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822B1 -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822B1
KR101875822B1 KR1020160143146A KR20160143146A KR101875822B1 KR 101875822 B1 KR101875822 B1 KR 101875822B1 KR 1020160143146 A KR1020160143146 A KR 1020160143146A KR 20160143146 A KR20160143146 A KR 20160143146A KR 101875822 B1 KR101875822 B1 KR 10187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pipe
pivoting
rotary body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243A (ko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은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은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은성기업
Priority to KR102016014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8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된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서로 마주 본 상태로 배치되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회동체와 제2회동체, 제1회동체와 제2회동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1회동체와 제2회동체를 연결시키고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과, 회동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회동체와 제2회동체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The pipe connector having a pivot axis}
본 발명은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연결할 때 수직과 수평으로 배치된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식물의 주요 생육환경인 온도 및 습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 건축물로 외벽을 비닐로 덮음으로써 태양열을 내부에 모으고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온실효과가 발생하도록 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만들기 위해서 중공 파이프를 지면에서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박고, 지면에 박힌 파이프에 수평방향으로 파이프를 설치하여 각각의 파이프를 연결한 다음 비닐하우스의 지붕을 이루는 아치 형상의 파이프를 결합하여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수평과 수직으로 된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아치 형상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연결구를 이용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의 경우 연결구의 돌출된 부분이 중공으로 된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인력이 소모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4-0005035호는 비닐하우스 또는 천막용 파이프 연결을 위한 T형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로 설치되는 수평(또는 만곡) 파이프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 중앙이 개방된 공지의 가로고정홀더와 함께, 가로고정홀더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되 반원형으로 밴딩되어 수직파이프에 삽입되는 한 쌍의 수직삽입부로 이루어지는 T형 연결구에 있어서, 상부가 서로 맞닿아 원을 형성하고 하부로 내려갈수록 서로 벌어져 탄성이 발휘되게끔 형성된 한 쌍의 수직삽입부의 하단 끝을 내향만곡부로 형성하여 T형 연결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여, 수직파이프에 매우 신속 원활하게 끼울 수 있고, 이에 따라 비닐하우스 골조나 천막골조 시공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인력 및 시간절감, 신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중공으로 된 파이프 내부에 연결구를 신속하게 끼울 수 있도록 형성하였으나 아치 형상의 파이프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결합시켜야 하므로 다수의 인력이 파이프를 지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여전히 시공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4-000503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를 연결할 때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시공시간이 감소되고 파이프를 간단히 연결할 수 있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가 절반으로 분리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파이프의 위치에 관계없이 연결구를 파이프에 결합시킬 수 있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구의 외면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여 파이프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연결구가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는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된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서로 마주 본 상태로 배치되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회동체와 제2회동체,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를 연결시키고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하나의 금형에서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는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배치된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에는 파이프가 삽입되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홈 또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상기 연결대는 상기 제1회동체의 상부 일측에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제2회동체에 타측에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연결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대와 상기 제2연결대는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가 마주보았을 때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동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상기 연결대는 상기 제1회동체의 상부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축이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제2회동체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며 상기 회동축의 양 끝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1연결대를 고정시키는 제2연결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상기 연결대는 상기 제1회동체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며 상기 회동축이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대와, 상기 제2회동체의 상부 양측에 상기 제1연결대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제1연결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의 양 끝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연결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는 파이프의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의 상부에는 수평 파이프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수평삽입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직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삽입홀까지 개구되는 수직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의 하부 지름은 인입되는 수직 파이프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가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어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의하면 파이프를 연결할 때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시공시간이 감소되고 파이프를 간단히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의하면 연결구가 절반으로 분리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파이프의 위치에 관계없이 연결구를 파이프에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의하면 연결구의 외면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여 파이프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연결구가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를 분해시킨 모습을 나타낸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수평 및 수직 파이프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가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외면에 리브를 형성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연결할 때 수직과 수평으로 배치된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는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된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서로 마주 본 상태로 배치되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를 연결시키고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200)과, 회동축(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상부에는 수평 파이프(도3 참조)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수평삽입홀(13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직파이프(20)(도3 참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삽입홀(130)까지 개구되는 수직삽입홀(1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에 형성된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가 회동축(200)에 결합되어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가 회동축(200)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회동축(200)에 결합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T자 형상이 되며 상부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삽입홀(13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 방면을 향해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삽입홀(1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는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가 배치된 위치에서 제1회동체(110) 또는 제2회동체(120)를 회동시켜 파이프가 수평삽입홀(130) 또는 수직삽입홀(14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회동체(110)를 회동시켜 제2회동체(120) 내부에 파이프를 안착시킨 후 제1회동체(110)를 제2회동체(120)와 마주보는 초기상태로 회동시킴으로써 파이프를 연결구(100)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파이프의 끝단에서 연결구(100)를 하나씩 삽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게 된다.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는 회동축(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말려져 있고,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의 위치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여 회동축(200)에 결합될 때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의 위치가 서로 번갈아가며 회동축(200)에 결합되게 된다.
즉, 제1연결대(111)는 제1회동체(110)의 일측 끝단에서부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고, 제2연결대(121)는 제2회동체(120)의 타측 끝단에서부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시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가 서로 마주 본 상태일 때 제1연결대(111)가 이격되어 생긴 빈공간에 제2연결대(121)가 위치하여 회동축(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때 설정된 간격은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의 길이만큼 이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는 파이프를 볼트(320), 피스(31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관통홈(150) 또는 관통홀(160)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160)의 위치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를 분해시킨 모습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연결대는 제1회동체(110)의 상부 일측에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연결대(111)와, 제2회동체(120)에 타측에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연결대(121)로 이루어지며,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는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가 마주보았을 때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회동축(2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하나의 금형에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는 각각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축(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외부를 향해 말려 있도록 형성되어 있게 된다.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가 회동축(200)에 결합될 때 위치가 포개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연결대(111)는 제1회동체(110)의 일측 끝단에서부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고, 제2연결대(121)는 제2회동체(120)의 타측 끝단에서부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시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가 서로 마주 본 상태일 때 제1연결대(111)가 이격되어 생긴 빈공간에 제2연결대(121)가 위치하여 회동축(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즉, 제1연결대(111)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연결대(111) 사이에는 제2연결대(1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며, 제2연결대(121)도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어 제2연결대(121) 사이에 제1연결대(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는 서로 번갈아가며 회동축(200)에 결합되어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가 하나의 원통형상이 되도록 연결되며, 회동축(200)에 결합된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에 의해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가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연결대(111)가 형성된 제1회동체(110)와, 제2연결대(121)가 형성된 제2회동체(120)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한 후 동일한 형상의 회동체를 회동축(20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회동축(200)에 형성된 연결대의 위치가 서로 반대방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가 형상이 동일하여 하나의 금형에서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의 위치 또한 회동축(200)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 배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를 구분하여 생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수평 및 수직 파이프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는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는 회동축(200)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배치된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에는 파이프가 삽입되면 체결수단(300)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홈(150) 또는 관통홀(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는 회동축(200)을 기준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수평파이프(10)와 수직파이프(20)가 배치된 위치에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를 회동시켜 연결구(100) 내부에 수평파이프(10)와 수직파이프(20)를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수평파이프(10)와 수직파이프(20)가 연결구(100) 내부에 형성된 도 1의 수평삽입홀(130)과 수직삽입홀(140)에 위치하게 되면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를 회동시켜 수평파이프(10)와 수직파이프(2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한다.
이후 도 1의 수직삽입홀(140)에 삽입된 수직파이프(20)를 고정시키기 위해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외면에 형성된 관통홀(160)에 피스(310)를 사용하여 연결구(100)와 수직파이프(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에 형성된 사각형의 관통홈(150)에는 볼트(320)를 제1회동체(110)에서 제2회동체(120)를 향해 수직파이프(20)를 관통하여 돌출시킨 후 돌출된 부위를 너트(321)로 조여 수직파이프(20)를 연결구(1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의 수평삽입홀(130) 내에 삽입된 수평파이프(10)는 수직파이프(20)를 피스(310), 볼트(320), 너트(321)와 같은 체결수단(300)을 이용하여 결합될 때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가 서로 밀착되면서 발생하는 가압력에 의해 고정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수평파이프(10)를 고정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관통홀(160)이 도 1의 수평삽입홀(130)이 형성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가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는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하부 지름은 인입되는 수직 파이프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가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어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는 수평파이프(10)가 삽입되는 도 1의 수평삽입홀(130)의 내경은 삽입되는 수평파이프(1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수직파이프(20)가 삽입되는 도 1의 수평삽입홀(130)의 외경은 수직파이프(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수직파이프(20) 내부에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끝단이 수직파이프(20)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회동축(200)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가 수평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면 수직파이프(20) 내부로 인입되는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끝단이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끝단이 수직파이프(20) 내부로 삽입되면 수직파이프(20)의 내경과 밀착되어 수직파이프(20)가 분리되지 않도록 가압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도 3의 체결수단(300) 없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끝단이 수직파이프(20) 내부에 삽입될 때 서로 밀착되기 때문에 수평파이프(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가 수평파이프(10)에 밀착되어 가압력에 의해 수평파이프(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외면에 리브를 형성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는 파이프의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구(100)를 이용하여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된 파이프를 연결시키게 되면 수직으로 배치된 파이프에서 전달되는 하중은 연결구(100)를 통해 수평으로 분산되게 된다.
이때 연결구(100)와 결합되는 파이프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연결구(100)가 견딜 수 있는 하중보다 큰 경우 연결구(100)가 먼저 변형 또는 손상이 발생하여 하우스가 무너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외면에 리브를 형성시킴으로써 하중에 의해 연결구(10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리브는 수직리브(400)와 수평리브(500)로 구성되며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리브(400)는 수평삽입홀(130)이 형성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 외면에 형성되고 수평리브(500)는 수직삽입홀(140)이 형성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외면에 형성된다.
수직리브(400)와 수평리브(500)는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외주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에 리브 대신 엠보싱(도시되지 않음)을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시켜 연결구(100)에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연결대는 제1회동체(110)의 상부 전면에 위치하여 회동축(200)이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대(111)와, 제2회동체(120)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며 회동축(200)의 양 끝단이 삽입되어 제1연결대(111)를 고정시키는 제2연결대(12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동축(200)에 결합되는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회동체(110)의 상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대(111)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동축(200)의 길이보다 작아 회동축(200)이 제1연결대(111) 내부에 삽입되면 회동축(200)의 양 끝단이 제1연결대(11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연결대(121)는 제2회동체(12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돌출되고 회동축(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게 된다.
제2연결대(121) 사이에는 제1연결대(111)가 위치하게 되며 제1연결대(111)에 삽입된 회동축(200)의 양 끝단은 제2연결대(121)에 삽입되어 회동축(200)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므로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는 회동축(200)을 기준으로 회동 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의 연결대는 제1회동체(110)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며 회동축(200)이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대(111)와, 제2회동체(120)의 상부 양측에 제1연결대(111)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제1연결대(111)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회동축(200)의 양 끝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 제2연결대(12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는 제1회동축(200)과 제2회동축(2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에는 회동축(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의 폭은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도 7과 같이 제2연결대(121) 사이에 제1연결대(111)를 위치시킴으로써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가 회동축(2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연결대(111)는 제2회동체(12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2연결대(121)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2연결대(12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나, 제2연결대(121)의 폭이 제1연결대(111)의 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2연결대(121)가 제1연결대(11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는 파이프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제1연결대(111)와 제2연결대(121)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시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제1회동체(110)와 제2회동체(120)로 전달함으로써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의하면 파이프를 연결할 때 파이프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시공시간이 감소되고 파이프를 간단히 연결할 수 있고, 연결구가 절반으로 분리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파이프의 위치에 관계없이 연결구를 파이프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연결구의 외면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여 파이프에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연결구가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평파이프 20 : 수직파이프
100 : 연결구 110 : 제1회동체
111 : 제1연결대 120 : 제2회동체
121 : 제2연결대 130 : 수평삽입홀
140 : 수직삽입홀 150 : 관통홈
160 : 관통홀 200 : 회동축
300 : 체결수단 310 : 피스
320 : 볼트 321 : 너트
400 : 수직리브 500 : 수평리브

Claims (10)

  1.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된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서로 마주 본 상태로 배치되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회동체와 제2회동체;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를 연결시키고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의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는
    상기 제1회동체의 상부 일측에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연결대와;
    상기 제2회동체에 타측에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연결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연결대와 상기 제2연결대는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가 마주보았을 때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동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대와 상기 제2연결대는 상기 회동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를 향해 원통형으로 말려져 있고,
    상기 제1연결대는 상기 제2연결대의 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연결대는 상기 제1연결대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1연결대와 상기 제2연결대는 서로 이격되어 생긴 빈 공간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는 파이프의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하나의 금형에서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는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배치된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에는 파이프가 삽입되면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홈; 또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의 상부에는 수평 파이프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수평삽입홀;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직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삽입홀까지 개구되는 수직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의 하부 지름은 인입되는 수직 파이프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제1회동체와 상기 제2회동체가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어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KR1020160143146A 2016-10-31 2016-10-31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KR10187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46A KR101875822B1 (ko) 2016-10-31 2016-10-31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46A KR101875822B1 (ko) 2016-10-31 2016-10-31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43A KR20180047243A (ko) 2018-05-10
KR101875822B1 true KR101875822B1 (ko) 2018-07-06

Family

ID=6218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146A KR101875822B1 (ko) 2016-10-31 2016-10-31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2100061A1 (sv) * 2021-04-23 2022-10-24 Fiedler Innovations Int Ab Rörfäs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42U (ko) * 1997-05-30 1998-12-05 최남우 파이프 결합용 t형 고정구
WO2002055916A2 (en) * 2001-01-12 2002-07-18 Quixxsmart Structures Inc Fitting and method for joining structural tubular elements
JP3104984U (ja) * 2004-02-12 2004-10-21 光洋 佐久間 交差するパイプの軸を同一平面上で連結できる接続金具
KR200380550Y1 (ko) * 2005-01-21 2005-03-31 배점규 파이프 조립용 조인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42U (ko) * 1997-05-30 1998-12-05 최남우 파이프 결합용 t형 고정구
WO2002055916A2 (en) * 2001-01-12 2002-07-18 Quixxsmart Structures Inc Fitting and method for joining structural tubular elements
JP3104984U (ja) * 2004-02-12 2004-10-21 光洋 佐久間 交差するパイプの軸を同一平面上で連結できる接続金具
KR200380550Y1 (ko) * 2005-01-21 2005-03-31 배점규 파이프 조립용 조인트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104984호(2004.10.21.)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43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0487A1 (en) Captivated clamp
CN102705968B (zh) 容纳空调和/或通风设备组件的长方体形尤其是立方体形的外壳
KR101888752B1 (ko) 파이프 고정구
BRPI0907936B1 (pt) Estrutura tendo uma abertura que recebe um ou mais módulos e formando uma passagem para cabos ou tubos, juntamente com os módulos
KR101875822B1 (ko) 회동축을 가지는 파이프 연결구
CA2781620A1 (en) Unitary shaft extender apparatus
KR20140005694U (ko)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US20110041440A1 (en) Shutter with side pull bar
KR20190061221A (ko) 비닐 손상 방지가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구
AU2018399202A1 (en) Pipe protecting support and air conditioner
JP6204183B2 (ja) 自在ダクト
JP3195644U (ja) 管継手の保護カバー
CN208204315U (zh) 连接管护套和空调连接管结构
KR200407432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의 연결부재
JP2000337589A (ja) 可動型ヘッダー装置及び可動型ヘッダー用断熱部材
CN205371210U (zh) 塑料膨胀管
US7618269B2 (en) Compliant cap
CH405672A (fr) Canal de ventilation
CN208203787U (zh) 一种万向连接头
CN217634138U (zh) 可拆卸式油井阀门保温壳
GB2189023A (en) Mounting a ventilator fan in a wall
JP5330351B2 (ja) 中空壁用ダクト部材及びその部材を用いた中空壁の気密性ダクト構造
CN210800263U (zh) 一种预埋定位管组件
CN211062846U (zh) 一种路由器天线注塑外壳
KR101964445B1 (ko) 비닐하우스용 내,외부 파이프 연결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