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484B1 -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484B1
KR101877484B1 KR1020170118728A KR20170118728A KR101877484B1 KR 101877484 B1 KR101877484 B1 KR 101877484B1 KR 1020170118728 A KR1020170118728 A KR 1020170118728A KR 20170118728 A KR20170118728 A KR 20170118728A KR 101877484 B1 KR101877484 B1 KR 101877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viol
glucopyranosyl ester
composition
inflammatory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린
김무성
정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Priority to KR1020170118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항염증 약학 조성물 및 항염증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 Composition Comprising Steviol Glucopyranosyl Ester Having Anti-Inflammation Activ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을 포함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항염증 약학 조성물 및 항염증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Stevia 속의 식물로부터 추출되는 스테비아 추출물은 현재 한국, 중국, 미국, 유럽 등 다양한 나라에서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다. 스테비아 추출물은 설탕의 100~300배 가량 강한 단맛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섭취시 열량이 없거나 적어 설탕의 대체품으로 조명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열 및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쉽게 변성되지 않고 인체독성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스테비아 추출물은 주로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을 이용하여 추출되는데, 히드록실기(R-OH)와 카르복실기(R-COOH)를 가지는 스테비올에 당이 결합하여있는 형태로 얻어진다. 스테비아 추출물을 구성하는 스테비올 배당체는 추출방법이나 정제단계에 따라 다양한 조성을 가지나, 주로 리버디오사이드 A(rebaudioside A), 리버디오사이드 B(rebaudioside B), 리버디오사이드 C(rebaudioside C), 리버디오사이드 D(rebaudioside D),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스테비올바이오사이드(steviol bioside), 루부소사이드(rubusoside)로 구성된다. 주 성분 이외의 물질은 실질적으로 분석한계에 가깝게 추출되기 때문에 그 생산방법이나 활용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스테비올, 스테비오사이드, 리버디오사이드 A의 경우 비만 및 염증억제, 항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활성이 미약하여 항염 소재로는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그 밖의 구조를 가지는 물질들에 대해서도 생리학적 효능에 관하여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당이 결합되어 있는 천연 물질의 경우 당의 결합형태에 따라 그 활성이 더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항염활성이 증가되도록 스테비올 배당체의 구조를 변경한다면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이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Xinliang Liu(2012) 등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스테비오사이드 및 리버디오사이드 A를 염기 촉매로 가수분해하여 스테비올바이오사이드와 리버디오사이드 B를 합성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미국특허공개 US 2013/0071887, H. M. S. Milagre 등(2009)에 따르면, 일부 펙티나아제와 달팽이 유래 효소제품이나 곰팡이에서 유래한 가수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스테비올을 제조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올 모노사이드,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등에 관하여는 제조방법에 관하여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글루코오스의 에스테르 결합은 분해하지 않으면서 에테르결합만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아직 알려진 바가 거의 없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미국공개특허 2013/0071887 한국공개특허 10-2012-0127443
Xinliang Liu, Lijun Wang, Xueping Song, Hainong Song, Joe R Zhao and Shuangfei Wang (2012) A kinetic model for oxidative degradation of bagasse pulp fiber by sodium periodate. Carbohydrate Polymers, 90: 218-223 Amer Ahmed, Faiz ul-Hassan Nasim, Kashfa Batool and Aasia Bibi (2017) Microbial β-Glucosidase: Sources, Production and Applications. Journal of Applied & Environmental Microbiology, 5: 31-46 Golla Narasimha, Ayla Sridevi, Golla Ramanjaneyulu and Bontha Rajasekhar Reddy (2016)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β-Glucosidase from Aspergillus niger.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Properties, 19: 652-661 Venkata Sai Prakash Chaturvedula and Indra Prakash (2011) Acid and alkaline hydrolysis studies of stevioside and rebaudioside A. Journal of Applied Pharmaceutical Science, 1: 104-108 H.M.S. Milagre, L.R. Martins and J.A. Takahashi (2009) Novel-agents for enzymatic and fungal hydrolysis of stevioside. Brazilian Journal of Microbiology, 40: 367-372 Griess, P. (1879) Bemerkungen zu der abhandlung der H.H. Weselsky und Benedikt "Ueber einige azoverbindungen.". Chemische Berichte , 12: 426-428.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연구된 스테비올 및 스테비오사이드, 리버디오사이드 A에 비해 염증억제 효능이 개선된 스테비올 유도체에 대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서 염증을 억제하는 항염증제 및 항염효과가 있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등으로 응용가능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teviol glucopyranosyl ester)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teviol glucopyranosyl ester)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teviol glucopyranosyl ester)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생성한 후 정제하는 단계와,
스테비올 배당체에 상기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적용하여 스테비올 에스테르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는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NO 같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 분비를 억제하고, 염증지표 단백질인 IL-1a, COX2, iNOS, NF-κB의 발현을 억제하므로, 효과적으로 염증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은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서 염증을 억제하는 항염증제 및 항염효과가 있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스테비올 및 그 유도체의 화학구조이다.
도 2는 종균의 배양시간에 따른 가수분해 효소의 활성을 기록한 그래프이다.
도 3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를 통해 생성된 물질의 HPLC/MS 분석자료이다.
도 4는 실시예1 및 몇 가지 스테비올 유도체를 LPS 처리한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NO의 생성량을 비교한 자료이다(Con:대조군,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 Sol:스테비올, SGE: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SM:steviolmonoside, SB:스테비올바이오사이드, SS:스테비오사이드, RB:리버디오사이드 B, RA:리버디오사이드 A)
도 5는 스테비올 유도체를 1ug/mL의 농도로 LPS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 실시예1 및 비교예 1을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염증지표인 단백질들의 mRNA 생성량을 비교한 자료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염증용 조성물은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teviol glucopyranosyl este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비올 유도체는 스테비올의 카르복실기에 포도당이 에스테르 형태로 결합된 구조로, kaur-16-en-18-oic acid beta-D-glucopyranosyl ester라는 화학식을 갖는다.
스테비올 및 주요 배당체의 화학구조는 도 1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teviol glucopyranosyl ester)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스테비아 속 식물로부터 통상적으로 추출되는 스테비오사이드와는 달리 13번 탄소에 결합된 당이 제거되어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는 기존에 알려진 스테비아 추출물의 어글리콘인 스테비올과는 달리 에스테르 결합된 당을 유지하고 있어 기존에 알려진 스테비올보다 항염 활성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비올 배당체가 가지는 항염증 기능을 확인코자 하였으며, 항염증 기능은 염증매개인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2를 통해 LPS가 처리된 쥐의 마크로파지(RAW264.7)에 다양한 구조의 스테비올 유도체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염증 매개인자인 NO 생성량을 비교하였다. 스테비올(SS), 스테비올모노사이드(SM), 스테비올바이오사이드(SB), 스테비오사이드(SS), 리버디오사이드 B(RB)와 리버이도사이드 A(RA) 처리시 보다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GE) 처리시 산화질소 산화질소의 생성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예 3을 통해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GE)이 갖는 염증지표 단백질인 IL-1a, COX2, iNOS, NF-κB의 발현 억제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 식품 조성물로 적용시 피부 염증 등과 같은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서 염증 완화, 개선,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30.0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NO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최소한의 항염증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의 함량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 제제, 반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이때 각 제형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약학 조성물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겔, 로션, 에센스, 크림, 파우더, 비누, 팩마스크, 클렌징, 오일, 파운데이션, 스프레이로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카라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는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배양하여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생성한 후 정제하는 단계와,
스테비올 배당체에 상기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적용하여 스테비올 에스테르로 전환하는 단계
를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계에서는 분리되지 않는 상기 스테비올 배당체인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하여, 미생물로부터 생성된 당 가수분해효소를 스테비올 배당체에 적용하여 13번 탄소에 결합된 당을 제거하였다.
상기 미생물은 Aspergillus 속, Tolypocladium 속, Penicillium 속, Fusarium 속, Fomitopsis 속, Flammulina 속, Monascus 속, Phoma 속, Thermomucor 속, Gongronella 속, Aureobasidium 속, Candida 속, Kluyveromyces 속, Aureobasidium 속, Saccharomyces 속, Clostridium 속, Pyrococcus 속, Bacillus 속, Alkalophilus 속, Termobifida 속, Paenibacillus 속, Lactobacillus 속, Caldicellulosiruptor 속, Terrabacter 속, Thermoanaerobacterium 속, Pseudonocardia 속 등에서 유래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 스테비올 배당체는 스테비아 속으로 분류되는 식물을 열수추출 혹은 알코올 추출하여 분리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여과, 이온수지, 흡착수지, 활성탄, 재결정화 등의 정제과정을 거친 뒤 사용된다.
종래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분해하는 데 있어서 산/염기촉매를 사용하여 가수분해하는 방법, NaIO4를 사용하는 방법, 효소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산/염기촉매를 사용하는 방법은 화학결합을 비특이적으로 분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O-글리코시딕 에테르결합뿐만 아니라 O-글리코시딕 에스테르결합도 분해하며, 분자 구조에 변형이 일어나 최종적으로 이소스테비올이 생성되기 쉽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며, NaIO4의 방법에서는 스테비올이 라세미 혼합물 상태로 얻어지기 때문에 자연계의 스테비올과는 다른 미지의 생리활성을 가질 위험성이 있다. 또한 효소를 이용한 분해법으로 펙티나제와 glucuronidase HP2 from Helix pomatia 를 사용하는 경우 효소에 포함된 에스터라제의 활성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에스테르 당이 남아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스터라제가 포함되어있지 않은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이용하여 스테비올에 결합된 당을 분해한다.
스테비올 배당체에 미생물 유래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적용하는 방법을 통해, 스테비올에 결합된 당을 선택적으로 분해함으로써, 기존에 염증 억제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스테비올, 스테비오사이드, 리버디오사이드 A 등에 비하여 염증 억제 활성이 높은 물질을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teviol glucopyranosyl ester)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teviol glucopyranosyl ester) 합성
1-1. 스테비아 추출물의 가수분해를 위한 효소 제조
스테비아 추출물을 가수분해하기 위한 효소는 Aspergillus 속 균주로부터 회수하여 사용하였으며 효소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Aspergillus 속 균주를 전배양하기 위해 효모추출물 0.6wt%, 말트추출물 0.3wt%, 펩톤 0.5wt%, 포도당 1.0wt%가 되도록 증류수에 용해한 뒤, 1 L 플라스크에 300 mL를 첨가하여 121℃에서 15분간 가압 멸균하였다. 멸균된 배지를 상온으로 냉각시킨 뒤 YM agar 에 배양된 균사를 0.5 cm X 0.5 cm 크기로 절단하여 3덩어리를 접종하였다. 배양온도는 28℃ 교반속도는 120 rpm 의 조건 하에서 2일간 진탕 배양하여 종균액을 얻었다. 본 배양은 5 L 자 발효조(jar fermenter)를 사용하였으며 작업량(working volume)은 3 L가 되도록 배지를 첨가한 후 종균액을 5%(v/v) 비율로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본 배양 배지는 효모추출물 0.6wt%, 말트추출물 0.3wt%, 펩톤 1.0wt%, 포도당 3.0wt%, 스테비오사이드 0.1% 가 되도록 증류수에 용해한 뒤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배양조건은 배양온도 28℃, 교반속도 250 rpm, 통기량 0.3 vvm 으로 하였다.
본 배양 조건에서 배양시의 배양 시간에 따른 배양액 중 효소활성은 도 2와 같으며, 배양 2 일차에 최대 효소 활성(18.1 U/ml)이 확인되었다.
효소활성은 pH 5 buffer에 0.01M(8.05 g/L)의 스테비오사이드를 용해시킨 뒤 30분간 분해한 양을 HPLC로 분석하여 측정하였다. 효소활성의 계산은 식 1과 같이 정의된다.
[식 1]
효소활성(U/mL) = 분해된 스테비오사이드 몰수(mmol) / {반응시간(min) X 효소액량(mL)}
배양에 의해 생성된 세포외 효소는 균주 배양액을 10,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0.45㎛ 필터여과하고 한외여과막(분자량 10,000 이하 통과)으로 농축하여 회수하였다. 배지 성분의 제거를 위하여 4배 부피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4℃에서 침전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침전을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희석액은 회수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이때 필요에 따라 에탄올 침전 단계를 반복하였다. 효소 정제 후 활성은 배양액에 비하여 69.2% 보존되었다.
1-2. 스테비아 추출물의 가수분해
스테비아 추출물을 분해하기 위하여 스테비아 추출물을 1% 수용액으로 희석한 뒤 1-1. 에서 얻은 가수분해효소를 50 U/mL 의 가 되도록 첨가하여 pH 6.5, 반응온도 30℃, 교반속도 200 RPM의 조건으로 24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효소의 활성을 제거하기 위해 90℃에서 30분 동안 열처리 하였다. 가수분해물을 회수하기 위해 반응액을 농축한 뒤,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메탄올(methanol)을 1:1로 혼합한 용액에 1/100 비율로 용해하여 침전은 제거하고 상등액을 0.2um 주사기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정제된 반응액을 획득 하였다. 정제된 반응액으로부터 스테비올 에스테르를 분리하기 위하여 C18 RP Prep, 8um (25mm x 21.5mm) 컬럼에 80% 아세토나이트릴을 이동상으로 적용하여 상온에서 분획을 수집하였다. 회수된 스테비올 에스테르는 실험예 1에 따라 HPLC/MS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도 3의 A, B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자량 480인 물질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스테비올 합성
스테비올을 합성하기 위하여 300mL 증류수에 30mL cytolase PCL5와 4mL Sigma G7017 효소를 넣고 95% 스테비오사이드 10g을 첨가한 뒤 pH를 4.2로 조절하였다. 이후 50℃, 200 RPM으로 24시간 동안 반응하여 생성되는 결정을 여과하였다. 회수된 결정은 실험예 1에 따라 HPLC/MS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도 3의 C, D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자량 318인 물질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1: 스테비올 유도체의 구조 분석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생산된 가수분해물에 대하여 구성 성분의 분자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메탄올(methanol)=50:50 용매에 1% 농도로 희석하여 HPLC/MS로 분석하였다. 질량분석기는 Finnigan TSQ Quantum Mass Spectrometer(ESI-TOF)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사용한 column은 RS tech Optimapak OPNH2-21002546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80% ACN에 0.1% formic acid를 첨가하여 isocratic으로 사용하였으며, 0.6mL/min의 유속으로 분석하였다. 각 분석결과는 각 분자의 예상 분자량을 기준으로 XIC(selected ion chromatogram)을 추출하여 해당 분자량을 가지는 물질이 주로 검출되는 RT값 패턴 확인하였다. 각 물질의 예상분자량은 아래의 표 1 과 같으며, 분석된 결과는 도3과 같다. 각 물질별로 주 분자량 범위대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시간에 따라 표시한 selected ion chromatogram과 측정된 분자량의 스펙트럼을 제시하였다.
번호 예상 분자량(m/z) 물질명
1 318.5 Steviol
2 480.6 Steviol monoside
steviol glucopyranosyl ester
3 642.4 Rubusoside
4 642.4 Steviol bioside
5 804.4 Dulcoside A
6 804.4 Stevioside
7 950.5 Rebaudioside C
8 966.5 Rebaudioside A
9 1129.7 Rebaudioside D
실험예 2: NO의 분비 억제 효능 확인
스테비올 및 다양한 스테비올 유도체를 60uM의 농도로 처리한 뒤 5% CO2와 함께 37℃에서 6시간 배양하였을 때, 1ug/mL LPS가 처리된 RAW 264.7에서 생성된 NO 량은 도 4와 같다. NO를 분석하기 위해 griess(1879)의 방법을 참조하여 진행하였다. NO 생성량은 LPS가 처리된 시료에서 20배 가량 증가하였으나, 스테비올(Sol),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GE), 리버디오사이드 A(RA)를 처리한 시험구의 경우 다소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GE),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오사이드, 리버디오사이드 A를 각각 60uM씩 처리하였을 때, NO 생성량이 LPS 처리군에 비해 45%, 0%, 1%, 1% 만큼 감소하였으며, 각 구조에서 에스테르 결합이 제거된 스테비올, 스테비올모노사이드, 스테비올바이오사이드, 리버디오사이드 B를 동량 처리한 경우에는 NO 생성량이 LPS 처리군에 비해 13%, 0%, 3%, 0%만큼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GE)는 증가된 NO 생성량이 40% 가량 감소되어 기존에 항염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스테비올 보다 강한 항염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험예 3: 염증지표 단백질 생성량 측정
스테비올 배당체 25-100ug/mL의 농도로 처리한 뒤 5% CO2와 함께 37℃에서 6시간 배양하였을 때, 1ug/mL LPS가 처리된 RAW 264.7에서 생성된 IL-1a, COX2, iNOS, NF-κB의 mRNA 생성량을 RT-PCR로 분석하고,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분석된 모든 염증유발 단백질의 mRNA 생성량이 실시예1을 통해 제조된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처리한 경우,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스테비올을 처리하였을 때에 비하여 발현억제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함유한 조성물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들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의 표 2와 같은 조성을 갖도록 공지 방법을 이용하여 유연 화장수(스킨로션)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0.3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 밀크로션 )
하기의 표 3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공지 방법을 이용하여 영양 화장수(밀크로션)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0.3
스쿠알란 4.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의 표 4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공지 방법을 이용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마사지크림
하기의 표 5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공지 방법을 이용하여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4.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팩
하기의 표 6와 같은 조성을 갖도록 공지 방법을 이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1.0
폴리비닐알코올 12.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핑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6: 젤
하기의 표 7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공지 방법을 이용하여 젤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0.3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피이지-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7: 연고
하기의 표 8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공지 방법을 이용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1.0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5.0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바셀린 5.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쉐어버터 3.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10.0
프로필렌글리콜 10.2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8: 국소 투여용 약제( 패취제 )
하기의 표 9와 같은 조성을 갖도록 공지 방법을 이용하여 패취제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 1.2
헥실렌글리콜 20.0
디에틸아민 0.7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0
아황산나트륨 0.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0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 (Cetomacrogol 1000) 1.0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
(Cetiol LC)
2.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3.0
정제수 to 100
제형예 7: 과일주스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mL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5)

  1.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teviol glucopyranosyl ester)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2.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teviol glucopyranosyl ester)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3.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steviol glucopyranosyl ester)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성 식품.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8728A 2017-09-15 2017-09-15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7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728A KR101877484B1 (ko) 2017-09-15 2017-09-15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728A KR101877484B1 (ko) 2017-09-15 2017-09-15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484B1 true KR101877484B1 (ko) 2018-07-13

Family

ID=6291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728A KR101877484B1 (ko) 2017-09-15 2017-09-15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6321A (zh) * 2021-07-07 2021-10-08 珠海沅芷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用异甜菊醇制备皮肤美白和抗黑色素生成的化妆品制剂的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4828A2 (en) * 2007-05-04 2008-11-13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Tissue degeneration protection
WO2017009294A1 (en) * 2015-07-10 2017-01-19 Dsm Ip Assets B.V. Steviol glycosid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4828A2 (en) * 2007-05-04 2008-11-13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Tissue degeneration protection
WO2017009294A1 (en) * 2015-07-10 2017-01-19 Dsm Ip Assets B.V. Steviol glycoside composition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60(24), 6210-6216, 2012. *
J. Agric. Food Chem. 60(24), 6210-6216, 2012.*
Plant Physiol., 95, 152-156, 1991. *
WO 2008/134828A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6321A (zh) * 2021-07-07 2021-10-08 珠海沅芷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用异甜菊醇制备皮肤美白和抗黑色素生成的化妆品制剂的应用
CN113476321B (zh) * 2021-07-07 2023-09-22 珠海沅芷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用异甜菊醇制备皮肤美白和抗黑色素生成的化妆品制剂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574B1 (ko)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EP1649864B1 (en) Periodontal disease therapeutic and/or preventive composition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686112B1 (ko) 락토바실러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 및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5893324B2 (ja) メチルメルカプタン抑制剤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20180065799A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77484B1 (ko) 스테비올 글루코피라노실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54386A (ko) 트리신 포접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JP2848688B2 (ja) 口腔用組成物
KR102077069B1 (ko) 갯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미백 개선용 조성물
WO2017018336A1 (ja) 抗炎症剤
KR102075849B1 (ko) 흑효모 균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항염 및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441009B1 (ko) 인삼으로부터 화합물을 추출하는 방법,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1398549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043758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102302072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비트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비트 발효 추출물
KR20140110375A (ko) 인동초 식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077991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54638B1 (ko) 스테비올 또는 스테비올 배당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KR20200016610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102154140B1 (ko) 튤립 잎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및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