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220B1 - 압축기 고정구조체 - Google Patents

압축기 고정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220B1
KR101876220B1 KR1020120028511A KR20120028511A KR101876220B1 KR 101876220 B1 KR101876220 B1 KR 101876220B1 KR 1020120028511 A KR1020120028511 A KR 1020120028511A KR 20120028511 A KR20120028511 A KR 20120028511A KR 101876220 B1 KR101876220 B1 KR 10187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rib
compressor
rib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737A (ko
Inventor
홍현진
박찬정
강상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8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220B1/ko
Priority to US14/382,925 priority patent/US9638437B2/en
Priority to CN201380015415.XA priority patent/CN104220817B/zh
Priority to PCT/KR2013/001957 priority patent/WO2013141512A1/en
Publication of KR2013010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damping or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2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압축기의 진동이 압축기가 설치된 제품 전체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 고정구조체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압축기 고정구조체는 복수개가 다각형 구조로 배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외곽에서 돌출형성된 지지부 방진리브;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 전체를 둘러싸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외측 방진리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압축기 고정구조체에 의하면, 제품에 설치된 압축기의 진동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압축기의 구동시 압축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고정구조체{MOUNTING STRUCTURE OF COMPRESSOR FOR DEHUMIDIFIER}
본 발명은 압축기 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진동이 압축기가 설치된 제품 전체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 고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습기는 공기를 이슬점이하로 냉각시켜 이때 발생되는 응축수 만큼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여 습도를 강하시키는데, 일반적으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제습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냉동싸이클을 이용한 제습방식을 사용하는 제습기에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열교환기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 및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습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제습기를 작동시키면 압축기가 구동되어 응축기와 증발기로 냉매가 순환된다. 그리고, 송풍팬이 회전하며 외부의 습한공기를 증발기와 응축기에 순서대로 통과시킨다. 이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제습기의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이때, 압축기가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해 작동되면서 압축기에는 많은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제습기에 설치되는 압축기(10)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보면, 압축기(10)는 제습기의 베이스구조체의 일측에 장착되게 되는데, 종래의 제습기의 경우 베이스구조체의 사출물에서 포밍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20)에 압축기의 다리부(12)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압축기(10)는 베이스구조체와의 고정부위에 방진용 고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는 압축기(10)의 진동이 베이스구조체에 전달되어 제습기 전체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더불어, 압축기(10)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제습기의 작동시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압축기(10)의 진동이 제습기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압축기가 설치된 장치의 구동시 압축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된 압축기의 고정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개가 다각형 구조로 배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외곽에서 돌출형성된 지지부 방진리브;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 전체를 둘러싸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외측 방진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고정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하는 다각형 구조는 정삼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기 고정구조체는 상기 외측 방진리브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내측 방진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 방진리브에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 간에 이어진 연결 방진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 방진리브에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하는 다각형을 가로지르는 교차 방진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 방진리브에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하는 다각형의 무게중심(G)을 중심으로 하고, 반경이 상기 무게중심(G)으로부터 상기 지지부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원형 방진리브가 포함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교차 방진리브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하는 다각형의 무게중심(G)을 지나며, 상기 외측 방진리브와 이어지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형 방진리브는 상기 연결 방진리브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기 고정구조체에는 상기 압축기 고정구조체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외곽 방진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방진리브는 상기 내측 방진리브보다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품에 장착되는 압축기의 진동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압축기의 구동시 압축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고정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압축기 고정구조체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축기 고정구조체에 압축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고정구조체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고정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습기에 설치된 압축기 고정구조체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고정구조체는 제습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고정구조체(100)는 지지부(110), 지지부 방진리브(120) 및 외측 방진리브(130)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방진리브(130)의 내측에 형성된 내측 방진리브(140) 및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외곽 방진리브(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축기 고정구조체(100)는 일 실시예에서 제습기의 하부 하우징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가 다각형 구조로 배치되며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압축기의 다리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원통형의 압축기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의 바닥면에서 정삼각형 구조 또는 정사각형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10)가 정삼각형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지지부(110)의 구조가 정삼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축기를 지지할 수 있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에서 포밍가공되어 바닥면으로부터 원통형으로 상향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10)의 상단에는 압축기의 다리부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핀(11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 방진리브(120)는 지지부(110)의 외곽에서 외곽을 둘러싸는 울타리 형태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 방진리브(120)는 후술할 압축기(10)의 다리부(12)가 지지부(110)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두께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에서 포밍가공되어 지지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 방진리브(130)는 복수의 지지부(110) 전체를 둘러싸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정삼각형 구조로 배치된 지지부(110) 전체를 외측에서 감싸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방진리브(130)의 형상은 지지부(110)의 배치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꼭지점이 라운드진 정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외측 방진리브(130)는 지지부(110)와 마찬가지로 포밍가공되어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울타리처럼 돌출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방진리브(140)는 외측 방진리브(130)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내측 방진리브(140)는 연결 방진리브(142), 교차 방진리브(144) 및 원형 방진리브(1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방진리브(142)는 복수의 지지부(110)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110) 간에 이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방진리브(14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110) 간의 최단거리를 잇는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10)의 외측벽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차 방진리브(144)는 복수의 지지부(110)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지지부(110)가 형성하는 다각형을 가로지르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교차 방진리브(14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부(110) 각각에서 복수의 지지부(110)가 형성하는 정삼각형의 대변을 향해 형성된 직선형의 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교차 방진리브(144)의 일단은 상기 연결 방진리브(142)와 마찬가지로 지지부(110)의 외측벽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은 외측 방진리브(130)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지부(110)가 정삼각형 구조로 배치된 경우에, 교차 방진리브(144)는 두개의 연결 방진리브(142)가 이루는 각을 반으로 나누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비교하여, 복수의 지지부(110)가 정사각형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정사각형의 대각선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지지부(110)와 연결된 교차 방진리브(144)는 한점에서 서로 교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차점은 복수의 지지부(110)가 형성하는 정삼각형의 무게중심(G)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교차 방진리브(144)는 대향하는 연결 방진리브(142)를 이등분하면서 연결 방진리브(142)와 교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원형 방진리브(146)는 복수의 지지부(110)가 형성하는 다각형의 무게중심(G)을 중심으로 하고, 반경이 상기 무게중심(G)으로부터 지지부(110)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원형의 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형 방진리브(146)는 연결 방진리브(142) 및 교차 방진리브(144)와 거동이 일체화되도록 교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원형 방진리브(14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방진리브(142)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연결 방진리브(142)와 원형 방진리브(146) 간의 진동전달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형 방진리브(146)에 의해 방진리브의 진동 확산이 더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지지부(110)로부터 진동이 전달된 연결 방진리브(142)의 진동이 원형 방진리브(146)에 전달되어 원형 방진리브(146)의 둘레를 돌며 진동이 맴돌게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연결 방진리브(142)가 원형 방진리브(146)에 접하지 않고 교차하거나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결 방진리브(142)의 진동이 외측으로 퍼져나갈 수 있거나 원형 방진리브(146)에 전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에 형성된 연결 방진리브(142), 교차 방진리브(144) 및 원형 방진리브(146)는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의 포밍가공을 통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리브들 역시 거동이 일체화되도록 일체형으로 교차 및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내측 방진리브(140)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방진리브(130)는 내측 방진리브(140)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상기 외곽 방진리브(150)는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의 테두리 프레임(160)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테두리 프레임(16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곽 방진리브(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을 형성하는 테두리 프레임(16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압축기 고정구조체(100)가 마치 이중 외벽을 가지는 것처럼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에 압축기(10)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보면, 제습기에 설치되는 압축기(10)의 다리부(12)는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의 지지부(11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0)에 구비된 체결핀(115)은 다리부(12)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핀(115)의 상단에는 다리부(12)와 체결핀(115)의 결합을 위한 볼트(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된 압축기(10)가 구동되면, 압축기(10)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압축기(10)에서 발생한 진동은 1차적으로 지지부 방진리브(120)에 의해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의 진동은 2차적으로 지지부(110)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내측 방진리브(140)에 전달될 수 있고, 여기서 내측 방진리브(140)에 전달된 진동은 원형 방진리브(146)와 교차 방진리브(144)를 통해 중앙으로 모일 수 있게 되고 외곽으로 확산되는 것을 일정수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110)의 진동과 내측 방진리브(140)의 진동이 압축기(10) 장착 범위의 외측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외측 방진리브(130)가 3차적으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4차적으로 외곽 방진리브(150)가 진동이 압축기 고정구조체(100)로부터 제습기의 케이스 부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진리브들은 자체가 진동하여 제습기 전체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고정구조체(100)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베이스구조체에 압축기(10)를 장착한 후 실험한 결과, 종래의 베이스구조체는 37.5dB이 측정된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기 고정구조체(100)는 36.2dB이 측정되어, 종래의 베이스구조체보다 1.3dB의 진동소음 저감 효과가 있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 : 압축기 12 : 다리부
100 : 압축기 고정구조체 110 : 지지부
115 : 체결핀 120 : 지지부 방진리브
130 : 외측 방진리브 140 : 내측 방진리브
142 : 연결 방진리브 144 : 교차 방진리브
146 : 원형 방진리브 150 : 외곽 방진리브
160 : 테두리 프레임

Claims (10)

  1. 복수개가 다각형 구조로 배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외곽에서 돌출형성된 지지부 방진리브;
    상기 복수의 지지부 전체를 둘러싸며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외측 방진리브; 및
    상기 외측 방진리브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내측 방진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방진리브에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 간에 이어진 연결 방진리브; 및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하는 다각형의 무게중심(G)을 중심으로 하고, 반경이 상기 무게중심(G)으로부터 상기 지지부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원형 방진리브;가 포함되고,
    상기 연결 방진리브는 상기 원형 방진리브에 외접하도록 형성된 압축기 고정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하는 다각형 구조는 정삼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고정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방진리브에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하는 다각형을 가로지르는 교차 방진리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고정구조체.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방진리브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하는 다각형의 무게중심(G)을 지나며, 상기 외측 방진리브와 이어지도록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고정구조체.
  8. 삭제
  9.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고정구조체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외곽 방진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고정구조체.
  10.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방진리브는 상기 내측 방진리브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고정구조체.
KR1020120028511A 2012-03-20 2012-03-20 압축기 고정구조체 KR101876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511A KR101876220B1 (ko) 2012-03-20 2012-03-20 압축기 고정구조체
US14/382,925 US9638437B2 (en) 2012-03-20 2013-03-12 Structure for fixing compressor for dehumidifier
CN201380015415.XA CN104220817B (zh) 2012-03-20 2013-03-12 用于对除湿器用压缩机进行固定的结构
PCT/KR2013/001957 WO2013141512A1 (en) 2012-03-20 2013-03-12 Structure for fixing compressor for de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511A KR101876220B1 (ko) 2012-03-20 2012-03-20 압축기 고정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737A KR20130106737A (ko) 2013-09-30
KR101876220B1 true KR101876220B1 (ko) 2018-07-10

Family

ID=4922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511A KR101876220B1 (ko) 2012-03-20 2012-03-20 압축기 고정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38437B2 (ko)
KR (1) KR101876220B1 (ko)
CN (1) CN104220817B (ko)
WO (1) WO2013141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5649A1 (de) * 2013-12-11 2015-06-11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in einem Maschinenraum mit einer Trägerschale, auf welcher ein weiteres Bauteil gehalten ist
CN105783364A (zh) * 2014-12-26 2016-07-20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设备
KR102460237B1 (ko) * 2015-09-30 2022-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573543B2 (ja) * 2015-12-17 2019-09-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クリュ圧縮機
CN105546652A (zh) * 2016-01-29 2016-05-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分体立式室内机的底盘及分体立式室内机
KR102485662B1 (ko) * 2017-02-17 2023-01-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CN110873451B (zh) * 2018-08-31 2023-07-25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的底座
CN111486080A (zh) * 2019-01-28 2020-08-04 安徽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支撑底板、压缩机承载组件与制冷设备
US11391503B2 (en) * 2019-03-26 2022-07-19 Thaddeus Medical Systems, Inc. Rotating pump mount and support for transportation enclosure
CN111964163A (zh) * 2019-05-20 2020-11-20 江苏的确凉智能科技有限公司 减震单元、包括减震单元的空调设备以及相应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286A (ja) * 1992-09-28 1994-04-19 Daikin Ind Ltd 圧縮機の取付構造
JP2000205590A (ja) * 1999-01-18 2000-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0651586B1 (ko) * 2005-12-30 2006-11-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펌프 방진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3386A (en) * 1984-11-16 1987-02-17 General Electric Company Household refrigerator compressor vibration isolator
JPH0762540B2 (ja) 1989-09-26 1995-07-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圧縮機支持装置
US6011336A (en) * 1998-03-16 2000-01-04 Vico Products Mfg. Co., Inc. Cost-efficient vibration-isolating mounting for motors
US6354558B1 (en) * 1998-11-20 2002-03-12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mounting
US6132183A (en) * 1998-11-23 2000-10-17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mounting
US6324800B1 (en) * 1999-12-06 2001-12-04 Portable Pipe Hangers, Inc. Support base
KR100380653B1 (ko) * 2000-09-05 200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압축기 조립체
KR100512240B1 (ko) 2003-03-05 200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 실외기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포밍구조
KR20070069773A (ko) 2005-12-28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의 요동방지장치
JP4911141B2 (ja) 2007-12-27 2012-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CN201934290U (zh) 2010-12-28 2011-08-17 重庆美的通用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单元及其空调装置或冷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286A (ja) * 1992-09-28 1994-04-19 Daikin Ind Ltd 圧縮機の取付構造
JP2000205590A (ja) * 1999-01-18 2000-07-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0651586B1 (ko) * 2005-12-30 2006-11-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펌프 방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737A (ko) 2013-09-30
CN104220817B (zh) 2017-02-15
US20150047383A1 (en) 2015-02-19
WO2013141512A1 (en) 2013-09-26
US9638437B2 (en) 2017-05-02
CN104220817A (zh)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220B1 (ko) 압축기 고정구조체
US11054153B2 (en) Air conditioner
WO2006081263A2 (en) Vibration and noise abatement pad
KR101166384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
JP3532868B2 (ja) エアコンのモーター取り付け構造
KR100621699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모터브라켓
EP3306205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8266929B2 (en) Pedestal isolator
JP2010037931A (ja) クリーンルームの排気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3702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지지구조
KR20100048098A (ko) 압축기의 방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10144962A (ja) 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支持構造
TWM623823U (zh) 使用於空調裝置的站立式廢水排水泵
JP3365619B2 (ja) 空気調和機
EP0360448A2 (en) Condensing unit with a system for mounting a motor-compressor
TWI785922B (zh) 使用於空調裝置的站立式廢水排水泵
CN107621066B (zh) 排水装置的减震机构
US20180044835A1 (en) Vibration-Isolator Platform
KR101523212B1 (ko) 제습기의 압축기 장착구조
JP2010151399A (ja) 空気調和機のファン装置支持構造
JP4733163B2 (ja) 清浄気流循環システム
US20150033785A1 (en) Compressor noise suppressing structur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KR100357773B1 (ko) 에어컨용 실내기의 모터 마운팅 구조
CN216867086U (zh) 使用于空调装置的站立式废水排水泵
KR102169802B1 (ko) 응결수 방지용 바닥형 에어 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