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839B1 -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 Google Patents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839B1
KR102419839B1 KR1020210092275A KR20210092275A KR102419839B1 KR 102419839 B1 KR102419839 B1 KR 102419839B1 KR 1020210092275 A KR1020210092275 A KR 1020210092275A KR 20210092275 A KR20210092275 A KR 20210092275A KR 102419839 B1 KR102419839 B1 KR 102419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rack
outer plate
inner plate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정
Original Assignee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계측하는 균열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내판(10)과 외판(20)이 중첩 구성되는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에는 고정축(41) 및 활동장공(42)을 통하여 주척(主尺)(40)이 설치되고 외판(20)에는 부척(副尺)(50)이 형성되어, 주척(40)과 부척(50)이 평행하고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균열 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ACCURATE CRACK GAUG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계측하는 균열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내판(10)과 외판(20)이 중첩 구성되는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에는 고정축(41) 및 활동장공(42)을 통하여 주척(主尺)(40)이 설치되고 외판(20)에는 부척(副尺)(50)이 형성되어, 주척(40)과 부척(50)이 평행하고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균열은 콘크리트 구조물 건전성 판단에 있어서의 핵심 지표로서, 균열의 규모, 위치 및 진행 양태를 계측함으로써,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및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균열 상태의 경시적(經時的) 변화는 구조물의 장단기 안전성을 진단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인 바, 대부분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균열 발생 지점에 대한 주기적인 계측이 수행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에 대한 주기적인 계측은 균열 발생 부위에 균열 게이지를 부착하고 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러한 균열 게이지는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측정 기구로서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2083255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2083255호를 비롯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도 1에서와 같이,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표척(92)이 표시된 내판(10)과 지시선(93)이 표시된 투명 소재의 외판(20)으로 구성되며, 이들 내판(10)과 외판(20) 각각의 후단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되어 이들 정착부(91)가 계측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접착제 등을 통하여 부착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 지점 양측 표면에 균열 게이지를 부착하는 것으로, 선상(線狀) 균열에 직교하는 일측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지점의 구조물 표면에 내판(10)의 정착부(91)를 부착하고, 선상 균열에 직교하는 타측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지점의 구조물 표면에는 외판(20)의 정착부(91)를 부착하되, 내판(10) 전단부(前端部)의 표척(92) 표시 부위와 외판(20) 전단부의 지시선(93) 표시 부위가 상호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내판(10)의 표척(92) 표시 부위 표면에 충첩된 외판(20)의 지시선(93)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균열폭의 경시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의 확대 속도 및 허용치 도달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진행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균열 폭의 확대 상황을 확인하는 작업을 전적으로 점검원의 육안(肉眼)에 의존하는 한계를 가진다.
즉,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내판(10)과 외판(20) 중첩부에서, 내판(10)에 표시된 표척(92) 표면에서의 투명 외판(20)에 표시된 지시선(93)의 위치를 육안으로 판독하는 방식으로 균열의 변동을 계측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은 그 변동폭이 극히 미미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점검원이 표척(92)상 지시선(93)의 위치 변화를 판독함에 있어서 그 정밀도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으며, 특히 육안 측정을 감안하여 최소 측정 눈금을 설정하게 되는 바, 세밀한 판독 및 이를 통한 측정치의 수치화에 상당한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최소 측정 눈금 미만의 변동의 경우 측정 수치가 근사치로 획득될 수 밖에 없었을 뿐 아니라 그 근사치 역시 전적으로 점검원의 대략적인 감각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객관적이고 세밀한 계측이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즉,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점검원이 표척(92)상 지시선(93)의 위치를 육안으로 판독하는 것인 바, 극히 미세하게 진행되는 균열의 변동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될 수 밖에 없음은 물론, 동일한 현상에 대해서도 점검원에 따라 측정 수치에 상당한 격차가 발생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균열 폭이 변동됨에 따라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근접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에는 균열 게이지와 평행한 판체인 주척(40)이 설치되되, 주척(40)의 일측 단부에는 주척(40)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활동장공(42)이 형성되어 내판(10)에 고정된 고정축(41)에 활동장공(42)이 결합되고, 외판(20)에는 상기 주척(40)측으로 돌출된 부척(50)이 형성되어, 주척(40)과 부척(50)이 평행을 이루며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판(10)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장판(15)이 형성되고, 확장판(15)과 외판(20)간 중첩부위의 외판(20)에는 균열 게이지 종방향의 장공 형태로 절개된 기록창(25)이 형성되며, 기록창(25)에는 내측으로 예리하게 돌출된 돌출부(2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균열 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종래 균열 게이지에서는 육안으로 판독이 어려운 미세한 균열 변동도 별도의 장비 없이 판독이 가능한 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의 진행 및 그에 따른 위험도를 조기에 계측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성능 저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구조물의 심각한 파손 또는 붕괴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점검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세밀한 측정이 가능한 바, 측정치의 객관성 및 신뢰도 역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균열 게이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방식 설명도
도 5은 본 발명의 기록형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도 6 실시예의 사용 방식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교체판 적용 실시예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균열 게이지며, 선단부에는 표척(92)이 표시되고 후단부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된 내판(10)과, 선단부에는 지시선(93)이 표시되고 역시 후단부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된 외판(20)으로 구성되어, 이들 내판(10)의 표척(92)과 외판(20)의 지시선(93)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균열 게이지가 균열을 횡단하도록 균열 발생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부착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을 비롯한 균열 게이지의 설치는 균열 게이지와 균열이 가급적 상호 직교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균열 변동의 기민하고 정확한 계측에 있어서 유리한데, 여기서 상호 횡단이란 길이 방향이자 가동 방향인 균열 게이지의 종방향과 선상(線狀) 균열의 방향이 상호 직교하여, 결국 균열선이 균열 게이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내판(10)과 외판(20)의 균열 발생 콘크리트 구조물 부착은 내판(10) 후단부에 형성된 정착부(91)와 외판(20) 후단부에 형성된 정착부(91)를 각각 균열선을 기준으로 균열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 지점 및 타측 지점에 콘크리트용 접착제 또는 나사 등의 결합 금구를 활용하여 결속함으로써 수행되며, 따라서 피검체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대한 본 발명 균열 게이지의 설치시 내판(10) 및 외판(20)은 각각의 선단부 일부가 중첩된 상태로 선상의 균열을 직교 또는 직교에 근사한 방향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부착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균열 폭이 변동됨에 따라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근접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균열 게이지로서,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내판(10)에는 균열 게이지와 평행한 판체인 주척(主尺)(40)이 설치되되, 주척(40)의 일측 단부에는 주척(40)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활동장공(42)이 형성되어 내판(10)에 고정된 고정축(41)에 활동장공(42)이 결합되고, 외판(20)에는 상기 주척(40)측으로 돌출된 버니어인 부척(副尺)(50)이 형성되어, 주척(40)과 부척(50)이 평행을 이루면서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판(20)에 형성되는 부척(50)은 버니어(vernier)로 불리는 아들자로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주척(40)에 비하여 축소된 눈금을 가지며, 통상의 버니어캘리퍼스에서와 같이 주척(40)과 부척(50) 각각의 눈금 표시 부분이 평행 밀착된 상태에서 부척(50) 원점의 주척(40)상 위치 및 주척(40) 눈금과 부척(50) 눈금의 일치점 판독을 통하여 주척(40)과 부척(50)의 상대 이동 거리가 정밀하게 측정될 수 있다.
즉, 내판(10)에 고정된 주척(40)과 외판(20)에 형성된 부척(50)의 상대 이동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가 측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버니어 방식의 독취를 통하여 단순한 표척(92)상 지시선(93) 판독에 비하여 월등하게 향상된 측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주척(40) 및 부척(50)을 활용한 측정에 있어서 측정 정밀도 확보를 위해서는 주척(40)과 부척(50)간 평행 밀착 상태의 유지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주척(40)을 균열 게이지의 종방향 이동은 억제되면서도 일측 단부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균열 게이지의 횡방향 활동은 허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는 피검체의 균열 진행에 따른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내판(10)과 외판(20)의 실제 상대 이동은 균열 게이지의 종방향 중심선과 정확하게 평행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진행 방향이 수시로 변동될 수 있는 바, 주척(40) 및 부척(50)을 각각 내판(10) 및 외판(20)에 고정 내지 일체형으로 구성할 경우 주척(40)과 부척(50)간 긴밀한 평행 밀착 상태를 조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주척(40)의 일측, 도면상 내판(10)의 정착부(91)측의 주척(40) 단부에 주척(40)과 직교하는 방향이자 균열 게이지의 종방향 중심축과 역시 직교하는 방향의 활동장공(42)을 절개 형성하고, 내판(10)에 고정된 고정축(41)이 활동장공(42)에 활동 및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주척(40)의 도면상 수평 방향 이동은 억제하면서도 주척(40)의 자중(自重)에 따라 주척(40)이 자연스럽게 부척(50)에 밀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주척(40)이 고정축(41)을 축으로 회전하거나 활동장공(42)을 통하여 활동함으로써 균열의 진행 과정에서 부척(50) 및 외판(20)에 불규칙한 경사가 반복 형성되어도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특징적 작동 구성인 주척(40) 등은 내판(10)의 정착부(91)측 노출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주척(40) 설치 부위는 내판(10)과 외판(20)이 중첩되지 않는 내판(10)의 여유 공간에 형성되며,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균열 게이지의 기본적 규격 및 부품 등에 대한 대대적인 변경이 수반되지는 않는다.
부척(50) 또한 외판(20)의 정착부(91) 타측 단부에 균열 게이지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판체가 형성되거나 돌출 판체를 접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바, 이 역시 간편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밀 측정 효과는 도 4를 통하여도 확인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간 이격 거리를 측정함에 있어서 단순히 표척(92)상 지시선(93)의 위치를 독출하는 방식에 비하여 세밀하고 정확한 수치를 주척(40) 및 부척(50)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균열 게이지의 최초 설치시 내판(10)과 외판(20)의 정착부(91)를 피검체에 접착하는 작업 과정에서 외판(20)이 이탈되거나 초기 위치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도 2에서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의 중첩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내판(10)과 외판(20) 각각에 핀공(37)을 천공하고, 핀공(37)의 내경과 일치하는 직경을 가지는 결속핀(38)이 외판(20)의 핀공(37)을 관통하여 내판(10)의 핀공(37)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내판(10)과 외판(20)을 일시 고정할 수 있다.
즉, 일단 결속핀(38)을 외판(20) 핀공(37) 및 내판(10) 핀공(37)에 결합하여 내판(10) 및 외판(20)의 이동을 억제한 상태에서, 내판(10) 및 외판(20)의 정착부(91)를 계측 지점에 부착하고, 내판(10) 및 외판(20) 정착부(91)의 정착이 완료된 연후에 결속핀(38)을 제거하여 균열 변동에 따른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 균열 게이지가 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균열 게이지를 단순히 측정 수단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균열 게이지 자체에 기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균열의 진행 상황 및 경시적 변화를 일층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판(10)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장판(15)이 형성되고, 확장판(15)과 외판(20)간 중첩부위의 외판(20)에는 균열 게이지 종방향의 장공 형태로 절개된 기록창(25)이 형성되며, 기록창(25)에는 내측으로 예리하게 돌출된 돌출부(27)가 형성되는 구성을 가진다.
도 5에서와 같이, 확장판(15)은 내판(10)의 정착부(91) 타측 선단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되는 판체로서, 확장판(15)의 표면에는 기록척(95)이 표시되며, 기록창(25)은 외판(20)의 확장판(15) 중첩부가 절개되어 확장판(15) 표면의 기록척(95) 표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점검원이 기록창(25)을 통하여 노출된 부위의 확장판(15) 표면에 필기구로 측정 지점 및 일자 등을 표기할 수 있는데, 특히 기록창(25)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7)를 활용하여 당 시점(時點)에서의 내판(10)과 외판(20)간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기록창(25)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7)에 필기구를 밀착하여 선분을 표시하는 등의 방식으로 당 시점에서의 내판(10)과 외판(20)간 상대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인데, 이로써 단순히 점검원의 감각에 의존한 표시에 비하여 일층 정확한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기록창(25)의 여유 공간에는 점검 일자 등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수의 기록창(25)을 배치함으로써, 주기적인 반복 점검 상황에서도 매 점검시의 결과를 각기 다른 기록창(25)을 활용하여 여유있게 표기할 수 있다.
특히, 도 7에서와 같이, 확장판(15)과 착탈 가능한 교체판(18)을 적용함으로써, 점검 반복 회수에 관계 없이 다수의 점검 기록을 확보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교체판(18)은 동 도면에서와 같이, 확장판(15)에 결합요부(17)를 요입 형성하고, 이 결합요부(17)와 동일한 형상의 교체판(18)을 결합 또는 분리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10 : 내판
15 : 확장판
17 : 결합요부
18 : 교체판
20 : 외판
25 : 기록창
27 : 돌출부
37 : 핀공
38 : 결속핀
40 : 주척
41 : 고정축
42 : 활동장공
50 : 부척
91 : 정착부
92 : 표척
93 : 지시선
95 : 기록척

Claims (2)

  1.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균열 폭이 변동됨에 따라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근접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균열 게이지로서, 내판(10)에는 균열 게이지와 평행한 판체인 주척(40)이 설치되되, 주척(40)의 일측 단부에는 주척(40)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의 활동장공(42)이 형성되어 내판(10)에 고정된 고정축(41)에 활동장공(42)이 결합되고, 외판(20)에는 상기 주척(40)측으로 돌출된 부척(50)이 형성되어, 주척(40)과 부척(50)이 평행을 이루며 밀착되는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장판(15)이 형성되고;
    확장판(15)과 외판(20)간 중첩부위의 외판(20)에는 균열 게이지 종방향의 장공 형태로 절개된 기록창(25)이 형성되어, 기록창(25)을 통하여 노출된 부위의 확장판(15) 표면에 필기구로 표기가 가능하며;
    기록창(25)에는 내측으로 예리하게 돌출된 돌출부(2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2. 삭제
KR1020210092275A 2021-07-14 2021-07-14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KR102419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75A KR102419839B1 (ko) 2021-07-14 2021-07-14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275A KR102419839B1 (ko) 2021-07-14 2021-07-14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839B1 true KR102419839B1 (ko) 2022-07-12

Family

ID=8241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275A KR102419839B1 (ko) 2021-07-14 2021-07-14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879B1 (ko) * 2022-08-29 2023-04-20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474U (ko) * 1990-03-26 1991-12-12
KR19990057154A (ko) * 1997-12-29 1999-07-15 이계철 건축물의 안전점검용 균열폭 감시자
KR200272180Y1 (ko) * 2002-01-18 2002-04-17 김각경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확인자
KR101950366B1 (ko) * 2018-09-18 2019-02-20 유명희 안전 진단을 위한 구조물 균열 변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230168B1 (ko) * 2020-10-21 2021-03-18 김보현 정밀 측정형 균열 게이지
KR102230165B1 (ko) * 2020-10-21 2021-03-18 김보현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474U (ko) * 1990-03-26 1991-12-12
KR19990057154A (ko) * 1997-12-29 1999-07-15 이계철 건축물의 안전점검용 균열폭 감시자
KR200272180Y1 (ko) * 2002-01-18 2002-04-17 김각경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진행 확인자
KR101950366B1 (ko) * 2018-09-18 2019-02-20 유명희 안전 진단을 위한 구조물 균열 변위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230168B1 (ko) * 2020-10-21 2021-03-18 김보현 정밀 측정형 균열 게이지
KR102230165B1 (ko) * 2020-10-21 2021-03-18 김보현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21474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879B1 (ko) * 2022-08-29 2023-04-20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구조물 촬영용 거리 조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839B1 (ko)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KR102230168B1 (ko) 정밀 측정형 균열 게이지
KR102419837B1 (ko) 정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CN110849527A (zh) 针对混凝土支撑轴力的实时检测方法
CN212779065U (zh) 螺栓球上杆件垂直度检测装置
KR102419838B1 (ko) 미세 계측형 균열 게이지
JP2894825B2 (ja) キー溝測定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114812327B (zh) 一种测量混凝土构件表面不规则破坏面最深度的量尺
CN207113777U (zh) 一种镜片外径测量治具
CN103134453B (zh) 一种螺纹综合作用尺寸测量仪测头标定方法
US4571838A (en) Direct readout centerline measuring device and process
CN205748238U (zh) 一种建筑工程垂直度检测尺检定装置
KR102358123B1 (ko)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
KR20240017734A (ko) 계측치 확대형 균열 게이지
KR20240025857A (ko) 직교 설치식 균열폭 변동 측정용 기록형 세밀 계측 균열 게이지
KR20240025855A (ko) 직교 설치식 균열폭 변동 측정용 기록형 정밀 계측 균열 게이지
KR20240017735A (ko) 계측치 확장형 균열 게이지
KR102556935B1 (ko) 측정치 확장형 균열게이지
KR102365210B1 (ko) 미세 검측형 균열게이지
KR20240068535A (ko)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
KR20240079209A (ko)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
KR20240068534A (ko) 정밀 계측형 크랙게이지
KR20240076853A (ko) 정밀 계측형 크랙게이지
CN111895950A (zh) 一种检测混凝土构件中钢筋直径的方法
CN214095792U (zh) 用于测量螺纹中径的卡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