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762B1 - 젓가락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젓가락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6762B1 KR101876762B1 KR1020160081067A KR20160081067A KR101876762B1 KR 101876762 B1 KR101876762 B1 KR 101876762B1 KR 1020160081067 A KR1020160081067 A KR 1020160081067A KR 20160081067 A KR20160081067 A KR 20160081067A KR 101876762 B1 KR101876762 B1 KR 1018767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ick
- plate
- magnet
- holder
- magnetic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더;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탈착되는 피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고, 음식물과 접촉하는 제1 단부를 가진 일정 길이의 제1 스틱; 및 상기 자성체에 탈착되는 피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접촉 또는 이격하는 제2 단부를 가진 일정 길이의 제2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며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젓가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며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젓가락은 비교적 단순한 사용법으로 음식물을 집어서 취식할 수 있도록 한 식사 도구이지만, 숙달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식물을 쉽게 집어 들고 취식하기 힘든 점이 있다.
특히, 젓가락 문화가 낯선 외국인이나, 어린이 등 미숙련자들의 경우는 장시간에 걸친 연습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손가락 사이에 젓가락을 위치시켜 사용하지 않더라도, 힌지와 스프링 등의 조합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숙련도에 관계없이 젓가락질을 하면서 취식할 수 있도록 한 선행기술이 무수히 많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모두 장치 전체가 조립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형태이므로, 각 부품이 결합된 부위에 음식물 찌꺼기나 양념 등이 완전히 세척되지 못하여, 세균이 번식하는 등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될 우려가 다분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며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홀더;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탈착되는 피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고, 음식물과 접촉하는 제1 단부를 가진 일정 길이의 제1 스틱; 및 상기 자성체에 탈착되는 피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접촉 또는 이격하는 제2 단부를 가진 일정 길이의 제2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일정 면적을 가진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일정 면적을 가진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틱 및 상기 제2 스틱이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체가 고정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 및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자성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자성체는, 상기 제1 스틱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홀더에 수용된 상기 자성체에 탈착 가능한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제1 돌편과, 상기 제2 스틱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홀더에 수용된 상지 자성체에 탈착 가능한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제2 돌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돌편과 상기 제2 돌편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가 탈착되도록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제1 자석과, 상기 제2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가 탈착되도록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일직선상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제1 스틱의 일단부인 상기 제1 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스틱의 타단부인 제3 단부와, 상기 제2 스틱의 일단부인 상기 제2 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스틱의 타단부인 제4 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바이어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홀더의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제2 플레이트 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제3 자석과, 상기 제3 자석의 일측면에 함몰되는 원호 형상의 제1 회동홈과, 상기 제3 자석의 타측면에 함몰되는 원호 형상의 제2 회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이 상기 제1 회동홈을 받침점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는 상기 제1 회동홈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제2 회동홈을 받침점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는 상기 제2 회동홈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홀더의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제2 플레이트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블록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되는 제4 자석과,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외측면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4 자석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5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이 상기 제4 자석의 외측면을 받침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는 상기 제4 자석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제5 자석의 외측면을 받침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는 상기 제5 자석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에 수용된 자성체에 제1 스틱 및 제2 스틱이 탈착 가능하도록 각각 피자성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 스틱 및 제2 스틱이 홀더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되, 홀더로부터 제1 스틱과 제2 스틱 및 자성체 등을 전부 분해하거나 재조립할 수 있으므로, 모든 부품을 세척 가능하기 때문에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주요부인 홀더의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를 제거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주요부인 홀더의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를 제거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주요부인 홀더의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를 제거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해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스틱(10, 20)과 홀더(30) 및 자성체(5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홀더(30)는 후술할 자성체(50) 및 제1, 2 스틱(10, 20) 각각의 피자성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자성체(50)는 홀더(3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수용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1, 2 스틱(10, 20) 각각의 피자성체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력(磁力)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제1 스틱(10)은 자성체(50)에 탈착되는 피자성체를 포함하며 홀더(3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고, 음식물과 접촉하는 제1 단부(10a)를 가진 일정 길이의 부재이다.
제2 스틱(20)은 자성체(50)에 탈착되는 피자성체를 포함하며 홀더(30)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고, 제1 단부(10a)와 접촉 또는 이격하는 제2 단부(20a)를 가진 일정 길이의 부재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홀더(30)에 대하여 자성체(50) 및 제1, 2 스틱(10, 20)을 포함한 각 부품들을 전부 분해하고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부터 제1, 2 스틱(10, 20)과 홀더(30) 및 자성체(50)를 전부 깨끗하게 세척하여 건조후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취식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건강 또한 고려한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홀더(30)는, 일정 면적을 가진 제1 플레이트(31, 이하 도 4(a) 참조)와, 제1 플레이트(31)와 마주보는 일정 면적을 가진 제2 플레이트(32, 이하 도 4(b) 참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술할 자성체(50)는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스틱(10) 및 제2 스틱(20)이 탈착 결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홀더(30)는, 도 2와 같이, 제1 스틱(10) 및 제2 스틱(20)이 자성체(5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스페이서 블록(33)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 블록(33)은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 사이에 배치되고, 자성체(50)가 고정되며,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것이며, 제1, 2 스틱(10, 20)은 스페이서 블록(33)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회동 가능함을 도 3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피자성체는,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스틱(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홀더(30)에 수용된 자성체(50)에 탈착 가능한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제1 돌편(11)과, 제2 스틱(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홀더(30)에 수용된 상지 자성체(50)에 탈착 가능한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제2 돌편(21)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편(11)과 제2 돌편(21)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제1, 2 단부(10a, 20a)가 도 1(b) 및 도 3(b)와 같이 상호 이격되거나 도 1(c) 및 도 3(c)와 같이 상호 근접하는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제1, 2 스틱(10, 20)이 홀더(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자성체(5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자성체(50)는, 제1 스틱(10)의 피자성체가 탈착되도록 홀더(30)에 수용되는 제1 자석(51)과, 제2 스틱(20)의 피자성체가 탈착되도록 홀더(30)에 수용되는 제2 자석(52)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자석(51)과 제2 자석(52)은 일직선상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1, 2 자석(51, 52)이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홀더(30)는 스페이서 블록(33)의 일측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제1 자석(51)이 안착 고정되는 제1 고정홈(34)과, 스페이서 블록(33)의 타측 외측면에 함몰 형성되어 제2 자석(52)이 안착 고정되는 제2 고정홈(3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 블록(33)의 외측면으로부터 제1 고정홈(34) 및 제2 고정홈(35)각각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는 제1 자석(51) 및 제2 자석(52)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도록 한다.
왜냐하면, 제1, 2 돌편(11, 21)이 고정된 제1, 2 자석(51, 52)에 접촉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하려면 제1, 2 고정홈(34, 35)이 충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스틱(10)의 제1 돌편(11) 및 제2 스틱(20)의 제2 돌편(21)은 각각 제1 고정홈(34) 및 제2 고정홈(35)에 수용되어 제1 자석(51) 및 제2 자석(52)에 자력(磁力)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 1(b)과 도 3(b) 및 도 1(c)과 도 3(c)와 같은 회동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스틱(10) 및 제2 스틱(20)이 제1 돌편(11) 및 제2 돌편(21)을 받침점으로 하여 제1 고정홈(34) 및 제2 고정홈(35)에 대한 원활한 회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1 고정홈(34) 및 제2 고정홈(35)의 입구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돌편(11) 및 제2 돌편(2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홈(34) 및 제2 고정홈(35)의 입구가 제1 돌편(11) 및 제2 돌편(2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한 것은, 스페이서 블록(33)의 외측면에 대한 제1 스틱(10) 및 제2 스틱(20)의 회동 범위를 감안하여 정상적인 회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홀더(30)에 수용되는 바이어싱 수단(40)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바이어싱 수단(40)은 도 2와 같이, 제1 단부(10a)와 제2 단부(20a)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거나, 제1 스틱(10)의 일단부인 제1 단부(10a)에 대하여 제1 스틱(10)의 타단부인 제3 단부(10b)와, 제2 스틱(20)의 일단부인 제2 단부(20a)에 대하여 제2 스틱(20)의 타단부인 제4 단부(20b)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바이어싱 수단(40)은, 제1 일단부(41a)는 스페이서 블록(33)의 일측 외측면에 고정되고, 제1 타단부(41b)는 제3 단부(10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일단부(41a)에 대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판 스프링(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이어싱 수단(40)은, 제2 일단부(42a)는 스페이서 블록(33)의 일측 외측면에 고정되고, 제2 타단부(42b)는 제1 단부(10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일단부(42a)에 대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판 스프링(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어싱 수단(40)은, 제3 일단부(43a)는 스페이서 블록(33)의 타측 외측면에 고정되고, 제3 타단부(43b)는 제4 단부(20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3 일단부(43a)에 대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판 스프링(4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바이어싱 수단(40)은, 제4 일단부(44a)는 스페이서 블록(33)의 타측 외측면에 고정되고, 제4 타단부(44b)는 제2 단부(20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4 일단부(44a)에 대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 판 스프링(44)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제1, 2 간격 유지편(12, 22)을 더 구비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 4(b)는 도 4(a)의 A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제1 간격 유지편(12)은 제1 단부(10a)가 거치 대상물(6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단부(10a)와 홀더(30) 사이의 제1 스틱(10)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제2 간격 유지편(22)은 제2 단부(20a)가 거치 대상물(6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단부(20a)와 홀더(30) 사이의 제2 스틱(20)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간격 유지편(12) 및 제2 간격 유지편(22)은 각각 제1 스틱(10) 및 제2 스틱(2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거나 제1 스틱(10) 및 제2 스틱(20)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간격 유지편(12) 및 제2 간격 유지편(22)은, 제1 단부(10a) 및 제2 단부(20a)가 도 4(b)와 같이 식탁 등과 같은 거치 대상물(6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 어셈블리를 위생적인 상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간격 유지편(12) 및 제2 간격 유지편(22)은, 숟가락 및 젓가락 받침대가 없을 때 식탁 등과 같은 거치 대상물(60)상에 제1 스틱(10) 및 제2 스틱(20) 각각의 제1 단부(10a) 및 제2 단부(20a)가 접촉되는 비위생적인 상태에 직면하지 않도록 숟가락 및 젓가락 받침대의 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도 5와 같이 하나의 자성체(5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자성체(50)는, 홀더(30)의 제1 플레이트(31)와, 제1 플레이트(31)와 마주보는 제2 플레이트(32) 의 중심에 배치되고,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제3 자석(53)과, 제3 자석(53)의 일측면에 함몰되는 원호 형상의 제1 회동홈(53a)과, 제3 자석(53)의 타측면에 함몰되는 원호 형상의 제2 회동홈(53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스틱(10)이 제1 회동홈(53a)을 받침점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 스틱(10)의 피자성체는 제1 회동홈(53a)에 접촉되고, 제2 스틱(20)이 제2 회동홈(53b)을 받침점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2 스틱(20)의 피자성체는 제2 회동홈(53b)에 접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피자성체는, 제1 스틱(10)의 일부가 제1 회동홈(53a)을 향하여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제1 회동 리브(13)와, 제2 스틱(20)의 일부가 제2 회동홈(53b)을 향하여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제2 회동 리브(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제1, 2 스틱(10, 20)의 회동 동작 및 원위치 복귀가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은 바이어싱 수단(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우선, 바이어싱 수단(40)은, 제5 일단부(45a)는 제1 회동홈(53a)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제5 타단부(45b)는 홀더(30)의 상부측을 향하여 제5 일단부(45a)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제5 판 스프링(4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어싱 수단(40)은, 제6 일단부(46a)는 제1 회동홈(53a)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제6 타단부(46b)는 홀더(30)의 하부측을 향하여 제6 일단부(46a)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제6 판 스프링(4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어싱 수단(40)은, 제7 일단부(47a)는 제2 회동홈(53b)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제7 타단부(47b)는 홀더(30)의 상부측을 향하여 제7 일단부(47a)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제7 판 스프링(4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싱 수단(40)은, 제8 일단부(48a)는 제2 회동홈(53b)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제8 타단부(48b)는 홀더(30)의 하부측을 향하여 제8 일단부(48a)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제8 판 스프링(4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5 내지 제8 판 스프링(45~48)은 제1 내지 제4 판 스프링(41~44)과 구조 및 작용이 대동소이하므로, 편의상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과 같은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자성체(50)는, 홀더(30)의 제1 플레이트(31)와, 제1 플레이트(31)와 마주보는 제2 플레이트(32) 의 중심에 배치되어 제1 플레이트(31)와 제2 플레이트(32)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블록(33)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되는 제4 자석(54)과, 스페이서 블록(33)의 외측면 타측에 고정되어 제4 자석(54)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5 자석(5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틱(10)이 제4 자석(54)의 외측면을 받침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1 스틱(10)의 피자성체는 제4 자석(54)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제2 스틱(20)이 제5 자석(55)의 외측면을 받침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제2 스틱(20)의 피자성체는 제5 자석(55)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때, 피자성체는, 제1 스틱(10)의 일부가 제4 자석(54)의 외측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제1 회동 돌부(14)와, 제2 스틱(20)의 일부가 제5 자석(55)의 외측면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제2 회동 돌부(24)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9, 10 판 스프링(49a, 49b)을 포함하는 바이어싱 수단(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제9 판 스프링(49a)은 제1 회동 돌부(14)와 제4 자석(54)의 외측면 사이에 중심부가 배치되고, 양단부는 홀더(30)의 상부 및 하부측을 향하여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제10 판 스프링(49b)은 제2 회동 돌부(24)와 제5 자석(55)의 외측면 사이에 중심부가 배치되고, 양단부는 홀더(30)의 상부 및 하부측을 향하여 원호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2 회동 돌부(14, 24)가 제4, 5 자석(54, 55)의 외측면에 각각 자력에 의하여 접촉된 상태로 스페이서 블록(33)의 외측면을 따라 회동할 때, 다시 도 6(a)와 같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제9, 10 판 스프링(49a, 49b)이 제1, 2 스틱(10, 20) 각각의 회동 및 원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 반발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며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제1 스틱
10a...제1 단부
10b...제3 단부
11...제1 돌편
12...제1 간격 유지편
13...제1 회동 리브
14...제1 회동 돌부
20...제2 스틱
20a...제2 단부
20b...제4 단부
21...제2 돌편
22...제2 간격 유지편
23...제2 회동 리브
24...제2 회동 돌부
30...홀더
31...제1 플레이트
32...제2 플레이트
33...스페이서 블록
34...제1 고정홈
35...제2 고정홈
40...바이어싱 수단
41...제1 판 스프링
41a...제1 일단부
41b...제1 타단부
42...제2 판 스프링
42a...제2 일단부
42b...제2 타단부
43...제3 판 스프링
43a...제3 일단부
43b...제3 타단부
44...제4 판 스프링
44a...제4 일단부
44b...제4 타단부
45...제5 판 스프링
45a...제5 일단부
45b...제5 타단부
46...제6 판 스프링
46a...제6 일단부
46b...제6 타단부
47...제7 판 스프링
47a...제7 일단부
47b...제7 타단부
48...제8 판 스프링
48a...제8 일단부
48b...제8 타단부
49a...제9 판 스프링
49b...제10 판 스프링
50...자성체
51...제1 자석
52...제2 자석
53...제3 자석
53a...제1 회동홈
53b...제2 회동홈
54...제4 자석
55...제5 자석
60...거치 대상물
10a...제1 단부
10b...제3 단부
11...제1 돌편
12...제1 간격 유지편
13...제1 회동 리브
14...제1 회동 돌부
20...제2 스틱
20a...제2 단부
20b...제4 단부
21...제2 돌편
22...제2 간격 유지편
23...제2 회동 리브
24...제2 회동 돌부
30...홀더
31...제1 플레이트
32...제2 플레이트
33...스페이서 블록
34...제1 고정홈
35...제2 고정홈
40...바이어싱 수단
41...제1 판 스프링
41a...제1 일단부
41b...제1 타단부
42...제2 판 스프링
42a...제2 일단부
42b...제2 타단부
43...제3 판 스프링
43a...제3 일단부
43b...제3 타단부
44...제4 판 스프링
44a...제4 일단부
44b...제4 타단부
45...제5 판 스프링
45a...제5 일단부
45b...제5 타단부
46...제6 판 스프링
46a...제6 일단부
46b...제6 타단부
47...제7 판 스프링
47a...제7 일단부
47b...제7 타단부
48...제8 판 스프링
48a...제8 일단부
48b...제8 타단부
49a...제9 판 스프링
49b...제10 판 스프링
50...자성체
51...제1 자석
52...제2 자석
53...제3 자석
53a...제1 회동홈
53b...제2 회동홈
54...제4 자석
55...제5 자석
60...거치 대상물
Claims (8)
- 홀더;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탈착되는 피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고, 음식물과 접촉하는 제1 단부를 가진 일정 길이의 제1 스틱; 및
상기 자성체에 탈착되는 피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 단부와 접촉 또는 이격하는 제2 단부를 가진 일정 길이의 제2 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피자성체는,
상기 제1 스틱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홀더에 수용된 상기 자성체에 탈착 가능한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제1 돌편과,
상기 제2 스틱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홀더에 수용된 상지 자성체에 탈착 가능한 피자성체인 금속재의 제2 돌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돌편과 상기 제2 돌편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정 면적을 가진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일정 면적을 가진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틱 및 상기 제2 스틱이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체가 고정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 및 상기 제2 스틱은 상기 자성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가 탈착되도록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제1 자석과,
상기 제2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가 탈착되도록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은 일직선상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제1 스틱의 일단부인 상기 제1 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스틱의 타단부인 제3 단부와, 상기 제2 스틱의 일단부인 상기 제2 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스틱의 타단부인 제4 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작용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바이어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홀더의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제2 플레이트 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제3 자석과,
상기 제3 자석의 일측면에 함몰되는 원호 형상의 제1 회동홈과,
상기 제3 자석의 타측면에 함몰되는 원호 형상의 제2 회동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이 상기 제1 회동홈을 받침점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는 상기 제1 회동홈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제2 회동홈을 받침점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는 상기 제2 회동홈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홀더의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마주보는 제2 플레이트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블록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되는 제4 자석과,
상기 스페이서 블록의 외측면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4 자석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5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틱이 상기 제4 자석의 외측면을 받침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는 상기 제4 자석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제5 자석의 외측면을 받침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스틱의 상기 피자성체는 상기 제5 자석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1067A KR101876762B1 (ko) | 2016-06-28 | 2016-06-28 | 젓가락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1067A KR101876762B1 (ko) | 2016-06-28 | 2016-06-28 | 젓가락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929A KR20180001929A (ko) | 2018-01-05 |
KR101876762B1 true KR101876762B1 (ko) | 2018-07-10 |
Family
ID=6100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1067A KR101876762B1 (ko) | 2016-06-28 | 2016-06-28 | 젓가락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676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8506Y1 (ko) * | 2001-06-22 | 2001-10-31 | 박희철 | 학습용 젓가락 |
KR200372971Y1 (ko) * | 2004-04-12 | 2005-01-14 | 황영주 | 젓가락 |
-
2016
- 2016-06-28 KR KR1020160081067A patent/KR10187676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8506Y1 (ko) * | 2001-06-22 | 2001-10-31 | 박희철 | 학습용 젓가락 |
KR200372971Y1 (ko) * | 2004-04-12 | 2005-01-14 | 황영주 | 젓가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929A (ko) | 2018-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65869B2 (ja) | 替刃式剃刀 | |
US7469869B2 (en) | Two-piece magnetic holder | |
AU2014203323A1 (en) | Sleeve bracket assembly | |
GB2435179A (en) | Tool for catching and supporting food | |
KR101876762B1 (ko) | 젓가락 어셈블리 | |
US9271609B2 (en) | Expandable surface modular cutting board system | |
JP7011974B2 (ja) | 食器具携帯用ケース | |
KR200389937Y1 (ko) | 주방용 조리기구 | |
JP4263982B2 (ja) | マグネットキャッチ | |
USD488342S1 (en) | Pancake and egg cooking appliance | |
JP3207053U (ja) | トング | |
JP2008019646A (ja) | マグネットキャッチ装置 | |
ATE474479T1 (de) | Essstäbchenhalter | |
JP3136365U (ja) | マグネットクリップ | |
KR200248506Y1 (ko) | 학습용 젓가락 | |
JP4647035B1 (ja) | スライド丁番用緩衝具 | |
JP2006325626A (ja) | 挟着固定具 | |
CN210185236U (zh) | 一种菜夹 | |
JP2016053467A (ja) | 製氷貯蔵庫の扉構造 | |
JP7026368B2 (ja) | 蓋の開閉機構 | |
JP2000052680A (ja) | 綴じ具 | |
KR200303137Y1 (ko) | 도어손잡이용 스트라이커 | |
KR200372971Y1 (ko) | 젓가락 | |
EP1998655B1 (en) | Electric grill for the cooking of food products | |
JP3110036U (ja) | トン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