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545B1 -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545B1
KR101876545B1 KR1020170182777A KR20170182777A KR101876545B1 KR 101876545 B1 KR101876545 B1 KR 101876545B1 KR 1020170182777 A KR1020170182777 A KR 1020170182777A KR 20170182777 A KR20170182777 A KR 20170182777A KR 101876545 B1 KR101876545 B1 KR 10187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point
sheet
concrete
adhesive laye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근
최윤호
남성주
백창훈
허영욱
심진아
Original Assignee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8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가 개시된다.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 개구부(11)가 표시된 시트(10); 및 시트(10)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는 접착층(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 개구부(11)가 표시된 시트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을 수 있고, 시트는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과 접착층 사이에 놓이는 이형층(40)에 의해 시트가 분리되는 장점이 있고, 시트는 다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는 측정점개구부(11)을 포함한다. 또한, 시트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붙고 떼어 낼 때 시트 사이를 분리하는 돌출부(12)를 가질 수 있고, 시트는 적층되고, 원형 롤러(54)에 감겨 보관될 수 있고, 망치부(60)가 측정점 개구부(11)를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점(1)을 두드려 반발 정도를 측정하고, 측정부(70)가 측정된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할 수 있고, 망치부(60)는 측정점(1)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측정점(1) 좌표를 추론하고, 추론된 측정점(1) 좌표를 참조하여 망치를 측정점(1)에 두드릴 수 있다.

Description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REPULSIVE HARDNESS MEASUREMENT POIN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발 경도 측정점(1)을 표시하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안전도 검사 위해 반발경도측정이 사용된다. 반발경도측정은 콘크리트 표면에 측정점(1)을 표시하고, 측정점(1)을 두드려 반발 정도를 측정한다.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콘크리트 표면에 다수의 행과 열로 측정점(1)이 표시된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콘크리트 표면에 측정점(1)을 표시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다수의 행과 열로 측정점(1)이 인쇄된 시트를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하거나, 롤러에 새겨진 측정점(1)에 잉크를 묻히고, 롤러를 콘크리트 표면에 대고 문질러 측정점(1)을 콘크리트 표면에 인쇄할 수 있다. 측정점(1)이 콘크리트 표면에 표시되면 슈미트해머가 측정점(1)을 두드려 반발 경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반발 경도를 종합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계산할 수 있다. 측정점(1) 인쇄는 먼지가 많은 콘크리트 표면에 측정점(1)이 인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측정점(1) 표시가 용이하고 편리한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가 필요하다.
등록번호: 10-1410338, 콘크리트구조물의 비파괴시험용 반발경도측정을 위한 측점표시장치 등록번호: 10-1699715,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표시장치 등록번호: 10-1229305, 구조물 안전진단용 반발 경도시험 위치표시장치 등록번호: 20-0224542, 슈미트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슈미트해머의 측정점(1)을 지시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가지는 시트를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하고, 콘크리트 표면에 측정점(1)을 용이하게 표시하고, 망치로 측정점(1)을 두드려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하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은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다수의 측정점을 표시하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반발 경도 측정에 간섭이 없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시트 분리가 용이한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시트 보관 크기가 효율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하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측정점 좌표를 추론하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1)을 지시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가지는 시트(10); 및 시트(10)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는 접착층(20)을 포함한다.
또한, 시트(10)는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과 이형층(4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시트(10)는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슈미트해머가 콘크리트에 직접 타격 가능하도록 측정점 개구부(11)를 가지고, 측정점 개구부(11)는 도형을 가지고, 다수의 행은 4행이고, 다수의 열은 5열이다.
또한, 접착층(20)은 측정점 개구부(11)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도록 한다.
또한, 시트(10)는 외곽 테두리에서 접착층(20)이 없도록 일부분이 돌출되는 돌출부(12)를 포함하고, 하나의 시트(10)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붙고 떼어 낼 때 다른 시트(10)의 돌출부(12)를 잡고 시트(10)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부(50)를 더 포함하고, 분리부(50)는 시트(10)의 돌출부(12)를 잡는 클립부(51); 시트(10)를 보관하는 보관부(52); 및 보관부(52)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53)를 포함한다.
또한, 보관부(52)는 시트(10)를 적층하고, 원형 롤러(54)에 감아 보관한다.
또한, 측정점 개구부(11)를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점 개구부(11)의 측정점(1)을 두드리고, 반발 정도를 측정하는 망치부(60); 및 망치부(60)에 의해 측정된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하는 측정부(7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망치부(60)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촬영하는 촬영부(61); 촬영된 영상에서 측정점(1)을 인식하여 측정점(1) 좌표를 추론하는 추론부(62); 및 추론된 측정점(1) 좌표를 참조하여 망치를 측정점(1)에 두드리는 타격부(6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 개구부(11)를 가지는 시트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을 수 있다.
또한, 시트는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과 접착층 사이에 놓이는 이형층(40)에 의해 시트가 분리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는 다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포함하고, 측정점 개구부(11)는 도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측정점 개구부(11) 위치에는 접착제가 발라져 있지 않고, 측정점 개구부(11)가 아닌 영역에 접착제가 발라져 시트를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트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붙고 떼어 낼 때 시트 사이를 분리하는 돌출부(1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시트는 복수 개가 적층되고, 원형 롤러(54)에 감겨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망치부(60)가 측정점 개구부(11)를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점(1)을 두드려 반발 정도를 측정하고, 측정부(70)가 측정된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망치부(60)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측정점(1) 좌표를 추론하고, 추론된 측정점(1) 좌표를 참조하여 망치를 측정점(1)에 두드릴 수 있다.
도 1은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의 평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접착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망치부(60)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문헌으로 개시된 반발경도 측정방법을 살펴보면, 각 측정점 마다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은 20점을 표준으로 한다. 타격점 상호간의 간격은 3센티미터 표준으로 하며, 종으로 5열, 행으로 4열의 선을 그어 직교되는 20점을 타격한다.
수평 타격을 원칙으로 하며, 구조물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수평 타격 방향 이외에도 수직하향, 수직상향, 경사하향, 경사상향으로 실시하게 되며 각 경사도에 대한 보정이 실시된다.
측정치는 원칙적으로 정수값을 읽도록 한다. 측정치의 처리는 타격시 반향음이 이상하거나, 타격점이 움푹 들어가는 경우의 값과 평균 타격치의 ±20%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이상치로 보고 제외시킨다. 이상치를 제외시킨 측정치의 평균을 측정점의 반발도로 한다.
슈미트 해머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 강도 추정은 이론값이 많으나 강도추정식 3가지 및 반발도-추정강도 환산표와의 산술 평균치로 추정한다. 일반적으로 스위스 연방재료 시험소 공식에 의한 압축강도 환산표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추정한다. 스위스 연방재료시험소의 값이 가장 크고 동경도 재료시험소의 식이 가장 적게 추정된다. 콘크리트 코아 시험과 반발경도값을 비교할 때 일본재료학회 추정강도식이 가장 근접하다. 통상적으로 반발경도에 의한 압축강도추정식은 3개의 평균값으로 적용한다.
도 1은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슈미트해머에 의해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측정점(1)이 표시된 시트(10); 및 시트(10)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는 접착층(2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접착력을 가진 스티커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슈미트해머로 측정해야 하는 위치에 본 발명의 측점표시장치를 붙여서 사용하므로서, 종래보다 빠르고 편하게 슈미트해머 측정점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10)는 일정 두께 이하로 얇게 제작되고, 표면에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1)이 표시될 수 있도록 측정점 개구부(11)를 포함한다. 즉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통해 슈미트해머가 타격할 측정점(1)을 콘크리트 표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다수의 행과 열로 배열된 측정점 개구부(1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슈미트해머가 측정점(1)을 효과적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측정점 개구부(11)가 포함된 시트(10)를 이용한다. 시트(10)는 접착층(20)을 매개로 여러 개 적층될 수 있다. 적층된 시트(10)는 사용될 때 하나씩 분리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된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표면은 먼지가 많다. 아무런 작업 없이 이러한 콘크리트 표면에 시트(10)를 부착하는 것은 먼지로 인해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콘크리트 표면을 닦아서 먼지가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20)은 시트(10)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는다. 접착층(20)은 시트(10)의 일면에 발라져서 형성되고, 시트(10)가 적층되면 시트(10)와 접착층(20)이 번갈아 놓이는 층을 이루게 된다. 접착층(20)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을 수 있는 접착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접착층(20)에는 접착제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 시트는 접착제가 얇게 도포된 시트로 시트(10)에 적층될 수 있다.
도 2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시트(10)는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과 이형층(40)을 포함한다.
시트(10)는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는 접착층(20) 외에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과 이형층(40)을 가질 수 있다. 시트(10)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붙기 위해 콘크리트 표면이 깨끗하게 닦여야 한다.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은 콘크리트 표면에 끼어 있는 먼지를 제거한다. 시트(10)에서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이 노출되고,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이 콘크리트 표면에 맞닿아 붙게 되고, 콘크리트 표면의 먼지가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에 달라 붙게 된다. 이형층(40)이 분리되면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이 시트(10)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층(20)이 달라 붙어 시트(10)에 인쇄된 측정점(1)이 콘크리트 표면에 표시된다.
도 3은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의 평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시트(10)는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콘크리트를 타격 가능하도록 측정점 개구부(11)를 포함하고, 측정점 개구부(11)는 도형을 가지고, 다수의 행은 4행이고, 다수의 열은 5열이다.
시트(10)는 4행과 5열의 측정점 개구부(11)를 가진다. 측정점 개구부(11)는 도형을 가져 시험자가 측정점(1)임을 알 수 있다. 측정점(1)을 인식하는 측정 장치가 사용될 경우에는 측정 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측정점(1)이 사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측정 장치가 엑스자 측정점(1)을 인식할 수 있는 경우 엑스자 측정점(1)이 인쇄된 시트(10)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측정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측정점(1) 모양이 다양한 경우 시트(10)에는 다양한 측정점(1) 모양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접착층을 보인 예시도이다.
접착층(20)은 측정점 개구부(11)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접착제가 발라져 있지 않고 측정점 개구부(11)가 아닌 영역에 접착제가 발라져 시트(10)를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슈미트 해머가 측정점(1)을 타격할 때, 시트(10) 및 접착층(20)이 정확한 측정점을 가이드할 수 있으면서도, 콘크리트 표면과 직접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접착층(20)은 시트(10)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붙도록 작용한다. 여기서, 접착층(20)과 시트(10)에 의한 간섭으로 콘크리트 반발 경도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20)이 측정점 개구부(11)와 주위에는 접착제가 발라져 있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정점(1) 시트(10)만이 망치로 측정점(1)을 두드릴 때 접착층(20)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함에 있어 보다 더 정확해질 수 있다.
도 5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시트(10)는 외곽 테두리에서 접착층(20)이 없도록 일부분이 돌출되는 돌출부(12)를 포함하고, 하나의 시트(10)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붙고 떼어 낼 때 다른 시트(10)의 돌출부(12)를 잡고 시트(10)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부(50)를 포함하고, 분리부(50)는 시트(10)의 돌출부(12)를 잡는 클립부(51); 시트(10)를 보관하는 보관부(52); 및 보관부(52)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53)를 포함한다.
하나의 시트(10)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붙고 떼어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트(10)에 돌출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는 외곽 테두리에서 접착층이 없도록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2)는 층을 이루는데 층별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2)가 층별로 다른 크기를 가지면 떼어냄이 보다 더 용이해진다. 층별로 다른 크기는 층이 더해지면서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고, 큰 돌출부(12)와 작은 돌출부(12)가 번갈아 층을 이룰 수 있다.
분리부(50)는 하나의 시트(10)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붙고 떼어 낼 때 다른 시트(10)의 돌출부(12)를 잡고 시트(10)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한다. 분리부(50)는 시트(10)의 돌출부(12)를 잡는 클립부(51); 시트(10)를 보관하는 보관부(52); 및 보관부(52)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53)를 포함한다. 클립부(51)는 시트(10)의 돌출부(12)를 잡고 시트(10)를 떼어낼 수 있게 한다. 보관부(52)는 시트(10)를 보관한다. 손잡이(53)는 보관부(52)로부터 연장되어 시험자가 잡을 수 있다.
도 6은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보관부(52)는 시트(10)를 적층하고, 원형 롤러(54)에 감아 보관한다. 보관부(52)는 원형 롤러(54)에 시트(10)를 감아 보관할 수 있다. 시트(10)에는 4행 5열의 측정점(1)이 인쇄되어 있으므로 크기가 제법 크다. 이러한 시트(10)가 평면으로 보관되는 것은 시험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적층된 시트(10)가 롤러에 감겨 보관되면 작은 크기에 많은 양의 시트(10)를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요구로 보관부(52)는 시트(10) 보관을 위해 원형 롤러(54)를 이용한다. 보관부(52)는 원형 롤러(54)를 회전시키는 회전축(55); 회전축(55)을 잡아 고정하는 손잡이(56)를 포함한다.
도 7은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점(1)을 두드리고, 반발 정도를 측정하는 망치부(60); 및 망치부(60)에 의해 측정된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하는 측정부(70)를 포함한다.
망치부(60)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점(1)을 두드리고, 반발 정도를 측정한다. 콘크리트 표면에 표시된 측정점 개구부(11)는 망치로 두들겨지기 위해 망치부(60)에서 측정점(1)이 인식되어야 한다. 망치부(60)가 인식할 수 있는 측정점 개구부(11)가 인쇄된 시트(10)가 사용된다. 측정부(70)는 망치부(60)에 의해 측정된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한다. 다수의 측정점(1)에 대해 망치부(60)가 측정점(1)을 두드리면 각각의 측정점(1)에서 반발 정도가 측정된다. 측정부(70)는 다수의 측정점(1)에 대해 측정된 각각의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한다.
도 8은 망치부(60)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망치부(60)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촬영하는 촬영부(61); 촬영된 영상에서 측정점(1)을 인식하여 측정점(1) 좌표를 추론하는 추론부(62); 및 추론된 측정점(1) 좌표를 참조하여 망치를 측정점(1)에 두드리는 타격부(63)를 포함한다.
망치부(60)는 촬영부(61), 추론부(62) 및 타격부(63)를 포함한다. 촬영부(61)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촬영하고, 추론부(62)는 촬영된 영상에서 측정점(1)을 인식하여 측정점(1) 좌표를 추론하고, 타격부(63)는 추론된 측정점(1) 좌표를 참조하여 망치를 측정점(1)에 두드린다. 추론부(62)는 측정점(1)을 인식하기 위해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측정점(1) 학습 이미지와 정답셋으로 학습된다. 추론부(62)에 측정점(1)이 주어지면 뉴럴 네트워크가 측정점(1) 좌표를 추론하고 출력한다. 타격부(63)는 추론된 측정점(1) 좌표에 망치를 두드려서 타격하는 것이다.
도 9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점(1)을 두드리고, 반발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S91); 및 측정된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하는 단계(S92)를 포함한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점(1)을 두드리고, 반발 정도를 측정한다. 콘크리트 표면에 표시된 측정점(1)은 망치로 두들겨지기 위해 측정점(1)이 인식되어야 한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측정점 개구부(11)가 인쇄된 시트(10)가 사용된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망치부(60)에 의해 측정된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한다. 다수의 측정점(1)에 대해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가 측정점(1)을 두드리면 각각의 측정점(1)에서 반발 정도가 측정된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다수의 측정점(1)에 대해 측정된 각각의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한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에서 측정점(1)을 인식하여 측정점(1) 좌표를 추론하는 단계; 및 추론된 측정점(1) 좌표를 참조하여 망치를 측정점(1)에 두드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측정점(1)을 인식하여 측정점(1) 좌표를 추론하고, 추론된 측정점(1) 좌표를 참조하여 망치를 측정점(1)에 두드린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측정점(1)을 인식하기 위해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는 측정점(1) 학습 이미지와 정답셋으로 학습된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에 측정점(1)이 주어지면 뉴럴 네트워크가 측정점(1) 좌표를 추론하고 출력한다.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가 추론된 측정점(1) 좌표에 망치를 두드려서 타격하는 것이다.
이상 정리하면,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는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1)이 표시된 시트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을 수 있다.
시트는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과 접착층 사이에 놓이는 이형층(40)에 의해 시트가 분리되는 장점이 있다.
시트는 다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표시하고, 측정점 개구부(11)는 도형을 가질 수 있다.
측정점 개구부(11) 에는 접착제가 발라져 있지 않고, 측정점 개구부(11)가 아닌 위치에 접착제가 발라져 시트를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게 할 수 있다. 즉 접착층(20)은 측정점 개구부(11)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시트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붙고 떼어 낼 때 시트 사이를 분리하는 돌출부(12)를 가질 수 있다.
시트는 적층되고, 원형 롤러(54)에 감겨 보관될 수 있다.
망치부(60)가 측정점 개구부(11)를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점(1)을 두드려 반발 정도를 측정하고, 측정부(70)가 측정된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망치부(60)는 측정점 개구부(11)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측정점(1) 좌표를 추론하고, 추론된 측정점(1) 좌표를 참조하여 망치를 측정점(1)에 두드릴 수 있다.
[실시예 1]
도 10은 실시예 1의 적층시트를 보인 예시도이다.
실시예 1은 슈미트해머에 의해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측정점(1)이 표시된 시트(10); 및 시트(10)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는 접착층(20)을 포함하는 적층시트의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실시예 2]
도 11은 실시예 2의 적층시트를 보인 예시도이다.
실시예 2는 슈미트해머에 의해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측정점(1)이 표시된 시트(10); 및 시트(10)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는 접착층(20); 접착층(20)에 붙는 이형층(40);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과 이형층(41)을 포함하는 적층시트의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을 적층시트를 통해 콘크리트 표면의 먼지를 먼저 제거한 뒤, 측정점 개구부(11)가 표시된 시트(10)를 콘크리트 표면에 더 잘 접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3]
도 12는 실시예 3의 적층시트를 보인 예시도이다.
실시예 3은 슈미트해머에 의해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측정점(1)이 표시된 시트(10); 및 시트(10)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는 접착층(20)을 포함하고, 시트(10)는 외곽 테두리에서 접착층(20)이 없도록 일부분이 돌출되는 돌출부(12)를 포함하는 적층시트의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돌출부(12)를 포함함으로써, 시트(11), 접착층(20) 사이를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더 잘 분리할 수 있다. 돌출부(12)는 실시예 2 등의 이형층(40,41)에 형성되어 이형층(40,41)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4]
도 13은 실시예 4의 시트를 보인 예시도이다.
실시예 4는 적층되고, 원형 롤러(54)에 감아 보관되는 시트(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형 롤러(54)에 감아 보관되는 시트(10)는 실시예 1의 적층시트 또는 실시예 2의 적층시트 또는 실시예3의 적층시트 구조일 수도 있고, 복수개의 실시예1,2,3의 조합에 따른 적층시트가 원형 롤러(54)에 감겨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원형 롤러(54)에 복수 매의 적층시트를 감아둠으로써, 복수 장소의 슈미트해머 측정점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고, 평면형태로 복수 매를 보관하기 힘든 경우, 효과적으로 복수 매의 적층시트를 보관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측정점 10: 시트
11: 측정점 개구부 12: 돌출부
20: 접착층 30: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
40: 이형층 41: 이형층
50: 분리부 51: 클립부
52: 보관부 53: 손잡이
54: 원형 롤러 55: 회전축
56: 손잡이 60: 망치부
61: 촬영부 62: 추론부
63: 타격부

Claims (7)

  1.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1)이 표시된 시트(10); 및
    상기 시트(10)의 일면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는 접착층(20)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10)는 먼지 제거를 위한 접착층(30)과 상기 접착층(30)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이형층들(40,41)과 다수의 행과 다수의 열로 배열되는 측정점 개구부(11)를 포함하고,
    다수의 행은 4행이고, 다수의 열은 5열이고, 적층된 형태로 원형 롤러(54)에 감아 보관하고,
    상기 접착층(20)은 상기 측정점 개구부(11)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정점 개구부(11)가 아닌 영역에 접착제가 발라져 상기 시트(10)를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 붙도록 하고, 측정점(1) 시트(10)만이 망치로 상기 측정점(1)을 두드릴 때 상기 접착층(20)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반발 경도를 측정함에 있어 보다 더 정확해질 수 있고,
    상기 측정점 개구부(11)는 도형을 가져 시험자가 상기 측정점(1)임을 알 수 있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는 외곽 테두리에서 상기 접착층(20)이 없도록 일부분이 돌출되는 돌출부(12)를 포함하고,
    하나의 시트(10)가 콘크리트 표면에 달라붙고 떼어 낼 때 다른 시트(10)의 상기 돌출부(12)를 잡고 상기 시트(10)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50)는 상기 시트(10)의 상기 돌출부(12)를 잡는 클립부(51);
    상기 시트(10)를 보관하는 보관부(52); 및
    상기 보관부(52)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53)를 포함하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점(1)을 인식하고 인식된 측정점(1)을 두드리고, 반발 정도를 측정하는 망치부(60); 및
    상기 망치부(60)에 의해 측정된 반발 정도를 종합 평가하여 콘크리트 경도를 측정하는 측정부(70)를 더 포함하는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KR1020170182777A 2017-12-28 2017-12-28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KR10187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77A KR101876545B1 (ko) 2017-12-28 2017-12-28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77A KR101876545B1 (ko) 2017-12-28 2017-12-28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545B1 true KR101876545B1 (ko) 2018-07-09

Family

ID=6291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777A KR101876545B1 (ko) 2017-12-28 2017-12-28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54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512B1 (ko) * 2019-04-05 2019-10-25 주식회사 우빈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036509B1 (ko) * 2019-04-02 2019-10-25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구조물 안전진단용 슈미트해머 반발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054858B1 (ko) * 2019-04-05 2019-12-12 (주)에스이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129387B1 (ko) * 2020-01-21 2020-07-02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패드를 이용한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KR102217166B1 (ko) * 2020-06-29 2021-02-18 주식회사 동서기술 슈미트 해머용 위치표시기구
KR102287735B1 (ko) * 2021-01-11 2021-08-11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
KR102421200B1 (ko) * 2021-06-10 2022-07-15 해동이엔씨 주식회사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42Y1 (ko) * 2000-12-15 2001-05-15 최기봉 슈미트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
KR200340495Y1 (ko) * 2003-11-18 2004-02-05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슈미트햄머 타점표시기
KR20090124376A (ko) * 2008-05-30 2009-12-03 (재)한국건설안전기술원 콘크리트구조물 강도평가시 반발경도법(슈미트해머)의측정보조장치
KR101255025B1 (ko) * 2011-08-09 2013-04-16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슈미트 해머 타격점 자동 표시기
JP2014065889A (ja) * 2012-07-04 2014-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接着層及び粘接着シート
JP2015078600A (ja) * 2012-07-04 2015-04-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の補修又は補強方法
KR101658114B1 (ko) * 2016-02-03 2016-09-21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542Y1 (ko) * 2000-12-15 2001-05-15 최기봉 슈미트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
KR200340495Y1 (ko) * 2003-11-18 2004-02-05 에스큐엔지니어링(주) 슈미트햄머 타점표시기
KR20090124376A (ko) * 2008-05-30 2009-12-03 (재)한국건설안전기술원 콘크리트구조물 강도평가시 반발경도법(슈미트해머)의측정보조장치
KR101255025B1 (ko) * 2011-08-09 2013-04-16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슈미트 해머 타격점 자동 표시기
JP2014065889A (ja) * 2012-07-04 2014-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接着層及び粘接着シート
JP2015078600A (ja) * 2012-07-04 2015-04-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の補修又は補強方法
KR101658114B1 (ko) * 2016-02-03 2016-09-21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201465889 A *
KR 2020000035165 Y1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509B1 (ko) * 2019-04-02 2019-10-25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구조물 안전진단용 슈미트해머 반발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036512B1 (ko) * 2019-04-05 2019-10-25 주식회사 우빈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054858B1 (ko) * 2019-04-05 2019-12-12 (주)에스이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129387B1 (ko) * 2020-01-21 2020-07-02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패드를 이용한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KR102217166B1 (ko) * 2020-06-29 2021-02-18 주식회사 동서기술 슈미트 해머용 위치표시기구
KR102287735B1 (ko) * 2021-01-11 2021-08-11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
KR102421200B1 (ko) * 2021-06-10 2022-07-15 해동이엔씨 주식회사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545B1 (ko)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KR102036509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슈미트해머 반발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US7617616B1 (en) Dimensional weight box measuring device
JP2012528550A5 (ko)
EP2384423A1 (en) Measurement of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JP456544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品質評価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品質評価方法
JP2007101277A5 (ko)
JP2017203711A (ja) 検査対象物の状態評価装置
JP2009236754A (ja) ひずみ計測方法、ひずみ計測システム
CN110987654B (zh) 弯曲挺度测试方法、测试装置以及显示面板的测试方法
KR102046372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초음파 탐상용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JP2013195074A (ja) クラック検出方法、クラック表示装置
JP2016205900A (ja) 検査対象物の状態評価装置
JP2018165893A (ja) 作業支援装置、作業支援方法、及び作業支援プログラム
JP2006130304A5 (ko)
CN105769224A (zh) 一种基于多向稳定偏转力矩的精确抓握功能测试装置及其分析方法
US20140274438A1 (en) Fitting A Golf Ball Using A Strike Characteristics Detector
KR102217166B1 (ko) 슈미트 해머용 위치표시기구
JP2016200550A (ja) 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CN211181328U (zh) 一种胡克定律实验演示装置
JP2016000092A (ja) 指紋採取用シート
JP2014044135A5 (ko)
JP3875690B2 (ja) 微小動物計数用シート
JP2021060287A (ja) 塗膜状態の評価装置および塗膜状態の評価方法
JP3858990B2 (ja) 高速引張試験領域における真応力−歪みの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