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123B1 -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 - Google Patents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8123B1 KR102358123B1 KR1020210031604A KR20210031604A KR102358123B1 KR 102358123 B1 KR102358123 B1 KR 102358123B1 KR 1020210031604 A KR1020210031604 A KR 1020210031604A KR 20210031604 A KR20210031604 A KR 20210031604A KR 102358123 B1 KR102358123 B1 KR 1023581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rack
- active
- inner plate
- out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검측하는 균열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내판(10)과 외판(20)이 중첩 구성되는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 표면에 한쌍의 유도벽(12)을 형성하고 이들 유도벽(12)에 결합되어 활동되는 활동판(40)을 구성하되, 일단이 힌지 연결된 한쌍의 회동판(51)의 타단을 각각 활동판(40) 및 내판(10)에 연결하여, 내판(10)과 외판(20)이 상호 이격됨에 따라 회동판(51)이 회전되면서 활동판(40)이 이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균열 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균열 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검측하는 균열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내판(10)과 외판(20)이 중첩 구성되는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 표면에 한쌍의 유도벽(12)을 형성하고 이들 유도벽(12)에 결합되어 활동되는 활동판(40)을 구성하되, 일단이 힌지 연결된 한쌍의 회동판(51)의 타단을 각각 활동판(40) 및 내판(10)에 연결하여, 내판(10)과 외판(20)이 상호 이격됨에 따라 회동판(51)이 회전되면서 활동판(40)이 이동되는 것이다.
균열은 콘크리트 구조물 건전성 판단에 있어서의 핵심 지표로서, 균열의 규모, 위치 및 진행 양태를 검측함으로써,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및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균열 상태의 경시적(經時的) 변화는 구조물의 장단기 안전성을 진단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인 바, 대부분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균열 발생 지점에 대한 주기적인 검측이 수행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에 대한 주기적인 검측은 균열 발생 부위에 균열 게이지를 부착하고 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러한 균열 게이지는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측정 기구로서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2083255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2083255호를 비롯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도 1에서와 같이,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표척(92)이 표시된 내판(10)과 지시선(93)이 표시된 투명 소재의 외판(20)으로 구성되며, 이들 내판(10)과 외판(20) 각각의 후단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되어 이들 정착부(91)가 검측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접착제 등을 통하여 부착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 지점 양측 표면에 균열 게이지를 부착하는 것으로, 선상(線狀) 균열에 직교하는 일측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지점의 구조물 표면에 내판(10)의 정착부(91)를 부착하고, 선상 균열에 직교하는 타측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지점의 구조물 표면에는 외판(20)의 정착부(91)를 부착하되, 내판(10) 전단부(前端部)의 표척(92) 표시 부위와 외판(20) 전단부의 지시선(93) 표시 부위가 상호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내판(10)의 표척(92) 표시 부위 표면에 충첩된 외판(20)의 지시선(93)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균열폭의 경시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의 확대 속도 및 허용치 도달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진행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균열 폭의 확대 상황을 확인하는 작업을 전적으로 점검원의 육안(肉眼)에 의존하는 한계를 가진다.
즉,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내판(10)과 외판(20) 중첩부에서, 내판(10)에 표시된 표척(92) 표면에서의 투명 외판(20)에 표시된 지시선(93)의 위치를 육안으로 판독하는 방식으로 균열의 변동을 검측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은 그 변동폭이 극히 미미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점검원이 균열의 미미한 변동을 원거리에서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균열 게이지에 근접하여 세밀하게 관찰하거나 확대경 등의 보조 수단을 활용하여야 실질적인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점검원의 근접 관찰이 전제된 상황에서만 정상적인 운용이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우선, 종래의 균열 게이지에서는 표척(92)상의 지시선(93) 위치를 점검원이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바, 균열 변동폭 측청 수치를 독취(讀取)함에 있어서 그 정확성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변동량이 미미할 경우 측정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점검원이 균열 게이지에 근접한 상태에서 확대경 등을 통하여 표척(92)상 지시선(93)의 위치를 육안으로 판독하는 것인 바, 극히 미세하게 진행되는 균열의 변동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측정 과정 전반에 확대경 등 보조 기구를 동원한 세밀한 관찰이 요구되는 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대규모 구조물의 경우 다수의 균열 발생 지점 각각에 별도의 균열 게이지가 설치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단일 균열이라 하여도 균열 진행 양태의 정확한 파악을 위하여 균열 선상의 다수의 지점에 별도의 균열 게이지가 설치되는 바, 각각의 균열 게이지를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에서 장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고, 이는 작업 효율의 저하 및 점검 비용의 증대로 직결된다.
또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점검원의 근접 관찰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바, 점검원의 자유로운 접근이 제한될 수 있는 고소(高所) 구조물, 구조물의 협소 공간내 심부(深部) 또는 수상 구조물 등에서는 점검 작업에 상당한 애로점과 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균열 폭이 변동됨에 따라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근접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에는 균열 게이지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유도벽(12)이 형성되고, 유도벽(12) 사이에는 활동판(40)이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힌지 연결된 한쌍의 회동판(51)이 내판(10)과 활동판(40) 사이에 설치되되, 일측 회동판(51)의 타단은 내판(10)에 연결된 고정축(18)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회동판(51)의 타단은 활동판(40)에 연결된 활동축(48)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활동축(48)과 고정축(18)에는 탄력링(80)이 결합되어 활동축(48)과 고정축(18)을 상호 근접시키는 수축 탄력이 상시 작용하고, 회동판(51)간 힌지 연결 부위는 외판(20) 선단과 접하여, 내판(10)과 외판(20)이 상호 이격됨에 따라 회동판(51)이 회전되면서 활동판(40)이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활동판(40) 배후의 내판(10) 표면에는 반사층(15)이 형성되어, 내판(10)과 외판(20)의 상호 이격에 따라 활동판(40)이 이동되면, 반사층(15)이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균열 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종래 균열 게이지에서는 육안으로 판독이 어려운 미세한 균열 변동도 별도의 장비 없이 판독이 가능한 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의 진행 및 그에 따른 위험도를 조기에 검측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성능 저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구조물의 심각한 파손 또는 붕괴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균열의 일정 수준 이상 진행 여부를 균열 게이지에 대한 근접 관찰 없이도 원거리에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 점검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고소 구조물 또는 수상 구조물 등 점검원의 근접이 곤란한 지점에 대한 일상 점검을 원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점검 작업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검 수행중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균열 게이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방식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반사형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방식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반사형 실시예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균열 게이지이며, 선단부에는 표척(92)이 표시되고 후단부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된 내판(10)과, 선단부에는 지시선(93)이 표시되고 역시 후단부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된 외판(20)으로 구성되어, 이들 내판(10)의 표척(92)과 외판(20)의 지시선(93)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균열 게이지가 균열을 횡단하도록 균열 발생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부착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을 비롯한 균열 게이지의 설치는 균열 게이지와 균열이 가급적 상호 직교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균열 변동의 기민하고 정확한 검측에 있어서 유리한데, 여기서 상호 횡단이란 길이 방향이자 가동 방향인 균열 게이지의 종방향과 선상(線狀) 균열의 방향이 상호 직교하여, 결국 균열선이 균열 게이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내판(10)과 외판(20)의 균열 발생 콘크리트 구조물 부착은 내판(10) 후단부에 형성된 정착부(91)와 외판(20) 후단부에 형성된 정착부(91)를 각각 균열선을 기준으로 균열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측 지점 및 타측 지점에 콘크리트용 접착제 또는 나사 등의 결합 금구를 활용하여 결속함으로써 수행되며, 따라서 피검체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부위에 대한 본 발명 균열 게이지의 설치시 내판(10) 및 외판(20)은 각각의 선단부 일부가 중첩된 상태로 선상의 균열을 직교 또는 직교에 근사한 방향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부착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균열 폭이 변동됨에 따라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근접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균열 게이지로서,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내판(10)에는 균열 게이지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유도벽(12)이 형성되고, 유도벽(12) 사이에는 활동판(40)이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힌지 연결된 한쌍의 회동판(51)이 내판(10)과 활동판(40) 사이에 설치되되, 일측 회동판(51)의 타단은 내판(10)에 연결된 고정축(18)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회동판(51)의 타단은 활동판(40)에 연결된 활동축(48)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활동축(48)과 고정축(18)에는 탄력링(80)이 결합되어 활동축(48)과 고정축(18)을 상호 근접시키는 수축 탄력이 상시 작용하고,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회동판(51)간 힌지 연결 부위는 외판(20) 선단과 접하여, 내판(10)과 외판(20)이 상호 이격됨에 따라 회동판(51)이 회전되면서 활동판(40)이 이동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내판(10)의 전방 표면에는 한쌍의 유도벽(12)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며, 이들 한쌍의 유도벽(12) 사이에는 유도벽(12) 내측 벽면간 거리와 폭이 일치하는 활동판(40)이 유도벽(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내판(10)에 형성되는 유도벽(12) 및 활동판(40)은 모두 균열과 평행하거나 평행에 근사한 방향인 균열 게이지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내판(10)과 외판(20)간 상대 이동에 따른 회동판(51)의 회동시, 내판(10) 및 외판(20)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도면상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내판(10)과 활동판(40) 사이에는 한쌍의 회동판(51)이 링크를 구성하면서 설치되는데, 이들 한쌍의 회동판(51)은 각 회동판(51)의 일단이 힌지(hinge) 연결되고, 각 회동판(51)의 타단들은 내판(10) 또는 활동판(4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일측 회동판(51)의 회동판(51)간 연결부 타단은 고정축(18)을 통하여 내판(10)과 연결되고, 타측 회동판(51)의 회동판(51)간 연결부 타단은 활동축(48)을 통하여 활동판(40)과 연결된다.
즉,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한쌍의 회동판(51)의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각각의 회동판(51)이 도면상 힌지 연결점을 지나는 수평선을 축으로 대칭을 이루면서 경사 돌출되며, 도면상 하측 회동판(51)의 하단은 고정축(18)을 통하여 내판(10)과 연결되고, 도면상 상측 회동판(51)의 상단은 활동축(48)을 통하여 활동판(4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회동판(51)간 힌지 연결 부위는 표척(92)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고정축(18)은 그 위치가 내판(10)에 고정된 축이고, 활동축(48)은 그 활동판(40)상 위치가 활동판(40)에 고정된 축이나, 이들 고정축(18) 또는 활동축(48)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동판(51)의 자유로운 회전 운동은 보장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18) 및 활동축(48)은 전방측으로 돌출되고, 이들 고정축(18) 돌출부 및 활동축(48) 돌출부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고정축(18) 및 활동축(48)을 포위하는 탄력링(80)이 결합되어, 고정축(18)과 활동축(48)을 상호 근접시켜 회동판(51)간 힌지 연결 부위를 표척(92)측인 외판(20)측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활동판(40)을 도면상 하강 이동시키는 수축 탄력이 상시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탄력링(80)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수축 탄력이 상시 작용하는 환체로서,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신축성 소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이 상호 이격됨에 따라 외판(20)의 내판(10)측 선단이 균열 게이지의 종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회동판(51)간 힌지 연결부위와 외판(20) 선단간 접점이 이동함에 따라, 회동판(51)이 회전되고 활동판(40)이 도면상 수직 하강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탄력링(80)의 수축 탄력에 의하여 회동판(51)의 회전 및 활동판(40)의 이동이 상시 강제되나, 이를 외판(20)의 선단이 회동판(51)간 연결부를 압박하여 억지하는 상태에서, 외판(20)이 이동함에 따라 억지 상태가 해제되어 회동판(51) 회전 및 활동판(40) 이동이 허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동판(51)의 링크 운동을 통하여, 외판(20)의 이동 거리에 비하여 활동판(40)의 이동 거리가 비약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도면상 외판(20)의 우측 이동이 회동판(51) 한쌍의 역방향 회전 링크 운동을 유발하고, 이는 다시 활동판(40)의 수직 하강 운동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외판(20)의 수평 축방향 이동 거리(d)로 인하여 야기되는 활동판(40)의 수직 하강 거리(L)를 비약적으로 확대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 폭의 미세한 확대를 정밀 계측 기기 없이도 육안만으로 즉각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판(40)의 증폭 이동은 전술한 탄력링(80)의 수축 탄력을 그 구동력으로 활용하게 되는 바, 활동판(40)의 자중(自重) 방향과 무관한 설치가 가능하여, 균열의 방향과 관계 없이 본 발명 균열 게이지의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하며,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일측 유도벽(12)의 표면에는 확대척(13)이 표시되어, 확대척(13) 측면상의 활동판(40) 경계부 등을 확인함으로써 활동판(40)의 이동 거리를 수치로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활동판(40)에는 탄력링(80)의 수축 탄력이 상시 작용하게 되는 바, 균열 게이지의 최초 설치시 내판(10)과 외판(20)의 정착부(91)를 피검체에 접착하는 작업 과정에서 외판(20)이 이탈되거나 초기 위치가 왜곡될 수 있으므로, 도 2에서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의 중첩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내판(10)과 외판(20) 각각에 핀공(37)을 천공하고, 핀공(37)의 내경과 일치하는 직경을 가지는 결속핀(38)이 외판(20)의 핀공(37)을 관통하여 내판(10)의 핀공(37)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내판(10)과 외판(20)을 일시 고정할 수 있다.
이렇듯, 일단 결속핀(38)을 외판(20) 핀공(37) 및 내판(10) 핀공(37)에 결합하여 내판(10) 및 외판(20)의 이동을 억제한 상태에서, 내판(10) 및 외판(20)의 정착부(91)를 검측 지점에 부착하고, 내판(10) 및 외판(20) 정착부(91)의 정착이 완료된 연후에 결속핀(38)을 제거하여 균열 변동에 따른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 균열 게이지가 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활동판(40) 활동 구조는 이동 거리의 증폭 효과 뿐 아니라, 실제 물리적으로 이동하는 실물 부품을 도입함으로써, 표척(92)상 지시선(93)의 위치를 판독하는 세밀한 작업 없이도, 균열의 변동에 따른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실제 안전진단 등의 업무에서 균열 게이지를 활용하는 점검원의 입장에서, 종래의 균열 게이지는 내판(10)의 표척(92) 상부에서 이동하는 외판(20)의 지시선(93)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판독한 연후에야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및 균열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실제 이동체인 활동판(40)의 최초 설치시 대비 이동 여부만을 확인함으로써 균열의 변동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6에서와 같이, 활동판(40) 배후의 내판(10) 표면에 반사층(15)을 형성하여, 내판(10)과 외판(20)의 상호 이격에 따라 활동판(40)이 이동되면, 반사층(15)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시각적 즉각 확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반사층(15)은 반사필름 또는 형광필름 등 가시광선 반사 효과 및 휘도가 우수한 층상 소재로 제작되며, 평상시에는 활동판(40)에 의하여 은폐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균열 폭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대되어 활동판(40)이 기준 이상으로 이동하면, 비로소 반사층(15)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점검원이 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반사층(15) 적용 실시예는 채광이 양호한 노천 환경에서의 균열 게이지 시인성을 제고함은 물론, 점검원이 손전등 등의 광원을 활용하여 반사광을 확인하는 방식의 점검이 가능하여, 터널 또는 지하 공간 등 채광이 불량한 조건이나, 심지어 야간에도 상당 거리 이격된 원격지에서 검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0 : 내판
12 : 유도벽
13 : 확대척
15 : 반사층
18 : 고정축
20 : 외판
37 : 핀공
38 : 결속핀
40 : 활동판
48 : 활동축
51 : 회동판
80 : 탄력링
91 : 정착부
92 : 표척
93 : 지시선
12 : 유도벽
13 : 확대척
15 : 반사층
18 : 고정축
20 : 외판
37 : 핀공
38 : 결속핀
40 : 활동판
48 : 활동축
51 : 회동판
80 : 탄력링
91 : 정착부
92 : 표척
93 : 지시선
Claims (2)
-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균열 폭이 변동됨에 따라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근접된 상태에서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균열 게이지로서 내판(10)과 외판(20)의 상대 이동 거리를 증폭하는 활동판(40)이 설치되는 균열 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에는 균열 게이지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한쌍의 유도벽(12)이 형성되고, 유도벽(12) 사이에는 활동판(40)이 자유롭게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이 힌지 연결된 한쌍의 회동판(51)이 내판(10)과 활동판(40) 사이에 링크를 구성하면서 설치되되, 일측 회동판(51)의 타단은 내판(10)에 연결된 고정축(18)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 회동판(51)의 타단은 활동판(40)에 연결된 활동축(48)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활동축(48)과 고정축(18)에는 탄력링(80)이 결합되어 활동축(48)과 고정축(18)을 상호 근접시키는 수축 탄력이 상시 작용하고, 회동판(51)간 힌지 연결 부위는 외판(20) 선단과 접하여, 내판(10)과 외판(20)이 상호 이격됨에 따라 회동판(51)간 힌지 연결 부위와 외판(20) 선단간 접점이 이동하고 그에 따라 회동판(51)이 회전되면서 활동판(40)이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604A KR102358123B1 (ko) | 2021-03-10 | 2021-03-10 |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604A KR102358123B1 (ko) | 2021-03-10 | 2021-03-10 |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8123B1 true KR102358123B1 (ko) | 2022-02-08 |
Family
ID=8025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1604A KR102358123B1 (ko) | 2021-03-10 | 2021-03-10 |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812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501B1 (ko) * | 2006-01-13 | 2006-06-30 |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 벽체 두께 측정용 안전진단장치 |
KR100860283B1 (ko) * | 2008-07-03 | 2008-09-26 |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
KR102083255B1 (ko) * | 2019-09-02 | 2020-03-02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균열 측정 게이지 |
KR102230165B1 (ko) * | 2020-10-21 | 2021-03-18 | 김보현 |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 |
-
2021
- 2021-03-10 KR KR1020210031604A patent/KR1023581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501B1 (ko) * | 2006-01-13 | 2006-06-30 |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 벽체 두께 측정용 안전진단장치 |
KR100860283B1 (ko) * | 2008-07-03 | 2008-09-26 | 주식회사 다린이앤씨 | 교량 강교박스 슬래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
KR102083255B1 (ko) * | 2019-09-02 | 2020-03-02 | 주식회사 정진이앤씨 | 균열 측정 게이지 |
KR102230165B1 (ko) * | 2020-10-21 | 2021-03-18 | 김보현 |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0165B1 (ko) | 미세 측정형 균열 게이지 | |
KR102230168B1 (ko) | 정밀 측정형 균열 게이지 | |
CN108593009B (zh) | 一种变形缝或裂缝的三向位移与新生裂缝识别的测量装置 | |
KR102358123B1 (ko) |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 | |
KR102419837B1 (ko) | 정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 |
KR102365210B1 (ko) | 미세 검측형 균열게이지 | |
KR102419839B1 (ko) |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 |
KR102267076B1 (ko) | 다중 슬릿 표시형 균열 게이지 | |
KR100430106B1 (ko) | 버니어식 균열진행측정기 | |
CN102607431A (zh) | 一种高精度连续裂缝宽度扫描仪 | |
KR102419838B1 (ko) | 미세 계측형 균열 게이지 | |
RU2402747C1 (ru) | Датчик измерения перемещений при жизнедеятельности трещины | |
KR20240017734A (ko) | 계측치 확대형 균열 게이지 | |
KR20240017735A (ko) | 계측치 확장형 균열 게이지 | |
KR102556935B1 (ko) | 측정치 확장형 균열게이지 | |
KR20240068534A (ko) | 정밀 계측형 크랙게이지 | |
KR20240025855A (ko) | 직교 설치식 균열폭 변동 측정용 기록형 정밀 계측 균열 게이지 | |
KR20240025857A (ko) | 직교 설치식 균열폭 변동 측정용 기록형 세밀 계측 균열 게이지 | |
KR20240068535A (ko) |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 | |
CN221099557U (zh) | 一种墩柱钢筋保护层厚度精测卡具装置 | |
KR20240030984A (ko) | 측정치 확대형 균열 게이지 | |
KR20240030983A (ko) | 측정치 증폭형 균열 게이지 | |
KR20240030211A (ko) | 계측치 확대형 기록식 균열 게이지 | |
CN216132983U (zh) | 一种多功能桥梁检测装置 | |
KR20240030981A (ko) | 계측치 증폭형 균열 게이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