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703B1 -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703B1
KR101876703B1 KR1020180030146A KR20180030146A KR101876703B1 KR 101876703 B1 KR101876703 B1 KR 101876703B1 KR 1020180030146 A KR1020180030146 A KR 1020180030146A KR 20180030146 A KR20180030146 A KR 20180030146A KR 101876703 B1 KR101876703 B1 KR 10187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gas valve
sliding
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엽
Original Assignee
이종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엽 filed Critical 이종엽
Priority to KR102018003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3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for rot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밸브를 온/오프시키는 태엽스프링이 자동으로 감김 및 풀림 동작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수작업으로 가스밸브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더불어 화재 또는 지진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에 의하거나 기타 메뉴얼의 에러에 의한 위험상황 발생시 가스누출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측면에 공기유입 및 배출부(I)가 구비되어 있고 하측면에 공기잔량 배출부(O)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밸브 셔터부(S)가 구비된 하우징(H)의 형태로서,
상기 밸브 셔터부(S)는,
나선형태의 홈(100)이 외주면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구동로드부(10)와, 내외 이중통체로 이루어지되 내통체(200)의 내주부에는 안착부(201)가 구비되어 있고 내주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체(200)의 외주부 길이방향 중간부에서 하단부까지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공기차단홈부(203)를 구비함으로서 바닥면은 상기 내통체(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외통체(2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구동로드부(10)가 관통가능하도록 관통공(204)이 천공되어 있는 고정부재(20)와, 원통부재(300)와 바닥부재(310)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부재(300) 중앙에는 상기 구동로드부(10)를 따라 상하강 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301)이 천공되되 상기 슬라이딩공(301)의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홈(10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돌부(3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310) 상면에는 고정구(F) 체결이 가능한 고정공(311)이 천공되어 있는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상기 고정구(F)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고정토록 구비된 것으로서 내주부는 개구된 상태로서 하단 외주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202)을 따라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400)가 구비되어 있는 제2 슬라이딩 부재(40)와,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개구된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원통부재(30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차단부재(50)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주면 및 상기 공기차단홈부(203) 바닥까지 형성되어 있는 탄성스프링(60)과,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측 바닥면에 위치하되 상기 구동로드부(10)의 끝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동기어부(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돌부(302)는 슬라이딩공(301)의 내주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상측 외주면에 마그네틱 링(40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H) 내측면에 감지센서(40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402)가 상기 마그네틱 링(401)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서 가스밸브(V)의 개폐여부를 감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하우징(H)의 상면 양측에 통공(501)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H)의 상면에 추가적으로 보조 하우징(H')을 구비하되 상기 보조 하우징(H')의 상측면에는 보조 공기유입부(I')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하우징(H')의 내부에는 제3 슬라이딩 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하단 양측에는 푸싱바(502)가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통공(501)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를 푸싱토록 구비되며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하부에는 상기 푸싱바(502)가 관통토록 하되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최대 하강위치를 저지하는 보조 고정부재(50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고정부재(20) 상단에는 상기 탄성스프링(60)의 압축의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하강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스밸브의 온/오프시키는 태엽스프링이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감김과 풀림 동작이 자동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더불어 화재 또는 지진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에 의하거나 기타 메뉴얼의 에러에 의한 위험상황 발생시 가스누출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gas valve}
본 발명은 가스밸브를 온/오프시키는 태엽스프링이 자동으로 감김 및 풀림 동작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수작업으로 가스밸브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더불어 화재 또는 지진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에 의하거나 기타 메뉴얼의 에러에 의한 위험상황 발생시 가스누출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통 내의 가스를 외부에 제공할 때는 가스통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스밸브를 오픈시키고 외부로의 제공을 차단할 때에는 그 가스밸브를 클로즈시킨다.
여기서, 그 가스밸브를 오픈/클로즈하기 위해서는 그 가스밸브의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스밸브 손잡이를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그 가스밸브 손잡이 회전에 연동하여 가스밸브가 오픈/클로즈된다.
특히, 반도체공정에 사용되는 가스통에는 대략 250종류의 다양한 가스가 충진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가스들은 반도체 공정상에서 공급되어 가스의 조합에 의한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며, 가스가 충진된 수백~수천 개의 가스통들은 가스공급장치라는 별도의 룸에 구비된 상태에서 법적인규제를 통해 관리 받는다.
이를 위해 가스통에는, 충진된 가스가 가연성, 부식성 및 불활성 등과 같이 치명적인 성분임에 따라 유사시 가스통의 가스밸브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밸브셔터가 구비된다.
이러한 밸브셔터는, 가스밸브를 오픈한 상태에서 태엽스프링을 감아 놓은 후, 화재 또는 지진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할 때 감겨있는 태엽스프링이 풀리면서 이전에 오픈된 가스밸브가 클로즈되어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겨있던 태엽스프링이 일단 풀리면 이후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그 태엽을 감으면서 가스밸브를 오픈시키는 패턴이었다.
그러나, 가스통이 있는 룸은 가스누출 등 작업자에게는 위험한 장소이기도 하고 작업자의 메뉴얼 에러가 발생할수 있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초 감겨 있던 태엽이 위험상황 발생에 따라 풀린 후 수작업 없이 재차 태엽이 감기도록 하는 기술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0-1040362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360312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695137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7725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밸브의 온/오프시키는 태엽스프링이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감김과 풀림 동작이 자동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더불어 화재 또는 지진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에 의하거나 기타 메뉴얼의 에러에 의한 위험상황 발생시 가스누출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측면에 공기유입 및 배출부(I)가 구비되어 있고 하측면에 공기잔량 배출부(O)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밸브 셔터부(S)가 구비된 하우징(H)의 형태로서,
상기 밸브 셔터부(S)는,
나선형태의 홈(100)이 외주면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구동로드부(10)와, 내외 이중통체로 이루어지되 내통체(200)의 내주부에는 안착부(201)가 구비되어 있고 내주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체(200)의 외주부 길이방향 중간부에서 하단부까지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공기차단홈부(203)를 구비함으로서 바닥면은 상기 내통체(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외통체(2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구동로드부(10)가 관통가능하도록 관통공(204)이 천공되어 있는 고정부재(20)와, 원통부재(300)와 바닥부재(310)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부재(300) 중앙에는 상기 구동로드부(10)를 따라 상하강 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301)이 천공되되 상기 슬라이딩공(301)의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홈(10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돌부(3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310) 상면에는 고정구(F) 체결이 가능한 고정공(311)이 천공되어 있는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상기 고정구(F)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고정토록 구비된 것으로서 내주부는 개구된 상태로서 하단 외주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202)을 따라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400)가 구비되어 있는 제2 슬라이딩 부재(40)와,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개구된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원통부재(30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차단부재(50)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주면 및 상기 공기차단홈부(203) 바닥까지 형성되어 있는 탄성스프링(60)과,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측 바닥면에 위치하되 상기 구동로드부(10)의 끝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동기어부(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돌부(302)는 슬라이딩공(301)의 내주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상측 외주면에 마그네틱 링(40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H) 내측면에 감지센서(40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402)가 상기 마그네틱 링(401)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서 가스밸브(V)의 개폐여부를 감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하우징(H)의 상면 양측에 통공(501)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H)의 상면에 추가적으로 보조 하우징(H')을 구비하되 상기 보조 하우징(H')의 상측면에는 보조 공기유입부(I')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하우징(H')의 내부에는 제3 슬라이딩 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하단 양측에는 푸싱바(502)가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통공(501)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를 푸싱토록 구비되며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하부에는 상기 푸싱바(502)가 관통토록 하되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최대 하강위치를 저지하는 보조 고정부재(50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와,
상기 고정부재(20) 상단에는 상기 탄성스프링(60)의 압축의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하강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스밸브의 온/오프시키는 태엽스프링이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감김과 풀림 동작이 자동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더불어 화재 또는 지진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에 의하거나 기타 메뉴얼의 에러에 의한 위험상황 발생시 가스누출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발휘하며 구체적으로는, 공기 유입 및 배출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면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의 구성요소인 원통부재 내주면에 구비된 돌부가 구동로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하되, 공기 유입에 따라 돌부가 나선 형태의 홈을 벗어나서 이동할 수 없고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홈을 따라 이동하고자 할려면 상기 구동로드부가 회전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구동로드부가 회전하면 구동기어부가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부와 치합된 피동기어부 및 피동로드부가 회전하고 상기 피동로드부에 결합된 기어부가 회전하고 상기 기어부와 연속적으로 치합된 기타 기어부 및 로드부의 회전에 따라 태엽스프링이 감겨짐과 동시에 가스밸브가 자동으로 열리게 됨으로서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태엽스프링을 감을 수 있는 것으로서, 구동로드부의 회전 및 구동기어부, 피동기어부, 기타 기어부가 연속적으로 치합되어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태엽스프링을 자동적으로 감을 수 있고 상기 태엽스프링을 풀고자 하는 즉, 가스밸브를 닫고자 하면 상기 공기 유입 및 배출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면 상기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태엽스프링을 감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로드부가 회전하여 상기 연속적으로 치합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다수의 기어부에 의해 태엽스프링이 풀리면서 동시에 가스밸브가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밸브셔터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밸브셔터부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도 8에서 보조 공기유입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제3 슬라이딩 부재의 하강에 의해 푸싱바가 제2 슬라이딩 부재를 푸싱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도 9에서 공기유입 및 배출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한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밸브셔터부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밸브셔터부의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도 8에서 보조 공기유입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제3 슬라이딩 부재의 하강에 의해 푸싱바가 제2 슬라이딩 부재를 푸싱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도 9에서 공기유입 및 배출부를 통해 공기를 유입한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에 공기유입 및 배출부(I)가 구비되어 있고 하측면에 공기잔량 배출부(O)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밸브 셔터부(S)가 구비된 하우징(H)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장 핵심은 밸브 셔터부(S)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셔터부(S)는,
나선형태의 홈(100)이 외주면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구동로드부(10)와,
내외 이중통체로 이루어지되 내통체(200)의 내주부에는 안착부(201)가 구비되어 있고 내주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체(200)의 외주부 길이방향 중간부에서 하단부까지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공기차단홈부(203)를 구비함으로서 바닥면은 상기 내통체(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외통체(2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구동로드부(10)가 관통가능하도록 관통공(204)이 천공되어 있는 고정부재(20)와,
원통부재(300)와 바닥부재(310)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부재(300) 중앙에는 상기 구동로드부(10)를 따라 상하강 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301)이 천공되되 상기 슬라이딩공(301)의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홈(10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돌부(3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310) 상면에는 고정구(F) 체결이 가능한 고정공(311)이 천공되어 있는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상기 고정구(F)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고정토록 구비된 것으로서 내주부는 개구된 상태로서 하단 외주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202)을 따라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400)가 구비되어 있는 제2 슬라이딩 부재(40)와,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개구된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원통부재(30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차단부재(50)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주면 및 상기 공기차단홈부(203) 바닥까지 형성되어 있는 탄성스프링(60)과,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측 바닥면에 위치하되 상기 구동로드부(10)의 끝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동기어부(70)로 이루어진 것이다.
우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 하단에 상기 고정부재(20)의 내통체(200) 바닥면 중앙에 구비된 관통공(204)에 구동로드부(10)을 끼워 결합한 다음,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주면 및 공기찬단홈부(203) 내 바닥까지 탄성스프링(60)을 결합 한 후,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제2 슬라이딩 부재(40)를 고정구(F)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로드부(10)를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30)의 원통부재(300)에 구비된 슬라이딩공(301)에 끼워 상기 안착부(201)에 안착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가이드부재(400)가 상기 내통체(200)의 가이드 홈(202)에 일치토록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외측 하부와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주면 및 상기 공기차단홈부(203)의 바닥까지 탄성스프링(60)이 결합된 상태가 되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로드부(10)의 하단에 구동기어부(70)를 상기 구동로드부(10)와 일체로 결합하고, 개구된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상측으로 공기차단부재(50)을 상기 원통부재(30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결합하면 최종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로드부(10)가 원활하게 회전키 위한 베어링(B)의 결합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H) 내에 결합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부(302)는 슬라이딩공(301)의 내주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가능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 상단에는 상기 탄성스프링(60)의 압축의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하강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재(80)의 역할은 공기의 유입이 과다하여 제1 및 제2 슬라이딩 부재(30,40)의 하강이 과다할 경우 태엽스프링(T)의 감김현상에 과부하가 걸려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가스밸브(B)의 열림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상측 외주면에 마그네틱 링(40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H) 내측면에 감지센서(40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402)가 상기 마그네틱 링(401)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서 가스밸브(V)의 개폐여부를 감지토록 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의 상면 양측에 통공(501)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H)의 상면에 추가적으로 보조 하우징(H')을 구비하되 상기 보조 하우징(H')의 상측면에는 보조 공기유입부(I')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하우징(H')의 내부에는 제3 슬라이딩 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하단 양측에는 푸싱바(502)가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통공(501)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를 푸싱토록 구비되며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하부에는 상기 푸싱바(502)가 관통토록 하되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최대 하강위치를 저지하는 보조 고정부재(50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보조 하우징(H'), 제3 슬라이딩 부재(500), 푸싱바(502), 보조 공기 유입부(I')가 필요한 이유는,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가스통의 최상단에는 가스의 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가스 밸브(V) 즉, 가스밸브 손잡이와 상기 가스밸브 손잡이를 감싸는 그립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스밸브 손잡이(이하 '가스밸브'라 칭함)와 그립부간의 유격에 의해 가스밸브가 헛회전 즉 공회전을 함으로서 한번에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와 같이 가스밸브를 개방함에 있어 오류발생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단, 보조 공기 유입부(I')를 통해 일정량의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푸싱바(502)가 제2 슬라이딩 부재(4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위치까지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하강에 따라 구동기어부(70)의 회전을 일정한 위치까지 함으로서 상기 그립부와 가스밸브의 유격을 해소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 및 배출부(I)를 통해 본격적으로 공기를 유입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보조 고정부재(503)는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가 과도하게 하강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상기 공기잔량 배출부(O)는 탄성스프링(60)이 복원시 즉, 가스밸브(V) 차단될때 다시 말하면 공기유입 및 배출부(I)를 통해 공기 유입이 차단될때 하우징(H)내에 남아있는 공기 잔량을 자연스럽게 배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90은 피동기어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로드부(10) 및 구동기어부(7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며,
미설명 부호 900은 피동기어부와 함께 회전하는 피동로드부를 지시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G는 다수개의 기어부를 지시하는 것으로 상기 기어부(G)는 서로 치합되어 함께 구동되며 물론 로드부도 상기 기어부(G)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V는 가스밸브를 지시하는 것이며, 미설명 부호 B는 베어링을 지시하는 것이며, 미설명 부호 T는 태엽스프링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위험상황 발생시 가스누출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한 상황에서는 상기 태엽스프링(T)을 풀어서 가스밸브(V)를 닫아야 하며 이 또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되 우선, 컨트롤러에서 가스 누출을 감지하면 솔레노이드밸브 및 센서등에 의해 상기 공기 유입 및 배출부(I)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게 되며 이와 같이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태엽스프링(T)을 감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로드부(10)가 회전하여 동시에 구동기어부(70)이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부(70)와 치합된 피동기어부(90), 피동로드부(9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연속적으로 치합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다수의 기어부(G)에 의해 태엽스프링(T)이 풀리면서 동시에 가스밸브(V)가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 및 도 7, 도 8에 도시된 상태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가 승하강 특히 하강시 가스밸브(V)의 개방 여부를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상측 외주면에 구비된 마그네틱 링(401)이 하우징(H)의 내측면에 구비된 감지센서(402)가 위치를 감지함으로서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재차 가스밸브(V)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수작업에 의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가스밸브(V)를 개방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동 로드부(10)의 회전에 의해 태엽스프링(T)의 감김 및 가스밸브(V)의 개방을 자동적으로 구동토록 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유입 및 배출부(I)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공기 유입이 가능하고 공기 유입 및 배출은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자동으로 공기 유입 및 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공기유입 및 배출부(I)로 공기를 유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공기 유입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고정 결합된 제2 슬라이딩 부재(40)가 하우징 내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하되 이는 제1 슬라이딩 부재(30)의 원통부재(300) 내주면 상측에 구비된 돌부(302)가 구동로드부(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형태의 홈(100)을 따라 이동하되, 공기 유입에 따라 돌부(302)가 나선 형태의 홈(100)을 벗어나서 이동할 수 없고 상기 홈(100)을 따라 이동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홈(100)을 따라 이동하고자 할려면 상기 구동로드부(10)가 회전하여야 하며 이와 같이 구동로드부(10)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부(7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구동기어부(70)와 치합된 피동기어부(90) 및 피동로드부(900)가 회전하고 상기 피동로드부(900)에 결합된 기어부(G)가 회전하고 상기 기어부(G)와 연속적으로 치합된 기타 기어부(G) 및 로드부의 회전에 따라 태엽스프링(T)이 감겨짐과 동시에 가스밸브(V)가 자동으로 열리게 됨으로서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태엽스프링(T)을 감을 수 있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대한 작동관계는 상기에서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스밸브의 온/오프시키는 태엽스프링이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감김과 풀림 동작이 자동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더불어 화재 또는 지진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에 의하거나 기타 메뉴얼의 에러에 의한 위험상황 발생시 가스누출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구동로드부 20 : 고정부재
30 : 제1 슬라이딩 부재 40 : 제2 슬라이딩 부재
50 : 공기차단부재 60 : 탄성스프링
70 : 구동기어부 80 : 제어부재
90 : 피동기어부 100 : 홈
200 : 내통체 201 : 안착부
202 : 가이드홈 203 : 공기차단홈부
204 : 관통공 210 : 외통체
300 : 원통부재 301 : 슬라이딩공
302 : 돌부 310 : 바닥부재
311 : 고정공 400 : 가이드부재
401 : 마그네틱 링 402 : 감지센서
500 : 제3 슬라이딩 부재 501 : 통공
502 : 푸싱바 503 : 보조 고정부재
900 : 피동로드부 B : 베어링
F : 고정구 H : 하우징
H' : 보조 하우징 I : 공기유입 및 배출부
I' : 보조 공기유입부 S : 밸브 셔터부
V : 가스밸브

Claims (5)

  1. 상측면에 공기유입 및 배출부(I)가 구비되어 있고 하측면에 공기잔량 배출부(O)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밸브 셔터부(S)가 구비된 하우징(H)의 형태로서,
    상기 밸브 셔터부(S)는,
    나선형태의 홈(100)이 외주면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구동로드부(10)와,
    내외 이중통체로 이루어지되 내통체(200)의 내주부에는 안착부(201)가 구비되어 있고 내주면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체(200)의 외주부 길이방향 중간부에서 하단부까지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공기차단홈부(203)를 구비함으로서 바닥면은 상기 내통체(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외통체(2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구동로드부(10)가 관통가능하도록 관통공(204)이 천공되어 있는 고정부재(20)와,
    원통부재(300)와 바닥부재(310)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부재(300) 중앙에는 상기 구동로드부(10)를 따라 상하강 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301)이 천공되되 상기 슬라이딩공(301)의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홈(10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돌부(30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310) 상면에는 고정구(F) 체결이 가능한 고정공(311)이 천공되어 있는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상기 고정구(F)에 의해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고정토록 구비된 것으로서 내주부는 개구된 상태로서 하단 외주면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202)을 따라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400)가 구비되어 있는 제2 슬라이딩 부재(40)와,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개구된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원통부재(30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공기차단부재(50)와,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주면 및 상기 공기차단홈부(203) 바닥까지 형성되어 있는 탄성스프링(60)과,
    상기 고정부재(20)의 외측 바닥면에 위치하되 상기 구동로드부(10)의 끝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동기어부(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302)는 슬라이딩공(301)의 내주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상측 외주면에 마그네틱 링(40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H) 내측면에 감지센서(40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승하강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402)가 상기 마그네틱 링(401)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서 가스밸브(V)의 개폐여부를 감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H)의 상면 양측에 통공(501)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H)의 상면에 추가적으로 보조 하우징(H')을 구비하되 상기 보조 하우징(H')의 상측면에는 보조 공기유입부(I')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하우징(H')의 내부에는 제3 슬라이딩 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하단 양측에는 푸싱바(502)가 세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통공(501)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40)를 푸싱토록 구비되며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하부에는 상기 푸싱바(502)가 관통토록 하되 상기 제3 슬라이딩 부재(500)의 최대 하강위치를 저지하는 보조 고정부재(50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 상단에는 상기 탄성스프링(60)의 압축의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30)와 제2 슬라이딩 부재(40)의 하강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제어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KR1020180030146A 2018-03-15 2018-03-15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KR10187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46A KR101876703B1 (ko) 2018-03-15 2018-03-15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46A KR101876703B1 (ko) 2018-03-15 2018-03-15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703B1 true KR101876703B1 (ko) 2018-07-09

Family

ID=6291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146A KR101876703B1 (ko) 2018-03-15 2018-03-15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7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157B1 (ko) * 2018-09-18 2019-02-07 주식회사 유니락 밸브 셔터
KR20200091546A (ko) * 2019-01-22 2020-07-31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가스실린더의 가스공급장치용 상부유닛
CN114639227A (zh) * 2022-02-14 2022-06-17 深圳市朗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气体探测报警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517A (ja) * 1995-07-27 1997-02-14 T V Valve Kk 操作軸の駆動装置
KR100713175B1 (ko) * 2004-10-15 2007-05-02 김동열 자동밸브용 구동기
JP2007224970A (ja) * 2006-02-22 2007-09-06 Shikoku Res Inst Inc 電動弁のトルク調整用アダプタ及び該アダプタを用いたトルク調整方法
KR101820960B1 (ko) * 2017-10-26 2018-01-22 주식회사 스마트코리아테크놀로지 태엽스프링 타입의 오토 밸브셔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517A (ja) * 1995-07-27 1997-02-14 T V Valve Kk 操作軸の駆動装置
KR100713175B1 (ko) * 2004-10-15 2007-05-02 김동열 자동밸브용 구동기
JP2007224970A (ja) * 2006-02-22 2007-09-06 Shikoku Res Inst Inc 電動弁のトルク調整用アダプタ及び該アダプタを用いたトルク調整方法
KR101820960B1 (ko) * 2017-10-26 2018-01-22 주식회사 스마트코리아테크놀로지 태엽스프링 타입의 오토 밸브셔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157B1 (ko) * 2018-09-18 2019-02-07 주식회사 유니락 밸브 셔터
KR20200091546A (ko) * 2019-01-22 2020-07-31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가스실린더의 가스공급장치용 상부유닛
KR102148397B1 (ko) 2019-01-22 2020-08-28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가스실린더의 가스공급장치용 상부유닛
CN114639227A (zh) * 2022-02-14 2022-06-17 深圳市朗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气体探测报警器
CN114639227B (zh) * 2022-02-14 2024-04-30 深圳市朗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气体探测报警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703B1 (ko) 가스밸브의 자동개폐장치
EP0271200A2 (en) Safety closure member
JPH07224950A (ja) 弁の手動駆動装置
US10760595B2 (en) Dual-valve security unit for hydraulic cylinders
US20080173834A1 (en) Malfunction Prevention Manual Valve
KR101918451B1 (ko) 최대 회전 개폐각을 갖는 고압 가스통의 가스 밸브 개폐장치
US4269386A (en) Valve assembly
KR101912571B1 (ko) 듀얼 밸브 셔터의 핸들척
KR101903115B1 (ko) 멀티 핸들척을 포함하는 오동작 방지 기능이 적용된 밸브 셔터
KR20170066649A (ko) 교번하는 시트 시스템을 가진 아마튜어
JPH07267523A (ja) 油圧エレベーター用制御バルブ装置
KR101772524B1 (ko) 밸브셔터
EP1295551B1 (en) Safety device for pressure cookers
EP0599499B1 (en) Self-contained emergency shutdown valve
RU2550717C2 (ru) Клапанная система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KR101756137B1 (ko) 가스 연소 설비의 자동 역화 방지 장치
EP2986876A1 (de) Explosionsschutzventil
KR101695137B1 (ko) 가스 밸브의 개폐가 정확한 밸브셔터의 구조
KR102223559B1 (ko) 액추에이터 분리형 디클러치 유닛 장치
KR101705758B1 (ko) 누유 개선형 벤틸레이터
KR101902232B1 (ko) 밸브 셔터의 멀티 핸들
EP3022621B1 (en) Gas pressure regulator
KR102588184B1 (ko) 유로 개폐용 밸브 구동 장치
ITTO20110799A1 (it) Dispositivo di raccordo per il collegamento ad un impianto di condizionamento dell'aria e giunto provvisto di un tale dispositivo di raccordo
KR102218671B1 (ko) 환형 코어 권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