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144B1 -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144B1
KR101876144B1 KR1020170151537A KR20170151537A KR101876144B1 KR 101876144 B1 KR101876144 B1 KR 101876144B1 KR 1020170151537 A KR1020170151537 A KR 1020170151537A KR 20170151537 A KR20170151537 A KR 20170151537A KR 101876144 B1 KR101876144 B1 KR 101876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bstrate
epoxy resin
wash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17015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04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with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0Pre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2Servicing or operating apparatus or 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피도물에 묻어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1차 제거하는 예비탈지단계; (B) 상기 피도물에 잔존하는 탈지액을 제거하도록 온수를 분사하되,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수세 제1단계; (C) 상기 수세 제1단계를 거친 피도물에 대해 피도물의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 및 제거하도록 온도 200~250℃ 및 20~3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5~30분 동안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 처리하는 건조단계; (D) 상기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2차 제거하는 본탈지단계; (E) 상기 본탈지단계를 거친 피도물의 표면으로 증류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되, 동일 조건하에서 제1 내지 제6 수세를 실시하여 피도물 측 표면 평활도를 증진시키면서 도료의 전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세 제2단계; (F) 상기 본탈지 이후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탈지액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음파를 이용한 피도물 측 세척을 실시하는 초음파수세단계; (G) 상기 피도물 측 표면 세척 및 도료의 전착성 향상을 위해 비저항 0.2~0.5MΩ·cm증류수를 분사하여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수세 제3단계; (H)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조에 투입하되, 전해욕을 보호하기 위해 순수로 중화 처리 및 온도 30~40℃에서 1~2분 동안 융화시키는 중화단계; (I)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의 전해욕을 이용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되, pH 7~8과 온도 30~40℃ 및 60~180V의 전압으로 2~3분 동안 통전시켜 전착 처리하는 전착도장단계; (J) 상기 전착도장단계를 마친 피도물에 남아있는 여액을 제거하도록 순수를 분사하는 여액수세단계; (K) 상기 여액수세단계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비저항 15~18.2㏁·㎝인 증류수를 분사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내지 제6수세를 실시하고, 연이어 순수를 분사하는 순수수세를 실시하여 이물질을 비롯한 불순물에 의한 피도물 측 도막 결함을 극소화하기 위한 수세 제4단계; (L) 상기 수세 제4단계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2~3kgf/㎠ 분사압력으로 에어를 분사하여 피도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단계; (M) 상기 수분제거단계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대해 70~90℃의 온도조건에서 25~40분 동안 1차 경화를 실시하고, 연이어 180~210℃의 온도조건에서 1~3시간 동안 본경화를 실시하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과 이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전도도를 개선시킨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에폭시수지 복합체의 사용 및 공정 개선에 의해 피도물 측 양이온형 전착도장에 따른 전착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양질의 도막 특성을 갖는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 DEPOSITION COATING IMPROVED ELECTRIC CONDUCTIVITY}
본 발명은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전도도를 개선시킨 에폭시수지 복합체의 사용과 공정 개선을 통해 피도물에 양이온형 전착도장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양질의 도막 특성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한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 및 전착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착도장(Electro deposition Coating)은 전착용 수용성 도료 용액 중에 피도물을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여 침적시키고, 피도물과 그 대극 사이에 직류 전류를 통하여 피도물 표면에 전기적으로 도료를 전착시키는 도장방법이다.
이러한 전착도장은 전기분해(Electrolysis), 전기영동(Electro Phoresis), 전기석출(Electro Deposition), 전기침투(Electro Osmosis) 등의 현상을 이용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도료를 전착시키는데, 상기 4가지 현상 중에서 상기 전기분해 및 전기영동은 주로 전극 부근에서 일어나는 도료입자의 이동에 관계되고, 전기석출 및 전기침투는 주로 피도물의 표면에 대한 부착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양이온형 전착도장과 음이온형 전착도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4가지 현상에 의한 전착 원리를 갖는 전착도장은 종래의 도장방식에 비해 RoHS(6대 유해물질에 사용에 관한 규제) 관련 규제물질이 없는 친환경 도장이고, 도포량이 일정함은 물론 박막코팅이기 때문에 도막의 흐름이나 흘러내림 등의 도막 결함이 없고, 휘발성 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열 등에 의한 용제 가스의 휘발이나 핀홀 현상이 없고, 피도물 표면의 요철이나 모서리 부분 등에 관계없이 일정한 도막 두께를 얻을 수 있고, 표면이 매끄러워 제품 결합시 구리스 등의 윤활유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균일 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접합 부위 등이 있고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도장이 안되는 부분이 없어 완전 피복이 가능하고 방청력이 우수하며, 도금 및 기타 도장에 비하여 내식성이 뛰어난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
현재 전착도장 기술은 음이온형 전착도장 방식에 비해 양이온형 전착도장 방식이 더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산업 및 가전분야, 통신분야, 제어 계측분야 등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등록특허 제10-1667291호 및 제10-1008315호 등지에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72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8315호
본 발명은 에폭시수지를 이용한 전착도장을 실시하되, 전기전도도를 개선시킨 에폭시수지 복합체의 사용과 공정 개선에 의해 피도물에 양이온형 전착도장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에폭시수지의 전기전도도 개선을 통해 피도물 측 전착도장에 따른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양질의 도막 특성을 갖는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은, 전착도장 대상인 피도물에 예비탈지와 수세 및 본탈지를 실시한 후,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욕으로 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는 양이온형 전착도장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피도물에 묻어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1차 제거하는 예비탈지단계; (B) 상기 피도물에 잔존하는 탈지액을 제거하도록 온수를 분사하되,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수세 제1단계; (C) 상기 수세 제1단계를 거친 피도물에 대해 피도물의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 및 제거하도록 온도 200~250℃ 및 20~3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5~30분 동안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 처리하는 건조단계; (D) 상기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2차 제거하는 본탈지단계; (E) 상기 본탈지단계를 거친 피도물의 표면으로 증류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되, 동일 조건하에서 제1 내지 제6 수세를 실시하여 피도물 측 표면 평활도를 증진시키면서 도료의 전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세 제2단계; (F) 상기 본탈지 이후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탈지액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음파를 이용한 피도물 측 세척을 실시하는 초음파수세단계; (G) 상기 피도물 측 표면 세척 및 도료의 전착성 향상을 위해 비저항 0.2~0.5MΩ·cm인 증류수를 분사하여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수세 제3단계; (H)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조에 투입하되, 전해욕을 보호하기 위해 순수로 중화 처리 및 온도 30~40℃에서 1~2분 동안 융화시키는 중화단계; (I)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의 전해욕을 이용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되, pH 7~8과 온도 30~40℃ 및 60~180V의 전압으로 2~3분 동안 통전시켜 전착 처리하는 전착도장단계; (J) 상기 전착도장단계를 마친 피도물에 남아있는 여액을 제거하도록 순수를 분사하는 여액수세단계; (K) 상기 여액수세단계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비저항 15~18.2㏁·㎝인 증류수를 분사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내지 제6수세를 실시하고, 연이어 순수를 분사하는 순수수세를 실시하여 이물질을 비롯한 불순물에 의한 피도물 측 도막 결함을 극소화하기 위한 수세 제4단계; (L) 상기 수세 제4단계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45~5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0~20분 동안 에어를 분사하여 피도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단계; (M) 상기 수분제거단계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대해 70~90℃의 온도조건에서 25~40분 동안 1차 경화를 실시하고, 연이어 180~210℃의 온도조건에서 1~3시간 동안 본경화를 실시하는 경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장치는, 전착도장 대상인 피도물에 예비탈지와 수세 및 본탈지를 실시한 후,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욕으로 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는 양이온형 전착도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도물에 묻어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1차 제거하는 예비탈지부; 상기 피도물에 잔존하는 탈지액을 제거하도록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포함하고,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제1수세처리부; 상기 제1수세처리부를 거친 피도물에 대해 피도물의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 및 제거하도록 온도 200~250℃ 및 20~3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5~30분 동안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 처리하는 열풍건조부; 상기 열풍건조부를 거친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2차 제거하는 본탈지부; 상기 본탈지부를 거친 피도물의 표면으로 증류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포함하되, 피도물 측 표면 평활도를 증진시키면서 도료의 전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수세 내지 제6수세를 연속 실시하는 제2수세처리부; 상기 제2수세처리부를 거친 이후에 상기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탈지액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 온도 30~35℃에서 2~5분 동안 초음파 세척을 실시하는 초음파세척부; 상기 초음파세척부를 거친 피도물에 대해 표면 세척 및 도료의 전착성 향상을 위해 증류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포함하고,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제3수세처리부;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욕으로 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는 전해조를 포함하며, pH 7~8과 온도 30~40℃ 및 60~180V의 전압으로 2~3분 동안 통전시켜 전착 처리함에 의해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에 의한 도막을 피도물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전착도장부; 상기 전착도장부를 거친 피도물에 남아있는 여액을 제거하도록 순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여액수세부; 상기 여액수세부를 거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증류수를 분사하는 제1수세 내지 제6수세와 순수수세를 연이어 실시하는 제4수세처리부; 상기 제4수세처리부를 거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에어 분사를 통해 피도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부; 상기 에어 분사부에 의한 수분 제거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대해 70~90℃의 온도조건에서 25~40분 동안 1차 경화를 실시하고, 연이어 180~210℃의 온도조건에서 1~3시간 동안 본경화를 실시하는 경화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전도도를 개선시킨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에폭시수지 복합체의 사용에 의해 피도물 측 양이온형 전착도장에 따른 전착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양질의 도막특성을 갖는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도물에 형성되는 도막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내마모성과 내식성 및 내산성 등이 양호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장치를 나타낸 개략적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을 나타낸 개략적 제조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장치는 전착도장 대상인 피도물에 예비탈지와 수세 및 본탈지를 실시한 후,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욕으로 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는 양이온형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탈지부(10)와 제1수세처리부(20), 열풍건조부(30), 본탈지부(40), 제2수세처리부(50), 초음파세척부(60), 제3수세처리부(70), 전착도장부(80), 여액수세부(90), 제4수세처리부(100), 물기제거수단(110), 에어분사부(120), 경화처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예비탈지부(10) 내지 제3수세처리부(70)는 양이온 전착도장을 실시하기 위한 전처리설비에 해당하고, 상기 여액수세부(90) 내지 경화처리부(130)는 전착도장을 실시한 이후의 후처리설비에 해당한다.
상기 피도물은 산업 전반에 걸친 철이나 비철 등의 모든 소재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는 전기전도도 개선을 위해 고형분 5~10%, pH 3~5, 전기전도도 500~900μ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는 에폭시에 전기전도도 개선을 위해 보론나이트라이드가 혼합된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 복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때로는 흑연이나 카본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CNT) 등의 그래핀 소재가 혼합된 에폭시그래핀 복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형분 5~10%, pH 3~5, 전기전도도 800~1500μS/㎝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전기전도도 개선 및 피도물의 인장강도 증가를 위해서는 양이온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 복합체 또는 에폭시그래핀 복합체를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예비탈지부(10)는 제품 생산시 피도물에 묻어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1차 제거하기 위한 설비로서, 예비탈지조가 사용된다.
이때, 침지방식이 아닌 스프레이방식의 적용시 스프레이(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세처리부(20)는 상기 예비탈지부(10)에서의 예비 탈지를 거친 피도물에 잔존하는 탈지액을 제거하도록 하기 위한 설비로서,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포함하고,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수세처리부(20)는 제1수세조 및 제2수세조를 포함한다.
상기 열풍건조부(30)는 상기 제1수세처리부(20)를 거친 피도물에 대해 피도물의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 및 제거하도록 하기 위한 설비로서, 열풍을 공급하여 피도물의 표면을 건조 처리한다.
이때, 상기 열풍건조부(30)는 열풍 건조로를 통해 온도 200~250℃ 및 20~3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5~30분 동안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 처리하도록 가동된다.
상기 본탈지부(40)는 상기 열풍건조부(30)를 거친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2차 제거하기 위한 설비로서, 본탈지조가 사용된다.
이때, 스프레이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스프레이(분사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세처리부(50)는 상기 본탈지부(40)를 거친 피도물의 표면으로 증류수를 분사하여 제1수세 내지 제6수세를 연속 실시하기 위한 설비로서, 피도물 측 표면 평활도를 증진시키면서 도료의 전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수세처리부(50)는 제1수세조 내지 제6수세조를 포함하며, 증류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세척부(60)는 상기 제2수세처리부(50)를 거친 이후에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탈지액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 초음파 세척을 실시하는 설비로서,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며, 초음파 발생과 더불어 온도 30~35℃에서 2~5분 동안 처리하도록 가동된다.
상기 제3수세처리부(70)는 상기 초음파세척부(60)를 거친 피도물에 대해 표면 세척 및 도료의 전착성 향상을 위해 증류수를 분사하여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기 위한 설비이다.
상기 제3수세처리부(70)는 제1수세조 및 제2수세조를 포함하며, 증류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전착도장부(80)는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욕으로 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기 위한 양이온 전착도장설비로서, 전착도장을 위한 전해조를 포함하고, 상기 피도물을 걸어 전해욕이 담긴 전해조 내에 침전시키기 위한 랙을 포함하며, 피도물이 음극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전착도장부(80)는 pH 7~8과 온도 30~40℃ 및 60~180V의 전압으로 2~3분 동안 통전시켜 전착 처리하도록 가동되며, 이를 통해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에 의한 도막을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전착도장부(80)에는 전해욕으로 사용되는 도료의 고형분을 측정하는 고형분측정센서, 도료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센서, 도료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전도도측정센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여액수세부(90)는 상기 전착도장부(80)를 통해 표면에 도막을 형성시킨 피도물에 남아있는 여액을 제거하도록 순수를 분사하기 위한 설비이다.
상기 여액수세부(90)는 여액수세조를 포함하고, 순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4수세처리부(100)는 상기 여액수세부(90)를 거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증류수를 분사하는 제1수세 내지 제6수세와 순수수세를 연이어 실시하기 위한 설비이다.
상기 제4수세처리부(100)는 제1수세조 내지 제6수세조와 순수수세조를 포함하며, 증류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물기제거수단(110)은 상기 제4수세처리부(100)와 에어분사부(120)의 사이에 구비하는 것으로서, 물기의 흡수성이 좋은 융이나 극세사 또는 면기모 등의 원단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4수세처리부(100)를 통과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묻은 물기를 선행하여 1차 제거한 후, 에어 분사를 통해 물기를 2차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에어분사부(120)는 상기 제4수세처리부(100)를 거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피도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로서, 상기 물기제거수단(110)을 구비하는 경우 피도물에 묻은 물기를 2차로 제거한다.
이때, 상기 에어분사부(120)는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45~5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0~20분 동안 에어를 분사하여 피도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도록 가동된다.
상기 경화처리부(130)는 상기 에어분사부(120)에 의한 수분 제거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대해 형성된 도막의 경화 처리를 위한 설비로서, 경화 건조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화처리부(130)는 상기 에어분사부(120)에 의한 수분 제거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대해 70~90℃의 온도조건에서 25~40분 동안 1차 경화를 실시하고, 연이어 180~210℃의 온도조건에서 1~3시간 동안 본경화를 실시하도록 가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비탈지단계(S1)와 수세 제1단계(S2), 건조단계(S3), 본탈지단계(S4), 수세 제2단계(S5), 초음파수세단계(S6), 수세 제3단계(S7), 중화단계(S8), 전착도장단계(S9), 여액수세단계(S10), 수세 제4단계(S11), 수분제거단계(S12), 경화단계(S1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예비탈지단계(S1)는 전착도장 처리를 위한 피도물에 묻어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1차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예비탈지단계(S1)는 온수에 계면활성제를 10~15%로 희석하고 비중이 1.0~1.2인 탈지액을 이용하되 pH 12~13 및 온도 40~50℃의 조건하에서 침지시켜 탈지 처리할 수 있다.
때로는, 온수에 계면활성제를 10~15%로 희석하고 비중이 1.0~1.2인 탈지액을 이용하되 pH 12~13와 온도 40~50℃ 및 분사압력 1~2kgf/㎠의 조건하에서 분사하여 탈지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탈지액은 수산화나트륨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에 수산화나트륨이 혼합된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수세 제1단계(S2)는 상기 예비탈지에 따라 피도물에 잔존하는 탈지액을 제거하도록 하는 1차 수세단계이다.
상기 수세 제1 단계(S2)에서는 온수를 분사하되, 탈지액 제거에 따른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수세 제1단계(S2)는 제1수세 및 제2수세에 대해 pH 6~7과 온도 40~50℃ 및 분사압력 1-2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한다.
상기 건조단계(S3)는 상기 수세 제1단계(S2)를 거친 피도물에 대해 피도물의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 및 제거하도록 하기 위해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S3)는 온도 200~250℃ 및 20~3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5~30분 동안 실시한다.
상기 본탈지단계(S4)는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2차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본탈지단계(S4)는 온수에 계면활성제를 15~20%로 희석하고 비중이 1.0~1.2인 탈지액을 이용하되 pH 12~13와 온도 50~60℃ 및 분사압력 2~3kgf/㎠의 조건하에서 분사하여 탈지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탈지액은 수산화나트륨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에 수산화나트륨이 혼합된 구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수세 제2단계(S5)는 상기 본탈지단계(S4)를 거친 피도물의 표면으로 증류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되, 동일 조건하에서 제1 내지 제6 수세를 실시하여 피도물 측 표면 평활도를 증진시키면서 도료의 전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 상기 수세 제2단계(S5)는 pH 7~8과 온도 40~50℃ 및 분사압력 2~3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한다.
상기 초음파수세단계(S6)는 상기 본탈지단계 이후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탈지액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음파를 이용한 피도물 측 세척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초음파수세단계(S6)는 온도 30~35℃에서 2~5분 동안 초음파 세척을 실시한다.
상기 수세 제3단계(S7)는 피도물 측 표면 세척 및 도료의 전착성 향상을 위해 비저항 0.2~0.5MΩ·cm인 증류수를 분사하여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수세 제3단계(S7)는 제1수세의 경우 pH 7~8과 온도 40~50℃ 및 분사압력 2~3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하고, 제2수세의 경우 pH 7~8과 온도 50~60℃ 및 분사압력 2~3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한다.
상기 중화단계(S8)는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조에 투입하되, 전해욕을 보호하기 위해 순수로 중화 처리 및 온도 30~40℃에서 1~2분 동안 융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전착도장단계(S9)는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의 전해욕을 이용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되, pH 7~8과 온도 30~40℃ 및 60~180V의 전압으로 2~3분 동안 통전시켜 전착 처리함으로써 피도물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피도물은 음극으로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는 에폭시에 보론나이트라이드가 혼합된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 복합체 또는 그래핀(흑연이나 카본블랙 또는 탄소나노튜브 등) 소재가 혼합된 에폭시그래핀 복합체를 사용하여 전착도장 처리시 전기전도도를 개선함으로써 전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고형분 5~10%, pH 3~5, 전기전도도 800~1500μS/㎝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 복합체는 에폭시에 실란커플링제로 코팅하여 실란 처리된 보론나이트라이드를 혼합함에 의해 에폭시 내 분산성을 갖고 에폭시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통해 개선된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 및 인장강도의 물성특성을 발휘토록 하는 것이 좋다.
때로는,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에 있어 전기전도도 개선을 위해 고형분 5~10%, pH 3~5, 전기전도도 500~900μS/㎝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여액수세단계(S10)는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욕으로 이용하여 전착도장단계(S9)를 마친 상태의 피도물에 남아있는 여액을 제거하도록 순수를 분사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여액수세단계(S10)는 pH 6~7과 온도 20~30℃ 및 분사압력 1~2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한다.
상기 수세 제4단계(S11)는 상기 여액수세단계(S10)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비저항 10~18.2㏁·㎝인 증류수를 분사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내지 제6수세를 실시하고, 연이어 순수를 분사하는 순수수세를 실시하여 이물질을 비롯한 불순물에 의한 피도물 측 도막 결함을 극소화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 상기 수세 제4단계(S11)에 있어서는, 제1수세 내지 제6수세의 경우 pH 7~8과 온도 20~30℃ 및 분사압력 1~2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하고, 순수수세의 경우 pH 6~7과 온도 20~30℃ 및 분사압력 1~2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한다.
상기 수분제거단계(S12)는 상기 수세 제4단계(S11)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에어를 분사하여 피도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때, 상기 수분제거단계(S12)는 45~5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0~20분 동안 에어를 분사하여 피도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며, 분사압력 1~2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분제거단계(S12)에서는 전착도장이 완료된 상태의 피도물에 에어를 분사하기 전에, 물기제거수단을 이용하여 피도물 측 표면에 묻은 물기를 닦아 1차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기제거수단은 물기의 흡수성이 좋은 융이나 극세사 또는 면기모 등의 원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제거단계(S12)에서는 전착도장이 완료된 상태의 피도물에 에어를 분사하기 전에,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을 불소 등의 발수제에 침지시키는 작업을 실시하여 전착도장에 의해 피도물에 형성시킨 도막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함은 물론 방수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화단계(S13)는 상기 수분제거단계(S12)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상태의 피도물에 대해 도막을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경화단계(S13)는 70~90℃의 온도조건에서 25~40분 동안 1차 경화를 실시하고, 연이어 180~210℃의 온도조건에서 1~3시간 동안 본경화를 실시한다.
(실시예)
온수에 계면활성제를 15%로 희석하고 비중 1.2인 탈지액을 이용하되 pH 13과 온도 45℃ 및 분사압력 2kgf/㎠의 조건하에서 분사하여 예비탈지를 실시하고, pH 7과 온도 45℃ 및 분사압력 2kgf/㎠의 조건하에서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고, 온도 250℃ 및 25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20분 동안 건조를 실시하고, 온수에 계면활성제를 15%로 희석하고 비중 1.2인 탈지액을 이용하되 pH 13과 온도 50℃ 및 분사압력 2kgf/㎠의 조건하에서 분사하여 본탈지를 실시하고, pH 8과 온도 45℃ 및 분사압력 2kgf/㎠의 조건하에서 제1 내지 제6 수세를 실시하고, 온도 35℃에서 3분 동안 초음파 세척을 실시하며, 비저항 0.2MΩ·cm인 증류수를 pH 8과 온도 50℃ 및 분사압력 2kgf/㎠의 조건하에서 제1수세와 제2수세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고형분 5%, pH 4, 전기전도도 1200μS/㎝인 양이온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 복합체를 순수로 중화 처리하되 온도 40℃에서 2분 동안 융화시키고, pH 7과 온도 40℃ 및 180V의 전압으로 3분 동안 통전시켜 전착 처리함으로써 피도물에 도막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전착도장을 마친 상태의 피도물에 pH 7과 온도 30℃ 및 분사압력 2kgf/㎠의 조건하에서 여액수세를 실시하고, 비저항 18.2㏁·㎝인 증류수를 분사하되 pH 8과 온도 30℃ 및 분사압력 2kgf/㎠의 조건하에서 제1수세 내지 제6수세를 실시하고, pH 7과 온도 30℃ 및 분사압력 2kgf/㎠의 조건하에서 순수수세를 실시하고, 45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5분 동안 에어를 분사하여 피도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며, 90℃의 온도조건에서 30분 동안 1차 경화를 실시하고 연이어 200℃의 온도조건에서 2시간 동안 본경화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에폭시수지를 전착시킨 피도물에 대해 전착도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아래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경도는 1kg 하중에 도막이 파괴되는 경도를 측정하였고, 연필경도는 1kg하중에 성처가 인정되는 경도를 측정하였고, 밀착성은 JIS K-5400에 의한 방식으로 검사하였고, 내식성은 SST(염수분무)방식으로 평가하였고, 내알칼리성은 수산화나트륨(5% 농도)에 72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방식으로 평가하였고, 내산성은 히드록시산(5% 농도)에 48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방식으로 평가하였고, 내마모성은 모래낙하 마모시험으로 평가하였으며, 내온수성은 100℃의 온수에 10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검사항목 결과 검사항목 결과
경도 5H 내알칼리성 양호
연필경도 3.5H 내산성 양호
밀착성 100/100 내마모성 양호
내식성 양호 내온수성 양호
외관불량 항목 검사결과
표면기공 없음
티흔 없음
긁힘 없음
유분침출 없음
녹발생 없음
굴곡 없음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양질의 도막 특성을 갖는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제품을 얻어낼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S1: 예비탈지단계 S2: 수세 제1단계
S3: 건조단계 S4: 본탈지단계
S5: 수세 제2단계 S6: 초음파수세단계
S7: 수세 제3단계 S8: 중화단계
S9: 전착도장단계 S10: 여액수세단계
S11: 수세 제4단계 S12: 수분제거단계
S13: 경화단계

Claims (12)

  1. 전착도장 대상인 피도물에 예비탈지와 수세 및 본탈지를 실시한 후,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욕으로 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는 양이온형 전착도장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피도물에 묻어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1차 제거하는 예비탈지단계;
    (B) 상기 피도물에 잔존하는 탈지액을 제거하도록 온수를 분사하되,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수세 제1단계;
    (C) 상기 수세 제1단계를 거친 피도물에 대해 피도물의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 및 제거하도록 온도 200~250℃ 및 20~3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5~30분 동안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 처리하는 건조단계;
    (D) 상기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2차 제거하는 본탈지단계;
    (E) 상기 본탈지단계를 거친 피도물의 표면으로 증류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되, 동일 조건하에서 제1 내지 제6 수세를 실시하여 피도물 측 표면 평활도를 증진시키면서 도료의 전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세 제2단계;
    (F) 상기 본탈지 이후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탈지액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음파를 이용한 피도물 측 세척을 실시하는 초음파수세단계;
    (G) 상기 피도물 측 표면 세척 및 도료의 전착성 향상을 위해 비저항 0.2~0.5MΩ·cm인 증류수를 분사하여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수세 제3단계;
    (H)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조에 투입하되, 전해욕을 보호하기 위해 순수로 중화 처리 및 온도 30~40℃에서 1~2분 동안 융화시키는 중화단계;
    (I)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의 전해욕을 이용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되, pH 7~8과 온도 30~40℃ 및 60~180V의 전압으로 2~3분 동안 통전시켜 전착 처리하는 전착도장단계;
    (J) 상기 전착도장단계를 마친 피도물에 남아있는 여액을 제거하도록 순수를 분사하는 여액수세단계;
    (K) 상기 여액수세단계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비저항 15~18.2㏁·㎝인 증류수를 분사하여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내지 제6수세를 실시하고, 연이어 순수를 분사하는 순수수세를 실시하여 이물질을 비롯한 불순물에 의한 피도물 측 도막 결함을 극소화하기 위한 수세 제4단계;
    (L) 상기 수세 제4단계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45~5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0~20분 동안 에어를 분사하여 피도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단계;
    (M) 상기 수분제거단계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대해 70~90℃의 온도조건에서 25~40분 동안 1차 경화를 실시하고, 연이어 180~210℃의 온도조건에서 1~3시간 동안 본경화를 실시하는 경화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탈지단계는,
    온수에 계면활성제를 10~15%로 희석하고 비중이 1.0~1.2인 탈지액을 이용하되 pH 12~13 및 온도 40~50℃의 조건하에서 침지시켜 탈지 처리하거나 또는 pH 12~13와 온도 40~50℃ 및 분사압력 1~2kgf/㎠의 조건하에서 분사하여 탈지 처리하며;
    상기 본탈지단계는,
    온수에 계면활성제를 15~20%로 희석하고 비중이 1.0~1.2인 탈지액을 이용하되 pH 12~13와 온도 50~60℃ 및 분사압력 2~3kgf/㎠의 조건하에서 분사하여 탈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 제1단계는,
    pH 6~7과 온도 40~50℃ 및 분사압력 1-2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하고;
    상기 수세 제2단계는,
    pH 7~8과 온도 40~50℃ 및 분사압력 2~3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하며;
    상기 수세 제3단계는,
    제1수세의 경우 pH 7~8과 온도 40~50℃ 및 분사압력 2~3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하고, 제2수세의 경우 pH 7~8과 온도 50~60℃ 및 분사압력 2~3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하며;
    상기 수세 제4단계는,
    제1수세 내지 제6수세의 경우 pH 7~8과 온도 20~30℃ 및 분사압력 1~2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하고, 순수수세의 경우 pH 6~7과 온도 20~30℃ 및 분사압력 1~2kgf/㎠의 조건하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는 에폭시에 전기전도도 개선을 위해 보론나이트라이드가 혼합된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 복합체 또는 그래핀 소재가 혼합된 에폭시그래핀 복합체로서, 고형분 5~10%, pH 3~5, 전기전도도 800~1500μ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 복합체는 에폭시에 실란커플링제로 코팅하여 실란 처리된 보론나이트라이드를 혼합함에 의해 에폭시 내 분산성을 갖고 에폭시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작용으로 개선된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 및 인장강도의 물성특성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수세단계는,
    온도 30~35℃에서 2~5분 동안 초음파 세척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단계는,
    1차 경화의 경우 70~90℃의 온도조건에서 25~40분 동안 실시하고, 본경화의 경우 180~210℃의 온도조건에서 1~3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단계에서는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에어를 분사하기 전에, 물기제거수단을 이용하여 피도물 측 표면에 묻은 물기를 닦아 1차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단계에서는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에어를 분사하기 전에,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을 발수제에 침지시키는 작업을 실시하여 전착도장에 의해 피도물에 형성시킨 도막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방법.
  10. 전착도장 대상인 피도물에 예비탈지와 수세 및 본탈지를 실시한 후,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욕으로 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는 양이온형 전착도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도물에 묻어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1차 제거하는 예비탈지부;
    상기 피도물에 잔존하는 탈지액을 제거하도록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포함하고, 동일 조건하에서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제1수세처리부;
    상기 제1수세처리부를 거친 피도물에 대해 피도물의 표면에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 및 제거하도록 온도 200~250℃ 및 20~30N㎥/min의 풍량조건하에서 15~30분 동안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 처리하는 열풍건조부;
    상기 열풍건조부를 거친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유분 및 이물질을 탈지액을 이용하여 2차 제거하는 본탈지부;
    상기 본탈지부를 거친 피도물의 표면으로 증류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포함하되, 피도물 측 표면 평활도를 증진시키면서 도료의 전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수세 내지 제6수세를 연속 실시하는 제2수세처리부;
    상기 제2수세처리부를 거친 이후에 상기 피도물에 잔존할 수 있는 탈지액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 온도 30~35℃에서 2~5분 동안 초음파 세척을 실시하는 초음파세척부;
    상기 초음파세척부를 거친 피도물에 대해 표면 세척 및 도료의 전착성 향상을 위해 증류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포함하고, 제1수세 및 제2수세를 실시하는 제3수세처리부;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를 전해욕으로 하여 피도물의 표면에 전착도장을 실시하는 전해조를 포함하며, pH 7~8과 온도 30~40℃ 및 60~180V의 전압으로 2~3분 동안 통전시켜 전착 처리함에 의해 양이온 에폭시수지 또는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 도료에 의한 도막을 피도물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전착도장부;
    상기 전착도장부를 거친 피도물에 남아있는 여액을 제거하도록 순수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여액수세부;
    상기 여액수세부를 거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증류수를 분사하는 제1수세 내지 제6수세와 순수수세를 연이어 실시하는 제4수세처리부;
    상기 제4수세처리부를 거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에어 분사를 통해 피도물에 묻은 수분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부;
    상기 에어 분사부에 의한 수분 제거를 마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대해 70~90℃의 온도조건에서 25~40분 동안 1차 경화를 실시하고, 연이어 180~210℃의 온도조건에서 1~3시간 동안 본경화를 실시하는 경화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세처리부와 상기 에어분사부의 사이에는 물기제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4수세처리부를 통과한 전착도장이 완료된 피도물에 묻은 물기를 선행하여 1차 제거한 후, 에어 분사를 통해 물기를 2차 제거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에폭시수지복합체는 에폭시에 보론나이트라이드가 혼합된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 복합체 또는 그래핀 소재가 혼합된 에폭시그래핀 복합체로서, 고형분 5~10%, pH 3~5, 전기전도도 800~1500μS/㎝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 전착도장부에서의 전착도장 처리시 전기전도도를 개선하여 전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장치.
KR1020170151537A 2017-11-14 2017-11-14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 KR101876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37A KR101876144B1 (ko) 2017-11-14 2017-11-14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37A KR101876144B1 (ko) 2017-11-14 2017-11-14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144B1 true KR101876144B1 (ko) 2018-07-06

Family

ID=6292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537A KR101876144B1 (ko) 2017-11-14 2017-11-14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1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9883A (zh) * 2018-12-31 2019-04-12 合肥高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镀锌板前处理(喷淋)的工艺流程
CN110714220A (zh) * 2019-11-12 2020-01-21 温州宏量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零部件电泳漆膜的烘干系统
KR102431734B1 (ko) * 2022-03-10 2022-08-10 김태환 전착도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착도장방법
KR102466018B1 (ko) * 2022-01-27 2022-11-16 에너지닥터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을 위한 도장설비 제어 시스템
KR102600156B1 (ko) * 2023-06-30 2023-11-08 남용식 전착 도장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120A (ja) * 2004-09-30 2006-04-13 Nissan Motor Co Ltd 電着塗装の前処理方法
JP2006265658A (ja) * 2005-03-24 2006-10-05 Nippon Paint Co Ltd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及びカチオン電着塗装方法
KR20100101881A (ko) * 2009-03-10 2010-09-20 김명선 전착도장시스템
JP2017057465A (ja) * 2015-09-17 2017-03-23 神東アクサルタ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を被塗物に塗装するための方法
JP6125101B2 (ja) * 2013-07-12 2017-05-10 ピーピージー・インダストリーズ・オハ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PG Industries Ohio,Inc. 電着可能コーティング組成物でコーティングされた電気伝導性複合基材およびそれらの調製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120A (ja) * 2004-09-30 2006-04-13 Nissan Motor Co Ltd 電着塗装の前処理方法
JP2006265658A (ja) * 2005-03-24 2006-10-05 Nippon Paint Co Ltd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及びカチオン電着塗装方法
KR20100101881A (ko) * 2009-03-10 2010-09-20 김명선 전착도장시스템
JP6125101B2 (ja) * 2013-07-12 2017-05-10 ピーピージー・インダストリーズ・オハ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PG Industries Ohio,Inc. 電着可能コーティング組成物でコーティングされた電気伝導性複合基材およびそれらの調製方法
JP2017057465A (ja) * 2015-09-17 2017-03-23 神東アクサルタ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を被塗物に塗装するための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OMPOSITE MATERIALS 48 (2016) 2517-2526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9883A (zh) * 2018-12-31 2019-04-12 合肥高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镀锌板前处理(喷淋)的工艺流程
CN110714220A (zh) * 2019-11-12 2020-01-21 温州宏量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零部件电泳漆膜的烘干系统
CN110714220B (zh) * 2019-11-12 2020-11-17 温州宏量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零部件电泳漆膜的烘干系统
KR102466018B1 (ko) * 2022-01-27 2022-11-16 에너지닥터 주식회사 에너지 절감을 위한 도장설비 제어 시스템
KR102431734B1 (ko) * 2022-03-10 2022-08-10 김태환 전착도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착도장방법
KR102600156B1 (ko) * 2023-06-30 2023-11-08 남용식 전착 도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144B1 (ko) 전기전도도가 개선된 에폭시수지 전착도장 방법 및 장치
CN109401613B (zh) 一种用于钢板表面熔结粉末环氧涂层的硅烷化预处理工艺
AU2015222090A1 (en) Process for coating metallic surfaces of substrates and articles coated by this process
JPS6123272B2 (ko)
KR101296868B1 (ko) 전착도장방법
KR101738089B1 (ko) 기포발생이 방지되는 전착도장방법
CN104818481A (zh) 一种镁合金轮毂表面的预处理方法
CN110538783A (zh) 一种钣金件涂装工艺
CN112452689A (zh) 基面除锈用的耐候型功能性防腐涂料涂装施工工艺
CN103774189B (zh) 一种镀铬及水转印复合表面处理的工艺方法
CN104962976A (zh) 汽车零部件阴极电泳漆表面质量加工工艺
KR100780280B1 (ko) 금속체의 표면처리방법
KR101679407B1 (ko) Sus 304 소재용 전착도장방법 및 전착도장장치
CN102407218B (zh) 一种对不锈钢表面进行静电氟碳喷涂的工艺方法
CN104404441A (zh) 一种镀铜钢带的制备方法
TWI392771B (zh) Surface coating processing method
CN110280454A (zh) 高盐雾、高抗老化的硅烷涂装前处理工艺
KR20130118414A (ko) 화이트 전착도장 방법
KR100726786B1 (ko) 크롬 도금 지그
KR101679409B1 (ko) Sus 430 소재용 전착도장방법 및 전착도장장치
CN117071032A (zh) 一种汽车配件电泳涂装工艺
US20200115565A1 (en) Polymer coating of metal alloy substrates
Polini et al. Analysis of adhesion in an aggressive environment of a protective paint coating on an aluminium alloy surface treated by air cold plasma
DE2236191A1 (de) Metallbearbeitungsverfahren
JP7248505B2 (ja) 金属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