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671B1 - 환형 코어 권선기 - Google Patents
환형 코어 권선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8671B1 KR102218671B1 KR1020160072922A KR20160072922A KR102218671B1 KR 102218671 B1 KR102218671 B1 KR 102218671B1 KR 1020160072922 A KR1020160072922 A KR 1020160072922A KR 20160072922 A KR20160072922 A KR 20160072922A KR 102218671 B1 KR102218671 B1 KR 1022186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winding
- core
- coil
- bundl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64—Winding non-flat conductive wires, e.g. rods, cables or cor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형 코어 권선기(1)에 관한 것으로, 내부원(I)에 꼬인 관계로 장전된 피권선 코어(C)의 환형 몸체에, 외주에 감긴 코일(W)을 풀어 반복하여 감도록 회전하는 코일권선부(3); 및 상기 피권선 코어(C)를 장전위치(L)에 안착시키되, 상기 코일권선부(3)가 1 회전할 때 상기 피권선 코어(C)를 1 이송회동시키는 코어회전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권선부(3)는 상기 내부원(I)에 상기 피권선 코어(C)를 꼬인 관계로 끼우기 위한 또는 상기 내부원(I)에 꼬인 관계로 끼워져 있는 상기 피권선 코어(C)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상기 내부원(I)의 개방이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코일권선뭉치 상부와 하부를 분리시켜 코어의 출입을 위한 개방구를 간단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피권선 코어를 연속적으로 권선하도록 되어 있는 코어 권선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코어 권선의 작업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형 코어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 등에 사용되는 토로이덜(toroidal) 코어와 같은 환형 코어의 몸체에 선재 코일을 반자동으로 횡권하는 데 즉, 반경방향으로 권선하는 데 사용되는 환형 코어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터로 널리 사용되는 토로이덜 코어는 환형 코어로서 자로가 폐회로를 구성하여 누설자속이 적기 때문에 고주파 회로에 널리 사용되는 바, 환형이라는 형태적 한계로 인해 코일을 권선하는 작업에 많은 불편이 따랐으며,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코어 권선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환형 코어에 코일을 감는 데 사용되는 환형 코어 권선기의 일예로 '타원형 및 다각형 토로이달 코일 권선기'(등록특허 제10-0639706호 및 제10-1362333호)를 들 수 있는데, 이 코일 권선기는 권선 대상인 환형 코어 즉, 피권선 코어에 선재의 코일을 감는 코일권선부와, 코일을 감는 동안 피권선 코어를 지지하면서 일정 스텝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코어회전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코일 권선기는 도 1에 도면부호 10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C)에 코일을 감는 코일권선부가 지지대(1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코일권선뭉치(123)를 포함하는 바, 이 코일권선뭉치(123)는 다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환형 하우징(미도시)과 회전링(132) 및 환형 셔틀(13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환형 하우징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코일권선뭉치(123)를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지지대(111)의 개방구에 고정되어, 회전링(1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 코일권선뭉치(123)의 내부원(I)에 코어(C)를 배치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이 개방된다. 또, 회전링(132)은 일종의 링기어로서,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기어(128)와 맞물림되어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코일을 감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환형 셔틀(133)은 코일이 감기는 부분으로, 회전링(132)의 안쪽에 동축 상으로 끼워지는 바, 회전링(132)을 따라 함께 회전하지만, 감긴 코일이 권선 시 원활히 방출될 수 있도록 회전링(132)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권선뭉치(123)는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구동기어(128)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링(132)이 회전하여 셔틀(133)에 감겨 있던 코일을 풀어 장전위치에 배치된 코어(C)에 감음으로써, 하나의 권선 코어를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권선을 위해 피권선 코어(C)를 환형의 코일권선뭉치(123)의 내부원(I) 안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회전링(132)과 환형 셔틀(133)의 일측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구(O)를 형성하여야 하는 바, 회전링(132)과 셔틀(133)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132)의 경우에는 개방구(O)에 착탈되는 개폐편(110)이 필요하고, 셔틀(133)의 경우에는 개폐문(120)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코일권선뭉치(123) 안으로 코어(C)를 집어 넣을 때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링(132)에서 개폐편(110)을 분리하고, 셔틀(133)의 개폐문(120)을 셔틀(133)과 겹치게 안으로 밀어 넣어 개방구(O)를 개방한다. 코어(C)를 내부원(I)에 배치한 후에는 도 2에 은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개폐편(110)과 개폐문(120)을 닫아 이후 코일권선뭉치(123)가 정상적인 권선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권선이 종료되면, 내부원(I)에 배치된 코어(C)를 밖으로 빼내기 위해 개폐편(110)과 개폐문(120)은 재차 개방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종래의 코어 권선기(101)에 의해 하나의 코어(123)를 권선하기 위해서는 피권선 코어(C)를 코일권선뭉치(123)의 내부원(I)에 배치할 때와, 권선 코어를 내부원(I)에서 수거할 때의 두 차례에 걸쳐 회전링(132)에는 개폐편(110)을, 셔틀(133)에는 개폐문(120)을 착탈하여야 하는 바, 이 착탈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많은 시간을 소요하므로, 코일 권선의 작업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저하된 작업 효율성을 만회하기 위해 개폐편(110)이나 개폐문(120)의 체결이 소홀해질 경우 장치 전체에 큰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코어 권선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코일을 권선할 코어를 코일권선뭉치 내에 배치하거나 권선이 종료된 권선 코어를 코일권선뭉치 내에서 수거할 때 코어의 입출을 위해 개방되는 코일권선뭉치의 개폐 메커니즘을 원터치 방식으로 단순화함으로써, 코어 권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권선 시간을 단축하는 등 코어 권선의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권선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면서도 코일권선뭉치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권선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에 감긴 코일을 풀어, 내부원에 꼬인 관계로 장전된 피권선 코어의 환형 몸체에 반복하여 감도록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코일권선부; 및 상기 피권선 코어를 상기 코일권선부 내의 장전위치에 안착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코일권선부가 1 회전할 때 상기 피권선 코어를 1 이송회동시키는 코어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권선부는 상기 내부원에 상기 피권선 코어를 꼬인 관계로 끼우기 위한 또는 상기 내부원에 꼬인 관계로 끼워져 있는 상기 피권선 코어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상기 내부원의 개폐가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환형 코어 권선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일권선부는, 외부 몸체를 이루며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환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구동원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자전하는 회전링; 및 상기 회전링과 함께 상기 하우징을 따라 자전하도록 상기 회전링 외주에 끼워지며, 권선 개시 전에 외주를 따라 감은 코일이 권선 동작 중에 풀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링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환형 셔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일권선뭉치를 포함하되, 상기 코일권선뭉치는 상기 하우징, 상기 회전링, 및 상기 셔틀 각각의 일부분이 동일 구간에서 각각의 타부분과 반경방향으로 이분할되어 상기 일부분이 코일권선뭉치 상부를, 상기 타부분이 코일권선뭉치 하부를 이루며,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이 있을 때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가 상기 코일권선뭉치 하부와 분리됨으로써, 상기 내부원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권선뭉치는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의 일단과 상기 코일권선뭉치 하부의 일단이 상기 내부원 개방 시 상기 코어의 출입을 위한 개방구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의 타단과 상기 코일권선뭉치 하부의 타단이 상기 내부원 폐쇄 시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의 일단과 상기 코일권선뭉치 하부의 일단으로부터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이분할되어, 하우징 상하부, 회전링 상하부, 및 셔틀 상하부를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 하부, 상기 회전링 하부, 및 상기 셔틀 하부는 지지대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 상기 회전링 상부, 및 상기 셔틀 상부는 상기 지지대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하로 이분할되어, 지지대 상하부(11-1,11-2)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대 하부는 상기 하우징 하부, 상기 회전링 하부, 및 상기 셔틀 하부를 지지하면서 기대 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 상부는 상기 하우징 상부, 상기 회전링 상부, 및 상기 셔틀 상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하우징 상부, 상기 회전링 상부, 및 상기 셔틀 상부와 함께 상기 지지대 하부 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권선부는 상기 코일권선뭉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원의 개폐가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뭉치는, 상기 코일권선뭉치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승강안내수단; 및 상기 코일권선뭉치를 상기 승강안내수단을 따라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안내수단은, 상기 코일권선뭉치와 인접하여 상하로 설치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에 부착되되, 상기 안내레일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상하로 안내되도록 하는 이송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작동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 또는 해제된 때 피벗 회전하여, 상기 코일권선뭉치의 승강 동작을 일으키는 페달; 상기 페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페달의 피벗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페달에 걸리는 가압력을 상기 코일권선뭉치로 전달하는 푸시링크; 및 상기 푸시링크에 연결된 일측이 힘점으로 되고,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에 연결된 타측이 작용점으로 되며, 상기 코일권선뭉치 하부에 연결된 또 다른 타측이 받침점으로 되어, 상기 페달로부터 상기 푸시링크를 통해 가압력이 전달된 때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를 들어 올려 상기 내부원을 개방하는 피벗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뭉치는, 상기 피벗로드에 직각 방향으로 관통된 잠금공; 상기 승강작동수단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금공과 정렬되도록 상기 지지대 하부 일측에 관통된 끼움공; 및 상기 승강작동수단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 상기 끼움공과 상기 잠금공에 동시에 끼워져 상기 피벗로드의 회동을 저지하되, 상기 승강작동수단을 동작시키고자 할 때 상기 잠금공으로부터 빼내져 승강동작이 끝날 때까지 빠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대 하부에 장착된 잠금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승강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권선부는 복수의 투입롤 중 최내측에 위치하는 투입롤에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투입롤을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셔틀에 예비 권선될 코일이 상기 최내측 투입롤에서 나와 상기 셔틀에 감기기 전에 먼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예비 권선이 종료된 뒤 상기 최내측 투입롤과 상기 셔틀 사이에서 상기 코일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코일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커터는, 상기 최내측 투입롤 하방에 인접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부착되며, 입구 모서리에 받이날을 형성하는 통공이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원통형 케이싱; 일단은 대기위치에서 상기 통공을 개방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주면을 따라 동축 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돌출된 절단칼; 및 상기 절단칼을 돌리도록 상기 절단칼 타단에 장착되는 커터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단칼은 회전 시 상기 받이날과 호응하여, 상기 통공을 지나는 상기 코일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일측단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환형 코어 권선기에 따르면, 피권선 코어 즉, 권선 대상인 코어를 코일권선부의 코일권선뭉치 내 장전위치에 배치하거나, 코일권선뭉치의 장전위치에서 권선이 완료된 권선 코어를 외부로 빼내고자 할 때, 예컨대 승강뭉치의 페달을 밟는 것과 같은 개폐기구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예컨대 코일권선뭉치 상부와 하부를 분리시켜 코어의 출입을 위한 개방구를 간단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피권선 코어를 연속적으로 권선하도록 되어 있는 코어 권선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코어 권선의 작업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코어 권선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이분된 코일권선뭉치의 하우징, 회전링, 환형 셔틀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지지대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안정적인 체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권선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장치의 내구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코어 권선기의 코일권선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권선부의 회전링과 환형 셔틀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코어 권선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코일권선부를 발췌하여 개방 상태로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코일권선뭉치를 일부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코어회전부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코일권선부를 개방 상태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환형 코어 권선기를 코어권선뭉치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6의 코일권선부에 코일이 예비 권선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도 6의 코일권선부에 예비 권선된 코일이 코어로 권선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권선부의 회전링과 환형 셔틀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코어 권선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코일권선부를 발췌하여 개방 상태로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코일권선뭉치를 일부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코어회전부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코일권선부를 개방 상태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환형 코어 권선기를 코어권선뭉치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6의 코일권선부에 코일이 예비 권선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도 6의 코일권선부에 예비 권선된 코일이 코어로 권선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코어 권선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환형 코어 권선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코일권선부(3)와 코어회전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코일권선부(3)는 환형 코어(C)에 직접적으로 코일을 감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쇠사슬과 같이 내부원(I)에 꼬인 관계로 즉, 90도 각도차를 두고 서로 엮이도록 장전되는 환형의 피권선 코어(C) 몸체에 반경방향으로 코일(W)을 감는다. 이를 위해, 코일권선부(3)는 기대(7) 위에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지지대(11) 상에 내주 부분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 코일투입뭉치(21), 코일권선뭉치(23), 구동뭉치(25), 및 승강뭉치(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코일투입뭉치(21)는 권선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코일권선뭉치(23)에 코일(W)을 투입하는 부분으로, 일측방에서 코일권선뭉치(23)를 향하여 길게 연장된 거치대(71)와, 이 거치대(71)의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투입롤(72), 그리고 최내측 투입롤(72)에 인접 장착되는 코일커터(2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코일커터(221)는 코일권선뭉치(23) 외주에 충분히 감겨 투입이 완료된 코일(W)의 투입 말단을 절단함으로써, 코일권선뭉치(23)가 코일(W)로 인해 구속되지 않고 회전하여 외주에 감긴 코일(W)을 코어(C)에 감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일권선뭉치(23)는 실질적으로 코어(C)에 코일(W)을 감는 부분으로, 지지대(11) 상에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외주에 감긴 코일(W)을 풀어내 내부원(I)에 장전된 코어(C)의 몸체에 반경방향으로 감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코일(W)은 코일권선뭉치(23)의 회전에 따라 권선이 반복되어 촘촘히 감긴다. 이를 위해 코일권선뭉치(23)는 내부원(I)에 권선할 코어(C)를 꼬인 관계로 끼우거나 또는 꼬인 관계로 끼워진 내부원(I)에서 권선이 완료된 코어(C)를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내부원(I)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권선뭉치(23)는 다시 도 3 내지 도 5 및 도 6과 도 7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하우징(31), 회전링(32), 및 환형 셔틀(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하우징(31), 회전링(32), 및 셔틀(33)은 각각 일부분(31-1,32-1,33-1)이 동일한 구간에서 각각의 타부분(31-2,32-2,33-2)과 반경방향으로 이분할되는 바, 일부분(31-1,32-1,33-1)은 코일권선뭉치 상부(23-1)를, 타부분(31-2,32-2,33-2)은 코일권선뭉치 하부(23-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31), 회전링(32), 및 셔틀(33) 즉, 코일권선뭉치(23)는 동일 구간의 일부분(31-1,32-1,33-1) 즉, 코일권선뭉치 상부(23-1)를 사용자가 원터치 조작에 의해 이동시킨 때, 나머지 타부분(31-2,32-2,33-2) 즉, 코일권선뭉치 하부(23-2)와 분리됨으로써, 내부원(I)을 개방하여 코어(C)를 장전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권선뭉치(23)는 도 6 및 도 7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내부원(I)을 개방한 때,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의 일단 즉, 도면 상 좌하단과 코일권선뭉치 하부(23-2)의 일단 즉, 도면 상 좌 중단이 서로 벌어지면서 개방구(O)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개방구(O)를 통해 코어(C)를 출입시킨다. 또한,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의 타단 즉, 우상단과 코일권선뭉치 하부(23-2)의 타단 즉, 중상단은 내부원(I)이 폐쇄된 때 맞닿음되는 바, 코일권선뭉치 상하부(23-1,23-2)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각도 상에서 코일권선뭉치(23)를 이분할시킨다. 예컨대, 코일권선뭉치 상하부(23-1,23-2)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직각으로 이분할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직각보다 더 큰 각도 즉, 둔각을 이루도록 이분할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직각으로 이분될 때, 코일권선뭉치 상부(23-1)는 1/4원이 되고, 코일권선뭉치 하부(23-2)는 3/4원이 된다.
이때, 코일권선뭉치 하부(23-2) 즉, 하우징 하부(31-2), 회전링 하부(32-2), 및 셔틀 하부(33-2)는 지지대(11) 하부에 고정되고, 코일권선뭉치 상부(23-1) 즉, 하우징 상부(31-1), 회전링 상부(32-1), 및 셔틀 상부(33-1)는 지지대(11)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코일권선뭉치(23)를 끼우기 위한 지지대(11)의 개방구를 코일권선뭉치(23)보다 더 높게 형성하여, 도 6과 같이 코일권선뭉치(23)가 상하로 이분되어 있지 않아도, 코일권선뭉치 상부(23-1)를 코일권선뭉치 하부(23-2)로부터 위로 들어 올릴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권선뭉치(23)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이분되어 지지대 상하부(11-1,11-2)로 형성됨으로써, 코일권선뭉치(23)와 함께 움직이면서 코일권선뭉치 상부(23-1)를 들어 올리는 외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대 하부(11-2)는 하우징 하부(31-2), 회전링 하부(32-2), 및 셔틀 하부(33-2)를 지지하면서 기대(7) 위에 고정되고, 지지대 상부(11-1)는 하우징 상부(31-1), 회전링 상부(32-1), 및 셔틀 상부(33-1)를 지지하면서 하우징 상부(31-1), 회전링 상부(32-1), 및 셔틀 상부(33-1)와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대 하부(11-2) 위에 정합된다.
한편, 상기 환형 하우징(31)은 코일권선뭉치(23)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원(I)을 이루도록 지지대(11)의 원형 개방구에 일체로 부착되어 고정되는 바, 도 6 및 도 7에 상세 도시된 것처럼, 회전링(32)과 환형 셔틀(33)을 회전 가능하게 끼우기 위한 안내홈을 형성하도록 도 6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기판(35), 간막이판(36), 및 마감판(3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판(35)은 ㄷ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취함으로써 내면이 지지대(11)에 부착되고, 외면의 오목홈에 회전링(32)의 외치기어(39)를 수용한다. 또, 간막이판(36)은 기판(35)의 오목홈을 가능한한 최대로 막도록 기판(35) 외면에 부착되어 외치기어(39)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마감판(37)은 지지대(11)에 부착된 기판(35) 위에 간막이판(36)을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링(32)에 끼워져 있는 환형 셔틀(33)을 지지하는 바, 간막이판(36)을 통해 기판(35) 상에 볼트(38)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링(32)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하우징(31) 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자전함으로써 코어(C)에 코일(W)을 감는 부분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5)의 오목홈에 끼워져 돌아가도록 내측에 외치기어(39)가 형성되며, 간막이판(36)과 사이에 셔틀(33)을 끼워 지지하도록 외측에 외판(41)이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링(32)은 외치기어(39)가 지지대(11) 하단에 장착된 구동기어(28)와 맞물림되어, 구동원(29)에서 구동기어(28)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하우징(31)을 따라 자전한다.
끝으로, 상기 환형 셔틀(33)은 회전링(32)의 외주에 끼워져 외주에 감긴 코일(W)의 방출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32)과 마감판(37) 사이에 형성된 오목홈에 끼워져, 회전링(32)과 함께 하우징(31)을 따라 자전하되, 회전링(32)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상대 이동 즉,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외주면을 따라 코일홈(43)이 형성됨으로써, 코어(C)에 대한 권선을 시작하기 전에 권선 시 사용될 코일(W)을 코일홈(43)에 예비 권선하여 즉, 미리 감아 준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환형 셔틀(33)은 권선 동작 중에 코일홈(43)에 감긴 코일(W)을 풀도록 되어 있는 바, 회전링(32)에 대해 상대 회전함으로써, 코어(C)에 감길수록 점점 짧아지는 코일(W)이 코어(C)에 의해 당겨져 긴장되지 않고 원활하게 풀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동뭉치(25)는 코일권선뭉치(23) 특히, 회전링(32)으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링(32)과 맞물림되도록 지지대(11) 내에 장착된 구동기어(28)와, 이 구동기어(28)의 회전력을 만들어 내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원(29), 그리고 구동원(29)의 회전구동력을 구동기어(28)로 전달하는 벨트풀리 조립체(30)로 이루어지는 바, 기대(7) 중간에 장착된 구동원(29)의 회전 구동력을 벨트풀리 조립체(30)를 통해 구동기어(28)로 전달하여 외치기어(39)에 의해 구동기어(28)와 맞물림된 회전링(32)을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기어(28)는 기어 중심축의 벨트풀리 조립체(30) 반대쪽에 회전손잡이(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동원(29)을 구동하기 전에 즉, 권선 개시 전에 회전손잡이(13)를 통해 회전링(32)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손쉽게 코일(W) 권선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끝으로, 상기 승강뭉치(27)는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코일권선뭉치(23)가 승강되어 내부원(I)이 개폐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5,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권선뭉치(23) 일측에서 기대(7)를 관통하여 바닥면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바, 다시 승강안내수단(57)과 승강작동수단(59)으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승강안내수단(57)은 코일권선뭉치(23)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다시 안내레일(61)과 이송블럭(62)으로 구성되는 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권선뭉치 하부(23-2)에 대한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의 승강을 안내한다. 즉, 지지대 하부(11-2)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지지대 상부(11-1)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레일(61)은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기대(7) 위에 설치된 레일프레임(63)을 통해 코일권선뭉치(23)의 일측에 인접 설치된다. 따라서, 안내레일(61)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코일권선뭉치 상부(23-1) 즉, 지지대 상부(11-1)의 승강을 상하로 안내한다. 또, 상기 이송블럭(62)은 위와 같은 안내레일(61)과 코일권선뭉치 상부(23-1) 또는 지지대 상부(11-1)를 매개하는 수단으로서, 전면이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에 직접 부착되거나,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판(64)을 통해 지지대 상부(11-1)에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후면이 안내레일(61)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이송블럭(62)과 안내레일(61)은 도브테일 형태의 요철에 의해 맞물림됨으로써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의 안내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작동수단(59)은 코일권선뭉치(23)를 즉, 코일권선뭉치 상부(23-1)를 승강안내수단(57)을 따라 승강 동작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시 페달(45), 푸시링크(47), 피벗로드(4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페달(45)은 도 3, 도 4,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 또는 해제되도록 기대(7) 하부에 설치되는 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화살표(P) 방향으로 가압된 때, 지지링크(46)가 도면 상 시계 방향으로 피벗 회전함으로써 푸시링크(47)를 위로 들어 올려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와 지지대 상부(11-1)를 상승시키며, 따라서 내부원(I)을 개방한다. 반대로, 사용자에 의한 가압력(P)이 제거된 때 페달(45)은 복귀스프링(65)의 반력에 의해 원래의 대기위치로 복귀하며, 따라서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와 지지대 상부(11-1)는 원래의 폐쇄위치로 하강한다. 또, 상기 푸시링크(47)는 페달(45)에 가해지는 가압력(P)을 피벗로드(49)에 전달하는 봉체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은 페달(45)의 지지링크(46) 작용단에 핀결합되고, 상단은 피벗로드(49)의 힘단에 핀결합된다. 따라서, 푸시링크(47)는 페달(45)의 피벗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페달(45)에 걸리는 가압력(P)을 코일권선뭉치(2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상기 피벗로드(49)는 푸시링크(47)를 통해 페달(45)로부터 전달된 가압력(P)에 의해 직접적으로 코일권선뭉치 상부(23-1)를 들어 올려 내부원(I)을 개방하는 부분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종 지레의 형태로 지지대 상부(11-1)를 통해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피벗로드(49)는 푸시링크(47) 상단에 핀결합된 도면 상 좌측의 외측단이 힘점이 되고, 연장판(64)을 통해 코일권선뭉치 상부(23-1) 즉, 지지대 상부(11-1)에 핀결합된 중간단은 작용점이 되며, 지지대 하부(11-2)를 통해 코일권선뭉치 하부(23-2)에 핀결합된 도면 상 우측의 내측단은 받침점이 된다. 이때, 연장판(64)에 연결된 핀(66)은 피벗로드(49)의 피벗 운동을 구속하지 않도록 핀슬롯(68)을 통해 피벗로드(49)에 결합된다.
한편, 위와 같은 승강뭉치(27)는 권선 동작 중 코일권선뭉치(23)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 승강잠금수단(201)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승강잠금수단(201)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나, 도 3 내지 도 5,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공(203), 끼움공(205), 그리고 잠금쇠(207)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잠금공(203)은 잠금쇠(207)를 끼워 피벗로드(49)의 피벗 회전은 물론, 움직임 자체를 저지하는 수단으로,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피벗로드(49)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벗로드(49)의 힘점과 작용점 사이에서 피벗 회전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공(205)은 위 승강작동수단(59)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 잠금공(203)과 정렬되어, 잠금공(203)으로 잠금쇠(207)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로서, 지지대 하부(11-2) 하단 일측에 또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대 하부(11-2) 측변에 장착된 별도의 잠금프레임(208) 상에 관통, 형성된다. 끝으로, 상기 잠금쇠(207)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피벗로드(49), 더 나아가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의 이동을 저지하는 수단으로, 도 3 내지 도 5,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끼움공(205)과 잠금공(203)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봉체로 되어 있으며, 승강작동수단(59)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 도 4에 D로 확대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211)으로부터 돌출되어 끼움공(205)과 잠금공(203)에 동시에 끼워짐으로써, 피벗로드(49)의 회동을 저지하여, 권선 동작 중에 페달(45) 등에 대한 부주의한 조작으로 내부원(I)의 개방이 시도되지 않도록 한다. 반대로, 승강작동수단(59)을 동작시키고자 할 때, 잠금쇠(207)는 도 5에 E로 확대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211) 안으로 수축되어 잠금공(203)으로부터 빼내지면서 헤드(209)가 하우징(211) 위에 걸림으로써, 승강동작이 끝날 때까지 빠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코일권선부(3)는 코일투입뭉치(21)에서 예비 권선이 종료된 코일권선뭉치(23)로 이어진 코일(W)을 절단하기 위해 코일커터(22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코일커터(221)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투입뭉치(21)의 복수의 투입롤(72) 중 최내측에 위치하는 투입롤(72)에 인접하도록 지지대(11) 상단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권선뭉치(23)의 셔틀(33)에 예비 권선되는 코일(W)이 복수의 투입롤(72)을 따라 외부에서 공급될 때, 셔틀(33)에 감기기 전에 코일커터(221)를 먼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예비 권선이 종료된 코일(W)이 최내측 투입롤(72)과 셔틀(33) 사이에서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코일커터(221)는 도 3 내지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케이싱(223), 절단칼(225), 및 커터손잡이(2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싱(223)은 코일커터(221)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지지대(11)의 최내측 투입롤(72) 하방에 인접하여 부착되는 바, 코일(W)이 일직선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통공(228)이 관통되어 있는데, 이 통공(228)의 코일 입구 모서리에 코일(W)을 절단하기 위한 받이날(229)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절단칼(225)은 위 받이날(229)과 호응하여 코일(W)을 실질적으로 절단하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23)의 내주면을 따라 동축 상으로 회전하도록 일단이 케이싱(223) 내에 장착되는 한편, 타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를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돌출된다. 이때, 절단칼(225)의 전방측 일단은 도 12에 도시된 대기위치에서 케이싱(223)의 통공(228)을 개방하고 있으며, 절단칼(225) 회전 시 받이날(229)과 호응하여 통공(228)을 지나는 코일(W)을 절단하도록 받이날(229)과 대응하는 일측단 모서리에 절단날(231)이 형성된다. 끝으로, 상기 커터손잡이(227)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절단칼(225)의 타단에 장착되어, 절단칼(225) 회전 시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어회전부(5)는 위와 같이 코일권선부(3)에 의해 코어(C)에 코일(W)을 감을 때 코어(C)를 파지하는 수단으로서, 권선 대상인 코어(C)를 장전위치(L)에 안착시킬 뿐 아니라, 장전위치(L)에 안착된 코어(C)를 코일권선부(3) 특히, 회전링(32)의 회전과 연동시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링(32)이 1 회전하여 코일(W)을 코어(C)에 한 바퀴 감을 때 1 이송회동하여 코일(W)이 다음 한 바퀴 감길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 13에서 회전링(32)이 화살표(B) 방향으로 1 회전하는 동안 코어(C)를 화살표(C) 방향으로 1 이송회동시켜, 코일(W)이 다음 바퀴로 감길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코어회전부(5)는 도 3 내지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C)를 장전위치(L)에 지지하는 롤러뭉치(75)와 이 롤러뭉치(75)를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송베드(77)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롤러뭉치(75)는 다시 코어(C)를 직접적으로 이송회동시키는 구동롤(79)과, 이 구동롤(79)의 전후에서 코어(C)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8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구동롤(79)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연결된 스텝모터(82)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코어(C)를 이송회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각각의 지지롤(81)은 웜(84)과 웜기어(85)를 통해 링크된 개폐손잡이(83)의 회전에 의해 코어(C)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구동롤(79)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하단에 조립된 가압조립체(86)를 통해 코어(C)에 압박되는 바, 가압봉(87)이 핀(89)에 의해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가압봉(87)에 대한 스프링 걸쇠(88)의 핀(90) 결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코어(C)에 대한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각각의 지지롤(81)은 구동롤(79) 전후에 연결된 기어열(93)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롤(79)과 동기 회전한다.
또한, 이동베드(77)는 상하 조정부(91)와 좌우 조정부(92)에 의해 베드면의 높낮이나 코어(C)와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롤러뭉치(75)의 위치를 원하는 데로 변경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이 가능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 조정부(91)가 조정손잡이(93)와 베벨기어열(95) 그리고 이송스크류(97)로 구성되고, 좌우 조정부(92)가 조정손잡이(94)와 이송스크류(96)로 구성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형 코어 권선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코어 권선기(1)에 의해 코어(C)에 코일(W)을 감기 위해서는 먼저, 준비과정으로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페달(45)을 밟아 승강뭉치(27)를 작동시킴으로써 코일권선부(3)의 코일권선뭉치 상부(23-1)를 지지대 상부(11-1)와 함께 위로 들어 올린다. 이에 따라 코일권선뭉치(23)의 내부원(I)이 개방되면, 도 6과 같이 개방구(O)를 통해 권선 대상인 코어(C)를 내부원(I)에 삽입하되,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일부만을 내부원(I)에 위치시켜 도 3과 같이 내부원(I)이 닫혔을 때 코어(C)가 코일권선뭉치(23)와 꼬인 관계로 배치되게 한다.
그리고 나서, 외부의 권선코일로부터 코일투입뭉치(21)를 통해 투입된 코일(W)을 코일권선뭉치(23)의 외주에 감는다. 이를 위해, 외부에서 투입롤(72)을 따라 들어온 코일(W)을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커터(221)를 통과시켜 코일권선뭉치(23)의 셔틀(33)에 고정한 뒤, 구동원(29)을 역회전시켜 회전링(32)을 도 12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투입롤(72)을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코일(W)은 셔틀(33)의 코일홈(43)에 감기는데, 하나의 코어(C)를 권선하는데 사용되는 양만큼 예컨대, 200회 정도 셔틀(33)에 감긴다. 이때, 회전링(32)의 회전수는 회전감지센서(51)에 의해 계수되어 제어부에 의해 통제된다. 이렇게 해서, 코일(W)이 정해진 길이만큼 감기면, 작업자는 코일커터(221)의 절단칼(225)을 돌려 코일(W)을 절단하고,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절단된 끝을 코일커터(221)와 인접한 하우징(31) 상단의 코일걸이(53)에 끼워 넣은 뒤 안내롤(55)에 걸어 코일(W)의 수납을 마치게 된다.
다만, 위와 같이 코일(W)을 준비하기 전에 또는 준비하고 나서, 앞서 내부원(I)에 끼운 코어(C)를 장전위치(L)에 안착시키는 바, 도 3 내지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회전부(5)에 코어(C)를 안착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먼저 개폐손잡이(83)를 조작하여 전후 지지롤(81)을 앞뒤로 벌린 뒤, 스프링 걸쇠(88)의 핀(90)을 뽑아 가압조립체(86)를 해체한다. 그리고 나서, 두 개의 지지롤(81)과 구동롤(79)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 지지점 위에 코어(C)를 둔다. 그 다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롤(81)을 코어(C)에 밀착시킨 뒤, 스프링 걸쇠(88)를 재차 가압봉(87)에 걸어 구동롤(79)도 코어(C)에 압착시킨다. 이때, 코어(C)의 직경에 따라 핀(89)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구동롤(79)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코어(C)의 직경 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 롤(79,81) 사이에 코어(C)를 안착한 뒤에는 상하 조정부(91)와 좌우 조정부(92)의 손잡이(93,94)를 조작하여 이송베드(77)의 상하 높이와 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코어(C)의 장전을 마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베드(77)의 상하 높이를 맞추는 것은 코어(C)의 두께에 따라 변화되는 장전위치(L)에서 권선 높이를 코일권선뭉치(23) 즉, 내부원(I)의 중심에 맞추기 위함이고, 이송베드(77)의 좌우 위치를 맞추는 것은 코어(C)의 직경 변화가 심한 때에도 장전위치(L)에서 권선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코일권선뭉치(23) 즉, 내부원(I)의 중심에 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해서 코어(C)의 장전과 코일(W)의 수납이 완료되면, 안내롤(55)에 걸려 있던 코일(W)을 끌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C) 몸체에 한 차례 감아 고정한 뒤, 구동원(29)을 정방향으로 기동시켜 회전링(32)을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셔틀(33)에 감겨 있던 코일(W)이 코어(C)에 감기도록 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링(32)이 1 회전할 때 코어(C)는 화살표(C) 방향으로 1 이송회동하여 회전링(32)이 다음 번 회전할 때 코일(W)이 다음 번 피치에 감기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정해진 회수만큼 회전링(32)이 회전하여 예컨대 코어(C) 상에 1000회 정도 코일(W)이 감겨 셔틀(33)에 감겨 있던 코일(W)이 모두 코어(C)로 옮겨져 감기고 나면 코어(C)의 권선이 완료된다.
최종적으로, 코어회전부(5)로부터 장전위치(L)의 권선 코어(C)를 분리하고, 페달(45)을 밟아 코일권선뭉치 상부(23-1)를 들어 올려 내부원(I)을 재차 개방한 뒤, 장전위치(L)에서 분리된 권선 코어(C)를 코일권선부(3)로부터 수거하면 코어 권선 작업이 마무리된다.
1 : 권선기 3 : 코일권선부
5 : 코어회전부 7 : 기대
11 : 지지대 13 : 회전손잡이
21 : 코일투입뭉치 23 : 코일권선뭉치
23-1 : 코일권선뭉치 상부 23-2 : 코일권선뭉치 하부
25 : 구동뭉치 27 : 승강뭉치
28 : 구동기어 29 : 구동원
30 : 벨트풀리 조립체 31 : 하우징
32 : 회전링 33 : 셔틀
39 : 외치기어 43 : 코일홈
45 : 페달 46 : 잠금쇠
51 : 회전감지센서 53 : 코일걸이
55 : 안내롤 57 : 승강안내수단
59 : 승강작동수단 72 : 투입롤
75 : 롤러뭉치 79 : 구동롤
81 : 지지롤 86 : 가압조립체
91 : 상하 조정부 92 : 좌우 조정부
201 : 승강잠금수단 221 : 코일커터
C : 코어 I : 내부원
L : 장전위치 W : 코일
5 : 코어회전부 7 : 기대
11 : 지지대 13 : 회전손잡이
21 : 코일투입뭉치 23 : 코일권선뭉치
23-1 : 코일권선뭉치 상부 23-2 : 코일권선뭉치 하부
25 : 구동뭉치 27 : 승강뭉치
28 : 구동기어 29 : 구동원
30 : 벨트풀리 조립체 31 : 하우징
32 : 회전링 33 : 셔틀
39 : 외치기어 43 : 코일홈
45 : 페달 46 : 잠금쇠
51 : 회전감지센서 53 : 코일걸이
55 : 안내롤 57 : 승강안내수단
59 : 승강작동수단 72 : 투입롤
75 : 롤러뭉치 79 : 구동롤
81 : 지지롤 86 : 가압조립체
91 : 상하 조정부 92 : 좌우 조정부
201 : 승강잠금수단 221 : 코일커터
C : 코어 I : 내부원
L : 장전위치 W : 코일
Claims (5)
- 외주에 감긴 코일(W)을 풀어, 내부원(I)에 꼬인 관계로 장전된 피권선 코어(C)의 환형 몸체에 반복하여 감도록 지지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코일권선부(3); 및
상기 피권선 코어(C)를 상기 코일권선부(3) 내의 장전위치(L)에 안착시키도록 상기 지지대(11)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코일권선부(3)가 1 회전할 때 상기 피권선 코어(C)를 1 이송회동시키는 코어회전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권선부(3)는 상기 내부원(I)에 상기 피권선 코어(C)를 꼬인 관계로 끼우기 위한 또는 상기 내부원(I)에 꼬인 관계로 끼워져 있는 상기 피권선 코어(C)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상기 내부원(I)의 개폐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코어 권선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권선부(3)는,
외부 몸체를 이루며 상기 지지대(11)에 고정되는 환형 하우징(31);
상기 하우징(31) 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구동원(29)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31)을 따라 자전하는 회전링(32); 및
상기 회전링(32)과 함께 상기 하우징(31)을 따라 자전하도록 상기 회전링(32) 외주에 끼워지며, 권선 개시 전에 외주를 따라 감은 코일(W)이 권선 동작 중에 풀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링(3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환형 셔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일권선뭉치(23)를 포함하되,
상기 코일권선뭉치(23)는 상기 하우징(31), 상기 회전링(32), 및 상기 셔틀(33) 각각의 일부분(31-1,32-1,33-1)이 동일 구간에서 각각의 타부분(31-2,32-2,33-2)과 반경방향으로 이분할되어 상기 일부분(31-1,32-1,33-1)이 코일권선뭉치 상부(23-1)를, 상기 타부분(31-2,32-2,33-2)이 코일권선뭉치 하부(23-2)를 이루며, 사용자의 조작이 있을 때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23-1)가 상기 코일권선뭉치 하부(23-2)와 분리됨으로써, 상기 내부원(I)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코어 권선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권선뭉치(23)는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의 일단과 상기 코일권선뭉치 하부(23-2)의 일단이 상기 내부원(I) 개방 시 상기 코어(C)의 출입을 위한 개방구(O)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의 타단과 상기 코일권선뭉치 하부(23-2)의 타단이 상기 내부원(I) 폐쇄 시 상기 코일권선뭉치 상부(23-1)의 일단과 상기 코일권선뭉치 하부(23-2)의 일단으로부터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이분할되어, 하우징 상하부(31-1,31-2), 회전링 상하부(32-1,32-2), 및 셔틀 상하부(33-1,33-2)를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 하부(31-2), 상기 회전링 하부(32-2), 및 상기 셔틀 하부(33-2)는 상기 지지대(11)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상부(31-1), 상기 회전링 상부(32-1), 및 상기 셔틀 상부(33-1)는 상기 지지대(11)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코어 권선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는 상하로 이분할되어, 지지대 상하부(11-1,11-2)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대 하부(11-2)는 상기 하우징 하부(31-2), 상기 회전링 하부(32-2), 및 상기 셔틀 하부(33-2)를 지지하면서 기대(7) 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 상부(11-1)는 상기 하우징 상부(31-1), 상기 회전링 상부(32-1), 및 상기 셔틀 상부(33-1)를 지지하면서 상기 하우징 상부(31-1), 상기 회전링 상부(32-1), 및 상기 셔틀 상부(33-1)와 함께 상기 지지대 하부(11-2) 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코어 권선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일권선부(3)는 상기 코일권선뭉치(23)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원(I)의 개폐가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뭉치(27)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뭉치(27)는,
상기 코일권선뭉치(23)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승강안내수단(57); 및
상기 코일권선뭉치(23)를 상기 승강안내수단(57)을 따라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작동수단(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코어 권선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2922A KR102218671B1 (ko) | 2016-06-13 | 2016-06-13 | 환형 코어 권선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2922A KR102218671B1 (ko) | 2016-06-13 | 2016-06-13 | 환형 코어 권선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8381A Division KR101632844B1 (ko) | 2015-11-30 | 2015-11-30 | 환형 코어 권선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3328A KR20170063328A (ko) | 2017-06-08 |
KR102218671B1 true KR102218671B1 (ko) | 2021-02-22 |
Family
ID=5922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2922A KR102218671B1 (ko) | 2016-06-13 | 2016-06-13 | 환형 코어 권선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867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6279A (ko) | 2022-01-06 | 2023-07-13 | 주식회사 블럭나인 | 토로이달 코어 권선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9706B1 (ko) | 2005-05-06 | 2006-10-30 | 전용성 | 타원형 및 다각형 토로이달 코일 권선기 |
JP2008527703A (ja) | 2005-01-10 | 2008-07-24 | ベオテクニック・ゲーエムベーハー | 閉じた環状コアへの巻き付け装置及び方法 |
KR101362333B1 (ko) | 2013-12-26 | 2014-02-12 | 주식회사 삼아엔지니어링 | 트로이드의 트로이덜 코일 권선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7479B1 (ko) * | 2003-10-27 | 2005-07-01 | 전용성 | 토로이달 코일 권선기 |
-
2016
- 2016-06-13 KR KR1020160072922A patent/KR1022186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27703A (ja) | 2005-01-10 | 2008-07-24 | ベオテクニック・ゲーエムベーハー | 閉じた環状コアへの巻き付け装置及び方法 |
KR100639706B1 (ko) | 2005-05-06 | 2006-10-30 | 전용성 | 타원형 및 다각형 토로이달 코일 권선기 |
KR101362333B1 (ko) | 2013-12-26 | 2014-02-12 | 주식회사 삼아엔지니어링 | 트로이드의 트로이덜 코일 권선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6279A (ko) | 2022-01-06 | 2023-07-13 | 주식회사 블럭나인 | 토로이달 코어 권선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3328A (ko) | 2017-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2844B1 (ko) | 환형 코어 권선기 | |
KR101949284B1 (ko) | 저소음 환형 코어 권선기 | |
KR101632850B1 (ko) | 환형 코어 권선기 | |
US7540315B2 (en) | Winding mechanism for a window blind | |
DE2106809C3 (de) | Gerät zur Magnetbandaufzeichnung und/oder -wiedergabe | |
JP4866577B2 (ja) | パラ巻線方法及びパラ巻線装置 | |
KR102218671B1 (ko) | 환형 코어 권선기 | |
KR102218673B1 (ko) | 환형 코어 권선기 | |
JP2024026510A (ja) | ストラッピング工具 | |
DE2055275A1 (de) | Anordnung zum Textuneren von Garnen | |
DE3736191C2 (ko) | ||
KR101632845B1 (ko) | 환형 코어 권선기 | |
US4388952A (en) | Coil winding apparatus | |
JP3646289B2 (ja) | 巻線方法と巻線機 | |
CN104514477B (zh) | 用于窗户遮盖物操作系统的变力制动器 | |
US2023039082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metal wires and similar products | |
JPH11156957A (ja) | 路上車輌用タイヤの為のトロイダルカーカスを製造する方法 | |
US5090860A (en) | Sheet binder | |
WO2003079380A1 (fr) | Bobineuse d'ame toroidale | |
WO2003105166A1 (ja) | トロイダルコアの巻線機 | |
CN219135961U (zh) | 拉线组件 | |
US20230392441A1 (en) | Roller blind drive device operated by single pull cord | |
JP2002270452A (ja) | トロイダルコアの巻線機 | |
JP2552465B2 (ja) | 間欠結束機 | |
US8893751B2 (en) | Device for producing a loop on one end of a coil sp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