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8535A -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 - Google Patents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8535A
KR20240068535A KR1020230123543A KR20230123543A KR20240068535A KR 20240068535 A KR20240068535 A KR 20240068535A KR 1020230123543 A KR1020230123543 A KR 1020230123543A KR 20230123543 A KR20230123543 A KR 20230123543A KR 20240068535 A KR20240068535 A KR 2024006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rack
reciprocating
gaug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정
Original Assignee
(사)한국건설안전협회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한국건설안전협회 filed Critical (사)한국건설안전협회
Publication of KR2024006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8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계측하는 크랙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내판(10)과 외판(20)이 중첩되는 크랙게이지에 있어서, 경사 판체인 상부장판(31), 하부장판(32), 상부단판(41) 및 하부단판(42)을 힌지로 복합 연결하고, 외판(20)의 하부에 형성된 왕복홈(25)에는 왕복척(50)을 결합하며, 상부장판(31)과 하부장판(32)을 각각 외판(20) 선단부 및 왕복척(50)에 연결함으로써, 균열폭의 변동치가 증폭되어 표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크랙게이지의 계측 정도(精度) 및 사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크랙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MINI METRIC CRACK GAUG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계측하는 크랙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내판(10)과 외판(20)이 중첩되는 크랙게이지에 있어서, 경사 판체인 상부장판(31), 하부장판(32), 상부단판(41) 및 하부단판(42)을 힌지로 복합 연결하고, 외판(20)의 하부에 형성된 왕복홈(25)에는 왕복척(50)을 결합하며, 상부장판(31)과 하부장판(32)을 각각 외판(20) 선단부 및 왕복척(50)에 연결함으로써, 균열폭의 변동치가 증폭되어 표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균열은 콘크리트 구조물 건전성 판단에 있어서의 핵심 지표로서, 균열의 규모, 위치 및 진행 양태를 계측함으로써,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 및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균열 상태의 경시적(經時的) 변화는 구조물의 장단기 안전성을 진단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인 바, 대부분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균열 발생 지점에 대한 주기적인 계측이 수행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에 대한 주기적인 계측은 균열 발생 부위에 크랙게이지를 부착하고 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러한 크랙게이지는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측정 기구로서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2083255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2083255호를 비롯한 종래의 크랙게이지는 도 1에서와 같이,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표척(92)이 표시된 내판(10)과 십자선(93)이 표시된 투명 소재의 외판(20)으로 구성되며, 이들 내판(10)과 외판(20) 각각의 후단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되어 이들 정착부(91)가 계측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접착제 등을 통하여 부착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 지점 양측 표면에 크랙게이지를 부착하는 것으로, 선상(線狀) 균열에 직교하는 일측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지점의 구조물 표면에 내판(10)의 정착부(91)를 부착하고, 선상 균열에 직교하는 타측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지점의 구조물 표면에는 외판(20)의 정착부(91)를 부착하되, 내판(10) 전단부(前端部)의 표척(92) 표시 부위와 외판(20) 전단부의 십자선(93) 표시 부위가 상호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내판(10)의 표척(92) 표시 부위 표면에 충첩된 외판(20)의 십자선(93)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균열 폭의 경시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써 균열의 확대 속도 및 허용치 도달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크랙게이지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진행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균열 폭의 확대 상황을 확인하는 작업을 전적으로 점검원의 육안(肉眼)에 의존하는 한계를 가진다.
즉, 종래의 크랙게이지는 내판(10)과 외판(20) 중첩부에서, 내판(10)에 표시된 표척(92) 표면에서의 투명 외판(20) 이면(裏面)에 표시된 십자선(93)의 위치를 육안으로 판독하는 방식으로 균열의 변동을 계측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은 그 변동폭이 극히 미미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점검원이 균열의 미미한 변동을 원거리에서 직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크랙게이지에 근접하여 세밀하게 관찰하거나 확대경 등의 보조 수단을 활용하여야 실질적인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크랙게이지는 점검원의 근접 관찰이 전제된 상황에서만 정상적인 운용이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우선, 종래의 크랙게이지에서는 표척(92)상의 십자선(93) 위치를 점검원이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바, 균열 변동폭 측청 수치를 독취(讀取)함에 있어서 그 정확성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변동량이 미미할 경우 측정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크랙게이지는 점검원이 크랙게이지에 근접한 상태에서 확대경 등을 통하여 표척(92)상 십자선(93)의 위치를 육안으로 판독하는 것인 바, 극히 미세하게 진행되는 균열의 변동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측정 과정 전반에 확대경 등 보조 기구를 동원한 세밀한 관찰이 요구되는 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고도의 숙련도가 요구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대규모 구조물의 경우 다수의 균열 발생 지점 각각에 별도의 크랙게이지가 설치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단일 균열이라 하여도 균열 진행 양태의 정확한 파악을 위하여 균열 선상의 다수의 지점에 별도의 크랙게이지가 설치되는 바, 각각의 크랙게이지를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에서 장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고, 이는 작업 효율의 저하 및 점검 비용의 증대로 직결된다.
또한, 종래의 크랙게이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점검원의 근접 관찰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바, 점검원의 자유로운 접근이 제한될 수 있는 고소(高所) 구조물, 구조물의 협소 공간내 심부(深部) 또는 수상 구조물 등에서는 점검 작업에 상당한 애로점과 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확대경 등의 광학적 보조 수단 또는 전기, 전자적 감지 및 출력 장치 등의 구성 없이도, 크랙게이지의 계측치가 증폭되어 표출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균열폭 변동에 따라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크랙게이지에 있어서, 경사 판체인 상부장판(31)의 하단부와, 경사 판체인 하부장판(32)의 상단부가 상호 힌지 연결되고, 경사 판체인 상부단판(41)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장판(31)의 중앙에 힌지 연결되며, 경사 판체인 하부단판(42)의 상단부가 상기 하부장판(32)의 중앙에 힌지 연결되고, 상부단판(41)의 상단부 및 하부단판(42)의 하단부는 내판(10)과 힌지 연결되며, 외판(20)의 하부에는 왕복홈(25)이 절개 형성되고, 왕복홈(25)에는 왕복척(50)이 결합되며, 상부장판(31)의 상단부는 외판(20)과 힌지 연결되고, 하부장판(32)의 하단부는 왕복척(50)과 힌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판(10)에는 자착판(16)이 부착되고, 왕복홈(25)의 말단부에는 상측으로 확대된 확대홈(26)이 절개 형성되어 자착판(16)이 외부로 노출되며, 왕복척(50)의 말단부에는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57)가 형성되고, 절곡부(57) 양측의 자착판(16) 표면에는 각각 자착편(60)이 자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크랙게이지의 계측 정도(精度) 및 사용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크랙게이지가 부착된 구조물 균열 부위의 변동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 균열 점검을 비롯한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진단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및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종래 크랙게이지에서는 육안으로 판독이 어려운 미세한 균열 변동도 별도의 장비 없이 판독이 가능한 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의 진행 및 그에 따른 위험도를 조기에 계측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성능 저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구조물의 심각한 파손 또는 붕괴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균열의 일정 수준 이상 진행 여부를 크랙게이지에 대한 근접 관찰 없이도 원거리에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 점검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고소 구조물 또는 수상 구조물 등 점검원의 근접이 곤란한 지점에 대한 일상 점검을 원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점검 작업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검 수행중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계측치의 증폭 표출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별도의 동력 공급 또는 인위적 제어 없이도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는 작동 구조를 달성하였으며, 특히 다수의 판체간 연결 및 가동형 구조를 구축하면서도 작동 판체의 상호 활동(sliding), 신축 또는 요동 운동이 일체 수반되지 않고, 전체 작동 판체 구성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힌지(hinge)만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일체의 유격(裕隔)을 조성하지 않고도 원활하고 정밀한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전체 작동 판체가 힌지 연결됨에 따라 작동 판체에 대한 불필요한 압축 또는 휨 응력이 과도하게 조성되지 않으며, 이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품의 변형 내지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부품의 변형 또는 파손으로 인한 측정 오차를 획기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계측치의 증폭 표출, 작동 부품의 정밀도 및 내구성 제고 효과를 도모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판상 크랙게이지 구성에 대한 대대적인 신설 내지 교체, 또는 복잡한 작동 부품의 장착 없이도, 극히 간소한 개조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크랙게이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방식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착형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도 5 실시예의 사용 방식 설명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先端部)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균열폭 변동에 따라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크랙게이지이다.
도 2에서와 같이, 판상 크랙게이지인 본 발명은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인 내판(10)과 외판(20)이 그 종방향 중심축이 상호 일치하도록 중첩되고, 종방향 중심축과 균열선이 가급적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균열선이 내판(10)과 외판(20)간 중첩부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따라서 균열 폭이 증감함에 따라 내판(10) 또는 외판(20)은 종방향 또는 종방향에 근사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호 중첩되는 한쌍의 판체로 구성되는 크랙게이지로서, 선단부 표면에는 표척(92)이 표시되고 후단부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된 내판(10)과, 선단부 이면에는 십자선(93)이 표시되고 역시 후단부에는 정착부(91)가 형성된 투명 소재의 외판(20)으로 구성되어, 이들 내판(10)의 표척(92)과 외판(20)의 십자선(93)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크랙게이지가 균열을 횡단하도록 균열 발생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기본 구성인 내판(10)과 외판(20) 외에도, 상부장판(31), 하부장판(32), 상부단판(41), 하부단판(42) 및 왕복척(50)이 장착되어 균열폭의 변동치를 실제 거리에 비하여 증폭된 왕복척(50)의 이동 거리로서 표출하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단부는 외판(20)의 정착부(91)측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내판(10)의 정착부(91)측에 위치하는 경사 판체인 상부장판(31)의 하단부와, 상단부는 내판(10)의 정착부(91)측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외판(20)의 정착부(91)측에 위치하는 경사 판체인 하부장판(32)의 상단부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상호 힌지 연결된다.
또한, 상단부는 내판(10)의 정착부(91)측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외판(20)의 정착부(91)측에 위치하는 경사 판체인 상부단판(41)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장판(31)의 중앙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며, 상단부는 외판(20)의 정착부(91)측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내판(10)의 정착부(91)측에 위치하는 경사 판체인 하부단판(42)의 상단부가 상기 하부장판(32)의 중앙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힌지 연결은 연결 지점에 단일 회전축이 형성되어 그 회전축을 축으로 양측 부재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서, 이러한 힌지 연결점에 있어서 회전축 및 회전판체간 유격이 부여될 필요는 없으며, 축공과 축 외주면이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에서도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장판(31) 및 하부장판(32)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상부단판(41) 및 하부단판(42)에 비하여 길이가 긴 판체이며, 상부장판(31)과 하부장판(32)은 그 길이가 동일한 판체로서, 상부장판(31)의 상단 힌지축에서 하단 힌지축까지 거리와 하부장판(32)의 상단 힌지축에서 하단 힌지축까지 거리는 일치하고, 상부단판(41)과 하부단판(42) 역시 그 길이가 동일한 판체로서, 상부단판(41)의 상단 힌지축에서 하단 힌지축까지 거리와 하부단판(42)의 상단 힌지축에서 하단 힌지축까지 거리도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부장판(31) 및 하부장판(32)은 그 양단 축간 거리가 상부단판(41) 및 하부단판(42)의 양단 축간 거리의 2배인 판체로서, 상부장판(31) 및 하부장판(32)의 상단 힌지축과 하단 힌지축간 거리는 상부단판(41) 및 하부단판(42)의 상단 힌지축과 하단 힌지축간 거리의 2배가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4개 작동 판체 즉, 상부장판(31), 하부장판(32), 상부단판(41) 및 하부단판(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내판(10) 또는 외판(20)과도 힌지 연결되는데,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부단판(41)의 상단부 및 하부단판(42)의 하단부는 각각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되 그 회전축의 내판(10)상 위치는 고정되도록 내판(10)과 힌지 연결되어, 내판(10)상 상부단판(41) 상단부 힌지축 위치 및 내판(10)상 하부단판(42) 하단부 힌지축 위치는 고정된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외판(20)의 하부에는 외판(20)의 중심축과 평행한 왕복홈(25)이 종방향으로 절개 형성되고, 왕복홈(25)에는 왕복홈(25)의 내부 폭과 일치하는 횡단 폭의 왕복척(50)이 결합되는데, 도면상 예시된 바와 같이, 왕복척(50)에는 눈금이 표시되고 왕복홈(25) 주변에는 화살표 등의 지시자가 표시되어, 왕복홈(25)에서의 왕복척(50) 위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장판(31)의 상단부는 외판(20)의 내판(10) 정착부(91)측 단부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하부장판(32)의 하단부는 왕복척(50)의 내판(10) 정착부(91)측 단부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는데, 도면상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장판(31)과 연결되는 외판(20) 말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부장판(31)과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연결 및 회전 작동을 도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부장판(31), 하부장판(32), 상부단판(41) 및 하부단판(42)의 다중 힌지 연결 구조와, 왕복홈(25)에 결합되어 크랙게이지의 종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왕복척(50)을 통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실제 균열폭의 변동치(d)를 월등하게 상회하는 왕복척(50)의 상대 이동 표출치(D)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균열폭이 증가하여 실제 변동치(d)가 형성되면, 내판(10)과 외판(20)이 종방향으로 상기 실제 변동치(d)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며, 그에 따라 외판(20)이 상부장판(31)의 상단을 도면상 우측인 외판(20)의 정착부(91)측으로 이동시키면, 상부장판(31)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부단판(4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하부장판(32)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하부단판(4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결국 왕복척(50)이 내판(10)의 정착부(91)측으로 왕복홈(25)으로부터 인발되고, 그에 따라 왕복척(50)과 외판(20)간 상대 이동 거리가 확대되어 실제 균열폭 변동치(d)에 비하여 확대된 표출치(D)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장판(31), 하부장판(32), 상부단판(41) 및 하부단판(42)의 독특한 복합 힌지 연결 구조를 통하여, 상부장판(31) 상단부의 이동이 하부장판(32) 하단부에서는 반대 방향의 이동으로 전환되는 바, 외판(20)의 왕복홈(25)에 결합된 왕복척(50)이 외판(20)이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외판(20)과 왕복척(50)간 상대 이동량은 일층 확대되어 나타나게 되고, 더욱이 전술한 상부장판(31) 내지 하부단판(42)의 복합 연결 구조를 통하여 별도의 유도 수단 없이도 상부장판(31) 상단부의 직선 이동이 하부장판(32) 하단의 평행한 역방향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있어서 상부장판(31), 하부장판(32), 상부단판(41) 및 하부단판(42)의 복합 힌지 연결 구조는 단순히 상부장판(31)의 이동을 하부장판(32)의 역방향 근사 이동으로 변환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장판(31)의 상단부가 크랙게이지의 종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 하부장판(32)의 운동을 구속 내지 유도하는 별도의 수단 없이도 하부장판(32)의 하단 역시 크랙게이지의 종방향으로 정밀하게 직선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각각의 힌지 회전축에 충분한 유격을 부여하는 등의 조치 없이도 상부장판(31) 내지 하부단판(42) 복합체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며, 왕복척(50)의 축방향 왕복 이동 역시 원활하고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왕복척(50) 이동은 균열폭 변동 거리 표시의 증폭 효과 뿐 아니라, 실제 물리적으로 이동하는 실물 부품을 도입함으로써, 단순 중첩 구조인 표척(92) 및 십자선(93)의 판독에 비하여 월등하게 편리하고 정밀한 측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균열의 변동에 따른 내판(10) 및 외판(20)의 상대 이동 여부에 대한 즉각적인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균열 계측의 정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균열의 일정 수준 이상 진행 여부를 크랙게이지에 대한 근접 관찰 없이도 원거리에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 점검 작업의 신속성 및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고소 구조물 또는 수상 구조물 등 점검원의 근접이 곤란한 지점에 대한 일상 점검을 원거리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점검 작업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검 수행중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특히, 전술한 본 발명의 균열폭 변동 증폭 표시 기능은 일체의 전기, 전자적 수단 없이 작동 가능한 것일 뿐 아니라, 통상의 판상 크랙게이지 구성에 대한 대대적인 변경 없이 간소한 개조만으로도 달성 가능한 것인 바, 제조상 편의성 및 경제성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자착판(16) 및 자착편(60) 등이 적용된 본 발명의 자착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균열폭 변동치의 즉각 표시 기능외에 기왕 발생된 균열폭 변동치에 대한 기록 기능을 부여한 것이며, 점검원의 부재시 발생된 최대 균열 변동치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사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비롯한 판체 중첩식 크랙게이지는 간소한 구성으로 비교적 정밀한 계측치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균열 폭의 증감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에 있어서 점검원의 확인 시점(時點)에 국한된 계측만이 가능한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즉, 구조물에 형성되는 균열은 그 폭이 상시 일정한 추세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균열 폭이 변동하는 특성을 가지며, 장기간 관찰을 통하여 추세적인 증가 또는 감소 여부를 파악함으로써, 역학적으로 유의(有意)한 계측 결과를 도출하게 되는데, 일단 피검체에 부착된 크랙게이지는 점검원이 상주하면서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관찰하게 되는 바, 만일 점검원 방문 이전에 균열 폭의 상당한 확대가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점검원 방문 직전 균열 폭이 축소되도록 피검체가 거동한다면, 실제 구조물의 거동과 이반된 계측이 수행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내판(10)과 외판(20)간 중첩부의 내판(10)에는 자착판(16)을 부착하고, 왕복홈(25)의 외판(20) 정착부(91)측 말단부에는 상측으로 확대된 확대홈(26)을 절개 형성하여, 상기 자착판(16)이 확대홈(26)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왕복척(50)의 외판(20) 정착부(91)측 말단부에는 상방으로 절곡 돌출된 절곡부(57)를 형성하여 절곡부(57)가 상기 확대홈(26)에 수용되도록 하고,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절곡부(57)의 양측의 자착판(16) 표면에는 각각 자착편(60)이 자착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자착판(16) 및 자착편(60)은 자력(磁力)에 의한 상호 부착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자착판(16) 및 자착편(60)의 소재로는 철제 및 자석이 적용될 수 있는데, 자착판(16)이 철판으로 구성될 경우 자착편(60)은 자석으로 구성되고, 자착판(16)이 자석판으로 구성될 경우 자착편(60)은 철제 편체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착형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왕복척(50)의 절곡부(57) 양 측면에 각각 별도의 자착편(60)이 밀착되도록, 2개의 자착편(60)이 자착판(16)에 부착되는데, 도 6의 타원내 확대부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왕복척(50)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절곡부(57)에 의하여 자착편(60) 역시 왕복척(50)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후 왕복척(50)이 역방향인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도 일단 이동된 자착편(60)은 그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즉, 균열폭 변동에 따른 내판(10)과 외판(20)간 상대 이동과정에서, 자착편(60)이 절곡부(57)에 의하여 추진됨에 따라, 자착편(60)의 자착판(16) 자착 자체는 유지되는 상황에서 그 위치만 이동하게 되며, 이후 균열폭 변동치가 복원되어 절곡부(57)가 원위치로 복귀되어도 자착편(60)의 자착판(16)상 자착 위치는 유지되는 바, 자착편(60)의 최종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균열폭의 기왕 최대 변동치를 사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절곡부(57)의 양측에 각각 별도의 자착편(60)을 부착함으로써 균열폭의 증가는 물론 감소측의 변동치도 기록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기왕 최대 균열 증감치의 기록은 일체의 전자 장비 또는 전원 공급 없이도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 크랙게이지 기본 구성에 대한 대대적인 개조 없이도 수행될 수 있는 바,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용이한 보급이 가능하다.
10 : 내판
16 : 자착판
20 : 외판
25 : 왕복홈
26 : 확대홈
31 : 상부장판
32 : 하부장판
41 : 상부단판
42 : 하부단판
50 : 왕복척
57 : 절곡부
60 : 자착편
91 : 정착부
92 : 표척
93 : 십자선

Claims (1)

  1. 구조물의 균열 부위 일측에 부착되는 내판(10)의 선단부 일부와, 균열 부위 타측에 부착되는 외판(20)의 선단부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내판(10) 표면에 외판(20) 이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균열폭 변동에 따라 내판(10)과 외판(20)이 균열 폭의 변동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중첩 부위가 변동되는 크랙게이지로서, 경사 판체인 상부장판(31)의 하단부와, 경사 판체인 하부장판(32)의 상단부가 상호 힌지 연결되고, 경사 판체인 상부단판(41)의 하단부가 상기 상부장판(31)의 중앙에 힌지 연결되며, 경사 판체인 하부단판(42)의 상단부가 상기 하부장판(32)의 중앙에 힌지 연결되고, 상부단판(41)의 상단부 및 하부단판(42)의 하단부는 내판(10)과 힌지 연결되며, 외판(20)의 하부에는 왕복홈(25)이 절개 형성되고, 왕복홈(25)에는 왕복척(50)이 결합되며, 상부장판(31)의 상단부는 외판(20)과 힌지 연결되고, 하부장판(32)의 하단부는 왕복척(50)과 힌지 연결되는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에 있어서,
    내판(10)에는 자착판(16)이 부착되고, 왕복홈(25)의 말단부에는 상측으로 확대된 확대홈(26)이 절개 형성되어 자착판(16)이 외부로 노출되며;
    왕복척(50)의 말단부에는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57)가 형성되고;
    절곡부(57) 양측의 자착판(16) 표면에는 각각 자착편(60)이 자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
KR1020230123543A 2023-09-16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 KR20240068535A (ko)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364A Division KR20240079209A (ko) 2022-11-10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8535A true KR20240068535A (ko) 2024-05-17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168B1 (ko) 정밀 측정형 균열 게이지
KR1020449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변위량 측정기
KR20240068535A (ko)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
KR20240079209A (ko) 미세 계측형 크랙게이지
KR20240068534A (ko) 정밀 계측형 크랙게이지
KR20240076853A (ko) 정밀 계측형 크랙게이지
KR102419839B1 (ko) 세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KR102419837B1 (ko) 정밀 계측형 균열 게이지
KR100430106B1 (ko) 버니어식 균열진행측정기
JP2006343260A (ja) 軌間線寸法測定具および軌間線寸法測定方法
KR20240025857A (ko) 직교 설치식 균열폭 변동 측정용 기록형 세밀 계측 균열 게이지
KR20240025855A (ko) 직교 설치식 균열폭 변동 측정용 기록형 정밀 계측 균열 게이지
Pieterse The application of optical fibre Bragg grating sensors to an internal wind tunnel balance
KR20240030214A (ko) 측정치 확대형 기록식 균열 게이지
KR20240017735A (ko) 계측치 확장형 균열 게이지
KR20240030982A (ko) 계측치 확대형 균열 게이지
KR20240030983A (ko) 측정치 증폭형 균열 게이지
KR20240017473A (ko) 계측치 확대형 균열 게이지
KR20240030981A (ko) 계측치 증폭형 균열 게이지
KR102358123B1 (ko) 정밀 검측형 균열게이지
KR102556935B1 (ko) 측정치 확장형 균열게이지
KR102419838B1 (ko) 미세 계측형 균열 게이지
KR102365210B1 (ko) 미세 검측형 균열게이지
RU2178049C2 (ru) Способ мониторинга трещин в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ях
KR20240013084A (ko) 최대치 기록형 균열 게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