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735B1 -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735B1
KR102287735B1 KR1020210003481A KR20210003481A KR102287735B1 KR 102287735 B1 KR102287735 B1 KR 102287735B1 KR 1020210003481 A KR1020210003481 A KR 1020210003481A KR 20210003481 A KR20210003481 A KR 20210003481A KR 102287735 B1 KR102287735 B1 KR 102287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osition marking
marking tape
measuring posit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기술단
Priority to KR102021000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8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impulsive load by indentors, e.g. falling ba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구조물 또는 시설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비파괴 시험으로서,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 시험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강도 시험시, 사전에 제작된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하여 각각의 측정위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마킹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시험을 준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측정자가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측정위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비파괴 시험시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구조물에 부착하여 시험을 실시한 후 구조물로부터 간단하게 탈착하여 폐기할 수 있는 소모품 형태의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측정위치 마킹부재의 제거가 용이한, 구조물 비파괴 시험용 측정위치 마킹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 {MARKING MEMBER OF TEST POSITIONS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STRUCTURE}
본 발명은 측정위치 마킹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조물 또는 시설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비파괴 시험으로서,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 시험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강도 시험시, 각각의 측정위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마킹하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 관련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대한 안전문제는 시민의 생명 및 재산 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안전에 대한 최우선 대상물로 분류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물 및 시설물의 안전한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관련주체는 신설 구조물과 기존 구조물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콘크리트에 대한 강도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며, 이때, 신설 구조물은 안전한 설계 및 시공을 유도하고 또한, 기존 구조물은 노후화 정도를 파악하고 보강시점 및 정도, 범위를 결정함에 판단 근거를 제공하여야 한다.
국내외의 구조물 및 시설물을 이루고 있는 콘크리트에 대한 강도측정 방법에는 크게 직접적인 강도 측정법과 간접적인 강도 측정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직접적인 강도 측정법은 측정 대상물을 압축강도 시험장치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파괴시켜 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공시체 준비 및 시험과정 등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고, 또한, 현장에서 시편 채취 등에 의한 구조물 손상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비해 간적접인 강도 측정법인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Testing: NDT)는 강도 측정 절차가 용이하고, 측정재료나 제품 또는 대상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보다 짧은 시간에 많은 횟수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한편, 현재 실무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강도측정 비파괴 검사법은 표면 타격법과 초음파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 타격법은 슈미트 해머법이라고도 불리는 반발경도법으로 구조물 등의 측정 대상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강도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반발경도법의 원리는 타격 시 슈미트 해머의 타격 에너지에 따라 반사되는 반발 크기와 측정 대상물의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것으로, 그라인더를 통한 표면 요철을 제거한 후, 유성매직, 분필 등을 사용하여 구조물에 마킹한 후, 반발경도 시험을 실시함에 따라 단시간에 간단하게 강도 측정이 가능하지만, 금속재료를 바탕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복합재료인 콘크리트에 적용 시에 많은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강도 추정의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초음파법은 측정 대상물 내부의 음파 전달속도와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초음파의 측정 대상물 내부 전달속도는 콘크리트의 구성특징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아 음파 속도의 변화가 심하고, 도한, 감쇠성 등으로 인해 정확한 강도의 추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a는 일반적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인 반발경도 시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일반적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인 초음파 강도 시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발경도 시험은 구조물(11)인 콘크리트 표면의 반발경도를 슈미트 해머(13)에 의해 측정점(12)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발경도 시험은 경화 콘크리트면을 타격할 때 반발경도와 콘크리트 압축강도 사이에 특정 상관관계가 있다는 실험적 경험을 기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반발경도 시험은 매우 간편하고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대한 여러 가지 비파괴 시험 중에서 시험실 및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 현장 등의 내력 조사에 효과적이고, 간편하면서도 가장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슈미트 해머(13)는 스프링식 해머로서, 콘크리트 표면의 파인 직경을 측정하는 대신에 스프링의 반발하는 힘을 해머의 눈금으로부터 직접 알 수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강도를 간단하게 측정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강도 시험은 구조물(14) 내에서의 초음파 속도가 탄성계수의 영향을 받는 점을 이용하여 초음파 탐상기(16)의 탐침자(17)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추정하는 초음파 탐상 시험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의 속도가 빠르면 콘크리트의 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인 콘크리트의 품질에 대한 비교 평가에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표면에 균열이 존재하면 초음파의 도달시간이 지연되므로, 균열이 존재하는 부분에서의 초음파의 도달시간과 정상적인 도달시간을 바탕으로 균열의 깊이를 추산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강도 시험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14)의 측정면에 줄자 등을 이용하여 통상 10㎝의 간격으로 6개 정도의 측정점(15)을 분필 등으로 표시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 시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 시험에서, 반발경도 시험기인 슈미트 해머(13)를 사용하여 구조물(11) 표면에 분필선(12a)으로 타점 위치를 마킹한다. 이때, 슈미트 해머(13)로 이러한 다점 타격을 하기 위해서는 타격하기 전에 다수개의 타점을 구조물(11)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표시하여야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소정의 필기도구(주로 분필)를 이용하여 분필선(12a)으로 타점 위치를 마킹하고 있는데, 이때, 콘크리트라는 측정부재의 표면 거칠기로 인하여 구조물(11) 표면에 마킹하기가 까다롭고, 또한, 타격 표면이 협소한 경우 단부 이격거리를 확보하면서 신속 정확하게 타점위치를 표시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슈미트 해머(13)를 이용한 콘크리트 반발경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측정 대상의 구조물(11) 표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각 3㎝의 간격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된 각 3㎝의 간격에 대해 평행한 수평선 4개를 분필과 자를 이용하여 그린다. 또한, 수평선을 분필과 자를 이용하여 그린 후, 그려진 위치에서 수평선과 직교하도록 세로방향을 따라 각 3㎝의 간격을 두고 수직선 5개를 그린다. 이후, 일정 간격으로 표시된 각 수평선 및 수직선의 직교점에 슈미트 해머(13)를 대고 콘크리트 구조물(11) 내부의 강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슈미트 해머(13)를 이용한 콘크리트 반발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11)의 강도를 측정할 때마다, 예를 들면, 3㎝ 간격의 5 x 4개의 직교된 직선을 그리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웠으며, 측정시간이 오래 걸려 슈미트 해머(13)에 의한 타격점 마킹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저하되었다. 예를 들면, 강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1)마다 일정 간격을 두고 3㎝ 간격의 5 x 4개의 직교된 직선을 그린 다음, 그 교차점에 슈미트 해머(13)를 대고 콘크리트 구조물(11)의 강도를 측정하고, 다시 3㎝ 간격의 5 x 4개의 직교된 직선을 그리는 것을 반복해야 하므로, 측정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측정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렸으며, 또한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224542호에는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의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도록 고무 및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본체(20)의 전면부에 3㎝ 간격으로 평행한 5개의 평행선(21)을 형성하고, 상기 평행선(21)과 직교되도록 3㎝ 간격으로 4개의 수직선(22)을 형성하며, 상기 평행선(21) 및 수직선(22)의 교차점마다 13㎜~15㎜의 직경의 시험공(23)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20)의 후면의 각 모서리부에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가 도포되는 접착부(24)를 형성한다.
이때, 접착부(24)는 오목부를 갖는 유동적인 재질로 이루어져 진공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패드로 대체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에 따르면, 일정 두께를 가진 고무 및 플라스틱 재질로 3㎝ 간격의 5 x 4개의 직교된 직선의 교차점마다 슈미트 해머의 첨두부가 인입될 수 있는 소정 직경의 시험공이 관통된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측정할 때마다 콘크리트 표면에 간단히 부착하여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번거로움을 경감시키고 슈미트 해머의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의 경우, 일정 두께를 가진 고무 및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본체(20)의 후면의 각 모서리부에 콘크리트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시험시마다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를 도포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19-88359호에는 "안전 진단용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반발경도 측정을 위한 측정점 표시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 진단용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반발경도 측정을 위한 측정점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측정점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측정점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에 측정점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c는 표면에 표시된 5 x 4 측정점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 진단용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반발경도 측정을 위한 측정점 표시장치(30)는, 복수의 구멍(32)을 구비한 전면부(31); 전면부(31)의 후방에 구비되는 완충부(33); 완충부(33)의 후방에 구비되는 하우징부(34); 하우징부(34)의 후방에 구비되는 잉크 토출부(35); 및 잉크 토출부(35)의 하방에 구비되는 잉크 저장부(36)를 포함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인 구조물(11)의 표면을 안전진단하기 위하여, 반발경도 측정을 하는 경우에, 슈미트 해머로 타격하기 전 측정점 표시장치(30)를 이용하여 표면에 복수의 측정점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측정점을 표시하기 위하여 측정점 표시장치(30)를 구조물(11)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사용자가 잉크 토출부(35)의 버튼을 눌러서 일정량의 잉크를 분사시키면, 구조물(11)의 표면에 복수의 측정점(12)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31)에 구비된 복수의 구멍은 5열 4행의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되고, 잉크가 해당 복수의 구멍을 통해서 평면인 구조물(11)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측정점이 표시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 진단용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반발경도 측정을 위한 측정점 표시장치에 따르면, 작업자가 안전진단을 위한 작업 중 슈미트 해머로 표면을 타격하기 전에 표면에 측정점을 표시하는 작업을 할 경우, 표면의 상태(평면 또는 곡면 등)에 상관없이 측정점을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측정 표시에 사용되는 잉크 또는 스프레이 등의 오염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 진단용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반발경도 측정을 위한 측정점 표시장치의 경우, 측정점 표시를 위해 잉크를 사용하므로 시험이 완료된 후 구조물에 측정 표시가 남아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58114호에는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마킹툴 부재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는, 로울러 형상의 몸체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부재(41)가 형성되고 그 몸체의 외부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통(42)이 형성되는 내부부재(43); 상기 내부부재(43)가 몸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부(44)가 구비되고 그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45a~45n)이 다수개 형성되는 외부부재(46); 상기 내부부재(43)의 외부면에 외부부재(46)의 관통홀(45a~45n)이의 대응되는 위치로 삽입 설치되도록 돌기기둥이 다수개 각기 형성되고 콘크리트 표면에 다수개의 타격점을 일정간격으로 마킹하는 마킹툴부재(48); 상기 내부부재(43)의 베어링부재(41)에 결합되어 내부부재(43)와 외부부재(46)가 조립된 로울러몸체(49)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마킹툴부재(48)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통홀(45a~45n)의 하부에 잉크를 빨아들일 수 있는 스펀지부재(54)를 충진하고, 상기 돌기기둥의 내부에 잉크통(52)으로부터 스펀지부재(54)로 잉크가 흐르도록 잉크관(55)이 형성되며, 상기 각 관통홀(45a~45n)의 최하단에 관통홀(45a~45n)의 반지름보다 작은 타격홀부재(57)가 삽입 고정되어 타격점에 스펀지부재(54)의 잉크를 찍도록 한다. 여기서, 미설명 도면부호 51은 스프링부재를 나타내고, 53은 고정결합부재를 나타내며, 55는 잉크관을 나타내고, 58은 나사체결공을 나타내며, 59는 수나사를 각각 나타낸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에 따르면,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를 로울러형으로 형성하고 로울러 몸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납피스톤 타입의 마킹툴부재를 형성시킴으로써, 콘크리트 표면에 다수의 슈미트 해머 타격점을 일정 간격으로 정확히 마킹하여 콘크리트강도 측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은 물론 콘크리트 표면이 거칠거나 굴곡이 지더라도 로울러형으로 균일하게 마킹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의 경우, 측정점 표시를 위해 잉크를 사용하므로 시험이 완료된 후 구조물에 측정 표시가 남아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888018호에는 "반발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로편과 세로편이 조합된 반발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발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는, 최소한 내부에 잉크가 충전되며 콘크리트면에 타격 위치표시를 마킹하는 마킹 조임구(7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발 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로서, 길다란 자(ruler) 형태로 된 다수개의 가로편(60)과 세로편(70); 이들 다수개의 가로편(60)과 세로편(70)은, 가운데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동홈(62, 72)이 형성되며 가장자리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눈금과 아라비아 숫자가 새겨진 숫자면(63, 73)이 새겨져 있으며, 상기 가로편(60)과 세로편(70)이 조립될 때 이들을 고정하고 상기 가로편(60)과 세로편(70)이 상호 조립되어 콘크리트면에 반발 위치 표시점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61은 가로자를 나타내고, 71은 세로자를 나타낸다.
이때, 길다란 자형태의 다수개의 가로편(60)과 세로편(60)을, 미리 설정한 타격할 간격대로 각각 숫자면(63, 73)을 이용하여 서로 직각으로 배치한 후, 다수개의 마킹 조임구를 이용하여 이들 가로편(60)과 세로편(70)을 조립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발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에 따르면, 두 개의 가로편과 세로편의 조합으로 구조물 반발경도 측정 시, 타격 간격을 설정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구조물 부위에 관계없이 원하는 위치에 반발경도 시험 시 요구되는 타격위치 또는 시험위치를 원하는 간격으로 일시에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발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의 경우, 측정점 표시를 위해 잉크를 사용하므로 시험이 완료된 후 구조물에 측정 표시가 남아 있게 되며, 또한,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59934호에는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위치 표시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위치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a는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위치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위치표시장치(80)는, 10cm의 간격으로 6개의 측정점 표시공이 천공된 초음파용 스티커 판체(81); 3㎝ 간격의 5(종)ㅧ4(횡)개 측정점 표시공(84a)이 천공된 슈미트용 스티커 판체(84); 상기 초음파용 스티커 판체(81)와 슈미트용 스티커 판체(84)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접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접착면 보호비닐; 및 상기 슈미트용 스티커 파트와 겹치는 부분의 초음파 측정용 표시공의 외곽선은 떼어내기 쉽도록 절취선을 포함한다.
이때, 슈미트용 스티커 판체(84)와 초음파용 스티커 판체(81)는 서로 겹쳐서 각각의 판체 일부를 공유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용 스티커 판체(81)에 겹치는 슈미트용 스티커 파트(84)의 외곽선과 초음파 측정용 표시공(81a)의 외곽선은 떼어내기 쉽도록 절취선으로 형성한다.
또한, 초음파용 스티커 판체(84)의 일측에 절취선에 의해 절취가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눈금이 인쇄된 자(82)와, 상기 자(82)의 일측에는 눈금이 형성된 반원형의 각도계(8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계(83)의 중간부와 자(82)의 중간부는 서로 일치하게 형성되고, 자(82)의 중간에는 자를 접을 수 있는 절첩선(82a)이 형성되도록 하며, 각도계(83)와 자(82) 사이에는 각도계 절취선(83a)과 각도계 절첩선(83b)이 형성되도록 하여 각도계 절취선(83a)과 각도계 절첩선(83b)은 자(82)에 형성된 절첩선(82a)을 중심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도계 절취선(83a) 부분을 떼어내고 자(82)의 중간에 형성된 절첩선(82a)을 중심으로 자(82)를 꺽게 되면 꺽어진 자(82)의 일부분이 절첩선(82a)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되면서 일종의 각도계(83)에 있어 지침으로 작용하는 지침부(82b)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7b는 슈미트 스티커 파트(84)로부터 초음파 스티커 파트(81)와 측정기 파트인 자(82)와 각도계(83)를 떼어내고 접착면 보호비닐을 제거한 다음, 슈미트 스티커 파트(84)만을 측정면에 부착하여 슈미트 경도 측정점(81a)을 표시하는 방법을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로서, 도면부호 94는 초음파 탐상기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95는 탐침자를 나타낸다.
또한, 도 7c는 초음파 스티커 파트(81)로부터 슈미트 스티커 파트(84)와 측정기 파트인 자(82)와 각도계(83)를 떼어내고, 접착면 보호비닐을 제거한 다음, 초음파 스티커 파트(81)만을 측정면(92)에 부착하여 초음파 강도 측정점(93)을 표시하는 방법을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91은 슈미트 해머를 나타낸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위치 표시장치에 따르면, 각도계와 자와 같은 측정도구와, 스티커방식의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위치 표시장치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이들을 모두 별도로 챙겨야 하는 문제와 분실의 우려가 높은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안전진단도구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초음파 또는 슈미트 측정용 스티커로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위치 표시장치의 경우, 측정점 표시를 위해 잉크를 사용하므로 시험이 완료된 후 구조물에 측정 표시가 남아 있게 되며, 이와 같이, 구조물에 측정점을 잉크 등으로 표시하는 것은 비파괴 시험이 완료된 후 지워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224542호(등록일: 2001년 3월 8일), 발명의 명칭: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19-88359호(공개일: 2019년 7월 26일), 발명의 명칭: "안전 진단용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반발경도 측정을 위한 측정점 표시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58114호(등록일: 2016년 9월 일), 발명의 명칭: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888018호(등록일: 2018년08월07일), 발명의 명칭: "반발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059934호(등록일: 2019년 2월 0일), 발명의 명칭: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573967호(등록일: 2006년 4월 19일), 발명의 명칭: "비파괴검사형 초음파 탐사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44767호(등록일:2017년 6월 1일), 발명의 명칭: "안전진단을 위한 콘크리트 초음파 강도 시험 표시장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물 또는 시설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비파괴 시험으로서,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 시험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강도 시험시, 사전에 제작된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하여 각각의 측정위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마킹할 수 있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측정자가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측정위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비파괴 시험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구조물에 부착하여 시험을 실시한 후 구조물로부터 간단하게 탈착하여 폐기할 수 있는 소모품 형태의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측정위치 마킹부재의 제거가 용이한,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는, 구조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반발경도 시험시 측정위치를 마킹하도록 사용되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에 있어서, 반발경도 시험을 위해 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롤(Roll) 형태로 권취되는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 반발경도 시험시 측정위치 마킹을 위해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 상에 가로 5개 세로 4개씩 형성되는 다수의 측정위치 마킹홀;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가 구조물 상에 부착되도록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의 하부면에 도포되는 접착부; 및 상기 롤 형태의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가 소정 간격마다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는 마킹 테이프 홀더 내에 권취되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절취되어 사용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을 통한 반발경도 시험 완료시 구조물로부터 탈착되어 폐기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는 실리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스카치테이프로서,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끈적임이 남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탈착되며,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를 롤 형태로 수용하는 홀더 케이스;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를 내장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홀더 케이스 중앙부에 형성되는 마킹 테이프 고정용 걸림턱;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의 자유 단부가 수평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홀더 케이스의 전단부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마킹 테이프 인출구; 및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의 자유단부의 일정부위를 절단하도록 상기 마킹 테이프 인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킹 테이프 절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를 내장하여 소정 간격으로 인출 및 절단하도록 하게 된다.
삭제
삭제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는, 구조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초음파 강도 시험시 측정위치를 마킹하도록 사용되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에 있어서, 초음파 강도 시험을 위해 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롤 형태로 권취되는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 초음파 강도 시험시 측정위치 마킹을 위해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 상에 10㎝ 간격으로 6개씩 형성되는 다수의 측정위치 마킹홀;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가 구조물 상에 부착되도록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의 하부면에 도포되는 접착부; 및 상기 롤 형태의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가 소정 간격마다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취선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는 마킹 테이프 홀더 내에 권취되어 상기 절취선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절취되어 사용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을 통한 초음파 강도 시험 완료시 구조물로부터 탈착되어 폐기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는 실리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스티커로서,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끈적임이 남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탈착되며,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를 롤 형태로 수용하는 홀더 케이스;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를 내장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홀더 케이스 중앙부에 형성되는 마킹 테이프 고정용 걸림턱;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의 자유 단부가 수평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홀더 케이스의 전단부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마킹 테이프 인출구; 및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의 자유단부의 일정부위를 절단하도록 상기 마킹 테이프 인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킹 테이프 절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를 내장하여 소정 간격으로 인출 및 절단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는 실리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스카치테이프로서,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끈적임이 남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탈착되도록 하게 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 또는 시설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비파괴 시험으로서,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 시험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강도 시험시, 사전에 제작된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하여 각각의 측정위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마킹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시험을 준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자가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측정위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비파괴 시험시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에 부착하여 시험을 실시한 후 구조물로부터 간단하게 탈착하여 폐기할 수 있는 소모품 형태의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측정위치 마킹부재의 제거가 용이하며, 구조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도 1a는 일반적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인 반발경도 시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일반적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인 초음파 강도 시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 시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슈미트 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의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전 진단용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반발경도 측정을 위한 측정점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로편과 세로편이 조합된 반발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위치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반발경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초음파 강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인 반발경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마킹 테이프 홀더에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인 초음파 강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마킹 테이프 홀더에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반발경도 시험용 스티커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강도 시험용 스티커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설명하고,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설명한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설명하고,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반발경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100)]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반발경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100)는, 구조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반발경도 시험시 측정위치를 마킹하도록 사용되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 측정위치 마킹홀(120), 접착부(130) 및 절취선(140)을 포함한다.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는 반발경도 시험을 위해 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롤(Roll) 형태로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는 실리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스카치테이프로서, 상기 접착부(130)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끈적임이 남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측정위치 마킹홀(120)는 반발경도 시험시 측정위치 마킹을 위해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 상에 다수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120)은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 상에 가로 5개 세로 4개씩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13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가 구조물 상에 부착되도록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의 하부면에 도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부(130)에 의해 상기 구조물의 반발경도 시험용 측정 부위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반발경도 시험이 완료되면 상기 구조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절취선(140)은 상기 롤 형태의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가 소정 간격마다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는 마킹 테이프 홀더(300) 내에 권취되어 상기 절취선(140)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절취되어 사용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120)을 통한 반발경도 시험 완료시 구조물로부터 탈착되어 폐기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인 반발경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마킹 테이프 홀더에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마킹 테이프 홀더(300)를 나타내며, 도 10의 b)는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발경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마킹 테이프 홀더(300)는, 상기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를 내장하여 소정 간격으로 인출 및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홀더 케이스(310), 마킹 테이프 고정용 걸림턱(320),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 및 마킹 테이프 절단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는 롤(Roll) 형태로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300) 내에 권취된다.
홀더 케이스(31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를 수용하며, 마킹 테이프 고정용 걸림턱(320)은 상기 롤 형태의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를 권취한다. 특히, 상기 마킹 테이프 고정용 걸림턱(320)은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를 내장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홀더 케이스(310)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는 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마킹 테이프 고정용 걸림턱(320)에 권취될 수 있다.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의 자유 단부가 수평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홀더 케이스(310)의 전단부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는 한 측면이 개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슬릿 형상으로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만 인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마킹 테이프 절단부(34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의 자유단부의 일정부위를 절단하도록 상기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마킹 테이프 절단부(340)는 상기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예: 초음파 강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200)]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초음파 강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인 초음파 강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200)는, 구조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초음파 강도 시험시 측정위치를 마킹하도록 사용되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 측정위치 마킹홀(220), 접착부(230) 및 절취선(240)을 포함한다.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는 초음파 강도 시험을 위해 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롤(Roll) 형태로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는 실리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스카치테이프로서, 상기 접착부(230)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끈적임이 남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측정위치 마킹홀(220)는 초음파 강도 시험시 측정위치 마킹을 위해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 상에 다수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220)는 10㎝ 간격으로 6개씩 형성된다.
접착부(23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가 구조물 상에 부착되도록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의 하부면에 도포된다.
절취선(240)은 상기 롤 형태의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가 소정 간격마다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는 마킹 테이프 홀더(300) 내에 권취되어 상기 절취선(240)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절취되어 사용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220)을 통한 초음파 강도 시험 완료시 구조물로부터 탈착되어 폐기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인 초음파 강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마킹 테이프 홀더에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1의 a)는 마킹 테이프 홀더(300)를 나타내며, 도 11의 b)는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200)의 평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30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를 롤 형태로 수용하는 홀더 케이스(310);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를 내장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홀더 케이스(310) 중앙부에 형성되는 마킹 테이프 고정용 걸림턱(320);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의 자유 단부가 수평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홀더 케이스(310)의 전단부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 및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의 자유단부의 일정부위를 절단하도록 상기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킹 테이프 절단부(340)를 포함하되,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30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를 내장하여 소정 간격으로 인출 및 절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0에 도시된 마킹 테이프 홀더와 비교하면,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300)는 초음파 강도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를 수용하며, 이때,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의 폭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의 폭과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 반발경도 시험용 스티커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400)]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반발경도 시험용 스티커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400)는 구조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반발경도 시험시 측정위치를 마킹하도록 사용되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410), 측정위치 마킹홀(420), 접착부(430) 및 스티커 보호부재(440)를 포함한다.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410)는 반발경도 시험을 위해 스티커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410)는 실리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스티커로서, 상기 접착부(430)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끈적임이 남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측정위치 마킹홀(420)은 반발경도 시험시 측정위치 마킹을 위해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410) 상에 다수의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420)은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 상에 가로 5개 세로 4개씩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43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410)가 구조물 상에 부착되도록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410)의 하부면에 도포된다.
스티커 보호부재(44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410)의 보호를 위해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410)가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410)는 상기 스티커 보호부재(440) 상에서 박리되어 사용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420)을 통한 반발경도 시험 완료시 구조물로부터 탈착되어 폐기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강도 시험용 스티커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500)]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강도 시험용 스티커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500)는, 구조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초음파 강도시험시 측정위치를 마킹하도록 사용되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로서,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510), 측정위치 마킹홀(520), 접착부(530) 및 스티커 보호부재(540)를 포함한다.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510)는 초음파 강도 시험을 위해 스티커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510)는 실리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스티커로서, 상기 접착부(530)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끈적임이 남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측정위치 마킹홀(520)은 초음파 강도 시험시 측정위치 마킹을 위해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510) 상에 다수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520)는 10㎝ 간격으로 6개씩 형성된다.
접착부(53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510)가 구조물 상에 부착되도록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510)의 하부면에 도포된다.
스티커 보호부재(54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510)의 보호를 위해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510)가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510)는 상기 스티커 보호부재(540) 상에서 박리되어 사용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520)을 통한 초음파 강도 시험 완료시 구조물로부터 탈착되어 폐기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 또는 시설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비파괴 시험으로서,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 시험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강도 시험시, 사전에 제작된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하여 각각의 측정위치를 탈부착 가능하게 마킹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시험을 준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측정자가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측정위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비파괴 시험시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물에 부착하여 시험을 실시한 후 구조물로부터 간단하게 탈착하여 폐기할 수 있는 소모품 형태의 테이프형 또는 스티커형 측정위치 마킹부재를 사용함에 따라 측정위치 마킹부재의 제거가 용이하며, 구조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반발경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
110: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 120: 측정위치 마킹홀
130: 접착부 140: 절취선
200: 초음파 강도 시험용 테이프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
210: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 220: 측정위치 마킹홀
230: 접착부 240: 절취선
300: 마킹 테이프 홀더
310: 홀더 케이스 320: 마킹 테이프 고정용 걸림턱
330: 마킹 테이프 인출구 340: 마킹 테이프 절단부
400: 반발경도 시험용 스티커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
410: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 420: 측정위치 마킹홀
430: 접착부 440: 스티커 보호부재
500: 강도 시험용 스티커 타입의 측정위치 마킹부재
510: 측정위치 마킹 스티커 520: 측정위치 마킹홀
530: 접착부 540: 스티커 보호부재

Claims (10)

  1. 구조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반발경도 시험시 측정위치를 마킹하도록 사용되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에 있어서,
    반발경도 시험을 위해 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롤(Roll) 형태로 권취되는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
    반발경도 시험시 측정위치 마킹을 위해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 상에 가로 5개 세로 4개씩 형성되는 다수의 측정위치 마킹홀(120);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가 구조물 상에 부착되도록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의 하부면에 도포되는 접착부(130); 및
    상기 롤 형태의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가 소정 간격마다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취선(140)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는 마킹 테이프 홀더(300) 내에 권취되어 상기 절취선(140)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절취되어 사용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120)을 통한 반발경도 시험 완료시 구조물로부터 탈착되어 폐기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는 실리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스카치테이프로서, 상기 접착부(130)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끈적임이 남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탈착되며,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30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를 롤 형태로 수용하는 홀더 케이스(310);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를 내장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홀더 케이스(310) 중앙부에 형성되는 마킹 테이프 고정용 걸림턱(320);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의 자유 단부가 수평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홀더 케이스(310)의 전단부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 및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의 자유단부의 일정부위를 절단하도록 상기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킹 테이프 절단부(340)를 포함하되,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30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110)를 내장하여 소정 간격으로 인출 및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비파괴 시험용 측정위치 마킹부재.
  2. 삭제
  3. 삭제
  4. 구조물의 정밀진단 및 정밀안전점검을 위한 초음파 강도 시험시 측정위치를 마킹하도록 사용되는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에 있어서,
    초음파 강도 시험을 위해 테이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롤(Roll) 형태로 권취되는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
    초음파 강도 시험시 측정위치 마킹을 위해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 상에 10㎝ 간격으로 6개씩 형성되는 다수의 측정위치 마킹홀(220);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가 구조물 상에 부착되도록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의 하부면에 도포되는 접착부(230); 및
    상기 롤 형태의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가 소정 간격마다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취선(240)을 포함하되,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는 마킹 테이프 홀더(300) 내에 권취되어 상기 절취선(240)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절취되어 사용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홀(220)을 통한 초음파 강도 시험 완료시 구조물로부터 탈착되어 폐기되며,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는 실리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스카치테이프로서, 상기 접착부(230)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 끈적임이 남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로부터 탈착되며,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30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를 롤 형태로 수용하는 홀더 케이스(310);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를 내장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홀더 케이스(310) 중앙부에 형성되는 마킹 테이프 고정용 걸림턱(320);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의 자유 단부가 수평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홀더 케이스(310)의 전단부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 및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의 자유단부의 일정부위를 절단하도록 상기 마킹 테이프 인출구(3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킹 테이프 절단부(340)를 포함하되, 상기 마킹 테이프 홀더(300)는 상기 측정위치 마킹 테이프(210)를 내장하여 소정 간격으로 인출 및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비파괴 시험용 측정위치 마킹부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03481A 2021-01-11 2021-01-11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 KR10228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481A KR102287735B1 (ko) 2021-01-11 2021-01-11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481A KR102287735B1 (ko) 2021-01-11 2021-01-11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735B1 true KR102287735B1 (ko) 2021-08-11

Family

ID=7731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481A KR102287735B1 (ko) 2021-01-11 2021-01-11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424B1 (ko) * 2023-04-06 2023-06-13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신속 타격점 표시기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4304U (ko) * 1984-12-28 1986-07-19
JPS6287367U (ko) * 1985-11-22 1987-06-04
JPH0418876U (ko) * 1990-06-06 1992-02-17
KR200224542Y1 (ko) 2000-12-15 2001-05-15 최기봉 슈미트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
US6826845B2 (en) * 2003-02-27 2004-12-07 Gary Pritchard Marking tape measure
USRE38783E1 (en) * 1997-04-29 2005-08-30 David Neal Harris Reference markings on construction materials
KR100573967B1 (ko) 2003-12-19 2006-04-25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비파괴검사형 초음파탐사시스템
US20150044411A1 (en) * 2013-08-08 2015-02-12 Tangelia Gansereit Continuous doily roll with index marks / perforations allowing dispensation of doilies in customized sizes
JP3197072U (ja) * 2015-02-05 2015-04-16 株式会社はなまる総合サービス マーキングテープ
KR101658114B1 (ko) 2016-02-03 2016-09-21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
KR101744767B1 (ko) 2017-01-06 2017-06-09 정태하 안전진단을 위한 콘크리트 초음파 강도시험 표시장치
KR101876545B1 (ko) * 2017-12-28 2018-07-09 (주)평화엔지니어링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KR101888018B1 (ko) 2018-01-02 2018-08-13 (주)화신엔지니어링 반발 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
KR101943186B1 (ko) * 2017-02-16 2019-01-2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규칙 라인 표시용 마킹테이프
KR20190088359A (ko) 2018-01-18 2019-07-26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안전 진단용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반발 경도 측정을 위한 측점표시장치
KR102059934B1 (ko) 2019-04-05 2020-02-11 주식회사 우빈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4304U (ko) * 1984-12-28 1986-07-19
JPS6287367U (ko) * 1985-11-22 1987-06-04
JPH0418876U (ko) * 1990-06-06 1992-02-17
USRE38783E1 (en) * 1997-04-29 2005-08-30 David Neal Harris Reference markings on construction materials
KR200224542Y1 (ko) 2000-12-15 2001-05-15 최기봉 슈미트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
US6826845B2 (en) * 2003-02-27 2004-12-07 Gary Pritchard Marking tape measure
KR100573967B1 (ko) 2003-12-19 2006-04-25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비파괴검사형 초음파탐사시스템
US20150044411A1 (en) * 2013-08-08 2015-02-12 Tangelia Gansereit Continuous doily roll with index marks / perforations allowing dispensation of doilies in customized sizes
JP3197072U (ja) * 2015-02-05 2015-04-16 株式会社はなまる総合サービス マーキングテープ
KR101658114B1 (ko) 2016-02-03 2016-09-21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타격점 표시기능을 갖는 로울러형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구
KR101744767B1 (ko) 2017-01-06 2017-06-09 정태하 안전진단을 위한 콘크리트 초음파 강도시험 표시장치
KR101943186B1 (ko) * 2017-02-16 2019-01-2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규칙 라인 표시용 마킹테이프
KR101876545B1 (ko) * 2017-12-28 2018-07-09 (주)평화엔지니어링 반발경도측정 측점표시장치
KR101888018B1 (ko) 2018-01-02 2018-08-13 (주)화신엔지니어링 반발 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
KR20190088359A (ko) 2018-01-18 2019-07-26 (주)중앙종합안전기술연구원 안전 진단용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반발 경도 측정을 위한 측점표시장치
KR102059934B1 (ko) 2019-04-05 2020-02-11 주식회사 우빈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RE038783 E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424B1 (ko) * 2023-04-06 2023-06-13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신속 타격점 표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934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287735B1 (ko)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을 위한 측정위치 마킹부재
KR20090120153A (ko)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폭측정방법
JP2011174808A (ja) 薄肉管材の破壊靭性試験方法及び試験片用保持部材
KR200224542Y1 (ko) 슈미트해머의 타격점 표시장치
KR100964405B1 (ko) 제도용 줄자
KR102129387B1 (ko) 패드를 이용한 반발경도 측정위치 표시장치
JP6734590B2 (ja) 既設軟質材の劣化度合検査方法及び劣化度合検査システム
KR102106377B1 (ko) 콘크리트 반발경도 측정을 위한 타격점 및 작업일 표시장치
KR102054858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CN111579646A (zh) 石质文物裂隙的原位、无损检测方法
KR102059930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419839B1 (ko)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KR102217166B1 (ko) 슈미트 해머용 위치표시기구
CN210990621U (zh) 一种超声科检查定位尺
CN205426856U (zh) 用于超声波检测的缺陷定位装置及超声波探伤仪
CN213779049U (zh) 一种建筑工程垂直检测尺
KR102194258B1 (ko) 다기능 검사용 망치
CN110421541B (zh) 一种圆棒试样划线装置
KR102585872B1 (ko) 슈미트 해머 타격 위치 표시용 패턴 조사 장치
CN207231368U (zh) 一种新型主轴锥孔精度测量装置
US4204331A (en) Keyway gauge
KR102585885B1 (ko) 초음파 테스트기 위치 표시용 패턴 조사 장치
KR102596971B1 (ko) 슈미트해머 수직도 조절 장치
KR102059933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