다발성 경화증(MS)을 치료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R-플루비프로펜을 알츠하이머 질환의 잠재적인 치료법으로서 테스트하였으나, 최종적으로 어떠한 유의적인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Barkhof et al. (상기 참조)은 MS에 대한 이부프로펜의 개별적인 효과를 제외하였으며, 이에 따라 당업자는 플루비프로펜 또는 상기 화학식 (I)에 표시된 바와 같은 화합물이 또한 MS에 대해 효과가 없을 것으로 예측하였을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치료되는 MS는 재발-완화 또는 진행성 MS이다.
높은 1일 투여량 및 장기간의 치료법에서 조차, R-플루비프로펜의 본질적인 독성이 없다. 따라서, 치료되는 MS의 증상에 대한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는 전반적인 임의의 투여량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효과적인 투여량은 당업자 및/또는 주치의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이 투여 형태 당 50 mg 내지 3000 mg, 바람직하기로 100 mg 내지 1500 mg, 더욱 바람직하기로 300 mg 내지 1200 mg의 양으로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이 1일 당 치료되는 환자의 5 mg/kg 체중 내지 15 mg/kg 체중의 투여량으로 제공되는 사용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은 임의의 적합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주사로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경구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은 임의의 적합하고 효과적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형태, 예컨대 정제, 캡슐, 당의정, 분말, 좌제, 겔의 형태 및/또는 주사용 용액으로서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은, 단독으로, 또는 MS의 치료법 및/또는 치료에 이용가능한 다른 화합물 및 치료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신경학적인 증상에 효과적이다. 상기 조합은 화합물 및 치료의 동시 또는 개별적인(spaced apart) 사용을 포함한다. 상기 조합은 또한 MS의 치료법 및/또는 치료에 이용가능한 화합물 및 치료의 임의의 상승작용 효과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이 적어도 하나의 MS에 대한 추가적인 치료제, 예를 들어 인터페론 베타 1a 또는 1b, 글라티라머, 미토산트론, 나탈리주맙,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핑골리모드, 클라드리빈, 테리플루노미드, 팜프리딘,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또는 칸나비노이드와 같은 치료제와 조합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의 사용이다. 인터페론 베타 1a 또는 1b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MS)의 증상, 바람직하기로 신경학적 결손(neurological deficits)을 치료, 특히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다음,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의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예컨대 재발-완화 MS의 발병의 빈도(frequency), 발생(occurrence), 및/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발성 경화증의 EAE 모델에서, R-플루비프로펜(음용수 중 9 mg/d)으로 처리된 마우스는 마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반면 동시에 플라시보를 처리한 대조구 동물은 하지부전마비(paraparesis) 내지 사지부전마비(tetraparesis)를 일으켰으며 중단 기준에 따라 희생되어야 했다. R-플루비프로펜으로 처리한 동물에서, 백질의 소교세포 또는 T-세포 침윤의 활성화가 척수 원위부, 즉 EAE의 병리상의 면역학적 징후의 주요 부위에서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수초의 T-세포 매개의 파괴 및 축색돌기의 직접적인 손상이 신경 결손에 대한 원인이다.
EAE에서 R-플루비프로펜의 효과의 생물학적인 메커니즘은 단지 부분적으로 알려져 있다. R-플루비프로펜은 지질-신호 분자의 복잡한 조절 및 전사 인자(예를 들어, NF-카파B 및 PPAR과 같은)의 조절을 초래하고, 이에 따라 면역 조절 및 신경면역학적 커뮤니케이션(neuroimmulogical communication)의 변화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상기 적당한 조절 효과는 상기 화합물의 유리한 효과/독성 프로파일을 설명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현재의 이용가능한 약제를 사용하면, MS를 치료할 수 없고, 단지 발병의 감소와 진행의 억제만이 달성될 수 있다. 원발성 진행성(비-재발 완화) MS를 겪는 몇몇의 경우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다. 상기 질환은 마비(paralysis)를 증가시키고 최종적으로는 사망을 초래한다. 또한, 환자가 통증-전달(pain-conducting) 뉴런 또는 중추(center) 내의 경직 및 신경면역학적 손상으로 인하여 통증으로 고통을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의 주요 장점은, R-플루비프로펜에 대해 충분히 입증된, 이의 낮은 독성이다. 노령 환자의 장기간의 치료법에서 조차, 유의적인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다. 보통, 가벼운 부작용은 치료법의 종료를 초래하지 않는다.
R-플루비프로펜으로 처리한 동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은 신경학적인 증상 및 신경-면역학적인 병리의 감소는 상당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바람직하기로 R-플루비프로펜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은 또한 MS 환자의 징후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 인용된 바와 같은 모든 참조문헌은 이들 전체로 참조로서 포함된다. 도면에서,
도 1은 C57BL6/J 마우스에서의 다발성 경화증의 EAE-모델의 R-플루비프로펜(9 mg/kg/d p.o.)의 효과를 보여준다. 200 ㎕ CFA 중의 100 ㎍ MOG35-55를 피하 주사하고, 이후 200 ng 페르투시스-톡신(Pertussis-toxin)(PTX)을 복막 내 주사하여 실험적인 자가면역 뇌척수염(EAE)을 유도하였다. PTX-주사는 2일 이후에 반복하였다. R-플루비프로펜을 음용수로 경구적으로 적용하였다(1일 당 225 ㎍/4ml)(n = 6). 대조구는 플라시보를 투여하였다(n = 9). 통각 거동을 운동-기능 장애의 징후 이전에 전적으로 조사하였다. 기계적 통각 과민, 열적 통각 과민(상부, y-축 왼쪽) 및 냉 이질통(하부)을 측정하였다. 통각 과민(hyperalgesia)은 신경면역학적 활성화의 초기 징후이다. 운동 기능은 표준-점수제(standard-scoring system)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점수 0.5: 꼬리의 원부위 부전마비; 점수 1: 꼬리의 완전한 마비; 점수 1.5: 꼬리의 부전마비 및 뒷다리들의 가벼운 부전마비; 점수 2.0: 한쪽 뒷다리의 심한 부전마비; 점수 2.5: 뒷다리들의 중간 정도의 하지부전마비; 점수 3.0: 양쪽 뒷다리의 완전한 마비; 점수 3.5: 양쪽 뒷다리의 완전한 마비 및 한쪽 앞다리의 부전마비; 점수 4: 완전한 마비(사지마비), 빈사 상태 또는 사망. 점수 3.5부터 동물을 희생시키기 시작하였다. 모든 테스트는 처리를 알지 못하는 관찰자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R-플루비프로펜은 초기에 측정될 수 있는 통각 과민을 감소시켰으며, 운동 기능 장애의 발달을 완전히 억제시켰다(P <0.05). R-플루비프로펜을 처리한 동물은 관찰 기간 도중에 탈수초의 징후를 나타내지 않았다. 플라시보 그룹에서, 모든 동물은 2.5 내지 3.5의 점수에 도달하였다.
도 2는 R-플루비프로펜(9 mg/kg/d p.o.) 또는 플라시보로 처리한 C57BL/6 마우스에서 MOG35-55의 주사 이후 3주째의 척수(요추)의 소교 세포의 활성화를 보여준다. 조직학적인 조사를 위하여, 마우스에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심장 내로 관류시켰으며; 조직을 준비하여, PFA 중에서 후-고정(post-fix)시킨 뒤 20 % 수크로스 중에서 보존하여 동결-인공물(cryo-artifact)을 보호하였다. 상기 조직을 OCT 중에 삽입시키고 크리오톰(cryotome) 상에서 절단하였다(16 ㎛). 소교 세포-마커 Iba-1에 대한 특이적인 지향성의 일차-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항-NeuN으로 뉴런을 검출하였다. 형광 색소-표지된 2차 항체로 염색한 후, Zeiss 형광-현미경을 사용하여 사진을 찍었다. R-플루비프로펜이 처리된 동물에서, 소교 세포의 활성화는 검출되지 않았다. 즉, 척수가 임의의 병리상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건강한 대조구 동물과 다르지 않았다. 반대로, 플라시보를 처리한 EAE 동물은 소교 세포의 대대적인 활성화 및 증식을 나타내었다.
도 3은 R-플루비프로펜(9 mg/kg/d p.o.)(도 3A) 또는 플라시보(도 3B)로 처리 하에 MOG35-55의 주사 이후 3주째의 요추 척수 후각(dorsal horn)의 T-세포 침윤을 보여준다. 준비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실시하였다. 항-CD3 항체를 사용하여 T-세포를 검출하였다. 전각(ventral horn) 및 후각 내 백질 영역 내로의 T-세포 침윤은 R-플루비프로펜의 처리에 의해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도 4는 R-플루비프로펜 처리의 개시점에 따른 다발성 경화증의 EAE 모델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임상 점수를 나타낸다. EAE는 C57BL6 마우스에 MOG35-55 펩티드 및 페르투시스 톡신을 주사하여 유도하였다. 비히클 또는 R-플루비프로펜(9 mg/kg/d p.o.) 처리를 MOG로 면역화시킨 날(1 일) 또는 5 또는 8 일 이후에 개시하였다. 임상 EAE-점수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되었다. R-플루비프로펜이 처리된 동물은 1 일째에 치료법이 개시된 경우 EAE이 발달하지 않았으며 치료가 MOG 주사 이후 5 또는 8 일에 개시된 경우 EAE-점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점수 x 시간 경과 하의 면적을 t-테스트, P < 0.05로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도 5는 다발성 경화증의 EAE 모델의 신경염증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MOG35-55 펩티드 및 페르투시스 톡신을 주사하여 EAE를 유도한 후 3일째에 비히클 또는 R-플루비프로펜(9 mg/kg/d p.o.) 처리를 개시한 C57BL6 마우스에 ProSense 680을 정맥 주사한 후 3 일째에 근적외선 이미징(Maestro-Imaging Platform)을 수행하였다. ProSense 680은 카텝신의 형광성 기질이며 염증의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A: ProSense 주사를 하지 않은 대조구 마우스. B: 비히클 처리구. C: R-플루비프로펜 처리구.
도 6은 다발성 경화증의 EAE 모델에서 척수 내의 CD4+/CD25+ T-세포의 유동 세포분석법 분석을 보여준다. C57BL6 마우스에 MOG35-55 펩티드 및 페르투시스 톡신을 주사하여 EAE를 유도한 후 3일째에 비히클 또는 R-플루비프로펜(9 mg/kg/d p.o.) 처리를 개시하였다. 동물이 1.5-2의 임상 점수에 도달했을 때 단일의 세포 현탁액을 요추의 척수 분절(segment)로부터 준비하였다. 세포 표면 마커 단백질에 대해 지향적인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T-세포 분석을 유동 세포분석기(BD FACS Conto II) 상에서 수행하였다. T-세포를 CD3로 확인하였으며 이어서 CD 마커의 발현에 따른 T-세포 아형에 대해 게이팅하였다. R-플루비프로펜으로 처리된 동물은 EAE에서 보호 작용을 하는 조절 T-세포의 더욱 많은 수를 시사하는 CD4+/CD25+ T-세포의 더욱 많은 수를 나타내었다.
도 7은 다발성 경화증의 EAE 모델에서 IL10+ 및 FoxP3+ T-세포의 유동 세포분석법 분석을 보여준다. C57BL6 마우스에 MOG35-55 펩티드 및 페르투시스 톡신을 주사하여 EAE를 유도한 후 3일째에 비히클 또는 R-플루비프로펜(9 mg/kg/d p.o.) 처리를 개시하였다. 동물이 1.5-2의 임상 점수에 도달했을 때 단일의 세포 현탁액을 비장으로부터 준비하였다. 세포 표면 마커 단백질에 대해 지향적인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T-세포 분석을 유동 세포분석기(BD FACS Conto II) 상에서 수행하였다. T-세포를 CD3로 확인하였으며 이어서 T-세포 아형에 대해 게이팅하였다. EAE 유래의 세포내 사이토카인 비장세포(splenocyte)의 분석을 위하여, 비히클 또는 R-플루비프로펜으로 처리된 마우스를 37℃에서 2 시간 동안 50 ng/ml PMA + 500 ng/ml 이노마이신으로 자극시킨 후, 37℃에서 2 시간 동안 브레펠딘 A 10 ㎍/ml으로 자극시켜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막았다. R-플루비프로펜으로 처리된 마우스는 CD4+/CD25+/FoxP3+ 조절 T-세포의 더욱 높은 부분(fraction) 및 항-염증성 IL-10 생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도 8은 다발성 경화증의 EAE 모델의 시신경(optical nerve)의 탈수초에 대한 면역형광 분석을 보여준다. C57BL6 마우스에 MOG35-55 펩티드 및 페르투시스 톡신을 주사하여 EAE를 유도한 후 5일째에 비히클 또는 R-플루비프로펜(9 mg/kg/d p.o.) 처리를 개시하였다. 동물이 1.5-2의 임상 점수에 도달하였을 때 마우스에 인산 완충 식염수를 심장 내로 관류시킨 뒤 PFA 4% 고정을 실시하였다. 시신경을 제거하고, 후고정한 후, 20 % 수크로스 중에서 하룻밤 동안 동결보존시킨 다음, 크리오톰 상에서 절단하였다. 단편을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에 대해 지향적인 항체로 인큐베이션시킨 후 뉴런의 마커 항체 NeuN으로 대비 염색시켰다. 형광 현미경(Zeiss Axiovert)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미지는 R-플루비프로펜 처리가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에 비하여 신경 섬유 주변의 수초의 파괴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화합물의 R-에난티오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MS)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Figure 112017104534885-pct00003

    상기 식에서,
    R1 또는 R2는 H, -CH3, -CH2CH3, -CH2CH2CH3, 및 -CH2CH2CH2CH3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거나 또는 다른 하나와 함께 취하여 사이클로프로필 고리, 사이클로부틸 고리, 사이클로펜틸 고리, 또는 사이클로헥실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3는 -COOH, -COOR6, -CONH2, -CONHR6, -CONR6R7, -CONHSO2R6, -COO-(CH2)3-CH2OH, -COO-(CH2)4-ONO2, -COO-PhOCH3-C2H2-COO-(CH2)4-ONO2, 및 테트라졸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R4 또는 R5는 -Cl, -F, -Br, -I, -CF3, -OCF3, -SCF3, -OCH3, -OCH2CH3, -CN, -CH=CH2, -CH2OH, 및 -NO2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R6 또는 R7은 -CH3, -CH2CH3, -CH2CH2CH3, 및 -CH2CH2CH2CH3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m 또는 n은 0, 1, 2, 및 3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에난티오머는 R-플루비프로펜(타렌플러빌) 또는 니트로-R-플루비프로펜으로부터 선택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S는 재발-완화 또는 진행성 MS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에난티오머는 50 mg 내지 3000 mg의 양으로 제공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에난티오머는 1일 당 치료 환자의 체중 1 kg당 5 mg 내지 15 mg의 투여량으로 제공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 직장 또는 주사로 투여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캡슐, 당의정, 분말, 좌제, 겔 또는 주사용 용액의 형태로 제공되는,약학적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에난티오머는 인터페론 베타 1a 또는 1b, 글라티라머, 미토산트론, 나탈리주맙,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핑골리모드, 클라드리빈, 테리플루노미드, 팜프리딘,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 및 칸나비노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MS에 대한 추가적인 치료제와 조합하여 제공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137010891A 2010-11-03 2011-11-03 다발성 경화증(ms)의 새로운 치료 KR101877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018519.7A GB2485169A (en) 2010-11-03 2010-11-03 (R)-flurbiprofe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GB1018519.7 2010-11-03
PCT/EP2011/069319 WO2012059541A1 (en) 2010-11-03 2011-11-03 Novel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494A KR20140017494A (ko) 2014-02-11
KR101877587B1 true KR101877587B1 (ko) 2018-07-11

Family

ID=4340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891A KR101877587B1 (ko) 2010-11-03 2011-11-03 다발성 경화증(ms)의 새로운 치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30309199A1 (ko)
EP (1) EP2635271A1 (ko)
JP (1) JP5903438B2 (ko)
KR (1) KR101877587B1 (ko)
CN (1) CN103209692A (ko)
BR (1) BR112013010883A2 (ko)
CA (1) CA2816911C (ko)
GB (1) GB2485169A (ko)
RU (1) RU2595861C2 (ko)
WO (1) WO2012059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0989A1 (en) 2015-11-09 2017-05-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fluriprofen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diabetes
CN110382052A (zh) 2017-03-26 2019-10-25 Mapi医药公司 用于治疗进展型形式的多发性硬化症的格拉替雷储库系统
EP3709986B1 (en) 2017-11-14 2023-11-01 Merck Sharp & Dohme LLC Novel substituted biaryl compounds as indoleamine 2,3-dioxygenase (ido) inhibitors
CN111344287B (zh) 2017-11-14 2023-12-19 默沙东有限责任公司 作为吲哚胺2,3-双加氧酶(ido)抑制剂的新型取代的联芳基化合物
EA035792B1 (ru) * 2018-06-21 2020-08-11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Институт Биоорганической Химии Национальн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Беларуси"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лечения рассеянного склероза (варианты)
WO2022089598A1 (zh) * 2020-10-30 2022-05-05 杭州拉林智能科技有限公司 黄酮苷-有机胺类神经激动剂复盐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6733A2 (en) * 2006-09-19 2008-03-27 Myriad Genetics, Inc. Methods for treatment of vesicle transport disorders
WO2008034244A1 (en) * 2006-09-21 2008-03-27 Waratah Pharmaceuticals Inc. The combination of a cyclohexanehexol and a nsaid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WO2009083115A1 (de) * 2007-12-21 2009-07-09 Paz Arzneimittel-Entwicklungsgesellschaft Mbh Arzneimittel sowi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bei der behandlung von schmerzhaften neuropathi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7895A1 (de) * 1999-02-24 2000-11-16 Paz Arzneimittelentwicklung Verwendung von R-Arylpropionsäuren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zur Behandlung von Erkrankungen bei Mensch und Tier, welche durch die Hemmung der Aktivierung von NF-kB therapeutisch beeinflußt werden können
EP1587798A4 (en) * 2003-01-14 2007-06-27 Merck & Co Inc NSAID DERIVATIVES WITH GEMINAL DISUBSTITUTION AS ABETA REDUCING AGENTS 42
US20090162421A1 (en) * 2007-12-21 2009-06-25 Paz Arzneimittel-Entwicklungsgesellschaft Mbh Drugs as well as their production and use in the treatment of pain-associated neuropathies
CN102844290B (zh) * 2010-04-21 2015-06-17 奇斯药制品公司 用于治疗转甲状腺素蛋白淀粉样变性的1-(2-氟联苯-4-基)-烷基羧酸衍生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6733A2 (en) * 2006-09-19 2008-03-27 Myriad Genetics, Inc. Methods for treatment of vesicle transport disorders
WO2008034244A1 (en) * 2006-09-21 2008-03-27 Waratah Pharmaceuticals Inc. The combination of a cyclohexanehexol and a nsaid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WO2009083115A1 (de) * 2007-12-21 2009-07-09 Paz Arzneimittel-Entwicklungsgesellschaft Mbh Arzneimittel sowi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bei der behandlung von schmerzhaften neuropathien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berto Furlan 등, Journal of Neuroimmunology, 2004, Vol. 150, pp. 10-19. *
Roberto Furlan 등, Journal of Neuroimmunology, 2004, Vol. 150, pp. 10-19. 1부. *
Roberto Furlan 등, Journal of Neuroimmunology, 2004, Vol. 150, pp. 10-19.*
Seok Jae Kang 등, J. Clin. Neurol., 2009, Vol. 5, pp. 146-148. *
Seok Jae Kang 등, J. Clin. Neurol., 2009, Vol. 5, pp. 146-148. 1부. *
Seok Jae Kang 등, J. Clin. Neurol., 2009, Vol. 5, pp. 146-14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3438B2 (ja) 2016-04-13
CA2816911C (en) 2018-09-25
GB201018519D0 (en) 2010-12-15
CN103209692A (zh) 2013-07-17
JP2014505015A (ja) 2014-02-27
RU2013125470A (ru) 2014-12-10
CA2816911A1 (en) 2012-05-10
US20130309199A1 (en) 2013-11-21
KR20140017494A (ko) 2014-02-11
WO2012059541A1 (en) 2012-05-10
BR112013010883A2 (pt) 2016-09-13
GB2485169A (en) 2012-05-09
EP2635271A1 (en) 2013-09-11
RU2595861C2 (ru) 2016-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587B1 (ko) 다발성 경화증(ms)의 새로운 치료
JP6038653B2 (ja) 低頻度酢酸グラチラマー治療
US10966962B2 (en) Method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11690832B2 (en)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with combinations of RXR agonists and thyroid hormones
AU2014204737A1 (en) Solid solution compositions and use in severe pain
JP6450814B2 (ja) 医薬組成物及びその用途
EP244283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AU2018343995B2 (en) Use of Nor-Ursodeoxycholic acid for reducing liver fat
EP3534893A1 (en) Combination therapy of cbd and copaxone
US11690834B2 (en) Composition, uses, and methods of treating spinal disc degeneration through sonic hedgehog signaling pathway
IT202100014333A1 (it) Nuovo impiego terapeutico di inibitori della iodiotironina deiodinasi di tipo 2 (D2)
KR20220109378A (ko) 병용 요법 방법, 조성물 및 키트
JPWO2020054872A1 (ja) 急性帯状疱疹痛の治療剤
WO2010047295A1 (ja) 帯状疱疹関連痛の予防又は治療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