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850B1 - 환형 코어 권선기 - Google Patents

환형 코어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850B1
KR101632850B1 KR1020150191681A KR20150191681A KR101632850B1 KR 101632850 B1 KR101632850 B1 KR 101632850B1 KR 1020150191681 A KR1020150191681 A KR 1020150191681A KR 20150191681 A KR20150191681 A KR 20150191681A KR 101632850 B1 KR101632850 B1 KR 101632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core
coil
wind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파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파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파티이씨
Priority to KR102015019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64Winding non-flat conductive wires, e.g. rods, cables or co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8Winding conductors onto closed formers or cores, e.g. threading conductors through toroidal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형 코어 권선기(1)에 관한 것으로, 내부원(I)에 꼬인 관계로 장전된 피권선 코어(C)의 환형 몸체에, 외주에 감긴 코일(W)을 풀어 반복하여 감도록 회전하는 코일권선부(3); 및 상기 피권선 코어(C)를 장전위치(L)에 안착시키되, 상기 코일권선부(3)가 1 회전할 때 상기 피권선 코어(C)를 1 이송회동시키는 코어회전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환형 하우징(31); 회전링(32); 및 환형 셔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일권선뭉치(23)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권선부(3)는 상기 내부원(I)에 상기 피권선 코어(C)를 꼬인 관계로 끼우기 위한 또는 상기 내부원(I)에 꼬인 관계로 끼워져 있는 상기 피권선 코어(C)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상기 내부원(I)의 개방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코일권선부 일부를 코일권선부 뒤쪽으로 분리시켜 코어의 출입을 위한 개방구를 간단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피권선 코어를 연속적으로 권선하도록 되어 있는 코어 권선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코어 권선의 작업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환형 코어 권선기{Ring-shaped Core Winding Machine}
본 발명은 환형 코어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 등에 사용되는 토로이덜(toroidal) 코어와 같은 환형 코어의 몸체에 선재 코일을 반자동으로 횡권하는 데 즉, 반경방향으로 권선하는 데 사용되는 환형 코어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터로 널리 사용되는 토로이덜 코어는 환형 코어로서 자로가 폐회로를 구성하여 누설자속이 적기 때문에 고주파 회로에 널리 사용되는 바, 환형이라는 형태적 한계로 인해 코일을 권선하는 작업에 많은 불편이 따랐으며,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코어 권선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환형 코어에 코일을 감는 데 사용되는 환형 코어 권선기의 일예로 '타원형 및 다각형 토로이달 코일 권선기'(등록특허 제10-0639706호 및 제10-1362333호)를 들 수 있는데, 이 코일 권선기는 권선 대상인 환형 코어 즉, 피권선 코어에 선재의 코일을 감는 코일권선부와, 코일을 감는 동안 피권선 코어를 지지하면서 일정 스텝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코어회전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코일 권선기는 도 1에 도면부호 10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C)에 코일을 감는 코일권선부가 지지대(1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코일권선뭉치(123)를 포함하는 바, 이 코일권선뭉치(123)는 다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환형 하우징(미도시)과 회전링(132) 및 환형 셔틀(13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환형 하우징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코일권선뭉치(123)를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지지대(111)의 개방구에 고정되어, 회전링(1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바, 코일권선뭉치(123)의 내부원(I)에 코어(C)를 배치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이 개방된다. 또, 회전링(132)은 일종의 링기어로서,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기어(128)와 맞물림되어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코일을 감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환형 셔틀(133)은 코일이 감기는 부분으로, 회전링(132)의 안쪽에 동축 상으로 끼워지는 바, 회전링(132)을 따라 함께 회전하지만, 감긴 코일이 권선 시 원활히 방출될 수 있도록 회전링(132)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권선뭉치(123)는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구동기어(128)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링(132)이 회전하여 셔틀(133)에 감겨 있던 코일을 풀어 장전위치에 배치된 코어(C)에 감음으로써, 하나의 권선 코어를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권선을 위해 피권선 코어(C)를 환형의 코일권선뭉치(123)의 내부원(I) 안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회전링(132)과 환형 셔틀(133)의 일측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구(O)를 형성하여야 하는 바, 회전링(132)과 셔틀(133)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132)의 경우에는 개방구(O)에 착탈되는 개폐편(110)이 필요하고, 셔틀(133)의 경우에는 개폐문(120)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코일권선뭉치(123) 안으로 코어(C)를 집어 넣을 때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링(132)에서 개폐편(110)을 분리하고, 셔틀(133)의 개폐문(120)을 셔틀(133)과 겹치게 안으로 밀어 넣어 개방구(O)를 개방한다. 코어(C)를 내부원(I)에 배치한 후에는 도 2에 은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개폐편(110)과 개폐문(120)을 닫아 이후 코일권선뭉치(123)가 정상적인 권선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권선이 종료되면, 내부원(I)에 배치된 코어(C)를 밖으로 빼내기 위해 개폐편(110)과 개폐문(120)은 재차 개방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종래의 코어 권선기(101)에 의해 하나의 코어(123)를 권선하기 위해서는 피권선 코어(C)를 코일권선뭉치(123)의 내부원(I)에 배치할 때와, 권선 코어를 내부원(I)에서 수거할 때의 두 차례에 걸쳐 회전링(132)에는 개폐편(110)을, 셔틀(133)에는 개폐문(120)을 착탈하여야 하는 바, 이 착탈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많은 시간을 소요하므로, 코일 권선의 작업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저하된 작업 효율성을 만회하기 위해 개폐편(110)이나 개폐문(120)의 체결이 소홀해질 경우 장치 전체에 큰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639706 KR 10-136233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코어 권선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코일을 권선할 코어를 코일권선뭉치 내에 배치하거나 권선이 종료된 권선 코어를 코일권선뭉치 내에서 수거할 때 코어의 입출을 위해 개방되는 코일권선뭉치의 개폐 메커니즘을 원터치 방식으로 단순화함으로써, 코어 권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권선 시간을 단축하는 등 코어 권선의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권선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하면서도 코일권선뭉치의 내부원을 개폐하기 위해 개방구에 착탈되는 코일권선 가동체의 개폐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코일권선 작업의 안전성 및 코어권선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에 감긴 코일을 풀어, 내부원에 꼬인 관계로 장전된 피권선 코어의 환형 몸체에 반복하여 감도록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코일권선부; 및 상기 피권선 코어를 상기 코일권선부 내의 장전위치에 안착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코일권선부가 1 회전할 때 상기 피권선 코어를 1 이송회동시키는 코어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권선부는, 반경방향으로 이분할된 일부분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타부분과 분리됨으로써, 상기 내부원에 상기 피권선 코어를 꼬인 관계로 끼우기 위한 또는 상기 내부원에 꼬인 관계로 끼워져 있는 상기 피권선 코어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상기 내부원의 개폐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권선뭉치; 및 상기 코일권선뭉치의 이분할된 일부분 또는 타부분에 연결되어, 연결된 상기 일부분을 상기 타부분에 대해 또는 연결된 상기 타부분을 상기 일부분에 대해 이동시키는 개폐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권선뭉치는, 외부 몸체를 이루며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환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구동원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자전하는 회전링; 및 상기 회전링과 함께 상기 하우징을 따라 자전하도록 상기 회전링 외주에 끼워지며, 권선 개시 전에 외주를 따라 감은 코일이 권선 동작 중에 풀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링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환형 셔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코어 권선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일권선부는 상기 코일권선뭉치의 상기 하우징, 상기 회전링, 및 상기 셔틀과 상기 지지대 각각의 일부분이 동일 구간에서 각각의 타부분과 반경방향으로 이분할되어 상기 일부분이 코일권선 고정체를, 상기 타부분이 코일권선 가동체를 이루며, 사용자의 조작이 있을 때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가 상기 코일권선 고정체와 분리됨으로써, 상기 내부원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권선 고정체와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는 상기 내부원 개방 시 상기 코어의 출입을 위한 개방구를 형성하도록 이분할되되,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는 상기 내부원 폐쇄 시 상기 코일권선 고정체로부터 상기 내부원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중심각이 예각이 되도록 절단되어, 하우징 고정체 및 가동체, 회전링 고정체 및 가동체, 셔틀 고정체 및 가동체, 및 지지대 고정체 및 가동체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가동체, 상기 회전링 가동체, 상기 셔틀 가동체 및 상기 지지대 가동체는 상기 하우징 고정체, 상기 회전링 고정체, 상기 셔틀 고정체 및 상기 지지대 고정체에 대해 상기 지지체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뭉치는,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의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개폐안내수단; 및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를 상기 개폐안내수단을 따라 개폐 동작시키는 개폐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안내수단은,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와 인접하여 상기 지지체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 및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지지체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이송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작동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피벗 회전하여,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의 개폐 동작을 일으키는 개폐손잡이; 및 상기 개폐손잡이에 핀 결합되도록 상기 이송블럭에 부착되어, 상기 개폐손잡이의 피벗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체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손잡이에 걸리는 가압력을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로 전달하는 연결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블럭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연결블럭과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 폐쇄 시 상기 연결부재의 수형돌기와 정합되도록 상기 개방구 모서리에 인접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에 결합되는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의 폐쇄 동작을 안내하는 받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착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환형 코어 권선기에 따르면, 피권선 코어 즉, 권선 대상인 코어를 코일권선부의 코일권선뭉치 내 장전위치에 배치하거나, 코일권선뭉치의 장전위치에서 권선이 완료된 권선 코어를 외부로 빼내고자 할 때, 개폐손잡이를 뒤로 젖히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코일권선 가동체를 코일권선 고정체로부터 분리시켜 코어의 출입을 위한 개방구를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피권선 코어를 연속적으로 권선하도록 되어 있는 코어 권선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코어 권선의 작업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코어 권선 작업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이분된 코일권선뭉치의 하우징, 회전링, 환형 셔틀 그리고 지지대가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안정적인 체결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하우징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셔틀이 하우징에 대해 거의 유격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므로, 권선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장치의 내구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코어 권선기의 코일권선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권선부의 회전링과 환형 셔틀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코어 권선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코일권선부를 발췌하여 개방 상태로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코일권선 고정체를 일부 분해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코어회전부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코일권선부를 개방 상태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환형 코어 권선기를 코어권선부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6의 코일권선부에 코일이 예비 권선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도 6의 코일권선부에 예비 권선된 코일이 코어로 권선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코어 권선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환형 코어 권선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코일권선부(3)와 코어회전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코일권선부(3)는 환형 코어(C)에 직접적으로 코일을 감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쇠사슬과 같이 내부원(I)에 꼬인 관계로 즉, 90도 각도차를 두고 서로 엮이도록 장전되는 환형의 피권선 코어(C) 몸체에 반경방향으로 코일(W)을 감는다. 이를 위해, 코일권선부(3)는 기대(7) 위에 수직하게 세워져 있는 지지대(11) 상에 내주 부분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 코일투입뭉치(21), 코일권선뭉치(23), 구동뭉치(25), 및 개폐뭉치(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코일투입뭉치(21)는 권선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코일권선뭉치(23)에 코일(W)을 투입하는 부분으로, 일측방에서 코일권선뭉치(23)를 향하여 길게 연장된 거치대(71)와, 이 거치대(71)의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투입롤(72), 그리고 최내측 투입롤(72)에 인접 장착되는 코일커터(2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코일커터(221)는 코일권선뭉치(23) 외주에 충분히 감겨 투입이 완료된 코일(W)의 투입 말단을 절단함으로써, 코일권선뭉치(23)가 코일(W)로 인해 구속되지 않고 회전하여 외주에 감긴 코일(W)을 코어(C)에 감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일권선뭉치(23)는 실질적으로 코어(C)에 코일(W)을 감는 부분으로, 지지대(11) 상에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외주에 감긴 코일(W)을 풀어내 내부원(I)에 장전된 코어(C)의 몸체에 반경방향으로 감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코일(W)은 코일권선뭉치(23)의 회전에 따라 권선이 반복되어 촘촘히 감긴다. 이를 위해 코일권선뭉치(23)는 내부원(I)에 권선할 코어(C)를 꼬인 관계로 끼우거나 또는 꼬인 관계로 끼워진 내부원(I)에서 권선이 완료된 코어(C)를 외부로 빼낼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내부원(I)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권선뭉치(23)는 다시 도 3 내지 도 5 및 도 6과 도 7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하우징(31), 회전링(32), 및 환형 셔틀(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하우징(31), 회전링(32), 및 셔틀(33)은 각각 일부분(31-1,32-1,33-1)이 동일한 구간에서 각각의 타부분(31-2,32-2,33-2)과 반경방향으로 이분할되는 바, 일부분(31-1,32-1,33-1)은 코일권선뭉치 고정체(23-1)를, 타부분(31-2,32-2,33-2)은 코일권선뭉치 가동체(23-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31), 회전링(32), 및 셔틀(33) 즉, 코일권선뭉치(23)는 동일 구간의 일부분(31-1,32-1,33-1) 즉, 코일권선뭉치 고정체(23-1)에 대해 나머지 타부분(31-2,32-2,33-2) 즉, 코일권선뭉치 가동체(23-2)를 사용자가 원터치 조작에 의해 이동시킨 때, 코일권선뭉치 가동체(23-2)가 코일권선뭉치 고정체(23-1)와 분리됨으로써, 내부원(I)을 개방하여 코어(C)를 장전하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대(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권선뭉치(23)와 마찬가지로 이분할되어 일부분이 지지대 고정체(11-1)를, 타부분이 지지대 가동체(11-2)를 형성하는 바, 코일권선뭉치 고정체(23-1) 및 코일권선뭉치 가동체(23-2)와 함께 코일권선 고정체(20-1)와 코일권선 가동체(20-2)를 형성한다. 따라서, 지지대 고정체(11-1)는 하우징 고정체(31-1), 회전링 고정체(32-1), 및 셔틀 고정체(33-1)를 지지하면서 기판(35) 위에 직각으로 고정되며, 지지대 가동체(11-2)는 하우징 가동체(31-2), 회전링 가동체(32-2), 및 셔틀 가동체(33-2)를 지지하면서 개방구(O)에 끼워져, 코일권선 가동체(20-2)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권선뭉치(23)는 도 6 및 도 7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코일권선뭉치(23)와 지지대(11)를 코일권선 고정체(20-1)와 코일권선 가동체(20-2)로 이분할하는 바, 내부원(I)을 개방한 때, 코일권선 가동체(20-2)가 코일권선 고정체(20-1) 후방으로 분리되면서 개방구(O)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개방구(O)를 통해 코어(C)를 출입시킨다. 또한, 반대로 내부원(I)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코일권선 가동체(20-2)가 개방구(O)로 끼워맞춤되어 정원 모양의 코일권선뭉치(23)를 이룬다. 이를 위해, 코일권선 가동체(20-2)는 내부원(I)이 폐쇄된 상태에서 코일권선 고정체(20-1)로부터 내부원(I)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단되어 형성된다. 이때, 코어(C)의 투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원(I)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는 부채꼴 형태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위의 다른 부품들과 간섭을 피하기 위해 부채꼴의 중심각은 예각 즉,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코일권선 고정체(20-1)와 가동체(20-2)는 각각 하우징 고정체 및 가동체(31-1,31-2), 회전링 고정체 및 가동체(32-1,32-2), 셔틀 고정체 및 가동체(33-1,33-2), 및 지지대 고정체 및 가동체(11-1,11-2)를 형성하는 바, 하우징 가동체(31-2), 회전링 가동체(32-2), 셔틀 가동체(33-2) 및 지지대 가동체(11-2)는 하우징 고정체(31-1), 회전링 고정체(32-1), 셔틀 고정체(33-1) 및 지지대 고정체(11-1)에 대해 뒤쪽으로 즉, 지지대(11)가 이루는 평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 더 나아가서는 이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상기 환형 하우징(31)은 코일권선뭉치(23)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원(I)을 이루도록 지지대(11)의 원형 내부원(I) 모서리에 일체로 부착되어 고정되는 바, 도 6 및 도 7에 상세 도시된 것처럼, 회전링(32)과 환형 셔틀(33)을 회전 가능하게 끼우기 위한 안내홈을 형성하도록 도 6에 확대 도시된 것처럼, 기판(35), 간막이판(36), 및 마감판(3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판(35)은 ㄷ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취함으로써 내면이 지지대(11)에 부착되고, 외면의 오목홈에 회전링(32)의 외치기어(39)를 수용한다. 또, 간막이판(36)은 기판(35)의 오목홈을 가능한한 최대로 막도록 기판(35) 외면에 부착되어 외치기어(39)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마감판(37)은 지지대(11)에 부착된 기판(35) 위에 간막이판(36)을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링(32)에 끼워져 있는 환형 셔틀(33)을 지지하는 바, 간막이판(36)을 통해 기판(35) 상에 볼트(38)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링(32)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하우징(31) 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자전함으로써 코어(C)에 코일(W)을 감는 부분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5)의 오목홈에 끼워져 돌아가도록 내측에 외치기어(39)가 형성되며, 간막이판(36)과 사이에 셔틀(33)을 끼워 지지하도록 외측에 외판(41)이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링(32)은 외치기어(39)가 지지대(11) 하단에 장착된 구동기어(28)와 맞물림되어, 구동원(29)에서 구동기어(28)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하우징(31)을 따라 자전한다.
끝으로, 상기 환형 셔틀(33)은 회전링(32)의 외주에 끼워져 외주에 감긴 코일(W)의 방출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32)과 마감판(37) 사이에 형성된 오목홈에 끼워져, 회전링(32)과 함께 하우징(31)을 따라 자전하되, 회전링(32)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상대 이동 즉,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외주면을 따라 코일홈(43)이 형성됨으로써, 코어(C)에 대한 권선을 시작하기 전에 권선 시 사용될 코일(W)을 코일홈(43)에 예비 권선하여 즉, 미리 감아 준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환형 셔틀(33)은 권선 동작 중에 코일홈(43)에 감긴 코일(W)을 풀도록 되어 있는 바, 회전링(32)에 대해 상대 회전함으로써, 코어(C)에 감길수록 점점 짧아지는 코일(W)이 코어(C)에 의해 당겨져 긴장되지 않고 원활하게 풀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동뭉치(25)는 코일권선뭉치(23) 특히, 회전링(32)으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링(32)과 맞물림되도록 지지대(11) 내에 장착된 구동기어(28)와, 이 구동기어(28)의 회전력을 만들어 내는 구동모터 등의 구동원(29), 그리고 구동원(29)의 회전구동력을 구동기어(28)로 전달하는 벨트풀리 조립체(30)로 이루어지는 바, 기대(7) 중간에 장착된 구동원(29)의 회전 구동력을 벨트풀리 조립체(30)를 통해 구동기어(28)로 전달하여 외치기어(39)에 의해 구동기어(28)와 맞물림된 회전링(32)을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기어(28)는 기어 중심축의 벨트풀리 조립체(30) 반대쪽에 회전손잡이(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동원(29)을 구동하기 전에 즉, 권선 개시 전에 회전손잡이(13)를 통해 회전링(32)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손쉽게 코일(W) 권선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끝으로, 상기 개폐뭉치(27)는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코일권선 가동체(20-2)가 수평 이동하여 내부원(I)이 개폐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5,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 후방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바, 다시 개폐안내수단(57)과 개폐작동수단(59)으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개폐안내수단(57)은 코일권선 가동체(20-2)의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다시 안내레일(61)과 이송블럭(62)으로 구성되는 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권선 고정체(20-1)에 대한 코일권선 가동체(20-2)의 개폐를 안내한다. 즉, 지지대 고정체(11-1)에서 뒤쪽으로 개방되는 지지대 가동체(11-2)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레일(61)은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기대(7) 위에 설치된 레일프레임(63)을 통해 지지대(11) 후방에 지지대(11)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 즉,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안내레일(61)은 전후로 길게 연장되어, 코일권선 가동체(20-2) 즉, 지지대 가동체(11-2)의 개폐를 전후로 안내한다. 또, 상기 이송블럭(62)은 위와 같은 안내레일(61)과 개폐작동수단(59)을 매개하는 수단으로서,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블럭(47)을 통해 개폐작동수단(59)을 지지하며, 저면이 안내레일(61)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이송블럭(62)과 안내레일(61)은 도브테일 형태의 요철에 의해 맞물림됨으로써 코일권선 가동체(20-2)의 안내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폐작동수단(59)은 코일권선 가동체(20-2)를 개폐안내수단(57)을 따라 개폐 동작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시 개폐손잡이(45), 및 연결블럭(4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안착블럭(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손잡이(45)는 도 3, 도 4,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지지대(11) 후방에 배치되는 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화살표(P) 방향으로 가압된 때, 시계방향으로 피벗 회전하여 연결블럭(47)을 후퇴시킴으로써, 코일권선 가동체(20-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내부원(I)이 개방구(O)를 통해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살표(P) 반대방향으로 개폐손잡이(45)를 피벗 회전시키면, 연결블럭(47)은 전진하여 코일권선 가동체(20-2)에 의해 개방구(O)를 폐쇄한다. 또, 상기 연결블럭(47)은 개폐손잡이(45)에 가해지는 가압력(P)을 코일권선 가동체(20-2)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돌출된 핀(65)을 통해 개폐손잡이(45)에 결합되는 바, 개폐손잡이(45)에는 핀(65)을 끼우기 위한 핀슬롯(66)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블럭(47)은 저면이 이송블럭(62)에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개폐손잡이(45)의 피벗 회전에 의해 지지대(11)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 즉, 직교하는 방향으로 안내레일(61)을 따라 안내된다. 이에 따라, 연결블럭(47)은 연결봉(67)을 통해 말단에 연결된 코일권선 가동체(20-2)로 개폐손잡이(45)에 걸린 가압력(P)을 전달함으로써, 코일권선 가동체(20-2)가 후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착블럭(49)은 연결블럭(47)과 코일권선 가동체(20-2)를 하나로 연결하면서, 코일권선 가동체(20-2)의 개폐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부재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블럭(47) 즉, 연결봉(67)의 말단에서 코일권선 가동체(20-2)와 사이에 개재되도록 코일권선 가동체(20-2) 배면에 부착되는 바, 다시 연결부재(69)와 받이부재(70)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69)는 도 10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이 연결봉(67)의 말단에 부착되고, 전면의 수형돌기(73)가 지지대 가동체(11-2)를 향하여 길이가 점차 짧아지게 테이퍼지면서 돌출되어 지지대 가동체(11-2) 배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연결부재(69)는 수형돌기(73)의 양측에 앞쪽으로 좁아지는 경사면(7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이부재(70)는 코일권선 가동체(20-2)가 폐쇄된 때 수형돌기(73)와 정합되도록 개방구(O)의 위아래 모서리와 인접하여 중간에 돌출되는 바, 오목한 암형홈을 형성하는 내측면(76)이 경사면(74)과 호응하도록 뒤쪽으로 넓어지게 경사져 있다. 따라서, 코일권선 가동체(20-2)가 개방구(O)에 결합될 때 수형돌기(73)가 암형홈을 따라 맞닿음되면서, 코일권선 가동체(20-2)의 폐쇄 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한편, 상기 코일권선부(3)는 코일투입뭉치(21)에서 예비 권선이 종료된 코일권선뭉치(23)로 이어진 코일(W)을 절단하기 위해 코일커터(22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코일커터(221)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투입뭉치(21)의 복수의 투입롤(72) 중 최내측에 위치하는 투입롤(72)에 인접하도록 지지대(11) 상단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권선뭉치(23)의 셔틀(33)에 예비 권선되는 코일(W)이 복수의 투입롤(72)을 따라 외부에서 공급될 때, 셔틀(33)에 감기기 전에 코일커터(221)를 먼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예비 권선이 종료된 코일(W)이 최내측 투입롤(72)과 셔틀(33) 사이에서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코일커터(221)는 도 3 내지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케이싱(223), 절단칼(225), 및 커터손잡이(2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싱(223)은 코일커터(221)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지지대(11)의 최내측 투입롤(72) 하방에 인접하여 부착되는 바, 코일(W)이 일직선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직경방향으로 통공(228)이 관통되어 있는데, 이 통공(228)의 코일 입구 모서리에 코일(W)을 절단하기 위한 받이날(229)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절단칼(225)은 위 받이날(229)과 호응하여 코일(W)을 실질적으로 절단하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23)의 내주면을 따라 동축 상으로 회전하도록 일단이 케이싱(223) 내에 장착되는 한편, 타단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를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돌출된다. 이때, 절단칼(225)의 전방측 일단은 도 12에 도시된 대기위치에서 케이싱(223)의 통공(228)을 개방하고 있으며, 절단칼(225) 회전 시 받이날(229)과 호응하여 통공(228)을 지나는 코일(W)을 절단하도록 받이날(229)과 대응하는 일측단 모서리에 절단날(231)이 형성된다. 끝으로, 상기 커터손잡이(227)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절단칼(225)의 타단에 장착되어, 절단칼(225) 회전 시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어회전부(5)는 위와 같이 코일권선부(3)에 의해 코어(C)에 코일(W)을 감을 때 코어(C)를 파지하는 수단으로서, 권선 대상인 코어(C)를 장전위치(L)에 안착시킬 뿐 아니라, 장전위치(L)에 안착된 코어(C)를 코일권선부(3) 특히, 회전링(32)의 회전과 연동시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링(32)이 1 회전하여 코일(W)을 코어(C)에 한 바퀴 감을 때 1 이송회동하여 코일(W)이 다음 한 바퀴 감길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 13에서 회전링(32)이 화살표(B) 방향으로 1 회전하는 동안 코어(C)를 화살표(C) 방향으로 1 이송회동시켜, 코일(W)이 다음 바퀴로 감길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코어회전부(5)는 도 3 내지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C)를 장전위치(L)에 지지하는 롤러뭉치(75)와 이 롤러뭉치(75)를 상하 및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송베드(77)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롤러뭉치(75)는 다시 코어(C)를 직접적으로 이송회동시키는 구동롤(79)과, 이 구동롤(79)의 전후에서 코어(C)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8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구동롤(79)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연결된 스텝모터(82)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코어(C)를 이송회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각각의 지지롤(81)은 웜(84)과 웜기어(85)를 통해 링크된 개폐핸들(83)의 회전에 의해 코어(C)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구동롤(79)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하단에 조립된 가압조립체(86)를 통해 코어(C)에 압박되는 바, 가압봉(87)이 핀(89)에 의해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하거나 가압봉(87)에 대한 스프링 걸쇠(88)의 핀(90) 결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코어(C)에 대한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각각의 지지롤(81)은 구동롤(79) 전후에 연결된 기어열(93)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롤(79)과 동기 회전한다.
또한, 이동베드(77)는 상하 조정부(91)와 좌우 조정부(92)에 의해 베드면의 높낮이나 코어(C)와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롤러뭉치(75)의 위치를 원하는 데로 변경할 수 있는데, 이는 공지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이 가능한 바,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 조정부(91)가 조정손잡이(93)와 베벨기어열(95) 그리고 이송스크류(97)로 구성되고, 좌우 조정부(92)가 조정손잡이(94)와 이송스크류(96)로 구성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형 코어 권선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코어 권선기(1)에 의해 코어(C)에 코일(W)을 감기 위해서는 먼저, 준비과정으로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개폐손잡이(45)를 뒤로 피벗 회전시켜 개폐뭉치(27)를 작동시킴으로써 코일권선부(3)의 코일권선 가동체(20-2)를 뒤로 후퇴시킨다. 이에 따라 코일권선뭉치(23)의 내부원(I)이 개방되면, 도 6과 같이 개방구(O)를 통해 권선 대상인 코어(C)를 내부원(I)에 삽입하되,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일부만을 내부원(I)에 위치시켜 도 3과 같이 내부원(I)이 닫혔을 때 코어(C)가 코일권선뭉치(23)와 꼬인 관계로 배치되게 한다.
그리고 나서, 외부의 권선코일로부터 코일투입뭉치(21)를 통해 투입된 코일(W)을 코일권선뭉치(23)의 외주에 감는다. 이를 위해, 외부에서 투입롤(72)을 따라 들어온 코일(W)을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커터(221)를 통과시켜 코일권선뭉치(23)의 셔틀(33)에 고정한 뒤, 구동원(29)을 역회전시켜 회전링(32)을 도 12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투입롤(72)을 따라 외부에서 공급되는 코일(W)은 셔틀(33)의 코일홈(43)에 감기는데, 하나의 코어(C)를 권선하는데 사용되는 양만큼 예컨대, 200회 정도 셔틀(33)에 감긴다. 이때, 회전링(32)의 회전수는 회전감지센서(51)에 의해 계수되어 제어부에 의해 통제된다. 이렇게 해서, 코일(W)이 정해진 길이만큼 감기면, 작업자는 코일커터(221)의 절단칼(225)을 돌려 코일(W)을 절단하고,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절단된 끝을 코일커터(221)와 인접한 하우징(31) 상단의 코일걸이(53)에 끼워 넣은 뒤 안내롤(55)에 걸어 코일(W)의 수납을 마치게 된다.
다만, 위와 같이 코일(W)을 준비하기 전에 또는 준비하고 나서, 앞서 내부원(I)에 끼운 코어(C)를 장전위치(L)에 안착시키는 바, 도 3 내지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회전부(5)에 코어(C)를 안착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먼저 개폐핸들(83)을 조작하여 전후 지지롤(81)을 앞뒤로 벌린 뒤, 스프링 걸쇠(88)의 핀(90)을 뽑아 가압조립체(86)를 해체한다. 그리고 나서, 두 개의 지지롤(81)과 구동롤(79)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 지지점 위에 코어(C)를 둔다. 그 다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롤(81)을 코어(C)에 밀착시킨 뒤, 스프링 걸쇠(88)를 재차 가압봉(87)에 걸어 구동롤(79)도 코어(C)에 압착시킨다. 이때, 코어(C)의 직경에 따라 핀(89)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여 구동롤(79)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코어(C)의 직경 변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 롤(79,81) 사이에 코어(C)를 안착한 뒤에는 상하 조정부(91)와 좌우 조정부(92)의 손잡이(93,94)를 조작하여 이송베드(77)의 상하 높이와 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코어(C)의 장전을 마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베드(77)의 상하 높이를 맞추는 것은 코어(C)의 두께에 따라 변화되는 장전위치(L)에서 권선 높이를 코일권선뭉치(23) 즉, 내부원(I)의 중심에 맞추기 위함이고, 이송베드(77)의 좌우 위치를 맞추는 것은 코어(C)의 직경 변화가 심한 때에도 장전위치(L)에서 권선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코일권선뭉치(23) 즉, 내부원(I)의 중심에 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해서 코어(C)의 장전과 코일(W)의 수납이 완료되면, 안내롤(55)에 걸려 있던 코일(W)을 끌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C) 몸체에 한 차례 감아 고정한 뒤, 구동원(29)을 정방향으로 기동시켜 회전링(32)을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셔틀(33)에 감겨 있던 코일(W)이 코어(C)에 감기도록 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링(32)이 1 회전할 때 코어(C)는 화살표(C) 방향으로 1 이송회동하여 회전링(32)이 다음 번 회전할 때 코일(W)이 다음 번 피치에 감기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정해진 회수만큼 회전링(32)이 회전하여 예컨대 코어(C) 상에 1000회 정도 코일(W)이 감겨 셔틀(33)에 감겨 있던 코일(W)이 모두 코어(C)로 옮겨져 감기고 나면 코어(C)의 권선이 완료된다. 이때, 코일권선 가동체(20-2)의 중심각도가 예각이므로, 셔틀 고정체(33-1)는 3/4원보다 더 큰 원을 이루게 되는데, 따라서 권선 시 셔틀(33) 즉, 셔틀 고정체(33-1)는 하우징 고정체(31-1)에 대한 유격을 거의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인 회전을 구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코어회전부(5)로부터 장전위치(L)의 권선 코어(C)를 분리하고, 개폐손잡이(45)를 다시 뒤로 돌려 코일권선 가동체(20-2)를 후퇴시킴으로써 내부원(I)을 재차 개방한 뒤, 장전위치(L)에서 분리된 권선 코어(C)를 코일권선부(3)로부터 수거하면 코어 권선 작업이 마무리된다.
1 : 권선기 3 : 코일권선부
5 : 코어회전부 7 : 기대
11 : 지지대 13 : 회전손잡이
20-1 : 코일권선 고정체 20-2 : 코일권선 가동체
21 : 코일투입뭉치 23 : 코일권선뭉치
23-1 : 코일권선뭉치 고정체 23-2 : 코일권선뭉치 가동체
25 : 구동뭉치 27 : 개폐뭉치
28 : 구동기어 29 : 구동원
30 : 벨트풀리 조립체 31 : 하우징
32 : 회전링 33 : 셔틀
39 : 외치기어 43 : 코일홈
45 : 개폐손잡이 51 : 회전감지센서
53 : 코일걸이 55 : 안내롤
57 : 개폐안내수단 59 : 개폐작동수단
72 : 투입롤 79 : 구동롤
81 : 지지롤 86 : 가압조립체
91 : 상하 조정부 92 : 좌우 조정부
221 : 코일커터 C : 코어
I : 내부원 L : 장전위치
W : 코일

Claims (7)

  1. 외주에 감긴 코일(W)을 풀어, 내부원(I)에 꼬인 관계로 장전된 피권선 코어(C)의 환형 몸체에 반복하여 감도록 지지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코일권선부(3); 및
    상기 피권선 코어(C)를 상기 코일권선부(3) 내의 장전위치(L)에 안착시키도록 상기 지지대(11)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코일권선부(3)가 1 회전할 때 상기 피권선 코어(C)를 1 이송회동시키는 코어회전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권선부(3)는,
    반경방향으로 이분할된 일부분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타부분과 분리됨으로써, 상기 내부원(I)에 상기 피권선 코어(C)를 꼬인 관계로 끼우기 위한 또는 상기 내부원(I)에 꼬인 관계로 끼워져 있는 상기 피권선 코어(C)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상기 내부원(I)의 개폐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권선뭉치(23); 및
    상기 코일권선뭉치(23)의 이분할된 일부분 또는 타부분에 연결되어, 연결된 상기 일부분을 상기 타부분에 대해 또는 연결된 상기 타부분을 상기 일부분에 대해 이동시키는 개폐뭉치(27);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권선뭉치(23)는,
    외부 몸체를 이루며 상기 지지대(11)에 고정되는 환형 하우징(31);
    상기 하우징(31) 상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구동원(29)에서 공급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31)을 따라 자전하는 회전링(32); 및
    상기 회전링(32)과 함께 상기 하우징(31)을 따라 자전하도록 상기 회전링(32) 외주에 끼워지며, 권선 개시 전에 외주를 따라 감은 코일(W)이 권선 동작 중에 풀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링(3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환형 셔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코어 권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권선부(3)와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코일권선뭉치(23)의 상기 하우징(31), 상기 회전링(32), 및 상기 셔틀(33)과 상기 지지대(11) 각각의 일부분(31-1,32-1,33-1,11-1)이 동일 구간에서 각각의 타부분(31-2,32-2,33-2,11-2)과 반경방향으로 이분할되어 상기 일부분(31-1,32-1,33-1,11-1)이 코일권선 고정체(20-1)를, 상기 타부분(31-2,32-2,33-2,11-2)이 코일권선 가동체(20-2)를 이루며, 사용자의 조작이 있을 때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가 상기 코일권선 고정체(20-1)와 분리됨으로써, 상기 내부원(I)을 개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코어 권선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권선 고정체(20-1)와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는 상기 내부원(I) 개방 시 상기 코어(C)의 출입을 위한 개방구(O)를 형성하도록 이분할되되,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는 상기 내부원(I) 폐쇄 시 상기 코일권선 고정체(20-1)로부터 상기 내부원(I)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중심각이 예각이 되도록 절단되어, 하우징 고정체 및 가동체(31-1,31-2), 회전링 고정체 및 가동체(32-1,32-2), 셔틀 고정체 및 가동체(33-1,33-2), 및 지지대 고정체(11-1) 및 가동체(11-2)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가동체(31-2), 상기 회전링 가동체(32-2), 상기 셔틀 가동체(33-2) 및 상기 지지대 가동체(11-2)는 상기 하우징 고정체(31-1), 상기 회전링 고정체(32-1), 상기 셔틀 고정체(33-1) 및 상기 지지대 고정체(11-1)에 대해 상기 지지대(11)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코어 권선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뭉치(27)는,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의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개폐안내수단(57); 및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를 상기 개폐안내수단(57)을 따라 개폐 동작시키는 개폐작동수단(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코어 권선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폐안내수단(57)은,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와 인접하여 상기 지지대(11)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레일(61); 및
    상기 안내레일(61)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가 상기 안내레일(61)을 따라 상기 지지대(11)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이송블럭(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 코어 권선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수단(59)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피벗 회전하여,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의 개폐 동작을 일으키는 개폐손잡이(45); 및
    상기 개폐손잡이(45)에 핀(65) 결합되도록 상기 이송블럭(62)에 부착되어, 상기 개폐손잡이(45)의 피벗 회전에 따라 상기 지지대(11)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손잡이(45)에 걸리는 가압력(P)을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로 전달하는 연결블럭(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코어 권선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47)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연결블럭(47)과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부재(69); 및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 폐쇄 시 상기 연결부재(69)의 수형돌기(73)와 정합되도록 상기 개방구(O) 모서리에 인접 형성되어, 상기 개방구(O)에 결합되는 상기 코일권선 가동체(20-2)의 폐쇄 동작을 안내하는 받이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착블럭(4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형코어 권선기.
KR1020150191681A 2015-12-31 2015-12-31 환형 코어 권선기 KR10163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681A KR101632850B1 (ko) 2015-12-31 2015-12-31 환형 코어 권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681A KR101632850B1 (ko) 2015-12-31 2015-12-31 환형 코어 권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850B1 true KR101632850B1 (ko) 2016-06-22

Family

ID=5636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681A KR101632850B1 (ko) 2015-12-31 2015-12-31 환형 코어 권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8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1243A (zh) * 2017-10-24 2018-01-16 佛山市荣鑫宝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环形绕线机的磁环驱动机构
KR20180012162A (ko) * 2016-07-26 2018-02-05 주식회사 알파티이씨 저소음 환형 코어 권선기
CN114629313A (zh) * 2022-01-26 2022-06-1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七研究所 一种适用单线、多极、双向缠绕、双向排线的自动绕线机
CN114629314A (zh) * 2022-01-26 2022-06-1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七研究所 自动绕线机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3132408A1 (en) * 2022-01-06 2023-07-13 Block9 Co., Ltd. Toroidal coil wind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706B1 (ko) 2005-05-06 2006-10-30 전용성 타원형 및 다각형 토로이달 코일 권선기
JP2008527703A (ja) * 2005-01-10 2008-07-24 ベオテクニック・ゲーエムベーハー 閉じた環状コアへの巻き付け装置及び方法
WO2010067634A1 (ja) * 2008-12-10 2010-06-17 株式会社タイホープロダクト トロイダルコイルの製造方法
KR101362333B1 (ko) 2013-12-26 2014-02-12 주식회사 삼아엔지니어링 트로이드의 트로이덜 코일 권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7703A (ja) * 2005-01-10 2008-07-24 ベオテクニック・ゲーエムベーハー 閉じた環状コアへの巻き付け装置及び方法
KR100639706B1 (ko) 2005-05-06 2006-10-30 전용성 타원형 및 다각형 토로이달 코일 권선기
WO2010067634A1 (ja) * 2008-12-10 2010-06-17 株式会社タイホープロダクト トロイダルコイルの製造方法
KR101362333B1 (ko) 2013-12-26 2014-02-12 주식회사 삼아엔지니어링 트로이드의 트로이덜 코일 권선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162A (ko) * 2016-07-26 2018-02-05 주식회사 알파티이씨 저소음 환형 코어 권선기
KR101949284B1 (ko) * 2016-07-26 2019-02-18 주식회사 알파티이씨 저소음 환형 코어 권선기
CN107591243A (zh) * 2017-10-24 2018-01-16 佛山市荣鑫宝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环形绕线机的磁环驱动机构
CN107591243B (zh) * 2017-10-24 2024-05-28 佛山市荣鑫宝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环形绕线机的磁环驱动机构
WO2023132408A1 (en) * 2022-01-06 2023-07-13 Block9 Co., Ltd. Toroidal coil winding machine
KR20230106279A (ko) * 2022-01-06 2023-07-13 주식회사 블럭나인 토로이달 코어 권선장치
KR102590917B1 (ko) * 2022-01-06 2023-10-19 주식회사 블럭나인 토로이달 코어 권선장치
CN114629313A (zh) * 2022-01-26 2022-06-1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七研究所 一种适用单线、多极、双向缠绕、双向排线的自动绕线机
CN114629314A (zh) * 2022-01-26 2022-06-1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七研究所 自动绕线机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850B1 (ko) 환형 코어 권선기
KR101949284B1 (ko) 저소음 환형 코어 권선기
KR101632844B1 (ko) 환형 코어 권선기
EP3601127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winding and cutting wire or cable
EP2810909B1 (en) Machine with two half-reels for coiling pipes in spool form and tying said spool by means of a strap.
JP5650596B2 (ja) ケーブルビードの製造方法及びケーブルビードの製造システム
JPH01117185A (ja) テープ等の簡易巻付装置
CN108861825B (zh) 一种管材的复绕机组
CA3155549A1 (en) Binding machine
US8944359B2 (en) Machine for winding pairs of tubes parallel to an advancing direction and independent of each other
KR101636039B1 (ko) 튜브 커팅기
MX2014011395A (es) Aparato de rebobinado de trama con una unidad conica.
KR102218673B1 (ko) 환형 코어 권선기
JP3646289B2 (ja) 巻線方法と巻線機
KR102218671B1 (ko) 환형 코어 권선기
KR101632845B1 (ko) 환형 코어 권선기
US11898358B2 (en) Binding machine
JP2020186077A (ja) テープ巻付装置およびテープ巻付方法
US4157792A (en) Transport mechanism for changing bobbins in a winding-up apparatus for wire
JP2020013919A (ja) 巻線装置及び巻線方法
US5341998A (en) Pin hub for wire reel
WO2003105166A1 (ja) トロイダルコアの巻線機
CN214827904U (zh) 一种全自动卷绳机
US20230390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metal wires and similar products
CN208271732U (zh) 一种带有固定装置的绕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