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052B1 -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052B1
KR101877052B1 KR1020110095090A KR20110095090A KR101877052B1 KR 101877052 B1 KR101877052 B1 KR 101877052B1 KR 1020110095090 A KR1020110095090 A KR 1020110095090A KR 20110095090 A KR20110095090 A KR 20110095090A KR 101877052 B1 KR101877052 B1 KR 101877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led
discharge
shutter
state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009A (ko
Inventor
데쯔야 나까지마
가쯔히데 가또오
다까시 오꾸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44412A external-priority patent/JP55762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4441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9835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046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1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 A01D41/1272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기인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곡립 탱크에 저류한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의 배출을 정지하는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곡립 배출 장치에, 곡립 배출 장치의 곡립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한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에 있어서,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면, 미리 설정한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은 경우에는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곡립 배출구의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곡립 배출구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는 곡립 센서를 구비하고,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면,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는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구의 이동을 검지했을 때에 다시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는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GRAIN DISCHARGING STRUCTURE OF COMBINE}
본 발명은, 곡립 탱크에 저류한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의 배출을 정지하는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곡립 배출 장치에,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곡립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한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로는, 곡립 배출 레버의 배출 조작시에 개폐 셔터(셔터)가 개방되고, 곡립 배출 레버의 배출 정지 조작시에 개폐 셔터가 폐쇄되도록 개폐 셔터를 곡립 배출 레버에 관련시켜 연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11511호 공보(단락 번호 0011)
상기의 구성에서는,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도, 곡립 배출 레버의 배출 정지 조작을 행하면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셔터의 폐쇄 상태로의 전환에 기인하여 곡립이나 셔터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웠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기인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곡립 탱크에 저류한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의 배출을 정지하는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곡립 배출 장치에,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곡립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한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면, 미리 설정한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단순히 곡립 배출 장치의 곡립 배출 상태로부터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에 따라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곡립 배출 장치의 곡립 배출 상태로부터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과 함께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에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때문에, 그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을 곡립 배출구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해소하는 조건으로 설정해 두면,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을 때에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가 없으며, 곡립 배출구에서의 곡립의 체류가 해소된 단계에서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기인해서 곡립이나 셔터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제1 과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를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의 소정 시간의 경과를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일반적으로는, 곡립 배출 장치를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면, 그 직후에, 곡립의 배출 개소를 변경하기 위한 곡립 배출구의 이동 조작, 혹은, 곡립 배출구를 소정의 작업 종료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곡립 배출구의 이동 조작 등을 행하기 때문에,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는, 곡립 배출구의 이동 조작이 행해져서 곡립 배출구에서의 곡립의 체류가 해소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고려하여,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의 소정 시간의 경과를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으로 설정하여, 그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기인해서 곡립이나 셔터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제1 과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곡립 배출구 또는 상기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는 곡립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은 것을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는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고,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해도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셔터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기인해서 곡립이나 셔터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를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제1 과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를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과 상기 곡립 배출구 또는 상기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는 곡립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은 것을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의 소정 시간을, 곡립 배출 장치를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의 곡립 배출 장치의 관성으로 곡립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이 없어지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곡립 배출 장치를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의 곡립 배출 장치의 관성으로 곡립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이 없어졌을 때의 적절한 시기에 곡립 센서가 검출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구 또는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그 판별 결과에서 곡립 배출구 또는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지 않은 경우는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고, 곡립 배출구 또는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경우에는 셔터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기인해서 곡립이나 셔터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를, 곡립 배출 장치를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의 곡립 배출 장치의 관성으로 곡립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을 고려한 상태에서,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제3 또는 제4의 과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나서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검출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되어도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예를 들어 곡립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곡립을 가마니에 바로 저류하는 포장 작업에 있어서, 곡립이 가득참으로써 곡립 센서가 곡립 배출구 또는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한 후에 곡립 배출 장치를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면, 이때의 곡립 센서의 검출에 기초하여 셔터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저류가 완료된 가마니를 빈 가마니로 교환함으로써 곡립 센서가 곡립 배출구 또는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게 되어도 셔터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곡립 배출구로부터 배출하는 곡립을 가마니에 바로 저류하는 포장 작업에 있어서, 저류가 완료된 가마니를 빈 가마니로 교환할 때마다 셔터가 불필요하게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곡립 탱크에 저류한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의 배출을 정지하는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곡립 배출 장치에,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곡립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한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곡립 배출구 또는 상기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는 곡립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면,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구의 이동을 검지했을 때에, 다시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단순히 곡립 배출 장치의 곡립 배출 상태로부터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에 따라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해서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고,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해도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셔터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셔터의 폐쇄 상태로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곡립 배출 장치를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한 단계에서는 셔터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도,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 후에, 곡립의 배출 개소를 변경하기 위한 곡립 배출구의 이동 조작, 혹은, 곡립 배출구를 소정의 작업 종료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곡립 배출구의 이동 조작 등을 행하면, 배출 개소에서 퇴적되는 곡립으로부터 곡립 배출구가 멀어짐으로써 곡립 배출구 또는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가 해소되어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게 되므로,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기인해서 곡립이나 셔터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 후에, 곡립의 배출 개소를 변경하기 위한 곡립 배출구의 이동 조작, 혹은, 곡립 배출구를 소정의 작업 종료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곡립 배출구의 이동 조작 등을 행하면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곡립의 배출 개소를 변경하기 위한 곡립 배출구의 이동 조작이나 곡립 배출구를 소정의 작업 종료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곡립 배출구의 이동 조작 등의 경우에 곡립 배출구로부터 곡립이 흘러 떨어지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제6 과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를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의 소정 시간을, 곡립 배출 장치를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의 곡립 배출 장치의 관성으로 곡립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이 없어지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설정함으로써, 곡립 배출 장치를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의 곡립 배출 장치의 관성으로 곡립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이 없어졌을 때의 적절한 시기에 곡립 센서가 검출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이 곡립 배출구 또는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판별하게 된다.
그리고, 그 판별 결과에서 곡립 배출구 또는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지 않은 경우는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고, 곡립 배출구 또는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경우에는 셔터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곡립 배출구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것에 기인해서 곡립이나 셔터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를, 곡립 배출 장치를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의 곡립 배출 장치의 관성으로 곡립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을 고려한 상태에서,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제6 또는 제7 과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체의 주행으로 상기 곡립 배출구의 이동을 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기체의 주행으로 곡립 배출구를 이동시킴으로써, 배출 개소에서 퇴적되는 곡립으로부터 곡립 배출구가 멀어져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게 되면,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기체의 주행시에 곡립 배출구로부터 곡립이 흘러 떨어지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제6 또는 제7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곡립 배출 장치에 승강 요동 가능하게 장비한 반출 컨베이어에 상기 곡립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승강 요동으로 상기 곡립 배출구의 이동을 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반출 컨베이어를 승강 요동시킴으로써, 배출 개소에서 퇴적되는 곡립으로부터 곡립 배출구가 멀어져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게 되면,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반출 컨베이어를 승강 요동시킬 때에 곡립 배출구로부터 곡립이 흘러 떨어지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제6 또는 제7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곡립 배출 장치에 선회 가능하게 장비한 반출 컨베이어에 상기 곡립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선회로 상기 곡립 배출구의 이동을 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반출 컨베이어를 선회시킴으로써, 배출 개소에서 퇴적되는 곡립으로부터 곡립 배출구가 멀어져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게 되면,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반출 컨베이어를 선회시킬 때에 곡립 배출구로부터 곡립이 흘러 떨어지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과제 해결 수단에서는, 상기 제9 또는 제10 과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미리 설정한 수납 위치로의 도달을 검지하면,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반출 컨베이어가 수납 위치에 도달하면 셔터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반출 컨베이어를 수납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의 주행시에 곡립 배출구로부터 곡립이 흘러 떨어지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도.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셔터를 개방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우측면도.
도 4는 셔터를 폐쇄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우측면도.
도 5는 셔터를 개방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6은 셔터를 폐쇄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7은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셔터 폐쇄 제어의 흐름도.
도 9는 반출 컨베이어 수납 제어의 흐름도.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셔터 폐쇄 제어의 흐름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례로서,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를, 콤바인의 일례인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한 제1 실시 형태를 도면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자탈형 콤바인은, 주행 기체(1)의 전방부 우측에 탑승 운전부(2)를 형성하고, 주행 기체(1)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의 크롤러(3)를 배치하고 있다. 주행 기체(1)의 전방부에는, 기체의 주행에 따라 수확 대상인 미예취 곡물대를 예취해서 반송하는 예취 반송 장치(4)를, 주행 기체(1)로부터 기체 전방을 향해 연장한 상태에서 승강 요동 가능하게 장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1)의 후방부 좌측에는, 예취 반송 장치(4)로부터의 예취 후의 곡물대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고, 탈곡 처리에서 얻은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장치(5)를 탑재하고 있다. 주행 기체(1)의 후방부 우측에는, 탈곡 장치(5)에서의 탈곡 처리 및 선별 처리에서 얻은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6)를 탑재하고 있다. 탈곡 장치(5)의 후단부에는, 탈곡 처리 후의 곡물대인 배출 볏짚을 세단해서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배출 볏짚 세단 장치(7)가 연결되어 있다. 곡립 탱크(6)에는, 곡립 탱크(6)에 저류한 곡립의 기체 외부로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스크류 반송식의 곡립 배출 장치(8)를 장비하고 있다.
곡립 배출 장치(8)는, 곡립 탱크(6)에 저류한 곡립을 곡립 탱크(6)의 저부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반송 컨베이어(9)에 의해 곡립 탱크(6)의 저부 후방으로 반송하고, 반송 컨베이어(9)가 반송한 곡립을 반송 컨베이어(9)의 후단부에 연결한 리프팅 컨베이어(10)에 의해 리프팅하고, 리프팅 컨베이어(10)가 리프팅한 곡립을 리프팅 컨베이어(10)의 상단부에 중계 컨베이어(11)를 통해 연결한 반출 컨베이어(12)에 의해 기체 외부로 반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9)는, 전단부가 곡립 탱크(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곡립 탱크(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반송 스크류(13), 및 반송 스크류(13)의 후단부를 덮는 동시에 리프팅 컨베이어(10)와의 연통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하부 케이스(14)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송 스크류(13)의 전단부에는, 주행 기체(1)의 전방부 우측에 배치한 엔진(15)으로부터 곡립 배출 장치(8)로의 전동을 단속하는 배출 클러치(16)가 접속되어 있다.
리프팅 컨베이어(10)는, 하단부를 반송 스크류(13)의 후단부에 베벨 기어식 전동 기구(17)를 통해 연동 연결하는 리프팅 스크류(18), 및 하단부를 하부 케이스(14)의 상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내부 삽입한 원통 형상의 리프팅 케이스(19)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계 컨베이어(11)는, 일단부를 리프팅 스크류(18)의 상단부에 베벨 기어식 전동 기구(20)를 통해 연동 연결하는 횡방향의 중계 스크류(도시하지 않음), 하단부를 리프팅 케이스(19)의 상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한 "く" 형상의 원통 형상의 제1 케이스(21), 및 일단부를 제1 케이스(21)의 상단부에 중계 스크류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내부 삽입한 "く" 형상의 원통 형상의 제2 케이스(22)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12)는, 일단부를 중계 스크류의 타단부에 베벨 기어식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연동 연결하는 반출 스크류(23) 및, 일단부를 제2 케이스(22)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한 원통 형상의 반출 케이스(24)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출 케이스(24)의 타단부에는, 이 타단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횡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의 배출 케이스(25)를 연통 접속하고 있고, 이 배출 케이스(25)에 의해 하향으로 직사각형의 곡립 배출구(26)를 형성하고 있다. 배출 케이스(25)의 내부에는, 횡방향의 지지축(27)을 지지점으로 한 상하 요동으로 곡립 배출구(26)를 개폐하는 셔터(28)를 장비하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9)의 하부 케이스(14)에는, 리프팅 스크류(18)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해서 리프팅 케이스(19)를 회전시키고, 반출 컨베이어(12)를 리프팅 스크류(18)의 회전 중심을 지지점으로 해서 선회시킴으로써, 곡립 배출구(26)를 선회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곡립 배출구(26)의 선회 방향에서의 위치를 변경하는 웜 감속기 장착 전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선회 모터(29), 및 리프팅 케이스(19)의 회전각을 반출 컨베이어(12)의 선회 위치로서 검출하는 다회전형의 포텐시오미터로 이루어지는 선회 센서(30)를 장비하고 있다.
또한, 리프팅 컨베이어(10)와 반출 컨베이어(12)에 걸쳐서, 중계 컨베이어(11)의 중계 스크류를 지지점으로 해서 반출 컨베이어(12)를 승강 요동시킴으로써, 곡립 배출구(26)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곡립 배출구(26)의 높이 위치를 변경하는 단동식의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승강 실린더(31)가 가설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12)의 배출 케이스(25)에는, 셔터(28)를 횡방향의 지지축(27)을 지지점으로 해서 개폐 요동시키는 웜 감속기 장착의 전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개폐 모터(32), 셔터(28)의 개폐를 검출하는 단회전형의 포텐시오미터로 이루어지는 개폐 센서(33), 및 배출 케이스(2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한 연질 투명 수지제의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의 곡립의 퇴적을 검출 함으로써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는 감압식의 곡립 센서(35)를 장비하고 있다.
개폐 모터(32)는, 그 출력축(32A)과 일체 회전하는 캠(36)을 회전시켜서 셔터(28)에 대한 캠(36)의 작용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셔터(28)를 하향의 개방 자세와 횡방향의 폐쇄 자세에 걸쳐서 개폐 요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 센서(33)는, 캠(36)의 회전에 수반하는 검출 아암(37)의 요동 변위로 셔터(28)의 개폐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립 센서(35)는, 배출 케이스(25)로부터 배출 부츠(34)의 내부까지 하향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38)의 하단부에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트럭의 짐받이에 곡립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곡립 배출 장치(8)의 곡립 배출구(26)로부터 배출되어 짐받이에 퇴적되는 곡립이 짐받이의 상방에 위치하는 배출 부츠(34)에 도달해서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퇴적되는 상태[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는 상태]에 이르면, 그 상태를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퇴적되는 곡립의 압력으로부터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마니에 곡립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곡립 배출 장치(8)의 곡립 배출구(26)로부터 배출되어 가마니에 저류되는 곡립이 가마니의 개구로부터 끼워 넣은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퇴적되는 상태[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는 상태]에 이르면, 그 상태를 가마니가 가득 찬 상태로 하여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퇴적되는 곡립의 압력으로부터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클러치(16)는, 웜 감속기 장착의 전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클러치 모터(39)의 작동으로 엔진(15)으로부터 곡립 배출 장치(8)로 전동하는 온 상태와 엔진(15)으로부터 곡립 배출 장치(8)로의 전동을 차단하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자탈형 콤바인에는, CPU나 EEPROM 등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해서 구성한 제어 수단으로서의 전자 제어 유닛(이하, ECU라고 약칭함)(40)이 탑재되어 있다. ECU(40)에는, 시간의 경과를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40A)을 구비하는 동시에 선회 센서(30), 개폐 센서(33) 및 곡립 센서(35) 등의 검출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탑승 운전부(2)에는,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반출 컨베이어(12)를 상승 요동시키기 위한 상승 지령을 ECU(40)에 출력하는 모멘터리식의 상승 스위치(41),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반출 컨베이어(12)를 하강 요동시키기 위한 하강 지령을 ECU(40)에 출력하는 모멘터리식의 하강 스위치(42),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반출 컨베이어(12)를 좌선회시키기 위한 좌선회 지령을 ECU(40)에 출력하는 모멘터리식의 좌선회 스위치(43),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에, 반출 컨베이어(12)를 우선회시키기 위한 우선회 지령을 ECU(40)에 출력하는 모멘터리식의 우선회 스위치(44), 누름 조작에 기초하여 곡립 배출 장치(8)를 곡립 배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곡립 배출 지령을 ECU(40)에 출력하는 모멘터리식의 배출 스위치(45), 누름 조작에 기초하여 곡립 배출 장치(8)를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배출 정지 지령을 ECU(40)에 출력하는 모멘터리식의 정지 스위치(46), 및 누름 조작에 기초하여 반출 컨베이어(12)를 소정의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납 지령을 ECU(40)에 출력하는 모멘터리식의 수납 스위치(47) 등을 장비하고 있다.
ECU(40)는, 상승 스위치(41) 및 하강 스위치(42)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반출 컨베이어(12)를 승강 요동시키는 반출 컨베이어 승강 제어를 행한다. 상기 반출 컨베이어 승강 제어에서는, ECU(40)는, 상승 스위치(41)로부터 상승 지령이 출력되면, 그 상승 지령이 출력되어 있는 동안에, 승강 실린더(31)에 대한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기 제어 밸브로 이루어지는 승강 제어 밸브(48)를 승강 실린더(31)에 오일을 공급하는 공급 상태로 전환해서 승강 실린더(31)를 신장 작동시킴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를 상승 요동시킨다. 상승 스위치(41)로부터의 상승 지령의 출력이 정지되면, 승강 제어 밸브(48)를 승강 실린더(31)에 대한 오일의 급배를 정지하는 급배 정지 상태로 전환해서 승강 실린더(31)를 작동 정지시킴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의 상승 요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하강 스위치(42)로부터 하강 지령이 출력되면, 그 하강 지령이 출력되어 있는 동안에, 승강 제어 밸브(48)를 승강 실린더(31)로부터 오일을 배출하는 배출 상태로 전환해서 승강 실린더(31)를 단축 작동시킴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를 하강 요동시킨다. 하강 스위치(42)로부터의 하강 지령의 출력이 정지되면, 승강 제어 밸브(48)를 급배 정지 상태로 전환해서 승강 실린더(31)를 작동 정지시킴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의 하강 요동을 정지시킨다.
즉, 상승 스위치(41) 또는 하강 스위치(42)를 조작함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를 상승 요동 또는 하강 요동시킬 수 있어, 곡립 배출 장치(8)의 곡립 배출구(26)를 임의의 높이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ECU(40)는, 좌선회 스위치(43) 및 우선회 스위치(44)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반출 컨베이어(12)를 선회시키는 반출 컨베이어 선회 제어를 행한다. 상기 반출 컨베이어 선회 제어에서는, ECU(40)는, 좌선회 스위치(43)로부터 좌선회 지령이 출력되면, 그 좌선회 지령이 출력되어 있는 동안에, 리프팅 컨베이어(10)의 리프팅 케이스(19)가 좌측으로 회전하도록 선회 모터(29)를 정회전 작동시킴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를 좌측으로 선회시킨다. 좌선회 스위치(43)로부터의 좌선회 지령의 출력이 정지되면, 선회 모터(29)의 정회전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의 좌회전 선회를 정지시킨다. 또한, 우선회 스위치(44)로부터 우선회 지령이 출력되면, 그 우선회 지령이 출력되어 있는 동안에, 리프팅 컨베이어(10)의 리프팅 케이스(19)가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선회 모터(29)를 역회전 작동시킴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를 우측으로 선회시킨다. 우선회 스위치(44)로부터의 우선회 지령의 출력이 정지되면, 선회 모터(29)의 역회전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의 우회전 선회를 정지시킨다.
즉, 좌선회 스위치(43) 또는 우선회 스위치(44)를 조작함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를 좌선회 또는 우선회시킬 수 있어, 곡립 배출 장치(8)의 곡립 배출구(26)를 선회 방향에서의 임의의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ECU(40)는, 배출 스위치(45)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곡립 배출 장치(8)를 배출 정지 상태로부터 곡립 배출 상태로 전환하는 곡립 배출 제어를 행한다. 상기 곡립 배출 제어에서는, ECU(40)는, 배출 스위치(45)로부터 곡립 배출 지령이 출력되면, 선회 센서(3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반출 컨베이어(12)의 선회 위치가 미리 설정한 반출 컨베이어(12)의 수납 선회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배출 정지 영역[예를 들어, 반출 컨베이어(12)의 수납 선회 위치와 반출 컨베이어(12)가 탑승 운전부(2)의 상방을 가로지르는 상태가 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기체의 전방부 우측의 영역]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배출 정지 영역이면, 배출 스위치(45)로부터의 곡립 배출 지령에 관계없이, 개폐 모터(32) 및 클러치 모터(39)를 작동시키지 않고 셔터(28)를 폐쇄 자세로 유지하는 동시에 배출 클러치(16)를 오프 상태로 유지해서 곡립 배출 장치(8)를 배출 정지 상태로 유지한다. 배출 정지 영역이 아니면, 개폐 센서(33)의 출력에 기초하여 셔터(28)가 개방 자세로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셔터(28)가 개방 자세이면, 클러치 모터(39)를 정회전 작동시켜서 배출 클러치(16)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곡립 배출 장치(8)를 배출 정지 상태로부터 곡립 배출 상태로 전환한다. 셔터(28)가 개방 자세가 아니면, 개폐 모터(32)를 작동시켜서 셔터(28)를 폐쇄 자세에서 개방 자세로 하강 요동시킨다. 그리고, 이때의 개폐 모터(32)의 작동으로 셔터(28)의 개방 자세로의 전환을 개폐 센서(33)가 검출하면, 이때의 개폐 센서(33)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클러치 모터(39)를 정회전 작동시켜서 배출 클러치(16)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곡립 배출 장치(8)를 배출 정지 상태로부터 곡립 배출 상태로 전환한다.
즉, 곡립 배출 장치(8)의 곡립 배출구(26)를 배출 정지 영역을 제외한 임의의 반출 위치에 위치시킨 후, 배출 스위치(45)를 조작함으로써 곡립 배출 장치(8)를 배출 정지 상태로부터 곡립 배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ECU(40)는, 정지 스위치(46)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곡립 배출 장치(8)를 곡립 배출 상태로부터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배출 정지 제어를 행한다. 상기 배출 정지 제어에서는, ECU(40)는, 정지 스위치(46)로부터 배출 정지 지령이 출력되면, 클러치 모터(39)를 역회전 작동시켜서 배출 클러치(16)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곡립 배출 장치(8)를 곡립 배출 상태로부터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하는 동시에,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하는 셔터 폐쇄 제어를 개시한다. 즉, ECU(40)는, 정지 스위치(46)로부터 배출 정지 지령이 출력됨으로써 곡립 배출 장치(8)의 곡립 배출 상태로부터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폐쇄 제어에서는, ECU(40)는, 배출 클러치(16)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의 전환과 함께 시간 측정 수단(40A)에 의한 시간 측정을 개시하여, 배출 클러치(16)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1].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곡립 센서(35)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지의 여부[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2]. 곡립이 퇴적되지 않았으면, 개폐 모터(32)를 작동시켜서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해서 셔터 폐쇄 제어를 종료한다[#3]. 곡립이 퇴적되어 있으면, 개폐 모터(32)를 작동시키지 않고 셔터(28)를 개방 자세로 유지한다[#4]. 그리고, 배출 스위치(45)로부터 곡립 배출 지령이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배출 스위치(45)로부터 곡립 배출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는 곡립 배출 제어로 이행한다[#5]. 배출 스위치(45)로부터 곡립 배출 지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승 스위치(41) 또는 하강 스위치(42)로부터 상승 지령 또는 하강 지령이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6]. 상승 스위치(41) 또는 하강 스위치(42)로부터 상승 지령 또는 하강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는, 상술한 반출 컨베이어 승강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시간 측정 수단(40A)에 의한 시간 측정을 개시해서 상승 지령 또는 하강 지령이 출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7, #8].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그 시점에서의 곡립 센서(35)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지의 여부[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9], 곡립이 퇴적되지 않았으면, 개폐 모터(32)를 작동시켜서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해서 셔터 폐쇄 제어를 종료한다[#3]. #6에서 상승 스위치(41) 또는 하강 스위치(42)로부터 상승 지령 또는 하강 지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 및 #9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선회 스위치(43) 또는 우선회 스위치(44)로부터 좌선회 지령 또는 우선회 지령이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10]. 좌선회 스위치(43) 또는 우선회 스위치(44)로부터 좌선회 지령 또는 우선회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는, 상술한 반출 컨베이어 선회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시간 측정 수단(40A)에 의한 시간 측정을 개시해서 좌선회 지령 또는 우선회 지령이 출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0.5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11, #12].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그 시점에서의 곡립 센서(35)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지의 여부[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13], 곡립이 퇴적되지 않았으면, 개폐 모터(32)를 작동시켜서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해서 셔터 폐쇄 제어를 종료한다[#3]. #10에서 좌선회 스위치(43) 또는 우선회 스위치(44)로부터 좌선회 지령 또는 우선회 지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 및 #13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납 스위치(47)로부터 수납 지령이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14]. 수납 스위치(47)로부터 수납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는, 반출 컨베이어 수납 제어를 실행해서 셔터 폐쇄 제어를 종료한다[#15]. 수납 스위치(47)로부터 수납 지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는 #5로 복귀되어, 배출 스위치(45)로부터 곡립 배출 지령이 출력되거나, 수납 스위치(47)로부터 수납 지령이 출력되거나, 또는, 셔터(28)가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될 때까지 #5 내지 #14의 제어를 반복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출 컨베이어 수납 제어에서는, ECU(40)는, 미리 설정한 상한 위치에 대한 반출 컨베이어(12)의 도달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상한 센서(49)의 출력에 기초하여 반출 컨베이어(12)가 상한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1]. 상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상한 센서(49)의 출력에 기초하여 승강 제어 밸브(48)의 작동을 제어해서 승강 실린더(31)를 신장 작동시킴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를 상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자동 상승시키는 자동 상승 제어를 행한다[#2]. 반출 컨베이어(12)가 상한 위치에 도달하였으면, 선회 센서(3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반출 컨베이어(12)가 미리 설정한 수납 선회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3]. 수납 선회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선회 센서(30)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선회 모터(29)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를 수납 선회 위치까지 자동 선회시키는 자동 선회 제어를 행한다[#4]. 반출 컨베이어(12)가 수납 선회 위치에 도달하였으면, 반출 컨베이어(12)를 미리 설정한 수납 위치에서 받도록 구성한 수용구(50)(도 1 및 도 2 참조)에 구비한 리미트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수납 센서(51)의 출력에 기초하여, 반출 컨베이어(12)가 수납 위치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5]. 수납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수납 센서(51)의 출력에 기초하여 승강 제어 밸브(48)의 작동을 제어해서 승강 실린더(31)를 단축 작동시킴으로써 반출 컨베이어(12)를 수납 위치까지 자동 하강시키는 자동 하강 제어를 행한다[#6]. 반출 컨베이어(12)가 수납 위치에 도달하였으면, 개폐 센서(33)의 출력에 기초하여 셔터(28)가 폐쇄 자세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셔터(28)가 폐쇄 자세이면 반출 컨베이어 수납 제어를 종료한다[#7]. 셔터(28)가 폐쇄 자세가 아니면, 개폐 모터(32)를 작동시켜서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한 후에 반출 컨베이어 수납 제어를 종료한다[#8].
즉, 상기 곡립 배출 구조에서는, 배출 클러치(16)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곡립 배출 장치(8)의 곡립 배출 상태로부터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에 수반하여 즉시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배출 클러치(16)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의 전환에 수반하여,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 상태[곡립 배출구(26)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가 해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별하고,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의 곡립의 퇴적이 해소된 단계에서 셔터(28)를 자동적으로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 클러치(16)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의 전환으로 자동적으로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하는 것이면서, 곡립 배출구(26)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하는 것에 기인하여 곡립 배출구(26)에서 체류하는 곡립이 반출 컨베이어(12)의 내부로 되돌아가는 문제나, 그 되돌아간 곡립이 곡립 배출 작업 종료 후의 이동 주행시 등에 곡립 배출구(26)와 셔터(28)의 간극으로부터 흘러 떨어지는 문제, 혹은, 곡립이나 셔터(28)가 손상되는 문제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 클러치(16)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곡립 센서(35)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의 곡립의 퇴적[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을 판별함으로써, 배출 클러치(16)를 오프 상태로 전환한 후의 곡립 배출 장치(8)의 관성으로 곡립 배출구(26)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도 고려하여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의 곡립의 퇴적을 판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술한 문제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곡립 센서(35)의 출력에 기초하여 셔터(28)를 개방 자세로 유지한 후에는, 적어도, 상승 스위치(41)의 조작, 하강 스위치(42)의 조작, 좌선회 스위치(43)의 조작, 우선회 스위치(44)의 조작, 및 수납 스위치(47)의 조작 중 어느 하나를 행하지 않는 한, 곡립 센서(35)가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의 곡립의 퇴적을 검출하는 상태로부터 검출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되어도, 셔터(28)가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곡립 배출구(26)로부터 배출하는 곡립을 가마니에 바로 저류하는 포장 작업에 있어서, 곡립 센서(35)가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의 곡립의 퇴적을 검출한 후에, 정지 스위치(46)를 조작해서 곡립 배출 장치(8)를 배출 정지 상태로부터 곡립 배출 상태로 전환하면, 곡립 센서(35)가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의 곡립의 퇴적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셔터(28)가 개방 자세를 유지하고, 그 후, 저류가 완료된 가마니를 빈 가마니로 교환함으로써 곡립 센서(35)가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의 곡립의 퇴적을 검출하지 않게 되어도 셔터(28)가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저류가 완료된 가마니를 빈 가마니로 교환할 때마다 셔터(28)가 불필요하게 폐쇄 자세로 전환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트럭의 짐받이 등에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작업시에 있어서, 앞선 배출 대상 개소가 가득 차서 다음의 배출 대상 개소로 곡립 배출구(26)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앞선 배출 대상 개소에서 퇴적된 곡립이 배출 부츠(34)에 도달해서 곡립 센서(35)가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의 곡립의 퇴적을 검출하였어도, 곡립 배출구(26)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승 스위치(41)의 조작, 하강 스위치(42)의 조작, 좌선회 스위치(43)의 조작, 또는, 우선회 스위치(44)의 조작을 행하여 반출 컨베이어(12)를 승강 혹은 선회시킴으로써, 곡립 센서(35)가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의 곡립의 퇴적을 검출하지 않게 되면, 셔터(28)가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되기 때문에, 앞선 배출 대상 개소로부터 다음의 배출 대상 개소로 곡립 배출구(26)를 이동시킬 때에 곡립 배출구(26)로부터 곡립이 흘러 떨어지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 스위치(47)를 조작하면, 반출 컨베이어(12)가 수납 위치에 도달한 단계에서는 반드시 셔터(28)가 폐쇄 자세로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반출 컨베이어(12)를 수납 위치로 위치시킨 이동 주행시에 곡립 배출구(26)로부터 곡립이 흘러 떨어지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반출 컨베이어(12)를 수납 위치에 위치시켜서 헛간 등에 저장한 경우, 쥐 등의 작은 동물이 곡립 배출구(26)로부터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례로서,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를, 콤바인의 일례인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한 제2 실시 형태를 도면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는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와 셔터 폐쇄 제어에서의 ECU(40)의 제어 작동이 상이할 뿐이므로, 셔터 폐쇄 제어에서의 ECU(40)의 제어 작동만을 설명하고, 다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 폐쇄 제어에서는, ECU(40)는, 배출 클러치(16)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의 전환과 함께 시간 측정 수단(40A)에 의한 시간 측정을 개시하여, 배출 클러치(16)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1].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곡립 센서(35)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지의 여부[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2]. 곡립이 퇴적되지 않았으면, 개폐 모터(32)를 작동시켜서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해서 셔터 폐쇄 제어를 종료한다[#3]. 곡립이 퇴적되었으면, 개폐 모터(32)를 작동시키지 않고 셔터(28)를 개방 자세로 유지한다[#4]. 그리고, 배출 스위치(45)로부터 곡립 배출 지령이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배출 스위치(45)로부터 곡립 배출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는 곡립 배출 제어로 이행한다[#5]. 배출 스위치(45)로부터 곡립 배출 지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는, 상승 스위치(41) 또는 하강 스위치(42)로부터 상승 지령 또는 하강 지령이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6]. 상승 스위치(41) 또는 하강 스위치(42)로부터 상승 지령 또는 하강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는, 상술한 반출 컨베이어 승강 제어를 실행하고, 그 후, 상승 스위치(41) 또는 하강 스위치(42)로부터의 상승 지령 또는 하강 지령이 출력 정지되면 반출 컨베이어 승강 제어를 종료한다[#7 내지 #9]. 그리고, 반출 컨베이어 승강 제어를 종료한 시점에서의 곡립 센서(35)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지의 여부[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10], 곡립이 퇴적되지 않았으면, 개폐 모터(32)를 작동시켜서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해서 셔터 폐쇄 제어를 종료한다[#3]. #6에서 상승 스위치(41) 또는 하강 스위치(42)로부터 상승 지령 또는 하강 지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 및 #10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좌선회 스위치(43) 또는 우선회 스위치(44)로부터 좌선회 지령 또는 우선회 지령이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11]. 좌선회 스위치(43) 또는 우선회 스위치(44)로부터 좌선회 지령 또는 우선회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는, 상술한 반출 컨베이어 선회 제어를 실행하고, 그 후, 좌선회 스위치(43) 또는 우선회 스위치(44)로부터의 좌선회 지령 또는 우선회 지령이 출력 정지되면 반출 컨베이어 선회 제어를 종료한다[#12 내지 #14]. 그리고, 반출 컨베이어 선회 제어를 종료한 시점에서의 곡립 센서(35)의 출력에 기초하여, 배출 부츠(34)의 내부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지의 여부[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 곡립이 체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15], 곡립이 퇴적되지 않았으면, 개폐 모터(32)를 작동시켜서 셔터(28)를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해서 셔터 폐쇄 제어를 종료한다[#3]. #11에서 좌선회 스위치(43) 또는 우선회 스위치(44)로부터 좌선회 지령 또는 우선회 지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 및 #15에서 곡립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납 스위치(47)로부터 수납 지령이 출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16]. 수납 스위치(47)로부터 수납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는, 반출 컨베이어 수납 제어를 실행해서 셔터 폐쇄 제어를 종료한다[#17]. 수납 스위치(47)로부터 수납 지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는 #5로 되돌아가서, 배출 스위치(45)로부터 곡립 배출 지령이 출력되거나, 수납 스위치(47)로부터 수납 지령이 출력되거나, 또는, 셔터(28)가 개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전환될 때까지 #5 내지 #16의 제어를 반복한다.
[다른 실시 형태]
[1] 콤바인으로는, 곡립 배출 장치(8)를 구비하는 것이면, 예취한 곡물대의 전체를 탈곡 장치(5)에 투입하도록 구성한 보통형(전간 투입형) 콤바인이어도 좋다.
[2] 탑승 운전부(2)에 배출 클러치 레버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 클러치 레버를 배출 클러치(16)에 연계 와이어 등으로 기계적으로 연계하여, 배출 스위치(45) 및 정지 스위치(46) 대신에 배출 클러치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레버 센서, 또는, 배출 클러치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센서 등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40)이, 레버 센서 또는 클러치 센서 등의 검출에 기초하여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3] 곡립 배출 장치(8)를, 배출 클러치(16)를 통한 엔진(15)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구성 대신에, 전동 모터 또는 유압 모터 등의 곡립 배출 장치 구동용의 액추에이터로 곡립 배출 장치(8)를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제어 수단(40)이, 배출 스위치(45)로부터의 곡립 배출 지령 및 정지 스위치(46)로부터의 배출 정지 지령에 기초하여 곡립 배출 장치 구동용의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제어 수단(40)이 정지 스위치(46)로부터의 배출 정지 지령에 기초하여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게 된다.
[4] 곡립 배출 장치(8)의 작동 상태로부터 곡립 배출 장치(8)가 작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곡립 배출 센서를 구비하여, 이 곡립 배출 센서의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5] 셔터 폐쇄 제어에 있어서는, 곡립 센서(35)를 구비하지 않고,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제어 수단(40)이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해서 셔터(2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 수단(40)이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했다고 판단해서 셔터(28)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6] 셔터 폐쇄 제어에 있어서는, 시간 측정 수단(40A)을 구비하지 않고,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해도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40)이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해서 셔터(2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 수단(40)이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했다고 판단해서 셔터(28)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7] 셔터 폐쇄 제어에 있어서는, 셔터(28)의 폐쇄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 수단(40)에 지령하는 예를 들어 모멘터리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폐쇄 상태 전환용의 수동식 지령 수단을 구비하여,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해도 수동식 지령 수단으로부터 폐쇄 지령이 출력되지 않은 경우는, 제어 수단(40)이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았다고 판단해서 셔터(2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수동식 지령 수단으로부터 폐쇄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 제어 수단(40)이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했다고 판단해서 셔터(28)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8] 셔터 폐쇄 제어에 있어서는, 셔터(28)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 수단(40)에 지령하는 예를 들어 모멘터리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개폐 상태 전환용의 수동식 지령 수단을 구비하여,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 수동식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폐쇄 지령의 출력을 검지한 경우에,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9] 셔터 폐쇄 제어에 있어서는, 셔터(28)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 수단(40)에 지령하는 예를 들어 모멘터리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개폐 상태 전환용의 수동식 지령 수단을 구비하여, 제어 수단(40)이 수동식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폐쇄 지령의 출력을 검지하고 나서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한 경우에,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은 경우에도, 수동식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폐쇄 지령에 의한 셔터(28)의 폐쇄 상태로의 전환을 견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0] 셔터(28)의 구성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셔터(28)를 미끄럼 이동으로 곡립 배출구(26)를 개폐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또한, 곡립 배출구(26)를 부분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1] 곡립 센서(35)로서 광 센서 등을 채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곡립 센서(35)를 곡립 배출구(26)의 내부에 장비하도록 해도 좋다.
[12] 곡립 배출 장치(8)로는, 반출 컨베이어(12)를 신축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버킷 컨베이어 또는 벨트 컨베이어 등을 사용해서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13] 셔터 폐쇄 제어에 있어서는, 시간 측정 수단(40A)을 구비하지 않고,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해도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40)이 셔터(2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 수단(40)이 셔터(28)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셔터(2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구(28)의 이동을 검지해도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40)이 셔터(2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구(28)의 이동을 검지하고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 수단(40)이 셔터(28)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4] 셔터 폐쇄 제어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해도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40)이 셔터(2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의 경과 후에 제어 수단(40)이 셔터(28)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셔터(28)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구(26)의 이동을 검지하고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구(26)의 이동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의 경과 후에 제어 수단(40)이 셔터(28)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5] 셔터 폐쇄 제어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40)이 곡립 배출구(26)의 이동의 검지에 기초하여 다시 곡립 센서(35)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경우에, 시간 측정 수단(40A)에 의한 시간 측정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좋다.
[16] 셔터 폐쇄 제어에 있어서는, 셔터(28)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 수단(40)에 지령하는 예를 들어 모멘터리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개폐 상태 전환용의 수동식 지령 수단을 구비하여, 제어 수단(40)이 수동식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폐쇄 지령의 출력을 검지하고 나서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한 경우에,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별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곡립 배출 장치(8)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곡립 센서(35)가 곡립 배출구(26) 또는 곡립 배출구(26)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도, 수동식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폐쇄 지령에 의한 셔터(28)의 폐쇄 상태로의 전환을 견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7] 반출 컨베이어(12)를 신축 가능하게 구성하여, 반출 컨베이어(12)를 신축시키는 전동 모터 등의 신축용 액추에이터, 반출 컨베이어(12)의 신장을 지령하는 신장 지령 수단, 및 반출 컨베이어(12)의 단축을 지령하는 단축 지령 수단 등을 구비하고, 제어 수단(40)이, 신장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신장 지령에 기초하여 신축용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서 반출 컨베이어(12)를 신장시키고, 단축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단축 지령에 기초하여 신축용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서 반출 컨베이어(12)를 단축시키도록 구성하고, 제어 수단(40)이, 신장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신장 지령 또는 단축 지령 수단으로부터의 단축 지령에 기초하여 곡립 배출구(26)의 이동을 검지하고, 신장 지령 또는 단축 지령에 기초하는 곡립 배출구(26)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 다시 곡립 센서(35)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8] 좌우의 각 크롤러(3)의 구동축에 크롤러(3)에 의한 기체의 주행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를 구비하여, 제어 수단(40)이, 그 회전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기체의 주행에 의한 곡립 배출구(26)의 이동을 검지하고, 이 기체의 주행에 의한 곡립 배출구(26)의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 다시 곡립 센서(35)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9] 제어 수단(40)이, 반출 컨베이어(12)의 미리 설정한 수납 선회 위치에의 도달을 검지하면 셔터(28)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제어 수단(40)이, 반출 컨베이어(12)의 미리 설정한 상한 위치에 대한 도달을 검지하면 셔터(28)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20] 곡립 배출 장치(8)로는, 버킷 컨베이어 또는 벨트 컨베이어 등을 사용해서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는, 곡립 배출 장치를 구비한 자탈형 콤바인 및 보통형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6 : 곡립 탱크 8 : 곡립 배출 장치
12 : 반출 컨베이어 26 : 곡립 배출구
28 : 셔터 35 : 곡립 센서
40 : 제어 수단 40A : 시간 측정 수단

Claims (12)

  1. 곡립 탱크에 저류한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의 배출을 정지하는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곡립 배출 장치에,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곡립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한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면, 미리 설정한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곡립 배출구 또는 상기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는 곡립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은 것을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으로 설정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2. 곡립 탱크에 저류한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의 배출을 정지하는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곡립 배출 장치에,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곡립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한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면, 미리 설정한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시간의 경과를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과 상기 곡립 배출구 또는 상기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는 곡립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은 것을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으로 설정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를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의 소정 시간의 경과를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으로 설정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셔터 폐쇄 조작용의 조건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나서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검출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되어도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6. 곡립 탱크에 저류한 곡립을 기체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의 배출을 정지하는 배출 정지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한 곡립 배출 장치에,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곡립 배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구비한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곡립 배출구 또는 상기 곡립 배출구의 근방에서의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는 곡립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면,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구의 이동을 검지했을 때에, 다시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셔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를 계측하는 시간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곡립 배출 장치의 배출 정지 상태로의 전환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곡립 센서가 곡립의 체류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기체의 주행으로 상기 곡립 배출구의 이동을 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배출 장치에 승강 요동 가능하게 장비한 반출 컨베이어에 상기 곡립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승강 요동으로 상기 곡립 배출구의 이동을 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배출 장치에 선회 가능하게 장비한 반출 컨베이어에 상기 곡립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선회로 상기 곡립 배출구의 이동을 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미리 설정한 수납 위치로의 도달을 검지하면,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반출 컨베이어의 미리 설정한 수납 위치로의 도달을 검지하면, 상기 셔터를 폐쇄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KR1020110095090A 2010-10-29 2011-09-21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KR101877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4412 2010-10-29
JPJP-P-2010-244413 2010-10-29
JP2010244412A JP5576243B2 (ja) 2010-10-29 2010-10-29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2010244413A JP5498350B2 (ja) 2010-10-29 2010-10-29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009A KR20120046009A (ko) 2012-05-09
KR101877052B1 true KR101877052B1 (ko) 2018-07-10

Family

ID=4626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090A KR101877052B1 (ko) 2010-10-29 2011-09-21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0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643A (ja) * 1996-09-03 1998-03-24 Iseki & Co Ltd 穀粒排出装置を備えたコンバイン
JP2002002800A (ja) * 2000-06-15 2002-01-09 Toppan Printing Co Ltd トップカバーテープ
JP2007006774A (ja) * 2005-06-30 2007-01-1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搬送装置
JP2008022800A (ja) * 2006-07-24 2008-02-07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643A (ja) * 1996-09-03 1998-03-24 Iseki & Co Ltd 穀粒排出装置を備えたコンバイン
JP2002002800A (ja) * 2000-06-15 2002-01-09 Toppan Printing Co Ltd トップカバーテープ
JP2007006774A (ja) * 2005-06-30 2007-01-1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搬送装置
JP2008022800A (ja) * 2006-07-24 2008-02-07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009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394B1 (ko) 콤바인
JP2008022800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KR101877052B1 (ko) 콤바인의 곡립 배출 구조
JP5498350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5632739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5770467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KR20170126848A (ko) 콤바인
JP2012095553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JP5576243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5588148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KR101718542B1 (ko) 곡립 반출 장치
JP5222269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JP2008022802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7239456B2 (ja) コンバイン
JP4125456B2 (ja) コンバイン
JP2011160708A (ja) コンバイン
JPH10290626A (ja) コンバインのアンローダ構造
JP2020048424A (ja) コンバイン
JP2008154478A (ja) コンバイン
JP3348346B2 (ja) コンバイン
JPH0220936Y2 (ko)
KR200365426Y1 (ko)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JP2008022801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2008072988A (ja) 脱穀装置の開閉操作構造
JP3230087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